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690A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billing of user equipment based on state of equipment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billing of user equipment based on state of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690A
KR20150024690A KR20130101928A KR20130101928A KR20150024690A KR 20150024690 A KR20150024690 A KR 20150024690A KR 20130101928 A KR20130101928 A KR 20130101928A KR 20130101928 A KR20130101928 A KR 20130101928A KR 20150024690 A KR20150024690 A KR 20150024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delimiter
billing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8207B1 (en
Inventor
박민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1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207B1/en
Publication of KR20150024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6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2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ethod for separating billing of user equipment based on a state of the equipment comprises the steps of: monitoring whether a first call drop caused by a handover failure or a second call drop caused by detachment of a battery occurs in the user equipment in the middle of communications; generating a release request message including a first call drop separator or a second call drop separator when the first call drop or the second call drop occurs;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release request message to a billing node side in order to apply selective deduction to call billing.

Description

단말 상태 기반의 과금 분리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BILLING OF USER EQUIPMENT BASED ON STATE OF EQUIPMENT}[0001]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BILLING OF USER EQUIPMENT BASED ON STATE OF EQUIPMENT [0002]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통신 단말의 과금 분리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을 포함하는 VoLTE(Voice of LTE) 네트워크에서 호 절단이 발생될 때 발생 원인에 의거하여 호 절단 검출을 위한 소요시간을 단말의 통화 과금에 차감 적용하는데 적합한 단말 상태 기반의 과금 분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ing separation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billing based on a terminal status, which is suitable for subtracting the time required for call break detection from a call charge of a terminal.

잘 알려진 바와 같이, 3GPP 릴리스(Release) 8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나로써, 망 아키텍처(Network Architecture)인 EPC(Evolved Packet Core)를 기술하고 있는데, EPC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들의 집합이다.As is well known, in 3GPP Release 8, EPC (Evolved Packet Core), which is a network architecture, is described as one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EPC is a network for 3GPP LTE (Long Term Evolution) It is a set of nodes.

이러한 EPC는 기존의 3GPP 시스템 아키텍처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진화시켜, 진화된 무선접속망(Evolved RAN)인 E-UTRAN(Evolved -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등을 지원하고, 또한 패킷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네트워크 노드를 단순화시킨 효율적인 망구조를 갖는다. EPC와 E-UTRAN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EPS(Evolved Packet System)라고 호칭할 수도 있으며, 현재 대한민국에서 서비스 중인 LTE 이동통신 시스템이 이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This EPC evolves the core network of the existing 3GPP system architecture to support 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which is an evolved RAN, It has an efficient network structure in which the network node is simplifie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n EPC and an E-UTRAN may be referred to as an evolved packet system (EPS), and an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urrently in service in Korea can be regarded as such.

한편, LTE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초기에는 WCDMA 이동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레거시(legacy)망과의 혼용 통신 환경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통신 환경에서는 LTE망에 접속할 수 있으면서도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 등과 같은 레거시망에도 접속할 수 있는 듀얼모드(dual mode) 이동통신 단말장치(통신 단말)가 운용될 수 있다. 아울러, LTE 이동통신 서비스의 초기에는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대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는 WCDMA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였으며,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는 LTE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였다.Meanwhile, in the initial stage of establishing an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ixed communication environment with a legacy network such as a W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shown. In such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an LTE network and also to a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same legacy network can be operated. In the early stage of the L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 W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as used to provide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to a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as used to provide a data communication service.

상기와는 달리, 데이터 통신은 물론이고 음성 통화까지도 LTE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실현 가능하도록 해 주는 것이 VoLTE 서비스이다. 이러한 VoLTE 서비스는 HD(High Definition) voice 서비스로 불리어지기도 하는데, VoLTE 서비스에 의하면 음성 통화 시에 기존보다 깨끗한 HD급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통화 중에 실시간으로 상대방과 같은 화면을 보여주면서 지도, 음악, 뉴스, 사진 등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Unlike the above, VoLTE service enables not only data communication but also voice communication to be realized through the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is VoLTE service is also called HD (High Definition) voice service. According to the VoLTE ser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ner HD audio call service in case of voice call, and users can see the same screen You can share content such as maps, music, news, photos, and so on.

이러한 LT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 단말의 이동성 관리를 위해 기지국 장치로서 기능하는 eNodeB 단위로 통신 단말의 위치정보가 관리된다. 즉, 이동성 관리 노드로서 기능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eNodeB 간의 시그널링을 통해 통신 단말의 위치가 관리되며, 이와 같이 관리되는 통신 단말의 위치정보는 과금 정책 또는 위치기반 서비스로의 활용을 위해 SGW(Serving Gateway)를 통해 PGW(PDN Gateway)로 전송되고 있다.In such an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ocation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is managed in units of an eNodeB functioning as a base station device for mobility manag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naged through signaling between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functioning as the mobility management node and the eNodeB,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d in this manner is transmitted to the SGW (PDN Gateway) through a Serving Gateway.

한편,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통화 중에 호가 절단(Drop)되는 경우, 예컨대 착신 단말이 신호 세기의 미약으로 인해 인접하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거나 혹은 착신 단말의 배터리가 탈장(배터리 분리)되는 호 절단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기지국에서는 UE 콘텍스트 해제 요구(Context Release Request)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노드 측으로 전송하여 착신 단말에서의 호 절단을 통지하며, 이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노드의 PGW가 착신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를 해제하고, 과금 노드에서는 호 절단의 검출을 위해 기 설정된 소요시간(예컨대, 10초, 15초, 20초 등)을 발신 단말의 과금에 차감 적용한다.Meanwhile, when a call is dropped during a call between a calling terminal and a called terminal, for example, when a called terminal fails to attempt handover to a neighboring base station due to a weak signal strength, or when a battery of the called terminal is disconnected,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generates a UE Context Release Request message and sends it to the network node side to notify the call termination at the called terminal. In response, the PGW of the network node sends a Context Release Request message, (E.g., 10 seconds, 15 seconds, 20 seconds, etc.) for the detection of the call disconnection at the billing node.

