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865A - Mixing chamber of indoor and outdoor air for airconditioner - Google Patents

Mixing chamber of indoor and outdoor air for air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865A
KR20150029865A KR20130108805A KR20130108805A KR20150029865A KR 20150029865 A KR20150029865 A KR 20150029865A KR 20130108805 A KR20130108805 A KR 20130108805A KR 20130108805 A KR20130108805 A KR 20130108805A KR 20150029865 A KR20150029865 A KR 20150029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ondenser
air
mixing chambe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8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윈
Priority to KR20130108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9865A/en
Publication of KR20150029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8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32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ing chamber of indoor and outdoor air for an HVAC system which performs temperature control of the air in the room and maximizes an advantage of space and the flow of the air. As the mixing chamber supports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forming a heating and cooling cycle, respectively supporting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mixing of indoor and outdoor air flowing from the lower side in a mixing space therein, and generating cold and warm air in both sides by separating the mixed air to flow with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Thus,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can be effectively arranged in a space while the fluidity of the mixed air is maximized.

Description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MIXING CHAMBER OF INDOOR AND OUTDOOR AIR FOR AIRCONDITION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al / external mixing chamber of an ai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내의 공기의 온도조절의 수행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면서도 공간적인 이점과 유동의 흐름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 outdoor mixing chamber of an air conditioner ventilation apparatus which can efficiently perform temperature control of the indoor air and maximize the spatial advantage and flow efficiency will be.

근래에 건물의 환기장치에 냉난방 장치, 특히 히트펌프를 결합하려는 노력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combine heating and air-conditioning devices, particularly heat pumps, with ventilation devices in buildings.

환기장치란 송풍기를 이용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실내에 유입시키거나 실내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재순환시키는 방식으로 가동된다. 이러한 환기 장치는 실내 온도에 변화를 가능한 주지 않으면서 실내외 공기를 교환하거나 순환시켜 실내 공기의 청정상태를 유지하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공기 교환 속도나 단위시간당 공기 교환량은 실내 온도에 큰 변화를 주지 않는 범위로 제한되어야 한다. The ventilator is oper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taminated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using a blower,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or the indoor air is filtered and recirculated. Such a ventilator is intended to exchange indoor air or indoor air without changing the room temperature to maintain a clean state of the indoor air. Therefore, the air exchange rate or the amount of air exchange per unit time greatly changes the room temperature Should be limited.

특히, 실내난방이 이루어지는 겨울철에는 이러한 기능의 요청은 더욱 증대된다. 그런데, 이러한 환기장치의 경우 구조적 기능적인 한계로 인하여 실내의 온도를 유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07468호 는 흡기덕트 및 배기덕트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들을 제안하기도 한다.Particularly, in winter when indoor heating takes place, the demand for such functions is further increased.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ventilator, there is a limit to maintaining the indoor temperature due to structural functional limitations. In view of this, Korean Utility Model No. 20-0207468 proposes methods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intake duct and the air passing between the exhaust ducts.

이러한 열교환을 위하여 히트펌프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히트펌프는 열을 흡수하는 부분과 방출하는 부분을 동시에 가지며, 열을 증발기에서 흡수하여 응축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order to perform such heat exchange, a heat pump may be used. The heat pump has both a heat absorbing portion and a heat releasing portion, and absorbs heat from the evaporator and transfers the heat to the condens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히트펌프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 냉방시의 냉매의 흐름을 표시한다.Fig. 1 shows the operation of the heat pu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shows the flow of refrigerant during cooling.

종래 기술에 따른 히트펌프의 작동은 냉방시를 기준으로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2)와, 상기 압축기(2)에서 압축된 냉매를 중온 고압의 액체냉매로 응축시키는 실외 열교환기(4)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4)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온 저압의 냉매로 감압시키는 팽창밸브(6)와, 상기 전자팽창밸브(6)에서 감압된 냉매를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로 증발시키는 실내 열교환기(8)와, 상기 압축기(2)에 연결되어 냉/난방시 냉매의 흐름을 절환시켜주는 밸브(9)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operation of the heat pump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ooling in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 1, the heat pump includes a compressor 2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into a gas state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An expansion valve 6 for reducing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4 to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and an expansion valve 6 for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outdoor expansion- An indoor heat exchanger 8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to a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gas state, and a valve 9 connected to the compressor 2 to switch the flow of refrigerant during cooling / heating.

상기와 같은 히트펌프의 냉방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냉매는 압축기(2), 실외 열교환기(4), 전자 팽창밸브(6), 실내 열교환기(8)를 따라 순환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4)와 실내 열교환기(8)는 각각 응축기와 증발기 역할을 수행한다.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along the compressor 2, the outdoor heat exchanger 4,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6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8,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4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8 serve as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respectively.

이러한 히트펌프는 냉매의 유동이 절환되어 난방작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밸브(9)에 의해 냉매 흐름이 절환되어 난방작동되고 냉매는 압축기(2), 실내 열교환기(8), 전자 팽창밸브(6) 및 실외 열교환기(4)를 따라 순환되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8)와 실외 열교환기(4)는 각각 응축기와 증발기 역할을 수행한다.In the heat pump, the flow of the refrigerant may be switched so that the heat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refrigerant flow is switched by the valve 9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compressor 2, the indoor heat exchanger 8,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6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4,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8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4 serve as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respectively.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히트펌프를 이용하는 환기 및 냉난방시스템은 유동의 절환에 따른 혼입과 냉매효율의 저하 문제가 발생하고, 하나의 열교환기를 실외측에 배치하여야하기 때문에 공간과 미관상의 불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in the ventilation and cooling / heating system using the heat pump of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of mixing due to the switching of flow and lowering of the efficiency of the refrigerant, and since one heat exchanger must be arranged on the outdoor side, it has disadvantages of space and aesthetics have.

