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449A - Apparatus for detecting container and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etecting container and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449A
KR20150022449A KR20130100334A KR20130100334A KR20150022449A KR 20150022449 A KR20150022449 A KR 20150022449A KR 20130100334 A KR20130100334 A KR 20130100334A KR 20130100334 A KR20130100334 A KR 20130100334A KR 20150022449 A KR20150022449 A KR 20150022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nsing
reference value
senso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3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철
정진규
가진성
박수용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0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2449A/en
Publication of KR20150022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4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2001/0087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 B67D2001/009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operated by cup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65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use of drinking cups or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sensing device and a container sensing method. A container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whether a container is placed on a preset target position or not. The container sensing method includes a reference value setting step of setting a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a sensor and the target position; a waiting step of outputting sensing signals using the sensor and waiting an input of the sensing signals returned by being reflected by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a sensing signal inputting step of comparing the amplitude of the sensing signals with the reference value when the sensing signals are inputted to the sensor; and a container sensing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container is placed on the target position when the amplitude of the sensing signals is within an error range of the reference value.

Description

용기감지장치 및 용기감지방법 {Apparatus for detecting container and method for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detecting apparatus and a container detecting method.

본 출원은 용기감지장치 및 용기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기준값을 설정하여 용기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용기감지장치 및 용기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sensing device and a container sens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sensing device and a container sensing method capable of confirming presence or absence of a container by setting different reference value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tainers.

최근 정화된 음용수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 가정을 비롯한 다양한 공간에서 정수기의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자연수(이하, 정수되기 전 상태의 물을 '원수'라 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여러 개의 필터를 통해 원수를 여과하여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음용수를 제공한다.Recently, the use of water purifiers in various spaces including homes has been rapidly spreading in order to effectively obtain clean purified drinking water.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for filtering natural water such as tap water or ground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w water"), and filters raw water through several filters to remove foreign matter or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Thereby providing drinking water.

일반적인 정수기의 경우, 물을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기계적으로 스위치를 누르거나 전자식 스위치를 터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물이 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원하는 양의 물을 제공받을 때까지 스위치를 누르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추출버튼만 누르면 자동으로 정량의 물을 출수하는 자동추출기능을 가진 정수기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결국은 사용자가 추출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즉, 사용자의 동작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출수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In the case of a typical water purifier, it is necessary for the user to mechanically press the switch or touch the electronic switch in order to extract the water. In this case, a phenomenon such as splashing of water may occur, and it is inconvenient to press the switch until a desired amount of water is supplied. Recently, for convenience of the user, a water purifier having an automatic extraction function for automatically lea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by pressing only an extraction button has been widely used. However, in this case, the user may additionally perform operations such as pressing an extraction button There is a need. That is,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ique capable of performing a desired watering operation while minimiz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본 출원은 용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기준값을 설정하여 용기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용기감지장치 및 용기감지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sensing device and a container sensing method capable of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ntainer by setting different reference value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tain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감지방법은, 용기가 기 설정된 목표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용기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목표위치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단계; 상기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용기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감지신호의 입력을 기다리는 대기단계;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감지센서에 입력되면,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를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는 감지신호입력단계; 및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의 오차범위 내에 포함되면, 상기 용기가 상기 목표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용기감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container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sensing method for sensing whether a container is present at a predetermined target position and includes a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for setting a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distance from the sensing sensor to the target position Setting step; A waiting step of outputting a sensing signal using the sensing sensor and waiting for input of the sensing signal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A sensing signal input step of, when the sensing signal is input to the sensing sensor,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with the reference value; And a container sensing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container exists at the target position if the size of the sensing signal is within the error range of the reference value.

여기서 상기 기준값설정단계는, 상기 용기감지장치의 동작모드를 기준값범위설정모드로 변경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Here, the reference value setting step may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ainer sensing apparatus to the reference value range setting mode, and may set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여기서 상기 기준값설정단계는, 상기 용기감지장치의 동작모드를 기준값설정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사용하고자 하는 용기를 상기 목표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감지센서에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감지신호의 크기를 상기 용기에 대한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reference value setting step includes: changing an operation mode of the container sensing apparatus to a reference value setting mode; Positioning the container to be used at the target position; And setting a magnitude of the input sensed signal as a reference value for the container when the sensed signal is input to the sensed sensor.

여기서 상기 기준값설정단계는, 복수개의 용기에 대한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를 각각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감지신호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상기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Here, the reference value setting step may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calculate an average value of the sensed signals, and set the average value as the reference value.