통상적으로, 기지국에서 핸드오버의 실패에 의한 호 절단을 판단(검출)하는 것은 수초, 예컨대 2-4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고, 기지국에서 배터리 탈장에 의한 호 절단을 판단(검출)하는 것은 수 십초(예컨대, 10초, 15초, 20초 등)가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겠으나, 핸드오버 실패에 기인한 호 절단의 판단 소요시간이 배터리 탈장에 기인한 호 절단의 판단 소요시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만은 주지의 사실이다.Generally, it takes a few seconds (for example, about 2-4 seconds) to judge (detect) a call disconnection due to a handover failure at a base station, and it is necessary for the base station to judge It is known that it takes 10 seconds (for example, 10 seconds, 15 seconds, 20 seconds, etc.),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network environment. However,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time required for judging cutting is relatively short.

그러나, 종래 방식의 경우, 호 절단의 원인 정보(핸드오버 실패 또는 배터리 탈장)를 제공함이 없이 동일한 호 절단 메시지만을 전송해 주기 때문에 과금 노드에서는 호 절단의 검출 소요시간을 차감하기 위한 기준시간을 상대적으로 긴 배터리 탈장에 의한 소요시간을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긴 차감 소요시간으로 설정해 두고, 호 절단이 발생할 때마다 발신 단말의 통화 과금에 기 설정된 긴 차감 소요시간을 차감 적용해 주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only the same call disconnect message is transmitted without providing cause information (handover failure or battery hernion) of the call break, the reference time for subtracting the detection time of call break from the billing node is relatively The long time required to cover the time required for the long battery herniation is set to be long and the long time required for deduction for the calling charge of the calling terminal is subtracted every time the call is disconnected.

이와 같이, 호 절단의 발생 원인에 대한 구분 없이, 호 절단이 발생할 때마다 상대적으로 긴 차감 소요시간을 통화 과금에 차감 적용한다는 것은 통화 과금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또한 정당한 통화에 대한 과금을 부분적으로 누락하게 됨으로써 사업자에게 불이익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pplication of a relatively long time difference to the call charge is a major factor in lowering the reliability of the call charge, regardless of the cause of the call cut, Which is a cause of disadvantages to the operators.

더욱이, 배터리 탈장에 기인한 호 절단보다는 핸드오버 실패에 기인한 호 절단이 훨씬 더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통화 과금의 신뢰도 저하 및 사업자 불이익은 더욱 현저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Furthermore, considering the fact that call truncation due to handover failure occurs much more frequently than call truncation due to battery herniation, the credibility of currency billing and the disadvantages of operators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nspicuou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79851, 등록공고일자 2009년 01월 22일.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879851, filed on January 22, 2009.

본 발명은 두 단말 간의 통화 중에 호 절단이 발생될 때, 발생된 호 절단이 핸드오버 실패에 의한 호 절단인지 또는 배터리 탈장에 의한 절단인지 그 원인을 판단하고, 호 절단의 원인 정보를 과금 노드 측에 전송함으로써, 호 절단의 원인에 따라 각각 기 설정된 차감 소요시간을 통화 과금에 선택적으로 차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과금 분리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cause of a call disconnection when a call disconnection occurs during a call between two terminals, that is, whether the call disconnection is a call disconnection due to a handover failure or a disconnection due to a battery hernion, , A new billing separation scheme is proposed, which can selectively deduct the predetermined time required for each call according to the cause of call trunc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통화 중인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실패에 의한 제 1 호 절단 또는 배터리 탈장에 의한 제 2 호 절단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호 절단 또는 제 2 호 절단이 발생될 때, 제 1 호 절단 구분자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를 선택 포함하는 해제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통화 과금으로의 선택적인 차감 적용을 위해, 생성된 상기 해제 요구 메시지를 과금 노드 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 상태 기반의 과금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monitoring whether or not a first call interruption due to a handover failure or a second call interruption due to a battery hernal call occurs from a terminal in a call; Generating a release request message including a first cut delimiter or a second call delimiter when a call interruption occurs, and generating a release request message, which is generated in order to selectively apply a deduction to the call charg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transmitting a signal to a node side;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통화 중인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실패에 의한 제 1 호 절단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제 1 단말 상태 관리부와, 상기 단말로부터 배터리 탈장에 의한 제 2 호 절단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제 2 단말 상태 관리부와, 상기 제 1 호 절단 또는 제 2 호 절단이 발생될 때, 제 1 호 절단 구분자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를 선택 포함하는 해제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통화 과금으로의 선택적인 차감 적용을 위해, 생성된 상기 해제 요구 메시지를 과금 노드 측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송출부를 포함하는 단말 상태 기반의 과금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terminal state management unit for monitoring whether a first call is disconnected due to a handover failure from a terminal in a call, A second terminal state management unit for monitoring whether or not the first call disconnecting or second call disconnecting is performed, and a second terminal state managing unit for monitoring whether or not the first call disconnecting or second call disconnecting is selected, And a message sending unit for sending the generated release request message to the billing node side for selective deduction application to the call charge.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네트워크로부터 호 절단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해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호 절단 구분자 정보의 분석을 통해 호 절단이 핸드오버 실패에 의한 제 1 호 절단인지 또는 배터리 탈장에 의한 제 2 호 절단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호 절단 또는 제 2 호 절단의 검출을 위한 소요시간을 발신 단말의 통화 과금에 선택적으로 차감 적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 상태 기반의 과금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cessing a call,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release request message including call separation delimiter information from a network;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call is disconnected due to a battery hernion or not and a step of selectively applying the time required for detecting the first call disconnect or the second call disconnect to the calling charge of the calling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Based on the terminal state information.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두 단말 간의 통화 중에 기지국이 단말의 호 절단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호 절단이 발생될 때, 해당 호 절단이 핸드오버 실패에 의한 제 1 호 절단인지 또는 배터리 탈장에 의한 제 2 호 절단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에 따라 제 1 호 절단 구분자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를 포함하는 UE 콘텍스트 해제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성 관리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성 관리 노드가 상기 제 1 호 절단 구분자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를 포함하는 베어러 삭제 지령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플레인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플레인 노드가 상기 제 1 호 절단 구분자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를 포함하는 호 차단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과금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과금 노드가 상기 제 1 호 절단 구분자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를 차감 정보로서 단말의 통화 과금에 선택 적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 상태 기반의 과금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station, including the steps of: monitoring whether a base station disconnects a call during a call between two terminals; Generating a UE context release request message including a first call break separator or a second call break separator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and transmitting the UE context release request message to the mobility management node; Generating a bearer delete command message including the first call break delimiter or the second call break delimiter and transmitting the bearer delete command message to the user plane node; Generating a call blocking request message including a call break separator and transmitting the call blocking request message to the billing node; And a step of selectively applying the first break cut identifier or the second break break identifier to the call charge of the terminal as deduc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통화 중에 착신 단말의 호 절단이 발생될 때, 발생된 호 절단이 핸드오버 실패에 의한 호 절단인지 또는 배터리 탈장에 의한 절단인지 그 원인을 판단하고, 호 절단의 원인 정보를 과금 노드 측에 전송하여 호 절단의 원인에 따라 각각 기 설정된 차감 소요시간을 통화 과금에 선택적으로 차감 적용함으로써, 통화 과금에 대한 신뢰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ll termination of a called terminal occurs during a call, it is judged whether the call termination is a call termination due to a handover failure or a termination due to a battery hernion. And the reliability of the currency billing can be improved by selectively deducting the predetermined deduction required time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cause of the call truncation.