또한,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가 큰 경우는 냉난방환기장치에서 과도한 전력의 소모가 이루어져 최근 급격한 전력소모에 따른 블랙아웃의 위험성의 한 요인이 되는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is large, excessive power consumption is caused in the air-conditioning ventilator, which is a social problem that is a factor of the risk of blackout due to rapid power consumption in recent year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기와 외기의 혼합성능 및 증발기와 응축기로의 분리 기능을 제공하며 공기의 유동을 개선하고 공간적인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ling / heating ventilation device which can provide a function of mixing indoor and outdoor air and a function of separating into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Gt; mixing chamber. ≪ / RTI >

본 발명은, 냉난방사이클을 이루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지지하는 혼합챔버로서, 상단부의 양측에서 각각 증발기와 응축기를 지지하며, 하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를 유입하여 내부의 혼합공간에서 혼합하고, 혼합공기를 증발기와 응축기로 분리 유동시킴으로써 냉기와 온기를 양측에서 생성하는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를 제공한다. 따라서, 하나의 공간에서 증발기와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면서 혼합공기의 유동성이 극대화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ing chamber for supporting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which form a cooling / heating cycle, wherein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are supported on both sides of an upper end of the evaporator and a condenser, To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so as to generate cold air and warm air at both sides of the indoor / outdoor mixing chamber of the cooling / heating ventilator. Accordingly,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can be effectively disposed in one space, and the fluidity of the mixed air is maximized.

또한, 혼합공간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판부 및 혼합공간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부 및 후면판부는, 정면상 중심측을 기준으로 상단이 양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증발기 및 응축기가 상단측에 밀착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냉기와 온기의 분리 성능이 극대화된다.The front plate portion and the rear plate portion are formed such that an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portion and a rear plate portion are inclined downward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n the front face, Is preferably disposed closely to the upper end. Therefore, the separation performance between the cold air and the warm air is maximized.

또한, 상기 하향경사의 각도는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간적인 이점이 향상된다.Further,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is preferably 45 degrees. Thus, the spatial advantage is improved.

또한, 상측에서 팬부를 지지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냉기를 상측으로 유입시키는 제1개구부와 온기를 상측으로 유입시키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는 상측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의 토출공간과의 분리 및 연통의 기능이 확실해진다.The upper plate may have a plate shape for supporting the fan portion on the upper side, and may include an upper plate portion having a first opening portion for introducing cool air upward and a second opening portion for introducing warm air upward. Therefore, the function of sepa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discharge space becomes clear.

또한, 상기 상측판부의 저부에 돌출되고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 저면에서 각각 증발기 및 응축기의 상단면을 지지하는 상측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 및 응축기가 확실하게 지지될 수 있고, 냉기와 온기의 분리성능이 향상된다.The upper plate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bracket which is formed in a triangular column shape projecting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and arranged forward and backward and supports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respectively. Therefore,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can be reliably supported, and the separation performance between the cool air and the warm air is improved.

또한, 상기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팬부를 지지하도록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보강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신뢰성과 내구성이 향상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reinforcing supporters arranged to cross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having a rod shape to support the fan portion. Thus, operational reliability and durability are improved.

또한, 일측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증발기를 수용하는 제1케이싱, 타측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응축기를 수용하는 제2케이싱, 증발기의 하단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1케이싱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지지부 및 응축기의 하단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케이싱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와의 격리 및 증발기와 응축기의 지지성능이 향상된다.
The first casing is provided with a first casing for accommodating the evaporator therein and a second casing for accommodating the condenser therein. The first casing supports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evaporator and is disposed below the first casing.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condenser and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casing. Therefore, isolation from the outside and the support performance of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re improved.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에 따라, 실내 온도의 상승 및 하강의 속도가 비약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며 소요되는 전력이 현저히 저감될 수 있어 냉난방환기장치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indoor / outdoor mixing chamber of the cooling / heating ventilator, the speed of rising and falling of the room temperature can be drastically increased and the power consumed can be remarkably reduced,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cooling / There is an effect.

또한, 전체적인 모듈의 부피가 작아 공간적인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으면서도 실외기가 생략되므로 이러한 이점은 더욱 극대화되고, 필요에 따라 냉난방의 작동이 편리하고 온도의 조절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volume of the entire module is small, the space utilization can be improved, and the outdoor unit is omitted, so that the advantages can be further maximized,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and heating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and the convenience of temperature control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기술의 히트펌프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혼합챔버가 구비되는 냉난방환기장치를 전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혼합챔버가 구비되는 냉난방환기장치를 후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와 연결되는 유동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에서 유동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댐퍼부에서의 유동을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에서 상측판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heat pump.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ling / heating ventilator provided with a mixing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sid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ling / heating ventilator provided with a mixing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ear sid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separation unit connected to an inner / outer mixing chamber of the cooling / heating venti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flow in the indoor / outdoor mixing chamber of the cooling / heating ventilator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low in a dampe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plate portion in an inner / outer mixing chamber of the cooling / heating venti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 outer mixing chamber of the cooling / heating venti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indoor / outdoor mixing chamber of an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혼합챔버가 적용되는 냉난방환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and 3 are views showing a cooling / heating ventilator to which the mixing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혼합챔버가 결합되는 냉난방환기장치(1000)는, 기본적으로, 내기와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부(4000)와, 내기와 외기가 혼합되는 혼합챔버(3200) 및 상기 혼합챔버(3200)에 설치되어 혼합공기가 분기되어 열교환되는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를 구비하는 혼합부(3000)와, 상기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로 각각 유동된 냉기와 온기를 선택적으로 실내외로 분리하여 토출하는 유동분리부(2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oling / heating ventilator 1000 to which the mixing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basically comprises a suction unit 4000 for sucking indoor and outdoor air, a mixing chamber 3200 for mixing indoor and outdoor air, A mixer 3000 having an evaporator 3110 and a condenser 3120 installed in the evaporator 3110 and a heat exchanger 3120 for exchanging heat with the mixed air; And a flow separator 2000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fluid.

도 2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전면은 실내측을 의미하며, 상기 유동분리부(2000)에 형성되는 토출부의 개구측을 통하여 조화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측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배출구(2600)는 선택되지 않은 냉기 또는 온기를 실외측으로 배출하는데, 이러한 배출구(2600)는 소정의 관로를 통하여 실외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state of FIG. 2, the front means the indoor side. Harmonized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opening of the discharge part formed in the flow separation part 2000. Also, the discharge port 2600 disposed opposite to the opening side discharges the unselected cool air or warm air to the outdoor side, and the discharge port 2600 can be connected to the outdoor through the predetermined pipeline.