여기서 상기 기준값설정단계는, 상기 오차범위의 최대값이 기 설정된 최대한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최대한계값을 상기 오차범위의 상한으로 설정하고, 상기 오차범위의 최소값이 기 설정된 최소한계값 미만이면 상기 최소한계값을 상기 오차범위의 하한으로 설정할 수 있다. Wherein the reference value setting step sets the maximum threshold value to an upper limit of the error range if the maximum value of the error range exceeds a predetermined maximum threshold value and if the minimum value of the error rang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threshold value, The minimum limit value can be set to the lower limit of the error range.

여기서, 상기 용기감지방법은,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와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감지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센서확인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iner sens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sensor checking step of comparing the sensing signal with the reference value to check whether the sensing sensor operates normally.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확인단계는, 상기 감지센서의 정상동작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모드로 변경하는 확인모드진입과정; 상기 목표위치에 기준용기를 위치하는 기준용기위치과정; 상기 기준용기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온 감지신호를 상기 감지센서가 입력받는 센싱과정; 및 상기 입력받은 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용기에 대하여 기 설정된 정상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감지센서가 정상동작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이상판정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nsing sensor checking step may include a confirming mode entering step of changing the sensing mode to a checking mode for checking whether the sensing sensor operates normally or not; A reference container position process for positioning the reference container at the target position; A sensing process in which the sensing sensor receives the sensing signal reflected back from the surface of the reference container; And an abnormality determination process of determining that the detection sensor operates normally if the magnitude of the input sensed signal is within a predetermined normal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container.

여기서 상기 이상판정과정은,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감지센서가 이상동작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Here,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process may determine that the detection sensor operates abnormally and output an alarm if the size of the detection signal is out of the normal r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감지장치는, 용기가 기 설정된 목표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용기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를 토출하는 추출구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가 위치하는 트레이부;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용기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감지센서; 및 정상동작모드에서는 상기 목표위치에 상기 용기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판정모드에서는 상기 감지센서의 정상동작여부를 판단하며, 기준값설정모드에서는 상기 기준값범위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container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sensing apparatus for sensing whether a container exists at a predetermined target position and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n extraction port for discharging fluid, part; A sensor for outputting a sensing signal and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ntainer exists in the target position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ion sensor operates normally in the abnormal determination mode, and setting the standard value range in the standard value setting mode have.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re not all enumerat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and effects thereof will be more ful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감지장치 및 용기감지방법에 의하면, 용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기준값을 설정하여 용기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표면특성이 상이한 용기에 대하여도 정확한 용기감지가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container sensing apparatus and the container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tainer can be determined by setting different reference value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tainers, so that accurate container sensing is possible even for containers having different surface characteristics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감지장치 및 용기감지방법에 의하면, 용기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오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감지센서의 고장이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감지센서의 고장이나 오동작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container sensing apparatus and the container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sensing sensor for detecting the container is malfunctioning,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or malfunction of the sensing sensor, It is possible to respond quickly.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감지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감지장치의 감지센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감지장치에 대한 기준값설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감지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ainer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sensor of the container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reference value setting for a container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ontainer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감지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ainer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감지장치는, 감지센서(2), 트레이부(4) 및 제어부(5)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container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ing sensor 2, a tray unit 4, and a control unit 5.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감지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ainer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트레이부(4)는 유체를 토출하는 추출구(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부(4)에는 용기(3)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추출구(1)에서 토출되는 유체를 공급받기 위하여, 상기 용기(3)를 상기 트레이부(4)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용기(3)는 상기 트레이부(4) 상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질 수 있으므로, 상기 용기(3)의 위치에 따라 상기 추출구(1)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상기 용기(3)로 공급되지 않거나 상기 용기(3) 밖으로 새는 경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감지장치는 감지센서(2)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3)가 상기 추출구(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 즉, 기 설정된 목표위치에 상기 용기(3)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3)가 목표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상기 추출구(1)를 개방하여 유체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tray part 4 may be provided under the extraction port 1 for discharging the fluid and the container 3 may be positioned in the tray part 4. [ That is, the user can place the container 3 on the tray 4 in order to receive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extraction port 1. Since the container 3 can be plac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tray 4,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extraction port 1 is supplied to the container 3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3, Or leaking out of the container 3 may occur. Therefore, the container sensing apparatus can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tainer 3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tainer 3 can receive the fluid from the extraction port 1, that is, whether the container 3 exists at a predetermined target position And it is possible to open the extraction port 1 to supply the fluid only when the container 3 is present at the target position.

