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139A -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139A
KR20150024139A KR20130101220A KR20130101220A KR20150024139A KR 20150024139 A KR20150024139 A KR 20150024139A KR 20130101220 A KR20130101220 A KR 20130101220A KR 20130101220 A KR20130101220 A KR 20130101220A KR 20150024139 A KR20150024139 A KR 20150024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touch input
contents
display area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천준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1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4139A/ko
Priority to US14/144,421 priority patent/US9489105B2/en
Publication of KR20150024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영역이 정의된 디스플레이부,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감지부에서 감지한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 중 제1표시영역에 발생하는 제1터치입력을 상기 터치감지부가 감지하면, 상기 제1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상기 제1표시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표시장치는 다양한 단말(terminal)에 적용되고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장치는 휴대폰, 태블릿PC, 노트북과 같은 이동단말(mobile terminal)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는 실내 또는 실외에 전시되는 전시형 표시장치와 같은 고정 단말 (stationary terminal)에도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상기 전시형 표시장치는 박물관이나 전시관에 설치되어 전시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지하철역, 쇼핑몰, 공항 등에 설치되어 광고를 제공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전시형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대응하여 해당 정보 또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도 한다.
표시장치가 상술한 전시형 표시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은 일측방향(또는 전방)으로만 제공되는 바,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가 표시된 부분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 에 의한 입력 발생시 표시장치에 표시된 컨텐츠를 해당 입력이 발생된 부분으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영역이 정의된 디스플레이부,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감지부에서 감지한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 중 제1표시영역에 발생하는 제1터치입력을 상기 터치감지부가 감지하면, 상기 제1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표시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의 복수의 표시영역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 중 제1표시영역에 발생하는 제1터치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1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표시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해당 컨텐츠가 표시된 부분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음에 따라, 사용자 편의가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컨텐츠의 이동과정을 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심미감을 증진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제어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 중 컨텐츠의 배열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바디의 형상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 또는 동작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 또는 하나의 동작을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다른 동작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은 디스플레이부(110), 터치감지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표시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화상으로 출력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10)는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UI 또는 GUI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컨텐츠(예컨대, 아이콘, 위젯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하는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그 자체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곡면으로 이루어진 표시영역을 구현하는 데에 이점을 갖게 된다.
이들 디스플레이 중 일부는 투명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또한 표시장치(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10)에는 복수의 표시영역이 정의될 수 있으며, 각 표시영역별로 독립적으로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10)가 2개 이상의 분리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각 디스플레이부(110) 별로 독립적으로 화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표시영역이 정의된 하나의 디스플레이만을 구비하고, 각 표시영역별로 독립적으로 화상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감지부(13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용 및 감지할 수 있다. 즉, 터치감지부(130)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질 수 있으며,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터치발생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터치감지부(130)가 사용자에 의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터치감지부(130)가 압력, 정전용량변화, 상호정전용량변화 등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감지부(130)와 디스플레이부(110)는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0)는 출력 장치의 기능뿐만 아니라 입력 장치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즉, 터치감지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어느 영역에서 터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터치입력이란, 직접(real) 터치 및 호버링(hovering) 등에 의한 근겁(proximity) 터치를 포함하며, 싱글터치(터치) 및 멀티터치(더블터치, 터치&드래그 및 롱터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는 터치감지부(130)는 카메라 또는 적외선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감지부(130)가 디스플레이부(110)와 상호 레이어를 이루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제어부(controller, 150)는 통상적으로 표시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이를 위한 전기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전기적 유닛으로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화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화상을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여 복수의 표시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표시하고, 복수의 표시영역 중 제1표시영역에 발생하는 터치입력을 터치감지부(130)가 감지하면, 상기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제1표시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제어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제어방법은, 복수의 표시영역 중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표시하고(S10), 제1표시영역에 발생하는 제1터치입력을 감지하고(S30), 제1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제1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화상을 변경하는 것(S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장치의 동작에 따라 변경되는 표시화면을 예시로 하여 본 발명의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도 1의 110)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도 1의 110)에는 복수의 표시영역(111, 113, 115, 117)이 정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디스플레이부(도 1의 110)에 4개의 표시영역이 정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표시영역의 개수에는 그 제한이 없다. 화상이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영역(111, 113, 115, 117)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을 따라 폐루프(closed-loop)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표시영역(111, 113, 115, 117) 각각을 제1표시영역(111), 제2표시영역(113), 제3표시영역(115), 제4표시영역(117)이라 하면, 제1표시영역(111)은 이웃하는 제2표시영역(113) 및 제4표시영역(117) 각각과 상호 연결되어 연속할 수 있다. 또한 제3표시영역(115)은 이웃하는 제2표시영역(113) 및 제4표시영역(117) 각각과 상호 연결되어 연속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표시영역(113)은 제1표시영역(111) 및 제3표시영역(115)과 연속할 수 있으며, 제4표시영역(117)은 제1표시영역(111) 및 제3표시영역(115)와 연속할 수 있다.