상기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기는 소정의 냉매유로를 통하여 압축기와 같은 냉매처리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는 함께 단일의 냉난방사이클을 구성할 수도 있고,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이원사이클을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냉매의 동작과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may be connected to a refrigerant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compressor through a predetermined refrigerant passage. 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may form a single cooling /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a two-cycle cycle may be constructed.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nt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종래기술과 달리 실외측에 열교환기가 배치되지 않고, 증발기(3110) 및 응축기(3120)가 모두 실내측에 구비되어 유동분리부(2000)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실내외측으로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차이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are both provided on the indoor side and the flow is selectively controlled to the indoor / outdoor side through the flow separation unit 2000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that can be made.

여기서, 상기 유동분리부(2000)는 소정의 댐퍼를 통하여 냉기와 온기를 각각 선택적으로 실내외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데, 상기된 '선택적'의 의미는 냉기와 온기의 전체 유동이 실내 또는 실외의 한 방향으로만 유동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혼합되는 양이 존재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실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을 정도의 유량이 공급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 the flow separating unit 2000 can selectively flow cool air and warm air through the predetermined damper, respectively. The 'selective' means that the total flow of cool air and warm air is transmitted to one direction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a case in which a flow amount enough to control the indoor temperature is supplied even if some mixed amount exists.

상기된 유동분리부(2000), 혼합부(3000) 및 흡입부(4000)는 상호간에 소정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연통되되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부터 유동분리부(2000), 혼합부(3000) 및 흡입부(400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배치관계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low separation part 2000, the mixing part 3000, and the suction part 4000 may b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flow path therebetween, and may be spati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Preferably, The mixing unit 3000, and the suction unit 4000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inlet side to the outlet side.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is arrangement relationship can be made selectively.

상기 유동분리부(2000)와 혼합부(3000)는 소정의 유통로가 형성되는 상측판부(1300)에 의하여 구획되고, 혼합부(3000)와 흡입부(4000)는 중간판부(1200)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상측판부(1300)는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를 각각 유동한 공기가 구분되어 유동되기 때문에 별도의 연통로를 구비하고, 유동분리부(2000)와의 결합관계를 가지게 되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측판부(1300)는 후술될 혼합챔버(3200)를 이루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mixing section 3000 and the mixing section 3000 are partitioned by an upper plate section 1300 in which a predetermined flow passage is formed and the mixing section 3000 and the suction section 4000 are separated by an intermediate plate section 1200 Can be partitioned. Sinc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flows separately from the upper plate 1300, the upper plate 1300 has a separate communication path and has a coupling relation with the flow separator 2000. Will be described later. Here, the upper plate 1300 can be understood as a constitution of the mixing chamber 32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유동분리부(2000), 혼합부(3000) 및 흡입부(4000)는 하나의 메인프레임(1100)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상기 메인프레임(1100)은 각각의 부재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100 includes a bracket for supporting each member and a main body 1100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1100. The main body 1100 includes a main body 1100, And may include a housing having an appearance.

흡입부(40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실외측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외기흡입구(4110)와 실내측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내기흡입구(참조번호 미표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구측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소정의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상기 외기흡입구(4110)측의 흡입부(4000) 내부에는 필터부(4100)가 구비되는 모습이 도시된다.The suction unit 4000 may include an outside air inlet 4110 capable of sucking air on the outdoor side and an indoor air inlet (not shown) capable of sucking air on the inside of the room as described above, A predetermined filter for filtering the air to be sucked may be provided. In the example of FIG. 2, a filter unit 4100 is provided in the suction unit 4000 on the side of the outside air suction port 4110.

상기 유동분리부(2000)는 좌우방향으로 분할되는 세 개의 챔버로 구분될 수 있는데, 증발기(3110)부터의 냉기를 유입하는 제1챔버(2100)와, 응축기(3120)로부터의 온기를 유입하는 제2챔버(2200)와, 상기 제1챔버(2100) 및 제2챔버(2200)로부터 실내 및 실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온기 및 냉기를 유동시키는 댐퍼부(2500)를 구비하는 토출부로 이루어진다.The flow separation unit 2000 may be divided into three chambers divi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ncludes a first chamber 2100 through which cool air from the evaporator 3110 flows and a second chamber 2100 through which the warm air from the condenser 3120 flows And a discharge unit having a second chamber 2200 and a damper unit 2500 for selectively flowing warm and cool air from the first chamber 2100 and the second chamber 2200 to the indoor and outdoor sides.

상기 토출부는 상측과 하측의 공간을 구획하는 소정의 격벽부(2310)를 통하여 상하의 공간인 상측토출부(2300)와 하측토출부(2400)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토출부의 후방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구(260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ion can be divided into an upper discharge portion 2300 and a lower discharge portion 2400 which are upper and lower spaces through a predetermined partition wall 2310 partitioning the upper and lower spaces, As shown in FIG.

상기 상측토출부(2300)와 하측토출부(2400)는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댐퍼부(2500)에 의하여 냉기 및 온기의 선택적인 실내측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discharge portion 2300 and the lower discharge portion 2400 may be formed as a single space. Even in this case, the damper portion 2500 can selectively introduce cold air and warm air into the room.

다만, 공기의 온도에 따른 비중의 차이를 고려하여 증발기(3110) 측으로부터 열교환된 냉기가 제1챔버(2100)로 유동되면 토출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측토출부(2400)로 유동되고, 응축기(3120) 측으로부터 열교환된 온기가 제2챔버(2200)로 유동되면 토출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측토출부(2300)로 유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air, when cold air heat-exchanged from the evaporator 3110 flows into the first chamber 2100, the refrigerant flows to the lower discharge portion 2400 provided below the discharge portion, 3120) flows to the upper discharge portion 230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ortion when the warmed heat exchanged from the second chamber 2220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2200.

