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013A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013A
KR20150024013A KR20130100886A KR20130100886A KR20150024013A KR 20150024013 A KR20150024013 A KR 20150024013A KR 20130100886 A KR20130100886 A KR 20130100886A KR 20130100886 A KR20130100886 A KR 20130100886A KR 20150024013 A KR20150024013 A KR 20150024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air
wire
air condition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1733B1 (en
Inventor
한중만
김두훈
한영흠
박은주
이준강
엄부용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733B1/en
Publication of KR20150024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0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7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having an improved fixating clip which reduces manpower, costs, and time needed for assembly; which has improved compatibility by being applicable to wires of different diameters, and which enables users to detach it from the wires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omprises: a blowing unit to selectively intake indoor or outdoor air to forcibly blow it; an air conditioning unit to cool or heat the air blown by the blowing unit to discharge it to the indoor space of a vehicle; and a fixating clip to arrange and fixate a wire onto the outer side of the cas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or the blowing unit, and fixating the wire to the case. The fixating clip has an annular ring part into which a wire is inserted and fixated.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part is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diameter of the wire. Therefore,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an save manpower, costs, and time required for assembly; has improved compatibility by being applicable to wires of different diameters; enables users to conveniently and easily maintain the air conditioner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to detach the wire; and has improved binding power between the wire and the fixating clip, and between the fixating clip and the case.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의 외측에 전장품들과 연결되는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배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ing structure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for fixing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electric components on the outside of an air conditioner case.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 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진다.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cludes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A heater core for the heating action, and air blown or heated by the evaporator or the heater core are selectively blown to respective portions of the vehicle interior using a blowing mode switching door.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 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10)와, 송풍장치(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입구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모드도어(46)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다수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된 공조케이스(40)와, 공조케이스(4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includes a fan 10 for forcibly blowing the inside / outside air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side, and a blower 10 for blowing air blown from the blower 10 An air conditioning case 40 having an air inlet 43 at the inlet side and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openings 44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mode door 46 at the outlet side; And an evaporator 41 and a heater core 42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증발기(41)와 히터코어(42)의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41)를 거친 냉풍과 히터코어(42)를 거친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45)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유입구(43)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41)를 통과하고 온도조절도어(45)의 조작에 의해 히터코어(42)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냉각 또는 가열한 후, 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조모드(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 디프로스트 모드)에 따른 다수의 모드도어들(46)의 개폐 선택에 따라 각 분기덕트(미도시)로 분기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난방 또는 환기한다.A temperature control door 45 is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41 and the heater core 42 to regulate the amount of mixing of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41 and the heated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42,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43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41 and selectively passes through the heater core 42 by the opera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45 to cool or heat the cooled or heated air (Not shown)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of the plurality of mode doors 46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mode (the vent mode, the bi-level mode, the floor mode, the mix mode and the defrost mode) So th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cooled, heated or ventilated.

도 3은 종래의 고정 클립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종래의 고정 클립을 이용한 전선의 고정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fixing clip,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ing state of a wire using a conventional fixing clip.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공조장치에는 블로워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각종 온도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각종 전선(13)들이 배선되어 있다. 상기 전선(13)은 공조케이스(40) 또는 송풍장치(10)의 송풍기 케이스(11)의 외측에 배선된 상태로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various wires 13 are connected to the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the blower motor 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nsors to various temperature sensors. The electric wire 13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wired on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40 or the blower case 11 of the air blowing apparatus 10. [

이하에서는 전선이 송풍기 케이스에 고정된 배선 구조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wiring structure in which electric wires are fixed to the blower cas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전선(13)은 고정 클립(70)을 통해 송풍기 케이스(11)에 고정된다. 고정 클립(70)은 일 측에 결합부가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 측에 체결공(7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클립(70)은 결합부(71)를 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결합부(71)와 다수의 전선 가닥들을 테이핑(Taping)하여, 고정 클립(70)을 전선(13)에 고정한다. 이후에, 체결공(72)에 스크류(15)를 체결하여 고정 클립(70)을 송풍기 케이스(11)에 체결한다.The electric wire 13 is fixed to the blower case 11 through the fixing clip 70. The fastening clip 70 has a fastening part 72 formed on one side and a fastening hole 72 on the other side. The fixing clip 70 is formed by taping a plurality of wire strands with the engaging portion 71 in a state where the engaging portions 71 are positione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 wires, . Thereafter, the screw 15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72 to fasten the fastening clip 70 to the blower case 11.

