KR20150030224A - 뇌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뇌파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뇌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뇌파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224A
KR20150030224A KR1020150022089A KR20150022089A KR20150030224A KR 20150030224 A KR20150030224 A KR 20150030224A KR 1020150022089 A KR1020150022089 A KR 1020150022089A KR 20150022089 A KR20150022089 A KR 20150022089A KR 20150030224 A KR20150030224 A KR 20150030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rain
unit
eeg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식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주)와이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브레인 filed Critical (주)와이브레인
Publication of KR2015003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5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5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 A61B5/4064Evaluating the 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3Details of waveform analysis characterised by using trans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for diagnosis of the brain
    • A61B8/0816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for diagnosis of the brain using echo-encephal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5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ing a mental or cerebral cond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Psyc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sychia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뇌파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관리 시스템은, 뇌 상태에 대한 제1 신호를 측정하는 검출부; 및 상기 제1 신호를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한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뇌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뇌파 관리 방법{BRAIN SIGNAL MANAGEMENT SYSTEM AND BRAIN SIGNAL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뇌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뇌파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한 상태의 뇌파 신호를 이용하여 두뇌를 특정한 상태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뇌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뇌파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뇌는 인체 머리의 내부 기관으로서 신경계의 최고 중추기관이며, 대뇌, 소뇌, 중간뇌, 다리뇌, 연수로 나뉘어진다.
또한, 뇌는 뉴런 활동 준위의 합이 뇌의 표피에서 측정되는 신호인 뇌파를 발생한다.
뇌의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두피에 전극을 구비한 패드를 장착하여 전극으로부터 수신되는 뇌파를 측정하여 검사하는 EEG(electroencephalogram) 검사 또는 뇌를 방사선이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여러 각도에서 단층 촬영하여 검사하는 CT 검사, 자기공명에 의해 뇌를 촬영하는 MRI 검사 등이 있다.
또한, 뇌를 자극시켜서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으로서, 전기 또는 초음파 또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뇌의 특정 부분에 자극을 가하여 소기의 효과를 달성하는 두뇌자극술이 있으며, 두뇌자극술은 크게 침습식 두뇌자극술(invasive brain stimulation)과 비침습식 두뇌자극술(non-invasive brain stimulation)로 구분된다.
침습식 두뇌자극술은 수술을 통하여 전극을 뇌에 침투시키고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방법이고, 비침습식 두뇌자극술은 두개골 내부로 전극을 침습하지 않고 뇌를 자극하여 소정의 효과를 달성하는 방법이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09435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특정 상태에서 발생하는 외부 자극 신호를 활용하여 뇌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켜 뇌의 뇌파상태를 원하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는 뇌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뇌파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특정상태에서의 뇌파를 저장하여 이를 동일 또는 다른 사용자에게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종류별 및 상황별 뇌파를 재생할 수 있는 뇌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뇌파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특정상태에서의 뇌파를 저장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거나, 이미 데이터베이스화된 뇌파 데이터를 로드하여 이를 자유롭게 재생할 수 있는 뇌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뇌파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뇌 상태에 대한 제1 신호를 측정하는 검출부; 및 상기 제1 신호를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한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신호는 뇌파 전기 신호(EEG), 근적외선 신호(NIRS), 자기 신호, 초음파 신호 중 하나이고, 상기 검출부는 제1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를 뇌 측으로 출력하는 자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극부는 제2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복수의 특정 상태별로 측정된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복수의 특정 상태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1 신호를 인출하여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는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뇌 상태에 대한 제1 신호를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 신호를 뇌 측으로 출력하는 자극부를 포함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신호는 뇌파 전기 신호(EEG), 근적외선 신호(NIRS), 자기 신호, 초음파 신호 중 하나이고, 상기 자극부는 제1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복수의 특정 상태별로 측정된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복수의 특정 상태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1 신호를 인출하여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는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뇌 상태에 대한 제1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를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한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파 관리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뇌 상태에 대한 제1 신호를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한 제2 신호를 뇌 측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파 관리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한 상태의 뇌파 신호를 저장하였다가, 저장된 뇌파 신호를 시간 반전시켜 자극파 신호를 형성한 후 뇌측으로 제공함으로써, 특정 상태에서 발생하는 뇌파 신호를 활용하여 뇌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뇌파 신호를 종류별 또는 상황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했다가 추후에 이를 로드하여 뇌파를 재생시켜 특정 상황에서의 뇌파를 복원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데이터베이스화된 뇌파를 시간 반전시켜 자극파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뇌측에 제공하여 외부의 뇌파 데이터를 활용하여 뇌파를 복원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뇌파 관리 시스템에서의 제1 신호의 예시적인 구조 및 전송방향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뇌파 관리 시스템에서의 제2 신호의 예시적인 구조 및 전송방향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가 도시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뇌파 관리 시스템은 검출부(10)와 제어부(20)와 저장부(30)를 포함한다.