상기 제1챔버(2100) 및 제2챔버(2200)는 각각 유동을 혼합부(3000)로부터 유입하여 소정의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부로 유동시키기 위하여 각각 팬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토출부에 관한 설명에서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Each of the first chamber 2100 and the second chamber 2200 may include a fan unit for flowing a flow from the mixing unit 3000 to the discharge unit through a predetermined discharge po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혼합챔버가 적용되는 냉난방환기장치의 유동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low separation unit of the cooling / heating ventilator to which the mixing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동분리부(2000)는 일측의 제1챔버(2100)와, 타측의 제2챔버(2200)와, 상기 제1챔버(2100) 및 제2챔버(2200)로부터 냉기 및 온기를 유입하여 분리배출하는 토출부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flow separation unit 2000 includes the first chamber 2100, the second chamber 2200, and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2100 and 2200, And a discharging portion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이때, 상기 제1챔버(2100)와 제2챔버(2200)는 각각 제1팬부(2110)와 제2팬부(2210)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팬부(2110, 2210)는 다양한 방식의 유동 형성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The first chamber 2100 and the second chamber 2200 may include a first fan portion 2110 and a second fan portion 2210. The fan portions 2110 and 221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of flow forming Means can be applied.

상기 팬부는 하측의 혼합부(3000)로부터 열교환된 공기를 유입하고 내측 즉, 토출부 측으로 토출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제2팬부(2210)는 토출부측을 지향하여 형성되는 제2토출구(2211)와, 응축기(3120)측을 지향하여 형성되는 제2유입구(22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2팬부(2210)의 구성은 제1팬부(2110)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second fan unit 2210 includes a second discharge port 2211 and a second discharge port 2211. The second discharge port 2211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2211 are connected to the second fan unit 2210, , And a second inlet (2212) formed toward the condenser (3120).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fan unit 2210 can be applied to the first fan unit 2110,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토출구는 토출부를 지향하여 형성되고, 이러한 토출부는 단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층인 상측토출부(2300)와 하측토출부(2400)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discharge port is formed so as to be directed to the discharging portion. The discharg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single unit, or may be formed of the upper discharging portion 2300 and the lower discharging portion 2400, which are two layers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양측에 형성되는 토출구로부터의 유동을 각각 제어하기 위하여 토출부 내부에는 댐퍼부(250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댐퍼부(2500)는 후술될 바와 같이 소정의 구동부에 의하여 블레이드를 동작함으로써 냉기와 온기를 각각 제어하게 된다.In order to control the flow from the discharge ports formed on both sides, a damper unit 2500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unit. The damper unit 2500 operates the blade by a predetermined driving unit as will be described later,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의 양단부는 토출구측에 인접되거나 밀착되어 전후방측으로 선택적으로 유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작동되고, 예를 들어 실내측으로 냉기를 유입하는 경우 배출구(2600)를 통하여 실외로 온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cool air flows into the indoor space, both ends of the blades may be adjacent to or close to the discharge port so that the outdoor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600 .

상기와 같이 토출부가 격벽부(2310)에 의하여 상측토출부(2300)와 하측토출부(2400)로 분리되고, 제1챔버(2100)의 토출구는 하측토출부(2400)와 연통되고, 제2챔버(2200)의 토출구는 상측토출부(2300)와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토출부(2300)와 하측토출부(2400)는 각각 별도의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호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ion is separated into the upper discharge portion 2300 and the lower discharge portion 2400 by the partition wall portion 2310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first chamber 2100 is communicated with the lower discharge portion 2400, The discharge port of the chamber 2200 can communicate with the upper discharge portion 2300. In this case, the upper discharge portion 2300 and the lower discharge portion 2400 may have separate blades, and the plurality of blades may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챔버가 구비되는 냉난방환기장치의 전체적인 유동을 도시한다.FIG. 5 shows the overall flow of a cooling / heating ventilator equipped with a mixing cha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된 구성을 기초로 설명하면, 흡입부(4000)의 전후방측에 형성되는 유입구로부터 외기(a)와 내기(b)가 흡입되어 상측으로 유동되면, 중간판부(1200)의 소정의 개구를 통하여 혼합챔버(3200)로 유동되어 혼합이 이루어진다.When the outside air a and the inside air b are sucked and flow upward from the inlet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uction unit 4000, And flows into the mixing chamber 3200 to be mixed.

상기 혼합챔버(3200)는 상방의 양측으로 소정의 유로가 형성되고 각각 증발기(3110) 및 응축기(3120)와 연통된다. 상기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는 냉매가 유동되는 냉난방사이클의 일부를 이루며, 각각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통하여 혼합공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mixing chamber 3200 has a predetermined flow path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communicates with 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respectively. 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form a part of a cooling / heating cycle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heat exchange with the mixed air is performed through an area in contact with the air.

증발기(3110)측을 유동한 증발기측유동(c)은 제1챔버(2100)와 혼합챔버(3200)를 제1유입구(참조번호미표시)를 통하여 제1챔버(2100) 내부 즉, 제1팬부(2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1챔버(2100)와 토출부 즉, 제1챔버(2100)와 하측토출부(2400)를 연통하는 제1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부로 유동시키게 된다.The evaporator-side flow c that has flowed on the evaporator 3110 side flows through the first chamber 2100 and the mixing chamber 3200 into the first chamber 2100 through the first inlet (not shown) And flows into the discharge chamber through the first chamber 2100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hamber 2100 and the lower discharge port 2400. [

댐퍼부(2500)가 실내측으로 냉기를 선택하도록 작동된 경우 냉기가 실내측유동(g)으로 형성되어 실내로 유입된다.When the damper unit 2500 is operated to select the cool air toward the indoor side, the cool air is formed into the indoor side flow g and flows into the room.