한편, 도 5는 도 4의 변형 예에 따른 고정 클립을 이용한 전선의 고정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클립(70)은 일 측에 고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리부에 전선(13)을 끼운 후 스크류(15)를 이용하여 고정 클립(70)을 송풍기 케이스(11)에 체결한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ed state of a wire using a fixing clip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FIG. 4. Referring to FIG. Referring to FIG. 5, the fixing clip 70 has a hook at one side. After the wire 13 is inserted into the hook, the fixing clip 70 is fixed to the blower case 11 using the screw 15 Conclude.

하지만, 종래의 고정 클립을 이용한 전선의 고정 구조는 고정 클립을 전선에 고정하기 위해 테이핑을 수행하고 별도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 클립을 케이스에 고정하여야 하므로, 조립 공수,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전선의 직경에 따라 서로 다른 고정 클립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선의 분해 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며, 공구를 이용한 분해 시 차량 내 작업 공간이 충분하지 않아 분해 작업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fixing structure of the electric wire using the conventional fixing clip requires taping to fix the fixing clip to the electric wire and fixes the fixing clip to the case using a separate screw, problems such as assembly cost, . In addition, since different fixing clips must be used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electric wire, there is a problem that compatibility is poor. In addition, when disassembling the electric wire, a separate tool must be us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sassembly operation is difficult due to insufficient working space in the vehicle when disassembling using the tool.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조립 공수, 비용 및 시간을 세이브할 수 있고, 다양한 전선의 직경에 모두 사용 가능하여 호환성이 향상되며, 전선의 분해 시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개선된 고정 클립을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assembling cost, cost and time, can be used for various diameters of various wires, improves compatibility, and requires separate tools when disassembling wir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fixing clip.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하여 강제 송풍하는 송풍 수단과, 상기 송풍 수단을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하는 공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수단 또는 공조 수단의 케이스의 외측에 전선을 배선하여 고정하며, 상기 전선을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립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클립은 환형으로 굴곡 형성되어 내측에 전선을 끼워 고정하는 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리부는 전선의 직경에 따라 내측 직경이 가변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ir blowing means for forcedly blowing in air or outside air to be forcedly blown, air conditioning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air blown through the blowing means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vehicle interior, And a fixing clip for fixing the electric wire to the case by wiring and fixing the electric wire to the outside of the case of the air conditioning means and the fixing clip is formed by bending in an annular shape, The ring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n inner diameter thereof is variable depending on a diameter of a wir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조립 공수, 비용 및 시간을 세이브할 수 있고, 다양한 전선의 직경에 모두 사용 가능하여 호환성이 향상되며, 전선의 분해 시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용이할 뿐 아니라, 전선과 고정 클립 및 고정 클립과 케이스 간의 체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assembling cost, cost and time, can be used for various diameters of wires, improves compatibility,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tool when disassembling electric wires, And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wire and the fixing clip and between the fixing clip and the cas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고정 클립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종래의 고정 클립을 이용한 전선의 고정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변형 예에 따른 고정 클립을 이용한 전선의 고정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고정 클립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고정 클립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고정 클립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체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고정 클립을 이용한 전선의 고정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Figure 3 shows a conventional fastening clip,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state of electric wires using a conventional fixing clip,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state of electric wires using the fixing clip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clip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clip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clip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astening portion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state of electric wires using a fixing clip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송풍 수단(120)과 공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수단(120) 또는 공조 수단의 케이스의 외측에 전선을 배선하여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는 공조케이스 또는 송풍기 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케이스는 송풍기 케이스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6 and 7, a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wing means 120 and an air conditioning means, and the blowing means 120 or the case of the air conditioning means And the wires are fixed to the outside by wiring. The case may be an air conditioning case or a blower case. In this embodiment, a blower cas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송풍 수단(120)은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하여 공조 수단 측으로 강제 송풍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블로워 모터 등이 구비된다. 공조 수단은 상기 송풍 수단을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한다. 공조 수단은 공조케이스(110)와,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온도조절도어(130)를 포함한다.The blowing means 120 selectively blows in air or outside air to blow air to the air conditioning means side, and a blower motor or the like is provid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means cools or heats the air blown through the blowing means and discharges the air to the vehicle interior. The air conditioning means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110, an evaporator 101 and a heater core 102, and a temperature control door 130.

