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530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530A
KR20150025530A KR20130102688A KR20130102688A KR20150025530A KR 20150025530 A KR20150025530 A KR 20150025530A KR 20130102688 A KR20130102688 A KR 20130102688A KR 20130102688 A KR20130102688 A KR 20130102688A KR 20150025530 A KR20150025530 A KR 20150025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display unit
sens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6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1729B1 (en
Inventor
정미진
박정민
최하나
양정화
손자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2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729B1/en
Publication of KR2015002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5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7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 sensor which senses the breath of a user;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display unit based on sensor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ing of a second image by overlapping the second image on a main screen of the display unit having a second image if the sensor senses the breath of the user.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that recognizes a touch input of a user.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Generally,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is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지 화면만을 출력하며, 휴대용 단말기는 별도의 키패드나 트랙 패드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거나 다양한 조작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를 통해서도 인터넷 접속, 멀티미디어 재생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스크린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A general display device outputs only a screen, and the portable terminal inputs information or performs various operations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separate keypad or trackpad. However, in recent years, various functions such as internet access and multimedia playback can be performed through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ouch screen function is mounted on a displa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디스플레이 화면의 특정 위치에 사용자의 손이나 펜 등이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 자료를 받을 수 있게 만든 장치를 말한다. 이를 위하여, 터치 스크린 장치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 패널이라는 장치를 덧붙여서 그 기능을 발휘하도록 한다. 터치 패널에는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표면초음파전도(surface Acoustic Wave;SAW) 방식, 적외선광 감지 방식 및 압전 방식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장치는 최근 키보드나 마우스를 대신할 수 있는 입력 장치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receiving input data directly from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position of the user when a user's hand or pen touches a specific position on the display screen and perform specific processing by software. To this end, the touch screen device adds a device called a touch panel to a general display panel so as to exert its function. There are various types of touch panels such as pressure type, resistive type, contact type capacitive type, surface acoustic wave (SAW) type, infrared light type and piezoelectric type. Such a touch screen device has recently been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as an input device capable of replacing a keyboard or a mouse.

즉, 인터넷 접속이나 멀티미디어 기능을 위해 충분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탑재함과 동시에, 휴대성을 고려하여 입력 장치를 별도로 배치하기보다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의 기능을 구현하게 된 것이다. 이로써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되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를 추구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 display device having a sufficient size for an internet connection or a multimedia function is mounted, and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rather than separately arranging the input device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functions of the input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It was implemented. As a resul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iniaturized and the display device can be enlarged.

한편,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의 구동에 따라 발생된 냉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식품의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supplying cold air generated by driving a refrigeration cycle, and is a device for storing food at a low temperature.

종래의 냉장고의 경우, 단순히 식품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는 식품 보관 기능 외에 추가적인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냉장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refrigerator, only the function of storing food in a low temperature state can be performed. However, in recent year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refrigerator that performs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storing food.

특히, 냉장고 화면에는 상기 냉장고와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정보가 아이콘 또는 위젯 형태로 표시된다. 다양한 컨텐츠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 되고 있다.In particular, on the refrigerator screen, various types of conten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frigerator are displayed in the form of icons or widgets. Efforts to provide various contents in various ways are continuing.

하지만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이 다소 복잡한 경우, 상기 작동법에 익숙하지 못한 사용자들에게는 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한계가 있어왔다.However, if the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providing various types of contents is somewhat complicated,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use of the device for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쉽고 편리하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solves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contents to a user easily and conveniently.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어려운 메뉴 구조나 명령을 배우지 않더라도 직관적으로 디스플레이부의 컨텐츠에 접근해서 상기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intuitively access contents of a display unit and use the contents without learning a difficult menu structure or command.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다양한 동작을 입력으로 인식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various operations of a user as inpu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생활에서 직접 경험해본 입력에 대한 반응이 상기 제어부에 반영되어 구현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nhancing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by stimulating the emotion of the user because the response to the input experienced directly by the user in the real life can be reflected in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부는 입김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전환되거나 중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 which a screen of a display unit can be switched or overlapped by detecting a blowing by a user.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input to a display device to an external terminal.

본 발명은 어려운 기기의 작동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display device which can be easily used by a user who is not familiar with the operation of a difficult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입김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입김이 감지되면 제1이미지를 갖는 디스플레이부의 바탕 화면에 제2이미지가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for detecting the user's breath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by the sensor, wherein when the user senses the user's breathing, the controller superimposes the second image on the desktop of the display unit having the first image And controls the display to be displayed.

상기 제 2이미지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고 상기 제1이미지에 중첩될 수 있다.The second image may be superimposed on the first image with a predetermined transparency.

