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297A - 보안 관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보안 관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297A
KR20150022297A KR20130099941A KR20130099941A KR20150022297A KR 20150022297 A KR20150022297 A KR 20150022297A KR 20130099941 A KR20130099941 A KR 20130099941A KR 20130099941 A KR20130099941 A KR 20130099941A KR 20150022297 A KR20150022297 A KR 20150022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terminal
area
channel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130099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2297A/ko
Publication of KR20150022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Abstract

보안 관제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보안 관제 방법은 보안 관제 장치가 수행하는 보안 관제 방법으로서, 상기 보안 관제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면,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안 관제 방법 및 그 장치{SECURITY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보안 관제 방법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은 가정이나 건물 등의 출입문에는 내부에 있는 사람이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 시스템이 대부분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 적용되는 출입문 시스템은 방문자가 초인종을 누르면 내부에 있는 사람이 인터폰 및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되는 방문자 영상을 확인하는 방식이다. 방문자는 스피커를 통해 들리는 내부 사람의 말에 대응하여 방문목적이나 신분을 밝히게 되고, 내부에 있는 사 람은 음성 및 영상을 확인하여 방문자의 신분 및 목적을 확인한 후, 출입문의 락킹을 해제하였다. 하지만, 부재중인 경우에 이러한 기존 출입문 시스템은 효과적이지 못하다. 방문자가 악의를 가진 경우, 예를 들어 방문자가 빈집만 골라 물건을 훔치는 도인이라면 내부에 사람이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누른 초인종에 대하여 내부에서 응답이 없는 경우 빈집임을 확신하고 문의 락킹을 강제로 해제시켜 물건을 훔치게 되는 유감스러운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정에서는 외출 시 또는 장기간 부재중인 경우 도난사고의 발생에 대한 대책으로서는 조명등(전등)의 전원을 ON시킨 상태로 유지하도록 권장되고 있지만, 방범효과를 기대하기는 곤란한 실정일 뿐만 아니라 전력의 소비 면에서도 상당히 불리하다.
또한, 가정내 보안을 위한 서비스로 다양한 상품이 월 5~7만원 수준으로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가정내 보안 서비스는 CCTV(Closed-Circuit TeleVision)를 활용한 보안 서비스가 주를 이루다보니, CCTV를 사용하는 경우, 소비자의 프라이버시(Privacy) 문제로 거부감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대부분 장기간 외출시 침입 보안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중이므로 유지 비용이 상당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저가로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방문자가 악의를 가진 자라도 쉽게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출현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정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인프라를 이용하여 침입 감시를 구현할 수 있는 보안 관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보안 관제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보안 관제 방법은 보안 관제 장치가 수행하는 보안 관제 방법으로서, 상기 보안 관제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면,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보안 관제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보안 영역 및 서비스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안 영역에 진입하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안 영역에 진입하거나 위치하면,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보안 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는,
출입문 폐쇄, 감시 카메라 구동 요청을 포함하는 침입 방어 통제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지정된 단말로 침입 알람을 통보하는 단계, 보안 관제 서버로 출동을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외부로 침입 알람을 알리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단계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 관제 장치는,
가정내 댁내 게이트웨이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보안 관제 장치가 채널 별로 출력하는 주파수 세기를 조정하여 채널 반경이 서로 다른 보안 채널 및 서비스 채널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상기 보안 채널이 사용되는 상기 보안 영역 및 상기 서비스 채널만 사용되는 상기 서비스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보안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접속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는 현재 위치에서 접속이 가능한 채널을 스캔하고, 채널의 주파수 세기가 기 정의된 임계치 이상인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해 상기 접속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요청의 채널 별 단말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채널 별 단말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면,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정의된 기준은,
사용자에 의해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안 모드가 설정된 경우, 무조건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접속 이력을 검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 이력에 포함된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접속 이력에 포함된 단말이 아니라면,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과거 접속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이력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 정보를 등록받아 허용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허용 단말 리스트를 검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허용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허용 단말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단말이면,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기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접속 이력 또는 단말 허용 리스트를 검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 이력 또는 상기 단말 허용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면, 무조건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 이력 또는 상기 단말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단말이라면,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안 관제 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보안 관제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보안 영역에 위치면,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보안부를 포함한다.
