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250A - 시간 기준을 이용한 영상 검색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시간 기준을 이용한 영상 검색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250A
KR20150022250A KR20130099849A KR20130099849A KR20150022250A KR 20150022250 A KR20150022250 A KR 20150022250A KR 20130099849 A KR20130099849 A KR 20130099849A KR 20130099849 A KR20130099849 A KR 20130099849A KR 20150022250 A KR20150022250 A KR 20150022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search
search result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5036B1 (ko
Inventor
강대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03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2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시간 기준을 이용한 영상 검색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촬영영상에 대한 복수 개의 영상클립 중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를 생성하고, 검색결과 중 시간간격 정보 내에 포함되는 영상클립 및 객체가 포함된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최종 검색결과를 생성하는 시간 기준을 이용한 영상 검색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간 기준을 이용한 영상 검색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Image by Using Time Referen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본 실시예는 시간 기준을 이용한 영상 검색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범죄 발생률 증가 등의 사회적인 추세에 따라 CCTV와 같이 감시용 카메라의 설치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설치된 카메라들로부터 영상을 수집 및 저장하고, 필요한 영상을 효과적으로 검색하여 재생하는 기술들이 발전하고 있다.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검색하는 목적 중 하나는 폭행, 강도, 살인 등의 범죄가 발생했을 때 범행이 발생한 시점 또는 범행 전후의 객체(Object) 이동경로, 행위를 추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사람을 의미하며, 차량 등의 이동물체도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 검색을 위해서 검색 대상 카메라를 지정하거나, 날짜, 시간 등의 검색어를 입력하여 영상을 검색하거나, 객체의 특징값을 입력하여 객체를 인식하여 영상을 검색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일반적인 영상 검색 방법은 카메라의 증가로 인해 영상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에서 한계성이 존재하고, 불필요한 검색 결과로 인해 유용한 결과값을 찾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다.
본 실시예는, 촬영영상에 대한 복수 개의 영상클립 중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를 생성하고, 검색결과 중 시간간격 정보 내에 포함되는 영상클립 및 객체가 포함된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최종 검색결과를 생성하는 시간 기준을 이용한 영상 검색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촬영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조건정보에 매칭하여 복수 개의 영상클립(Clip)으로 저장하는 영상 저장 처리부; 입력된 검색 요청정보에 포함된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상클립 중 상기 색인정보에 대응하는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색인 검색 제어부;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대표 영상프레임을 결정하는 프레임 결정부; 및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상기 대표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간격(Interval)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만을 추출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인자 검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검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영상 검색장치가 시간 기준을 이용하여 영상을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촬영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과정; 상기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조건정보에 매칭하여 복수 개의 영상클립으로 저장하는 영상 저장 처리과정; 입력된 검색 요청정보에 포함된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상클립 중 상기 색인정보에 대응하는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색인 검색 제어과정;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대표 영상프레임을 결정하는 프레임 결정과정; 및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상기 대표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간격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만을 추출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인자 검색 제어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검색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 기기에, 촬영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과정; 상기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조건정보에 매칭하여 복수 개의 영상클립으로 저장하는 영상 저장 처리과정; 입력된 검색 요청정보에 포함된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상클립 중 상기 색인정보에 대응하는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색인 검색 제어과정;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대표 영상프레임을 결정하는 프레임 결정과정; 및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상기 대표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간격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만을 추출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인자 검색 제어과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개의 영상클립 중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결과를 생성하고, 검색결과 중 시간간격 정보 내에 포함되는 영상클립 및 객체가 포함된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최종 검색결과를 생성함으로써, 촬영된 영상의 양이 증가하더라도 영상을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불필요한 검색결과를 감소시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유용한 결과값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인자를 이용한 영상 검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인자를 이용한 영상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검색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인자를 이용한 영상검색 서비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인자를 이용한 영상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색장치가 시간인자를 이용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색장치가 객체간 유사도 및 시간인자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색장치가 시간인자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색장치가 시간인자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n 번 반복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인자를 이용한 영상 검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색 시스템은 영상 촬영장치(110) 및 영상 검색장치(120)를 포함하고, 영상 검색장치(120)는 영상 획득부(130), 영상 저장 처리부(140), 검색 제어부(150), 시간간격 계산부(160), 객체 유사도 계산부(170) 및 결과정보 제공부(180)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색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촬영장치(110)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장치(110)는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또는 지점으로부터 이동하는 객체를 추적하기 위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 감시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상 촬영장치(110)는 제1 카메라(112), 제2 카메라(114) 및 제n 카메라(116) 등과 같이 복수 개(예컨대, n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이동하는 사람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할 수 있는 차량 등의 이동 가능한 물체일 수도 있다.
