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3977A -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3977A
KR20150023977A KR20130100684A KR20130100684A KR20150023977A KR 20150023977 A KR20150023977 A KR 20150023977A KR 20130100684 A KR20130100684 A KR 20130100684A KR 20130100684 A KR20130100684 A KR 20130100684A KR 20150023977 A KR20150023977 A KR 20150023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ormant
sales
selling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130100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3977A/ko
Priority to US14/463,036 priority patent/US20150058126A1/en
Publication of KR20150023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2Targeted advertisements during computer stand-by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2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payment purposes, e.g. monthly subscrip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2Establishing a time schedule for servicing the reques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basic data processing
    • A63F2300/53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basic data processing for monitoring, e.g. of user parameters, terminal parameters, application parameters, network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컨텐츠의 사용 이력을 분석하는 컨텐츠 분석부, 상기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텐츠가 상기 휴면 컨텐츠로 되는 일정을 관리하는 컨텐츠 일정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 경우, 상기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에게 전송하는 판매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OF SELLING INACTIVE CONTENTS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단말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스마트 단말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음악 컨텐츠, 게임 캐릭터 등을 판매하는 가상 컨텐츠 시장도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에서 구입 시에, 컨텐츠 자체의 영속적인 권리가 해당 사용자 단말에게 종속되기 때문에, 소비가 된 이후라도 그 권리는 사용자 단말에게 남아있게 된다. 다만,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소비한 컨텐츠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해당 컨텐츠는 이용되지 않고 방치된다. 이러한 경향으로, 컨텐츠 재판매 서비스(중고 컨테츠 판매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컨텐츠의 사용 이력을 분석하는 컨텐츠 분석부, 상기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텐츠가 상기 휴면 컨텐츠로 되는 일정을 관리하는 컨텐츠 일정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 경우, 상기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에게 전송하는 판매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휴면 컨텐츠의 판매를 요청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컨텐츠의 사용 이력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텐츠가 상기 휴면 컨텐츠로 되는 일정을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 경우, 상기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컨텐츠 판매 장치는 판매 단말로부터 상기 휴면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휴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면 컨텐츠의 가치를 산정하는 가치 산정부, 상기 휴면 컨텐츠에 대한 판매 방식을 결정하는 판매 방식 결정부, 상기 산정된 가치 및 상기 결정된 판매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컨텐츠 판매부, 및 상기 휴면 컨텐츠의 판매 결과를 상기 판매 단말에게 통지하는 리워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은 판매 단말로부터 상기 휴면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면 컨텐츠의 가치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휴면 컨텐츠에 대한 판매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산정된 가치 및 상기 결정된 판매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단계 및 상기 휴면 컨텐츠의 판매 결과를 상기 판매 단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휴면 컨텐츠를 추출하고, 이를 판매하는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면 컨텐츠 판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면 컨텐츠와 휴면 예정 컨텐츠를 분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면 컨텐츠의 판매를 요청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면 컨텐츠 판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면 컨텐츠 판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 및 네트워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휴면 컨텐츠 판매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컨텐츠의 사용 이력을 분석하고, 분석된 컨텐츠의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지 또는 휴면 예정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의 사용 이력에는 해당 컨텐츠가 이용된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은 기설정된 기간을 기준으로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지 또는 휴면 예정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의 판매 요청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유저 입력 없이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에게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의 관여 없이도, 사용자 단말(100)은 자체적으로 보유한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지 여부를 직접(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가 아닌 경우, 해당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로 되는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휴면 예정 컨텐츠는 다른 컨텐츠와 주기를 달리하여 관리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TV 장치,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TV 장치의 일 예에는 스마트 TV, IPTV 셋톱박스 등이 포함되고, 컴퓨터의 일 예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이 포함되고,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휴면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유료 어플리케이션(app)이거나 게임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100)의 계정에 대응하는 게임 