감지센서(2)를 이용하면 상기 용기(3)까지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상기 용기감지장치는 상기 감지센서(2)와 상기 용기(3)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용기(3)가 기 설정된 목표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센서(2)는 상기 용기(3)까지의 거리를 파악하기 위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용기(3)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감지센서(2)로 입력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감지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3)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Since the distance to the container 3 can be determined using the sensing sensor 2, the container sensing device can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sensor 2 and the container 3,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it exists at a predetermined target position. That is, the sensing sensor 2 outputs a sensing signal for sensing the distance to the container 3, and outputs the sensing signal, which is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3 and inputted to the sensing sensor 2, And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3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input sensed signal.

예를들어, 상기 감지센서(2)는 상기 감지신호로 적외선을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3)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온 상기 적외선의 세기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2)로부터 10cm의 거리까지는 상기 감지센서(2)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감지센서(2)가 출력하는 전압값의 크기도 비례하여 커질 수 있으며, 상기 10cm 이후로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전압값의 크기도 반비례하여 점차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감지센서(2)로부터 10cm의 거리 범위내에서 상기 용기(3)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만약 상기 감지센서(2)로부터 5cm의 거리에 상기 추출구(1)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추출구(1)의 위치를 기준으로 오차범위를 고려하여, 상기 감지센서(2)로부터 6~7cm 떨어진 위치를 상기 목표위치로 할 수 있다. 상기 목표위치에 상기 용기(3)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추출구(1)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상기 용기(3) 내부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ing sensor 2 may utilize infrared rays as the sensing signal, and may output a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of the infrared ray reflected from the container 3 and returned.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distance from the sensing sensor 2 to the distance of 10 cm may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value output from the sensing sensor 2 as it moves away from the sensing sensor 2 , And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value may gradually decrease in inverse proportion as the distance further increases after 10 cm.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distance from the detection sensor 2 to the container 3 within a distance range of 10 cm. Therefore, if the extraction port 1 is present at a distance of 5 cm from the detection sensor 2, the detection range of the extraction port 1 is determined from the detection sensor 2 A position 6 to 7 cm away from the target position can be set as the target position. When the container 3 is positioned at the target position,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extraction port 1 can be stably supplied into the container 3.

상기 감지센서(2)가 직접 상기 용기(3)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감지센서(2)는 상기 측정된 감지신호의 크기를 제어부(5)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5)에서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3)의 존재여부 내지는 위치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container 3 directly from the sensing sensor 2 but the sensing sensor 2 transmits the measured magnitude of the sens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5,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3 by using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기(3)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압값도 작아지는 감지센서(2)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ls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utilize the detection sensor 2 in which the voltage value becomes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container 3 increases.

제어부(5)는,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용기감지장치의 동작모드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감지장치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부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동작모드를 전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trol unit 5 can perform different control operations according to the set operation mode.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ainer sensing device may be set by a user, and the user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through an interface unit provided in the container sensing device.

상기 동작모드에는, 정상동작모드, 이상판정모드 및 기준값설정모드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상동작모드에서는 목표위치에 상기 용기(3)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상판정모드에서는 상기 감지센서(2)의 정상동작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준값설정모드에서는 상기 용기(3)가 목표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The operation mode may include a normal operation mode, an abnormality determination mode, and a reference value setting mode. Specifically,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ntainer 3 exists at the target position. In the abnormal determination mod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ing sensor 2 is operating normally. In the reference value setting mode,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that the container 3 is present at the target position can be set.

먼저, 정상동작모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2)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목표위치에 상기 용기(3)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First,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operation of checking whether the container 3 exists at a predetermined target position by using the sensing sensor 2 as described above.

즉, 상기 제어부(5)에는 상기 목표위치에 대응하는 기준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감지센서(2)에서 측정된 상기 감지센서의 크기와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용기(3)가 상기 목표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That is, the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position may be preset in the controller 5, and the size of the sensing sensor measured by the sensing sensor 2 may b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it exists at the target position.

상기 비교결과 용기(3)가 상기 목표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5)는 추출구(1)를 개방하여 유체를 상기 용기(3)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용기(3)가 목표위치에 있음을 확인하는 알림음이나 확인램프, 디스플레이장치 등이 출력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 may open the extraction port 1 to supply the fluid to the container 3 when the container 3 is determined to be present at the target position, A confirmation buzzer, a display device, or the like may be output to confirm that the target position is in the target position.