영상 촬영장치(11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카메라(112, 114 및 116 중 어느 하나)는 각각의 촬영된 촬영영상을 영상 검색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각각의 촬영영상은 상시 촬영된 영상일 수 있으나 기 설치된 센서, 인식장치 등을 이용하여 객체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만 촬영된 영상일 수도 있다.
영상 검색장치(120)는 영상 촬영장치(110)로부터 촬영된 촬영영상을 획득하여 복수 개의 영상클립으로 저장하고, 복수 개의 영상클립 중 입력된 색인정보에 대응하는 색인 검색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색인 검색결과 정보 중 결정된 대표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간격(Interval) 정보에 근거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영상 검색장치(120)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영상 획득부(130)는 영상 촬영장치(110)로부터 촬영된 촬영영상을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영상 획득부(130)는 복수 개의 카메라(112, 114 및 116 중 어느 하나)로부터 촬영된 촬영영상을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영상은 복수 개의 영상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촬영영상은 상시 촬영된 영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객체가 발견된 경우에만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영상 저장 처리부(140)는 획득한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조건정보에 매칭하여 복수 개의 영상클립(Clip)으로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저장 처리부(140)는 관리자의 조작 또는 입력을 통해 설정된 조건정보에 근거하여 촬영영상을 복수 개의 영상클립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저장 처리부(140)는 검색 대상 카메라, 촬영날짜, 촬영시간, 객체의 색상 및 객체의 특징 등과 같은 조건정보를 매칭하여 복수 개의 영상클립을 카메라별로 저장할 수 있다.
검색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을 통해 입력된 검색 요청정보에 포함된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한 후 추가 검색을 위한 대표 영상프레임이 결정되면,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대표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간격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만을 추출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제어부(150)는 검색 요청정보에 포함된 검색 대상 카메라, 촬영날짜, 촬영시간, 객체의 색상 및 객체의 특징 등의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저장 처리부(140)로부터 복수 개의 영상클립 중 색인정보에 해당하는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검색 제어부(150)는 촬영날짜(2013/01/01) 및 검색 대상 카메라(카메라 5) 대한 색인정보를 입력 받은 경우, 2013/01/01의 날짜에 카메라 5로 촬영된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검색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범죄 등의 이벤트와 관련된 객체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된 영상클립에 대한 입력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선택된 영상프레임을 대표 영상프레임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대표 영상프레임은 사용자의 입력신호만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클립 내의 객체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대표 영상프레임을 결정할 수도 있다.
검색 제어부(150)는 대표 영상프레임 내의 객체를 기준으로 수신된 객체 유사도값에 근거하여 영상클립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클립 중 시간간격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검색 제어부(150)는 대표 영상프레임이 결정되면 객체 유사도 계산부(170)로부터 수신된 객체 유사도값을 이용하여 대표 영상프레임 내의 객체와 유사한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클립을 추출하고, 시간간격 계산부(160)로부터 수신된 시간간격 차이값에 근거하여 추출된 영상클립 중 시간간격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만을 추출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검색 제어부(150)는 객체 유사도를 이용한 영상검색 및 시간간격을 이용한 영상검색을 순차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객체 유사도를 이용한 영상검색을 생략하고 시간간격을 이용한 영상검색만을 이용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시간간격 계산부(160)는 영상클립 간의 시간간격 차이값을 계산하고 검색 제어부(150)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시간간격 계산부(160)는 검색 제어부(150)에서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대표 영상프레임이 결정되면 색인검색 결과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영상클립과 대표 영상프레임 간에 시간간격 차이값을 계산하여 검색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여기서, 시간간격 차이값은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T는 '시간간격 차이값', k는 '영상클립 k', n은 '영상클립 n', start는 '영상클립의 시작', end는 '영상클립의 종료' 및 t는 시간을 의미한다. 즉, t(k, start)는 영상클립 k의 시작시간, t(k, end)는 영상클립 k의 종료시간, t(n, start)는 영상클립 n의 시작시간, t(n, end)는 영상클립 n의 종료시간을 의미한다.
