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505A - 영상 자료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자료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505A
KR20150027505A KR20130105947A KR20130105947A KR20150027505A KR 20150027505 A KR20150027505 A KR 20150027505A KR 20130105947 A KR20130105947 A KR 20130105947A KR 20130105947 A KR20130105947 A KR 20130105947A KR 20150027505 A KR20150027505 A KR 20150027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image data
data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움과나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움과나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움과나눔
Priority to KR20130105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7505A/ko
Publication of KR20150027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신뢰성이 높은 조사 자료의 관리가 가능한 동시에, 조사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료 관리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자료 관리 방법은, 영상 자료 관리 장치가, 영상 자료 관리 장치에 연결된 영상 촬영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이 촬영됨을 감지 시, 현재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위치정보, 영상이 촬영된 시간정보 및 영상의 촬영자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촬영된 영상에 수집한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를 결합한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영상 자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원격의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 자료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PICTURE DATA}
본 발명은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현장 방문 조사 시 촬영된 영상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웹 서버에 전송하되, 촬영된 영상에 부가 정보 및 조사 내용을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현장 원시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공공성 조사 등 현장 방문이 수반되는 조사 사업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조사관이 현장에 파견되어 조사를 진행하고, 조사된 자료를 취합하여 감독 기관에 가져온 뒤 이를 보관하는 방식으로 조사 및 자료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 조사 점검에 드는 감독기관의 비용과 시간이 과다하게 소비되며, 일부는 현장 조사 자료가 자료를 취합 시 누락되거나 오기되어 신뢰도 높은 조사가 힘든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따라서, 현장 조사 업체의 경쟁적인 저가 비용 수행 압박으로 인하여 일부에서는 조사관의 도덕성 해이가 발생하여 더욱 신뢰도가 저하되고, 이에 따라 조사의 신뢰성이 지적되어 왔다.
물론 사진 등 객관적인 자료는 데이터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데이터로 가공하여 저장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현장성을 담보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현장 조사의 비용 및 시간의 소모를 감소하고, 더욱 신뢰성있는 조사 자료의 관리 기술의 필요성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신뢰성이 높은 조사 자료의 관리가 가능한 동시에, 조사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료 관리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자료 관리 방법은, 영상 자료 관리 장치가, 상기 영상 자료 관리 장치에 연결된 영상 촬영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이 촬영됨을 감지 시, 현재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위치정보, 영상이 촬영된 시간정보 및 영상의 촬영자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에 수집한 상기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를 결합한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영상 자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원격의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촬영자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촬영된 영상에 관련된 조사 정보가 포함된 상기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외부의 문자 인식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로서, 상기 촬영된 영상에 관련하여 필기된 문자 정보를 인식한 결과 생성되는 정보인 조사 정보가 포함된 상기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수신한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상기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영상 자료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 수집한 상기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를 결합 시, 상기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를 암호화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자료 관리 장치는, 영상 촬영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이 촬영됨을 감지 시, 현재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위치정보, 영상이 촬영된 시간정보 및 영상의 촬영자정보를 수집하는 자료 수집부; 상기 촬영된 영상에 수집한 상기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를 결합한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자료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영상 자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원격의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의하면, 조사 대상에 대한 영상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하는 즉시, 영상이 촬영된 위치, 시간 및 영상을 촬영한 사용자의 정보가 포함되어 원격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이에 따라서, 촬영 시점에서 현장 조사 진행에 대해서 원격의 감독 기관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사에 대한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즉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기 때문에, 자료를 취합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서 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자료 관리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자료 관리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흐름에 대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생성되는 영상 자료 데이터의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자료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자료 관리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자료 관리 방법은 영상 자료 관리 장치에 의해 각 단계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영상 자료 관리 장치는 영상 자료 관리 장치에 연결된 영상 촬영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이 촬영됨을 감지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영상 자료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되어 있거나, 사용자 단말과 별도의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휴대폰인 경우, 영상 자료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프로세서가 본 발명에서의 영상 자료 관리 장치가 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에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연결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의 영상 촬영 장치 또는 입력 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할 것이다.
S10 단계의 수행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이 촬영됨을 감지하게 되면, 영상 자료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현재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위치정보, 영상이 촬영된 시간정보 및 영상의 촬영자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는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GPS 등의 모듈, 시간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타이머가 설치되어 있을 것이다.
한편, 영상의 촬영자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수집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촬영자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단말을 소유한 사용자의 정보가 될 것이다.
S20 단계를 통해 영상이 촬영된 위치, 시간 및 영상의 촬영자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면, 영상 자료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에, 수집한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를 결합하여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S30 단계의 수행 시, 추가적으로 영상 자료 데이터에는 조사 정보가 결합될 수 있다. 조사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문자 등의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현장 조사 시 촬영한 영상에 조사 결과에 대하여 언급할 수 있는 내용 등을 문자로 입력 시, 해당 정보가 조사 정보가 될 수 있다.
조사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 뿐 아니라, 외부의 문자 인식 장치로부터 수신한 촬영된 영상에 관련하여 필기된 문자 정보를 인식한 결과 생성되는 데이터가 될 수 있다.
현장 조사 시에는 디지털 문서뿐 아니라 수작업으로 필기된 문서 정보 역시 작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자료의 취합 시 자료가 누락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문자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필기된 문서를 디지털 문자 정보로 변환하고, 이에 따라 생성된 조사 정보를 결합하여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자료 취합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자료 취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S30 단계에서는, 촬영된 영상,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를 결합할 때, 각 정보를 암호화하여 결합할 수 있다.