반대로, 상기 비교결과 상기 용기(3)가 목표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추출구(1)를 폐쇄하거나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유체를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On the contrar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iner 3 is not present at the target position, the extraction port 1 may be closed or closed so as not to supply the fluid.

이때, 상기 용기(3)가 목표위치에 존재하지 않음을 알림음이나 확인램프,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특히 용기(3)는 감지되지만 상기 목표위치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알림음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absence of the container 3 at the target position through a notification sound, a confirmation lamp, a display device, or the like. In particula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iner 3 is detected, A warning sound or the like may be output to alert the user.

이상판정모드는, 상기 감지센서(2)의 정상동작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먼저 기 설정된 기준용기를 목표위치에 위치시켜 상기 이상판정모드를 준비할 수 있다. 이후, 감지센서(2)가 상기 기준용기에서 반사되어 입력되는 감지신호의 크기를 상기 제어부(5)로 제공하면,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입력된 감지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센서(2)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mode is for confirming whether the detection sensor 2 is operating normally, and the user can prepare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mode by first positioning the predetermined reference container at the target position. Thereafter, when the sensing sensor 2 provides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reflected from the reference container to the controller 5, the controller 5 controls the magnitude of the sensed signal 2) is operating normally.

상기 제어부(5)에는, 상기 감지센서(2)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기 설정된 반사율 및 두께 등을 가지는 일정한 기준용기가 상기 목표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감지센서(2)에 입력되는 감지신호의 크기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센서(2)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면, 상기 기준용기에서 반사된 감지신호의 크기는 상기 제어부(5)에 저장된 정상범위내에 포함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이상판정모드에서 입력되는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를 상기 정상범위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감지센서(2)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sensing sensor 2 operates normally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container having a preset reflectance and thickness is located at the target position, May be stored in advance. That is, if the sensing sensor 2 operates normally,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reflected from the reference container is included in the normal range stored in the controller 5. Therefore, the control unit 5 can check whether the detection sensor 2 is operating normally by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detection signal inputted in the abnormal determination mode with the normal range.

만약, 상기 측정된 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정상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감지센서(2)는 정상동작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알림음이나 확인램프 또는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통하여 상기 감지센서(2)가 정상동작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If the size of the sensed signal is included in the normal range, the sensing sensor 2 can be determined to be operating normally, and the sensing sensor 2 can be operated through a buzzer, a confirmation lamp,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of the normal operation.

반면에,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감지센서(2)는 이상동작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알림음이나 확인램프 또는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통하여 상기 감지센서(2)에 이상이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deviates from the normal range, the sensing sensor 2 can be determined to operate abnormally, and the sensing signal can be detected by the sensing sensor 2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user of the abnormality.

기준값설정모드는, 상기 용기(3)가 목표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하는 용기(3)의 종류는 다양하게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용기의 반사율 등 표면 특성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동일한 위치에 종이컵과 스테인리스 컵이 놓여있는 경우, 각각의 종이컵과 스테인리스컵에서 반사되는 감지신호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것이 자명하다. The reference value setting mode can set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that the container 3 is present at the target position. The type of the container 3 used by the user may be various, and the surfac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eflectance of each containe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if a paper cup and a stainless steel cup are placed in the same position, the magnitude of the sensed signal reflected from each paper cup and the stainless steel cup will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구체적으로, 도3은 상기 종이컵과 스테인리스컵과 같이, 서로 다른 표면 특성을 가지는 각각의 용기(3a, 3b, 3c)에 대하여 동일한 크기의 감지신호가 상기 감지센서(2)에 입력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용기 3a의 경우에는 추출구(1)의 연직하방에서 기준값에 해당하는 감지신호가 상기 감지센서(2)에 입력되지만, 용기 3b의 경우에는 추출구(1)에 다다르기 전에 이미 상기 기준값에 해당하는 감지신호가 상기 감지센서(2)에 입력된다. 또한, 용기 3c의 경우에는 상기 추출구(1)를 지나서야 상기 기준값에 해당하는 감지신호의 크기가 입력된다. 3 shows the positions of the containers 3a, 3b and 3c having different surfac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aper cup and the stainless steel cup, at which the sensing signals of the same size are input to the sensing sensor 2 will be. In the case of the container 3a, the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is inputted to the detection sensor 2 in the vertical lower part of the extraction port 1, but in case of the container 3b, the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Is inputted to the detection sensor (2). In the case of the container 3c,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is inputted before the extraction port 1 is opened.

