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551A -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551A
KR20150026551A KR1020130105549A KR20130105549A KR20150026551A KR 20150026551 A KR20150026551 A KR 20150026551A KR 1020130105549 A KR1020130105549 A KR 1020130105549A KR 20130105549 A KR20130105549 A KR 20130105549A KR 20150026551 A KR20150026551 A KR 20150026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evel
current
unit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1856B1 (ko
Inventor
한기욱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5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856B1/ko
Priority to US14/475,055 priority patent/US10128676B2/en
Priority to EP14842320.5A priority patent/EP3042432B1/en
Priority to CN201480047097.XA priority patent/CN105493381B/zh
Priority to PCT/KR2014/008263 priority patent/WO2015034256A1/en
Publication of KR20150026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력원과,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와, 상기 전력원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제1레벨 및 제2레벨 중, 선택된 어느 한 레벨의 전류를 상기 제1단자로 제공하는 구동부와, 제2단자로부터 상기 제1레벨에 대응되는 전류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제2레벨의 전류를 상기 제1단자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단자가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충전기기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관련된 실시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CHARG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기기의 충전 전력을 공급 및 수급하는 장치와 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장치(특히 모바일(mobile)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전자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전자장치에는 해당 장치의 제조사에 의해 제작되어 해당 장치에 설치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들과, 인터넷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판매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추가 어플리케이션들 등이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어플리케이션들은 일반 개발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상기 판매 웹사이트에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누구든지 자신이 개발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판매 웹사이트를 통하여 자유롭게 상기 전자장치의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전자장치에는 그 제품에 따라 수만에서 수십 만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되고 있다.
한편, 전자장치는 전술한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에 요구되는 고 용량의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고 용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다양한 충전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다양한 충전기기 중, 전자장치를 거치함과 동시에 충전을 진행할 수 있는 도크(Dock) 형태의 충전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도크 형태의 충전기기는 전자장치에 구비된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플러그에 구비된 단자들은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플러그가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금속성 물체의 접촉 등으로 인해 단자가 비정상적으로 서로 연결되거나, 스파크가 발생되어, 충전기기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단자가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충전기기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충전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력원과,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와, 상기 전력원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제1레벨 및 제2레벨 중, 선택된 어느 한 레벨의 전류를 상기 제1단자로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제2단자로부터 상기 제1레벨에 대응되는 전류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제2레벨의 전류를 상기 제1단자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장치는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와, 상기 제1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제1레벨의 전류를 상기 제2단자로 공급하고, 제2레벨의 전류를 전원부로 공급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충전 제어 방법은 전력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단자부에 구비된 제1단자로 공급하되, 제1레벨의 전류값으로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단자부에 구비된 제2단자의 전류 값을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제2단자로부터 상기 제1레벨에 대응되는 전류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1단자로 공급하되, 제2레벨의 전류값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충전 제어 방법은 단자부에 구비된 제1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단자로부터 제1레벨의 전류가 입력됨에 대응하여, 상기 제1레벨의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값을 상기 단자부의 제2단자로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제1단자로부터 제2레벨의 전류가 입력됨에 대응하여, 상기 제2레벨의 전류를 전원부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충전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충전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충전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충전 시스템의 충전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 방법의 충전기기 측의 동작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 방법의 단말장치 측의 동작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충전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충전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충전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충전 시스템은 제1전자장치(100)와 제2전자장치(200)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1전자장치(100)는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제2전자장치(200)는 상기 단말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장치(100)와 충전기기(200)는 각각 전력을 수신 및 공급할 수 있는 단자, 예컨대, 리셉터클(120), 및 상기 단자부(120)에 결합되는 대응 단자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장치(100)는 충전 제어부(110), 단자부(120), 전원부(130)를 포함하고, 충전기기(200)는 전력원(210), 대응 단자부(220), 구동부(230), 및 구동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우선, 전력원(210)은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전력원(210)은 상용전원(예, AC 220V,AC 110V 등)을 단말장치(100)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예, DC 5V 등)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전력원(210)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력(예, DC 12V, DC 5V 등)을 단말장치(100)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예, DC 5V 등)으로 변환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전력원(210)은 상용전원(예, AC 220V,AC 110V 등)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력(예, DC 12V, DC 5V 등)을 사용하여, 단말장치(100)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예, DC 5V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전력 저장장치(예컨대, 이차전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대응 단자부(220)는 상기 단말 장치(100)에 구비되는 단자부(120)와 결합되어, 충전전력을 송수신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자부(120)는 리셉터클 형태로 구비된고, 상기 대응 단자부(220)는 상기 리셉터클 내에 삽입 및 결합되는 플러그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리셉터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부(120)와 대응 단자부(220)가 각각 리셉터클과 플러그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아니다. 