한편, 시간간격 계산부(160)는 검색 제어부(150)와 별도의 모듈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검색 제어부(150)에 포함되어 시간간격 차이값을 산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객체 유사도 계산부(170)는 영상클립 간의 객체 유사도값을 계산하고 검색 제어부(150)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객체 유사도 계산부(170)는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대표 영상프레임이 결정되면, 대표 영상프레임 객체에 대한 색상, 질감, 위치 등의 특징정보에 따른 영상 분석방식을 이용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영상클립의 객체 유사도값을 산출하여 검색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여기서, 객체 유사도값은 객체에 대한 특징정보를 수치화하여 객체의 유사정도를 수치로 산출한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검색 제어부(150)에서 시간간격 정보만을 이용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객체 유사도 계산부(170)에서 객체 유사도값을 산출하는 동작은 생략될 수도 있다.
결과정보 제공부(180)는 검색 제어부(150)로부터 생성된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결과정보 제공부(180)는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에 포함된 영상클립을 재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인자를 이용한 영상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검색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제어부(150)는 색인 검색 제어부(210), 프레임 결정부(220), 시간인자 검색 제어부(230) 및 유사객체 검색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색 제어부(150)가 색인 검색 제어부(210), 프레임 결정부(220), 시간인자 검색 제어부(230) 및 유사객체 검색 제어부(240)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색인 검색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을 통해 검색 요청정보를 입력 받고, 검색 요청정보에 포함된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색인 검색 제어부(210)는 검색 요청정보에 포함된 검색 대상 카메라, 촬영날짜, 촬영시간, 객체의 색상 및 객체의 특징 등의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저장 처리부(140)로부터 복수 개의 영상클립 중 색인정보에 해당하는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색인 검색 제어부(210)는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텍스트 기반 검색, 내용 기반 검색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기반 검색은 영상을 여러 개의 키워드 또는 주석을 조건정보로 저장된 영상클립을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검색하고, 내용 기반 검색은 영상 내의 객체에 대한 색상, 질감, 위치 등을 분석한 조건정보로 저장된 영상클립을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검색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예컨대, 색인 검색 제어부(210)는 촬영날짜(2013/01/01)에 대한 색인정보를 입력 받은 경우, 촬영날짜(2013/01/01)에 해당하는 영상클립을 영상 촬영장치(110)별로 추출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프레임 결정부(220)는 색인 검색 제어부(210)로부터 생성된 색인 결과정보 중 대표 영상프레임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결정부(220)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선택된 영상프레임을 대표 영상프레임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프레임 결정부(220)는 사용자가 범죄 등의 이벤트와 관련된 객체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된 영상클립에 대한 입력신호를 입력 받아 대표 영상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결정부(220)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만을 이용하여 대표 영상프레임을 결정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분석방식을 이용하여 이벤트에 관련된 객체가 포함된 것으로 인지하고, 자동으로 대표 영상프레임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 결정부(220)는 하나의 영상프레임을 대표 영상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으나 복수 개의 영상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클립을 대표 영상프레임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시간인자 검색 제어부(230)는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대표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간격(Interval)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만을 추출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인자 검색 제어부(230)는 색인검색 결과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영상클립과 대표 영상프레임 간에 시간간격 차이값이 설정된 시간간격 정보 내에 포함되면, 시간간격 정보 내에 포함된 시간간격 차이값을 갖는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시간인자 