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921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921A
KR20150027921A KR20130106069A KR20130106069A KR20150027921A KR 20150027921 A KR20150027921 A KR 20150027921A KR 20130106069 A KR20130106069 A KR 20130106069A KR 20130106069 A KR20130106069 A KR 20130106069A KR 20150027921 A KR20150027921 A KR 20150027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ver bottom
light
display panel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554B1 (ko
Inventor
한미진
남지근
이민진
박경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6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55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7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학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광학 모듈을 수납하는 커버버텀과 상기 커버버텀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결합하는 패널 보호부재 및 상기 커버버텀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패널 보호부재 또는 상기 커버버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패널 보호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원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1), 커버부재(12), 백라이트 유닛(13)을 포함하고, 백라이트 유닛(13)은 광원(미도시), 도광판(13a), 반사부재(13b), 광학시트(13c), 커버버텀(13d) 및 서포트 부재(13e)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부재(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학용 접착부재(15)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과 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제1 기판(11a), 제2 기판(11b) 및 제1 기판(11a)과 제2 기판(11b)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기판(11a) 및 제2 기판(11b)에는 편광필름(11c, 11d)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고온 또는 고습의 외부환경에 빈번히 노출되는데 커버부재(12)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과 커버부재(12)는 수축과 팽창을 계속 반복을 하게 된다.
그러나, 재질의 특성상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된 편광필름(11c, 11d)의 수축량 및 팽창량과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1) 및 커버부재(12)의 수축량 및 팽창량이 서로 상이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편광필름(11c, 11d)에 일어나는 수축 및 팽창의 방향도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놓인 환경에 따라 동일하지 않으며 제각각 변화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1) 및 커버부재(12)에 휨(warpage)이 발생하게 되며 전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원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패널 보호부재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팽창량 및 수축량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 될 수 있는 편광필름의 팽창량 및 수축량의 차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발생할 수 있는 휨(warpage)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학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광학 모듈을 수납하는 커버버텀과 상기 커버버텀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결합하는 패널 보호부재 및 상기 커버버텀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패널 보호부재 또는 상기 커버버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패널 보호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광학 모듈의 입광부와 대향하는 상기 커버버텀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입광부와 수직하는 상기 커버버텀의 외측면 또는 반입광부와 대향하는 상기 커버버텀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패널 보호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버버텀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패널 보호부재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결합되고 유동성 또는 비 유동성 접착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1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버텀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측부와 상기 패널보호 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측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패널 보호부재와 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측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버버텀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패널 보호부재 사이에 결합되고 유동성 또는 비 유동성 접착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1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커버버텀 사이에 결합되며 유동성 접착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성 접착부재는 연성 재질의 양면 접착성 폼 테이프(foam tape) 또는 폼 패드(foam pad)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 유동성 접착부재는 양면 접착성 테이프 또는 UV 레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학 모듈은 광원과 상기 광원과 대향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면 광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으로 집광 및 확산시키는 광학시트 및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상기 도광판 내부로 반사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패널 보호부재는 광학용 접착부재(optical clear adhesive)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학 모듈은 상기 도광판의 입광부 또는 반입광부의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 패널 지지부재 및 상기 도광판의 입광부와 수직하는 상기 도광판의 측면 방향과 대향 되도록 배치되는 제2 패널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버텀은 상기 광학 모듈이 수납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와 결합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온 또는 고습의 외부환경에 노출되어도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휨(warpage)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이 형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성 및 생산 수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A - A' 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B - B' 방향의 단면도.
도 5는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
도 6은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에 따른 A - A' 방향의 단면도.
도 8은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에 따른 B - B' 방향의 단면도.
본원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원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A - A'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B - 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광학 모듈(120), 커버버텀(130), 패널 보호부재(140) 및 고정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11)과 터치 패널(117)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액정 패널(111)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OLED 패널 또는 OLED 패널과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정 패널(111)은 제1 기판(111a)과 제2 기판(111b) 및 제1 기판(111a)과 제2 기판(111b)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기판(111a)에는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 등의 신호배선이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의 교차부에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 사이의 화소영역에는 화소전극이 형성되며 하부기판의 일측부에는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 각각에 접속되는 패드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드영역에는 TFT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실장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캐리어 페키지(Tape Carrier Package)가 부착됨으로써 드라이버 집적회로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하고, 스캔 신호를 게이트 라인들에 공급한다.