S30 단계를 통해 영상 자료 데이터가 생성되면, 영상 자료 관리 장치는 영상 자료 데이터를 원격의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S40)를 수행함으로써, 현장에서 즉시 모든 조사 자료를 감독기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수신한 영상 자료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미도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그룹화하는 기준은,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현장 조사 자료를 관리하고, 조사 자료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자료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자료 관리 장치(10)는, 자료 수집부(11), 영상 자료 데이터 생성부(12) 및 데이터 송신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자료 수집부(11)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영상이 촬영됨을 감지하면, 사용자 단말(20)의 현재 위치정보, 영상 촬영 시간정보 및 영상의 촬영자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영상 자료 데이터 생성부(12)는, 촬영된 영상에 수집한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를 결합하여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조사 정보가 추가적으로 영상 자료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송신부(13)는, 생성된 영상 자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원격의 데이터베이스(3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30)는 감독기관에 구비된 저장 공간을 의미하며,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영상 자료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흐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에서는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영상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며, 영상 자료 관리 장치(10)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20)에서 생성된 위치, 시간 및 촬영자정보와 추가적으로 생성될 수 있는 조사 정보를 영상 자료 관리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자료 관리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영상 정보 및 조사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를 수집한다. 이후, 수신한 상기의 정보들을 암호화하여 결합함으로써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한다.
영상 자료 관리 장치(10)는 영상 자료 데이터가 생성되는 즉시, 생성된 영상 자료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0)에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30)는 영상 자료 데이터를 수신하면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그룹화된 저장 공간에 영상 자료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생성되는 영상 자료 데이터의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자료 데이터(100)에는 촬영한 영상 정보에,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 영상이 촬영된 시간 정보 및 영상을 촬영한 촬영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문자 인식 장치로부터 수신하거나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조사 정보 역시 영상 자료 데이터(100)에 포함될 수 있다.
영상 자료 데이터(100)는 도 4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영상 자료 데이터(100)를 확인하여 자료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이다.
도 5의 데이터베이스 구조(110)에서는 위치 정보(xxx, yyy)를 기준으로 영상 자료 데이터가 그룹화되어 저장됨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위치에 따라서 영상이 촬영된 시간 및 촬영자의 정보가 저장되며,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촬영된 영상 데이터들 및 조사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자료 관리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자료 관리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자료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자료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자료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자료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영상 자료 관리 장치가,
    상기 영상 자료 관리 장치에 연결된 영상 촬영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이 촬영됨을 감지 시, 현재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위치정보, 영상이 촬영된 시간정보 및 영상의 촬영자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에 수집한 상기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를 결합한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영상 자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원격의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자료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촬영자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자료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촬영된 영상에 관련된 조사 정보가 포함된 상기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자료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외부의 문자 인식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로서, 상기 촬영된 영상에 관련하여 필기된 문자 정보를 인식한 결과 생성되는 정보인 조사 정보가 포함된 상기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자료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수신한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상기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영상 자료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자료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 수집한 상기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를 결합 시, 상기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를 암호화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자료 관리 방법.
  7. 영상 촬영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이 촬영됨을 감지 시, 현재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위치정보, 영상이 촬영된 시간정보 및 영상의 촬영자정보를 수집하는 자료 수집부;
    상기 촬영된 영상에 수집한 상기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촬영자정보를 결합한 영상 자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자료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영상 자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원격의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자료 관리 장치.
KR20130105947A 2013-09-04 2013-09-04 영상 자료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27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947A KR20150027505A (ko) 2013-09-04 2013-09-04 영상 자료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947A KR20150027505A (ko) 2013-09-04 2013-09-04 영상 자료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505A true KR20150027505A (ko) 2015-03-12

Family

ID=5302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5947A KR20150027505A (ko) 2013-09-04 2013-09-04 영상 자료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75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029B1 (ko) * 2016-02-01 2017-02-02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029B1 (ko) * 2016-02-01 2017-02-02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17135671A1 (ko) * 2016-02-01 2017-08-10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962B2 (en) Visible audiovisual annotation of infrared images using a separate wireless mobile device
US20120086792A1 (en) Image identification and sharing on mobile devices
US8055271B2 (en) Intelligent location-to-cell mapping using annotated media
US20140372427A1 (en) Real-time analytic report analysis and retrieval framework
EP3179388A1 (en) Web page ope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101785481B1 (ko) 스크래핑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서버 장치 및 시스템
KR20140017806A (ko) 고객 맞춤형 피부 진단 및 관리 방법, 이를 구현하는 서버, 그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20090024401A (ko) 메쉬업 서버스 지원방법 및 장치
JP2013178765A (ja) 機械設定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70073930A (ko) 웹푸시를 이용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3067853A (zh) 验证定位真实性的方法和系统
KR102140865B1 (ko) 전자 서명된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71739B1 (ko) 전자 장치의 히스토리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08217545A (ja) コンソール情報取得システム、コンソール情報取得方法及びコンソール情報取得プログラム
JP4846835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装置及び管理プログラム
KR20150027505A (ko) 영상 자료 관리 방법 및 장치
CN111192661A (zh) 医学电子胶片的获取方法和系统
JP2014010485A (ja) 関連コンテンツ検索装置及び関連コンテンツ検索方法
CN115904805A (zh) 一种数据备份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6361098B2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プログラム
JP4838875B2 (ja) 画像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装置及び管理プログラム
KR2016011221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처리 방법
KR20160127351A (ko)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JP7390505B1 (ja) 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78353A (ko) 여행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