또한, 본 발명은 호 절단의 원인에 따라 각각 기 설정된 차감 소요시간을 통화 과금에 선택적으로 차감 적용하기 때문에 호 절단에 의한 차감 적용에 기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사업자의 불이익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prevent the disadvantages of the operators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the deduction by the call truncation because the predetermined deduction time is selectively deducted from the currency bill according to the cause of the call trun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상태 기반의 과금 분리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상태 기반의 과금 분리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호 절단이 발생될 때 호 절단의 발생 원인에 따라 통화 과금의 차감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FIG. 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suitable for applying the terminal state based billing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state based billing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lectively applying the deduction of the currency bill according to the cause of the call break when the call break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First,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a user, an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상태 기반의 과금 분리 방법을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FIG. 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suitable for applying a method of separating billing based on terminal st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다수의 통신 단말(UE : user equipment)(102), 기지국(DU)(eNodeB)(104), 이동성 관리 노드(MME : Mobility Management Entity)(106), 신호 처리 노드(SGW : Serving Gateway)(108), 패킷 처리 노드(PGW : PDN Gateway)(110), 정책 관리 노드(PCRF : Policy & Charging Rule Function)(112) 및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노드(MSS : Multimedia Session Control System)(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eNodeB(104), MME(106), SGW(108), PGW(110) 및 PCRF(112) 등은 LTE 이동통신망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또한 eNodeB(104), MME(106), SGW(108), PGW(110) 및 PCRF(112)는 네트워크 노드로서 통칭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노드는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 등에 따라 부분적 혹은 선택적으로 통폐합되거나 혹은 다른 구성부재로 대체될 수도 있다.1,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equipment (UE) 102, a base station (DU) 104 (eNodeB),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106, A Serving Gateway (SGW) 108, a PDW Gateway (PGW) 110, a Policy & Charging Rule Function (PCRF) 112, and a Multimedia Session Control Session Control System) 114, and the like. Here, the eNodeB 104, the MME 106, the SGW 108, the PGW 110, and the PCRF 112 may be defined as an L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eNodeB 104, the MME 106, the SGW The PGW 110, and the PCRF 112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network nodes. In addition, the network node may be partially or selectively incorporated or replaced with other components depending on the network environ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04)에 의해 이동통신 관련 서비스 등을 제공받는 통신 단말(102)은 기지국(104)으로부터 패킷 기반의 음성 서비스, 패킷 기반의 영상 서비스, 패킷 기반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LTE 가입자 단말, HD 음성(voice)을 지원하는 VoLTE 가입자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 단말(102)과 기지국(104) 사이에는, 예컨대 건물 등에 설치된 이동통신용 안테나, 이동통신용 중계기 등을 포함하여 셀 또는 라디오 유닛(RU : radio unit)으로 정의(명칭)될 수 있는 중계 장비가 더 설치될 수 있다.1, a communication terminal 102 provid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related service by a base station 104 receives a packet-based voice service, a packet-based video service, a packet-based data 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like from the base station 104 For example, an LTE subscriber terminal, a VoLTE subscriber terminal supporting HD voice, or the lik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2 and the base station 104, there is a relay (which may be defined as a cell or radio unit (RU)) including an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installed in a building or the like, More equipment can be installed.

다음에, 기지국(104)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단지 하나의 기지국(eNodeB)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예컨대 수백 내지 수천 개의 기지국들에 대한 통신 서비스(예컨대, 음성 서비스, 영상 서비스, 부가정보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동성 관리 노드(106)에 의해 관장(제어)될 수 있으며, 수십 개의 기재국들이 하나의 트래킹 영역(TA : Tracking Area)(또는 트래킹 그룹)을 형성하는 형태로 관리될 수 있다.Next, the base station 104 exemplarily shows only one base station (eNodeB)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bu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for example, voice service, (Or a variety of multimedia services including a service, a supplementary information service, and the like) can be supervised (controlled) by the mobility management node 106, and dozens of recording stations can be controlled by one tracking area (TA) As shown in FIG.

그리고, 기지국(104)은 LTE(또는 VoLTE) 등 차세대기술 및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비로서 기지국, 기지국 장비 혹은 기지국 장치로 정의(명칭)될 수 있으며,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무선 승인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통신 단말로의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 등과 같은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지국(104)은, 예컨대 디지털 유닛(DU : digital unit)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base station 104 may be defined as a base station, a base station device, or a base station device as a device supporting next generation technologies and services such as LTE (or VoLTE), and may be defined as a radio bearer control, a radio resource management function such as radio admission control, connection mobility control, and dynamic resource allocation to a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provided. Here, the base station 104 may be defined, for example, as a digital unit (DU).

또한, 기지국(104)은 IP 헤더 압축 및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해독(encryption), 신호 처리 노드(108)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라우팅(routing), 페이징(paging)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이동성과 스케줄링을 위한 측정과 측정 보고 설정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104 may also perform operations such as IP header compression and encryption of user data streams, routing of user plane data to the signal processing node 108, scheduling and transmission of paging messages, ) Scheduling an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and measurement and measurement reporting for mobility and scheduling.