보안 관제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부는,
출입문 폐쇄, 감시 카메라 구동 요청을 포함하는 침입 방어 통제 모드, 지정된 단말로 침입 알람 통보, 보안 관제 서버로 출동 요청 및 외부로 침입 알람을 알리는 경고음 출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안부는,
상기 보안 관제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보안 영역 및 서비스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안 영역에 진입하는지 모니터링한 후, 상기 보안 영역에 진입하거나 위치하면,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보안부는,
상기 보안 관제 장치가 채널 별로 출력하는 주파수 세기를 조정하여 채널 반경이 서로 다른 보안 채널 및 서비스 채널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상기 보안 채널이 사용되는 상기 보안 영역 및 상기 서비스 채널만 사용되는 상기 서비스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보안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보안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접속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로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접속 요청의 상기 채널 별 단말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보안부는,
사용자에 의해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 접속 이력, 사전에 설정된 단말 허용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이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정 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기존 인프라를 활용하여 침입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별도의 침입감시용 설비의 설치 없이 침입감시 구현이 가능하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별도의 고정형 서비스 가입 없이 필요시에만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고, 추가적인 시설 설치가 필요없으므로, 어디서나 통신 서비스 이용시 가능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사업자 입장에서는 기존 댁내형 통신 장치의 기능 업그레이드만으로 개인형 보안 상품을 창출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인프라 시설 투자비가 없어 와해성(destruptive) 가격 책정이 가능하고, 인터넷 부가서비스 효과로 기존 인터넷 사용자 만족도의 증가 및 록인(Lock-in)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달별 기준(Monthly basis)이 아닌 고객의 니즈(needs)에 따른 탄력적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제 네트워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제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제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제 네트워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안 관제 장치(100)는 일정한 반경(A)의 통신 가능 영역(200)을 가진다. 보안 관제 장치(100)는 통신 가능 영역(200)에서 복수의 무선 채널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신 가능 영역(200)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300)과 복수의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이때, 복수의 무선 채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무선 채널을 연결하여 통신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은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단말로서,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보안 관제 장치(100)는 무선 채널 별로 송출하는 주파수 세기를 조절하여 송신 채널을 보안 채널 및 서비스 채널로 구분한다. 즉, 채널 반경이 서로 다른 보안 채널 및 서비스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채널은 통신 가능 영역(200)에서 사용할 수 있고, 보안 채널은 특정 영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보안 관제 장치(100)는 채널 반경이 B인 보안 채널을 설정하고, 이러한 보안 채널이 검출되는 보안 영역(201)과, 통신 가능 영역(200)에서 보안 영역(20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즉 서비스 영역(203)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보안 영역(201)에서는 보안 채널 및 서비스 채널이 모두 검출된다. 반면, 서비스 영역(203)에서는 서비스 채널만 검출된다.
여기서, 보안 영역(201)은 주택의 현관문 인근 지역으로 설정되고, 서비스 영역(203)은 공동출입문 인접 지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보안 관제 장치(100)는 가정 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인프라가 이용될 수 있는데, 주택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설치되어 있는 댁내형 통신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보안 관제 장치(100)는 펨토셀(Femtocell) 중계기, 와이파이(WiFi) 중계기, 가정내 댁내 게이트웨이, 무선 액세스 포인트 중 하나에 탑재 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침입 감시용 설비의 설치 없이 침입 감시 즉 보안 관제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보안 관제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이 서비스 영역(203)에서 보안 영역(201)으로 진입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보안 관제 서비스를 구현한다. 보안 관제 장치(100)는 도 2와 같이 구현될 수 있으며, 보안 관제 서비스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2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제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안 관제 장치(100)는 통신부(110), 접속 제어부(130), 보안부(15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300)과 연결된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접속 요청(connection request)을 수신하여 보안부(150)로 전달한다.
이때, 통신부(110)는 무선 채널 별로 주파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한다. 즉, 보안 채널 및 서비스 채널 각각을 통해 주파수 신호를 설정된 출력 세기로 송출한다.
