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161A -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161A
KR20150028161A KR20130106881A KR20130106881A KR20150028161A KR 20150028161 A KR20150028161 A KR 20150028161A KR 20130106881 A KR20130106881 A KR 20130106881A KR 20130106881 A KR20130106881 A KR 20130106881A KR 20150028161 A KR20150028161 A KR 20150028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air
ultraviolet light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종현
손영환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8161A/ko
Publication of KR20150028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pivoting blades with intersecting ax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 유입구, 공기 배출구 및 공기 유로를 구비하는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는 공기 정화부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 정화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제1 구역 및 제2 구역에 각각 배치되는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air having sterilizaion module and deodorization module}
본 개시(disclosure)는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공기질은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급격한 중국 산업화의 결과로 발생하는 대기 오염 물질이 황사에 실려 우리 나라로 상륙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기 중 유해 중금속 농도는 우려의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또한, 건물 내부에 거주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미세 먼지, 폼알데하이드, 부유 세균 등의 오염 물질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해, 코, 눈, 목의 건조와 통증, 재채기, 코막힘, 피로 등과 같은 건물병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 속에,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상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공기 정화 장치는, 내부에 각종 필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오염된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필터를 통해 오염 입자를 물리적으로 여과시키거나 흡착시켜 걸러냄으로써, 공기를 정화시킨다.
최근에는, 공기 정화 장치의 정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기 정화 장치 내에 장착되는 필터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일 예로서, 망 또는 부직포 형태를 가지며, 굵은 먼저를 여과시키는 프리 필터, 각종 항균 및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춘 기능성 필터,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탄소 필터, 미세 먼지 제거용 헤파 필터, 항균가습 필터, 능동 살균 테르펜을 포함하는 필터 등이 알려져 있다. 상술한 필터들은 공기 정화 장치의 공기 유로를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방식을 취한다. 이와 같이, 필터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공기 정화 장치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고, 필터 취급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본 개시는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관점에 따르는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 유입구, 공기 배출구 및 공기 유로를 구비하는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는 공기 정화부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 정화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제1 구역 및 제2 구역에 각각 배치되는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는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 유입구, 공기 배출구 및 공기 유로를 구비하는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는 공기 정화부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 정화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구역 및 제2 구역에 각각 배치되는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 및 상기 살균 모듈 및 상기 탈취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개폐창을 구비하는 개폐 구조물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공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공기 정화부 내의 프레임부를 각각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구획하여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을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해 양립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정화부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폐 구조물을 이용하여, 공기 정화 장치 내의 공기 흐름을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 살균 또는 탈취 기능 중 원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진행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살균 모듈 또는 탈취 모듈 내에 적용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레일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이 커버하지 못하는 영역 즉, 데드 존(dead zone) 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공기 정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공기 정화부를 도 2a의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바라보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공기 정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공기 정화부를 도 3a의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바라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개폐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개폐 구조물을 도 4a의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바라보는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개폐 구조물의 개폐창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공기 정화부 및 개폐 구조물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재에서 "제1" 및 "제2"와 같은 기재는 부재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부재 자체를 한정하거나 특정한 순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부재의 "상"에 위치하거나 “상부” 또는 ”하부”, “측면”에 위치한다는 기재는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지 그 부재에 직접 접촉하거나 또는 사이 계면에 다른 부재가 더 도입되는 특정한 경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설치되어 있다”의 기재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중간에 다른 별도의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연결 관계 또는 접속 관계를 구성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 정화 장치(100)는 몸체부(110), 및 몸체부(110)에 결합하는 공기 정화부(20)를 구비한다.
