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092A - Portable sterilization apparatus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 Google Patents

Portable sterilization apparatus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092A
KR20150029092A KR20130107796A KR20130107796A KR20150029092A KR 20150029092 A KR20150029092 A KR 20150029092A KR 20130107796 A KR20130107796 A KR 20130107796A KR 20130107796 A KR20130107796 A KR 20130107796A KR 20150029092 A KR20150029092 A KR 20150029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tainer
sterilizing
drying fan
body por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77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16878B1 (en
Inventor
소병일
Original Assignee
소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병일 filed Critical 소병일
Priority to KR1020130107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878B1/en
Publication of KR20150029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0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8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sterilizer capable of maximizing sterilization effects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drying and sterilization effects on food containers and a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The portable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unit which can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a food container; a drying fan which is mounted in the body unit and dries moisture inside the food container; a sterilization unit which is mounted inside the body unit and irradiates inside the food container with ultraviolet rays; and a fixing unit which is mounted in the lower end of the body unit and prevents the body un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ood container.

Description

휴대용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PORTABLE STERILIZATION APPARATUS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and a sterilizing method using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본 발명은 휴대용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가지고 다니면서 컵이나 텀블러 등의 식품용기에 결합하여 상기 식품용기를 살균하기 위한 휴대용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and a steriliz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for sterilizing a food container by being connected to a food container such as a cup or a tumbler while carrying a user, and a sterilizing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회사나 음식점, 커피전문점 및 학교 등의 공공장소에서 여러 사람들이 함께 사용하는 식품 용기는 자외선 살균장치를 사용하여 한꺼번에 많이 넣어 살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상기 식품용기가 겹쳐진 상태이거나 제대로 건조되지 않고 물기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자외선 살균장치를 이용한다면, 아무리 상기 식품용기를 자주 세척하여도,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식품용기를 살균할 때 내부에 잔류물이 남는 등 위생 상의 문제 발생과 세균과 곰팡이 및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 번식에 의한 악취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Food containers used by many people in public places such as a company, a restaurant, a coffee shop, and a school are generally sterilized by using a UV sterilizer at a time. At this time, if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apparatus is used in a state where the food containers are stacked or not dried properly and water remains, even if the food container is frequently cleaned, when the food container is sterilized using the ultraviolet sterilizing apparatu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roblems such as hygiene problems such as residual residues in the inside, and odor due to microbial propagation such as bacteria, fungi and bacteria may occur.

또한, 종래의 식품용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장치는 자외선에 의한 살균 효과가 습도와 반비례하기 때문에 상기 식품용기를 건조시키지 않고 그대로 상기 자외선 살균소독기에 넣을 경우에는 살균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상기 식품용기를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에 겹쳐서 넣을 경우 겹쳐진 아래의 식품용기에는 살균효과가 거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ultraviolet sterilizing apparatus for sterilizing food containers has a disinfecting effect due to ultraviolet rays which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humidity. Therefore, when the food container is placed in the ultraviolet disinfection sterilizer without drying, There is a problem that sterilization effect is scarcely present in the overlapped food containers below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식품용기에 대한 건조작용 및 살균작용을 동시에 수행하여 살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휴대용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에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휴대용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Disclosed is a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capable of maximizing a sterilizing effect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a drying action and a sterilizing action on a food container, and a sterilizing method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that can be carried around at any time, and a sterilizing method using the same.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는, 식품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고, 식품용기 내의 수분을 건조시키는 건조팬;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식품용기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가 상기 식품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A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body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a food container; A drying fan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for drying moisture in the food container; A sterilizing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side the food container; And a fixing par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part to prevent the body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ood container while being coupled to the food container.

일 실시예에 의한 살균방법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건조팬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살균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식품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를 상기 식품용기에 결합하고 고정하는 단계; 상기 건조팬을 구동시켜서, 상기 식품용기 내부의 수분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살균부를 구동시켜서, 상기 식품용기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teriliz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a drying fan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a sterilizing portion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and a steriliz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The method for sterilizing a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attaching and fixing the fixing unit to the food container; Driving the drying fan to dry the moisture inside the food container; And driving the sterilizing unit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inside the food container.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어서 장소나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원하는 식품용기를 살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sired food container can be sterilize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a place or time because the user can carry it.