캐릭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는 이미지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음악 컨텐츠, 전자책 컨텐츠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휴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휴면 컨텐츠의 가치를 산정하고, 휴면 컨텐츠에 대한 판매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면 컨텐츠가 게임 캐릭터일 경우, 휴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는 게임 캐릭터의 레벨, 게임 머니 및 게임 아이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휴면 컨텐츠에 대한 판매 방식은 하나의 구매 단말(미도시)에게 판매하는 방식, 경매를 통해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게 판매하는 방식 및 휴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사업자에게 판매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휴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 정보, 및 휴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휴면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미도시)에게 휴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할 수 있다.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는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가 산정한 휴면 컨텐츠의 가치 및 결정한 판매 방식에 따라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고, 휴면 컨텐츠의 판매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의 판매 결과는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면 컨텐츠 중에서 판매된 휴면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판매 금액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 금액은 현금일 수도 있고, 해당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는 포인트일 수도 있다
휴면 컨텐츠 판매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100) 및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 각각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휴면 컨텐츠 판매 시스템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구매 단말, 복수의 단말 및 서비스 사업자 서버 각각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 및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3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인터넷(Internet),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Gig(Wireless Gigabit)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사용자 단말(100) 및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컨텐츠 분석부(110), 판단부(120), 컨텐츠 일정 관리부(130), 판매 요청부(140), 유저 입력부(150), 및 DB(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컨텐츠 분석부(110)는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컨텐츠의 사용 이력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의 사용 이력에는 컨텐츠의 접속 일자, 컨텐츠 사용 빈도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판단부(120)는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각각의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지, 휴면 예정 컨텐츠인지, 이용 중인(active)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20)는 기설정된 기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컨텐츠 이용 여부에 따라, 해당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지 휴면 예정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면 컨텐츠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의 기설정된 기간과, 휴면 예정 컨텐츠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의 기설정된 기간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20)는 휴면 컨텐츠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의 기설정된 기간이 한달, 휴면 예정 컨텐츠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의 기설정된 기간이 2주일인 경우, 최근 한달동안 이용되지 않은 컨텐츠를 휴면 컨텐츠라고 판단하고, 최근 한달내에는 이용된 적이 있더라도, 최근 2주일 동안 이용된 적이 없는 컨텐츠는 휴면 예정 컨텐츠로 판단할 수 있다.
컨텐츠 일정 관리부(130)는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가 아닌 경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로 판단되는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일정 관리부(130)는 휴면 예정 컨텐츠를 휴면 컨텐츠가 아니고, 휴면 예정 컨텐츠도 아닌 다른 컨텐츠와는 다른 주기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일정 관리부(130)는 휴면 컨텐츠가 아니고, 휴면 예정 컨텐츠도 아닌 다른 컨텐츠를 3일 주기로 관리하더라도, 휴면 예정 컨텐츠는 더 짧은 주기로서 매일 사용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매 요청부(140)는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의 판매 요청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컨텐츠 판매 요청에 대응하는 유저 입력 없이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에게 전송될 수 있다.
유저 입력부(150)는 휴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희망하는 판매 가격 및 판매 방식을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판매 방식은 경매 방식, 포인트 전환 방식, 컨텐츠 교환 방식 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매 방식은 컨텐츠 판매 장치(200)가 휴면 컨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 단말들로부터 구매 희망 가격을 등록 받고, 높은 가격을 제시한 구매 단말에게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식일 수 있다.
포인트 전환 방식은 컨텐츠 판매 장치(200)가 휴면 컨텐츠의 가치를 산정해서 현금 대신 포인트로 사용자 단말(100)의 계정에 적립되는 방식일 수 있다. 여기서, 포인트는 휴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동일한, 또는 다른 서비스에서 이용될 수 있는, 통합 포인트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휴면 컨텐츠가 A사(社)에서 제공하는 B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라면, 휴면 컨텐츠에 대한 대가로 적립되는 포인트는, A사(社)에서 제공하는 B 서비스뿐만 아니라, C 서비스, D 서비스 등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컨텐츠 교환 방식은 컨텐츠 판매 장치(200)가 휴면 컨텐츠의 가치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추천할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추천된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컨텐츠간 교환이 이루어지는 방식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동의 또는 요청 없이도,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선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휴면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와 교환할 수 있다.