접속 제어부(130) 및 보안부(150)는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 내에 탑재되거나 별개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중앙처리 유닛(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접속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접속 요청(connection request)을 수신하여 접속을 제어한다. 그리고 접속에 성공한 사용자 단말(300)의 단말 정보를 접속 이력으로 구성하여 저장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
보안부(15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설정 사항에 따라 보안 관제 서비스를 구현한다. 이러한 보안 관제 서비스를 실시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보안 모드를 실행시킨 상태이면, 보안부(150)는 보안 영역(201)으로 사용자 단말(300)이 진입하면 무조건 침입 알림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부(150)는 사용자 단말(300)이 서비스 영역(203)에서 보안 영역(201)으로 진입하는지 모니터링하다가 보안 영역(201)에 진입하면, 사용자 단말(300)이 사전에 허용된 단말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사전에 허용된 단말이라면, 이러한 사용자 단말(300)에 대한 보안 관제를 중지한다. 하지만, 사전에 허용된 단말이 아니라면, 침입 알림을 수행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부(150)는 사용자 단말(300)이 서비스 영역(203)에서 보안 영역(201)으로 진입하는지 모니터링하다가 보안 영역(201)에 진입하면, 저장부(150)에 저장된 접속 이력을 검색한다. 그리고 접속 이력에 포함된 단말이라면, 보안 관제를 중지한다. 하지만, 접속 이력에 존재하지 않는 단말이 아니라면, 침입 알림을 수행한다.
보안부(150)는 침입 알림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을 침입자로 간주하여 주인 단말(500)로 침입 알람 즉 미등록된 사용자가 있음을 알리는 침입 알람 메시지를 통보할 수 있다. 이때, 주인 단말(500)의 정보 역시 저장부(150)에 사전에 저장된다. 그리고 보안 요원의 출동을 요청하는 침입 알람을 보안 관제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 관제 서버(600)는 경비실, 경찰서, 보안 서비스 기관 등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로 침입자를 알리는 고음량의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현관문 폐쇄, 월패드(Wall-Pad) 카메라 또는 감시 카메라(CCTV) 구동을 포함하는 침입 방어 통제 모드를 실시할 수 있다.
침입자를 알리는 경고음을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전에 등록된 주인 단말(500)에게 미등록된 사용자가 있음을 알리는 침입 알람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주인 단말(500)의 정보 역시 저장부(150)에 사전에 저장된다. 그리고 보안 요원의 출동을 요청하는 침입 알람을 보안 관제 서버(6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보안 관제 서버(600)는 경비실, 경찰서, 보안 서비스 기관 등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장부(17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램버스 DRAM(RAM Bus DRAM, RDRAM), 동기식 DRAM(Synchronous DRAM, SDRAM), 정적 RAM(Static RAM, S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70)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보안 채널 및 서비스 채널 각각에 대응하는 보안 영역 및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 세팅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70)는 사전에 허용된 사용자 단말(300) 정보를 포함하는 허용 단말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0)는 접속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는 통신부(310) 및 접속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보안 관제 장치(100)의 통신 가능 영역에 진입하면, 보안 관제 장치(100)에서 송출하는 주파수 신호를 수신한다.
접속 제어부(330)는 보안 관제 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무선 채널을 스캔하여 주파수 신호 세기가 기 정의된 임계값 이상인 무선 채널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무선 채널을 통해 보안 관제 장치(100)에게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이때, 기 정의된 임계값은 무선 채널을 연결할 수 있는 주파수 신호 세기로 설정된다.
예컨대 접속 제어부(330)는 서비스 영역(203)에서는 서비스 채널만 감지되므로, 서비스 채널을 통해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그리고 보안 영역(201)에 진입하면, 서비스 채널 및 보안 채널을 통해 모두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접속 제어부(330)는 보안 관제 장치(100)로부터 접속 응답이 수신되면, 보안 관제 장치(100)와 무선 채널을 통해 연결된다.
이제, 보안 관제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300) 간의 연계 동작을 설명하며, 도 1의 구성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안 관제 장치(100)는 무선 채널 별로 출력 세기가 서로 다른 주파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한다(S101). 즉, 보안 채널 및 서비스 채널 각각에 대해 출력 세기를 서로 달리하여 주파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가 기 정의된 임계값 이상인 무선 채널을 선택한다(S103). 즉, 서비스 영역(203)에서는 서비스 채널을 선택한다. 그리고 보안 영역(201)에서는 보안 채널 및 서비스 채널을 모두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무선 채널을 통해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S105).
