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418A -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418A
KR20150026418A KR20130105213A KR20130105213A KR20150026418A KR 20150026418 A KR20150026418 A KR 20150026418A KR 20130105213 A KR20130105213 A KR 20130105213A KR 20130105213 A KR20130105213 A KR 20130105213A KR 20150026418 A KR20150026418 A KR 20150026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file
service
terminal devic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320B1 (ko
Inventor
서종원
유병철
차동욱
박경서
임지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5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32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연결 시도시 착신 사용자에게 발신 사용자의 통화 목적을 쉽게 전달할 수 있으며, 통화 별 통화 목적 및 통화 내용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통화 요청 버튼 및 메시지 작성 버튼을 포함하는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메시지 작성 버튼이 선택되면, 메시지 작성을 위한 키패드 영역 및 작성된 메시지가 표시된 메시지 표시 영역을 더 표시하고, 이후 통화 요청 버튼이 선택되면, 메시지 표시 영역에 표시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을 지정된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현된다.

Description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multimedia ring-back, and equipment therefor}
본 발명은 둘 이상의 단말 장치 간에 실시간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통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 연결 시도 시 링백 모드를 이용하여 통화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메일, 오디오, 사진 등의 파일을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링백 모드를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첨부 파일이 포함된 통화 이력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 간에 실시간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통화서비스는, 최초 전화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공중 전화망을 통해 상대방의 전화기로 전송하면, 상대방의 전화기에서 상기 전기신호를 가청음으로 바꾸어 출력하는 형태로 제공된 후,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통화 서비스, 위성신호를 이용한 위성 통화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특히,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통화 서비스는, 장소에 관계없이 이동하면서 통화가 가능함은 물론,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통화 품질까지 안정화되면서, 최근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아울러, 이동성을 기반으로 이동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요구 및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통화 서비스만 가능하던 휴대 전화기에서 개방형 운영체제를 탑재하여 통화 이외에, 인터넷 브라우징 기능,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카메라 기능, 전자 우편, 인스턴트 메시징 기능 등 PC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까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이동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의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이용자들은 단순한 통화 기능 이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이용자의 욕구를 충족하고자 지정된 통화 연결음 이외에 사용자가 지정한 혹은 다양한 형태의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는 링백톤 서비스, 발신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발신자 표시 서비스, 지정된 다른 단말 장치로 착신 호를 전달하여 주는 착신 전환 서비스, 부재중에 걸려온 전화를 확인할 수 있는 부재중 확인 서비스 등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통화 연결 대기중인 동안은 단순하게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호출음 또는 안내 메시지(부재중 안내 메시지 중)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정도의 부가 서비스만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시간 및 장소에 관계없이 걸려오는 전화에 대하여 중요 전화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 중요한 전화만을 골라 받을 수 없다. 또한, 발신자도 상대방이 전화를 받기 전까지는 자신의 전화 목적을 알릴 수 없어, 긴급 통화가 필요한 경우에도 상대방의 착신을 수락하기까지 계속 연결을 시도할 수 밖에 없었다.
한국등록특허 제0745499호, 2007년 07월 27일 등록 (명칭: 착신자 상황 안내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통화 연결 시도시 링백 모드를 이용하여 통화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사진, 오디오, 메일 등의 첨부 파일을 함께 전송하고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통화 연결 시도 시, 통화 요청 버튼과 함께 파일 첨부 버튼을 포함하는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고, 파일 첨부 버튼의 선택 시 단말 장치의 내부 및 단말 장치가 접속된 통신망 상에 위치한 파일을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는 파일 선택 영역을 상기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제공하고, 상기 파일 선택 영역을 통해 선택된 파일 또는 선택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지정된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단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통신부; 및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서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다른 단말 장치로의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통화 연결 요청이 링백 모드를 이용한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인지를 판단하고, 링백 모드를 이용한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특정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첨부 파일이 통화 연결 대기중인 동안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제어부는 통화 연결 요청이 기 설정된 서비스 구분자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링백 모드를 이용한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제어부는, 링백 모드를 이용한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으로 판단되는 경우, 링백 서비스 장치에 요청하여, 상기 링백 서비스 장치가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첨부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거나, 특정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첨부파일을 링백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요청하거나,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첨부 파일을 수신하여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장치는, 서비스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서비스 제어부는 통화 연결 요청을 상기 첨부 파일과 매핑하여 통화 이력 정보로 서비스 저장부에 저장하고,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통화 이력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통신망을 통해서 상대 단말 장치로 통화 연결 요청 및 상기 통화 연결 요청과 관련된 첨부 파일을 전송하는 통신부; 통화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통화 요청 버튼, 파일 첨부 버튼을 포함하는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부로 출력하고, 입력부를 통해 파일 첨부 버튼이 선택되면, 첨부할 파일 검색 및 선택을 위한 파일 선택 영역을 표시하고, 이후 통화 요청 버튼이 선택되면, 파일 선택 영역에서 선택된 파일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을 지정된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통화 요청 버튼 및 파일 첨부 버튼을 포함하는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파일 첨부 버튼이 선택되면, 첨부할 파일 검색 및 선택을 위한 파일 선택 영역을 더 표시한 후, 상기 통화 요청 버튼이 선택되면, 파일 선택 영역에서 선택된 첨부 파일 및 통화 연결 요청을 지정된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하거나,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첨부파일 및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 다수의 단말 장치 간에 통화로 연결을 위한 통화 연결 요청 및 응답을 전달하되, 통화 연결 요청이 첨부 파일이 함께 전송되는 링백 모드인 경우, 첨부 파일의 전송을 요청하는 통화 서비스 장치; 및 통화 서비스 장치의 요청에 따라서 통화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다수의 단말 장치 간에 첨부 파일을 전달하는 링백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다른 단말 