공조케이스(110)는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111), 타측에 다수의 벤트(112)(113)(114)가 형성된다. 벤트(112)(113)(114)는 공조 공기의 토출을 위한 공기토출구로서,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페이스 벤트(113) 및 플로어 벤트(114,115)로 구성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 공기 통로상에는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가 형성된다.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has an air inle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plurality of vents 112, 113 and 114 at the other side thereof. The vents 112, 113 and 114 are air discharge openings for discharging air-conditioned air, and are formed of a defrost vent 112, a face vent 113, and floor vents 114 and 115. On the inner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 cold air passage P1 and a warm air passage P2 are formed.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는 공조케이스(110)의 내부 공기 통로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순차로 설치된다. 온도조절도어(130)는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 설치되어,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한다.The evaporator 101 and the heater core 102 are sequentially installed on the inner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30 is disposed between the evaporator 101 and the heater core 102 and includes a cold air passage P1 for bypassing the heater core 102 and a hot air passage P2 ).

아울러,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페이스 벤트(113)와, 플로어 벤트(114,115)는 각각 디프로스트 도어(117)와, 페이스 도어(118)와, 플로어 도어(119)에 의해 개도가 조절된다. 또한, 공조케이스(110)에는 콘솔 벤트(116)가 더 구비된다. 콘솔 벤트(116)는 페이스 벤트(113)로부터 분기되어 플로어 벤트(114,115)의 후방측에 형성된다.The opening of the defrost vent 112, the face vent 113 and the floor vents 114 and 115 is controlled by the defrost door 117, the face door 118 and the floor door 119, respectively . Further,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sole vent 116. The console vent 116 is branched from the face vent 113 and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loor vents 114 and 115.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고정 클립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고정 클립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고정 클립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체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고정 클립을 이용한 전선의 고정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clip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clip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clip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astening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electric wires are fixed using a fixing clip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고정 클립(200)을 구비한다. 고정 클립(200)은 전선(129)을 송풍기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리부(21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S. 8 to 12,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clip 200. The fixing clip 200 is for fixing the electric wire 129 to the blower case and includes a hook 210.

고리부(210)는 환형으로 굴곡 형성되어 일 측이 개구된 "C"자 형상의 고리 형태로 이루어진다. 고리부(210)는 내측에 전선(129)을 끼워 고정하도록 환형 고리부가 전선(129)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전선(129)을 감싼다. The ring portion 210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C " The annular ring part surrounds the wire 129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129 so as to fix the wire part 210 by inserting the wire 129 inside.

상기 고리부(210)는 전선(129)의 직경에 따라 내측 직경이 가변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테이핑(Taping) 작업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 공정, 비용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다양한 전선의 직경에 대응되어 고정이 가능하므로 호환성이 매우 우수하다.The ring 2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thereof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electric wire 129. Therefore, since no separate taping operation is required, the assembling process, cost and time can be shortened, and it can be fixed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s of various wires.

상기 고정 클립(200)은 상판부(220) 및 하판부(230)를 구비한다. The fixing clip 200 includes an upper plate 220 and a lower plate 230.

상판부(2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부(210)로부터 일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판부(220)는 고리부(210)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부(220)는 제1 후크부(280)를 구비한다. 제1 후크부(280)는 상판부(220)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후크부(280)의 하단부는 경사를 갖는 후크(Hook) 구조로 이루어져 후술할 제1 후크 체결공(270)에 끼워져 체결된다.The upper plate 2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extends from the ring 210 to one side. The upper plate 220 is preferably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hook 210. The upper plate portion 220 includes a first hook portion 280. The first hook portion 280 extends vertical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20 toward the lower side.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ok portion 280 has a hook structure having an inclina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ok fastening hole 270 to be described later and fastened.

하판부(2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부(210)로부터 일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하판부(230)는 상기 상판부(220)의 하측에 나란하게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하판부(230)는 고리부(210)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판부(230)에는 제1 후크 체결공(270)이 형성된다. 제1 후크 체결공(270)은 제1 후크부(280)를 삽입시켜 체결하는 것으로서, 하판부(230)의 길이 방향, 즉 전선(129)의 길이 방향의 직교 방향으로 다수개가 이격 형성된다.The lower plate portion 2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extended from the ring portion 210 to one side. The lower plate portion 230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portion 220 in parallel. The lower plate 230 is preferably integrally formed from the hook 210. The lower plate portion 230 is formed with a first hooking hole 270. The first hooks 270 are fastened by inserting the first hooks 28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230, that i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s 129.

이러한 구성을 통해, 다양한 전선의 직경에 따라 제1 후크부(280)를 다수의 제1 후크 체결공(270)에 선택적으로 체결함으로써 고리부(210)의 내측 직경을 용이하게 가변 가능하다.With this structure,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210 can be easily changed by selectively fastening the first hook portion 280 to the plurality of first hook fastening holes 270 according to the diameters of various wires.