또한, 식품용기에 대한 건조기능 및 살균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세균 등을 제거하며, 잔류물이 남지 않아 살균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ying and sterilizing functions of the food container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bacteria, viruses, fungi, bacteria and the like can be removed, and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due to the absence of residues.

또한, 다양한 크기의 식품용기에 결합될 수 있고, USB포트를 이용하여 손쉽게 충전할 수 있다.It can also be coupled to food containers of various sizes and can be easily charged using a USB port.

또한, 사용방식이 간단하고 생산비용이 저렴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use can be simplified and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를 절개한 단면도에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의 측면도.
도 4은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가 식품용기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가 도 4의 식품용기보다 큰 식품용기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major components in cross-section cutaway AA of Figure 1;
3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steriliz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combined with a food container;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steriliz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combined with a food container larger than the food container of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의 사상의 포함되는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embodiments,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posed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s, .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절개한 단면도에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의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view showing major components in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AA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1)는 몸체부(10)와, 건조팬(20)과, 살균부(30)와, 고정부(40)와, 전선(50)을 포함한다.1 and 2, a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a drying fan 20, a sterilizing unit 30, a fixing unit 40, And a wire (50).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휴대용 살균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고,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몸체부(10)의 형상은 원통형에 한정되지 않고, 이와 결합되는 식품용기(C)의 형상에 따라서 직육면체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0 forms an outer shape of the portable sterilizing device 1 and may b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body portion 10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ood container C coupled thereto.

상기 몸체부(10)의 하부는 컵, 텀블러 등의 식품용기(C)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고, 상기 고정부(40)가 상기 몸체부(14)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0 is opened to allow insertion of a food container C such as a cup or a tumbler and the fixing part 40 can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14. [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는 상기 식품용기(C)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몸체부(10)의 저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함몰부를 통하여 컵 등의 식품용기(C)가 삽입될 수 있다.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food container (C) can be received is formed in the body part (10). In other words, a depression that is recessed inward can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and a food container C such as a cup can be inserted through the depression.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에는 상기 몸체부(10) 내부의 수증기 또는 기체가 빠져나갈 수 있는 관통홀(110)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0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to allow water vapor or gas to escape from the body portion 1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hrough hole 11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는 상기 건조팬(20), 상기 살균부(3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에 상기 식품용기(C)가 결합되면, 상기 건조팬(20) 및 상기 살균부(30)는 상기 식품용기(C)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drying fan 20 and the sterilizing unit 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body 10. When the food container C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0, the drying fan 20 and the sterilizing portion 30 can be positioned on the food container C.

상기 몸체부(10)의 함몰부가 깊게 형성될수록, 상기 식품용기(C)는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깊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식품용기(C)의 외주면도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살균부(3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노출될 수 있다.As the depression of the body 10 is deeply formed, the food container C can be deeply inserted into the body 10. According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od container (C) can be received in the body portion (10) and exposed to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sterilizing portion (30).

또한, 상기 몸체부(10)는 무게가 가벼운 플라스틱, 스테인리스스틸 및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10 may be made of plastic, stainless steel, or silicon, which is light in weight.

상기 건조팬(20)은 상기 휴대용 살균장치(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보다 상세히 상기 건조팬(20)은 상기 휴대용 살균장치(1)의 몸체부(10)의 내부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The drying fan 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1 and more specifically the drying fan 20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inside of the body 10 of the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1 .