DB(160)는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컨텐츠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DB(160)는 휴면 컨텐츠를 관리하는 DB, 휴면 예정 컨텐츠를 관리하는 DB, 사용중인 컨텐츠를 관리하는 DB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DB는 서로 협업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DB(16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DB(160)의 일 예에는 사용자 단말(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컨텐츠 분석부(110), 판단부(120), 컨텐츠 일정 관리부(130), 판매 요청부(140), 유저 입력부(150) 및 DB(160)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300)의 구성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는 수신부(210), 가치 산정부(220), 판매 방식 결정부(230), 컨텐츠 판매부(240), 권한 설정부(250), 리워드부(260) 및 DB(2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는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앞서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휴면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휴면 컨텐츠의 판매 요청에는 판매하려는 휴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 및, 사용자 단말(100)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면 컨텐츠의 판매 요청에는 휴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휴면 컨텐츠의 판매 대가로서 받기 희망하는 판매 가격 및 판매 방식을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는 유료 어플리케이션(app)이거나 게임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100)의 계정에 대응하는 게임 캐릭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는 이미지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음악 컨텐츠, 전자책 컨텐츠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100)의 계정에 대응하는 게임 캐릭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가치 산정부(220)는 휴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휴면 컨텐츠의 가치를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휴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휴면 컨텐츠의 판매 요청에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휴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게임 캐릭터의 레벨, 머니 및 아이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판매 방식 결정부(230)는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판매 정보에 포함된 판매 방식에 기초하여 휴면 컨텐츠에 대한 판매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 방식은 하나의 구매 단말에게 판매하는 방식, 경매를 통해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게 판매하는 방식, 휴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다른 컨텐츠와의 교환 방식 및 휴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사업자에게 판매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사업자는 게임 컨텐츠 사업자일 수 있다.
컨텐츠 판매부(240)는 가치 산정부(220)에 의해 산정된 휴면 컨텐츠의 가치 및 판매 방식 결정부(230)에 의해 결정된 휴면 컨텐츠의 판매 방식에 기초하여 휴면 컨텐츠를 판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면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사업자에게 판매된 경우, 판매 결과물은 해당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포인트일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휴면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사업자에게 판매된 경우, 판매 결과물은 해당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다른 단말로부터 휴면 컨텐츠로서 등록된 또는 판매 대상 컨텐츠로서 등록된 교환 가능한 다른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경매를 통해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게 판매된 경우, 판매 결과물은 현금 또는 현금을 대신할 수 있는 사이버 머니가 될 수 있다.
권한 설정부(250)는 휴면 컨텐츠가 구매 단말에게 판매된 경우, 휴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100)의 권한을 삭제하고, 구매 단말에게 휴면 컨텐츠에 대한 권한을 새로 설정할 수 있다.
리워드부(260)는 컨텐츠의 판매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의 판매 결과는 판매된 휴면 컨텐츠의 식별 정보, 판매 금액/포인트 또는 교환된 컨텐츠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B(27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DB(27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와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B(270)는 판매 단말로부터 수신한 휴면 컨텐츠의 판매 요청에 포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270)는 컨텐츠에 대한 단말의 권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270)는 휴면 컨텐츠에 대한 판매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270)의 일 예에는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은, 앞서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DB(160) 경우와 같다.