특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김을 부는 횟수 또는 시간에 따라 상기 제2이미지의 투명도가 변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image to chan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r the number of times the image is emitted.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 입김의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 입김에 의한 온도 또는 습도의 증가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또는 습도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단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nsor may be micro-configured to sense the sound of the user's breath. In addition, the sensor may be a temperature sensor or a humidity sensor that senses an increase in temperature or humidity due to the user's breathing. The sensor is preferably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display device.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상기 제2이미지 상에 상기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터치는 간접터치 또는 직접터치가 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the touch input of the user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on the second image. The touch may be an indirect touch or a direct touch.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된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2이미지를 투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may transparently represent the second image with respect to the touch input area.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통신 단말기와 네트워크 망을 구축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establishing a network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creen on which the user's touch input is displayed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수신받는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수신자 설정용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전송할 상대방을 선택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display unit screen may include a receiver setting icon for selecting an object to receive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The user can select the other party to transmit the screen on which the touch input of the user is displayed.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통신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날씨 또는 계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입김이 감지되면 제1 이미지를 갖는 디스플레이부의 바탕화면에 상기 수신된 날씨 또는 계절 정보와 대응하는 제2 이미지를 중첩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weather or seasonal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rver. At this time, the controller may superimpose a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weather or season information on the desktop of the display unit having the first image if the user's breathing is sensed by the sensor.

상기 제2이미지는 상기 수신된 계절 정보가 봄, 여름, 가을, 겨울, 우기 또는 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에 상기 계절을 상징하거나 대변할 수 있는 이미지가 될 수 있다.The second image may be an image that can symbolize or represent the season when the received season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spring, summer, autumn, winter, wet season or dry season.

마찬가지로 상기 수신된 날씨 정보가 비, 눈, 바람, 흐림, 맑음, 태풍, 장마 또는 폭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계절을 상징하거나 대변할 수 있는 이미지가 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rain, snow, wind, cloudy, clear, typhoon, rainy season, or heat, the second image may be an image that can symbolize or represent the season.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쉽고 편리하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contents easily and conveniently to a user.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어려운 메뉴 구조나 명령을 배우지 않더라도 직관적으로 디스플레이부의 컨텐츠에 접근해서 상기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intuitively access contents of a display unit and use the contents without learning a difficult menu structure or command.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다양한 동작을 입력으로 인식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various operations of a user as inpu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생활에서 직접 경험해본 입력에 대한 반응이 상기 제어부에 반영되어 구현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nhancing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by stimulating the emotion of the user because the response to the input experienced directly by the user in the real life can be reflected in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부는 입김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전환되거나 중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splay device in which a screen of a display unit can be switched or overlapped by detecting a blowing by a user.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input to a display device to an external terminal.

본 발명은 어려운 기기의 작동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easily used by a user who is not familiar with the operation of a difficult device.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2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도시된 초기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냉장고에 장착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 2이미지 상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제2 이미지를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creen shown in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refrigerator.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user's touch input is displayed on a second image;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image displaying touch input information of a user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일례로, 냉장고(1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200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Also,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세부적인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detailed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메모리(250), 인터페이스부(260), RFID 리더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 a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n audio / video (A / V) input unit 220, a memory 250, an interface unit 260, an RFID reader unit 270 A control unit 280, a power supply unit 290, and the like.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통신부(210)는 냉장고가 위치한 인터넷 네트워크에서 인터넷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2), 인터넷 모듈(213) 및 근거리 통신 모듈(2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Internet use in an Internet network where a refrigerator is located.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an Internet module 213, and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214.

방송 수신 모듈(211)은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241)에 재생한다.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80,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and reproduces the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241.

이동통신 모듈(2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213 is a module for a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es a wireless LAN (WLAN) (Wi-Fi), a Wibro (wireless broadband), a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or the like can be used.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214 is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2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221 and a microphone 222.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41)에 표시될 수 있다.The camera 2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241. [

카메라(2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5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221 can be stored in the memory 25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 At least two cameras 22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마이크(2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The microphone 2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터치 스크린(201)은 사용자가 냉장고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터치 스크린(201)은 시각 또는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41) 및 음향 출력 모듈(242)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touch screen 201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The touch screen 201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or auditory information,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241 and an audio output module 242.

디스플레이부(241)는 냉장고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The display unit 24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refrigerator.

예를 들어, 냉장고(100)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경우, 상기 냉장고(100)와 관련된 정보 등을 위젯, 아이콘 등과 같은 형태의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For example, when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frigerator 100 is displayed,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 the form of a widget, an icon, or the like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frigerator 100.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2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4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터치 스크린(201)의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4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4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of the touch screen 201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4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4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4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not shown).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 unit 280. Thus, the control unit 2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241 is touched or the like.