상기 건조팬(20)은 회전축(21)과, 블레이드(22)와, 하우징(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은 길게 연장되는 얇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몸체부(1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회전축(21)은 상기 몸체부(10) 상면에서 상기 몸체부(10)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은 상기 몸체부(10)에 구비된 모터(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21)은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될 수 있다.The drying fan 20 may include a rotary shaft 21, a blade 22, and a housing 23. The rotary shaft 21 may be formed in a thin cylindrical shape extending long. And may exten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In other words, the rotary shaft 21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into the body 10. The rotation shaft 21 may be coupled to a motor (not shown) provided on the body 10, and the rotation shaft 21 may be rotated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상기 회전축(21)은 상기 블레이드(22)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22)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rotary shaft 21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blade 22 to rotate the blade 22.

상기 블레이드(22)는 선풍기 날개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21)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2)는 다수의 날개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날개는 바람을 용이하게 일으킬 수 있도록 적절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lade 22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fan blades and may be supported by the rotary shaft 21. The blade 2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ades, and each blade may be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having an appropriate curvature so as to easily generate wind.

상기 블레이드(22)는 상기 회전축(21)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22)의 위치는 상기 회전축(21)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축(21)이 길게 형성되면, 상기 블레이드(22)는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식품용기(C)가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식품용기(C)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회전축(21)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면, 상기 블레이드(22)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식품용기(C)가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식품용기(C)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될 수 있다.The blade 22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21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lade 22 can be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rotary shaft 21. For example, when the rotary shaft 21 is formed long, the blade 22 is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and when the food container C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0, (C). On the contrary, when the rotation shaft 21 is relatively short, the blade 22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0, and when the food container C is coupled to the body part 10, Can be located relatively far away from the food container (C).

따라서, 상기 식품용기(C)에 묻어있는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상기 블레이드(22)를 상기 식품용기(C)에 가깝게 위치시켜서 상기 식품용기(C)에 묻은 수분을 더욱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상기 건조팬(20)은 상기 식품용기(C)의 내부에 남아있는 수분을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살균부(30)의 구동에 의한 살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amount of water on the food container C is relatively large, the blade 22 can be positioned close to the food container C to more efficiently dry the moisture in the food container C The drying fan 20 can increase the sterilization effect by driving the sterilizing unit 30 by drying the moisture remaining in the food container C. [

상기 하우징(23)은 상기 블레이드(22)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3)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22)를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23)은 상기 블레이드(22)가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상기 블레이드(22)가 회전할 때 발생되는 바람이 아래를 향하도록 바람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housing (23) may be installed to surround the blade (22). The housing (23) is formed into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an inside thereof, and accommodates the blade (22) therein. The housing 23 protects the blade 22 from breakage and can guide the wind direction so that the wind generated when the blade 22 rotates is directed downward.

상기 살균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몸체부(10)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살균부(30)가 상기 건조팬(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살균부(30)의 위치는 상기 건조팬(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terilizing unit 3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ody 10 and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Although the sterilizing unit 30 is installed under the drying fan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rilizing unit 30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rying fan 20 And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상기 살균부(30)는 자외선 살균램프(31)와,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31)를 지지하는 지지대(32)가 포함될 수 있다.The sterilizing unit 30 may include an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31 and a support table 32 for supporting the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31.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31)는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3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상기 식품용기(C)에 존재하는 미생물이나 유기물을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3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파장은 250 ~ 260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의 파장이 250 ~ 260nm의 범위가 다른 자외선 파장 범위보다 대략 1000 ~ 10000배의 살균효과가 있기 때문이다.The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31 irradiates the inside of the body 10 with ultraviolet rays.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31 can sterilize microorganisms or organic substances present in the food container C. The wavelength of ultraviolet light irradiated from the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31 is preferably 250 to 260 nm. This is because the ultraviolet light has a sterilizing effect of about 1,000 to 10,000 times that of the ultraviolet light having a wavelength in the range of 250 to 260 nm.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31)는 상기 몸체부(10)의 내주면에 부착된 상기 지지대(32)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31)는 상기 지지대(32)의 상 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 위치가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몸체부(10)의 상단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양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31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32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The position of the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31 is not limited to that of the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31. The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31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It can be installed on both inner sides.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31)는 상기 식품용기(C)의 내부에 남아있는 수분이 없을수록 자외선 조사에 의한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31)는 상기 건조팬(20)과 동시에 작동하는 것이 좋다.The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31 can maximize the effect of ultraviolet irradiation when the moisture remaining in the food container C is abse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31 operates simultaneously with the drying fan 20.