검색 제어부(230)는 10 개의 영상클립 중 대표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시간간격 차이값을 계산하고, 1분 내지 10분에 대한 시간간격 정보 내에 포함하는 8 개의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시간인자 검색 제어부(230)는 시간간격 계산부(160)로부터 계산된 시간간격 차이값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간인자 검색 제어부(230)에서 시간간격 차이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유사객체 검색 제어부(240)는 시간인자 검색 제어부(230)에서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유사객체를 검출하는 추가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유사객체 검색 제어부(240)는 대표 영상프레임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객체 유사도값을 이용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영상클립 중 일부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클립 중 시간인자 검색 제어부(230)에서 시간간격 정보 내에 포함된 영상클립이 추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유사객체 검색 제어부(240)는 대표 영상프레임 객체에 대한 색상, 질감, 위치 등의 특징정보에 따른 영상 분석방식을 이용하여 객체 유사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객체 유사도값은 객체 유사도 계산부(170)로부터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인자를 이용한 영상검색 서비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검색 서비스장치(300)는 카메라, 영상 수신모듈, 영상 저장모듈, 영상 검색모듈, 영상간 시간차 계산모듈, 객체 유사도 계산모듈 및 영상 재생모듈로 구성된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는 영상 촬영장치(110), 영상 수신모듈은 영상 획득부(130), 영상 저장모듈은 영상 저장 처리부(140), 영상 검색모듈은 검색 제어부(150), 영상간 시간차 계산모듈은 시간간격 계산부(160), 객체 유사도 계산모듈은 객체 유사도 계산부(170) 및 영상 재생모듈은 결과정보 제공부(180)와 대응되어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동작의 자세한 설명은 도 1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함으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인자를 이용한 영상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영상 검색장치(120)는 영상 촬영장치(110)로부터 촬영된 촬영영상을 획득한다(S410). 여기서, 촬영영상은 복수 개의 영상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시 촬영된 영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객체가 발견된 경우에만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영상 검색장치(120)는 획득한 촬영영상을 복수 개의 영상클립으로 저장한다(S420). 영상 검색장치(120)는 관리자의 조작 또는 입력을 통해 설정된 조건정보에 근거하여 촬영영상을 복수 개의 영상클립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검색장치(120)는 검색 대상 카메라, 촬영날짜, 촬영시간, 객체의 색상 및 객체의 특징 등과 같은 조건정보를 매칭하여 복수 개의 영상클립을 카메라별로 저장할 수 있다.
영상 검색장치(120)는 검색 요청정보를 입력 받고, 검색 요청정보에 포함된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한다(S430). 즉, 영상 검색장치(120)는 검색 요청정보에 포함된 검색 대상 카메라, 촬영날짜, 촬영시간, 객체의 색상 및 객체의 특징 등의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복수 개의 영상클립 중 색인정보에 해당하는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영상 검색장치(120)는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대표 영상프레임이 선택되면(S440), 시간간격 정보를 설정한다(S442). 여기서, 시간간격 정보는 최대 시간간격 정보 및 최소 시간간격 정보를 입력 받아 설정될 수 있다.
영상 검색장치(120)는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대표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시간간격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을 추출한다(S450). 영상 검색장치(120)는 색인검색 결과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영상클립과 대표 영상프레임 간에 시간간격 차이값을 계산하고, 시간간격 차이값이 시간간격 정보 내에 포함되면, 시간간격 정보 내에 포함된 시간간격 차이값에 해당하는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시간인자 검색 제어부(230)는 10 개의 영상클립 중 대표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시간간격 차이값을 계산하고, 1분 내지 10분에 대한 시간간격 정보 내에 포함하는 8 개의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검색장치(120)는 추출된 영상클립만을 이용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60). 여기서, 영상 검색장치(120)는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에 포함된 영상클립을 재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 검색장치(120)는 추가로 시간인자를 이용한 검색인 필요한 경우, 단계 S440 내지 단계 S46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70).