음향 출력 모듈(242)은 메모리(250)에 구비된 오디오가 포함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냉장고와 관련된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음향을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242 outputs data including audio included in the memory 250 or outputs sound to inform the user of the operation state related to the refrigerat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메모리(250)는 제어부(2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냉장고(100)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The memory 25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280,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frigerator 100 is stored.

상기와 같은, 메모리(2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5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an SD or XD memory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disk, magnetic disk, magnetic disk, or optical disk.

인터페이스부(260)는 냉장고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냉장고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냉장고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26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26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The interface unit 26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refrigerator, or transmits data in the refrigerator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260.

RFID 리더부(270)는 음식물에 부착된 RFID 태그 내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판독하여 제어부(28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RFID 태그 내의 정보는 해당 음식물의 종류, 가격, 구매 장소, 유통 기간 등의 세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RFID interrogator 270 receives the information in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food, reads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outputs the rea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280.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in the RFID tag may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price, purchase place, and distribution period of the food.

제어부(controller)(280)는 통상적으로 냉장고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80)는 냉장고(100) 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2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80 may be a microprocessor in the refrigerator 100.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may control the display device 200.

이때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인식부(282)와 상기 인식부(282)에서 인식된 터치에 대응되는 명령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284)와 해당되는 명령이 있으면 해당 명령을 수행하는 수행부(28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may include a recognition unit 282 for recognizing a user's touch on the display device 200 and a determination unit 284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instruc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282, And an execution unit 286 for executing the corresponding command if any.

즉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발생된 에 관한 정보를 인지하고, 판단한 후에, 적합한 명령을 수행해서 상기 터치 스크린(201)을 통해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280 recognizes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display device 200, and then performs a proper command and output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touch screen 201 to the display device 200 Can be controlled.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냉장고(100)의 전원 또는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공급된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90 receives the external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of the refrigerator 100 or the interface unit 26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8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2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processor,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280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250)에 저장되고, 제어부(2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the memory 250 and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280. [

한편 냉장고는 사용자에 의해서 발생되는 특정 행위를 인지하는 센서(3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의해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모션과는 다른 종류의 행위를 감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sensor 300 that recognizes a specific action generate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sensor 300 senses an action different from a motion of the user sensed by the display device 200.

예를 들어 상기 센서(300)는 소리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냉장고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소리를 입력하거나 입김을 불어넣는 행위 또는 두드리는 등의 행위를 하게 되면, 해당 행위가 발생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nsor 300 can sense sound or vibration. That is, if the user inputs a sound into the refrigerator or the display device 200, or blows or knocks the user into the refrigerator or the display device 200, it can detect that the corresponding action has occurred.

상기 센서(300)에서 감지되는 다양한 정보는 상기 제어부(280)에 제공되어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센서(300)의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을 제어할 수 있다. Various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300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280 so that the controller 280 may control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sensor 300.

도 2는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에 도시된 초기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을 참조해서 설명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scree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2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초기 화면(10)(또는 대기 화면) 상에는 현재 날짜와 시간, 가족의 스케쥴 및 현재의 날씨 등을 나타내는 컨텐츠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on the initial screen 10 (or the idle screen) of the display unit, content information indicating a current date and time, a schedule of the family, and current weather can be displayed.

또한, 상기 초기 화면(10) 내에는 상기 냉장고(100)의 각종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다수의 아이콘들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아이콘에 해당되는 명령이 수행되어서 관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initial screen 10, a plurality of icons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refrigerator 100 are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an icon, an instruc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is executed, .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타이머에 관한 아이콘(12)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부에는 타이머에 관한 컨텐츠를 도시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icon 12 related to the timer, the display unit displays contents related to the timer.

마찬가지라고 사용자가 포토앨범에 관한 아이콘(14)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는 사진에 관한 컨텐츠를 도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메모에 관한 아이콘(16)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메모에 관한 컨텐츠를 도시하게 된다.Similarly, when the user selects the icon 14 related to the photo album, the display device 200 can display the content related to the photograph. When the user selects the icon 16 relating to the memo, As shown in FIG.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201)에서 일부를 선택하는 등의 행위를 한 것은 상기 인식부(282)에서 인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는지 여부는 상기 판단부(284)에서 인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부(286)에서는 상기 판단부(284)에서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하게 되면, 특정 아이콘에 의해서 수행되도록 기 설정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스크린(201)에서는 화면이 변화되면서 특정 아이콘에 관련된 컨텐츠가 화면에 제공될 수 있다.The recognition unit 282 can recognize that the user has performed an action such as selecting a part on the touch screen 201. [ Whether or not the user selects a specific icon can be recogniz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84. Also, when the determination unit 284 determines that the specific icon is selected, the execution unit 286 may perform a predetermined command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pecific icon. Accordingly, in the touch screen 201, contents related to a specific icon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while the screen is changed.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100)는 본체(100a)와, 상기 본체 전면에 마련되는 도어(101), 그리고,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핸들(미도시)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a, a door 101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a handle (not shown) mounted on the door.