상기 단자부(120)와 대응 단자부(220)는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단자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컨대, 상기 단자부(120)와 대응 단자부(220)는 모두 리셉터클(또는 플러그)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단자부(120)와 대응 단자부(220)는 양단에 플러그(또는 리셉터클)를 구비하는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열결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단자부(120)와 대응 단자부(220)는 각각 리셉터클과 플러그로 구비되어 직접 결합되거나, 상기 단자부(120)와 대응 단자부(22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양단에 각각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구비한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대응 단자부(220)는 적어도 충전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제1단자(221)(충전단자)와, 상기 대응 단자부(220)에 결합되는 단자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제2단자(225)(식별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대응 단자부(220)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단자(221)는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VBUS 단자를 포함하고, 제2단자(225)는 ID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대응 단자부(220)는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데이터 송수신 단자(D+, D-), 접지단에 결합되는 접지 단자(GND)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동부(23)는 전력원(210)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상기 제1단자(221)로 공급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특히, 구동부(23)는 전력을 제한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력원(210)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상기 제1단자(221)로 지속적으로 공급할 경우, 상기 대응 단자부(220)에 구비된 단자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이 대응 단자부(2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 비정상적으로 유입되거나, 스파크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충전기기(200)의 내부 부품이 손상되거나, 대응 단자부(2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부(23)는 전력원(210)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제한적으로 상기 제1단자(221)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예컨대, 대응 단자부(220)는 대응 단자부(220)에 타 전자기기의 단자부가 결합되기 이전에는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만을 공급하고, 대응 단자부(220)에 타 전자기기의 단자부가 결합됨에 따라, 전력원(210)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크기의 제2레벨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30)는 제1레벨의 전류(5㎃)를 공급하는 경로(231)와, 제2레벨의 전류(1A)를 공급하는 경로(235)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구동 제어부(240)는 구동부(230)에 구비된 제1레벨의 전류(5㎃)를 공급하는 경로(231)와, 제2레벨의 전류(1A)를 공급하는 경로(235)를 제1단자(221)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어를 처리한다. 예컨대, 구동 제어부(240)는 대응 단자부(220)에 타 전자기기의 단자부가 결합되기 이전에는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5㎃)를 공급하는 경로(231)가 제1단자(221)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대응 단자부(220)에 타 전자기기의 단자부가 결합된 이후에, 구동 제어부(240)는 상기 제1레벨의 전류(5㎃)에 대응하는 전류값을 제2단자(225)를 통해 입력받는다. 이에 대응하여, 대응 단자부(220)는 구동부(230)에 구비된 제2레벨의 전류(1A)를 공급하는 경로(235)를 제1단자(221)에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제1단자(221)와 제2단자(225)가 금속성 물질에 의해 비 정상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단자(221)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제1레벨의 전류(5㎃)가 제2단자(225)에 그대로 유입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40)가 상기 제1레벨의 전류(5㎃)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2레벨의 전류(1A)를 공급하는 경로(235)를 제1단자(221)에 연결하도록 제어할 경우, 전술한 비 정상적 연결에 의한 단자의 파손이나 충전기기의 파손을 방지하는데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제1레벨의 전류(5㎃)에 대응하는 전류값은 상기 제1레벨의 전류(5㎃)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동 제어부(240)는 상기 제1레벨의 전류(5㎃)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설정된, 상기 제1레벨의 전류(5㎃)에 대응하는 전류값(예컨대, 10㎂)을 수신하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 제2레벨의 전류(1A)를 공급하는 경로(235)를 제1단자(221)에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단자부(120)는 상기 충전기기(200)에 구비되는 대응 단자부(220)와 결합되어, 충전전력을 송수신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단자부(120)는 적어도 충전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제1단자(121)(충전단자)와, 식별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제2단자(125)(식별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자부(120)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단자(121)는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VBUS 단자를 포함하고, 제2단자(125)는 ID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자부(120)는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데이터 송수신 단자(D+, D-), 접지단에 결합되는 접지 단자(GND)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충전 제어부(110)는 단자부(120)와 연결된다. 특히, 충전 제어부(110)는 단자부(120)의 제1단자(121)와 연결되어, 충전기기(200)에서 제공하는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충전 제어부(110)는 제1단자(121)에서 제공되는 전력의 전류 값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 값에 대응하여 내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단자(121)에서 제공되는 전력의 값이, 제1레벨의 전류(5㎃)임을 확인할 경우, 제1단자(121)에서 제공되는 전력의 전류(또는 상기 전류의 일부)가 제2단자(125)로 이동되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제1단자(121)에서 제공되는 전력의 값이, 제2레벨의 전류(1A)임을 확인할 경우, 제1단자(121)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전원부(130)로 공급하도록 연결한다.