응축기(3120)측을 유동한 응축기측유동(d)은 제2챔버(2200)와 혼합챔버(3200)를 제2유입구(2212)를 통하여 제2챔버(2200)의 내부 즉, 제2팬부(22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2챔버(2200)와 토출부 즉, 제2챔버(2200)와 상측토출부(2300)를 연통하는 제2토출구(2211)를 통하여 토출부로 유동시키게 된다.The condenser-side flow d flowing in the condenser 3120 side causes the second chamber 2200 and the mixing chamber 320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inlet 2212 in the interior of the second chamber 2200, 2210 and flows into the discharge chamber through the second chamber 2200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2211 that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chamber, that is, the second chamber 2200 and the upper discharge port 2300.

상기와 같이 냉기가 선택되는 경우 온기는 실외측유동(h)으로 형성되어 배출구(2600)로 배출된다.When the cold air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the warm air is formed in the outdoor side flow h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2600.

도 6은 상기된 냉난방환기장치에서 댐퍼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amper unit in the cooling / heating ventilator described above.

도 5의 예시와 같이 냉기가 선택되는 경우, 제1챔버(2100)로 유입된 증발기측유동(c)은 제1토출구(2111)를 통하여 토출부로 유입되고 댐퍼부(2500)의 배치상태에 따라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유동이 진행에 의하여 전방의 실내측으로 안내된다.5, the evaporator-side flow c flowing into the first chamber 2100 flows into the discharge portion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2111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ion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damper portion 2500 On the basis of the city condition, the flow from the left side is guided to the front interior side by the progress.

또한, 제2챔버(2200)로 유입된 응축기측유동(d)은 제2토출구(2211)를 통하여 토출부로 유입되고 댐퍼부(2500)에 의하여 우측에서 유동이 진행됨에 따라 후방측의 배출구(2600)측으로 안내된다.The flow d on the condenser side flowing into the second chamber 2200 flows into the discharge portion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2211 and flows toward the discharge port 2600 on the rear side as the flow proceeds from the right side by the damper portion 2500 .

이러한 배치상태는 토출구가 단일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This arrangement state can also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s a single space or divided into two or more spaces.

또한, 상기 댐퍼부(2500)의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하여 냉기와 온기가 각각 선택될 수 있는데, 상기 블레이드(2511)의 크기 및 형상은 토출구의 크기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Cooling and warming can be selected by the rotation of the blades of the damper part 2500. The size and shape of the blade 2511 can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즉, 최소한 상기 블레이드는 제1토출구(2111)의 후방측 단부에 일단부가 배치되는 경우 제2토출구(2211)의 전방측 단부보다 같거나 그보다 더 전방측으로 타단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t least one of the blades is preferably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2211, which is the same as or more forward tha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2211 when one end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discharge port 2111.

한편,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동작에 따른 유동의 바람직하지 않은 혼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들이 배치되는 토출부의 측벽 즉, 제1챔버(2100)와 제2챔버(2200)의 내측벽은 블레이드의 외곽의 회전에 대응되는 원의 일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공기의 유동의 경우 일부가 혼합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반드시 실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In order to control the undesirable mixing of the flow due to the rotation of the blades, the sidewalls of the discharge portion in which the discharge ports are disposed, i.e.,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hamber 2100 and the second chamber 2200, As shown in FIG.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case of the flow of air, it is not necessary to necessarily perform sealing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some may be mix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의 상측판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plate portion of the inner / outer mixing chamber of the cooling / heating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혼합부(3000)와 유동분리부(2000)를 구획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상측판부(1300)는 냉기와 온기를 분리하여 각각 제1챔버(2100)와 제2챔버(2200)로 유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연통구를 구비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late portion 1300 arranged to partition the mixing portion 3000 and the flow separation portion 2000 separates the cool air and the warm air and flows into the first chamber 2100 and the second chamber 2200, respectively,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hole is provided.

이를 위하여, 상측판부(1300)는 대략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1챔버(2100)에 대응되는 부위, 더욱 정확하게는 제1팬부(2110)의 유입구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제1개구부(1301)가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제2팬부(2210)의 유입구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제2개구부(1302)가 형성된다.To this end, the upper plate portion 1300 has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a first opening portion 1301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amber 2100, more precisely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an inlet of the first pan portion 2110 And a second opening 1302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second pan portion 2210. [

이러한 개구부는 내기와 외기가 혼합된 상태로 혼합챔버(3200)로 유입되어 분기되고 각각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를 통과한 냉기와 온기를 분리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se openings flow into the mixing chamber 3200 in a state where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are mixed and function to separate the cool air and the warm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상측판부(1300)는 상면의 양측에서 각각 팬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로서 기능하는데, 이러한 경우 판 형상 자체의 강성으로서는 팬부를 지지하는 데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특히, 고용량의 팬을 팬부의 구성으로서 채택하는 경우 크기와 하중을 지지하는데 내구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1300 functions as a supporting por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fan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In this case, the rigidity of the plate shape itself may cause a problem in supporting the fan portion. Particularly, when a high-capacity fan is adopted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an portion, a problem of durability may arise in supporting the size and the load.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측에는 보강부(1305)가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it is preferable that a reinforcing portion 1305 is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opening side.

상기 보강부(1305)는 소정의 강봉 내지는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개구부(1301)와 제2개구부(1302)측을 가로지르도록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reinforcing portion 1305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teel rod or hollow pillar shape and is preferably arranged in plural so as to cross the first opening portion 1301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1302 s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한편, 상기 상측판부(1300)는 공간적인 효율성의 향상을 위하여 댐퍼부(2500)를 이루는 부재의 일부가 관통되어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측판부(1300)의 중심측에는 댐퍼부(2500)의 일부가 관통 배치될 수 있는 제3개구부(1303)가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1300 preferab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damper unit 2500 can be inserted through the upper plate 1300 to improve spatial efficiency. To this end, a third opening 1303, through which a part of the damper unit 2500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center side of the upper plate part 1300.