검출부(10)는 뇌 상태에 대한 제1 신호(3)를 측정하며, 제1 유닛(15) 예를 들어 두피(1)에 접촉하는 제1 전극(15)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검출부(1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뇌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또는 MRI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뇌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검출부(10)는 각 신호의 종류에 대응되는 검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검출부(10)는 두피에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구성을 가지는 검출부(10)에서 수신되는 제1 신호(3)는 예를 들어, 전기 신호(EEG, electroencephalogram), 임피던스 신호(impedance signal),음향 신호(acoustic signal), 자기 신호(magnetic signal), 역학 신호(mechanical signal), 생화학 신호(chemical signal), 광학 신호(optical signal), 초음파 신호(ultrasonic signa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신호(3)는 나열한 신호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신호는 근적외선 신호(Near-infrared signal) 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검출부(10)가 제1 전극(15)을 포함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전극(15)은 전도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 상태에 대한 전기 신호(EEG, electroencephalogram)인 제1 신호(3)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전극(15)은 뇌의 배외측전전두피질 영역, 복내측전전두피질 영역, 일차운동피질 영역, 측두엽 영역, 및 후두엽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의 제1 신호(3)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0)는 검출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검출부(10)를 통해 측정한 제1 신호(3)를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한 제2 신호(5)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2 신호(5)는 제1 신호(3)와 마찬가지로 전기 신호(EEG, electroencephalogram), 임피던스 신호(impedance signal),음향 신호(acoustic signal), 자기 신호(magnetic signal), 역학 신호(mechanical signal), 생화학 신호(chemical signal), 광학 신호(optical signal), 초음파 신호(ultrasonic signa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신호(3)는 나열한 신호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신호는 근적외선 신호(Near-infrared signal) 일 수 있다.
제2 신호(5)는 검출부(10)에서 측정된 제1 신호(3)의 시간 반전 형태 즉역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신호(3)와 제2 신호(5)는 상이한 구조 예를 들어 제1 신호(3)는 뇌파 전기 신호이고, 제2 신호(5)는 초음파 신호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신호(3)를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한 중간신호를 먼저 생성하고 중간신호를 기초로 이종의 제2 신호(5)로 변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신호(3)를 먼저 이종의 제2 신호(5)로 변환하고 제2 신호(5)를 시간의 역순으로 변형시킬 수도 있다.
또한,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이종신호인 제1 신호(3)를 제2 신호(5)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필터 내지 변환부가 더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환모듈은 이종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제1 신호(3)를 증폭시키는 증폭 모듈(25)을 포함할 수 있다. 증폭 모듈(25)은 검출부(10)의 제1 전극(15)에서 측정된 제1 신호(3)를 제2 신호(5)로 변환하기에 앞서, 제1 전극(15)에서 측정된 제1 신호(3)를 신호처리과정에서 관찰이 용이한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제1 신호(3)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검출부(10) 이외에 다른 외부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제1 신호(3)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1 신호(3)로부터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된 제2 신호(5)를 제어부(20)가 직접 수신하여 변환 과정 없이 신호를 처리할 수도 있다.