또한, 제2 기판(111b)에는 도시하지 않은 컬러필터, 공통전극 및 블랙매트릭스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판(111a)의 하부에는 광학 모듈(120)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제1 편광필름(113a)이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제2 기판(111b)의 상부에는 제2 편광필름(113b)이 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117)은 글라스(glass) 또는 필름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117)은 필름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을 참조로 액정 패널(111)과 터치 패널(117)은 광학용 접착부재(optical clear adhesive, 115)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터치 스크린 패널 이외에도 상부 및 하부에 편광필름이 결합되는 액정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광학 모듈(120)은 광원(121), 도광판(122), 광학시트(123) 및 반사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원(121)은 점 광원을 제공할 수 있는 LED(Light Emmiting Diode) 어레이(121a) 및 LED 어레이(121a)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121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광판(122)은 광원(121)과 대향하게 배치되고 광원(121)으로부터 제공되는 점 광원을 면 광원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 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시트(123)는 도광판(122)의 상부에 배치되어 도광판(122)으로부터 제공되는 면 광원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방향으로 집광 및 확산시키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광학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반사부재(124)는 도광판(122)의 하부에 배치되고 도광판(122)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도광판(122) 내부로 반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로 도광판(122)의 입광부 또는 반입광부의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제1 패널 지지부재(126)가 배치되어 광원(121)의 광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도광판(122)을 고정시 킬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로 도광판(122)의 입광부와 수직하는 도광판(122)의 측면 방향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제2 패널 지지부재(127)가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로 커버버텀(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광학 모듈(120)을 수납하고 패널 보호부재(140)가 변형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버텀(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광학 모듈(120) 이 수납되는 수납부(131) 및 단차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차부(133)는 수납부(131)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부(150)와 결합 될 수 있으며 패널 보호부재(140)와는 결합하지 않는 상태에서 패널 보호부재(140)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광판(122)의 입광부 또는 반입광부와 대향하는 커버버텀(130)의 단차부(133)의 상부로는 제1 패널 지지부재(126)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커버버텀(130)은 패널 보호부재(140)와 결합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온 또는 고습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는 패널 보호부재(140)의 변형을 구속하지 않는다.
이로써, 커버버텀(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광학 모듈(120)을 수납하는 동시에 패널 보호부재(140)가 변형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보호부재(1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버텀(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패널 보호부재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보호부재(14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패널 보호부재(140)는 광학용 접착부재(optical clear adhesive, 119)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 측면에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결합되지 않는 패널 보호부재(140)의 가장자리 영역(Edge Area, E/A) 중 일부 영역(E/A1)은 커버버텀(130)의 단차부(133) 및 제1 패널 지지부재(126)에 의해 지지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패널 보호부재(140)의 가장자리 영역(E/A) 중 일부 영역(E/A2)은 앞서 설명한 커버버텀(130)의 단차부(133)에 지지되는 동시에 후술할 고정부(150)에 의해서도 지지 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50)는 커버버텀(130)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커버버텀(130) 또는 패널 보호부재(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50)는 제1 고정부재(150a) 및 제2 고정부재(15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알루미늄, SUS, EGI(Electrolytic Galvanized Iron)와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Glass Fiber)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보호부재(140)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고정부(150)는 플라스틱 몰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을 참조로 제1 고정부재(150a)는 광학 모듈(120)의 입광부와 대향하는 커버버텀(130)의 외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5를 참조로 제1 고정부재(150a)는 패널 보호부재(140)와 결합되는 결합부(151a)와 결합부(151a)로부터 커버버텀(130) 방향으로 연장되어 커버버텀(130)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측부(153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부재(150a)는 결합부(151a)와 패널 보호부재(140)를 결합하기 위하여 유동성 또는 비 유동성 접착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1 접착부재(15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동성 접착부재로는 연성 재질의 양면 접착성 폼 테이프(foam tape), 폼 패드(foam pad)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 유동성 접착부재로는 양면 접착성 테이프 또는 UV 레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FPCB) 또는 광원(121)을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121b)과 커버버텀(13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PCB)이 서로 용이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제1 고정부재(150a)에는 홈부(Groove, g)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연결된 인쇄회로기판(FPCB) 및 광원(121)이 위치하는 영역으로는 홈부(g)가 형성된 제1 고정부재(150a)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제2 고정부재(150b)는 도광판(122)의 입광부와 수직하는 커버버텀(130)의 외측면과 도광판(120)의 반입광부와 대향하는 커버버텀(130)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재(150b)는 측부(151b), 제1 결합부(153b) 및 제2 결합부(155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측부(151b)는 커버버텀(130)의 외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패널 보호부재(140)의 변형에 대응하기 위하여 측부(151b)는 커버버텀(130)과 결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결합부(153b)는 패널보호 부재(140)와 마주보도록 측부(151b)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패널 