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125A - Supporter for both mobile phone and camera - Google Patents

Supporter for both mobile phone and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125A
KR20150030125A KR20130109405A KR20130109405A KR20150030125A KR 20150030125 A KR20150030125 A KR 20150030125A KR 20130109405 A KR20130109405 A KR 20130109405A KR 20130109405 A KR20130109405 A KR 20130109405A KR 20150030125 A KR20150030125 A KR 20150030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upper plate
camera
pair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4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36053B1 (en
Inventor
정지현
고상천
강보라
전다빈
강동훈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09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053B1/en
Publication of KR20150030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1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0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er for a mobile phone and a camera comprising; upper and lower plates; and a pair of supporting walls which are mounted on the upper plate. The position of the supporting wall is elastically changed. The supporter for a mobile phone and a camera comprises a central screw which is located on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and is arranged between the supporting wall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entral screw is elastically changed. The supporter for a mobile phone and a camera comprises an air cylinder which is arrang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phone and a camera can be held easily and a horizontal state can be controlled easily when a bottom surface is uneven.

Description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 {Supporter for both mobile phone and camera}{Supporter for both mobile phone and camera}

본 발명은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으로 휴대폰이나 카메라를 고정할 수 있으며, 사진이나 영상 촬영 시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거치대를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serving as a mobile phone camera.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cradle capable of fixing a cellular phone or a camera by a simple operation and adjusting the horizontal position when photographing or photographing.

원거리 통화를 목적으로 하는 휴대폰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전통적인 기능에 부가하여 카메라, 캠코더 기능이 부가되어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사진이나 영상의 원격 통신이 가능하게 되면서 기존의 휴대용 카메라 대신 휴대폰으로 화상 정보를 만들고 공유하는 일이 빈번해지고 있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mobile phones for long distance calls, a camera and a camcorder function have been added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functions, so that a picture or a movie can be photographed. Especially, as the spread of smart phones enables remote communication of pictures and images, it is becoming more frequent to create and share image information with mobile phones instead of conventional portable cameras.

그러나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휴대폰은 사진 촬영 시 흔들림에 의해 사진이 선명하게 촬영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휴대폰을 들고 장시간 동영상을 촬영할 때 불편함이 있다. 또한, 여행 중에 스스로 자신의 사진을 찍으려 하거나 기념을 위한 단체 사진을 촬영할 때 휴대폰을 따로 거치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촬영에 어려움이 있었다. However, the mobile phone with the camera func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icture can not be taken clearly due to the blurring when taking a picture, and it is inconvenient when the mobile phone is taken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here was a difficulty in shooting when photographing a self-photograph on the road or taking a group photo for a memorial because there was no way to mount the mobile phone separately.

기존에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안정적으로 촬영하기 위해서 카메라나 캠코더 등을 지면에 고정하는 한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세 개의 다리를 가진 삼각 지지대가 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삼각 지지대는 휴대폰을 고정할 수 있는 기구적 설계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휴대폰의 고정이 불가능하였다. 휴대폰에 촬영 기능이 부가되고 발전하면서 기존의 삼각 지지대에 휴대폰을 고정할 수 있는 연결 장치나 어댑터 등이 제안된 바 있으나, 단순히 휴대폰을 삽입하여 지지하는 보조 부품을 부착하거나 휴대폰 전원 삽입구에 고정 수단을 삽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휴대폰을 거치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휴대폰의 고장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많았다. In the past, triangles with three legs with adjustable lengths were mainly used to fix cameras or camcorders on the ground in order to stably photograph and record videos.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riangular support does not have a mechanical design for fixing the mobile phone, the mobile phone itself can not be fixed. A connecting device or an adapter capable of fixing a mobile phone to an existing triangular support while a photographing function is added to the mobile phone has been proposed.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an auxiliary component for simply inserting and supporting a mobile phone, It is inconvenient to use it and it is likely to cause malfunction of the mobile phone.

또한, 기존의 삼각 지지대에 보조적인 수단을 통해 휴대폰을 거치할 경우에는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없어 휴대폰을 이용한 사진 촬영 등이 사용자의 의도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In addition, when the mobile phone is mounted on an existing triangular support by an auxiliary means, the horizontal state can not be adjusted, so that photographing using a mobile phone can not obtain the user's intended result.