도어(101)에는 냉수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110) 및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0)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이 구비된다.The door 101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110 capable of taking out cold water or ice and a display device 200 providing the us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는 냉장고(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일 예로, 냉장고의 온도 및 전력 사용량 등등)와,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알람, 스케줄, 메모 등등)를 표시할 수 있다.That is, the display device 200 can display information (e.g., temperature and power usage amount of the refrigerator)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frigerator 100 and information (alarm, schedule, memo etc.) set by the user .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은 도어(101)의 전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을 냉장고(100)에 부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어(101) 뿐만 아니라, 냉장고(100)의 다른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01 or may be detachable so that the user may attach or detach the display device 200 to or from the refrigerator 100, .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formed not only on the door 101 but also on another position of the refrigerator 100.

도 4는 사용자의 입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241)의 이미지가 전환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image of the display unit 241 is switched by the user's breath.

도 4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냉장고(100)에 장착된 일실시예를 도시하였다.FIG. 4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refrigerator 100. FIG.

도 4(a)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41)에 입김을 불면 디스플레이부(241)의 화면이 전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입김을 상기 센서(300)가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280)는 제1 이미지(17)를 갖는 디스플레이부(241)의 바탕 화면에 제2 이미지(18)가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a), when the user makes a bombardment with the display unit 241 of the display device 200,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1 can be switched. More specifically, when the sensor 300 senses the user's breath, the controller 280 controls the display unit 241 to display the second image 18 in a superimposed manner on the desktop of the display unit 241 having the first image 17 Can be controlled.

상기 제1 이미지(17)는 사용자가 입김을 불기 전의 바탕화면일 수 있다. 상기 제1이미지에는 냉장고(100)의 각종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다수의 아이콘이 표시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아이콘에 해당되는 명령이 수행되어서 관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바탕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The first image 17 may be a desktop before the user blows it. The first image may be an image in which a plurality of icons capable of opera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refrigerator 100 are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corresponding icon, it may mean a desktop on which an instruc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is performed to provide related contents.

사용자가 입김을 불면 상기 센서(300)에서는 사용자의 입김을 감지한다. The sensor 300 senses the user's breath when the user breathes.

상기 사용자의 입김을 감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자극을 감지하는 센서(300)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입김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사용자의 입김에 의해 발생하는 음역의 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 sensor 300 that senses various stimuli may be used to sense the user's breath. For example, it can be micro-configured to sense a user's beeping sound. Preferably, the microphone is provided to sense a frequency of a sound field generated by a user.

또한 상기 센서(300)는 입김에 의해 증가한 습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습도 센서(300), 입김에 의해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300)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300 may include a humidity sensor 300 for detecting a change in humidity caused by the blowing, and a temperature sensor 300 for detecting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air due to the blowing.

한편, 상기 센서(300)는 디스플레이부(241) 장치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키가 작은 사용자의 입김에도 상기 센서(300)가 잘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하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sensor 3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241. The sensor 300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so that the sensor 300 may operate well even if a user is small.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센서(300)가 사용자의 입김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1)의 제1이미지에 소정의 투명도를 가진 제2이미지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4 (b), when the sensor 300 senses the user's breathing, the controller 280 superimposes a second image having a predetermined transparency on the first image of the display unit 241 Can be displayed.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제1 이미지(17)에 상기 제2 이미지(18)가 살짝 덮인 모습으로 표현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 제2 이미지(18)의 투명도는 상기 제어부(280)에 의해서 조절된다. In more detail, the controller 280 controls the first image 17 to be displaye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image 18 is slightly covered. In order to do so,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image 18 is adjusted by the controller 280.

특히, 상기 제2 이미지(18)의 투명도는 사용자가 입김을 부는 횟수, 시간 또는 입김을 부는 주기 등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image 18 may be controlled to va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makes a breath, the time, or the period during which the breath is exerted.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김을 부는 시간이 증가하면 상기 제어부(280)는 제2 이미지(18)의 투명도를 점차 낮출 수 있다. 여기서 투명도가 높은 이미지는 투명도가 낮은 이미지보다 투명한 정도가 크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80 may gradually decrease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image 18 when the user's time to attract the user increases. Here, images with high transparency are more transparent than images with low transparency.

도 4(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입김을 부는 초기 단계에서 제2 이미지(18)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고 제1 이미지(17)에 중첩된다. 사용자가 입김을 부는 횟수나 시간을 늘리면 제2 이미지(18)의 투명도는 낮아진다. As shown in FIG. 4 (b), the second image 18 is superimposed on the first image 17 with a predetermined transparency in an initial stage in which the user feels a bite.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image 18 is lower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imes or time that the user puts on the sound.

