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084A - Cleaning Brush - Google Patents

Cleaning 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084A
KR20150022084A KR20130099390A KR20130099390A KR20150022084A KR 20150022084 A KR20150022084 A KR 20150022084A KR 20130099390 A KR20130099390 A KR 20130099390A KR 20130099390 A KR20130099390 A KR 20130099390A KR 20150022084 A KR20150022084 A KR 20150022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bristles
bag
auxilia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9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24927B1 (en
Inventor
김동하
이재윤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9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927B1/en
Publication of KR20150022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0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9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2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 A46B7/023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where the bristle carrier retracts or collapses, i.e. for storag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ush used for cleaning, which is allowed to easily remove various foreign materials such as dust and hairs tangled with bristles on the brush by brushing bristles and which accordingly maintains a constant cleaning state while being used. The brush comprises a brush with which bristles are tightly formed; a side rod which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brush; and an extra brush which is attached and separated on one end part of the side rod in a lengthwise direction and has extra bristles tightly formed on one side.

Description

청소용 솔{Cleaning Brush}Cleaning Brush

본 발명은 청소용 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러시의 강모 사이에 엉키거나 끼인 머리카락이나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을 빗질하듯이 손쉽게 제거 가능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청소용 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brush,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brush which can be easily removed as if the brush bristles are tangled or entangled with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will be.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베란다 바닥이나 욕실 및 화장실 바닥 등을 닦는데 주로 사용하는 청소용 솔은 대부분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뻣뻣한 가닥으로 이루어진 강모(21)가 달린 브러시(20)의 상면이나 측면에 손잡이 기능을 하는 자루(1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Generally, a cleaning brush, which is mainly used for cleaning a veranda floor, a bathroom, and a toilet floor of a multi-family hous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brush 20 with a bristle 21 made of a stiff strand, And a bag 10 functioning as a handle are integrally formed.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청소용 솔은 오랫동안 사용하다 보면 브러시의 강모(21) 사이에 머리카락이나 먼지 또는 오물찌꺼기 따위의 각종 이물질이 엉키고 끼여 상당히 비위생적이고 불결한 상태에 이를 수밖에 없고, 이렇게 되면 바닥을 문지르더라도 잘 닦이지 않는데다가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지 못하므로 청소할 때마다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별도의 도구로 일일이 이물질을 뽑아내어 제거해야 하는 등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such a conventional cleaning brush is used for a long time,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dust or dirt are entangled between the bristles 21 of the brush, and it is forced to be in an unsanitary and filthy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user has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 by finger or a separate tool every time the cleaning is don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9351호(2012.05.16)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39351 (2012.05.1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0467호(2006.04.17)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570467 (April 17, 200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2561호(2012.09.21)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62561 (2012.09.2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954호(2005.08.10)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91954 (2005.08.1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5007호(2001.10.17)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5007 (October 17, 2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9969호(2004.12.09)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69969 (December, 20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8719호(2005.03.18)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8719 (March 18, 2005)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브러시의 강모 사이에 엉키거나 끼이는 머리카락이나 먼지 또는 오물찌꺼기 등의 각종 이물질 또는 오염물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청소용 솔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has developed a cleaning brush capable of easily remov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or contaminants such as hair, dust, dirt, or the like entangled or caught between the bristles of the brush by focusing on the above matters and solving the problems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while studying the example.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브러시의 강모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용 솔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brush which can easily and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sandwiched between bristles of a brush.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강모가 촘촘하게 박힌 브러시와, 이 브러시의 측면에 달린 자루 및 이 자루의 길이 방향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에 보조모가 촘촘하게 박힌 보조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솔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ush comprising: a bristle having bristles embedded tightly; a bag attached to a side surface of the bristle; Wherein the cleaning brush comprises an auxiliary brush closely attached to the main brush.

이로써 브러시의 강모 사이에 엉키거나 끼인 머리카락이나 먼지 또는 오물찌꺼기 등의 각종 이물질은 보조브러시를 이용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dust, dirt or the like entangled or caught between the bristles of the brush using an auxiliary brush.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보조브러시의 몸체에는, 브러시의 강모를 가지런히 빗어 내리면서 그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정 너비와 간격으로 빗살을 다수 갖는 빗이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솔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brush body is provided with a comb capable of folding bristles of a brush in a uniform manner and having combs having a plurality of combs in a predetermined width and interval in ord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andwiched therebetween The cleaning brush is provided with a cleaning brush.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자루의 브러시와 반대쪽 방향 단부 양측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보조브러시의 단부 양측에 외력을 받을 시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결합홈과 대응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솔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ok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posite ends of the brushes opposite to the brushes, and hook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nds of the auxiliary brushes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brushes are received, Cleaning brush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브러시의 몸체는, 강모들의 간격을 벌릴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탄성체와, 이 탄성체를 자루와 연결 고정하는 지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솔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of the brush comprises an elastic body having an inner hollow formed therein so as to enlarge the gap between the bristles, and a support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elastic body with the ba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자루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보조브러시의 보조모는 자루와 보조브러시의 결합 상태 시 자루의 중공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청소용 솔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g is formed with a hollow interior, and the auxiliary brush of the auxiliary brush is inserted into the hollow interior of the bag when the bag and the auxiliary brush are engag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사용 과정에서 브러시의 강모 사이에 엉키거나 끼이는 머리카락이나 먼지 또는 오물찌꺼기 등의 각종 이물질은 보조브러시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청결한 사용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means and structure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in that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dust or dirt residue entangled or caught between bristles of a brush during use are easily and easi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as well as to provide a clean use environment.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청소용 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용 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용 솔을 일부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용 솔 중 보조브러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용 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leaning brush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eaning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eaning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ally removed.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brush of a cleaning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cleaning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are to be construed to mean concept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terpretations that are commonly or commonly understoo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r simplified to illustrate and explain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clarity,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coincide with the actual siz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용 솔은 크게 브러시(100), 자루(200) 및 보조브러시(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2 and 3, the cleaning brus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brush 100, a bag 200, and an auxiliary brush 300.