상기 지지대(32)에는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31)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2)는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31)의 작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열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내열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3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table 32. The support base 3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heat resistance so as not to be deformed by heat that may occur during operation of the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31.

한편,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몸체부(1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의 개구된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xing portion 4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The fixing portion 4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and may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to cover the opene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

상기 고정부(4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앙에 상기 식품용기(C)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4)이 형성된다.The fixing part 4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n insertion hole 14 into which the food container C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the center.

상기 고정부(40)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홀(14)의 직경은 이와 결합되는 상기 식품용기(C), 일례로, 텀블러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14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xing part 40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ood container C, for example, the tumbler.

상기 삽입홀(14)의 직경이 상기 식품용기(C) 상단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식품용기(C)가 상기 고정부(40)에 결합될 때 상기 고정부(40)가 상기 식품용기(C)의 내측으로 휘어져서,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식품용기(C)와 간극 없이 결합될 수 있다.Even whe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14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food container C, when the food container C is engaged with the fixing portion 40, (C), the fixing portion (40) can be engaged with the food container (C) without gaps.

따라서, 상기 고정부(40)의 저면은 상기 식품용기(C)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식품용기(C)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4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ood container C, so that the fixing portion 40 can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ood container C.

상기 고정부(40)는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식품용기(C)가 상기 몸체부(10)에 삽입될 때, 상기 몸체부(10) 및 상기 식품용기(C) 사이의 발생되는 틈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식품용기(C) 및 상기 몸체부(10)의 결합 시에 상기 식품용기(C) 및 상기 몸체부(1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부(10) 내부로 다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식품용기(C) 및 상기 몸체부(10)의 결합을 보다 긴밀하게 하여 상기 식품용기(C)가 상기 몸체부(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4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mall thickness so as to be easily bent. The fixing part 40 serves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body part 10 and the food container C when the food container C is inserted into the body part 10. [ The fixing part 40 is positioned between the food container C and the body part 10 when the food container C and the body part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food container C and prevent the food container C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ody portion 10 by more tightly coupling the food container C and the body portion 10 .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몸체부(10)의 하단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40)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식품용기(C)가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될 때 상기 몸체부(10)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식품용기(C)에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40 may be formed to extend inward from the bottom edge of the body portion 10. [ The fixing portion 40 is preferably formed of a silicone or rubber material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The fixing portion 40 is formed of a silicone or rubber material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is not damaged when the food container C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0, The body portion 10 can be tightly coupled to the food container C.

상기 전선(50)은 상기 몸체부 외면(121)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전선(50)은 상기 몸체부(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선(50)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살균장치(1)에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electric wire 50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121 of the body part and the electric wire 50 may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 The electric wire (5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serves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portable sterilizing device (1).

또한, 상기 전선(50)의 단부에는 USB포트(5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선(50)의 단부에 구비된 USB포트(51)를 이용하여 어디서나 상기 휴대용 살균장치(1)를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USB포트(51)를 컴퓨터나 노트북에 연결하여 상기 휴대용 살균장치(1)를 충전할 수 있다.A USB port 51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electric wire 50. Therefore, the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1 can be charged anywhere by using the USB port 51 provided at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50. For example, the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1 can be charged by connecting the USB port 51 to a computer or a notebook.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가 식품용기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combined with a food container.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식품용기(C)의 직경이 상기 몸체부(10)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 상기 식품용기(C)는 상기 고정부(40) 에 형성된 삽입홀(14)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살균장치(1)는 상기 식품용기(C)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용기(C)의 외주면과 상기 몸체부(10)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40)의 저면이 간극 없이 밀착될 수 있다.4, when the diameter of the food container C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0, the food container C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4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40, . The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1) may be located above the food container (C). Furth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ood container C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4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10 can be closely contacted without gaps.