저장부(30)는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20)를 통해 다양한 특정 상태별로 변환된 제2 신호(5)를 복수의 특정 상태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저장부(30)는 제2 신호(5)로 변환되기 전의 신호 즉 제1 신호(3)를 복수의 특정 상태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 과정에서 제2 신호(5)를 생성하는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관리 시스템은 제2 신호(5)를 뇌 측으로 출력하는 자극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신호(5)는 저장부(30)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거나, 제어부(20)로부터 직접 수신한 것일 수 있다. 자극부(40)는 제2 유닛(45) 예를 들어 제2 전극(45)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검출부(10)와 마찬가지로 전극 이외의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자극부(40)가 제2 전극(45)일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2 전극(45)은 전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특정 상태에 대한 제2 신호(5), 예를 들어 뇌파 전기 신호, 초음파 신호, 근적외선 신호, 또는 자기장 신호 등과 같은 자극 신호를 뇌 측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유닛(15)과 제2 유닛(45)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극부(40)는 두피(1)에 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피(1)에 이격된 위치에서 발산되도록 자극부(40)가 두피(1)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저장부(30)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같이 제어부(20)를 통해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한 제2 신호(5)를 저장하지 않고, 검출부(10)에서 측정한 제1 신호(3)를 바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는 저장부(30)에 저장된 특정 상태에 대한 제1 신호(3)를 인출하여 제2 신호(5)로 변환시키고, 제2 신호(5)는 자극부(40)의 제2 전극(45)을 통해 뇌 측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뇌파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뇌파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뇌파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특정 상태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뇌파 관리 방법은 크게, 신호 측정 과정과 전기신호에 의한 두뇌자극 과정으로 구분된다. 이하에서는 검출부(10)와 자극부(40)가 특정 신호를 인가 또는 검출하는 전극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근적외선 신호, 초음파 또는 자기파 등의 다른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전극 이외의 다른 형태로 검출부(10) 및 자극부(40)가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뇌파 관리 방법의 신호 측정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피대상체의 뇌가 특정한 상태 예를 들어 흥분 상태, 정상 상태 등에 있는 경우, 검출부(10)의 제1 유닛(15)을 피대상체의 두피(1)의 소정 위치에 밀착 또는 이격하여 배치한다(S10).
다음, 제1 유닛(15)을 통해 특정 상태에서 발생하는 제1 신호(3)를 측정한다(S20).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상태의 측정된 제1 신호(3)를 제어부(20)를 통해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한 제2 신호(5)를 생성한 후(S30), 제2 신호(5)를 저장부(30)에 저장한다(S40).
이어서, 제2 신호(5)의 저장이 완료되면, 제1 신호(3)를 측정하기 위해 장착한 제1 유닛(15)을 피대상체로부터 제거한다(S50).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뇌파 관리 방법의 신호 측정 과정이 완료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측정된 제1 신호(3)를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하지 않고 제1 신호(3)를 그대로 저장부(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신호(3) 또는 제1 신호(3)를 변환한 제2 신호(5)를 저장부(30)에 저장하지 않고 하기하는 전기신호에 의한 두뇌자극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뇌파 관리 방법의 신호 자극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과정도 신호 측정 과정과 마찬가지로 접촉식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극부(40)가 두피와 비접촉식으로 구성되거나 신체의 다른 특정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피대상체의 뇌로 측정된 특정 상태의 신호를 자극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유닛(45)을 피대상체의 두피(1)에 밀착 또는 이격하여 배치한다(S60). 이 때, 피대상체는 측정 및 데이터 저장시의 피대상체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피대상체에 배치되는 자극부(40)의 제2 유닛(45)은 복원하고자 하는 특정 상태에서의 제1 신호(3)의 측정 위치와 동일한 위치 또는 이와 유사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으나, 피대상체가 서로 다른 경우 자극부(40)의 위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동일한 피대상체에서 제2 유닛(45)의 위치와 제1 유닛(15)의 위치가 동일한 경우, 시간의 역순으로 신호의 변환에 따른 측정 위치의 부정확성에 의해 발생되는 자극 위치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다음, 특정 상태에서 측정한 제1 신호(3)를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시켜 저장부(30)에 저장한 제2 신호(5)를 제어부(20)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닛(45)에 제공하여, 제2 유닛(45)을 통해 뇌 측으로 출력한다(S70). 