사용자가 일정 시간 또는 횟수 이상 입김을 불면, 도 4(c)와 같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1)에 제2 이미지(18)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김을 부는 시간이나 횟수가 늘어날수록 제2이미지의 투명도는 점차 0에 가까워 질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may display only the second image 18 on the display unit 241 as shown in FIG. 4 (c). That is,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image may gradually become closer to 0 as the time or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makes a breath.

즉, 디스플레이부(241)는 제1 이미지(17)에서 사용자의 입김이라는 자극에 의해 점차 단계적으로 제2 이미지(18)로 바뀌도록 표현함이 바람직하다. In other words, the display unit 241 is preferably displayed in the first image 17 so as to gradually change to the second image 18 by stimulation of the user's breathing.

또한, 여러 가지 복잡한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입김을 “후” 부는 간단한 입력만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간단한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41) 화면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에 있어서도 간편하다.In addition, it is only necessary to input simple "after" breaths without having to go through various complicated procedures. Therefore, since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1 can be controlled by a user's simple input, it is also easy to use.

한편, 사용자의 입김에 따라 직관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자연적인 반응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41)에 반영되도록 제2 이미지(18)를 설정할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image 18 can be set to be reflected on the display unit 241 in a natural reaction that can be intuitively predicted according to the user's breath.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보통의 사용자는 유리창에 입김을 부는 경우에 상기 유리창에는 김이 서리게 됨을 쉽게 연상할 수 있다. 이렇게 일상 생활에서 흔히 보았던 자연적인 반응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제어부(280)는 상기 제2 이미지(18)를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t is easy for a normal user to remind that the window is frozen when the window is opened. The control unit 280 may control the second image 18 so that a natural reaction, which is common in everyday life, can be implemented in the display.

즉, 사용자의 입김을 상기 센서(300)에서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280)는 유리창에 김이 서리는 제2 이미지(18)를 상기 제1 이미지(17)에 중첩시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sensor 300 senses the user's breath, the controller 280 can display the second image 18 superimposed on the first image 17 on the window glass.

또한, 사용자는 입김을 부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리창에 김이 서리는 정도가 증가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이러한 감성적인 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41)에 그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Also, the user can expect that the degree of frost on the windshield will increase as the blowing time increases. The control unit 280 may allow the emotional portion to be reflected on the display unit 241 as it is.

따라서 상기 제어부(280)는 사용자가 입김을 부는 시간 또는 횟수 등에 따라 유리창에 김이 서리는 정도가 증가한 이미지를 추가로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80 can display an image in which the degree of frost on the window glass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time or number of times the user bit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이미지(18)는 날씨 정보나 계절 정보와 연관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부(210)가 외부 서버로부터 날씨 또는 계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제2 이미지(18)가 상기 수신된 정보와 대응되는 이미지가 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mage 18 may be an image associated with weather information or seasonal information.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ceive weather or seasonal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rver. The control unit 280 may display the second image 18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예를 들면, 상기 수신된 계절 정보가 봄, 여름, 가을, 겨울, 우기 또는 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에 상기 제2 이미지(18)는 상기 계절을 상징하거나 대변할 수 있는 이미지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eceived season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spring, summer, autumn, winter, wet season or dry season, the second image 18 may be an image that can symbolize or represent the season.

상기 계절 정보를 대변할 수 있는 이미지란, 각 계절에 피어나는 꽃에 대한 이미지나, 제철과일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미지(18)는 여름에는 시원한 바다나 얼음 이미지, 가을에는 낙엽 또는 단풍에 대한 이미지, 겨울에는 눈, 서리등과 같이 대표적인 계절을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이미지가 됨이 바람직하다. The image that can represent the seasonal information may be an image of a flower blooming in each season or an image of seasonal fruit. 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image 18 be an image that can easily reflect typical seasons such as a cool sea or ice image in summer, an image of fallen leaves or autumn leaves in autumn, snow and frost in winter.

마찬가지로 상기 통신부(210)에서 수신한 상기 날씨 정보는 비, 눈, 바람, 흐림, 맑음, 태풍, 장마 또는 폭염 등 날씨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날씨를 상징하거나 대변할 수 있는 제2 이미지(18)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Similarly, the weather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weather, such as rain, snow, wind, cloudy, clear, typhoon, rainy season, or heat. The control unit 280 may display a second image 18 that may represent or represent the weather.

예를 들면, 비가 오는 날의 제2 이미지(18)는 창문에 물방울이 맺힌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눈이 오는 날에는 창문에 눈이 쌓여있는 이미지가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image 18 on a rainy day may be an image of water droplets on the window. On snowy days, images with snow on the windows can be used.