상기 휴대용 살균장치(1)의 상기 몸체부(10)의 상면(11)에는 공기 또는 수증기가 출입할 수 있는 관통홀(1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팬(20)에 의하여 상기 식품용기(C) 내부의 수분이 증발 또는 건조될 수 있고, 이러한 증발 또는 건조 작용에 의하여 발생한 수증기 및 기체는 상기 관통홀(110)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At least one or more through holes 110 through which air or steam can enter and exit can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 of the body 10 of the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1. [ The moisture in the food container C can be evaporated or dried by the drying fan 20 and the water vapor and gas generated by the evaporation or drying action can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110 have.

상기 관통홀(110)을 통하여 수증기 등이 잘 빠져나갈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110)은 상기 건조팬(20)의 바로 윗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110 may be formed directly above the drying fan 20 so that water vapor or the like can be easily exhaus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0.

상기 식품용기(C)가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된 다음에, 상기 식품용기(C)의 내부에 남아있는 수분을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건조팬(20)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식품용기(C)에 수분이 남아 있는 경우, 상기 살균부(30)에 의한 자외선 살균 효과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살균부(30)를 작동하기 전에 상기 건조팬(20)을 먼저 작동시켜서 상기 식품용기(C)의 수분을 먼저 제거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31)가 작동되어, 상기 식품용기(C)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식품용기(C)의 내부를 살균할 수 있다.After the food container C is coupled to the body 10, the drying fan 20 may be driven to dry the moisture remaining inside the food container C. The drying fan 20 is first operated before the sterilizing unit 30 is operated because the ultraviolet sterilizing effect by the sterilizing unit 30 may be limited when water remains in the food container C, So that the moisture of the food container (C) can be removed first. Then, the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31 is operated to sterilize the interior of the food container C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side the food container C.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가 도 4의 식품용기보다 큰 식품용기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combined with a food container larger than the food container of Fig.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도 4의 식품용기보다 직경이 더 큰 식품용기가 상기 고정부(4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도 4의 경우보다 덜 깊이 삽입되지만, 상기 고정부(40)가 휘어져서 상기 고정부(40)의 저면은 상기 식품용기(C)의 외주면과 밀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식품용기(C)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몸체부(10) 및 상기 식품용기(C) 사이의 발생되는 틈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상기 도 4의 경우와 같다.Referring to FIG. 5, when a food container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ood container of FIG. 4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40, the fixing part 40 is inserted less deeply than the case of FIG. The bottom of the fixing part 40 is bent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od container C so that the fixing part 4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food container C, 4 is the same as the case of FIG. 4 in that it serves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body 10 and the food container C.

도 5에는 상기 식품용기의 상단 가장자리가 상기 고정부(40)의 저면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것이 도시되지만, 도 4에는 상기 식품용기의 상단 가장자리가 상기 고정부(40)의 저면 내측에 밀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5 shows that the upper edge of the food contain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edge of the fixing part 40, but FIG. 4 shows that the upper edge of the food contain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bottom part of the fixing part 40 .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1)는 다양한 크기의 식품용기(C)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food container C of various sizes.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일 실시예에 비하여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일 측에 상기 식품용기(C) 내부의 냄새 등을 흡수할 수 있는 탈취 망(15) 및 상기 식품용기(C)의 내부로 음이온을 제공하는 음이온 발생부(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6, a deodorization net 15 capable of absorbing odors in the food container C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body 10 in comparison with the above embodiment, And an anion generating unit 13 for providing an anion to the interior of the anode.

상기 음이온 발생부(13)는 상기 몸체부(10)의 내주면(122)에 다양한 형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발생부(13)는 인체에 좋은 음이온을 배출하여, 상기 식품용기(C) 내부의 공기를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공기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anion generating part 13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 of the body part 10 in various shapes. The anion generating unit 13 may discharge negative ions to the human body and convert the air inside the food container C into air having a beneficial effect on the human body.