이 과정에서 제1 신호(3) 형태 그대로 저장부(30)에 저장된 경우 또는 제1 신호(3)를 직접 제공받은 경우, 제어부(20)는 제1 신호(3)를 실시간으로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시켜서 제2 신호(5)를 생성하고 제2 유닛(45) 측으로 전송시킬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저장부(30) 이외의 외부의 다른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제1 신호(3) 또는 제2 신호(5)를 수신하여 이를 그대로 또는 시간 반전시켜서 제2 유닛(45) 측으로 전송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신호(5)가 자극부(40)의 제2 유닛(45)을 통해 피대상체의 뇌를 자극함에 따라, 피대상체는 제2 신호(5)에 의해 뇌가 기존에 측정했던 그 시점에서의 특정 상태를 복원할 수 있으며, 특정 상태 예를 들어 흥분 상태, 집중 상태, 정상 상태, 명상 상태 등으로 전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상태의 뇌 신호를 복원함으로써 피대상체의 감정이나 심리 상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2 신호(5)를 일정 시간 출력한 후, 제2 유닛(45)을 피대상체로부터 제거한다(S80).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뇌파 관리 방법의 뇌파 자극 및 복원 과정이 완료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특정 상태에 대한 제1 신호(3)만을 측정하여 제어부(20)를 통해 제2 신호(5)로 변환시킨 후 저장부(30)에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특정 상태에 대한 제1 신호(3)들을 각각 측정하여 저장부(3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일 예로 인지능력 향상상태, 감정 및 스트레스 조절 가능상태, 수면 상태, 식사 후 포화 상태, 게임 플레이 상태, 각성 상태, 명상 상태, 흥분 상태 등의 다양한 상태 별로 제1 신호(3)들을 측정하고, 측정된 제1 신호(3)들을 제어부(20)를 통해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시켜 제2 신호(5)들을 생성한 후, 제2 신호(5)들을 다시 피대상체에 배치된 제2 유닛(45)을 통해 제2 신호(5)를 발산하여, 해당 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상태에 대해 제1 신호를 측정하고, 제1 신호를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시킨 제2 신호로 저장하고, 또한 특정 상태에 대한 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원할 경우 저장된 특정 상태에 대한 제2 신호를 뇌측에 출력시킴으로써, 뇌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켜 심리 상태나 특정한 뇌의 상태를 복원, 개선 내지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두피 3 : 제1 신호
5 : 제2 신호 10 : 검출부
15 : 제1 전극 20 : 제어부
25 : 증폭 모듈 30 : 저장부
40 : 자극부 45 : 제2 전극

Claims (18)

  1. 뇌 상태에 대한 제1 신호를 측정하는 검출부; 및
    상기 제1 신호를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한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뇌파 전기 신호(EEG), 근적외선 신호(NIRS), 자기 신호, 초음파 신호 중 하나이고,
    상기 검출부는 제1 유닛을 포함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를 뇌 측으로 출력하는 자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극부는 제2 유닛을 포함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은 일체로 형성되는, 뇌파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복수의 특정 상태별로 측정된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복수의 특정 상태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1 신호를 인출하여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는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뇌파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 모듈을 포함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10. 뇌 상태에 대한 제1 신호를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 신호를 뇌 측으로 출력하는 자극부를 포함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뇌파 전기 신호(EEG), 근적외선 신호(NIRS), 자기 신호, 초음파 신호 중 하나이고,
    상기 자극부는 제1 유닛을 포함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복수의 특정 상태별로 측정된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복수의 특정 상태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1 신호를 인출하여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는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뇌파 관리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 모듈을 포함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17. 뇌 상태에 대한 제1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를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한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파 관리 방법.
  18. 뇌 상태에 대한 제1 신호를 시간의 역순으로 변환한 제2 신호를 뇌 측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파 관리 방법.