나아가, 충전기기(200)의 구성을 설명하면서 기술하였던 바와 같이, 충전기기(200)의 제1단자(221)와 제2단자(225)의 비 정상적 연결에 의한 단자의 파손이나 충전기기의 파손을 고려하여 구비된 구동 제어부(240)의 구성에 대응하여 충전 제어부(110)를 구성할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240)는 상기 제1레벨의 전류(5㎃)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설정된, 상기 제1레벨의 전류(5㎃)에 대응하는 전류값(예컨대, 10㎂)을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충전 제어부(110)는 제1단자(121)에서 제공되는 제1레벨의 전류(5㎃)의 일부 전류(예컨대, 10㎂)만이 상기 제2단자(125)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원부(130)는 단말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구성부로써, 예컨대, 전원부(130)는 이차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충전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충전 시스템의 충전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구동부(230)는, 구동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대응 단자부(220)에 단말장치(100)의 단자부(120)가 결합되기 이전에는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5㎃)를 공급하는 경로(231)를 제1단자(221)에 연결한다.
이후, 단말장치(100)의 단자부(120)가 충전기기(200)의 대응 단자부(220)에 결합되면, 상기 대응 단자부(220)의 제1단자(221)와 단자부(120)의 제1단자(121)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충전기기(200)의 제1레벨의 전류(5㎃)를 공급하는 경로(231)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1레벨의 전류(5㎃)가 단말장치(100)의 충전 제어부(110)에 공급된다(301).
충전 제어부(110)는 제1단자(121)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1레벨의 전류(5㎃)가 유입됨을 확인하고, 제1단자(121)에서 제공되는 전력의 전류(예, 상기 제1레벨의 전류(5㎃) 또는 상기 전류의 일부(10㎂))가 제5단자(125)로 이동되도록 연결한다. 그러면, 상기 전류(예, 상기 제1레벨의 전류(5㎃) 또는 상기 전류의 일부(10㎂))가 단자부(120)의 제5단자(125)가 대응 단자부(220)의 제5단자(225)를 통해, 구동 제어부(240)에 제공된다(302).
구동 제어부(240)는 구동부(230)에 구비된 제2레벨의 전류(1A)를 공급하는 경로(235)를 제1단자(221)에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구동부(230)에 제2레벨의 전류(1A)를 공급하는 경로(235)에서 제공되는 전력은 대응 단자부(220)의 제1단자(221)와 단자부(120)의 제1단자(121)를 통해 충전 제어부(110)에 공급된다(303).
이후, 충전 제어부(110)는 제2레벨의 전류(1A)임을 확인하고, 제1단자(121)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전원부(130)로 공급하도록 연결한다(304).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충전기기(200)에서 제공되는 전력이 단말장치(100)에 공급된다. 즉, 충전기기(200)는 단말장치(00)가 연결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충전 전력의 전류 값을 정격 전류 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대응 단자부(220)에 구비되는 단자들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들의 비 정상적인 접촉으로 인한 단자의 파손이나, 충전기기(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기(200)는 대응 단자부(220)에 구비된 제2단자(225)에 지속적으로 소정의 전류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2단자(225)의 산화 또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 방법의 충전기기 측의 동작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충전 제어 방법은 충전기기에 전력이 제공됨에 따른 그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41단계에서, 충전기기는 우선적으로 전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제한적으로 제1단자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원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제한하여, 전력원에서 지원하는 출력 전류 값 중, 일부 전류(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만이 제1단자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단자는 충전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단자일 수 있다. 상기 충전기기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단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1단자는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VBUS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42단계에서, 충전기기는, 제2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 값을 모니터링한다. 충전기기는, 지속적으로 제2단자로부터 유입되는 전류값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제2단자에,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예, 5㎃)(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에 대응되는 전류(예, 10㎂))가 유입되는지를 확인한다(43-아니오).