상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2)에 동일한 크기의 감지신호가 입력된다고 하여도, 각각의 용기(3a, 3b, 3c)는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용기감지를 위해서는 상기 용기(3a, 3b, 3c)의 종류에 따라 상기 기준값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3, even if sensing signals of the same size are input to the sensing sensor 2, each of the containers 3a, 3b, and 3c may exist at different position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ference valu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ntainer 3a, 3b, or 3c.

상기 용기에 따른 기준값설정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어부(5)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직접 각각의 용기의 종류에 따른 상기 감지신호의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상기 용기감지장치가 제공하는 복수개의 기준값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용기에 대한 기준값으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용기감지장치는 도4의 (a) 내지 (c)에 해당하는 기준값 범위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기준값 범위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3a를 주로 활용하는 사용자는 2.0v ~ 2.6v를 상기 감지신호의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용기 3b를 주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2.3v ~ 2.9v를 상기 감지신호의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용기3c를 주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1.7v ~ 2.3v를 상기 감지신호의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2)와 용기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감지센서(2)에 입력되는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는 커지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값을 선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setting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container, the control unit 5 may set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In this case, the user can directly set the reference value of the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container. For example,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values provided by the container sensing device as the reference value for the container It is possible. That is, the container sensing apparatus may provide reference value ranges corresponding to (a) to (c) of FIG. 4, and may allow the user to select any one of the reference value ranges. Therefore, the user who mainly uses the container 3a can set the reference value of the sensing signal from 2.0v to 2.6v, and when the container 3b is mainly used, the reference value of the sensing signal can be set to 2.3v to 2.9v. Also, when the container 3c is mainly used, 1.7v to 2.3v can be set as the reference value of the sensing signal. The larger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sensor 2 and the container, the greater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input to the sensing sensor 2, so that the reference value can be selected as described above.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준값설정모드로 진입한 이후에, 사용자가 목표위치에 사용하고자 하는 용기를 위치시키면, 상기 감지센서(2)에서 측정되는 감지신호의 크기를 상기 제어부(5)에 저장하여 상기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fter the user enters the reference value setting mode, if the user places a container to be used at the target position, the controller 5 stores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measured by the sensing sensor 2 And can be set to the reference value.

나아가, 사용자가 복수개의 서로 표면특성을 가지는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용기를 상기 목표위치에 위치시켜 각각의 용기에 대한 감지신호의 크기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입력된 감지신호의 크기를 평균내어 상기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user uses a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mutually different surface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position each container at the target position and input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for each container, The magnitude of the input sensed signal may be averaged to be set as the reference value.

추가적으로, 상기 감지센서(2)로부터 추출구(1)까지의 거리는 미리 알 수 있으므로, 상기 감지센서(2)로부터 추출구(1)까지의 거리를 넘어서는 지점에 대해서는 상기 용기감지장치의 한계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가 상기 한계점 이후에서 감지되면 이를 고려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한계점 이후에서의 용기감지에 의한 오동작 등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from the detection sensor 2 to the extraction port 1 can be known in advance, a point exceeding the distance from the detection sensor 2 to the extraction port 1 is set as a limit point of the container detection device . That is, if the container is detected after the limit, it is not considered, and malfunction due to container detection after the limit can be prevented.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용기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수처리장치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처리장치는, 정수기, 기능수기, 온수기, 냉수기, 제빙기 등과 이들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복합적으로 지닌 장치를 총칭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re may be various types of water treatment apparatuses including the container sensing apparatus. Here,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water purifier, a functional water heater, a water heater, a water cooler, an ice maker, and a device having a combina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se functions.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감지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ainer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감지방법은, 감지센서확인단계(S10), 기준값 설정단계(S20), 대기단계(S30), 감지신호입력단계(S40) 및 용기감지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 container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sensor checking step S10, a reference value setting step S20, a waiting step S30, a sensing signal inputting step S40, Step S50.