장치로의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이 링백 모드를 이용한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링백 모드를 이용한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특정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첨부 파일이 통화 연결 대기중인 동안 상기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장치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요청 버튼 및 파일 첨부 버튼을 포함하는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파일 첨부 버튼이 선택되면,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첨부할 파일을 검색하고 선택하기 위한 파일 선택 영역을 출력하는 단계; 통화 요청 버튼이 선택되면, 지정된 상대 단말 장치로 파일 선택 영역에서 선택한 첨부 파일 및 통화 연결 요청을 지정된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메시지 작성 버튼을 더 표시하고, 메시지 작성 버튼이 선택되면, 메시지 작성을 위한 키패드 영역 및 작성된 메시지가 표시된 메시지 표시 영역을 상기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파일 선택 영역을 출력하는 단계는, 키패드 영역 및 메시지 표시 영역이 선택된 상태에서, 파일 첨부 버튼이 선택되면, 키패드 영역을 상기 파일 선택 영역으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파일 파일 선택 영역에서 선택된 첨부 파일을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에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메시지 표시 영역에 표시된 메시지 및 첨부 파일 중 하나 이상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대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 및 첨부 파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 첨부 파일, 발신자 정보, 통화 수락 및 거절을 위한 버튼, 답장 메시지 버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답장 메시지 버튼이 선택되면, 키패드 영역 및 상기 키패드 영역의 조작에 따라 작성된 답장 메시지가 표시되는 메시지 표시 영역을 상기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하고, 메시지 작성 완료 후, 메시지 표시 영역에 표시된 답장 메시지를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하면서, 통화 연결 요청을 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또는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대 단말 장치와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면, 녹음 버튼을 포함하는 통화중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녹음 버튼이 선택되면, 사용자와 상대방과의 통화 내용을 녹음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대 단말 장치와의 통화가 종료되면,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전송된 메시지, 첨부 파일, 녹음 데이터, 답장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통화 정보와 매핑하여 통화 이력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통화 이력 조회가 요청되면,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전송된 메시지, 첨부 파일, 녹음 데이터, 및 답장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이 통화 정보와 매핑된 통화 이력 정보들을 시간, 날짜, 통화 상대자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정렬된 조회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술한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장치는 통화 연결 요청 및 상기 통화 연결 요청과 관련된 첨부 파일을 동일한 전송로 혹은 서로 다른 전송로를 통해서 발신측 단말 장치로부터 착신측 단말 장치로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착신측 단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착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연결을 요청한 사용자는, 통화 연결 시도 시,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자신의 통화 목적과 관련된 동영상, 사진, 오디오, 문서, 이메일 등의 파일을 선택하여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첨부하고자 하는 파일의 검색 및 선택을 통화 시도 중에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한번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발신 처리 중에 큰 시간적 지연 없이 파일 첨부를 수행할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통화 연결 시도 시,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파일 첨부와 함께 메시지를 더 작성하여, 첨부 파일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을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단순히 발신자 정보만을 제공하던 종래에 비하여 더 효율적인 통화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 진다.
더하여, 본 발명은 통화 이력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통화 별로 함께 수신된 메시지 및 첨부 파일, 그리고 녹음 데이터를 함께 매핑하여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통화 이력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통화 별로 첨부된 메시지 및 파일을 함께 매핑하여 통화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단순히 통화 시간 및 통화 상대방의 정보만 제공하던 종래에 비하여 통화 이력 관리가 좀더 수월해 지면서, 업무 등 다양한 용도에 응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단말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통화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링백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조회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되는 네트워크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링백 모드'는 통화 호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지정한 통화 연결음(링백톤)뿐만 아니라 문자로 이루어진 메시지 혹은 동영상이나 이미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링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화 서비스는 통신망(10)을 통해서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단말 장치(100)가 통화로를 연결하고, 연결된 통화로를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들의 통화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들 간에 실시간 대화를 가능케 하는 서비스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10)을 통해서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통신하는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100), 통화 서비스 장치(200) 및 링백 서비스 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통화 서비스는,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통화 상대자 간에 실시간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까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는, 2G 및 3G의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IP 망 기반의 VoIP 서비스, LTE 망 기반의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인 VoLTE까지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측 장치로서, 통신망(10)에 접속 가능하면서 음성 신호의 처리를 포함하는 통화 기능을 구비한 장치라면 어떤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전화 장치뿐만 아니라, 전화 기능을 갖는 타블렛 PC, 스마트 TV, IP 기반 전화 기능을 갖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2G 및 3G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서비스 혹은 VoLTE의 경우, 상기 단말 장치(100)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이 될 수 있으며, VoIP 서비스의 경우, 상기 단말 장치(100)는 VoIP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및 스마트 TV,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100)는 통화 연결 요청을 기준으로 발신측과 착신측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101은 발신측 단말 장치로, 102를 착신측 단말 장치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은, 이동통신망에서 사용되는 ISUP의 호설정 메시지(IAM: Initial Address Message), VoIP에서 사용되는 SIP의 INVITE 메시지가 될 수 있으며, 이외에 통화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다른 메시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망(10)은, 이러한 단말 장치(101, 102)간에 통화 채널 혹은 세션으로 표현되는 통화로를 연결하고, 상기 통화로를 통한 단말 장치(101, 102) 간의 통화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한다. 이러한 통신망(10)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신망뿐만 아니라 향후 사용 예정인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망(10)은, 3세대 이동통신, 4세대 이동통신,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도 있다.