도 4에서는 단계 S410 내지 단계 S470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410 내지 단계 S47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색장치(120)의 동작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색장치(120)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색장치가 시간인자를 이용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영상 검색장치(120)는 입력된 검색 요청정보에 포함된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인검색 결과정보는 영상클립 1-1, 영상클립 1-2(530), 영상클립 2-1(520), 영상클립 2-2(510), 영상클립 2-3, 영상클립 3-1, 영상클립 3-2, 영상클립 4-1(540) 및 영상클립 4-2(550) 등의 복수 개의 영상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색장치(120)는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영상클립 2-2(510)이 대표 영상프레임으로 결정하고, 영상클립 2-2(510)를 기준으로 시간간격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을 추출한다. 예컨대, 시간간격 정보가 최소 60 초 및 최대 600 초로 설정된 경우, 영상 검색장치(120)는 이벤트와 관련된 객체가 포함된 영상클립 2-2(510)를 대표 영상프레임으로 결정하고, 영상클립 2-2(510)를 기준으로 60 내지 600 초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 1-2(530), 영상클립 2-1(520), 영상클립 4-1(540) 및 영상클립 4-2(550)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검색장치(120)는 추출된 영상클립 1-2(530), 영상클립 2-1(520), 영상클립 4-1(540) 및 영상클립 4-2(550)를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로 생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표 영상프레임 객체에 대한 색상, 질감, 위치 등의 특징정보에 따른 영상 분석방식을 이용하여 산출된 객체 유사도값을 이용하여 영상클립 1-2(530), 영상클립 2-1(520), 영상클립 4-1(540) 및 영상클립 4-2(550) 중 객체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된 영상클립만을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로 생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색장치가 객체간 유사도 및 시간인자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영상 검색장치(120)는 검색조건을 입력 받아(S602) 검색을 실행한다(S610). 여기서, 검색조건은 검색 요청정보에 포함된 색인정보를 의미하고, 검색조건은 검색 대상 카메라, 촬영날짜, 촬영시간, 객체의 색상 및 객체의 특징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영상 검색장치(120)는 검색 요청정보에 포함된 색인정보에 대응하는 영상클립의 검색을 수행한다.
영상 검색장치(120)는 단계 S610에 대한 영상클립의 개수가 a개인 1차 검색결과를 제공한다(S620). 여기서, 1차 검색 결과는 색인정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인 색인검색 결과정보를 의미하고, 1차 검색 결과는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영상 검색장치(120)는 사용자의 검색의도에 해당하는 영상클립을 선택한다(S630). 즉, 영상 검색장치(120)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선택된 영상클립을 대표 영상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검색장치(120)는 사용자가 범죄 등의 이벤트와 관련된 객체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된 영상클립을 검색의도에 해당하는 영상클립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영상 검색장치(120)는 영상클립 간의 시간간격 정보를 설정하고(S632), 추가 검색을 수행한다(S640). 여기서, 시간간격 정보는 최대 시간간격 정보 및 최소 시간간격 정보를 입력 받아 설정될 수 있으며, 시간간격 정보는 초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영상 검색장치(120)는 객체간 유사도를 계산하여(S650), 영상클립의 개수가 b개인 제2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S660). 여기서, 영상 검색장치(120)는 단계 S630에서 선택된 영상클립 내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색상, 질감, 위치 등의 특징정보에 따른 영상 분석방식을 이용하여 객체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확인된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제2 검색 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
영상 검색장치(120)는 제2 검색결과 중 단계 S632에서 설정된 시간간격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만을 검색결과에 포함하여(S670), 영상클립의 개수가 c개인 최종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S680). 즉, 영상 검색장치(120)는 단계 S630에서 선택된 영상클립과 제2 검색결과에 포함된 나머지 영상클립 간에 시간간격 차이값을 계산하고, 시간간격 정보에 해당하는 시간간격 차이값에 대응하는 영상클립만을 추출하여 최종 검색결과 즉,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도 6에서는 단계 S610 내지 단계 S680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6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610 내지 단계 S68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색장치가 시간인자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영상 검색장치(120)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6의 단계 S602 내지 단계 S680과 동일한 동작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영상 검색장치(120)는 단계 S680에서 검색된 영상클립의 개수가 c개인 검색 결과에서 추가로 영상클립을 선택하고, 추가된 영상클립을 기준으로 시간간격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을 추출하여(S710), 영상클립의 개수가 d개인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S720). 여기서, 영상 검색장치(120)은 영상클립의 검색을 추가로 수행하여 c개보다 적은 개수인 d개의 영상클립을 포함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색장치가 시간인자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n 번까지 반복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영상 검색장치(120)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6의 단계 S602 내지 단계 S680과 동일한 동작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영상 검색장치(120)는 단계 S680에서 검색된 영상클립의 개수가 c개인 검색 결과에서 반복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횟수를 입력 받아 적용하고(S810), 추가로 선택된 영상클립을 기준으로 시간간격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을 추출하여(S820), 영상클립의 개수가 d개인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S830). 여기서, 영상 검색장치(120)은 영상클립의 검색을 기 설정된 횟수만큼 추가로 수행하여 c개보다 적은 개수인 d개의 영상클립을 포함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영상을 검색하는 기술분야에 적용되어, 많은 양의 영상 내에서 검색결과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불필요한 검색결과를 감소시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유용한 결과값을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10: 영상 촬영장치 120: 영상 검색장치