제어부(도 1의 150)는 디스플레이부(도 1의 110)를 제어하여 복수의 표시영역(111, 113, 115, 1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에컨대 제어부(도 1의 150)의 제어에 의해 제2 내지 제4 표시영역(113, 115, 117) 각각에는 3개의 컨텐츠(A, B, C)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내지 제4 표시영역(113, 115, 117)에 표시되는 3개의 컨텐츠(A, B, C)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icon)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컨텐츠(A, B, C)는 특정 정보를 담은 페이지 형태, 위젯(widget)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즉, 컨텐츠(A, B, C)의 형태 및 종류에는 그 제한이 없다고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제어부(도 1의 150)의 제어에 의해 복수의 표시영역(111, 113, 115, 117)에 3개의 컨텐츠(A, B, C)가 표시된 경우를 예시로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표시영역(111, 113, 115, 117)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개수에도 그 제한이 없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컨텐츠(A, B, C)가 아이콘, 예컨대 제1아이콘(A), 제2아이콘(B) 및 제3아이콘(C)인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제1아이콘(A), 제2아이콘(B) 및 제3아이콘(C) 각각은 제2표시영역(113), 제3표시영역(115) 및 제4표시영역(117)의 특정 부분에 고정된 상태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시간의 변화에 따라 제1아이콘(A), 제2아이콘(B) 및 제3아이콘(C)의 표시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제1아이콘(A), 제2아이콘(B) 및 제3아이콘(C)은 복수의 표시영역(111, 113, 115, 117) 내에서 점진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1아이콘(A), 제2아이콘(B) 및 제3아이콘(C)이 복수의 표시영역(111, 113, 115, 117) 내에서 떠다니는(또는 부유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1아이콘(A), 제2아이콘(B) 및 제3아이콘(C)이 디스플레이부(도 1의 11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표시영역(111, 113, 115, 117) 중 어느 하나(예컨대 제1표시영역, 111)에 제1터치입력(T1)이 발생하면, 터치감지부(도 1의 130)는 제1터치입력(T1)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도 1의 15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터치입력(T1)에 응답하여 제1아이콘(A), 제2아이콘(B) 및 제3아이콘(C)을 제1표시영역(111)으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제1표시영역(111)에 표시된 제1아이콘(A), 제2아이콘(B) 및 제3아이콘(C)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에 의한 제2터치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도 1의 150)는 제2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고, 해당 동작을 제1표시영역(11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표시영역에 표시된 컨텐츠(예컨대 특정 정보를 담은 페이지 또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보거나 선택하기 위하여 해당 컨텐츠가 표시된 부분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는 이점을 갖게 되며,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컨텐츠가 이동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음에 따라 심미감을 증진시키는 효과도 추가적으로 갖게 된다.