보호부재(140)와 결합 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결합되지 않는 패널 보호부재(140)의 가장자리 영역(E/A) 중 일부 영역(E/A2)과 제1 결합부(153b)가 결합 됨으로써 고정부(150)가 패널 보호부재(14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 광학 모듈(120)이 제공하는 광이 새어 나가는 현상인 빛 샘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재(150b)는 제1 결합부(153b)와 패널 보호부재(140)를 결합하기 위하여 유동성 또는 비 유동성 접착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1 접착부재(157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동성 접착부재로는 연성 재질의 양면 접착성 폼 테이프(foam tape), 폼 패드(foam pad)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 유동성 접착부재로는 양면 접착성 테이프 또는 UV 레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결합부(155b)는 측부(151b)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커버버텀(130)의 단차부(133)와 결합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제2 결합부(155b)와 커버버텀(130)을 결합하기 위하여 제2 고정부재(150b)는 유동성 접착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 접착부재(159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동성 접착부재로는 연성 재질의 양면 접착성 폼 테이프(foam tape), 폼 패드(foam pad)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는 2개로 분할되거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분할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50)는 제1 고정부재(250a) 및 제1 고정부재(250a)와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제2 고정부재(25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재(250a)는 도광판(122)의 입광부 방향을 감싸는 커버버텀(130)의 외측면 방향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부재(250b)는 제1 고정부재(250a)와 별도로 이루어져 도광판(122)의 입광부와 수직하는 커버버텀(130)의 외측면 및 반입광부 방향의 커버버텀(130)의 외측면 방향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고정부재(250a)가 제2 고정부재(250b)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을 참조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FPCB) 또는 광원(121)을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121b)과 커버버텀(13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PCB)을 결합한 후 제1 고정부재(250a)를 패널 보호부재(140)에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조립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로 도광판(122)의 반입광부 방향으로 광원(121)이 추가로 배치될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50)는 도광판(122)의 입광부 방향을 감싸는 커버버텀(130)의 외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고정부(350a) 및 각각의 제1 고정부재(350a)와 분할된 제2 고정부재(35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에 따른 A - A' 방향의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고온 또는 고습의 외부환경에 의해 팽창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b는 외부환경 변화에 따라 온도와 습도가 변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축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환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는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성하는 제1 편광필름(113a) 및 제2 편광필름(113b)은 재질의 특성상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의 팽창량 및 수축량과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고온 또는 고습의 외부환경에 노출된 경우도 7a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편광필름(113a) 및 제2 편광필름(113b)의 팽창량에 영향을 받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가 팽창하게 되면 유동성 접착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2 접착부재(159b)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보호부재(140)가 팽창하는 방향(+ X)으로 유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고정부재(150b)의 측부(151b)는 커버버텀(130)과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제1 결합부(153b)는 제1 접착부재(157b)에 의해 패널 보호부재(140)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고정부재(150b)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의 팽창 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a를 참조로 도광판(122)의 입광부와 마주보는 커버버텀(130)의 외측면과 대향 하도록 배치되는 고정부(150)의 제1 고정부재(150a)는 패널 보호부재(140)와 결합되어 있고 커버버텀(130)과는 결합 되어 있지 않는다.
이로써, 제1 고정부재(150a)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보호부재(140)의 팽창 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어디에도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의 팽창을 구속하는 결합 요소가 없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보호부재(14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휨(warpage)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편광필름(113a)과 제2 편광필름(113b)의 수축량에 영향을 받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가 수축하게 되면 제2 접착부재(159b)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가 수축하는 방향(- X)으로 유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고정부재(150a)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보호부재(140)의 수축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 어디에도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의 수축을 구속하는 결합 요소가 없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보호부재(14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휨(warpage)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8은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에 따른 B - B' 방향의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고온 또는 고습의 외부환경에 의해 팽창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b는 외부환경 변화에 따라 온도와 습도가 변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축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환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는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성하는 제1 편광필름(113a) 및 제2 편광필름(113b)은 재질의 특성상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의 팽창량 및 수축량과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고온 또는 고습의 외부환경에 노출된 경우도 8a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편광필름(113a) 및 제2 편광필름(113b)의 팽창량에 영향을 받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가 팽창하게 되면 유동성 접착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2 접착부재(159b)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보호부재(140)가 팽창하는 방향(+ X)으로 유동을 하게 된다.