휴대폰의 카메라 기능이 디지털 카메라의 수준에 근접하여 휴대폰을 이용한 사진 및 영상 촬영이 대중화된 시대에 휴대폰을 위한 휴대용 거치 장치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In the era when the camera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is close to the level of the digital camera and the photographing and the image photographing using the mobile phone are popularized, there is a great need for a portable mounting device for a mobile phone.

특히, 기존의 휴대용 카메라를 고정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휴대폰을 쉽게 고정할 수 있는 겸용 거치대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뿐만 아니라 휴대폰의 고정과 더불어 휴대폰이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포함된 거치대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In particular,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dual-purpose stand capable of fixing existing portable cameras as well as easily fixing mobile phone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cradle includ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vel of the cellular phone while the cellular phone is fixed, in addition to the fixing of the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고정 방법이 아니더라도 쉽게 휴대폰과 카메라를 교대로 장착할 수 있는 새로운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technical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stand capable of easily mounting a cellular phone and a camera alternately even if the system is not a complicated fixing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이나 카메라의 고정은 물론 수평 상태의 조절이 쉽고 자유로운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which is easy to adjust a horizontal state as well as a mobile phone and a camera, as well as a free crad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폰과 카메라 겸용 거치대로서의 이용 뿐만 아니라 실내외에서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주변기기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device which can be used not only as a cradle for a mobile phone and a camera, but also as a peripheral device having a mobile phone holding function in a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Other objects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위치가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한 쌍의 지지벽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벽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 위치가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중앙 스크류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는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 pair of support walls mounted on the upper plate and elastically bia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entral screw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walls and having a vertically variable elasticity, and an air cylind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상기 중앙 스크류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지지벽 상면에는 상기 중앙 스크류의 고정돌기가 안착되어 중앙 스크류의 수직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screw. In this case, a fixing groove for fix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enter screw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supporting walls, Do.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벽 내부 또는 상부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상기 중앙 스크류의 고정돌기가 수직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는 승강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elevation guide capable of guiding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center screw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side the pair of support walls or inside the upper plate.

상기 한 쌍의 지지벽 후방으로 상부 플레이트 상면에 탄성체가 매설되어 중앙 스크류를 중심으로 지지벽의 방사상 이동을 탄성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An elastic body is embed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behind the pair of support walls to elastically restrict the radial movement of the support wall about the center screw.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는 적어도 세 개의 에어 실린더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실린더는 상부의 피스톤과 하부의 실린더 본체를 포함할 수 있고, 실린더 본체 하부에는 하부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And at least three air cylinders are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he air cylinder may include an upper piston and a lower cylinder body, and a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 body.

상기 하부 플레이트 내부에는 상기 에어 실린더와 연결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하부 플레이트 중앙에는 상기 공기 유로의 끝단이 함께 모이는 통공이 있고, 이 통공에는 에어 실린더의 피스톤 동작을 제어하는 스톱 밸브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plate may have an air passage connected to the air cylinder. In this case, a center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so that the end of the air passage collects together. In the through hole, It is preferable that a valve is mounted.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 및 카메라의 거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 수평 상태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복잡한 동작 없이도 휴대폰과 카메라를 번갈아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본인의 사진이나 영상을 자유자재로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여러 사람의 사진이나 영상을 함께 촬영할 때도 효과적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mount the mobile phone and the camera, and the horizontal state can be easily adjusted when the floor surface is uneven. Since the mobile phone and the camera can be fixed alternately without complicated opera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take a photograph or an image of the user himself, and it is also effective when photographing several people together.

또한, 본 발명의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는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면서 고가의 부품이나 복잡한 기구 설계가 요구되지 않아 생산성이 우수하며, 대량 생산이 유리하여 제조 비용의 과도한 상승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adle for use as a mobile phon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ly simple in structure and requires no expensive parts or complicated mechanism design, so that productivity is excellent, mass production is advantageous, and excessiv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can be suppressed.