그러면, 보안 관제 장치(100)는 보안 영역(201)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300)을 대상으로 보안 관제 서비스를 실시한다(S107).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보안 관제 장치(100)의 세부 동작을 나타내며, 도 2의 구성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안부(150)는 채널 별로 주파수 신호의 출력 세기를 조정하여 채널 반경이 서로 다른 보안 채널 및 서비스 채널을 설정하고, 통신 가능 영역을 보안 채널이 사용되는 보안 영역(201) 및 서비스 채널이 사용되는 서비스 영역(203)으로 구분 설정한다(S201). 이때, 보안 영역(201)에서는 보안 채널 및 서비스 채널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구분 설정된 영역 정보는 저장부(170)에 저장된다.
또한, S201 단계에서는 접속 이력 또는 사전에 접속이 허용된 단말 정보들로 구성된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부(170)에 저장하는 단계(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안부(150)는 보안 모드 또는 단말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웹 기반으로 구현되거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고, 장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후, 통신부(110)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S203)하면,보안부(150)는 사용자 단말(300)이 위치한 영역을 확인(S205)하여 서비스 영역(203)에 위치하는지 또는 보안 영역(201)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S207).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는 구체적인 위치 정보가 아닌 S201 단계에서 구분 설정된 영역 별 위치 여부를 말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부(150)는 접속 요청이 보안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300)이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보안 채널을 통해 수신되지 않고, 서비스 채널만을 통해 수신된다면, 사용자 단말(300)은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로 판단된다. 그리고 서비스 채널 뿐만 아니라 보안 채널을 통해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300)은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로 판단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부(150)는 사용자 단말(300)의 수신 신호 세기 별로 보안 영역(201) 및 서비스 영역(203)의 위치를 매핑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해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이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의 수신 신호 세기의 일정 범위와, 사용자 단말(300)이 서비스 영역(203)에 위치하는 경우, 수신 신호 세기의 일정 범위를 각각 매핑하여 저장해둘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접속 요청의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가 포함된 수신 신호 세기의 일정 범위에 매핑되는 영역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 단말(300)이 보안 영역(201)에 위치하는지 또는 서비스 영역에(203)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부(150)는 보안 관제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300) 간의 이격 거리의 일정 범위 별로 보안 영역(201) 및 서비스 영역(203)에 포함되는지를 매핑하여 저장해두고, 사용자 단말(300)의 수신 신호 세기를 토대로 사용자 단말(300)과 보안 관제 장치(100)간의 이격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계산된 이격 거리에 매핑된 영역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 단말(300)이 보안 영역(201)에 위치하는지 또는 서비스 영역에(203)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보안부(150)는 사용자 단말(300)이 서비스 영역(203)에 위치하는 경우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300)에서 수신되는 접속 요청을 모니터링(S209)하며, S203 단계부터 다시 시작한다.
반면, 보안부(150)는 사용자 단말(300)이 보안 영역에 위치 혹은 진입한 경우로 판단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보안 모드의 실행 여부를 판단한다(S211).
이때, 보안 모드가 실행되지 않았다면, 사용자 단말(300)이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단말인지를 판단한다(S213).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한다면, S201 단계부터 다시 시작한다.
그러나 S211 단계에서 보안 모드가 실행된 경우 및 S213 단계에서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다면, 도 2에서 설명한 침입 알람을 실시한다(S215).
이때, S213 단계에서 기 설정된 기준은 접속 이력일 수 있다. 즉, 접속 이력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300)이 접속 이력에 포함되면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로 판단하고, 접속 이력에 포함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로 판단한다.