상기 통신부(210)가 수신하여 분류할 수 있는 계절 또는 날씨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18)의 종류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type of the second image 18 corresponding to the season or weather information that the communication unit 210 can receive and classify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5는 상기 제2 이미지(18) 상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1)에 대한 상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282)를 포함할 수 있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ser's touch input is displayed on the second image 18. The display device 200 may include a recognition unit 282 for recognizing a touch input of a user to the display unit 241.

즉, 상기 인식부(282)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That is, the recognition unit 282 senses the touch input of the user.

사용자의 입김에 의해 김이 서린 유리창에는 손가락으로 그림 또는 글자를 남길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유리창에서 응결된 물방울이 제거되면서 손가락이 지나간 자리만 투명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부(280)는 이러한 직관적인 경험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반영함이 바람직하다.In some cases, a user can leave a picture or a letter with his or her finger on the window where the window is opened. This is because the condensed droplets are removed from the window and only the fingertip passes through it. The controller 280 preferably reflects the intuitive experience on the display device 200.

따라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제2 이미지(18) 상에 상기 터치 입력된 내용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터치 입력된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2 이미지(18)가 투명하게 변하는 것처럼 표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280 may control the second image 18 to display the touch input.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280 can display the second image 18 as if the second image 18 is transparent to the touch input area.

제2 이미지가 제1 이미지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하는 경우에는, 제1 이미지 위에 중첩된 제2 이미지 중에서 상기 터치 입력된 영역에만 제2 이미지가 삭제되도록 표현할 수 있다. 제2 이미지에서 삭제된 영역에는 제1이미지가 비치거나 투영되도록 표현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image is superimposed on the first image, when the user performs the touch input, the second image may be displayed such that the second image is deleted only in the touch input area of the second image superimposed on the first image. The deleted region in the second image may be represented such that the first image is projected or projected.

즉, 유리창에 김이 서린 경우 유리창 밖의 풍경이 보이지 않지만, 사용자가 상기 김이 서린 부분을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손가락이 지나간 부분은 응결된 물방울이 제거된다. 응결된 물방울이 제거되면, 손가락이 지나간 부분을 통해서 창밖의 풍경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그대로 반영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2 이미지를 터치 하는 경우 터치 입력된 부분은 투명하게 표시하고, 투명하게 표시된 부분에는 기존의 제1 이미지가 다시 비치도록 표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window is opened, the landscape outside the window is not visible. However, when the user touches the portion where the window has been touched with the finger, the condensed water drops are removed from the portion where the finger passes. When condensed water drops are removed, the outside of the window can be seen through the part where the finger passes. When the user touches the second image, the touch input portion is displayed transparently and the existing first image is displayed again in the transparent portion.

단순히 정형화된 텍스트만 입력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손가락을 이용하여 직접 간단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필체를 이용해 직접 그린 이미지 또는 글자 정보는 감성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Instead of simply typing text, you can enter simple information directly with your finger. The image or character information drawn directly by the user's handwriting can effectively satisfy the desire of the users who want to transmit the emotion message.

또한, 정보 전달의 역할만 하던 디스플레이부(241)가 사용자의 간단한 행위에 의해서 캔버스나 편지지로 변할 수 있다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감성적인 면에서도 사용자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41, which has only the role of information transmission, can provide a feeling that the user can change to a canvas or a stationery by simple action. This can be a pleasure for users in terms of emotions.

이에 더하여, 입김을 분 뒤 그 위에 글씨나 그림을 그린다는 개념은 사용자가 실생활에서도 직관적으로 경험해 보았던 것이므로,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리함과 신선함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is, the concept of drawing a letter or a picture on the screen after it has been intuitively experienced in real life can not only stimulate user's emotions, but also provide convenience and freshness.

한편, 상기 터치 입력은 간접터치 또는 직접터치일 수 있다. The touch input may be an indirect touch or a direct touch.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부(241)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존의 바탕화면인 도 6(a)은 사용자가 입김을 불기 전의 바탕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2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 shows an existing desktop screen before the user starts blowing.

도 6(b)는 사용자가 입김을 불면 상기 센서(300)에서는 사용자 입김의 소리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28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41)의 제1이미지에 소정의 투명도를 가진 제2이미지를 중첩시키는 단계를 도시하였다.6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nsor 300 senses a user's sound when the user makes a sound and the controller 280 controls the display unit 241 to display a second image having a predetermined transparency Are overlapped.

통신부(210)가 외부 서버로부터 날씨 또는 계절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도 6과 같이 성에가 끼는 이미지는 눈이 오는 날씨, 한겨울 등의 날씨 정보를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communication unit 210 can receive weather or seasonal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rver, the image with gender as shown in FIG. 6 can be displayed when weather information such as snowy weather and midwinter is received.