상기 제1 후크부(280)는 한 쌍이 서로 마주하게 소정 거리 이격 구비되어, 이격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제1 후크부(280)는 하측 방향으로의 누름 동작에 따른 가압력에 의해 제1 후크 체결공(270)으로 강제 삽입되며, 이 삽입 과정에서 한 쌍의 제1 후크부(280)는 탄력적으로 오므라져 제1 후크부(280)의 하단 경사면을 따라 제1 후크부(280)가 제1 후크 체결공(270)에 부드럽게 삽입된다. 제1 후크부(280)의 삽입이 완료되면, 한 쌍의 제1 후크부(280)는 탄력적으로 벌어지고 제1 후크부(280)의 하단 후크(Hook) 구조가 하판부(230)에 걸려 제1 후크 체결공(270)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The pair of first hooks 28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elastically broken or widened in the spacing direction. The first hook portion 280 is forcibly inserted into the first hook hole 270 by the urging force of the pushing opera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this insertion process, the pair of first hook portions 280 elastically come out The first hook portion 280 is smoothly inserted into the first hook hole 270 along the lower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hook portion 280. When the insertion of the first hook portion 280 is completed, the pair of first hook portions 280 are elastically opened and the lower hook structure of the first hook portion 280 is caught by the lower plate portion 230 And does not deviate upwardly from the first hook fastening hole 270.

아울러, 제1 후크부(280)를 제1 후크 체결공(270)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한 쌍의 제1 후크부(280)를 눌러 오므라지게 한 후 상판부(220)를 상부로 당김으로써 제1 후크부(280)를 제1 후크 체결공(27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다.When the first hook portion 280 is detached from the first hook hole 270, the pair of first hook portions 280 are pushed down, and then the upper plate portion 220 is pulled upward, It is possible to easily detach the portion 280 from the first hook fastening hole 270.

결국, 이러한 구조를 통해, 다양한 전선의 직경에 따라 고리부(210)의 내측 직경을 용이하게 가변 가능하다.As a result, through this structure,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210 can be easily varied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various wires.

또한, 상기 상판부(220)에는 절개부를 통해 상판부(22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유동 가능한 누름판부(240)가 구비된다. 누름판부(240)는 상판부(2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 측을 제외한 테두리 부위를 절개하여 누름판부(240)에 구성이 가능하다. 즉, 누름판부(240)는 일 측만이 상판부(220)에 일체로 연결되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일 측 연결 부위가 상판부(2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유동이 가능하다. 상기 누름판부(240)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면 누름판부(240)는 탄력적으로 하부로 이동하며, 가압력을 제거하면 누름판부(240)는 복원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원위치로 복귀한다.The upper plate 220 is provided with a presser plate 240 which can be elastical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plate 220 through the cutout. The push plate portion 24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plate portion 220 and can be formed in the push plate portion 240 by cutting the edge portion excluding one side. That is, only one side of the presser plate 24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220, and the one side of the presser plate 240 can be elastically moved up and down with the one sid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220. When the push plate portion 240 is pr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the push plate portion 240 is elastically moved downward. When the push plate portion 240 is removed, the push plate portion 240 is resilient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상기 누름판부(240)의 상면에 제2 후크부(250)가 구비된다. 제2 후크부(250)는 고리부(210)의 반대 측 단부 방향, 즉, 상판부(220) 및 하판부(230)의 후술할 체결부(290)의 슬라이딩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송풍기 케이스(121)에는 체결부(290)가 구비된다.And the second hook portion 25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 plate portion 240. The second hook portion 25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end of the hook 210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290 of the upper plate 220 and the lower plate 230. In addition, the blower case 121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290.

체결부(290)는 송풍기 케이스(121)의 외측면에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220) 및 하판부(230)를 슬라이딩 삽입시킨다. 즉, 체결부(290)는 송풍기 케이스(121)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한 쌍의 벽부(290a)와, 상기 벽부(290a)를 연결하는 상면부(290b)로 구성된다. 체결부(290)의 상면, 즉, 상면부(290b)에는 제2 후크부(250)를 체결하는 제2 후크 체결공(291)이 형성된다.The fastening portion 29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ower case 121 in the form of a spool so that the upper plate 220 and the lower plate 230 are slidably inserted. That is, the fastening part 290 includes a pair of wall parts 290a extending upward from the fan case 12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top face part 290b connecting the wall part 290a. A second hook fastening hole 291 for fastening the second hook portion 25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290, that is, the upper surface portion 290b.