도 5는 표시장치의 표시화면 중 컨텐츠(예컨대 아이콘)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복수의 표시영역(111, 113, 115, 117)을 I1-I2방향으로 절단하여 동일평면상에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I1-I2의 위치는 제1터치입력(T1)이 발생한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로서, 제1터치입력(T1)이 발생한 부분으로부터 반시계방향을 따라 측정한 I1-I2까지의 거리는, 제1터치입력(T1)이 발생한 부분으로부터 시계방향을 따라 측정한 I1-I2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제1터치입력(T1)이 발생하는 경우, 제1아이콘(A), 제2아이콘(B) 및 제3아이콘(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속도는 다른 하나의 이동속도와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아이콘(A), 제2아이콘(B) 및 제3아이콘(C)의 이동속도는 제1터치입력(T1) 발생 전 각 아이콘(A, B, C)이 위치한 부분으로부터 제1터치입력(T1)이 발생한 부분까지의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전 제1아이콘(A)으로부터 제1터치입력(T1)이 발생한 부분까지의 거리를 Da, 이동전 제2아이콘(B)으로부터 제1터치입력(T1)이 발생한 부분까지의 거리를 Db, 이동전 제3아이콘(C)으로부터 제1터치입력(T1)이 발생한 부분까지의 거리를 Dc라고 하고, 제1터치입력(T1)에 응답하여 제1아이콘(A), 제2아이콘(B), 제3아이콘(C)이 이동하는 속도(velocity)를 각각 Va, Vb, Vc라고 하면, Va, Vb 및 Vc는 Da, Db, Dc와 비례할 수 있다. 예컨대 Da, Db, Dc가 Db<Da<Dc의 관계에 있는 경우, Va, Vb 및 Vc 는 Vb<Va<Vc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터치입력(T1)이 발생한 부분으로부터 직선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아이콘(예컨대, 제3아이콘 C)은, 제1터치입력(T1)이 발생한 부분으로부터 직선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아이콘(예컨대, 제1아이콘 A 및 제2아이콘 B)보다 빠르게 이동함으로써, 각 아이콘들(A, B, C)이 제1표시영역(111)에 밀집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각 아이콘들(A, B, C)의 이격거리 기준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각 아이콘들(A, B, C)의 이동 속도는 모두 동일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이동한 컨텐츠(예컨대 아이콘)의 배열과정에 대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가 제1표시영역으로 이동한 후에 컨텐츠가 제1표시영역에 배열되는 표시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예컨대 제1터치입력(T1)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롱터치인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아이콘(A), 제2아이콘(B) 및 제3아이콘(C)은 제1표시영역(111) 중 제1터치입력(T1)이 발생한 부분에 밀집 배치될 수 있으며, 이후 일정시간 이상 지속된 제1터치입력(T1)이 해제되는 경우, 제1아이콘(A), 제2아이콘(B) 및 제3아이콘(C)은 재배열되어 제1표시영역(111)에 표시될 수 있다. 제1아이콘(A), 제2아이콘(B) 및 제3아이콘(C)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재배열될 수도 있으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재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재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예시적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9의 (a)에 도시된 각기둥 형태의 바디(201)의 외주면을 디스플레이부(110)로 감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9의 (b)에 도시된 원기둥 형태의 바디(203)의 외주면을 디스플레이부(110)로 감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로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이용될 수 있다. 즉, 표시장치는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부(110)의 유연성(flexibility)을 이용하여 각 기둥이나 원기둥 형태의 바디(201, 203)의 외주면을 표시영역으로 활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바디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바디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110)로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이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0)는 바디의 외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다각 기둥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예컨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기둥 형태, 또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육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장치는 다각 기둥의 각각의 면에 서로 다른 화상(예컨대 아이콘과 같은 컨텐츠)을 표시할 수도 있고, 다각 기둥의 각각의 면 중 일부에만 서로 다른 화상(예컨대 아이콘과 같은 컨텐츠)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11, 113, 115, 117: 제1, 제2, 제3, 제4 표시영역
130: 터치감지부
150: 제어부
201, 203: 바디

Claims (20)

  1.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영역이 정의된 디스플레이부;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감지부에서 감지한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 중 제1표시영역에 발생하는 제1터치입력을 상기 터치감지부가 감지하면, 상기 제1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상기 제1표시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의 이동 전 위치와 상기 제1터치입력이 발생한 지점 간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1터치입력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상기 제1터치입력이 발생한 지점에 밀집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된 상기 제1터치입력이 해제된 경우, 밀집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재정렬하여 상기 제1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은, 아이콘인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터치입력을 상기 터치감지부를 통해 감지하면, 상기 제2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응하는 동작의 수행에 따른 동작화면을 상기 제1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구 형상, 반구 형상, 원뿔 형상, 각기둥 형상, 원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 외주면은, 폐루프를 형성하는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복수의 표시영역이 정의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 중 제1표시영역에 발생하는 제1터치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1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상기 제1표시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의 이동속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의 이동 전 위치와 상기 제1터치입력이 발생한 지점 간의 거리에 비례하는 표시장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입력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상기 제1터치입력이 발생한 지점에 밀집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된 상기 제1터치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재정렬하여 상기 제1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표시장치 제어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은, 아이콘인 표시장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상기 제1표시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것 이후에,
    상기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터치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2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동작의 수행에 따른 동작화면을 상기 제1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제어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 외주면은, 폐루프를 형성하는 표시장치 제어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제어방법.