상기 제3개구부(1303)는 후술될 바와 같이 댐퍼부(2500)의 구동부를 내주측에 수용하게 된다.The third opening 1303 receives the driving part of the damper part 2500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as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상측판부(1300)의 하측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증발기(3110)가 응축기(3120)가 배치되는데, 각각의 하측은 혼합챔버(32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상측판부(1300)의 저부에서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의 상측을 지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이 더 배치될 수 있다.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are disposed below the upper plate portion 1300. The lower portion of the condenser 3120 can be supported by the mixing chamber 3200, An additional configura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evaporator 3110 and the top of the condenser 3120 at the bottom of the condenser 3120 can be further disposed.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는 하단측이 상호 최대 이격되고, 상단측이 상호 인접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양면에서 상단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판부(1300)의 저부에서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는 상측브라켓(1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Since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maximum distance and the upper ends of 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n upper bracket 1310 protruding in a triangular prism shape.

상기 상측브라켓(1310)은 상측판부(1300)의 저면에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삼각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3개구부(1303)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댐퍼부(250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으로서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The upper bracket 1310 is formed in a triangular prism shape that is disposed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300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and a portion of the damper portion 2500 disposed through the third opening portion 1303 can be accommodated The function as the accommodation space can also be performed.

도 8은 본 발명의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 outer mixing chamber of the cooling / heating venti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혼합부(3000)는 대략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는데, 저부에 배치되는 혼합챔버(3200)와, 일측에서 증발기(3110)가 배치되고 증발기측유동(c)이 이루어지는 증발기유동부와, 타측에서 응축기(3120)가 배치되고 응축기측유동(d)이 이루어지는 응축기유동부로 구획될 수 있는 것이다.The mixing section 3000 can be divided into three spaces. The mixing section 3000 includes a mixing chamber 3200 disposed at the bottom, an evaporator flow section in which the evaporator 3110 is disposed at one side and the evaporator-side flow (c) And the condenser 312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and can be partitioned into a condenser flow portion in which the condenser side flow d is formed.

여기서, 혼합챔버(3200)는 정확하게는 내기와 외기가 하측으로부터 유입되어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를 유동하기 전에 혼합공간을 형성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보다 넓게 증발기(3110) 및 응축기(3120)를 거친 유동이 상측판부(1300)를 통하여 상측으로 안내되기 전까지 배치되는 혼합부(3000)의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Here, the mixing chamber 3200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forming a mixing space before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flow in from the lower side to flow through 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3110 and the condenser 3120 are arranged to be guided upward through the upper plate portion 1300. As shown in Fig.

상기 혼합챔버(3200)는 전방측에서 바라볼 때 대략 이등변삼각형 내지는 이등변삼각형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후방에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혼합챔버(3200)는 전면판부(3211)와 후면판부(321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면판부(3211)와 후면판부(3212)는 상단측에서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를 지지한다.The mixing chamber 3200 may have a shape that forms a part of a substantially isosceles triangle or an isosceles triangle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and preferably has a shape symmetrical to the front and rear sides. The mixing chamber 3200 may include a front plate portion 3211 and a rear plate portion 3212. The front plate portion 3211 and the rear plate portion 3212 may include an evaporator 3110 and a condenser 3120 ).

상기 전면판부(3211)와 후면판부(3212)는 사이의 공간에 내기와 외기가 혼합될 수 있는 혼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e front plate portion 3211 and the rear plate portion 3212 form a mixing space in which the inside air and the outside air can be mixed.

상기 혼합챔버(3200)의 양측은 상기한 바와 같이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가 상호 대향되게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는데, 이러한 경사 각도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최적의 공기유동성과 공간활용성을 고려하여 45도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both sides of the mixing chamber 3200 are disposed such that 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are opposed to each other. Such an angle of inclination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but the optimum air flowability and space utilization Is preferably formed at an angle of 45 degrees.

상기 혼합챔버(3200)의 양측으로는 제1케이싱(3310)과 제2케이싱(3410)이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측에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를 수용한 모습으로 배치된다.The first casing 3310 and the second casing 3410 ar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mixing chamber 3200 so as to accommodate 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while forming an outer appearance.

상기 제1케이싱(3310)과 제2케이싱(3410)의 하단측으로 연장되거나 결합된 형태로서 제1지지부(3320)와 제2지지부(342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지지부(3320)와 제2지지부(3420)는 내주측으로 하향경사지고 각각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의 하단측을 지지할 수 있는 제1지지면부(3321)와 제2지지면부(3421)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portion 332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42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casing 3310 and the second casing 3410. The first support portion 3320 The second support portion 3420 may be formed with a first support surface portion 3321 and a second support surface portion 3421 which are inclined downwar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and capable of supporting the evaporator 3110 and the lower end side of the condenser 3120, .

상기 제1지지면부(3321)와 제2지지면부(3421)는 제1지지부(3320)와 제2지지부(3420)로부터 내주측으로 절곡된 판재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케이싱(3310) 및 제2케이싱(3410)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절곡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부(3321)와 제2지지면부(3421)의 각도는 혼합챔버(3200)의 상단면의 각도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데,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가 실질적으로 정면상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45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upport surface portion 3321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portion 3421 may be formed by a plate material method bent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332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420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And from the second casing 3410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upport surface portion 3321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portion 3421 may correspond to the angle of the top surface of the mixing chamber 3200 so that 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In the case of a rectangular shape, it is preferably formed at an angle of 45 degrees.

이와 같은 혼합부(3000)의 구조에 따라 증발기(3110)의 저면은 제1지지면부(3321)에서 지지하고, 일측은 혼합챔버(3200)의 상단면측에서 지지하며, 상면은 상측브라켓(1310)의 저부 일측에서 지지가 이루어지므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evaporator 3110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portion 3321 and one side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mixing chamber 3200 and the upper surface is supported by the upper side bracket 1310, So that a firm fixation can be achieved.

마찬가지로, 응축기(3120)의 저면은 제2지지면부(3421)에서 지지하고, 일측이 혼합챔버(3200)의 상단면측에서 지지되며, 상면은 상측브라켓(1310)의 저부 타측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er 3120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surface portion 3421 and one side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mixing chamber 3200 an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racket 1310.

상기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는 각각 냉기와 온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열교환하는 열교환부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는 냉매가 순환되는 냉난방사이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can be formed as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to form cold air and warm air. 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form a part of a cooling / can do.