130: 영상 획득부 140: 영상 저장 처리부
150: 검색 제어부 160: 시간간격 계산부
170: 객체 유사도 계산부 180: 결과정보 제공부
210: 색인 검색 제어부 220: 프레임 결정부
230: 시간인자 검색 제어부 240: 유사객체 검색 제어부

Claims (12)

  1. 촬영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조건정보에 매칭하여 복수 개의 영상클립(Clip)으로 저장하는 영상 저장 처리부;
    입력된 검색 요청정보에 포함된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상클립 중 상기 색인정보에 대응하는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색인 검색 제어부;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대표 영상프레임을 결정하는 프레임 결정부; 및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상기 대표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간격(Interval)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만을 추출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인자 검색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검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영상클립 간에 시간간격을 계산하고, 계산된 각각의 시간간격 차이값을 상기 시간인자 검색 제어부에 전송하여 상기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시간간격 계산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검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간격 계산부는,
    상기 대표 영상프레임의 시작시간 및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에 포함된 영상클립의 종료시간의 차이의 절대값과 상기 대표 영상프레임의 종료시간 및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에 포함된 영상클립의 시작시간의 차이의 절대값 중 최소값을 상기 시간간격 차이값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검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인자 검색 제어부는,
    상기 대표 영상프레임 내의 객체의 특징정보를 이용한 객체 유사도값에 근거하여 객체유사 영상클립을 추출하고, 상기 객체유사 영상클립 중 상기 시간간격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만을 추출하여 상기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검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인자 검색 제어부는,
    최대 시간간격 정보 및 최소 시간간격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시간간격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시간간격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검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저장 처리부는,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각각의 상기 영상클립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영상클립에 대한 영상 시작시간 및 영상 종료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검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인 검색 제어부는,
    검색 대상 카메라, 촬영날짜, 촬영시간, 객체의 색상 및 객체의 특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검색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결정부는,
    조작을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클립 또는 영상클립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을 상기 대표 영상프레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검색장치.
  9. 영상 검색장치가 시간 기준을 이용하여 영상을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촬영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과정;
    상기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조건정보에 매칭하여 복수 개의 영상클립으로 저장하는 영상 저장 처리과정;
    입력된 검색 요청정보에 포함된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상클립 중 상기 색인정보에 대응하는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색인 검색 제어과정;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대표 영상프레임을 결정하는 프레임 결정과정; 및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상기 대표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간격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만을 추출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인자 검색 제어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검색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영상클립 간에 시간간격을 계산하고, 계산된 각각의 시간간격 차이값을 이용하여 상기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시간간격 계산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검색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인자 검색 제어과정은,
    상기 대표 영상프레임 내의 객체의 특징정보를 이용한 객체 유사도값에 근거하여 객체유사 영상클립을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객체유사 영상클립 중 상기 시간간격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만을 추출하여 상기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검색방법.