더욱이, 기지국(104)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이 통화를 진행하는 동안에 단말(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로부터 호 절단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호 절단으로 판단될 호 절단의 원인을 분석한 후 원인 정보(예컨대, 핸드오버 실패에 기인하는 호 절단을 의미하는 제 1 호 절단 구분자 정보(예컨대, Handover Failure) 또는 배터리 탈장에 기인하는 호 절단을 의미하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 정보(예컨대, UE Lost))를 포함하는 해제 요구 메시지(예컨대, UE Context Release Request)를 생성하여 이동성 관리 노드(106)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과금 분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의 배터리 탈장은, 예컨대 사용자에 의한 강제적 탈장 혹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임의적 탈장 등을 의미할 수 있다.Further, the base station 104 monitors whether call termination occurs from the terminal (calling terminal or called terminal) during the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analyzes the cause of call termination to be judged as call termination (For example, Handover Failure), which indicates call termination due to a handover failure, or second call disconnector information (e.g., UE (For example, a UE Context Release Request) including a request message (e.g., Lost) from the mobility management node 106 to the mobility management node 106. For this purpose, And may include the charge sepa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battery hernia of the terminal may mean, for example, a forced hernia by a user or an optional hernia that the user does not inten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상태 기반의 과금 분리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제 1 단말 상태 관리부(202), 제 2 단말 상태 관리부(204), 메시지 생성부(206) 및 메시지 송출부(2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state based billing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state management unit 202, the second terminal state management unit 204, the message generation unit 206, and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208 ), And the like.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단말 상태 관리부(202)는 통화 중인 두 단말(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실패(예컨대, 타겟 DU(디지털 유닛)가 해당 단말을 받아주지 않아 핸드오버 완료 시그널이 수신되지 않을 때)에 의한 호 절단(제 1 호 절단)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핸드오버 실패에 기인한 호 절단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때 이를 메시지 생성부(206)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terminal state management unit 202 determines whether a handover failure (for example, a target DU (digital unit) does not receive the terminal) from the two terminals (originating terminal and receiving terminal) (First cut) event is generated by the handover failure detection unit 206.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call disconnect event due to the handover failure is generated, it is sent to the message generation unit 206 And can provide a function of notifying the user.

여기에서, 핸드오버에 의한 호 절단의 판단 및 검출은, 예컨대 2-4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핸드오버 완료 시그널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제 1 단말 상태 관리부(202)는 제 1 호 절단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메시지 생성부(206)로 통지한다.Here, it may take a time of about 2-4 seconds to detect and detect the call disconnection due to the handover. If the handover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within the preset time, the first terminal state management unit 202 And notifies the message generation unit 206 that the first cutoff event has occurred.

다음에, 제 2 단말 상태 관리부(204)는 통화 중인 두 단말(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부터 배터리 탈장(예컨대, 강제 탈장 또는 임의적 탈장)에 의한 호 절단(제 2 호 절단)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배터리 탈장에 기인한 호 절단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때 이를 메시지 생성부(206)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second terminal state management unit 204 judges whether a call disconnect (second call disconnect) event by battery herniation (for example, forced or unplugged) from two terminals (calling terminal and receiving terminal) And notifies the message generating unit 206 of the occurrence of a call disconnect event caused by the battery herniation.

여기에서, 배터리 탈장에 의한 호 절단의 판단 및 검출은, 예컨대 10초, 15초, 20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기지국이 해당 단말을 탐지하지 못하면 제 2 단말 상태 관리부(204)는 제 2 호 절단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메시지 생성부(206)로 통지한다.Here, it may take a time of 10 seconds, 15 seconds, 20 seconds, for example, to judge and detect a call truncation due to battery hernation. If the base station can not detect the terminal within a preset time, 204 informs the message generating unit 206 that the second call breaking event has occurred.

또한, 메시지 생성부(206)는 호 절단 원인 정보를 포함하는 해제 요구 메시지, 예컨대 핸드오버 실패에 기인하는 호 절단을 의미하는 제 1 호 절단 구분자 정보(Handover Failure)를 포함하는 UE Context Release Request 메시지 또는 배터리 탈장에 기인하는 호 절단을 의미하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 정보(UE Lost))를 포함하는 UE Context Release Request 메시지를 생성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ssage generating unit 206 generates a UE Context Release Request message including Handover Failure indicating a call release due to a handover failure, for example, Or second call severing information (UE_Lost) indicating a call disconnect due to a battery hernage), and the like.

그리고, 메시지 송출부(208)는, 과금 노드 측에서 제 1 호 절단 또는 제 2 호 절단의 검출을 위한 소요시간 만큼을 단말(발신 단말)의 통화 과금에 선택적으로 차감 적용할 수 있도록, 생성된 해제 요구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의 이동성 관리 노드(106)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n, the message transmitting unit 208 transmits the generated call accounting information to the billing node so as to selectively apply the call accounting of the terminal (calling terminal) by the time required for detecting the first call break or the second call break, And to transmit the release request message to the mobility management node 106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성 관리 노드(106)는 기지국(104)과 신호 처리 노드(108) 간의 신호 제어 담당 등을 통해 통신 단말(단말 장치)의 이동성 등을 관리하는 노드를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세션 관리, 아이들(idle) 가입자 관리, 페이징(paging), 가입자 인증기능 등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이동성 관리 노드(106)는 단말이나 다른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신호 처리 노드(108) 또는 패킷 처리 노드(110)로부터의 결합 요청이나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등이 있는 경우에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것 등과 같은 제어 플레인(control plane)의 여러 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며, 도시 생략된 HSS(홈 가입자 서버)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 인증 및 위치 관련 데이터 등을 제공받아 EPS 베어러 또는 아이피 터널(IP tunnel)의 설정과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mobility management node 106 may refer to a node that manages the mobility of a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device) through a signal control charge between the base station 104 and the signal processing node 108 And can handle session management, idle subscriber management, paging, and subscriber authentication functions. That is, the mobility management node 106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a control signal when there is a binding request from the terminal or another network node, for example, from the signal processing node 108 or the packet processing node 110, And can receive the subscriber profile information, authentication and location related data from an HSS (home subscriber server) not shown in the figure, and sets up the EPS bearer or IP tunnel And mobility management can be provided.

여기에서, HSS는 도시 생략된 레거시망(예컨대, WCDMA 이동통신 시스템) 및/또는 LTE(또는 VoLTE)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data base)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 인증 및 위치 관련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Herein, the HSS includes a database including subscriber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a legacy network (e.g., a W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 or an LTE (or Vo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ans a network node, and may store subscriber profile information, authentication and location-related data, and the like.