아울러, 상기 통신망(10)은, 다수의 단말 장치(100) 들간의 발신 및 착신에 따른 호처리 및 통화로의 연결 설정을 위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망(10)이 이동통신망인 경우, 다수의 단말 장치(10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접속망과, 다수의 단말 장치(100)의 호 처리, 이동성 제어, 스위칭 등을 수행하는 코어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접속망은,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노드B, e노드B 등과 같은 기지국 장치 및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Resource Control)과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이루어지며, 코어망은 MSC/VLR나 SGSN/GGSN와 같은 교환 장치 및 가입자 위치를 등록 및 관리하는 HLR 혹은 HSS, 인증 처리를 위한 AuC 혹은 AA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4세대 이동통신망의 경우, 상기 코어망은, MME, S-GW, PDN-GW, PCRF, HSS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통신시스템들은,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부터 전송된 통화 요청을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달하고, 착신측 단말 장치(102)의 수락에 따라서 발신측 단말 장치(101)와 착신측 단말 장치(102) 간에 통화로를 연결한다. 그리고, 연결된 통화로를 통해 발신자와 착신자의 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통화 서비스를 위한 통신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10)은,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통화 요청을 수신하여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송한다. 그리고,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부터의 응답에 따라서 상기 발신측 단말 장치(101)와 착신측 단말 장치(102) 간에 통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통화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측의 다수의 단말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라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발신측 사용자의 통화 목적, 긴급 여부를 알리는 메시지를 쉽게 작성하여 전송하고, 이러한 통화 별로 전송된 메시지, 첨부 파일 및 녹음 데이터와 같은 통화 이력 정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단말 장치(100)는, 통화 요청 버튼과 함께 메시지 작성 버튼 및 파일 첨부 버튼을 포함하는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상기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사용자의 발신 기능 선택에 따라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단말 장치(100)는 상기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메시지 작성 버튼이 선택되면, 메시지 작성을 위한 키패드 영역 및 작성된 메시지가 표시된 메시지 표시 영역을 상기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함께 출력함으로써,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원하는 메시지를 바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상기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키패드 영역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에 출력한다. 더하여, 상기 단말 장치(100)는 파일 첨부 버튼이 선택되면, 단말 장치(100)의 내부 저장소 및 단말 장치(100)가 접속한 통신망(10) 상에 위치한 외부 저장소에 위치한 파일을 검색하여 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파일 선택 영역을 상기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더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파일 선택 영역에는, 사용자가 검색 가능한 파일들이 저장 위치 혹은 파일 종류별로 소정의 아이콘으로 표시되고, 그 중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해당 위치의 파일들 혹은 지정된 종류의 파일들의 목록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상기 파일 선택 영역을 통해서 표시된 목록 중 특정 파일을 선택하면, 선택된 파일은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에 메시지와 함께 첨부 파일로 표시된다.
이후, 통화 요청 버튼이 선택되면, 단말 장치(100)는 지정된 상대 단말 장치로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에 표시된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전송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 및 첨부 파일과 통화 연결 요청은 같은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도 있고, 다른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즉, 통화 연결 요청은 회선 교환망을 통해 전송되고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은 패킷 교환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 연결 요청과 상기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은 회선 교환망 또는 패킷 교환망을 통해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연결 요청을 회선 교환망을 통해 전송할 때, 상기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은 회선 교환망의 SMSC, MMSC, 및 LMSC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VoIP 또는 VoLTE 서비스의 경우, 패킷 망을 통해 통화 연결 요청과 상기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첨부 파일은, 선택된 파일 자체 혹은 선택된 파일이 저장된 위치 등과 같이 첨부 파일과 관련된 정보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 장치(100)는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 장치(100)는 상기 메시지 및 첨부 파일과 함께, 발신자 정보, 통화 수락 및 거절을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며, 사용자는 상기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통화를 요청한 발신자의 정보 및 발신자의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확인한 후, 통화를 수락하거나 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는 거절 시 상기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답장 메시지를 작성하여 바로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도 있다.
아울러, 상기 단말 장치(100)는 상대 단말 장치와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면, 녹음 버튼을 포함하는 통화중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며, 사용자는 통화 중에 상기 녹음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자신과 상대방의 음성, 즉, 통화 내용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하, 이렇게 저장된 통화 내용을 녹음 데이터라 한다.
더하여, 상기 단말 장치(100)는, 상대 단말 장치와의 통화가 종료되면,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전송된 메시지 및 첨부 파일과, 통화 정보, 상기 녹음 데이터를 매핑하여 통화 이력 정보로 저장하며, 사용자로부터 통화 이력 조회가 요청되면,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통화 이력 정보를 시간, 날짜, 통화 상대자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조회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회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는 각 통화 이력 정보는, 발신자가 전송한 메시지 및 첨부 파일, 통화 시간, 통화 상대방(발신자 혹은 착신자)의 정보, 녹음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버튼(녹음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이 함께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조회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통화 별로 첨부된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회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특정 통화 상대방과의 통화 이력을 조회할 때, 각 통화 이력에 포함된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통해 해당 통화에서 어떤 대화가 이루어 졌는지를 보다 쉽게 기억해낼 수 있으며, 아울러, 녹음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이전 통화 이력의 통화 내용을 다시 들어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단말 장치(100)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는 통화 서비스 장치(200) 및 링백 서비스 장치(300)의 지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다수의 단말 장치(100) 간의 통화로 연결을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다수의 단말 장치(100) 간에 통화 연결 요청 및 그에 대한 응답(수락 혹은 거절 메시지)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부터 전송된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지정된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달한다. 그리고,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착신측 단말 장치(102)의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한 수락 혹은 거절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 전달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에서는, 상기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전송될 때, 사용자가 작성한 문자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와 같이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통화 연결 요청이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연결 요청인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부터 전송된 통화 연결 요청은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기 설정된 서비스 구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수신된 통화 연결 요청에 상기 서비스 구분자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함에 의하여, 링백 모드 통화 연결 요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링백 모드인 경우,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링백 서비스 장치(300)로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부터 첨부 파일 및 메시지를 수신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서, 링백 서비스 장치(300)는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부터 첨부 파일 및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지정된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 및 링백 서비스 장치(300)의 중계에 의하여 발신측 단말 장치(101)와 착신측 단말 장치(102) 간에 통화 연결 요청 및 그에 대한 응답이 전달되면서, 상기 통화 연결 요청과 관련된 첨부 파일 및 메시지가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부터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별도의 응용 서버(Application server)로 구현될 수 도 있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100)들간의 호 처리를 지원하는 구성 요소(예를 들어,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MSC/VLR 등)와 연동하거나, 이들과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링백 서비스 장치(300)는 다수의 단말 장치(100) 간에 통화 연결 요청과 관련된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의 전송을 지원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링백 서비스 장치(300)는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와 연동하여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부터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수신하여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송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통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송하는 통화 연결 요청에 상기 메시지 및 첨부파일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면, 착신측 단말 장치(102)가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통화 연결 요청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통해 링백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해당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획득하여, 착신알림과 함께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 및 링백 서비스 장치(300)가 별도로 