몸체부(110)는 공기 유입구(112) 및 공기 배출구(114)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기 유입구(112)로부터 공기 배출구(114)로의 공기 유로를 구비한다. 몸체부(110)는 공기 정화 장치(100)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12)에 인접한 몸체부(110) 내부에는 송풍기(130)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130)는 일 예로서, 블로워(blower) 팬 또는 축류(axial)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블로워 팬을 예시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송풍기(130)는 공기 유입구(112)에 인접한 유입구(미도시)와 유입된 공기를 몸체부(110) 내부로 배출하는 토출구(134)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송풍기(130)로서 블로워 팬이 적용되는 경우, 토출구(134)의 단면적은 몸체부(110) 내부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토출구(13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토출구(134) 부근 영역에서 정체되거나 케이스(110) 하부방향으로 진행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와 같이, 토출구(134)로부터 몸체부(110)의 내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공기 도관(140)을 배치하여, 토출구(13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몸체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균일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송풍기(130)의 상단부에는 개폐 구조물(40)이 배치될 수 있다. 개폐 구조물(40)은 공기 정화부(20)로의 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개폐 구조물(40)은 복수의 개폐창을 구비하여, 상기 개폐창이 개방되거나 폐쇄됨으로써, 공기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개폐 구조물(40)의 상단에는 공기 정화부(20)가 배치된다. 공기 정화부(20)는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살균 모듈 및 상기 탈취 모듈은 공기의 흐름에 대해 서로 양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살균 모듈 및 상기 탈취 모듈은 기판의 동일 평면 상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하는 공기가 살균 또는 탈취 중 어느 하나의 처리를 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정화부(20)는 개폐 구조물(40)과 결합함으로써, 개폐 구조물(40)에 의해,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전단에서 공기의 유로가 차단되거나 허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살균 모듈 및 상기 탈취 모듈을 개별적으로 구동하지 않더라도, 개폐 구조물(40)이 개폐되는 형태에 따라, 살균 기능 또는 탈취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살균 모듈은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약 200 내지 400 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약 200 내지 290 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살균 모듈은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와 협력하는 포집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포집 필터에 포집된 미생물에 대해 살균용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자외선의 조사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어 살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취 모듈은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및 광촉매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과 상기 광촉매 필터의 광촉매 매질과의 반응에 의해 수산화 라디칼과 같은 산화제가 생성됨으로써, 공기 중의 각종 오염 물질 및 악취 물질을 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중의 탈취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용 발광다이오드는 약 200 내지 400 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광촉매용 발광다이오드는 약 320 내지 400 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매질은 티타늄산화물(TiO2), 실리콘산화물(SiO2), 텅스텐산화물(WO3), 지르코늄산화물(ZnO), 스트론튬타이타늄산화물(SrTiO3), 니오븀산화물(Nb2O5), 산화철(Fe2O3), 산화야연(ZnO2), 산화주석(SnO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공기 정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공기 정화부를 도 2a의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바라보는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공기 정화부(20)는 프레임부(210), 프레임부(210)의 제1 구역(A)에 배치되는 살균 모듈(22), 및 프레임부(210)의 제2 구역(B)에 배치되는 탈취 모듈(24)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210)는 복수의 제1 구역(A) 및 복수의 제2 구역(B)으로 구획되는 통공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부(210)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높이(h1)를 가지는 구조물일 수 있다.
프레임부(210)는 알루미늄 또는 은과 같은 광반사효율이 우수한 금속으로 내벽의 적어도 일부분이 코팅될 수 있다. 또는, 프레임부(210)는 알루미늄 또는 은과 같은 광반사효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가 관통할 수 있는 영역인 제1 구역(A) 및 제2 구역(B)은 측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구역(A) 및 제2 구역(B)은 각각 행 또는 열의 형태를 가지도록 프레임부(210)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구역(A) 및 제2 구역(B)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살균 모듈(22)은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22) 및 포집 필터(224)를 구비할 수 있다.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22)는 제1 구역(A)을 구성하는 프레임부(210)의 측벽에 배치되고, 포집 필터(224)는 제1 구역(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포집 필터(224)는 제1 구역(A)을 구성하는 프레임부(2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22)는 인쇄회로기판(226) 상에 실장되며, 인쇄회로기판(226)이 프레임부(210)의 측벽에 고정됨으로써,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22)가 배치될 수 있다.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22)는 도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고려할 때, 포집 필터(224) 보다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22)는 포집 필터(224)를 향하여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으며, 방출되는 살균용 자외선은 공기 중의 미생물에 직접 조사되거나, 포집 필터(224)에 포획된 미생물에 조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210)의 내벽이 광반사효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입사되는 상기 자외선을 반사함으로써, 상기 살균용 자외선이 상기 공기 중의 미생물과 만나는 빈도를 높여 살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탈취 모듈(24)은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42) 및 광촉매 필터(244)를 구비할 수 있다.