이하,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감지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ainer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감지센서확인단계(S10)는,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와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감지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센서확인단계(S10)를 통하여, 상기 용기감지를 시작하기에 앞서 상기 용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In the detection sensor checking step (S10),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detection sensor operates normally by comparing the size of the detection signal with the reference value. That is, through the sensing sensor checking step (S10), it is possible to confirm in advance whether or not the sensing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is normally operated before the container sensing is started.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센서확인단계(S1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모드진입과정(S11), 기준용기위치과정(S12), 센싱과정(S13) 및 이상판정과정(S14)을 포함할 수 있다.6, the sensing sensor checking step S10 includes a checking mode entry step S11, a reference container position step S12, a sensing step S13, and an abnormality determining step S14, as shown in FIG. 6 .

먼저, 확인모드진입과정(S11)에서는 상기 감지센서의 정상동작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정상동작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용기감지장치에 대하여, 상기 확인모드진입과정(S11)을 통하여 상기 감지센서의 정상동작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First, in the confirming mode entering step S11, the checking mode can be changed to a confirming mode for checking whether the sensing sensor is operating normally. That is, the container sensing apparatus operating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can be switched to the confirmation mode for confirming whether the sensing sensor is normally operated through the confirmation mode entry process (S11).

이후, 기준용기위치과정(S12)을 통하여, 목표위치에 기준용기를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목표위치는 추출구에서 토출되는 유체를 용기가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에 해당하고, 상기 기준용기는 기 설정된 반사율, 두께 등 일정한 표면특성을 가지는 용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용기는 상기 용기감지장치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reference container can be positioned at the target position through the reference container position process S12. The target position corresponds to a position at which the container can receive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extraction port, and the reference container may be a container having a predetermined surface property such as predetermined reflectivity, thickness, and the like. Here, the reference container may be provided with the container sensing device.

그리고, 센싱과정(S13)에서는 감지센서가 상기 기준용기로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용기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온 감지신호를 상기 감지센서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In the sensing step S13, the sensing sensor may output a sensing signal to the reference container, and the sensing signal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reference container may be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sensor.

이상판정과정(S14)에서는 상기 입력받은 감지신호의 크기를 기 설정된 정상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정상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감지센서가 정상동작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감지센서가 이상동작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으며, 알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In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process (S14), the magnitude of the input sensed signal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normal range, and if the magnitude of the sensed signal is within the normal rang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ensing sensor operates normally. Here, when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is out of the normal rang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ensing sensor is abnormal, and an alarm can be output to inform the user.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확인단계(S10)가 먼저 수행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상기 대기단계(S30) 중에 상기 감지센서확인단계(S10)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embodiment in which the sensing sensor checking step S10 is performed first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sensing sensor checking step S10 during the waiting step S30.

상기 감지센서확인단계(S10)를 통하여 상기 감지센서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용기감지를 위한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기준값설정단계(S20)를 통하여, 감지센서로부터 목표위치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감지센서에 상기 기준값에 해당하는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목표위치에 용기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용기감지를 위해서는 상기 기준값설정이 중요하다. If it is confirm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checking step (S10)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detection sensor, a reference value for detecting the container can be set. That is, the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detection sensor to the target position can be set through the reference value setting step (S20). When the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is input to the detection sensor,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ntainer is located at the target position. Therefore, the reference value setting is important for accurate container detection.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준값설정단계(S20)는 상기 용기감지장치의 동작모드를 기준값설정모드로 변경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각각의 용기의 종류에 따른 상기 감지신호의 기준값을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사용자가 용기의 종류를 선택하면 각각의 용기의 종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이 선택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ference value setting step (S20) may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ainer sensing apparatus to the reference value setting mode and set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That is, the user can directly set the reference value of the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container.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type of container, a preset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each container is selected It is possible.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준값설정단계(S20)는 상기 용기감지장치의 동작모드를 기준값설정모드로 변경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용기를 상기 목표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감지센서가 출력하는 감지신호가 상기 용기에서 반사되어 상기 감지센서에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감지신호의 크기를 상기 용기에 대한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reference value setting step (S20) may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ainer sensing apparatus to the reference value setting mode, and then place the container to be used at the target position. Thereafter, when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sensor is reflected from the container and input to the sensing sensor,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may be set as a reference value for the container.

여기서, 복수개의 용기에 대한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를 각각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감지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한 후, 상기 평균값을 상기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calculate an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and then set the average value as the reference value.