상판부(220) 및 하판부(230)가 체결부(290)로 슬라이딩 삽입될 때 체결부(290)가 제2 후크부(250)의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지며, 이로 인해 누름판부(240)는 하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상판부(220) 및 하판부(230)가 더 슬라이딩 되어 제2 후크부(250)가 제2 후크 체결공(291)에 삽입되어 걸리면, 누름판부(240)는 다시 상부로 탄성 복원되어 원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고정 클립(200)은 송풍기 케이스(121)에 고정이 완료된다.When the upper plate 220 and the lower plate 230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290, the coupling part 290 slides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hook part 250, Lt; / RTI > When the upper plate portion 220 and the lower plate portion 230 are further slid and the second hook portion 250 is inserted and hooked into the second hook hole 291, the push plate portion 240 is elastically restored to the upper portion again, do. Thus, the fixing clip 200 is fixed to the blower case 121.

이러한 구조를 통해, 먼저 전선(129)과 고정 클립(200)을 고정한 상태로 고정 클립(200)을 송풍기 케이스(121)에 용이하게 끼움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정 클립(200)과 송풍기 케이스(121) 간의 조립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With this structure, since the fixing clip 200 can be easily fitted to the blower case 121 while the electric wire 129 and the fixing clip 200 are fixed, the fixing clip 200 and the blower case 121 can be easily and easily assembled.

상기 하판부(230)에는 슬릿(231)이 형성된다. 슬릿(231)은 상기 누름판부(24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누름판부(240)를 수용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정 클립(200)을 체결부(290)에 슬라이딩 결합 및 분리 시 누름판부(240)가 하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때 슬릿(231)이 누름판부(240)를 수용하여 더욱 원활한 조립 및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 slit 231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230. The slit 231 is vertical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 plate 240 to receive the press plate 240. Therefore, when the pushing plate 240 is elastically deformed downward when the fixing clip 200 is slidably engag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290, the slit 231 accommodates the pushing plate portion 240, You can do the work.

상기 누름판부(240)에는 누름부(260)를 구비한다. 누름부(260)는 누름판부(240)의 상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누름부(260)의 구성을 통해, 고정 클립(200)을 송풍기 케이스(121)로부터 분리할 때, 누름부(260)를 누른 후 고정 클립(200)을 당기면 용이하게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esser plate 24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art 260. The pushing portion 260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ing plate 240. When the fixing clip 200 is separated from the blower case 121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pressing portion 260, the press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by pulling the fixing clip 200 after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260 .

이 경우, 상기 누름부(260)는 상기 체결부(290)보다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260)는 제2 후크부(250)가 제2 후크 체결공(291)에 체결될 때, 제2 후크부(250)와의 사이에서 체결부(290)의 일 측을 지지한다. 따라서, 고정 클립(200)이 체결부(290)에 결합될 때 누름부(260)와 제2 후크부(250)의 사이에 체결부(290)를 고정시켜 더욱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case, the pressing portion 260 protrudes upward from the coupling portion 290. The pressing portion 260 supports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290 between the second hook portion 250 and the second hook portion 250 when the second hook portion 250 is fastened to the second hook coupling hole 291. Therefore, when the fastening clip 200 is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290, the fastening portion 290 is fixed between the pushing portion 260 and the second hooking portion 250, so that more stable fixing can be achiev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용 공조장치
110 : 공조케이스 101 : 증발기
102 : 히터코어 120 : 송풍 수단
130 : 온도조절도어 200 : 고정 클립
210 : 고리부 220 : 상판부
230 : 하판부 240 : 누름판부
250 : 제2 후크부 260 : 누름부
270 : 제1 후크 체결공 280 : 제1 후크부
290 : 체결부 291 : 제2 후크 체결공
231 : 슬릿 129 : 전선
100: Vehicle air conditioner
110: air conditioning case 101: evaporator
102: heater core 120: blowing means
130: Temperature control door 200: Fixing clip
210: loop 220: upper plate
230: lower plate part 240: pressing plate part
250: second hook portion 260:
270: first hook fixing hole 280: first hook portion
290: fastening portion 291: second hook fastening hole
231: Slit 129: Wire