한편, 본 발명의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는 기존의 카메라 전용 삼각대에 휴대폰을 장착할 수 있는 어댑터로서 이용할 수도 있고, 단순히 실내 공간에서 휴식 중에 휴대폰만을 거치하는 휴대폰 주변기기로 활용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radle for a mobile phon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adapter for mounting a mobile phone on a conventional tripod dedicated for a camera, or as a peripheral device for a mobile phone that simply mounts a mobile phone while resting in an indoor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거치대를 보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거치대의 거치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거치대의 거치부를 보인 또 다른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거치대 상부의 중앙 스크류를 보인 사시도 및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거치대 상부에 핸드폰 장착 과정을 보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거치대 상부에 카메라 장착 과정을 보인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에어 실린더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거치대 하부 플레이트에 내설된 공기 유로를 보인 모식도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part of a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 of the 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enter screw of the upper part of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cess of attaching a mobile phone to an upper part of a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cess of mounting a camera on the upper part of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ir cyl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ir flow path installed in the lower plate of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폰 및 카메라의 거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거치된 영상 기기의 수평 상태를 간단한 조작으로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를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radle for a cellular phone and a camera as well as a new cellular phone camera which can easily adjust the horizontal state of a mounted video apparatus by a simple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는 기존의 카메라 전용 삼각대(tripod)의 하부 지지 구조를 그대로 채용하면서 상부 구조를 변형시킴으로써 복잡한 기구적 부품이나 장치 변경 없이 휴대용 영상 장비의 고정 및 위치 제어가 가능하다. The mobile phone camer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ix and position the portable video equipment without changing complex mechanical parts or devices by deforming the upper structure while directly adopting the lower support structure of the existing camera dedicated tripo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가 도시되어 있다. 거치대는 크게 하부의 지지부(B)와 상부의 거치부(B)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기존의 카메라 전용 삼각대와 구조 및 기능이 유사하며 상부의 거치대와는 스크류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거나 지지부 상부와 거치부의 하부 플레이트를 일체화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 a holder for a mobile phone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supporting base is largely composed of a lower supporting part B and an upper supporting part B. The supporting part is similar in structure and function to a conventional camera triangle and is coupled to an upper supporting part by a screw bolt or the like, And the lower plate of the mounting portion may be integrated.

본 발명의 거치대에서 상부의 거치부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는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후술하는) 에어 실린더(150)로 인하여 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I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mounting portion includes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as shown in FI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can be adjusted by the air cylinder 150 (described lat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면에는 한 쌍의 지지벽(112a, 112b)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지지벽은 그 사이에 휴대폰 삽입을 위한 공간(115)이 마련되도록 양 지지벽이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휴대폰 삽입 공간을 유지한 채로 그 위치가 고정되거나 또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가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A pair of support walls 112a and 112b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The pair of support wall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uch that a space 115 for inserting the mobile phone is provided therebetween, and the position is fixed while maintaining the cell phone insertion space, or the position is resili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 / RTI >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앙에는 회전이 자유로우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중앙 스크류(130)가 위치하고 있다. 이 스크류는 상기 한 쌍의 지지벽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 위치가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폰이나 카메라의 장착 시 상기 중앙 스크류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 center screw 130 is rotatably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and formed with a threa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screw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walls and the vertical position can be elastically variable. Accordingly, when the mobile phone or the camera is mounted, the position of the center screw may be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uch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세 개의 에어 실린더(150a, 150b, 150c)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 개의 에어 실린더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상호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하부 플레이트에 대한 상부 플레이트의 수평 상태를 변화시키기에 유리하다.At least three air cylinders 150a, 150b, and 150c are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s shown in FIG. The three air cylinders are advantageous for mutually stably support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while chang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upper plate relative to the lower plate.

각각의 에어 실린더는 내부가 비어 있고 하면은 하부 플레이트 상면에 고정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실린더 본체(151a)와 일부분이 실린더 본체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상면은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일체화되는 피스톤(152a)을 포함한다. Each of the air cylinders includes a cylinder body 151a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a piston 152a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plate and partially inserted into the cylinder body. do.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거치대에서 상부 플레이트 중앙의 스크류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중앙 스크류는 원통형의 나사 구조물로서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고정돌기(1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돌기는 스크류가 지지벽 상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수직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벽 상면에는 상기 중앙 스크류의 고정돌기가 안착되어 중앙 스크류의 수직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홈(1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A and 4B, the screw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in th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enter screw is a cylindrical screw structure, and at least one, preferably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132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xing protrusion serves to fix the vertical position when the screw is exposed above the supporting wall.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a fixing groove 11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support walls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center screw is seated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enter screw is fixed.