KR1020150022089A 2013-07-26 2015-02-13 뇌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뇌파 관리 방법 KR201500302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58856P 2013-07-26 2013-07-26
US14/056,519 US20150031980A1 (en) 2013-07-26 2013-10-17 Brain signal management system and brain signal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US14/056,519 2013-10-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894 Division 2014-05-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224A true KR20150030224A (ko) 2015-03-19

Family

ID=5239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089A KR20150030224A (ko) 2013-07-26 2015-02-13 뇌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뇌파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31980A1 (ko)
KR (1) KR201500302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198B1 (ko) * 2015-06-10 2016-11-17 주식회사 룩시드랩스 사용자의 생체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90023850A (ko) * 2017-08-30 2019-03-08 (주)와이브레인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20190054051A (ko) * 2019-05-14 2019-05-21 (주)와이브레인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1981B2 (en) * 2016-06-06 2020-10-06 S Square Detect Medical Devices Neuro attack preven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20180036634A (ko) * 2016-09-30 2018-04-09 (주)와이브레인 원격 의료 서비스 시스템
CN107411739A (zh) * 2017-05-31 2017-12-01 南京邮电大学 基于双树复小波的脑电信号情绪识别特征提取方法
US20190167982A1 (en) * 2017-12-06 2019-06-06 Y-Brain Inc. Stimulation health care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5405B2 (en) * 2008-04-23 2013-10-01 Therataxis, Llc Device, methods, and control for sonic guidance of molecules and other material utilizing time-reversal acoustic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198B1 (ko) * 2015-06-10 2016-11-17 주식회사 룩시드랩스 사용자의 생체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90023850A (ko) * 2017-08-30 2019-03-08 (주)와이브레인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US11657907B2 (en) 2017-08-30 2023-05-23 Y-Brain Inc Method for setting authority for use of brain stimulation device and device implementing same
KR20190054051A (ko) * 2019-05-14 2019-05-21 (주)와이브레인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31980A1 (en)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0224A (ko) 뇌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뇌파 관리 방법
US10835179B2 (en) Headset for bio-signals acquisition
JP6254281B2 (ja) 脳波測定及び脳刺激システム
US11241187B2 (en) Electromagnetic wave sensing and modulating of neuronal activities
Iannetti et al. Simultaneous recording of laser-evoked brain potentials and continuous, high-fiel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humans
Luo et al. Ballistocardiogram artifact removal with a reference layer and standard EEG cap
Rosburg Left hemispheric dipole locations of the neuromagnetic mismatch negativity to frequency, intensity and duration deviants
CN100542481C (zh) 用于诊断脑干病症的系统和方法
Trunk et al. No effects of a single 3G UMTS mobile phone exposure on spontaneous EEG activity, ERP correlates, and automatic deviance detection
KR20150061609A (ko) 뇌파 측정 및 두뇌 자극 시스템
Dommes et al. Auditory cortex stimulation by low-frequency tones—An fMRI study
JP6743040B2 (ja) 生体信号を取得するためのヘッドセット
Takemi et al. Is event-related desynchronization a biomarker representing corticospinal excitability?
KR101349748B1 (ko) 두부경락활성 측정장치
US202103076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stimulation protocol
US10939862B2 (en) System for monitoring auditory startle response
KR101552269B1 (ko)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비침습형 능동형 건식 전극 및 그 전극 모듈
Roh et al. 18.5 A 2.14 mW EEG neuro-feedback processor with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mental-health management
Iadarola et al. Low-cost monitoring for stimulus detection in skin conductance
KR20220007838A (ko) 뇌 자극 장치
An et al. Magnetoencephalographic study of event‐related fields and cortical oscillatory changes during cutaneous warmth processing
KR20120000370A (ko) 마취심도 모니터링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법
Rosburg et al. Tonotopy of the auditory-evoked field component N100m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Baek et al. Investigations of capacitively-coupled EEG electrode for use in brain-computer interface
JP5592664B2 (ja) 快適性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