즉, 제2 고정부재(150b)의 측부(151b)는 커버버텀(130)과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제1 결합부(153b)는 제1 접착부재(157b)에 의해 패널 보호부재(140)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고정부재(150b)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의 팽창 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 어디에도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의 팽창을 구속하는 결합 요소가 없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보호부재(14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휨(warpage)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편광필름(113a) 및 제2 편광필름(113b)의 수축량에 영향을 받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가 수축하게 되면 제2 접착부재(159b)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가 수축하는 방향(- X)으로 유동을 하게 된다.
즉, 제2 고정부재(150b)의 측부(151b)는 커버버텀(130)과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제1 결합부(153b)는 제1 접착부재(157b)에 의해 패널 보호부재(140)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고정부재(150b)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의 수축 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 어디에도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의 수축을 구속하는 결합 요소가 없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보호부재(14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휨(warpage)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종합하면, 도 7 내지 도 8을 참조로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150)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온도 또는 습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외부환경에 노출되어도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패널 보호부재(140)에 휨(warpage)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자유롭게 팽창 및 수축을 하는 동시에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원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원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원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원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원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광학 모듈 130: 커버버텀
140: 패널 보호부재 150: 고정부재

Claims (12)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학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광학 모듈을 수납하는 커버버텀;
    상기 커버버텀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결합하는 패널 보호부재; 및
    상기 커버버텀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패널 보호부재 또는 상기 커버버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패널 보호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광학 모듈의 입광부와 대향하는 상기 커버버텀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입광부와 수직하는 상기 커버버텀의 외측면 또는 반입광부와 대향하는 상기 커버버텀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패널 보호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버버텀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패널 보호부재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결합되고 유동성 또는 비 유동성 접착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1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버텀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측부;
    상기 패널보호 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측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패널 보호부재와 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측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버버텀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패널 보호부재 사이에 결합되고 유동성 또는 비 유동성 접착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1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커버버텀 사이에 결합되며 유동성 접착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4,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접착부재는
    연성 재질의 양면 접착성 폼 테이프(foam tape) 또는 폼 패드(foam pad)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 유동성 접착부재는
    양면 접착성 테이프 또는 UV 레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은
    광원;
    상기 광원과 대향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면 광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으로 집광 및 확산시키는 광학시트; 및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상기 도광판 내부로 반사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패널 보호부재는 광학용 접착부재(optical clear adhesive)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은
    상기 도광판의 입광부 또는 반입광부의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 패널 지지부재; 및
    상기 도광판의 입광부와 수직하는 상기 도광판의 측면 방향과 대향 되도록 배치되는 제2 패널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버텀은
    상기 광학 모듈이 수납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와 결합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106069A 2013-09-04 2013-09-04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41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069A KR102141554B1 (ko) 2013-09-04 2013-09-04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069A KR102141554B1 (ko) 2013-09-04 2013-09-04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921A true KR20150027921A (ko) 2015-03-13
KR102141554B1 KR102141554B1 (ko) 2020-08-06

Family

ID=5302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069A KR102141554B1 (ko) 2013-09-04 2013-09-04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5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8365A (ko) * 2011-04-18 2012-10-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038809A1 (en) * 2011-08-10 2013-02-14 Au Optronic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8365A (ko) * 2011-04-18 2012-10-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038809A1 (en) * 2011-08-10 2013-02-14 Au Optronic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554B1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405B1 (ko) 액정표시장치
US9128323B2 (en) Display device
KR10162153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9690134B2 (en) Display device
US9897748B2 (en) Display device
US20160170130A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70115223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693457B (zh) 面光源裝置、顯示裝置以及電子機器
KR102538982B1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780902B1 (ko) 가이드 패널, 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부재,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7120310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に用いる接着シート、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40026808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바텀 샤시
US20170192147A1 (en) Display apparatus
US10712493B2 (en) Display apparatus
KR101463683B1 (ko) 액정표시장치
CN106932938B (zh) 液晶显示装置
KR10148183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11041616B2 (en) Lighting module and display device
KR2015002404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415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552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53080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20280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3314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9564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