한편, 상기 한 쌍의 지지벽 내부 또는 상부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상기 중앙 스크류의 고정돌기가 수직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는 승강 가이드(11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승강 가이드는 스크류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 시 이동 경로 및 회전을 제한하여 보다 안정적인 승강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On the other hand, a lift guide 116 is provided inside the pair of support walls or in the upper plate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s of the center screw can be guid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elevating guide restricts the movement path and rotation when the screw is moved to the upper or lower side, thereby enabling a more stable elevating operation.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 휴대폰을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부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벽 사이의 공간으로 휴대폰(200)의 하면을 이동시키게 되면 휴대폰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전술한 중앙 스크류(13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벽 사이에 휴대폰이 거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고 중앙 스크류가 휴대폰의 거치를 간섭하지 않게 된다. 5, the process of fixing the mobile phone to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200 is moved to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support walls disposed on the upper plate, the above-described center screw 130 moves downward due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obile phone. Therefore, there is sufficient space between the support walls for the mobile phone to be mounted, and the center screw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unting of the mobile phone.

한 쌍의 지지벽 후방으로 상부 플레이트 상면에 탄성체(117)를 매설하여, 상기 탄성체가 중앙 스크류를 중심으로 지지벽의 방사상 이동을 탄성적으로 제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 스크류 하부에도 탄성체(135)를 배치하여 스크류의 수직 이동을 탄성적으로 제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지벽의 수평적 탄성 동작과 스크류의 수직적 탄성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휴대폰을 가볍게 중앙 스크류 상면으로 밀어넣는 동작만으로 휴대폰 거치 과정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로 원하는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이 끝나면 간단히 휴대폰을 상방으로 올리는 동작만으로 거치대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o embed the elastic body 117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t the rear of the pair of support walls so that the elastic body resiliently limits the radial movement of the support wall about the center screw.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elastic body 135 in the lower part of the central screw to elastically limi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crew. Thus, by the horizontal elastic operation of the support wall and the vertical elastic operation of the screw, the user completes the cell phone mounting process by pushing the cell phone lightly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screw. In this state, you can shoot the desired picture or video with the camera built in the mobile phone. When shooting is finished, you can simply remove the phone from the cradle by lifting up the phone.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일반 카메라(300)를 거치대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카메라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앙 스크류(130)를 회전시켜 고정돌기(132)가 지지벽 상면의 고정홈(114)에 위치하도록 하여 스크류의 수직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스크류의 나사산 형성 부분은 지지벽 상부로 노출되며, 카메라 하부의 나사 결합부(310)를 스크류와 나사 결합시켜 카메라를 고정할 수 있다. 카메라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이 완료되면 카메라를 거치대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기존의 삼각대에서와 유사하다. Next, a method of fixing the general camera 300 to the crad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order to fix the camera, first, the center screw 130 is rotated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132 is positioned in the fixing groove 11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wall to fix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crew. In this state, the thread-forming portion of the screw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wall, and the camera can be fixed by screwing the screw-engaging portion 310 of the camera under the screw. The process of taking a picture or an image while the camera is fixed and separating the camera from the cradle when the shooting is completed is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tripod.

본 발명의 거치대는 이와 같이 간단한 조작으로 필요에 따라 휴대폰이나 카메라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수평 상태의 조절이 가능하다. 기존의 카메라 전용 삼각대에서는 수동 조절기를 이용하여 한 가지 방식으로만 (예를 들어 롤링에 의한 회전으로) 수평 상태를 조절하였으나 본 발명의 거치대는 에어 실린더의 수직 길이를 조절하여 두 가지 방식으로, 예를 들어 롤링(rolling)과 피칭(pitching)을 병행하여 수평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ix a cellular phone or a camera according to necessity with such a simple operation, and can also adjust the horizontal state. In the conventional camera-dedicated tripod, the horizontal state was adjusted in only one manner (for example, by rotation by rolling) using a manual adjuster, but th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vertical length of the air cylinder in two ways, The horizontal state can be changed by performing rolling and pitching in parallel.