나아가, 상기 제2단자는 충전기기에 결합되는 전자장치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식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충전기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자는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ID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단자가,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ID 단자임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제2단자는 충전기기에 결합되는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예, 5㎃)(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에 대응되는 전류(예, 10㎂))의 유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컨대, 상기 제2단자는 충전기기에 결합되는 전자장치의 구성을 고려하여,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데이터 송수신 단자(D+, D-)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만약, 제2단자에,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예, 5㎃)(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에 대응되는 전류(예, 10㎂))가 유입되는 경우(43-예), 충전기기는 44단계를 진행한다.
44단계에서, 충전기기는 전력원에서 지원하는 출력 전류 값으로 상기 충전전력을 제1단자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 방법의 단말장치 측의 동작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단말장치 측의 충전 제어 방법은 단말장치가 충전기기에 결합됨에 따라, 그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우선, 51단계에서 단말장치는 충전기기와 결합된 제1단자를 통해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예, 5㎃)가 유입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예, 5㎃)가 유입되는 경우(51-예), 52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예, 5㎃)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51-아니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 방법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예, 5㎃)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51-아니오),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예, 5㎃)을 대기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예, 5㎃) 유입을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예, 5㎃)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51-아니오), 충전기기에서 제공되는 충전전력을 전원부(예, 이차전지)에 공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52단계에서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예, 5㎃)(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에 대응되는 전류(예, 10㎂))를 충전기기 측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예, 5㎃)(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에 대응되는 전류(예, 10㎂))가 제2단자로 유입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단말장치는 상기 제1단자를 통해 제2레벨의 전류(1A)가 공급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제1단자를 통해 제2레벨의 전류(1A)가 공급되는 경우(53-예), 54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제1단자를 통해 제2레벨의 전류(1A)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53-아니오), 전술한 52단계를 지속한다.
54단계에서, 단말장치는 충전기기 측에서 제공하는 전력을 전원부로 공급하도는 동작을 수행한다.
나아가, 상기 제1단자는 충전전력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단자일 수 있다. 상기 충전기기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단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1단자는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VBUS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단자는 단말장치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식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단자는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ID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단자가,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ID 단자임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제2단자는 충전기기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예, 5㎃)(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1레벨의 전류에 대응되는 전류(예, 10㎂))를 공급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컨대, 상기 제2단자는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데이터 송수신 단자(D+, D-)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전자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 또는 전자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프로그램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컴퓨터 또는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제공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컴퓨터 또는 전자장치에 상기 프로그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컴퓨터 또는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제공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또는 전자장치가 특정 장소 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컴퓨터 또는 전자장치에 상기 프로그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전자장치에 있어서,
    전력원과,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와,
    상기 전력원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제1레벨 및 제2레벨 중, 선택된 어느 한 레벨의 전류를 상기 제1단자로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제2단자로부터 상기 제1레벨에 대응되는 전류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제2레벨의 전류를 상기 제1단자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는 상기 단자부에 결합되는 장치를 식별하는 식별단자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단자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벨에 대응되는 전류는 상기 제1레벨의 전류 값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전자장치에 있어서,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와,
    상기 제1단자로부터 제1레벨의 전류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제1레벨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제2단자로 공급하고, 제2레벨의 전류를 전원부로 공급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는 상기 단자부에 결합되는 장치를 식별하는 식별단자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단자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제1레벨에 대응되는 전류로서, 상기 제1레벨의 전류 값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의 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1. 충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력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단자부에 구비된 제1단자로 공급하되, 제1레벨의 전류값으로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단자부에 구비된 제2단자의 전류 값을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제2단자로부터 상기 제1레벨에 대응되는 전류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1단자로 공급하되, 제2레벨의 전류값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충전 제어 방법.
  12. 충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자부에 구비된 제1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단자로부터 제1레벨의 전류가 입력됨에 대응하여, 상기 제1레벨의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값을 상기 단자부의 제2단자로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제1단자로부터 제2레벨의 전류가 입력됨에 대응하여, 상기 제2레벨의 전류를 전원부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충전 제어 방법.