또한, 이동성 관리 노드(106)는 본 발명에 따라 호 절단 이벤트가 발생하여 기지국(104)으로부터 제 1 호 절단 구분자 정보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UE Context Release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될 때 관련 베어러의 해제 및 과금으로의 차감 적용을 위한 메시지, 예컨대 호 절단 원인 정보(제 1 호 절단 구분자 정보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삭제 지령 메시지(Delete Bearer Command(w/o or w/Private Ext))를 생성하여 신호 처리 노드(108)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all disconnection event occurs and a UE Context Release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first call delimiter information or the second call delimit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0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lete Bearer Command (w / o or w) message containing a message for applying a deduction to the bearer, for example, a call cut cause information (first cut delimiter information or second cut delimiter information) / Private Ext) to the signal processing node 108, and so on.

다음에, 신호 처리 노드(108)는 후술하는 패킷 처리 노드(110)를 통해 정책 관리 노드(112)로부터 제공되는 네트워크 내의 통신 정책에 의거하여 기 설정된 세션에 따라 페이로드 트래픽(payload traffic)을 처리하는 세션 제어(session control) 등을 수행하는 사용자 플레인 노드로서, 기지국(104)과 S1-U 인터페이스로 연동하며, LTE 이동통신 시스템 및 3GPP 내부에서의 핸드오프(hand-off) 등을 지원하고, 패킷 처리 노드(110)와 EPS 베어러(Evolved Packet System bearer)를 설정하고 터널링을 이용하여 PDU(Packet Data Unit)를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라 이동성 관리 노드(106)로부터 호 절단 원인 정보(제 1 호 절단 구분자 정보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삭제 지령 메시지(Delete Bearer Command(w/o or w/Private Ext))가 수신될 때 이를 패킷 처리 노드(11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signal processing node 108 processes the payload traffic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ssion based on the communication policy in the network provided from the policy management node 112 via the packet processing node 110 A user plane node which performs session control with the base station 104 and interworks with the base station 104 through an S1-U interface, supports handoff in an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3GPP, The mobility management node 106 may perform functions such as setting up a packet processing node 110 and an evolved packet system bearer (EPS bearer) and delivering a PDU (Packet Data Unit) using tunneling. (Delete Bearer Command (w / o or w / Private Ext)) including a call cut-off cause information (first cut delimiter information or second cut delimiter information) It may provide features, such as passing the load (110).

그리고, 패킷 처리 노드(110)는 정책 관리 노드(112)로부터 제공되는 통신 및 과금 정책 등에 따라 단말 장치의 IP를 할당하고 외부 인터넷망 및 비 3GPP망과 연동하는 세션 제어 등을 수행하는 사용자 플레인 노드로서, 패킷 서비스를 위해 신호 처리 노드(108) 및 외부망과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고, 터널링 및 IP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며, 신호 처리 노드(108) 및 외부망으로 PDU를 전달할 수 있으며, 정책 관리 노드(112)로부터 제공되는 정책 우선순위 정보를 신호 처리 노드(108)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책 관리 노드(112)는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service data flow)에 따른 동적(dynamic) QoS 및 과금 규칙(rule)의 제공 등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 내의 통신 정책 및 과금 정책 등을 관리 및 수행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The packet processing node 110 allocates the IP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and charging policy provided from the policy management node 112 and allocates the IP address of the user plane node < RTI ID = 0.0 > Which can maintain the routing information with the signaling node 108 and the external network for packet service, provide tunneling and IP routing functions, deliver PDUs to the signal processing node 108 and the external network, And forwarding the policy priority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node 112 to the signal processing node 108. Here, the policy management node 112 manages and performs communication policies and billing policies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provision of dynamic QoS and billing rules according to the service data flow. And the like.

또한, 패킷 처리 노드(110)는 신호 처리노드(108)로부터 호 절단 원인 정보(제 1 호 절단 구분자 정보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삭제 지령 메시지(Delete Bearer Command(w/o or w/Private Ext))가 수신될 때 그에 상응하는 호 절단 원인 코드(예컨대, 코드 10 또는 코드 15)를 포함하는 메시지, 예컨대 CCR-U(RULE_STATUS Failure Code 10 or 15) 메시지를 생성하여 정책 관리 노드(112)로 전송하고, 해당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를 해제(삭제)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cket processing node 110 receives a bearer delete command (w / o) including a call cut cause information (the first cut delimiter information or the second call cut delimiter information) from the signal processing node 108 (RULE_STATUS Failure Code 10 or 15) message including a corresponding call cut-off cause code (for example, code 10 or code 15) is received, To the node 112, and to release (delete) the bearer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다음에, 정책 관리 노드(112)는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service data flow)에 따른 동적(dynamic) QoS 및 과금 규칙(rule)을 제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정책 및 과금 정책 등을 처리 및 집행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패킷 처리 노드(110)로부터 호 절단 원인 코드를 포함하는 CCR-U(RULE_STATUS Failure Code 10 or 15) 메시지가 수신될 때 규정된 과금 정책에 따라 호 절단 원인 정보를 포함하는 호 차단 요구 메시지(예컨대, Abort Session Request(Cause: 0 or 1))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노드(114)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책 관리 노드(112)는 과금 정책 노드로서 정의(통칭)될 수 있다.The policy management node 112 then provides dynamic QoS and billing rules according to the service data flow to process and enforce communication policies and billing policie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ULE_STATUS Failure Code 10 or 15) message including a call cut-off cause code is received from the packet processing nod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g., Abort Session Request (Cause: 0 or 1)) including the disconnection cause information to the multimedia session control node 114, and the like. Here, the policy management node 112 may be defined (collectively) as a billing policy node.

그리고,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노드(114)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관련의 세션 정보 저장 및 관리,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세션 관리, 단말의 과금 관리, 단말의 호 연결 해제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정책 관리 노드(112)로부터 호 절단 원인 정보를 포함하는 호 차단 요구 메시지가 수신될 때 그에 상응하는 호 해제 메시지(예컨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Bye)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노드 측으로 전송함으로써, 두 단말에 대한 호 연결을 해제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multimedia session control node 114 can provide functions such as storing and managing session information related to a mobile instant messaging service, multimedia session management for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charging management of a terminal, When a call blocking request message including call break caus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olicy management node 1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rresponding call release message (for example,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Bye) , Thereby releasing the call connection to the two terminals.