나아가, 상기 기준값설정단계(S30)는, 상기 기준값에 대하여 설정되는 오차범위의 최대값이 기 설정된 최대한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최대한계값을 상기 오차범위의 상한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오차범위의 최소값이 기 설정된 최소한계값 미만이면 상기 최소한계값을 상기 오차범위의 하한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최대한계값, 최소한계값 범위를 벗어나는 영역에서 용기가 감지되는 경우에 이를 고려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최대한계값, 최소한계값 범위를 벗어나는 영역에서의 용기감지에 의한 오동작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reference value setting step S30 may set the maximum threshold value to the upper limit of the error range if the maximum value of the error range set for the reference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maximum threshold value. Likewise, if the minimum value of the error rang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threshold value, the minimum threshold value can be set to the lower limit of the error range. In order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vessel detection in the region exceeding the maximum limit value and the minimum limit value by preventing the container from being detected when the container is detected in an area exceeding the maximum limit value and the minimum limit value range to be.

상기 감지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상기 기준값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용기가 목표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용기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sensing sensor operates normally and the setting of the reference value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perform container sensing to check whether the container exists at the target position.

대기단계(S30)는, 상기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용기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감지신호의 입력을 기다릴 수 있다. 상기 감지신호의 출력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수행될 수 있으며, 절전을 위하여 절전제어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마지막으로 용기가 감지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할 때까지 추가적인 용기감지가 없으면, 상기 감지신호의 출력주기를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감지장치에 구비된 인체감지센서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거나 상기 용기감지장치 주변의 조도가 일정 조도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감지신호의 출력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하는 등의 절전제어가 가능하다.
The waiting step S30 may output a sensing signal using the sensing sensor and wait for the sensing signal to be reflected back from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output of the sensing signal may be performed every predetermined period, and power saving control may be applied for power saving. For example, if there is no additional container detection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container is finally detected, the output period of the detection signal may be set to be relatively long, Such as controlling the user's access or setting the output period of the sensing signal to be relatively short when the illuminance around the container sensing device is detected to be higher than a certain level.

이후, 감지신호입력단계(S40)에서는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감지센서에 입력되면,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를 상기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으며, 용기감지단계(S50)에서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의 오차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용기가 상기 목표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용기가 상기 목표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추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용기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가 상기 목표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알람음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In the sensing signal input step S40, when the sensing signal is input to the sensing sensor, the sensing signal size may b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In a sensing step S50, If it is confirmed that the container is included in the error rang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ntainer exists at the target pos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iner exists at the target position, the extraction port may be opened to supply fluid to the contain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iner is not present at the target position, .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추출구 2: 감지센서
3: 용기(容器) 4: 트레이부
5: 제어부
S10: 감지센서 확인단계 S11: 확인모드진입과정
S12: 기준용기위치과정 S13: 센싱과정
S14: 이상판정과정 S20: 기준값설정단계
S30: 대기단계 S40: 감지신호입력단계
S50: 용기감지단계
1: extraction port 2: detection sensor
3: container (container) 4: tray portion
5:
S10: Detection sensor check step S11: Confirmation mode entry process
S12: Reference vessel position process S13: Sensing process
S14: abnormality judgment process S20: reference value setting step
S30: standby step S40: detection signal input step
S50: container sensing step

Claims (9)