도 6(c)은 입김을 충분히 불고 난 뒤, 사용자가 제2 이미지에 터치 입력한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FIG. 6 (c) shows a step in which the user displays the contents of touch input to the second image after blowing sufficiently.

도 7 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외부 통신 단말기(400)로 전송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creen on which the user's touch input is displayed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400. FIG.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서 입력 정보를 상기 제어부(28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41)에 디스플레이 하면,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1)의 화면을 외부 통신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can transmit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1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400 when the control unit 280 displays the input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241 by the user's touch.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볼 수 있는 화면을 네트워크 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 통신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400)는 pc, 휴대 전화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는 각종 전자제품 등이 될 수 있다. That is, a screen viewable on the display device 200 can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400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The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400 may be a PC, a mobile phone, various electronic products in which the display device 200 can be installed, and the like.

한편,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1)의 화면을 수신받는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수신자 설정용 아이콘(261)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41)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80 may display a receiver setting icon 261 on the display unit 241 for selecting an object to receive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1. [

상기 수신자 설정용 아이콘(261)은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41) 화면을 외부 통신 단말기(400)로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 이미지(18) 상에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recipient setting icon 261 may be controlled to appear on the second image 18 when the user wants to transmit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1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400.

상기 수신자 설정용 아이콘(261)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80)는 외부 통신 단말기(400)의 아이디 번호 도는 전화번호 등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수신자 설정용 아이콘(261)을 선택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메모를 보내고자 하는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통신부(2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된 제2 이미지(18)를 상기 수신자에게 송신하게 된다. When the recipient setting icon 261 is selected, the controller 280 can provide data storing the ID number of the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400, a telephone number, and the like. The user can select the recipient setting icon 261 and select a recipient to which the user-created memo is to be sent. Then, the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the second image 18 on which the user's touch input is displayed to the receiver.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멀리 떨어져 있는 수신자에게 감성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이 평소에 많이 쓰이는 가전 제품이나 통신 단말기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적용하는 경우보다 유용하게 본 발명이 이용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ransmit emotional information to a receiver located far away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more advantageously than when the display device 200 is applied to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or a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commonly used by users.

예를 들어, 냉장고(100) 도어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설치하면 냉장고(100)를 사용하면서 그때그때 필요한 사항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하여 메모 가능하다. 이때 어려운 작동법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입김을 불어넣고 메모하고자 하는 사항을 손으로 그리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200 is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100, the refrigerator 100 can be used to memorize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device 200. At this time,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 difficult operation, but it is possible to accomplish the purpose only by a simple operation which draws a breath and draws a memo.

뿐만 아니라, 상기 메모를 어떤 외부 통신 단말기(400)에도 전송이 가능함으로써, 단순히 냉장 기능만 수행하던 가전제품이 통신 단말기의 역할 까지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emo can be transmitted to any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400, the household appliance that has merely performed the refrigerating function can also perform the rol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즉, 상기 제어부(280)는 입김을 부는 단순한 행위에 의한 감성적이면서 즉각적인 반응이 디스플레이부(241)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인식부(282)에서 상기 사용자의 입김을 인식하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1)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That is, the control unit 280 controls the display unit 241 to reflect the emotional and immediate reaction due to the simple act of breathing. When the recognition unit 282 recognizes the user's input, the control unit 280 provides the display unit 241 with a basis for displaying the touch input of the user.

또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정보가 입력된 디스플레이부(241) 화면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외부 통신 단말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모든 과정은 창문에 입김을 분 자리에 손가락으로 그림을 그려보는 등의 일상적인 생활 행동을 기초한 것이다. 따라서 어려운 기기 작동에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 노인, 지적 장애아 등의 사람들도 손 쉽게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80 can transmit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1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400 by the user's selection. All of this is based on everyday life behavior, such as drawing pictures with fingers on the windowsill. Therefore, children, elderly peopl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like who are unfamiliar with difficult device operation can easily use the present invention.