Claims (7)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하여 강제 송풍하는 송풍 수단과, 상기 송풍 수단을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하는 공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수단 또는 공조 수단의 케이스의 외측에 전선(129)을 배선하여 고정하며, 상기 전선(129)을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립(200)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200)은 환형으로 굴곡 형성되어 내측에 전선(129)을 끼워 고정하는 고리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고리부(210)는 전선(129)의 직경에 따라 내측 직경이 가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nd an air conditioning means for cooling the air blown through the air blowing means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wherein the air blowing means is provided outside the case of the air blowing means or the air conditioning means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a fixing clip (200) for fixing and fixing the electric wire (129) to a case by wiring and fixing the electric wire (129)
The fixing clip 200 has a ring 210 bent in an annular shape and fixing the wire 129 by fixing the wire 129.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210 is varied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wire 129, And the air conditioner is configured so that the air conditioner is capable of operat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200)은:
상기 고리부(210)로부터 일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후크부(280)를 구비하는 상판부(220); 및
상기 고리부(210)로부터 일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220)와 나란하게 마주하며, 상기 제1 후크부(280)를 체결하는 제1 후크 체결공(270)이 다수개 이격 형성된 하판부(2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uring clip (200) comprises:
An upper plate 220 extending from the loop 210 to one side and having a first hook 280; And
A plurality of first hooking holes 270 extending from the hook 210 to one side and facing the upper plate 220 in parallel and fastening the first hooking portion 280 are formed in a lower plate portion 230). ≪ / RTI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부(280)는 한 쌍이 서로 마주하게 소정 거리 이격 구비되어, 이격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air of first hook portions (280) are spac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elastically collapsed or widened in the spacing direc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220)에는 절개부를 통해 상판부(22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유동 가능한 누름판부(240)가 구비되고;
상기 누름판부(240)의 상면에 고리부(210)의 반대 측 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제2 후크부(250)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상판부(220) 및 하판부(230)를 슬라이딩 삽입시키는 체결부(29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290)의 상면에 상기 제2 후크부(250)를 체결하는 제2 후크 체결공(29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plate 220 is provided with a presser plate 240 which can be elastically moved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220 through a cutout,
And a second hook part (250) which is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opposite side end of the hook part (2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 plate part (240);
The case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art 290 for slidably inserting the upper plate part 220 and the lower plate part 230. The second hook part 250 fastening the second hook part 25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290, And a fastening hole (291)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230)에는 상기 누름판부(24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누름판부(240)를 수용 가능한 슬릿(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ower plate part (230) is formed with a slit (231) through which the pressure plate part (240) can be received through the upper plate part (24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plate part (24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부(240)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누름부(2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ush plate portion (240) is provided with a pushing portion (260) projected upward.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260)는 상기 체결부(290)보다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후크부(250)가 제2 후크 체결공(291)에 체결될 때 제2 후크부(250)와의 사이에서 체결부(290)의 일 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second hook portion 250 is fastened to the second hook fastening hole 291, the second hook portion 250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fastening portion 290, And the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290) is supported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290) and the coupling portion (290).
KR1020130100886A 2013-08-26 2013-08-26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0117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886A KR102011733B1 (en) 2013-08-26 2013-08-26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886A KR102011733B1 (en) 2013-08-26 2013-08-26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013A true KR20150024013A (en) 2015-03-06
KR102011733B1 KR102011733B1 (en) 2019-08-19

Family

ID=5302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886A KR102011733B1 (en) 2013-08-26 2013-08-26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73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6980U (en) * 1988-12-21 1990-07-10
JP2005318735A (en) * 2004-04-28 2005-11-10 Yazaki Corp Flat cable fixing structure
JP2008025796A (en) * 2006-07-25 2008-02-07 Mirai Ind Co Ltd Wiring/piping material fixture
KR20120131754A (en) * 2011-05-26 2012-12-05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6980U (en) * 1988-12-21 1990-07-10
JP2005318735A (en) * 2004-04-28 2005-11-10 Yazaki Corp Flat cable fixing structure
JP2008025796A (en) * 2006-07-25 2008-02-07 Mirai Ind Co Ltd Wiring/piping material fixture
KR20120131754A (en) * 2011-05-26 2012-12-05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733B1 (en)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0266A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11064388A (en) Mounting structure for sensor attached to heat exchanger
KR101263695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6106459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150024013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05823126A (en) Air conditioner
KR20070071092A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1649727B1 (en) Drain hose structure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EP3406987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s
KR20080097618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94103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8296712A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102135274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715725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748204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97195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300554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s
KR20150135614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723586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206975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507558B1 (en) Air conditioner for automotive vehicles
CN216481290U (en)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KR101292356B1 (en) Blower unit for air-conditioning of vehicle
KR10161814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011731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