용기가 기 설정된 목표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용기감지방법에 있어서,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목표위치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단계;
상기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용기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감지신호의 입력을 기다리는 대기단계;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감지센서에 입력되면,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를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는 감지신호입력단계; 및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의 오차범위 내에 포함되면, 상기 용기가 상기 목표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용기감지단계를 포함하는 용기감지방법.
A container sensing method for sensing whether a container exists at a predetermined target position,
A reference value setting step of setting a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distance from the detection sensor to the target position;
A waiting step of outputting a sensing signal using the sensing sensor and waiting for input of the sensing signal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A sensing signal input step of, when the sensing signal is input to the sensing sensor,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with the reference value; And
And a container sensing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container exists at the target position if the size of the sensing signal is within an error range of the reference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설정단계는
상기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모드로 변경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기준값을 설정하는 용기감지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value setting step
Changing a reference value setting mode for setting the reference value, and setting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a user's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설정단계는
상기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사용하고자 하는 용기를 상기 목표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감지센서에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감지신호의 크기를 상기 용기에 대한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감지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value setting step
Changing a reference value setting mode for setting the reference value;
Positioning the container to be used at the target position; And
And setting the magnitude of the input sensed signal as a reference value for the container when the sensing signal is input to the sensing sens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설정단계는
복수개의 용기에 대한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를 각각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감지신호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상기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용기감지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ference value setting step
Measuring a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the sensed signals, and setting the average value as the reference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설정단계는
상기 오차범위의 최대값이 기 설정된 최대한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최대한계값을 상기 오차범위의 상한으로 설정하고, 상기 오차범위의 최소값이 기 설정된 최소한계값 미만이면 상기 최소한계값을 상기 오차범위의 하한으로 설정하는 용기감지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value setting step
If the maximum value of the error range exceeds a predetermined maximum threshold value, sets the maximum threshold value to an upper limit of the error range, and if the minimum value of the error rang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threshold value, Of th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와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감지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센서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용기감지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sensor check step of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with the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ing sensor operates normall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확인단계는
상기 감지센서의 정상동작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모드로 변경하는 확인모드진입과정;
상기 목표위치에 기준용기를 위치하는 기준용기위치과정;
상기 기준용기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온 감지신호를 상기 감지센서가 입력받는 센싱과정; 및
상기 입력받은 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용기에 대하여 기 설정된 정상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감지센서가 정상동작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이상판정과정을 포함하는 용기감지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ensing sensor check step
A confirming mode entering step of changing a confirming mode for confirming whether the detecting sensor is normally operated;
A reference container position process for positioning the reference container at the target position;
A sensing process in which the sensing sensor receives the sensing signal reflected back from the surface of the reference container; And
And an abnormality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sensing sensor operates normally if the magnitude of the input sensed signal is within a predetermined normal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contain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판정과정은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감지센서가 이상동작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알람을 출력하는 용기감지방법.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signal is out of the normal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ing sensor is operating abnormally and an alarm is output.
용기가 기 설정된 목표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용기감지장치에 있어서,
유체를 토출하는 추출구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가 위치하는 트레이부;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용기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감지센서; 및
정상동작모드에서는 상기 목표위치에 상기 용기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판정모드에서는 상기 감지센서의 정상동작여부를 판단하며, 기준값설정모드에서는 상기 기준값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용기감지장치.
A container sensing apparatus for sensing whether a container exists at a predetermined target position,
A tray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n extraction port for discharging the fluid, wherein the tray portion is located;
A sensor for outputting a sensing signal and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ntainer exists in the target position in a normal operation mode, determining whether the sensing sensor operates normally in an abnormality determination mode, and setting the reference value in a standard value setting mode.
KR20130100334A 2013-08-23 2013-08-23 Apparatus for detecting container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500224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334A KR20150022449A (en) 2013-08-23 2013-08-23 Apparatus for detecting container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334A KR20150022449A (en) 2013-08-23 2013-08-23 Apparatus for detecting container and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449A true KR20150022449A (en) 2015-03-04

Family

ID=5302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0334A KR20150022449A (en) 2013-08-23 2013-08-23 Apparatus for detecting container and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244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095A (en) * 2015-03-31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095A (en) * 2015-03-31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9217B2 (en) Flushing water control for a food waste disposer based on visual detection of food waste
US9394675B2 (en) Capacitive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faucet
CA2788815C (en) Capacitive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faucet
US9187884B2 (en) Faucet including a capacitance based sensor
KR101897572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fluid extracting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441240B1 (en) Automatic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supply water
US20170101766A1 (en) Faucet with Auto-Fill Feature
CN105468035A (en) Method and device for water outflow control of faucet
CN104146614A (en) Control device with intelligent water level detec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085180B (en) Automatic detection method and device for touch keys, processor and household appliance
CN110657460B (en) Kitchen safety assistance, screen-off control and health reminding system and working method
CN211324418U (en) Full-automatic liquid injection system of liquid drinking machine and liquid drinking machine
CN104597944A (en) Intelligent circuit of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boiling temperature therefrom
KR20150022449A (en) Apparatus for detecting container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30102444A (en) Apparatus for automatic fluid extracting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046479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container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0720840A (en) Full-automatic liquid filling method and device for liquid drinking machine and liquid drinking machine
KR20180055511A (en) Amount of fluid extracting variable water purifier
KR1026610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notification of time to change frying oil
KR101843143B1 (en) Electric range having function for detecting overflow and method for detecting overflow of electric range
JP2013221686A (en) Water heater
CN109237537A (en) The control method and anti-dry system of anti-dry
KR101977026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fluid extracting and method for the same
JP2010014372A (en) Tempura fire prevention device for gas table
KR20130119237A (en) Apparatus for automatic fluid extracting and method for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