당업자라면, 수신부(210), 가치 산정부(220), 판매 방식 결정부(230), 컨텐츠 판매부(240), 권한 설정부(250), 리워드부(260) 및 DB(27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면 컨텐츠와 휴면 예정 컨텐츠를 분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휴면 컨텐츠와 휴면 예정 컨텐츠를 분별하는 과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 및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의 사용자 단말(100) 및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휴면 컨텐츠와 휴면 예정 컨텐츠를 분별하는 과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401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DB(16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402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 S401에서 수집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의 사용 이력을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 S402에서 분석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각각의 컨텐츠 중 휴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 S403에서 판단한 결과, 휴면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컨텐츠로부터 휴면 컨텐츠를 추출/식별하고, 추출한 휴면 컨텐츠를 휴면 컨텐츠 DB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휴면 컨텐츠에 대한 판매 가격 및 판매 방식을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사용자 로부터 입력받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406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로부터 휴면 컨텐츠에 대한 판매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휴면 컨텐츠 DB에 입력 받은 정보를 해당 휴면 컨텐츠에 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에게 휴면 컨텐츠의 판매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408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 S403에서 휴면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402에서 분석된 컨텐츠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휴면 예정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09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 S408에서 판단 결과 휴면 예정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컨텐츠로부터 휴면 예정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 S409에서 추출한 휴면 예정 컨텐츠를 휴면 예정 컨텐츠DB에 저장하고 휴면 예정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로 판단되는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1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면 컨텐츠의 판매를 요청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이 휴면 컨텐츠의 판매를 요청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 및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의 사용자 단말(100) 및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이 휴면 컨텐츠의 판매를 요청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501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컨텐츠의 사용 이력을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해당 컨텐츠가 휴면 예정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가 아닌 경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로 되는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휴면 예정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와는 다른 주기로 관리할 수 있다.
단계 S507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의 판매 요청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유저 입력 없이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1 내지 S50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 및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의 사용자 단말(100) 및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가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이하 기술될 판매 단말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S601에서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는 판매 단말로부터 휴면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는 판매 단말의 계정에 대응하고, 특정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게임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에서 이용되는 게임 캐릭터일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는 휴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휴면 컨텐츠의 가치를 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임 캐릭터의 레벨, 머니 및 아이템에 기초하여 게임 캐릭터의 가치를 산정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는 휴면 컨텐츠에 대한 판매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 방식은 하나의 구매 단말에게 판매하는 방식, 경매를 통해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게 판매하는 방식,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동일 서비스 또는 다른 서비스에서 이요되는 컨텐츠와의 교환 방식 및 휴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사업자에게 판매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07에서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는 단계 S603에서 산정된 가치 및 단계 S605에서 결정된 판매 방식에 기초하여 휴면 컨텐츠를 판매할 수 있다.
단계 S609에서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는 휴면 컨텐츠의 판매 결과를 판매 단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면 컨텐츠가 판매된 경우,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는 판매 성공 통지, 및 이에 대응하여 받은 리워드에 대한 정보를 판매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기설정된 기간동안 휴면 컨텐츠가 판매되지 않은 경우,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200)는 판매 실패 통지를 판매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판매 희망 가격을 판매 단말의 사용자에게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09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
200: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
300: 네트워크

Claims (14)

  1.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컨텐츠의 사용 이력을 분석하는 컨텐츠 분석부;
    상기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텐츠가 상기 휴면 컨텐츠로 되는 일정을 관리하는 컨텐츠 일정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 경우, 상기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에게 전송하는 판매 요청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컨텐츠가 휴면 예정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일정 관리부는 상기 휴면 예정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와는 다른 주기로 관리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 컨텐츠에 대한 판매 가격을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입력받는 유저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 컨텐츠에 대한 판매 방식을 입력받는 유저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6. 사용자 단말이 휴면 컨텐츠의 판매를 요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컨텐츠의 사용 이력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텐츠가 상기 휴면 컨텐츠로 되는 일정을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가 휴면 컨텐츠인 경우, 상기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면 컨텐츠 판매 요청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판매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유저 입력 없이 상기 휴면 컨텐츠 판매 장치에게 전송되는 것인, 휴면 컨텐츠 판매 요청 방법.