상기 탈취 망(15)은 상기 식품용기(C) 내부의 냄새를 흡수하는 탈취 물질, 일례로, 숯과 커피 찌꺼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탈취망(15)은 상기 몸체부(10) 내부의 냄새를 제거하고, 상기 몸체부(10) 내부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취망(15)은 상기 음이온 발생부(13)와 상호 작용하여 탈취 효과를 더욱 증대할 수 있다.
The deodorizing net (15) may include a deodorizing material for absorbing the odor inside the food container (C), for example, charcoal and coffee residue. The deodorizing net 15 can remove the odor inside the body 10 and purify the air inside the body 10. Further, the deodorization net 15 can interact with the anion generator 13 to further enhance the deodorizing effect.

1: 휴대용 살균장치 10: 몸체부
11: 상면 12: 측면
13: 음이온 발생부 14: 개구부
15: 탈취 망 20: 건조팬
21: 축 22: 블레이드
23: 하우징 30: 살균부
31: 자외선 살균램프 32: 지지대
40: 고정부 50: 전선
51: USB포트 110: 관통 홀
121: 몸체부외면 122: 몸체부 내면
1: Portable sterilizing device 10: Body part
11: upper surface 12: side surface
13: Negative ion generator 14:
15: Deodorizing net 20: Drying fan
21: Axis 22: Blade
23: housing 30: sterilizing unit
31: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32: support
40: Fixed part 50: Wires
51: USB port 110: Through hole
121: Body part outer surface 122: Body part inner surface

Claims (11)

식품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고, 식품용기 내의 수분을 건조시키는 건조팬;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식품용기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가 상기 식품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
을 포함하는 휴대용 살균장치.
A body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A drying fan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for drying moisture in the food container;
A sterilizing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side the food container; And
A fixing par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part to prevent the body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ood container while being coupled to the food container;
Wherein the sterilizing device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는 공기 또는 수증기가 출입할 수 있는 관통 홀이 형성되는 휴대용 살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ir or water vapor can flow i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식품용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원통형으로 함몰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적어도 플라스틱, 스테인리스스틸, 실리콘 가운데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휴대용 살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cylindrical recessed space inside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food container can be inserted therein, and the body portion is formed of at least one of plastic, stainless steel, and silic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식품용기 내부로 음이온을 제공하는 음이온 발생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살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art comprises an anion generating part for providing negative ions into the food contai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식품용기 내부의 냄새를 흡수하는 탈취물질을 수용하는 탈취 망이 구비되는 휴대용 살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art is provided with a deodorizing net for containing a deodorant material for absorbing odors inside the food contain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팬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이고, 상기 관통 홀은 상기 건조팬의 상부에 형성되는 휴대용 살균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rying fan is a screw rotatably installed on an upper end of the body,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rying f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식품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휴대용 살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food container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cent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휴대용 살균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of a silicone or rubber material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팬 및 상기 살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전선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휴대용 살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electric wires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ying fan and the sterilizing unit, and the electric wires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단부에는 USB 포트가 구비되는 휴대용 살균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USB port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electric wire.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건조팬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살균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식품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를 상기 식품용기에 결합하고 고정하는 단계;
상기 건조팬을 구동시켜서, 상기 식품용기 내부의 수분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살균부를 구동시켜서, 상기 식품용기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살균방법.
A sterilizing unit disposed at the inside of the body, a detachable unit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the body being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and coupled to the food container, The steriliz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ttaching and fixing said fixture to said food container;
Driving the drying fan to dry the moisture inside the food container; And
Driving the sterilizing unit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inside the food container;
≪ / RTI >
KR1020130107796A 2013-09-09 2013-09-09 Portable sterilization apparatus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KR1015168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796A KR101516878B1 (en) 2013-09-09 2013-09-09 Portable sterilization apparatus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796A KR101516878B1 (en) 2013-09-09 2013-09-09 Portable sterilization apparatus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092A true KR20150029092A (en) 2015-03-18
KR101516878B1 KR101516878B1 (en) 2015-05-04