200: 디스플레이 장치 210: 통신부
241: 디스플레이부 242: 제1 이미지
243: 제2 이미지 261: 수신자 설정용 아이콘
280: 제어부 282: 인식부
300: 센서 400: 외부 통신 단말기
200: display device 210:
241: Display section 242: First image
243: Second image 261: Icon for setting the receiver
280: control unit 282:
300: Sensor 400: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21)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입김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입김이 감지되면 제1이미지를 갖는 디스플레이부의 바탕 화면에 제2이미지가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unit;
A sensor for detecting the user's breathing;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based 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image to be superimposed on the desktop of the display unit having the first image when the user senses the user's breathing by th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고 상기 제1 이미지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image is superimposed on the first image with a predetermined degree of transparenc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김을 부는 횟수 또는 시간에 따라 상기 제2 이미지의 투명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d changes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imes or the number of times the image is emit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 입김의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is a microphone for sensing a sound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 입김에 의한 온도 또는 습도의 증가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또는 습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is a temperature sensor or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an increase in temperature or humidity due to the user's breath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상기 제2 이미지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unit
Wherein,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touch input of the user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on the second ima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터치 입력된 영역은 투명하게 표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ouch input area in the second image to be transparently displayed.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된 제2 이미지를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ransmits the second image, on which the user's touch input is displayed,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는 간접터치 또는 직접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ouch is an indirect touch or a direct tou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수신받는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수신자 설정용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a receiver setting icon for selecting an object to receive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on the display unit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is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display device.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입김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외부 서버로부터 날씨 또는 계절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입김이 감지되면 제1 이미지를 갖는 디스플레이부의 바탕화면에 상기 수신된 정보와 대응하는 제2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unit;
A sensor for detecting the user's breath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based 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weather or seasonal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rver; Lt; / RTI >
Wherein,
And controls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to be superimposed on the first image on the desktop of the display unit having the first image when the user senses the bounce by the sens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고 상기 제1이미지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image is superimposed on the first image with a predetermined degree of transparenc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김을 부는 횟수 또는 시간에 따라 상기 제2 이미지의 투명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nd changes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imes or the number of times the image is emit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사용자의 입김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nsor is a microphone for sensing a sound of a us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상기 제2 이미지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unit
Wherein,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touch input of the user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on the second imag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터치 입력된 영역은 투명하게 표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ouch input area in the second image to be transparently displayed.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된 제2 이미지를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ransmits the second image, on which the user's touch input is displayed,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수신받는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수신자 선택용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recipient selection icon for selecting an object to receive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미지는
상기 수신된 계절 정보가 봄, 여름, 가을, 겨울, 우기 또는 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에 상기 계절을 상징하거나 대변할 수 있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image
Wherein the image is an image that can symbolize or represent the season when the received season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spring, summer, autumn, winter, wet season or dry seas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미지는,
상기 수신된 날씨 정보가 비, 눈, 바람, 흐림, 맑음, 태풍, 장마 또는 폭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날씨를 상징하거나 대변할 수 있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image comprises:
Wherein the weather information is an image that can symbolize or represent the weather when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rain, snow, wind, cloudy, clear, typhoon, rainy or warm.
KR1020130102688A 2013-08-28 2013-08-28 display device KR1022017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688A KR102201729B1 (en) 2013-08-28 2013-08-2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688A KR102201729B1 (en) 2013-08-28 2013-08-28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530A true KR20150025530A (en) 2015-03-11
KR102201729B1 KR102201729B1 (en) 2021-01-12

Family

ID=5302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688A KR102201729B1 (en) 2013-08-28 2013-08-28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72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2033A (en) * 2003-05-16 2006-07-14 피카사 인코퍼레이티드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 sharing over a network
KR20080105933A (en) * 2007-06-01 200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Information input method for refrigerator
KR20100036739A (en) * 2008-09-30 201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active user interface changing according to strength of the stream of breath
KR20110026319A (en) * 2009-09-07 2011-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KR20120108111A (en) * 2011-03-23 2012-10-05 이승렬 Method for check a message using air sensing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2033A (en) * 2003-05-16 2006-07-14 피카사 인코퍼레이티드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 sharing over a network
KR20080105933A (en) * 2007-06-01 200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Information input method for refrigerator
KR20100036739A (en) * 2008-09-30 201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active user interface changing according to strength of the stream of breath
KR20110026319A (en) * 2009-09-07 2011-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KR20120108111A (en) * 2011-03-23 2012-10-05 이승렬 Method for check a message using air sensing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729B1 (en)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0049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terminal
EP2733693B1 (en) Electronic device for adjusting brightness of screen and method thereof
CN108351696B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play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3288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blank area on screen
US9830075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337897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908382B (en) Split scree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WO2020238377A1 (en) Photographing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4731829B (en) A kind of interactive approach and device of network picture
CN109828706B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CN109375890A (en) A kind of screen display method and Multi-screen electronic equipment
WO2019206036A1 (en) Message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KR20140077510A (en)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334077B1 (en)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10606374B2 (en) Watch-type mobile terminal
CN108762877B (en)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interface and mobile terminal
CN110531904A (en) A kind of background task display methods and terminal
EP303239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bject-related services
CN108536366A (en) A kind of application window method of adjustment and terminal
CN111078183A (en) Audio and video inform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intelligent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9271262A (en) A kind of display methods and terminal
CN109660674B (en) Method for setting alarm clock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779418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9634550A (en) A kind of voice operating control method and terminal device
WO201716184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an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