KR1020130105549A 2013-09-03 2013-09-03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21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549A KR102121856B1 (ko) 2013-09-03 2013-09-03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US14/475,055 US10128676B2 (en) 2013-09-03 2014-09-02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EP14842320.5A EP3042432B1 (en) 2013-09-03 2014-09-03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CN201480047097.XA CN105493381B (zh) 2013-09-03 2014-09-03 用于对电池充电的方法和装置
PCT/KR2014/008263 WO2015034256A1 (en) 2013-09-03 2014-09-03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549A KR102121856B1 (ko) 2013-09-03 2013-09-03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551A true KR20150026551A (ko) 2015-03-11
KR102121856B1 KR102121856B1 (ko) 2020-06-11

Family

ID=5258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549A KR102121856B1 (ko) 2013-09-03 2013-09-03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28676B2 (ko)
EP (1) EP3042432B1 (ko)
KR (1) KR102121856B1 (ko)
CN (1) CN105493381B (ko)
WO (1) WO20150342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180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충전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8903B2 (en) * 2015-03-24 2019-11-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Extended base of mobile terminal and power supply management method for extended base
USD853326S1 (en) * 2017-09-20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ger for electronic device
JP1612993S (ko) * 2017-10-03 2018-09-10
US11791581B2 (en) * 2020-12-01 2023-10-17 Textron Innovations Inc. Antispark battery conne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1241A1 (en) * 2005-02-15 2006-08-17 Dusan Veselic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chargeable USB device
KR20090028196A (ko) * 2007-09-14 2009-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충전 장치 및 방법
JP2010200602A (ja) * 2009-01-28 2010-09-09 Kyocera Corp 電子機器、電源状態通知方法及び電源状態通知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5275A (en) 1995-05-24 1997-04-29 Ast Research, Inc. Power supply which provides a variable charging current to a battery in a portable computer system
WO2003036777A1 (en) * 2001-10-22 2003-05-01 Apple Computer,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in a peripheral device
US6664765B2 (en) 2002-01-30 2003-12-16 Denso Corporation Lithium-ion battery charger power limitation method
US7525291B1 (en) 2003-01-21 2009-04-28 Microsemi Corporation Linearly regulated battery charger
EP1691252B1 (en) 2005-02-15 2010-09-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chargeable usb device
US9587924B2 (en) 2007-07-10 2017-03-07 Omnitek Partners Llc Shock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shock detection
US8350522B2 (en) * 2010-03-10 2013-01-08 Apple Inc. External power source voltage drop compensation for portable devices
CN103208850B (zh) 2013-04-12 2016-01-1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可变充电电压的usb充电系统、充电器及智能终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1241A1 (en) * 2005-02-15 2006-08-17 Dusan Veselic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chargeable USB device
KR20090028196A (ko) * 2007-09-14 2009-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충전 장치 및 방법
JP2010200602A (ja) * 2009-01-28 2010-09-09 Kyocera Corp 電子機器、電源状態通知方法及び電源状態通知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180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충전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4256A1 (en) 2015-03-12
CN105493381B (zh) 2019-06-28
KR102121856B1 (ko) 2020-06-11
US10128676B2 (en) 2018-11-13
EP3042432B1 (en) 2018-07-18
EP3042432A4 (en) 2017-06-28
EP3042432A1 (en) 2016-07-13
US20150061575A1 (en) 2015-03-05
CN105493381A (zh) 201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8896B2 (en) High efficiency power storage adapter
US103333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attery charger with internal power source
JP5049569B2 (ja) 電気機器、電気機器システム、および電源機器
CN108736539B (zh) 充电线缆和终端
KR20150026551A (ko)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TWI668936B (zh) 控制充電的方法和電腦可讀媒體
US1153940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configured to carry out wireless power supply
US10642333B2 (en) Power storage adapter for efficient supply of power of multiple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CN111602311A (zh) 发送无线充电停止原因的电子装置和方法
US20100060233A1 (en) Charger with USB detection
US11513928B2 (en) Power storage adapter with power cable validation
EP3443634B1 (en) Smart senses for direct charging
US20140292095A1 (en) Power supply apparatus, power suppl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70117732A1 (en) Controllable energy transfer between portable devices
US20190081515A1 (en) Power storage adapter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EP370005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based on foreign object detec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CN104617643A (zh) 充电方法、待充电设备、供电设备及充电系统
US114629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harging on basis of state of battery
TWI559125B (zh) 行動電源裝置及其電源控制方法
TWI558058B (zh) 充電系統及其充電方法
CN107994626B (zh) 电池组以及充电系统
US9912180B2 (en) Charge device for battery charging and method thereof
JP2016015796A (ja) 電動車両の充電制御装置、充電制御システム、及び充電制御方法
CN114379403A (zh) 车辆及其控制方法
CN110970950A (zh) 充电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分体式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