또한,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노드(114)는 호 차단 요구 메시지로부터 호 절단 원인을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를 해당 단말의 과금에 차감 적용, 예컨대 호 차단 요구 메시지로부터 제 1 호 절단(핸드오버 실패에 기인한 호 절단)을 의미하는 호 절단 원인 코드가 추출될 때 기 설정된 제 1 기준 소요시간(예컨대, 2-4초 등)을 해당 단말의 과금에 차감 적용하거나 혹은 호 차단 요구 메시지로부터 제 2 호 절단(배터리 탈장에 기인한 호 절단)을 의미하는 호 절단 원인 코드가 추출될 때 기 설정된 제 2 기준 소요시간(예컨대, 10초, 15초, 20초 등)을 해당 단말의 과금에 차감 적용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노드(114)는 제 1 호 절단에 대응하는 제 1 기준 소요시간과 제 2 호 절단에 대응하는 제 2 기준 소요시간이 각각 기 설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ultimedia session control node 114 analyzes the cause of the call disconnection from the call blocking request message and applies the analysis result to the billing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for example, cutting the first call from the call blocking request message (E.g., 2 to 4 seconds) is subtracted from the charge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when the call cut-off cause code indicating the call cut-off request message is extracted, (E.g., 10 seconds, 15 seconds, 20 seconds, etc.) at the time of extracting a call cut-off cause code, which means call cut due to battery herniation, Can be provided. To this end, the multimedia session control node 114 sets a first reference elapsed tim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c breaking and a second reference elapsed tim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c breaking, respectively.

여기에서,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노드(114)는 과금 노드로서 정의(통칭)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과금 노드는 반드시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노드(MSS)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신자표시 서비스, 발/착신 금지, 착신전환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망 내 응용 서비스 노드(TAS : Telephony Application Server)나 가입자 등록, 인증, 과금, 서비스별 트리거링 및 라우팅, 착신자 위치 조회, 호 처리, SIP 기반의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등을 위한 기본 기능을 수행하는 호 세션 제어 노드(CSCF :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를 과금 노드로서 적용할 수도 있다.Here, the multimedia session control node 114 may be defined (collectively) as a billing node, which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multimedia session control node (MSS), and may be a caller indication service, (TAS: Telephony Application Server) or subscriber registration, authentication, billing, service triggering and routing, caller location inquiry, call processing, SIP based A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CSCF) that performs basic functions for multimedia session control and the like may be applied as a billing node.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호 절단 발생의 원인에 따라 통화 과금의 차감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series of processes for selectively applying the deduction of the call charge according to the cause of call bre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호 절단이 발생될 때 호 절단의 발생 원인에 따라 통화 과금의 차감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vely applying the deduction of the currency bill according to the cause of the call break when the call break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104) 내 제 1 단말 상태 관리부(202)에서는 통화 중인 두 단말(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실패 이벤트에 의한 호 절단(제 1 호 절단)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제 2 단말 상태 관리부(204)에서는 통화 중인 두 단말(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부터 배터리 탈장에 의한 호 절단(제 2 호 절단)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한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terminal status management unit 202 in the base station 104 determines whether call termination (first call termination) due to a handover failure event occurs from two terminals (calling terminal and called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status management unit 204 monitors whether or not a call termination (second call termination) event due to the battery outage occurs from the two terminals (calling terminal and called terminal) in the call.

상기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제 1 호 절단 또는 제 2 호 절단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302), 메시지 생성부(206)에서는 호 절단 원인 정보를 포함하는 해제 요구 메시지(예컨대, 핸드오버 실패에 기인하는 호 절단을 의미하는 제 1 호 절단 구분자 정보(Handover Failure)를 포함하는 UE 콘텍스트 해제 요구(Context Release Request) 메시지 또는 배터리 탈장에 기인하는 호 절단을 의미하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 정보(UE Lost))를 포함하는 UE 콘텍스트 해제 요구(Context Release Request) 메시지)를 생성하고, 메시지 송출부(208)에서는 생성된 해제 요구 메시지를 이동성 관리 노드(106)로 전송한다(단계 304).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call break or the second call break has occurred (step 302), the message generating unit 206 generates a release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call break cause information A UE Context Release Request message including a first call disconnector information (Handover Failure) indicating a call disconnect resulting from the UE disconnect or a second call disconnector information (UE Lost ), And the message sending unit 208 transmits the release request message to the mobility management node 106 (step 304).

이에 응답하여, 이동성 관리 노드(106)에서는 기지국(104)으로부터 제 1 호 절단 구분자 정보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UE Context Release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관련 베어러의 해제 및 과금으로의 차감 적용을 위한 메시지, 예컨대 호 절단 원인 정보(제 1 호 절단 구분자 정보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삭제 지령 메시지(Delete Bearer Command(w/o or w/Private Ext))를 생성하여 신호 처리 노드(108)로 전송하며(단계 306), 신호 처리 노드(108)에서는 호 절단 원인 정보(제 1 호 절단 구분자 정보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삭제 지령 메시지(Delete Bearer Command(w/o or w/Private Ext))를 패킷 처리 노드(110)로 전달한다(단계 308).In response to this, in the mobility management node 106, when a UE Context Release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first call break delimiter information or the second call break delimit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04, A Delete Bearer Command (w / o or w / Private Ext) containing a message for application, for example, call cut cause information (first cut delimiter information or second cut delimiter information) The signal processing node 108 transmits to the signal processing node 108 the signal processing node 108 a bearer delete command message including the call cut cause information (the first cut delimiter information or the second call cut delimiter information) Command (w / o or w / Private Ext)) to the packet processing node 110 (step 308).

다음에, 패킷 처리 노드(110)에서는 호 절단 원인 정보(제 1 호 절단 구분자 정보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삭제 지령 메시지(Delete Bearer Command(w/o or w/Private Ext))가 수신되면, 그에 상응하는 호 절단 원인 코드(예컨대, 코드 10 또는 코드 15)를 포함하는 메시지(예컨대, CCR-U(RULE_STATUS Failure Code 10 or 15) 메시지)를 생성하여 정책 관리 노드(112)로 전송(절단 원인 보고)하고(단계 310), 해당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를 해제(삭제)시킨다(단계 312).Next, the packet processing node 110 transmits a bearer delete command message (w / o or w / Private Ext) including the call cut cause information (the first cut delimiter information or the second call cut delimiter information) (E.g., a RULE_STATUS Failure Code 10 or 15) message including the corresponding call disconnection reason code (e.g., code 10 or code 15) to the policy management node 112, (Step 310), and releases (deletes) the bearer alloca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step 312).