이 경우,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가 단일의 압축기와 연결되어 단일의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냉매를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로부터 응축기(3120)로 유동된 냉매가 중온 고압으로 응축된 상태로 유동되고 팽창밸브를 거쳐 감압된 냉매가 증발기(3110)에서 증발되면서 혼합공기와 열교환하여 냉기를 발생하고,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한 혼합공기는 온기를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may be connected to a single compressor to form a single cycle. For exampl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mpressor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to a high-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at a middle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and the refrigerant decompressed through the expansion valve is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3110, and the refrigerant is heat-exchanged with the mixed air, and the mixed air that is heat-exchanged with the condenser can generate warmth.

그런데, 이러한 단일의 사이클로 구성되는 경우 냉매의 가동시의 효율이 저하되어 원하는 온도에 도달하는데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발생할 여지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서는 상기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가 각각 별도의 사이클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single cycl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fficiency at the time of operating the refrigerant is lowered and it takes a long time to reach the desired temperatu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addition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denser 3120 are provided in separate cycles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의 냉난방사이클은 혼합공기가 제1챔버(2100)로 유동되는 경로상에 배치되어 열교환하는 증발기(3110)와, 상기 증발기(3110)와 연통되고 냉매가 유동하는 소정의 배관인 유로가 형성되는 제1사이클과, 상기 제1사이클에 소정의 열교환부를 매개로 열전달하는 제2사이클과, 상기 제2사이클의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혼합챔버(3200)의 혼합공기가 제2챔버(2200)로 유동되는 경로상에 배치되어 열교환하는 응축기(3120)로 이루어진다.The cooling / heating cycle of the indoor / outdoor mixing chamber of the cooling / heating venti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vaporator 3110 disposed on a path where the mixed air flows to the first chamber 2100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with the evaporator 3110, A second cycle for transferring heat to the first cycle through a predetermined heat exchange unit, and a second cycle for forming a part of the flow path of the second cycle, And a condenser 3120 arranged on a path through which the mixed air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2200 to perform heat exchange.

상기 제1사이클과 제2사이클은 각각 독립적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사이클로서, 후술할 바와 같이 냉난방환기장치(1000)의 동작시 제2사이클에서 흡수되는 혼합공기의 열을 열교환부를 통하여 제1사이클로 전달하고, 상기 제1사이클에서 가온되는 냉매의 열을 증발기(3110)를 통하여 혼합공기에 전달하는 2단의 사이클로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later, the heat of the mixed air absorbed in the second cycl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and heating ventilator 1000 is transferred to the first cycle through the heat exchanger as described later, in the first cycle and the second cycle, And transferring the heat of the refrigerant heated in the first cycle to the mixed air through the evaporator 3110. [

여기서, 제1사이클 및 제2사이클은 각각 독립적인 유동이 형성되는 모듈화된 시스템으로서, 제1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는 제1냉매로, 제2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는 제2냉매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제1사이클 및 제2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는 소정의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압축, 팽창 및 열교환을 하면서 상변화하면서 소정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사이클을 히트펌프로서 기능하도록 한다.Here, the first cycle and the second cycle are each a modular system in which independent flows are formed,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first cycle is defined as the first refrigerant, and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second cycle is defined as the second refrigerant .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first cycle and the second cycle functions as a heat pump in a cycle in which a predetermined flow is performed while compressing, expanding,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while moving along a predetermined flow path.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제1사이클이 냉방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제2사이클이 제1사이클의 열을 흡수하는 저온화사이클로서 기능을 수행하는데, 반대로 제2사이클이 난방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제1사이클은 열을 전달하는 가온사이클로서 기능하게 된다.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ycle functions as a cooling function, and the second cycle functions as a low-temperature cycle for absorbing the heat of the first cycle. Conversely, in the second cycle, One cycle functions as a heating cycle for transferring heat.

즉,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는 제1사이클과 제2사이클의 이원화된 사이클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면서, 간단한 방식으로서 냉난방의 효율이 극대화된 시스템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사이클과 제2사이클은 각각 압축기와 팽창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That is, in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 cycle of the first cycle and the second cycle operates independently, thereby providing a system in which the efficiency of cooling and heating is maximized as a simple method. The first cycle and the second cycle may each include a compressor and an expansion valve.

따라서, 종래의 기술의 단일의 사이클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달리 외부 기온이 높거나 낮은 경우에도 냉난방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환기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경우 하나의 히트펌프로 구성되어 있고 공기의 순환 및 열교환기의 주변환경에 따라 난방의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Therefore, unlike the case of a single cycle of the related a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of cooling and heating is further improved even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high or low. Particularly,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ventilator, the problem that the heating efficiency is rapidly lowered due to the air circul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heat exchanger is solved.

상기 열교환부는 냉매 간의 열전달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판형 열교환기(plate type heat exchanger)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증발기(3110)와 응축기(3120)는 건식 증발기, 만액식 증발기, 반만액식 증발기, 냉매액 강제순환식 증발기 등 다양한 형식의 열교환 배관을 의미하여 본 발명의 설명의 유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heat exchanger is preferably a plate type heat exchanger in consideration of heat transfer efficiency between refrigera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vaporator 3110 and the condenser 3120 mean various types of heat exchange pipes such as a dry evaporator, a monolithic evaporator, a half-liquid evaporator, a refrigerant liquid forced circulation evaporator, and the like, .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에 따라, 실내 온도의 상승 및 하강의 속도가 비약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며 소요되는 전력이 현저히 저감될 수 있어 냉난방환기장치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indoor / outdoor mixing chamber of the cooling / heating ventilator, the speed of rising and falling of the room temperature can be drastically increased and the power consumed can be remarkably reduced,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cooling / There is an effect.

또한, 전체적인 모듈의 부피가 작아 공간적인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으면서도 실외기가 생략되므로 이러한 이점은 더욱 극대화되고, 필요에 따라 냉난방의 작동이 편리하고 온도의 조절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olume of the entire module is small, the space utilization can be improved, and the outdoor unit is omitted, so that the advantages can be further maximized,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and heating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and the convenience of temperature control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 of the following claims.