구성되고,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의 요청에 의하여 링백 서비스 장치(300)가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부터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수신하여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와 상기 링백 서비스 장치(300)를 하나의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이후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 중, 단말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2 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단말 장치(100)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이 기능적으로 연동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110)는, 통신망(10)에 접속하여, 상기 통신망(10)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통신망(10)의 구조 및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그 구성 및 동작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1G, 2G, 3G 방식 등 다양한 이동 통신 방식 또는 유선 통신 방식 또는 Wi-Fi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망(10)이 이동통신망인 경우, 통신부(110)는 최초 접속 시 주변 기지국 탐색하여, 탐색된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자원을 할당 받고, 위치 등록을 요청하여 단말 장치(100)의 위치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특정 상대 단말 장치로의 통화 요청(발신 요청)을 통신망(10)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통신망(10)으로부터 특정 상대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통화 연결 요청과, 상기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동일한 통신망(즉, 회선 교환망 또는 패킷 교환망)을 통해서 송수신하거나, 서로 다른 통신망(회선 교환망 및 패킷 교환망)을 통해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된 통화로를 통해서 사용자의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대방의 통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데이터는, 음성 통화인 경우, 음성 데이터를 의미하며, 영상 통화인 경우,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단말 장치(100)에 대한 혹은 단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특정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단말 장치(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 키 및 기능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모션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입력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가 터치스크린으로 제작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상에 구현되는 소프트 키 및 사이드 키나 별도의 핫 키, 단축 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20)는 통화를 요청하거나,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첨부할 파일을 검색하여 선택하거나, 요청된 통화를 수락하거나, 통화 중 녹음을 지시하거나, 기 저장된 통화 이력 조회를 요청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를 표시하거나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 수단으로서,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상태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통화 기능 실행 시, 본 발명에 따른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통화중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및 조회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1)는 제조 형태에 따라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40)는 마이크 및 스피커 등의 가청음 인식 수단이나 가청음 출력 수단에 연결되어, 인식된 음성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거나, 제어부(160)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특히, 상기 오디오 처리부(140)는 통화 중에 제어부(160)에 의해 처리된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및 동작 결과로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단말 장치(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기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통화를 위한 착발신 처리 및 통화 이력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제어부(160)에 의해 관리되는 통화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통화 이력 정보는, 통화 일자 및 통화 시간을 포함하는 통화 정보와, 통화 상대자의 식별 정보와, 캐릭터, 사진, 아바타와 같은 이미지 정보와, 해당 통화 요청 시 함께 전송된 메시지 및 첨부 파일, 통화 중 저장된 녹음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OS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할 수 있는 실행 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혹은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혹은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통화 서비스 제공 중, 메시지를 포함한 통화 요청을 전송하거나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아울러,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화 이력의 관리 및 조회를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통화 기능 모듈(161)을 포함한다. 상기 통화 기능 모듈(161)을 통하여, 통화 기능 선택 시 본 발명에 따른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화중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회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이 제공되고, 이를 통해 요청된 기능을 처리한다.
특히, 통화 기능 모듈(161)은,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이 포함되는 링백 모드 통화 연결 요청을 전송할 때, 링백 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서비스 구분자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이후 링백 서비스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링백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 기능 모듈(161)은 송수신되는 메시지 및 첨부 파일과 통화 이력을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관리하며, 아울러, 동일 시간대에 송수신되는 메시지 및 첨부파일과 통화 이력을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또는 ASIC와 같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러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 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른 동작은 추후 도 5 내지 도 8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통화 서비스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서비스 통신부(210)와, 서비스 제어부(220) 및 서비스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통신부(210)는 통신망(10)을 통해서 다수의 단말 장치(100) 및 링백 서비스 장치(300)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서비스 제어부(220)는 단말 장치(100)들 간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통화 서비스 장치(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어부(220)는, 상기 서비스 통신부(210)를 통해서 특정 단말 장치(101)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링백 모드 통화 연결 요청인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어부(220)는 통화 연결 요청이 기 설정된 서비스 구분자를 포함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어부(220)는, 링백 모드 통화 연결 요청인 경우, 즉,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메시지 및 첨부파일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링백 서비스 장치(300)로 링백 모드를 통한 메시지 및 첨부파일의 전송을 요청한다. 아울러,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을 서비스 통신부(210)를 통해서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제어부(220)는 링백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발신측 단말 장치(101)가 전송한 메시지 및 첨부파일의 저장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저장부(230)는 통화 서비스 장치(200)의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통화 연결 요청 및 메시지의 전달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아울러, 상기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수신된 메시지를 임시 또는 일정 기간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220)는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을 상기 첨부 파일과 매핑하여 통화 이력 정보로 상기 서비스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단말 장치(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통화 이력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링백 서비스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링백 서비스 장치(3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10)와, 링백 서비스 제어부(320) 및 저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10)는 통신망(10)을 통해서 다수의 단말 장치(100) 및 통화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링백 서비스 제어부(320)는 단말 장치(100)들 간에 통화 연결 요청과 관련된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전송하는 동작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링백 서비스 제어부(320)는,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과 관련된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수신하여,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링백 서비스 제어부(320)는, 상기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통화 연결 요청과 관련된 메시지를 저장부(330)에 저장하고, 저장된 위치 정보(예를 들어, URL)를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로 전달한다. 이후, 착신측 단말 장치(102)가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면, 해당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링백 서비스 장치(3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메시지 및 첨부파일의 수신 및 전송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아울러, 상기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수신된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임시 또는 일정 기간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링백 서비스 장치(300)는 SMSC, MMSC 뿐만 아니라, IP 망을 기반으로 실시간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IM(Instant messaging) 서비스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장치들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과정을 도 5 내지 16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단말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발신 기능 선택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상대 단말 장치의 번호를 입력하거나, 기 저장된 주소록에 등록된 정보 중 특정 상대 단말 장치의 번호를 선택한 후, 발신 기능을 선택하면(S110), 통화 요청 버튼, 메시지 작성 버튼 및 파일 첨부 버튼을 포함하는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S120). 아울러, 상기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통화 상대방(착신자)에 대한 정보(전화번호 혹은 성명, 이미지 등)가 더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상기 메시지 작성 버튼을 선택하면(S130),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메시지 작성을 위한 키패드 영역 및 작성된 메시지가 표시된 메시지 표시 영역을 상기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S140). 즉, 앞서 S120 단계에서 출력된 발신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키패드 영역 및 메시지 표시 영역을 추가 표시한다.