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42)는 제2 구역(B)을 구성하는 프레임부(210)의 측벽에 배치되고, 광촉매 필터(244)는 제2 구역(B)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광촉매 필터(244)는 제2 구역(B)을 구성하는 프레임부(2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42)는 인쇄회로기판(246) 상에 실장되며, 인쇄회로기판(246)이 프레임부(210)의 측벽에 고정됨으로써,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46)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공기 정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공기 정화부를 도 3a의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바라보는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공기 정화부(30)는 프레임부(210), 프레임부(210)의 제1 구역(A)에 배치되는 살균 모듈(32), 및 프레임부(210)의 제2 구역(B)에 배치되는 탈취 모듈(34)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정화부(30)은 살균 모듈(32)의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322) 및 탈취 모듈(34)의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342)의 배치 및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2a 및 도 2b와 관련하여 상술한 공기 정화부(2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중복을 배제하기 위하여 차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구역(A) 및 제2 구역(B)을 구성하는 프레임부(210)의 하단에는 각각 레일(321, 341)이 배치된다.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322)는 레일(321) 상에 배치되며,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342)는 레일(341) 상에 배치된다. 레일(321, 341)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고려할 때, 포집 필터(224) 및 광촉매 필터(244)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322)는 제1 구역(A)의 내부에서 포집 필터(224)를 향해 살균용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342)는 제2 구역(B)의 내부에서 광촉매 필터(244)를 향해 광촉매 반응용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레일(321, 341)은 도면의 x-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레일(321, 341)은 프레임부(210) 상에서 왕복 운동을 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일(321, 341) 상에 배치되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322) 및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342)은 x-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322) 및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342)으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이 커버하는 영역이 확장될 수 있으며, 일명 데드존이라 하여,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322) 및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342)의 지향각이 커버하지 못하는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정화부(30)의 살균 효율 및 탈취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개폐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개폐 구조물을 도 4a의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바라보는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개폐 구조물의 개폐창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개폐 구조물(40)은 프레임부(410), 상기 프레임부(410)과 결합하는 제1 개폐창(420) 및 제2 개폐창(430)을 포함한다. 제1 개폐창(420)은 공기 정화부(20)의 제1 구역(A)을 커버하고, 제2 개폐창(430)은 공기 정화부(20)의 제2 구역(B)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창(420) 및 제2 개폐창(430)은 회전축 구조물(41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프레임부(41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제어 신호에 의해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를 가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공기 정화부 및 개폐 구조물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개폐창(420)은 살균 모듈(22, 32)가 배치되는 공기 정화부(20, 30)의 제1 구역(A)을 커버하고, 제2 개폐창(430)은 탈취 모듈(24, 34)가 배치되는 공기 정화부(20, 30)의 제2 구역(B)을 커버할 수 있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개폐창(420) 및 제2 개폐창(430)이 모두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정화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 구역(A) 및 제2 구역(B)으로 유동할 수 없게 된다. 도 5a의 상태는 공기 정화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일 때, 공기 정화부(20, 30)를 보호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개폐창(420) 및 제2 개폐창(430)이 모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정화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 구역(A) 및 제2 구역(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유로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탈취 기능 및 살균 기능이 모두 필요한 경우에, 설정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개폐창(420)이 개방되고, 제2 개폐창(430)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정화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 구역(A)으로 유동할 수 있으며, 살균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개폐창(420)이 폐쇄되고, 제2 개폐창(43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정화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2 구역(B)으로 유동할 수 있으며, 탈취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공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공기 정화부 내의 프레임부를 각각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구획하여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을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해 양립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정화부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폐 구조물을 이용하여, 공기 정화 장치 내의 공기 흐름을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 살균 또는 탈취 기능 중 원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진행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살균 모듈 또는 탈취 모듈 내에 적용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레일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이 커버하지 못하는 영역 즉, 데드 존(dead zone) 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 형태들을 도면들을 예시하며 설명하지만, 이는 본 출원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세밀하게 제시된 형상으로 본 출원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를 한정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이 반영되는 한 다양한 다른 변형예들이 가능할 것이다.
100: 공기 정화 장치, 110: 몸체부, 112: 공기 유입구,
114: 공기 배출구, 130: 송풍기, 140: 공기 도관,
20, 30: 공기 정화부, 40: 개폐 구조물,
22, 32: 살균 모듈, 24, 34: 탈취 모듈,
210: 프레임부, 224: 포집 필터, 244: 광촉매 필터,
222, 322: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242, 342: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410: 프레임부, 420: 제1 개폐창, 430: 제2 개폐창.