  12. 데이터 처리 기기에,
    촬영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과정;
    상기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조건정보에 매칭하여 복수 개의 영상클립으로 저장하는 영상 저장 처리과정;
    입력된 검색 요청정보에 포함된 색인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상클립 중 상기 색인정보에 대응하는 영상클립을 추출하여 색인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색인 검색 제어과정;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대표 영상프레임을 결정하는 프레임 결정과정; 및
    상기 색인검색 결과정보 중 상기 대표 영상프레임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간격 정보 내에 존재하는 영상클립만을 추출하여 시간인자 검색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인자 검색 제어과정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30099849A 2013-08-22 2013-08-22 시간 기준을 이용한 영상 검색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85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849A KR102085036B1 (ko) 2013-08-22 2013-08-22 시간 기준을 이용한 영상 검색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849A KR102085036B1 (ko) 2013-08-22 2013-08-22 시간 기준을 이용한 영상 검색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250A true KR20150022250A (ko) 2015-03-04
KR102085036B1 KR102085036B1 (ko) 2020-03-05

Family

ID=5302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849A KR102085036B1 (ko) 2013-08-22 2013-08-22 시간 기준을 이용한 영상 검색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4525A (zh) * 2017-09-04 2018-02-16 优酷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视频搜索方法和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980Y1 (ko) * 2003-01-14 2003-04-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보안 시스템의 녹화 및 재생 장치
JP2007280043A (ja) * 2006-04-06 2007-10-25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監視検索システム
KR100777199B1 (ko) * 2006-12-14 2007-11-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객체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KR101074850B1 (ko) * 2010-08-09 2011-10-19 이정무 영상 검색 시스템
KR20120126953A (ko) * 2011-05-13 2012-11-21 한국과학기술원 강의 동영상과 강의노트 동기화를 통해 동영상 프레임을 슬라이드 주요 제목으로 색인하는 방법
KR101289085B1 (ko) * 2012-12-12 2013-07-30 오드컨셉 주식회사 객체 기반 영상 검색시스템 및 검색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980Y1 (ko) * 2003-01-14 2003-04-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보안 시스템의 녹화 및 재생 장치
JP2007280043A (ja) * 2006-04-06 2007-10-25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監視検索システム
KR100777199B1 (ko) * 2006-12-14 2007-11-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객체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KR101074850B1 (ko) * 2010-08-09 2011-10-19 이정무 영상 검색 시스템
KR20120126953A (ko) * 2011-05-13 2012-11-21 한국과학기술원 강의 동영상과 강의노트 동기화를 통해 동영상 프레임을 슬라이드 주요 제목으로 색인하는 방법
KR101289085B1 (ko) * 2012-12-12 2013-07-30 오드컨셉 주식회사 객체 기반 영상 검색시스템 및 검색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4525A (zh) * 2017-09-04 2018-02-16 优酷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视频搜索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036B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1083B2 (ja) 顔識別特徴量登録装置、顔識別特徴量登録方法、顔識別特徴量登録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2082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evidence video
US8494231B2 (en) Face recognition in video content
CN111046235B (zh) 基于人脸识别的声像档案搜索方法、系统、设备及介质
KR102206184B1 (ko) 동영상 내 객체 관련 정보 검색 방법 및 동영상 재생 장치
US20130148898A1 (en) Clustering objects detected in video
WO2016119368A1 (zh) 目标跟踪方法及装置
KR20160010338A (ko) 비디오 분석 방법
CN109871464B (zh) 一种基于ucl语义标引的视频推荐方法与装置
KR101734029B1 (ko) 이동형 촬영영상의 유사도 분석을 이용한 지능형 이동 감시시스템 및 그 감시방법
US1003746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14230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EP323636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561308B1 (ko) 교통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그러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JP2011244043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KR101212082B1 (ko) 영상인식장치 및 그 영상 감시방법
JP2010140425A (ja) 画像処理システム
WO2020018349A4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argeted media content
KR20150087034A (ko) 객체-콘텐츠 부가정보 상관관계를 이용한 객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US10902249B2 (en) Video monitoring
KR102096784B1 (ko) 영상의 유사도 분석을 이용한 위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876090B (zh) 视频摘要回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085036B1 (ko) 시간 기준을 이용한 영상 검색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04680143B (zh) 一种用于视频侦查的快速图像检索方法
KR102097768B1 (ko) 인접거리 기준을 이용한 영상 검색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