이후, 상기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상기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나타난 키패드 영역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에 출력한다(S150).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통화 목적을 간단하게 문자로 작성하거나 긴급함을 알려 상대방이 착신을 수락할 가능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통화 목적을 메시지로 작성함으로써, 상대방이 통화 수락 전 통화 후의 대화를 예측하거나 준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상기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파일 첨부 버튼이 선택되면(S160), 메시지 표시 영역과 첨부할 파일의 검색 및 선택을 지원하는 파일 선택 영역을 제공한다(S170). 구체적으로, S140 단계 혹은 S150 단계에서 표시된 메시지 표시 영역이 그대로 유지되고, 상기 키패드 영역은 파일 선택 영역으로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기 작성한 메시지에 추가적으로 파일을 선택하여 첨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S140 단계 및 S150 단계 없이, 파일 첨부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메시지 표시 영역 및 파일 선택 영역이 새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일 선택 영역은,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의 내부 저장소 또는 단말 장치(100)가 접속된 통신망(10)에 연결된 저장소에 위치한 저장 위치 혹은 파일 그룹이 소정의 아이콘으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 저장 위치로 저장된 파일 혹은 파일 그룹의 목록이 표시된다.
이렇게 메시지를 작성하고, 파일을 첨부한 사용자는 상기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통화 요청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통화 요청 버튼이 선택되면(S180),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지정된 상대 단말 장치로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에 표시된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S190). 즉, 단말 장치(100)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 첨부 파일, 상대 단말 장치의 전화 번호(착신자 번호), 자신의 전화번호(발신자 번호)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을 통신망(10)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시지 및 첨부 파일과 통화 연결 요청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링백 모드를 나타내는 서비스 구분자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을 통신망(10)으로 전송하며,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은 통화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된다. 이후 서비스 구분자를 통해 링백 모드를 확인한 통화 서비스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서, 링백 서비스 장치(300)가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발신측 단말 장치(101)가 상기 통화 연결 요청과 관련된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링백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은, 기본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통화 상대방에 대한 정보 표시 영역(71)과, 통화 요청 버튼(72), 메시지 작성 버튼(73), 파일 첨부 버튼(74)을 포함한다.
상기 상태에서, 메시지 작성 버튼(73) 또는 파일 첨부 버튼(74)이 선택되면, 상기 통화 상대방에 대한 정보 표시 영역(71)과, 통화 요청 버튼(72), 메시지 작성 버튼(73), 파일 첨부 버튼(74)에 더하여, 메시지 작성, 파일 첨부를 위한 필요 기능이 추가로 표시된다.
먼저, 메시지 작성 버튼(73)이 선택되면,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75) 및 키패드 영역(76)이 추가로 더 표시된다. 상기 키패드 영역(76)은,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다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키패드 영역(76)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된 문자의 조합으로 메시지가 작성되며, 작성된 메시지는 메시지 표시 영역(75)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파일 첨부 버튼(74)이 선택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75) 및 파일 선택 영역(77)이 표시된다. 여기서, 메시지 표시 영역(75)은 그대로 유지되면, 상기 키패드 영역(76)이 파일 선택 영역(77)으로 변경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파일 선택 영역(77)에는, 첨부할 파일을 검색하여 선택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단말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된 저장소 혹은 단말 장치(100)가 접속된 통신망(10)에 연결된 저장소에 저장된 다수의 파일을, 저장 위치 혹은 파일 그룹 별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다수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파일 선택 영역(77)에 표시된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파일을 검색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파일 선택 영역(77)에 표시된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면,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저장 위치 혹은 파일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파일 목록(78)이 표시된다. 이때, 각 파일 별로, 사용자가 선택 여부를 지정할 수 있는 선택 박스(78a)가 함께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선택 박스(78a)를 선택함에 의하여 원하는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파일 목록(78)에 표시된 파일들 중 선택된 파일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표시 영역(75)에 첨부 파일로 표시된다.
상술한 도 11 및 도 12의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파일을 메시지와 함께 첨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통화 요청 버튼(72)은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메시지 표시 영역(75)에 작성된 메시지 및 첨부된 파일이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된다. 통화 연결 요청 후에, 상기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에는 통화 연결 중임을 나타내는 상태 메시지가 더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포함하지 않는 통화 연결 요청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메시지 작성 버튼 및 파일 첨부 버튼의 선택 없이, 바로 통화 요청 버튼을 선택하면 된다.