도 7을 참조하면, 에어 실린더는 상부의 피스톤(152)이 하부의 실린더 본체(151)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실린더 본체 내벽(153)에 피스톤의 머리부(154)가 밀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를 누르게 되면 외력에 의해 상부 피스톤이 하부 실린더 본체 내부로 밀려들어가 전체적인 에어 실린더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반대로 상부 플레이트를 하부 플레이트에 대해 당기면 피스톤이 실린더 본체에서 부분적으로 빠져 나와 에어 실린더의 전체 길이는 증가한다. 7, the upper piston 152 is inserted into the lower cylinder body 151, and the head 154 of the pist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ylinder body inner wall 153. When the upper plate is pressed in this state, the upper piston is pushed into the lower cylinder body by the external force, and the overall length of the air cylinder is reduced. Conversely, when the upper plate is pulled against the lower plate, the piston partly escapes from the cylinder body and the overall length of the air cylinder increases.

이와 같은 동작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개의 에어 실린더에서 각각의 에어 실린더의 길이를 달리함으로써 하부 플레이트에 대한 상부 플레이트의 수평 상태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의 롤링과 피칭을 통하여 휴대폰이나 카메라로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할 때 누구나 쉽게 수평 조절이 가능하다.By varying the lengths of the air cylinders in the three air cylinders (as shown in FIG. 3), the horizontal state of the upper plate relative to the lower plate can be changed freely, and the rolling and pitching of the upper plate Anyone can adjust the level easily when taking a picture or video with mobile phone or camera.

에어 실린더의 길이 변화 시 실린더 본체 내부를 채우는 공기의 배출을 위하여 실린더 본체 하부에는 하부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통공(도 7의 1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 내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와 연결되는 공기 유로(1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through hole (122 in FIG. 7)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ylinder body for discharging the air filling the inside of the cylinder body when the length of the air cylinder changes. Also, it is preferable that an air passage 125 connected to the air cylinder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as shown in FIG.

에어 실린더의 길이 변화 시 실린더 본체를 채우고 있는 공기의 흐름은 상기 통공과 공기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하부 플레이트 중앙에 상기 공기 유로의 끝단이 함께 모이는 통공이 있고, 이 통공에 탄성체(142)에 의해 수직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스톱 밸브를 장착할 수 있다. 이 스톱 밸브는 공기 유로를 통한 공기 흐름을 막아 에어 실린더의 피스톤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에 부분적으로 외력을 가하여 각각의 에어 실린더의 수직 길이를 조절한 후 스톱 밸브로 공기 흐름을 차단시키면 (에어 실린더의 수직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상부 플레이트의 수직 위치가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The air flow filling the cylinder body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air flow passage when the length of the air cylinder chang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through hole for collecting the ends of the air flow path together at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and a stop valve capable of changing the vertical position by the elastic body 142 can be mounted in the through hole. This stop valve can control the piston motion of the air cylinder by blocking air flow through the air flow path.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partially to the upper plate to adjust the vertical length of each air cylinder and shutting off the air flow to the stop valve (by restrict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air cylinder),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upper plate is fixed, It is possible.

하부 플레이트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거나 스톱 밸브를 장착하는 대신, 상기 에어 실린더 하부의 통공이 하부 플레이트 하부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한편 실린더 본체와 피스톤의 마찰력에 의해 에어 실린더의 길이가 고정되고 외력을 가할 때만 부분적으로 길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Instead of forming the air passage on the lower plate or attaching the stop valve, the air ho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cylinder is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while the length of the air cylinder is fixed by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ylinder body and the piston, It may be possible to partially adjust the length.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및 카메라 겸용 거치대는 도 1에 도시한 하부 지지부(B)와 착탈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상부의 거치부(A)를 휴대폰이나 기타 휴대용 영상 기기의 주변 장치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the cradle serving as both a mobile phone and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be detachable from the lower support B shown in Fig. 1, so that the upper cradle A can be used as a peripheral device of a mobile phone or other portable video equipment Do.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ed, modified, or improved.

100:거치대 110:상부 플레이트
112a,112b:지지벽 114:고정홈
116:승강 가이드 117:탄성체
120:하부 플레이트 122:통공
125:공기 유로 130:중앙 스크류
132:고정 돌기 135:탄성체
140:스톱 밸브 150:에어 실린더
151:실린더 본체 152:피스톤
200:휴대폰 300:카메라
100: cradle 110: upper plate
112a, 112b: Support wall 114: Fixing groove
116: elevating guide 117: elastic member
120: lower plate 122: through hole
125: air flow passage 130: center screw
132: fixing protrusion 135: elastic body
140: Stop valve 150: Air cylinder
151: cylinder body 152: piston
200: mobile phone 300: camera