Claims (20)

  1. 공기 유입구, 공기 배출구 및 공기 유로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는 공기 정화부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 정화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제1 구역 및 제2 구역에 각각 배치되는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은 측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공기 정화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은 각각 행 및 열의 형태로 배열되는
    공기 정화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은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통공 영역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듈은 포집 필터 및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 모듈은 광촉매 필터 및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필터는 상기 제1 구역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제1 구역을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부의 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광촉매 필터는 상기 제2 구역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제2 구역을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부의 측벽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필터 및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제1 구역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상기 포집 필터의 전단에 배치되고,
    상기 광촉매 필터 및 상기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제2 구역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상기 광촉매 필터의 전단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각각 이동 가능한 레일 상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레일 상에서 상기 포집 필터가 커버하는 영역을 순환하고,
    상기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레인 상에서 상기 광촉매 필터가 커버하는 영역을 순환하는
    공기 정화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상기 살균 모듈 및 상기 탈취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할 수 있는
    개폐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조물은
    상기 제1 구역 또는 상기 제2 구역으로 향하는 공기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개폐창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살균 모듈 또는 상기 탈취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향해 형성되는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 정화 장치.
  13. 공기 유입구, 공기 배출구 및 공기 유로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는 공기 정화부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 정화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구역 및 제2 구역에 각각 배치되는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 및
    상기 살균 모듈 및 상기 탈취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개폐창을 구비하는 개폐 구조물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살균 모듈 또는 상기 탈취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향해 형성되는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 정화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듈은 포집 필터 및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 모듈은 광촉매 필터 및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필터는 상기 제1 구역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제1 구역을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부의 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광촉매 필터는 상기 제2 구역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제2 구역을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부의 측벽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필터 및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제1 구역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상기 포집 필터의 전단에 배치되고,
    상기 광촉매 필터 및 상기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제2 구역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상기 광촉매 필터의 전단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각각 이동 가능한 레일 상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레일 상에서 상기 포집 필터가 커버하는 영역을 순환하고,
    상기 광촉매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레인 상에서 상기 광촉매 필터가 커버하는 영역을 순환하는
    공기 정화 장치.
  20.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조물은
    상기 살균 모듈 및 상기 탈취 모듈의 전단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 장치.




KR20130106881A 2013-09-05 2013-09-05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20150028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881A KR20150028161A (ko) 2013-09-05 2013-09-05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881A KR20150028161A (ko) 2013-09-05 2013-09-05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161A true KR20150028161A (ko) 2015-03-13

Family

ID=5302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6881A KR20150028161A (ko) 2013-09-05 2013-09-05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81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7261A (zh) * 2019-03-15 2019-05-31 常州德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模块化移动式尾气净化器
KR20190120974A (ko) * 2018-04-17 2019-10-2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정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974A (ko) * 2018-04-17 2019-10-2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정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09827261A (zh) * 2019-03-15 2019-05-31 常州德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模块化移动式尾气净化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44467B (zh) 具有可分流的空气管的空气净化装置
KR102206278B1 (ko) 자외선을 이용하는 공기 정화 장치
JP6771269B2 (ja) 空気浄化装置
KR102027031B1 (ko) 자외선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정화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CN101551143B (zh) 空气净化装置
US20040166037A1 (en) Air filtration and treatment apparatus
KR20150071255A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20140003240A (ko) 유체 정화 장치
KR200494084Y1 (ko) 광촉매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20150124646A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해충 트랩 장치
KR20160030651A (ko) 공기 청정기
KR20150062564A (ko) 복수의 공기 유로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20210065023A (ko) 살균과 이온화 및 광촉매 기능을 구비한 통합형 공기청정 모듈
KR20190062720A (ko) 적층된 다공판을 구비하는 광촉매 모듈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150028161A (ko) 살균 모듈 및 탈취 모듈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JP2009195665A (ja) 除菌脱臭装置
KR100535940B1 (ko) 공기정화기
KR20150014822A (ko)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및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20150062549A (ko) 자외선 광조사부 및 메쉬형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20150062725A (ko) 광차폐영역을 구비하는 메쉬형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20150062649A (ko)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및 메쉬형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100567670B1 (ko) 엘리베이터의 자외선 살균장치
KR20220049123A (ko) 공기정화기
KR102527042B1 (ko) 화학기상증착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청정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패널
CN213747165U (zh) 一种防紫外线光泄漏的空气净化器滤芯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