즉,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메시지 작성 버튼 및 파일 첨부 버튼의 선택 없이, 사용자가 통화 요청 버튼을 선택하면, 메시지 및 파일을 포함하지 않은 통화 연결 요청을 지정된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00)의 착신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임의의 상대 단말 장치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210).
이 경우, 단말 장치(100)의 동작은 통화 연결 요청에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지의 여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통화 연결 요청이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지, 즉,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연결 요청인 지를 확인한다(S220). 이는 단말 장치(100)가 수신된 통화 연결 요청에 링백 모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구분자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단말 장치(100)는, 상기 서비스 구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화 연결 요청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링백 서비스 장치(300)에 접속하여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단말 장치(100)는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통화 상대자 정보,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한 수락 혹은 거절 버튼을 표시하고(S230), 상기 수락 혹은 거절 버튼의 선택에 따라서, 통화로를 연결하거나 통화를 종료한다(S240).
반면에 상기 수신한 통화 연결 요청이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 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첨부 파일, 통화 상대방(발신자) 정보, 통화 수락 및 거절을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S250). 상기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은, 통화 상대방 정보에 매핑되어, 말풍선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통화 상대방이 전하는 메시지 및 첨부 파일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답장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답장 메시지 버튼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답장 메시지 버튼, 수락 및 거절 버튼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수락 및 거절 버튼을 선택하면, S240 단계를 수행하여, 통화로를 연결하거나 통화 종료를 수행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답장 메시지 버튼을 선택하면(S260), 단말 장치(100)는, 통화 연결을 요청한 상대 단말 장치로 답장 메시지를 작성하여 송부할 수 있도록,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메시지 표시 영역 및 키패드 영역을 노출시킨다(S270).
그리고, 키패드 영역의 조작에 따라서 작성됨 메시지를 메시지 표시 영역에 표시하면서,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통화 거절 후,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에 작성된 메시지를 상대 단말 장치에 답장 메시지로 전송한다(S280).
상술한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를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한 단말 장치(100)의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은, 통화 상대방 정보(발신자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81)과, 상기 통화 상대방이 전송한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 영역(82)과,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한 수락 또는 거절을 위한 버튼 영역(83)과, 통화 거절 시 통화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답장 메시지 버튼(84)을 포함한다.
상기 영역(81)은, 통화 상대방 정보로서, 통화 상대방에 대하여 지정된 이미지(사진, 캐릭터, 이모티콘 등), 통화 상대방에 대하여 지정된 호칭(성명, 직급, 별명, 애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82)은, 상기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인출되는 말풍선 형태로 표시되어, 통화 상대방이 전달하는 메시지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표시된다.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82)에는, 통화 상대방이 작성한 메시지, 첨부 파일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답장 메시지 버튼(84)이 선택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통화 연결을 요청한 상대방에게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통화 상대방에 대한 정보(85), 답장 메시지 표시 영역(86) 및 키패드 영역(87)이 표시된다. 상기 키패드 영역(87)의 조작에 따라 답장 메시지 표시 영역(86)에 메시지가 표시되며, 메시지 작성 완료 후, 상기 답장 메시지 표시 영역(86)에 표시된 메시지가 통화 상대방의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된다. 이때, 통화 연결 요청을 거절하는 응답이 함께 전송된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통화가 연결된 후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상기 도 5의 과정에 따른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을 요청한 후, 통화 상대의 수락에 의하여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거나, 도 6의 과정에 따라 제공된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수락 버튼을 선택함에 의해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면(S310), 단말 장치(100)와 상대 단말 장치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는 동안, 녹음 버튼을 포함하는 통화중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S320).
그리고, 상기 통화중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녹음 버튼이 선택되면(S330), 사용자와 상대방과의 통화 내용을 녹음 데이터로 저장한다(S340).
그리고, 상기 통화중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통화 종료 버튼이 선택되거나, 통화로 차단 혹은 상대방의 통화 종료에 의하여 통화가 종료되면(S350), 단말 장치(100)는, 상기 도 5 및 도 6에서,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전송된 메시지 및 첨부 파일과, 통화 정보(통화 시간, 통화 일자, 통화 상대방 정보 등) 및 상기 녹음 데이터를 매핑하여 통화 이력 정보로 저장한다(S260). 참고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거절과 함께 답장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통화 정보 및 답장 메시지도 통화 이력 정보로서 함께 저장된다.
마지막으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통화 이력 조회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입력부(120)를 통해서 통화 이력 조회가 요청되면(S410), 메시지 및 첨부 파일, 통화 정보, 답장 메시지 및 녹음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통화 이력 정보를 시간, 날짜, 통화 상대자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조회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출력한다(S420).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통화 상대자의 통화 이력을 조회한 경우, 해당 통화 상대자와의 통화 이력이 시간 순으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 각 통화 이력은, 해당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이 포함된 통화 이력인지, 답장 메시지인지를 구분하여 나타내는 통화 상태 정보(91)와, 해당 통화 요청시 포함된 메시지(92), 녹음 데이터를 포함하는 녹음 데이터의 재생 버튼(93) 및 재생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94), 첨부 파일 정보(95) 중에서 하나 이상이 통화 이력에 맞추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 이력 조회만으로, 어떠한 내용이 통화가 있었는지 쉽게 기억해 낼 수 있다.
한편, 녹음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화 이력 정보에 대하여 표시된 녹음 재생 버튼이 선택되면(S430),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상기 통화 이력에 매핑된 녹음 데이터를 재생하여 오디오 처리부(140)를 통해서 가청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S440).