Claims (9)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위치가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한 쌍의 지지벽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벽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 위치가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중앙 스크류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는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 pair of support walls mounted on the upper plate and elastically vari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enter screw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an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walls and having a vertically variable elasticity,
And an air cylind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Cell phone camera combined cra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스크류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screw.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벽 상면에는 상기 중앙 스크류의 고정돌기가 안착되어 중앙 스크류의 수직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fixing groove for fix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enter screw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support wall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벽 내부 또는 상부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상기 중앙 스크류의 고정돌기가 수직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는 승강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lifting guide is formed inside the pair of support walls or inside the upper plate so that the fixing projections of the central screw can be guided in a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벽 후방으로 상부 플레이트 상면에 탄성체가 매설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는 중앙 스크류를 중심으로 방사상의 이동이 탄성적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lastic body is embedd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behind the pair of supporting walls, and the elastic body elastically restricts radial movement about the center scr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는 적어도 세 개의 에어 실린더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three air cylinders are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는 상부의 피스톤과 하부의 실린더 본체를 포함하며, 실린더 본체 하부에는 하부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cylinder includes an upper piston and a lower cylinder body, and a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 내부에는 상기 에어 실린더와 연결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ir passage connected to the air cylinder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 중앙에는 상기 공기 유로의 끝단이 함께 모이는 통공이 있고, 이 통공에는 에어 실린더의 피스톤 동작을 제어하는 스톱 밸브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 겸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op valve for controlling the piston movement of the air cylinder is mounted in the through hole. The stopp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iston of the air cylinder is mounted on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KR1020130109405A 2013-09-11 2013-09-11 Supporter for both mobile phone and camera KR1015360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405A KR101536053B1 (en) 2013-09-11 2013-09-11 Supporter for both mobile phone and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405A KR101536053B1 (en) 2013-09-11 2013-09-11 Supporter for both mobile phone and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125A true KR20150030125A (en) 2015-03-19
KR101536053B1 KR101536053B1 (en) 2015-07-13

Family

ID=53024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405A KR101536053B1 (en) 2013-09-11 2013-09-11 Supporter for both mobile phone and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05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537U (en) 2015-10-23 2017-05-08 주식회사 그린전산 Card type second battery
KR20220132918A (en) * 2021-03-24 2022-10-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position of camera of ship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043A (en) * 2005-01-12 2005-09-01 최병기 Mounting device for the plat pannel display
KR20120005428U (en) * 2011-01-18 2012-07-26 신우균 Mobile terminal supporter of automotive steering wheel
KR101299524B1 (en) * 2011-02-23 2013-08-23 박인정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KR20130053778A (en) * 2011-11-16 2013-05-24 김진홍 Apparatus of loading smartphone on a triangle suppor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537U (en) 2015-10-23 2017-05-08 주식회사 그린전산 Card type second battery
KR20220132918A (en) * 2021-03-24 2022-10-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position of camera of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053B1 (en) 201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7905B2 (en) Auxiliary optical device having moveable portions
US10567622B2 (en) Camera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9416914B1 (en) Structure for cradle head
US20210294186A1 (en) Photographic equipment stand
US20130188943A1 (en) Camera Adapter
KR101299524B1 (en)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KR20150120931A (en) Clamping device for hand held remote control photographing apparatus
KR20130053778A (en) Apparatus of loading smartphone on a triangle support
KR101536053B1 (en) Supporter for both mobile phone and camera
US8213788B2 (en) Viewfinder
KR101277595B1 (en) Rail apparatus for shooting having superior convenience in usage and storage
US7969665B2 (en) Lens adjusting device of projector
KR20190040401A (en) Camera rail using linear motion guide
KR101369974B1 (en) Usb real image projector
KR101210883B1 (en) Device for decreasing shaking in shooting using portable imaging taking device
CN212343928U (en) TV mirror device
JP2010177718A (en) Document presentation device
US20120189297A1 (en) Viewfinder
AU2013378722B2 (en) Receptacle for an image capture computing device
US9609186B2 (en) Receptacle for an image capture computing device and a stabilization device
CN203299510U (en) Portable photographing bracket
KR200359895Y1 (en) Coupling device of cellular phone and tripod.
CN212541001U (en) Portable projector with 3D and left-right trapezoid correction function
CN220605947U (en) Auxiliary device for stable support of mobile phone photography
CN217170591U (en) Fast-assembling subassembly and on-vehicle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