또한, S213 단계에서 기 설정된 기준은 사전에 설정된 단말 허용 리스트일 수 있다. 즉, 단말 허용 리스트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300)이 단말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면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로 판단하고, 단말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로 판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보안 관제 장치가 수행하는 보안 관제 방법으로서,
    상기 보안 관제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면,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관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보안 관제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보안 영역 및 서비스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안 영역에 진입하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안 영역에 진입하거나 위치하면,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보안 관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는,
    출입문 폐쇄, 감시 카메라 구동 요청을 포함하는 침입 방어 통제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지정된 단말로 침입 알람을 통보하는 단계,
    보안 관제 서버로 출동을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외부로 침입 알람을 알리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관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관제 장치는,
    가정내 댁내 게이트웨이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보안 관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보안 관제 장치가 채널 별로 출력하는 주파수 세기를 조정하여 채널 반경이 서로 다른 보안 채널 및 서비스 채널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상기 보안 채널이 사용되는 상기 보안 영역 및 상기 서비스 채널만 사용되는 상기 서비스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관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보안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접속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는 현재 위치에서 접속이 가능한 채널을 스캔하고, 채널의 주파수 세기가 기 정의된 임계치 이상인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해 상기 접속 요청을 전송하는 보안 관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요청의 채널 별 단말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채널 별 단말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관제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면,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관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의된 기준은,
    사용자에 의해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안 모드가 설정된 경우, 무조건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관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접속 이력을 검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 이력에 포함된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접속 이력에 포함된 단말이 아니라면,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보안 관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과거 접속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이력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안 관제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 정보를 등록받아 허용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허용 단말 리스트를 검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허용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허용 단말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단말이면,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보안 관제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접속 이력 또는 단말 허용 리스트를 검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 이력 또는 상기 단말 허용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면, 무조건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 이력 또는 상기 단말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단말이라면,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관제 방법.
  14.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보안 영역에 위치면,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보안부
    를 포함하는 보안 관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보안 관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부는,
    출입문 폐쇄, 감시 카메라 구동 요청을 포함하는 침입 방어 통제 모드, 지정된 단말로 침입 알람 통보, 보안 관제 서버로 출동 요청 및 외부로 침입 알람을 알리는 경고음 출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보안 관제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부는,
    상기 보안 관제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보안 영역 및 서비스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안 영역에 진입하는지 모니터링한 후, 상기 보안 영역에 진입하거나 위치하면,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보안 관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부는,
    상기 보안 관제 장치가 채널 별로 출력하는 주파수 세기를 조정하여 채널 반경이 서로 다른 보안 채널 및 서비스 채널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상기 보안 채널이 사용되는 상기 보안 영역 및 상기 서비스 채널만 사용되는 상기 서비스 영역으로 구분하는 보안 관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보안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접속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로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접속 요청의 상기 채널 별 단말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보안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보안 관제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부는,
    사용자에 의해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 접속 이력, 사전에 설정된 단말 허용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이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침입 알람을 동작시키는 보안 관제 장치.
KR20130099941A 2013-08-22 2013-08-22 보안 관제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22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941A KR20150022297A (ko) 2013-08-22 2013-08-22 보안 관제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941A KR20150022297A (ko) 2013-08-22 2013-08-22 보안 관제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297A true KR20150022297A (ko) 2015-03-04

Family

ID=5302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9941A KR20150022297A (ko) 2013-08-22 2013-08-22 보안 관제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22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267B1 (ko) * 2015-07-10 2016-04-28 (주) 가드텍 방범 모드 자동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9792789B2 (en) 2015-10-12 2017-10-17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 alert mess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267B1 (ko) * 2015-07-10 2016-04-28 (주) 가드텍 방범 모드 자동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9792789B2 (en) 2015-10-12 2017-10-17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 alert mess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0943B1 (en) Smart surveillance systems
US10446000B2 (en) Detecting an intruder's wireless device during a break in to a premises
US11657698B2 (en) Providing internet access through a property monitoring system
US11410539B2 (en) Internet of things (IoT) based integrated device to monitor and control events in an environment
US9728077B1 (en) eReceptionist and eNeighborhood watch system for crime prevention and/or verification
US1059319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in a smart home security detection system
EP3041274B1 (en) Wearable technology 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lerated enrollment of parallel wireless sensors into their own network
KR101737259B1 (ko) 정보 송신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10631158B2 (en) Server, user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22512B2 (en) Security panel with virtual sensors
KR20150022297A (ko) 보안 관제 방법 및 그 장치
US20170018168A1 (en) Auxiliary alarm notification
US10571508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ng cable connectivity in a smart home environment
EP3236442B1 (en) Anti-theft method and device
KR20010007732A (ko) 위치추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291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보안 시스템
EP4231263A1 (en) Premises security monitoring system
JP7128109B2 (ja) 警備システム
KR20160027483A (ko) 유저 식별을 통한 시큐리티 시스템
JP3168964U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警報装置及びユーザ端末
JP2009271638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警報装置及びユーザ端末
JP2015153018A (ja) イベント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イベント情報通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