또한, 상기 통화 이력에 표시된 첨부 파일이 선택된 경우(S450),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해당 통화 이력에 매핑된 첨부 파일을 출력한다(S460). 이때, 첨부 파일이 동영상이나 오디오 파일인 경우, 해당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플레이어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링백 모드를 통해 통화 연결 요청 시, 통화 목적과 관련된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쉽게 작성하여 전송하고, 관련 내용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앞서 도 5에 설명한 과정을 통하여, 발신자의 조작에 따라서, 발신측 단말 장치(101)는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첨부 파일을 선택한 후(S510),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S520). 여기서,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은, 발신측 단말 장치(101)의 식별 정보, 착신측 단말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면서, 메시지 및 첨부파일이 함께 전송됨을 나타내는 링백 모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구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한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해당 통화 연결 요청이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이 포함되는 링백 모드 통화 연결 요청인지를 확인한다(S530).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링백 모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구분자의 포함 여부에 따라서 확인될 수 있다.
확인 결과,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이 포함되는 링백 모드 통화 연결 요청인 경우,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링백 서비스 장치(300)로 상기 통화 연결 요청에 대응하는 링백 모드의 처리를 요청한다(S540). 이때,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발신측 단말 장치(101)의 식별 정보를 링백 서비스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링백 서비스 장치(300)는 단말 장치(101)로부터 상기 통화 연결 요청과 관련된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수신한다(S550). 이를 위해 링백 서비스 장치(300)가 단말 장치(101)에 접속하여, 메시지 및 첨부파일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링백 서비스 장치(300)는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응답을 통화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S560). 이때, 상기 링백 서비스 장치(300)는 상기 수신한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저장하고, 그 저장된 곳의 위치 정보를 상기 응답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발신측 단말 장치(101)의 통화 연결 요청을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송하고(S570), 링백 서비스 장치(300)는 상기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송한다(S580).
여기서,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가 상기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이 저장된 위치 정보를 상기 통화 연결 요청에 포함하여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측 단말 장치(102)가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링백 서비스 장치(300)에 접근하여 전송을 요청함에 의하여, 링백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통화 연결 요청과 관련된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착신측 단말 장치(102)는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수신하여, 이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알람과 함께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S590).
이를 확인한 착신측 사용자가 통화 연결에 대한 수락 혹은 거절을 선택하면, 착신측 단말 장치(102)는 통화 수락 혹은 거절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 이는 통화 서비스 장치(200)를 통해서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 전송될 수 있다(S570).
통화 거절 시, 상기 착신측 단말 장치(10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착신측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작성된 답변 메시지를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 및 링백 서비스 장치(300)를 통해서 발신측 단말 장치(101)로 전송할 수 도 있다.
이상의 실시 예에서, 통화 서비스 장치(200) 및 링백 서비스 장치(300)가 독립된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링백 서비스 장치(300)를 별도의 서버 장치로 구현하지 않고, 통화 서비스 장치(200)에 통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다수의 단말 장치(100)와, 통화 서비스 장치(200')로 구현된다.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통화 서비스 장치(200)의 기능에, 링백 서비스 장치(300)의 기능이 통합된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한 통화 서비스 제어 모듈(221)과, 기존 링백 서비스 제어모듈(222)의 기능을 수행하는 링백 서비스 제어 모듈(222)을 포함한다.
상기 통화 서비스 제어 모듈(221)은 도 1에 도시된 통화 서비스 장치(200)와 마찬가지로, 단말 장치(100) 사이의 통화 연결을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링백 서비스 제어모듈(222)은 발신측 단말 장치(101)와 착신측 단말 장치(102) 간에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전송되는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발신측 단말 장치(101) 및 착신측 단말 장치(102)를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100) 및 그 사용자와 관련된 식별 정보 들, 예를 들어, IMSI, MEID, 사용자 ID, IP 주소를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발신자의 조작에 따라서, 발신측 단말 장치(101)는 메시지를 작성하고, 첨부 파일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S610).
그리고, 발신측 단말 장치(101)는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연결 요청이 선택되면,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상기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각각 통화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S620, S640).
이때,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은 통화 서비스 제어 모듈(221)에 의해 처리되고, 메시지 및 첨부파일은 링백 서비스 제어모듈(222)에 의해 처리되며,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통화 연결 요청과, 메시지 및 첨부파일의 발신지와 착신지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링백 모드를 통해 전송되는 통화 연결 요청과,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수신한 통화 연결 요청과,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각각 착신측 단말 장치(102)로 전송한다(S630, S650).
이때, 상기 착신측 단말 장치(102)는 수신된 통화 연결 요청과, 메시지 및 첨부파일의 발신지와 발신 혹은 착신 시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통화 연결 요청과, 메시지 및 첨부파일이 링백 모드를 통해 매핑되어 전송된 것임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후, 통화 연결 요청에 대응하는 알람을 출력함과 동시에,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S660). 이에, 착신측 사용자는 상기 매핑된 통화 연결 요청과, 메시지 및 첨부파일을 거의 동시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모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모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모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통화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통화 연결을 요청한 사용자는, 통화 연결 시도 시,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자신의 통화 목적과 관련된 동영상, 사진, 오디오, 문서, 이메일 등의 파일을 선택하여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첨부하고자 하는 파일의 검색 및 선택을 통화 시도 중에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한번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발신 처리 중에 큰 시간적 지연 없이 파일 첨부를 수행할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통화 연결 시도 시,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파일 첨부와 함께 메시지를 더 작성하여, 첨부 파일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을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단순히 발신자 정보만을 제공하던 종래에 비하여 더 효율적인 통화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 진다.