이어서, 정책 관리 노드(112)에서는 패킷 처리 노드(110)로부터 호 절단 원인 코드를 포함하는 CCR-U(RULE_STATUS Failure Code 10 or 15) 메시지가 수신되면, 규정된 과금 정책에 따라 호 절단 원인 정보를 포함하는 호 차단 요구 메시지(예컨대, Abort Session Request(Cause: 0 or 1))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노드(114)로 전송한다(단계 314).Then, when the CCR-U (RULE_STATUS Failure Code 10 or 15) message including the call disassociation cause code is received from the packet processing node 110, the policy management node 112 transmits the call disassociation cause information (E.g., Abort Session Request (Cause: 0 or 1)) to the multimedia session control node 114 (step 314).

이에 응답하여,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노드(114)에서는 호 차단 요구 메시지에 그에 상응하는 호 해제 메시지(예컨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Bye)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노드 측으로 전송함으로써, 두 단말에 대한 호 연결을 해제시킨다(단계 316).In response, the multimedia session control node 114 generates a call release message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Bye) corresponding to the call blocking request message and transmits the call release message to the network node side, (Step 316).

또한,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노드(114)에서는 호 절단 원인의 그 분석 결과를 해당 단말의 과금에 차감 적용, 예컨대 호 차단 요구 메시지로부터 제 1 호 절단(핸드오버 실패에 기인한 호 절단)을 의미하는 호 절단 원인 코드(제 1 호 절단 구분자 정보)가 추출될 때 기 설정된 제 1 기준 소요시간(예컨대, 2-4초 등)을 해당 단말의 과금에 차감 적용하거나 혹은 호 차단 요구 메시지로부터 제 2 호 절단(배터리 탈장에 기인한 호 절단)을 의미하는 호 절단 원인 코드(제 2 호 절단 구분자 정보)가 추출될 때 기 설정된 제 2 기준 소요시간(예컨대, 10초, 15초, 20초 등)을 해당 단말의 과금에 차감 적용한다(단계 318).In addition, the multimedia session control node 114 may apply the analysis result of the cause of call truncation to the charge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for example, a call that indicates the first truncation (call truncation due to handover failure) When the cut-off cause code (first cut-off delimiter information) is extracted, it is necessary to subtract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elapsed time (for example, 2-4 seconds) from the billing of the terminal, (For example, 10 seconds, 15 seconds, 20 seconds, etc.) when a call cut-off cause code (No. 2 cut-off breaker information), which means a call cut due to battery herniation, And applies the deduction to the charging of the terminal (step 318).

즉,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노드(114)는 네트워크로부터 호 절단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해제 요구 메시지를 수신되면, 호 절단 구분자 정보의 분석을 통해 호 절단이 핸드오버 실패에 의한 제 1 호 절단인지 또는 배터리 탈장에 의한 제 2 호 절단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제 1 호 절단 또는 제 2 호 절단의 검출을 위한 소요시간을 발신 단말의 통화 과금에 선택적으로 차감 적용시킨다.That is, when the multimedia session control node 114 receives the release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call break delimiter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ll break delimiter information that the call break is the first call break due to the handover failure, And selectively deducts the time required for detecting the first cut or the second cu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calling charge of the calling terminal.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호 절단의 발생 원인에 따라 호 절단을 판단 및 검출하는데 실제적으로 소요된 시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기준 소요시간 만큼을 해당 단말의 통화 과금에서 차감해 준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deduct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corresponding to the time actually spent in judging and detecting call truncation according to the cause of the call truncation, from the call charge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is easy to see that this is possible. That is,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호 절단이 발생하면 발생 원인이 핸드오버 실패인지 혹은 배터리 탈장인지를 확인한 후 호 절단의 발생 원인에 따라 호 절단을 판단 및 검출하는데 실제적으로 소요된 시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기준 소요시간 만큼을 해당 단말의 통화 과금에서 차감해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화 과금에 대한 신뢰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 절단의 차감 적용에 기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사업자의 불이익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과금 분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all interruption occurs, it is checked whether the cause of the call interruption is a handover failure or a battery hernion, and then a time corresponding to the time actually spent in judging and detecting the call interruption And subtracts the established standard time required from the call charge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currency billing but also provides a billing separation service that effectively prevents the disadvantages of the carriers that may be caused due to the deduction application of the call truncation.

이러한 기술적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VoLTE(또는 LTE) 이동통신망에 적용함으로써, VoLTE 또는 LTE 서비스의 신뢰도 증진 및 과금 적용 서비스의 신뢰도 증진을 실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is technical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to VoLTE (or L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by realizing the reliability enhancement of VoLTE or LTE service and the reliability enhancement of billing application service.

102 : 통신 단말 104 : 기지국
106 : 이동성 관리 노드 108 : 신호 처리 노드
110 : 패킷 처리 112 : 정책 관리 노드
114 :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노드 202 : 제 1 단말 상태 관리부
204 : 제 2 단말 상태 관리부 206 : 메시지 생성부
208 : 메시지 송출부
102: communication terminal 104: base station
106: mobility management node 108: signal processing node
110: Packet processing 112: Policy management node
114: multimedia session control node 202: first terminal state manager
204: second terminal state management unit 206:
208:

Claims (6)