Family

ID=53023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796A KR101516878B1 (en) 2013-09-09 2013-09-09 Portable sterilization apparatus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87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5937A1 (en) * 2016-12-09 2018-06-14 주식회사 이에스엔 Device for sterilizing and drying container
KR20200011814A (en) * 2018-07-25 2020-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terilizing module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102131593B1 (en) * 2019-05-15 2020-07-09 김현석 Apparatus for sterilizing kiosks with human body detection sensor and kiosk having the same
CN111918707A (en) * 2018-03-27 2020-11-10 环球城市电影有限责任公司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ng amusement park items
US10988388B2 (en) 2017-12-04 2021-04-27 Share Light Co., Ltd. Sterilizing apparatus
KR20210087812A (en) * 2020-01-03 2021-07-13 주식회사 이엘텍 Mini sterilizing and air-blow dryer and the mixer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443B1 (en) 2016-09-28 2018-01-08 주식회사 루멘스 Capsule type sterillizing apparatus
KR102060060B1 (en) 2017-02-24 2019-12-27 주식회사 이에스엔 Sterilizing and drying unit for portabl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592Y1 (en) * 2003-07-24 2003-11-01 함용승 sterilized drying machine only for scrubber and cloth
KR100928833B1 (en) 2009-07-09 2009-11-27 이용경 The device for heating and sterilization to nursing bottle using baby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5937A1 (en) * 2016-12-09 2018-06-14 주식회사 이에스엔 Device for sterilizing and drying container
KR20180066616A (en) * 2016-12-09 2018-06-19 홍성두 Sterilizing and drying unit for container
US10988388B2 (en) 2017-12-04 2021-04-27 Share Light Co., Ltd. Sterilizing apparatus
CN111918707A (en) * 2018-03-27 2020-11-10 环球城市电影有限责任公司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ng amusement park items
KR20200011814A (en) * 2018-07-25 2020-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terilizing module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102131593B1 (en) * 2019-05-15 2020-07-09 김현석 Apparatus for sterilizing kiosks with human body detection sensor and kiosk having the same
WO2021033905A1 (en) * 2019-05-15 2021-02-25 김현석 Kiosk sterilization apparatus having human body detection sensor and kiosk having same
KR20210087812A (en) * 2020-01-03 2021-07-13 주식회사 이엘텍 Mini sterilizing and air-blow dryer and the mixe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878B1 (en)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878B1 (en) Portable sterilization apparatus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KR101037245B1 (en) Apparatus for sterilization disposal of shoes
KR200476334Y1 (en) A mouthpiece sterillization
KR20150049018A (en) Portable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UV LED
US6679419B1 (en) Mailbox
KR20080013646A (en) A portable toothbrush-sterilization device with toothbrush
CN204840352U (en) Portable electrolysis sterilizer
JP2004159723A (en) Shoe sterilizing and deodorizing device
KR101171796B1 (en) Portable Shoe Dryer Sterilization
JP3160033U (en) Sanitization / deodorization equipment
CN214284803U (en) Sterilization component, base station and cleaning equipment
KR101230981B1 (en) Footwear disinfector having an anion generator
CN212307645U (en) Chopping block sterilizing machine
CN211327052U (en) Sterilizing device
CN210277774U (en)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with disinfection function and accommodating box
KR20120035676A (en) Food garbage disinfection apparatus
CN110522395A (en) A kind of shoe dryer
CN111840594A (en)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with disinfection function and accommodating box
KR101508182B1 (en) Forced drying apparatus for humidifying and emitting aroma using vapor pressure and wettability
CN210932864U (en) Medical instrument disinfection box utilizing ultraviole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KR200286130Y1 (en) apparatus for removing malodor and sterilizing in garbage by UV, Ozone and photo catalyst which installed in kitchen unit
CN111365636B (en) Portabl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lighting lamp
CN210169948U (en) Ultraviolet sterilization deodorization toilet lid is assisted to photocatalyst
CN217772855U (en) Gas sterilization module device
KR200295002Y1 (en) Kitchen unit which installed food waste garb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