더하여, 본 발명은 통화 이력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통화 별로 함께 수신된 메시지 및 첨부 파일, 그리고 녹음 데이터를 함께 매핑하여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통화 이력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통화 별로 첨부된 메시지 및 파일을 함께 매핑하여 통화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단순히 통화 시간 및 통화 상대방의 정보만 제공하던 종래에 비하여 통화 이력 관리가 좀더 수월해 지면서, 업무 등 다양한 용도에 응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10: 통신망 100, 101, 102: 단말 장치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오디오 처리부
150: 저장부 160: 저장부

Claims (23)

  1.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통신부; 및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서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다른 단말 장치로의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이 링백 모드를 이용한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인지를 판단하고, 링백 모드를 이용한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특정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첨부 파일이 통화 연결 대기중인 동안 상기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이 기 설정된 서비스 구분자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링백 모드를 이용한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링백 모드를 이용한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으로 판단되는 경우, 링백 서비스 장치에 요청하여, 상기 링백 서비스 장치가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첨부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링백 모드를 이용한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특정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첨부파일을 상기 링백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링백 모드를 이용한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첨부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을 상기 첨부 파일과 매핑하여 통화 이력 정보로 상기 서비스 저장부에 저장하고,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통화 이력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장치.
  7. 통신망을 통해서 다른 단말 장치로 통화 연결 요청 및 상기 통화 연결 요청과 관련된 첨부 파일을 전송하는 통신부;
    통화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통화 요청 버튼, 파일 첨부 버튼을 포함하는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파일 첨부 버튼이 선택되면, 첨부할 파일 검색 및 선택을 위한 파일 선택 영역을 표시하고, 이후 상기 통화 요청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파일 선택 영역에서 선택된 첨부 파일 및 통화 연결 요청을 지정된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연결 요청 및 첨부 파일을 통화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은 통화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첨부 파일은 링백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통화 요청 버튼 및 파일 첨부 버튼을 포함하는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파일 첨부 버튼이 선택되면, 첨부할 파일 검색 및 선택을 위한 파일 선택 영역을 더 표시한 후, 상기 통화 요청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파일 선택 영역에서 선택된 첨부 파일 및 통화 연결 요청을 지정된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하거나,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첨부파일 및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 간에 통화로 연결을 위한 통화 연결 요청 및 응답을 전달하되,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이 첨부 파일이 함께 전송되는 링백 모드인 경우, 첨부 파일의 전송을 요청하는 통화 서비스 장치; 및
    상기 통화 서비스 장치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통화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다수의 단말 장치 간에 첨부 파일을 전달하는 링백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다른 단말 장치로의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이 링백 모드를 이용한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링백 모드를 이용한 첨부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특정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첨부 파일이 통화 연결 대기중인 동안 상기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장치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링백 서비스 장치가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첨부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특정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첨부파일을 상기 링백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첨부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장치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3. 통화 요청 버튼 및 파일 첨부 버튼을 포함하는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파일 첨부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첨부할 파일을 검색하고 선택하기 위한 파일 선택 영역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통화 요청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파일 선택 영역에서 선택한 첨부 파일 및 통화 연결 요청을 지정된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메시지 작성 버튼을 더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 작성 버튼이 선택되면, 메시지 작성을 위한 키패드 영역 및 작성된 메시지가 표시된 메시지 표시 영역을 상기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선택 영역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키패드 영역 및 메시지 표시 영역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파일 첨부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키패드 영역을 상기 파일 선택 영역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파일 선택 영역에서 선택된 첨부 파일을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에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을 전송할 때,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에 표시된 메시지 및 첨부 파일 중 하나 이상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대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 및 첨부 파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 첨부 파일, 발신자 정보, 통화 수락 및 거절을 위한 버튼, 답장 메시지 버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답장 메시지 버튼이 선택되면, 키패드 영역 및 상기 키패드 영역의 조작에 따라 작성된 답장 메시지가 표시되는 메시지 표시 영역을 상기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하고, 메시지 작성 완료시,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에 표시된 답장 메시지를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하면서,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을 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대 단말 장치와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면, 녹음 버튼을 포함하는 통화중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녹음 버튼이 선택되면, 사용자와 상대방과의 통화 내용을 녹음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대 단말 장치와의 통화가 종료되면,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전송된 메시지, 첨부 파일, 녹음 데이터, 답장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통화 정보와 매핑하여 통화 이력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통화 이력 조회가 요청되면, 통화 연결 요청과 함께 전송된 메시지, 첨부 파일, 녹음 데이터, 및 답장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이 통화 정보와 매핑된 통화 이력 정보들을 시간, 날짜, 통화 상대자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정렬된 조회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1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105213A 2013-09-03 2013-09-03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KR101828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213A KR101828320B1 (ko) 2013-09-03 2013-09-03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213A KR101828320B1 (ko) 2013-09-03 2013-09-03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418A true KR20150026418A (ko) 2015-03-11
KR101828320B1 KR101828320B1 (ko) 2018-02-13

Family

ID=5302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213A KR101828320B1 (ko) 2013-09-03 2013-09-03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563A1 (ko) * 2015-05-22 2016-12-01 주식회사 카우치그램 이미지, 메시지, 및 패턴을 통한 통화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563A1 (ko) * 2015-05-22 2016-12-01 주식회사 카우치그램 이미지, 메시지, 및 패턴을 통한 통화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320B1 (ko) 201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1811B2 (en) Notifications of incoming messages
US9413885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blocking unwanted communications
US83074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rging voice and data features with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US106022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op box base station integration
KR20070051236A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및 부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30127983A1 (en) Web based access to video content associated with voicemail
US8032118B1 (en) Visual voicemail when mobile device is out of data coverage
US20140087700A1 (en) Sending user device status information
KR101828320B1 (ko)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KR101838154B1 (ko)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49601A (ko) 프레즌스 정보에 따른 통화 제어 방법
KR102212769B1 (ko) 링백 모드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152625B1 (ko) 아이콘 대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6655B1 (ko) 메신저 가입자의 착신 콜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8571584B1 (en) Delivery of voice data from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essages
US9197754B2 (en) Preconfigured sender communication
KR101064712B1 (ko) 고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22792B1 (ko) 문자 대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문자 대화 서비스 방법
KR101827924B1 (ko) 컬러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컬러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와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047500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11018A (ko)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 개의 전화번호를 지원하는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서버
WO20051174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and purchase service using the multimedia background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