통화 중인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실패에 의한 제 1 호 절단 또는 배터리 탈장에 의한 제 2 호 절단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호 절단 또는 제 2 호 절단이 발생될 때, 제 1 호 절단 구분자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를 선택 포함하는 해제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통화 과금으로의 선택적인 차감 적용을 위해, 생성된 상기 해제 요구 메시지를 과금 노드 측으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단말 상태 기반의 과금 분리 방법.
Monitoring whether or not a first call disconnected due to a handover failure or a second call disconnect due to a battery hernion from a terminal in a call is monitored;
Generating a release request message including a first arc breaking delimiter or a second arc breaking delimiter when the first arc breaking or the second arc breaking occurs;
For selective deduction application to currency billing,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release request message to the billing node side
Based on the terminal status.
통화 중인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실패에 의한 제 1 호 절단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제 1 단말 상태 관리부와,
상기 단말로부터 배터리 탈장에 의한 제 2 호 절단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제 2 단말 상태 관리부와,
상기 제 1 호 절단 또는 제 2 호 절단이 발생될 때, 제 1 호 절단 구분자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를 선택 포함하는 해제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통화 과금으로의 선택적인 차감 적용을 위해, 생성된 상기 해제 요구 메시지를 과금 노드 측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송출부
를 포함하는 단말 상태 기반의 과금 분리 장치.
A first terminal state management unit for monitoring whether or not a first call disconnection occurs due to a handover failure from a terminal in a call;
A second terminal state management unit for monitoring whether or not a second call disconnection due to battery herniation occurs from the terminal,
A mess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release request message including a first arc breaking delimiter or a second arc breaking delimiter when the first arc breaking or the second arc breaking occurs;
In order to selectively apply the deduction to the currency billing, a message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the generated release request message to the billing node side,
And a terminal status-based billing separation apparatus comprising:
네트워크로부터 호 절단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해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호 절단 구분자 정보의 분석을 통해 호 절단이 핸드오버 실패에 의한 제 1 호 절단인지 또는 배터리 탈장에 의한 제 2 호 절단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호 절단 또는 제 2 호 절단의 검출을 위한 소요시간을 발신 단말의 통화 과금에 선택적으로 차감 적용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단말 상태 기반의 과금 분리 방법.
Receiving a release request message including call break delimiter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Determining whether call termination is a first call termination due to a handover failure or a second call termination due to a battery herniation through analysis of call termination delimiter information;
A step of selectively deducting the time required for detecting the first call disconnect or the second call disconnec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o the call charge of the calling terminal
Based on the terminal statu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요시간은,
상기 제 1 호 절단에 대해 기 설정된 제 1 기준 소요시간과 상기 제 2 호 절단에 대해 기 설정된 제 2 기준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단말 상태 기반의 과금 분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above-
A first reference elapsed time preset for the first arc cut and a second reference elapsed time previously set for the second arc cut,
Terminal state based billing separation metho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과금으로의 차감 적용은,
IMS 망 내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노드(MSS), 응용 서비스 노드(TAS), 호 세션 제어 노드(CSCF)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되는
단말 상태 기반의 과금 분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deduction application to the above-
Is performed through any one of the multimedia session control node (MSS), the application service node (TAS), and the call session control node (CSCF) in the IMS network
Terminal state based billing separation method.
두 단말 간의 통화 중에 기지국이 단말의 호 절단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호 절단이 발생될 때, 해당 호 절단이 핸드오버 실패에 의한 제 1 호 절단인지 또는 배터리 탈장에 의한 제 2 호 절단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에 따라 제 1 호 절단 구분자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를 포함하는 UE 콘텍스트 해제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성 관리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성 관리 노드가 상기 제 1 호 절단 구분자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를 포함하는 베어러 삭제 지령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플레인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플레인 노드가 상기 제 1 호 절단 구분자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를 포함하는 호 차단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과금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과금 노드가 상기 제 1 호 절단 구분자 또는 제 2 호 절단 구분자를 차감 정보로서 단말의 통화 과금에 선택 적용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단말 상태 기반의 과금 분리 방법.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monitoring whether a base station disconnects a call during a call between two terminals;
Determining whether the call interruption is a first call interruption due to a handover failure or a second call interruption due to a battery hernal call when a call interruption occurs;
Generating a UE context release request message including a first call break delimiter or a second call break delimiter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and transmitting the UE context release request message to a mobility management node;
Generating a bearer delete command message including the first call break delimiter or the second call break delimiter and transmitting the bearer delete command message to the user plane node;
Generating a call blocking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first call break delimiter or the second call break delimiter and transmitting the call blocking request message to the billing node;
And the billing node selectively applies the first call breaking delimiter or the second call breaking delimiter to the call charge of the terminal as the dedu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terminal status.
KR1020130101928A 2013-08-27 2013-08-27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billing of user equipment based on state of equipment KR1020982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928A KR102098207B1 (en) 2013-08-27 2013-08-27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billing of user equipment based on state of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928A KR102098207B1 (en) 2013-08-27 2013-08-27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billing of user equipment based on state of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690A true KR20150024690A (en) 2015-03-09
KR102098207B1 KR102098207B1 (en) 2020-04-08

Family

ID=5302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928A KR102098207B1 (en) 2013-08-27 2013-08-27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billing of user equipment based on state of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20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482A (en) * 2000-03-15 2001-10-23 김종혁 Method For Evaluating Duration Of Call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61305A (en) * 2002-12-30 2004-07-07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Method for processing disconnect call charge at intelligent network busy
KR100879851B1 (en) 2007-08-01 2009-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session state of ims domain i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482A (en) * 2000-03-15 2001-10-23 김종혁 Method For Evaluating Duration Of Call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61305A (en) * 2002-12-30 2004-07-07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Method for processing disconnect call charge at intelligent network busy
KR100879851B1 (en) 2007-08-01 2009-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session state of ims domain i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TSI TS 129 163 V11.7.0,2013.0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207B1 (en)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073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onges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4258702A2 (en) Network reselection during a disaster
US20150138952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th control
EP2448192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user plane data
US9451583B2 (en) Communication method, mobile network system and device
RU2533316C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call management node, priority management node and mobility management node
US8867471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porting radio access network element information
CN104066133B (en) A method of supporting switching
US9392566B2 (en) Avoiding unlimited number of unsuccessful location update or packet data connection establishment attempts
CN101730072B (en) Packet data web gateway identification saving method and system in multi-access scene
US20160183127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supporting local breakout in small cell architecture
CN106572505A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EP27313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gestion notification
KR101549108B1 (en) Gateway relocation control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device
WO2014005444A1 (en) Access method, system, mme, and ue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hunting
US10904809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upporting release of SIPTO bearer or LIPA bearer in dual-connectivity architecture
EP3528517B1 (en) Data packet processing method, control plane network element and user plane network element
US20120172066A1 (en) Communication method, mobile network system and device
KR201900381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pdn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0320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data in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20982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billing of user equipment based on state of equipment
CN118339918A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for QUIC application
KR102092191B1 (en) Abnormal cal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04918322B (en) Method for reporting user position information
KR201801354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harg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