1000...냉난방환기장치 1200...중간판부
1300...상측판부 1301...제1개구부
1302...제2개구부 1303...제3개구부
1310...상측브라켓 2000...유동분리부
2100...제1챔버 2110...제1팬부
2200...제2챔버 2210...제2팬부
2211...제2토출구 2212...제2유입구
2300...상측토출부 2400...하측토출부
2500...댐퍼부 2511...블레이드
2520...샤프트 2530...구동부
2600...배출구 3000...혼합부
3110...증발기 3120...응축기
3200...혼합챔버 3211...전면판부
3212...후면판부 3310...제1케이싱
3320...제1지지부 3321...제1지지면부
3410...제2케이싱 3420...제2지지부
3421...제2지지면부 4000...흡입부
4100...필터부 4110...외기흡입구
1000 ... < / RTI > Heating / cooling ventilator 1200 ... middle plate
1300 ... upper plate portion 1301 ... first opening
1302 ... second opening portion 1303 ... third opening portion
1310 ... upper bracket 2000 ... flow separating portion
2100 ... first chamber 2110 ... first pan portion
2200 ... second chamber 2210 ... second pan portion
2211 ... second outlet 2212 ... second inlet
2300 ... upper discharge portion 2400 ... lower discharge portion
2500 ... damper portion 2511 ... blade
2520 ... shaft 2530 ... drive
2600 ... Outlet 3000 ... Mixed part
3110 ... evaporator 3120 ... condenser
3200 ... mixing chamber 3211 ... front plate
3212 ... rear plate portion 3310 ... first casing
3320 ... first support portion 3321 ... first support surface portion
3410 ... second casing 3420 ... second supporting portion
3421 ... second supporting surface portion 4000 ... suction portion
4100 ... filter portion 4110 ... outside air inlet

Claims (7)

냉난방사이클을 이루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지지하는 혼합챔버로서,
상단부의 양측에서 각각 증발기와 응축기를 지지하며, 하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를 유입하여 내부의 혼합공간에서 혼합하고, 혼합공기를 증발기와 응축기로 분리 유동시킴으로써 냉기와 온기를 양측에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
A mixing chamber for supporting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re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and the indoor air and th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lower side are introduced and mixed in the mixing space inside, and the mixed air is separated and flowed to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Of the indoor / outdoor mixing chamber of the cooling / heating ventilator.
제1항에 있어서,
혼합공간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판부; 및
혼합공간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부 및 후면판부는, 정면상 중심측을 기준으로 상단이 양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증발기 및 응축기가 상단측에 밀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ront plate part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mixing space; And
And a rear plate part forming a rear surface of the mixing space,
Wherein the front plate portion and the rear plate portion are formed such that an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portion and a rear plate portion are inclined downward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n the front face and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re closely arranged on the upper 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경사의 각도는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ngle of downward inclination is 45 degrees. ≪ RTI ID = 0.0 > 11. < / RTI >
제2항에 있어서,
상측에서 팬부를 지지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냉기를 상측으로 유입시키는 제1개구부와 온기를 상측으로 유입시키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는 상측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n upper plate portion having a plate shape for supporting the fan portion on the upper side and having a first opening portion for introducing cool air upward and a second opening portion for introducing warm air upward, Mixing cha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판부의 저부에 돌출되고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 저면에서 각각 증발기 및 응축기의 상단면을 지지하는 상측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n upper bracket that is formed in a triangular column shape and protrudes from a bottom portion of the upper plate portion and is arranged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supports the upper end surfaces of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t both side bottom surfaces.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팬부를 지지하도록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보강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supporters arranged to cross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having a rod shape to support the fan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일측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증발기를 수용하는 제1케이싱;
타측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응축기를 수용하는 제2케이싱;
증발기의 하단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1케이싱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지지부; 및
응축기의 하단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케이싱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환기장치의 내외기 혼합챔버.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casing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accommodating an evaporator therein;
A second casing forming the other outer surface and accommodating the condenser therein;
A first support portion supporting a lower end surface of the evaporator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casing; And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condenser and disposed below the second casing. ≪ Desc / Clms Page number 13 >
KR20130108805A 2013-09-11 2013-09-11 Mixing chamber of indoor and outdoor air for airconditioner KR201500298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805A KR20150029865A (en) 2013-09-11 2013-09-11 Mixing chamber of indoor and outdoor air for air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805A KR20150029865A (en) 2013-09-11 2013-09-11 Mixing chamber of indoor and outdoor air for air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865A true KR20150029865A (en) 2015-03-19

Family

ID=5302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8805A KR20150029865A (en) 2013-09-11 2013-09-11 Mixing chamber of indoor and outdoor air for air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986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0446A (en) * 2017-11-15 2018-05-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 kind of fresh air dehumidif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0446A (en) * 2017-11-15 2018-05-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 kind of fresh air dehumidif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770B1 (en) Humidity controller
US8276892B2 (en) Humidity controller
EP1628081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20100218534A1 (en) Air conditioner
US7895856B2 (en) Humidity controller
EP2169324A1 (en) Humidity adjusting device
CN209101416U (en) Air-conditioning
US7318320B2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KR20150029859A (en) Airconditioner having mixing space of indoor and outdoor air
KR101260900B1 (en) Ventilating system having heat pump with two cycles capable of mixing room air and ouside air
KR20150029865A (en) Mixing chamber of indoor and outdoor air for airconditioner
CN1922451B (en) Humidity controller
CN215808848U (en)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CN215570832U (en) Indoor air conditioner
KR20090008542A (en) Air conditioner having a noise reduction structure
CN203375559U (en) Heat-pump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20150029862A (en) Aeraulic isolation apparatus for airconditioner
KR101260895B1 (en) Heat recovering ventilation system for cooling and heating
CN219494279U (en) External circulation unit of direct expansion type cold and hot double-supply heat pump air conditioner
CN213362683U (en) Air conditioner
CN213542655U (en) Indoor air conditioner
CN215929820U (en) Indoor air conditioner
CN117561407B (en) Ventilation device
CN211177151U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CN210688590U (en) New f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