KR20130101220A 2013-08-26 2013-08-26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24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220A KR20150024139A (ko) 2013-08-26 2013-08-26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4/144,421 US9489105B2 (en) 2013-08-26 2013-12-30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220A KR20150024139A (ko) 2013-08-26 2013-08-26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139A true KR20150024139A (ko) 2015-03-06

Family

ID=5248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220A KR20150024139A (ko) 2013-08-26 2013-08-26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89105B2 (ko)
KR (1) KR201500241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792A (ko) * 2018-01-30 2019-08-23 조흥래 투명패널을 이용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구연동화 콘텐츠 제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3371B2 (en) 2014-02-07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display with color and contrast enhancement
US10565925B2 (en) 2014-02-07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ll color display with intrinsic transparency
US10554962B2 (en) 2014-02-07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high transparency display for light field generation
US10375365B2 (en) 2014-02-07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jection system with enhanced color and contrast
CN104460088A (zh) * 2014-12-12 2015-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面显示器件
US20160299531A1 (en) * 2015-03-17 2016-10-13 Roel Vertegaal Cylindrical Computing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10664014B2 (en) * 2017-01-05 2020-05-2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20230298542A1 (en) * 2020-07-16 2023-09-21 Sony Group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22B1 (ko) 2005-04-20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및 바로가기 제어 방법
KR20080068781A (ko) * 2007-01-20 2008-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방법
US20090019385A1 (en) 2007-07-12 2009-01-15 Nvidia Corporation Management of Icons in a Display Interface
EP2201440A4 (en) * 2007-09-11 2012-08-29 Smart Internet Technology Crc Pty Ltd INTERFACE ELEMENT FOR A COMPUTER INTERFACE
KR101521219B1 (ko)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0064387A1 (ja) * 2008-12-04 2010-06-10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
US9405456B2 (en) * 2009-06-08 2016-08-02 Xerox Corporation Manipulation of displayed objects by virtual magnetism
JP2012032852A (ja) * 2010-07-28 2012-02-1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55257B1 (ko) 2010-07-28 2012-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US8826178B1 (en) * 2012-11-06 2014-09-02 Google Inc. Element repositioning-based input assistance for presence-sensitive input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792A (ko) * 2018-01-30 2019-08-23 조흥래 투명패널을 이용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구연동화 콘텐츠 제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89105B2 (en) 2016-11-08
US20150058765A1 (en)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4139A (ko)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223081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を操作する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DK180032B8 (en)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921976B2 (en)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EP3025224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providing image la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60202866A1 (en)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EP3042266B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20150062161A1 (en) Portable device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91584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the orientation of an object on a display device
KR20140120183A (ko) 절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21074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display orientation using the same
KR101467144B1 (ko) 원형 터치 입력에 의한 3차원 페이지화면 전환 방법
KR20150094483A (ko) 3차원 가상 공간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12591B1 (ko) 객체 인식 기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