  8.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컨텐츠 판매 장치에 있어서,
    판매 단말로부터 상기 휴면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휴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면 컨텐츠의 가치를 산정하는 가치 산정부;
    상기 휴면 컨텐츠에 대한 판매 방식을 결정하는 판매 방식 결정부;
    상기 산정된 가치 및 상기 결정된 판매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컨텐츠 판매부; 및
    상기 휴면 컨텐츠의 판매 결과를 상기 판매 단말에게 통지하는 리워드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판매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계정에 대응하는 게임 캐릭터인 것인, 컨텐츠 판매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 산정부는 상기 게임 캐릭터의 레벨, 머니 및 아이템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캐릭터의 가치를 산정하는 것인, 컨텐츠 판매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방식은 하나의 구매 단말에게 판매하는 방식, 경매를 통해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게 판매하는 방식 및 상기 휴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사업자에게 판매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판매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 컨텐츠가 구매 단말에게 판매된 경우, 상기 휴면 컨텐츠에 대한 판매 단말의 권한을 삭제하고, 상기 구매 단말에게 상기 휴면 컨텐츠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는 권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판매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 컨텐츠가 상기 휴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사업자에게 판매된 경우, 판매 결과물은 상기 서비스의 사업자의 다른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포인트인 것인, 컨텐츠 판매 장치.
  14.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에 있어서,
    판매 단말로부터 상기 휴면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면 컨텐츠의 가치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휴면 컨텐츠에 대한 판매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산정된 가치 및 상기 결정된 판매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단계; 및
    상기 휴면 컨텐츠의 판매 결과를 상기 판매 단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판매 방법.
KR20130100684A 2013-08-23 2013-08-23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23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684A KR20150023977A (ko) 2013-08-23 2013-08-23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 및 장치
US14/463,036 US20150058126A1 (en) 2013-08-23 2014-08-19 Media content transa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684A KR20150023977A (ko) 2013-08-23 2013-08-23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977A true KR20150023977A (ko) 2015-03-06

Family

ID=5248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0684A KR20150023977A (ko) 2013-08-23 2013-08-23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58126A1 (ko)
KR (1) KR20150023977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9326B2 (en) * 2000-04-06 2007-07-2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notification area clutter
US20020082065A1 (en) * 2000-12-26 2002-06-27 Fogel David B. Video game characters having evolving traits
CN1452079A (zh) * 2002-04-16 2003-10-29 霍树亚 一种电子信息项目选出交易及成交项目的传送控制系统
US20090248537A1 (en) * 2005-12-01 2009-10-01 Shahriar Sarkeshik Commercial transaction facilitation system
US7970663B2 (en) * 2007-05-02 2011-06-28 Ganz Method of calculating an estimated market value of a character
US20090313564A1 (en) * 2008-06-12 2009-12-1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playback of media files based on previous usage
JP2010157188A (ja) * 2009-01-05 2010-07-1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58126A1 (en)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78807A1 (en) Cloud service optimization for cost, performance and configuration
US201700615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service platform
US20130196615A1 (en) Recommendations for reducing data consumption based on data usage profiles
US94020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ata usage for a service across multiple devices
EP3190551A2 (en) Physical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price determination method using same
KR20090118844A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상품
US9697550B2 (en)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devices for providing offers based on aggregate need
US201603002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etizing products and services usage
KR102276162B1 (ko) 매출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9818082B1 (en) Managing a removal channel based on inventory capacity
KR102057609B1 (ko) 지능형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지능형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86848B1 (ko) 가맹점 통합 플랫폼 시스템
US20160104184A1 (en) Rules gallery for incentives program
US8612274B2 (en) Pricing engine revenue evaluation
US20150262257A1 (en) Marketing Strategy Lifecycle Management
US20140129513A1 (en) Subset calculation by identifying calculated values with modified parameters
KR20150023977A (ko) 휴면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 및 장치
US9009073B1 (en) Product availability check using image processing
KR20170025835A (ko) 전자 영수증을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200104597A (ko) 지능형 정보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Graves et al. Retail Choice:-Ripe for Reform?-Frank Graves Agustin Ros Sanem Sergici
US10438217B1 (en) Estimating an output based on robustness associated with multiple input variables
US20240012866A1 (en) Queuing analytics events before consent
KR102194900B1 (ko) 공기질에 따른 유통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230071311A (ko) 온라인 b2b 도매 상품 제공을 위한 물류관리 방법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