먼저, 브러시(100)의 하면에는 욕실 바닥 등을 북북 문질러 닦을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 등과 같은 뻣뻣한 가닥으로 이루어진 강모(110)가 촘촘하게 박혀 있다.First, a bristle 110 made of a stiff strand such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strength enough to scrub the bathroom floor or the like is tightly embed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rush 100.

즉, 브러시(100)는 그 몸체(120)의 하면 상에 다발 형태의 강모(110)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달려 있다.That is, the bristles 100 have bristles 110 in the form of bundles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1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여기서 몸체(1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강모(110)들의 간격을 벌릴 수 있도록 마치 고무공처럼 외력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탄성체(121)와, 이 탄성체(121)를 자루(200)와 연결 고정하는 지지체(122)로 이루어져 있다.Here, the body 120 includes an elastic body 121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elastically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force, such as a rubber hole, and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so as to spread the bristles 11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a supporting body 122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supporting frame 120 with the bag 200.

따라서 브러시(100)의 강모(110) 사이에 엉키거나 끼인 머리카락이나 먼지 또는 오물찌꺼기 등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때에는 손가락 등으로 탄성체(121)의 상면을 누르면 그 평평한 하면이 하방으로 볼록하게 튀어나듯이 변형되면서 강모(110)들이 각각 원래의 상태보다 몸체(120)의 외향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고, 이로 인해 강모(110)들의 간격이 서로 벌어진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remov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dirt, dust, or dirt trapped between the bristles 110 of the brush 100, if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ody 121 is pressed with a finger or the like, the flat lower surface protrudes downwardly convexly The bristles 110 are tilted obliquely outwardly of the body 120 as compared with the original state, so that the bristles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리고 브러시(100)의 측면에는 손잡이 기능을 하는 자루(200)가 달려 있다. The side of the brush (100) has a bag (200) functioning as a handle.

즉, 자루(200)는 마치 파이프나 관처럼 둘레가 둥글고 속이 중공으로 형성되어 브러시(100)의 몸체(120)와 고정되어 있다.That is, the bag 200 is rounded like a pipe or a tube, and hollow is hollow and fixed to the body 120 of the brush 100.

또한, 자루(200)의 길이 방향 중 브러시(100)의 몸체(120)가 고정되는 쪽과 반대쪽 단부 양측에는 보조브러시(30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홈(240)이 형성되어 있다.An engaging groove 2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g 200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body 120 of the brush 100 is fixed to detachably attach the auxiliary brush 300.

그리고 보조브러시(300)는 일측에 강모(110)와 같은 뻣뻣한 가닥으로 이루어진 보조모(310)가 촘촘하게 박혀 있고, 자루(200)의 길이 방향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The auxiliary brush 300 is close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hair 310 made of a stiff strand such as a bristle 110 and detachably attached to a longitudinal end of the bag 200.

또한, 보조브러시(300)의 보조모(310)는 자루(200)와 보조브러시(300)가 결합되면 자루(200)의 중공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auxiliary brush 310 of the auxiliary brush 300 is formed such that when the bag 200 and the auxiliary brush 300 are engaged, the bag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bag 200.

즉, 보조브러시(300)의 단부 양측에는 외력을 받을 시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자루(200)의 결합홈(240)과 대응 결합되는 후크(340)가 형성되어 있고, 이 후크(340)가 형성된 보조브러시(300)의 몸체(320) 단부는 자루(200)의 중공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hook 3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nd of the auxiliary brush 300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coupling groove 240 of the bag 200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is received. The end of the body 320 of the brush 300 is formed to be insertable into the hollow of the bag 200.

여기서 후크(340)는 그 잠금 상태를 원터치 방식으로 해제하기 위한 버튼(341)의 누름 조작에 따라 폭 또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한층 간편하고 수월하게 결합홈(240)에서 분리될 수 있다.Here, the hook 340 can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240 simply and easily by making the width or the position variable according to the de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341 for releasing the locked state in a one-touch manner.

따라서 브러시(100)의 강모(110) 사이에 머리카락이나 먼지 또는 오물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엉키거나 끼일 경우 보조브러시(300)를 자루(200)에서 간편하게 분리한 후 그 보조모(310)를 이용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foreign matter such as hair, dust, dirt or the like is entangled or caught between the bristles 110 of the brush 100, the auxiliary brush 30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bag 200, So that it can be easily removed.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브러시(300)의 몸체(320)에는 브러시(100)의 강모(110)를 가지런히 빗어 내리면서 그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정 너비와 간격으로 빗살을 다수 갖는 빗(330)이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4, the bristles 110 of the brush 100 are uniformly brushed together with the brush 320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spacing in ord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andwiched therebetween. A comb 330 having a plurality of combs is provided so as to be foldable.

즉, 보조브러시(300)의 몸체(320) 한쪽 면에는 빗(330)이 삽입 가능하도록 빗삽입홈(3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빗삽입홈(321)의 내측 테두리와 한쪽 단부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접철 가능하고, 다른 쪽 단부는 빗(330)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접철 가능한 덮개(331)가 구비되어 있다.That is, a comb insertion groove 3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320 of the auxiliary brush 300 so that a comb 330 can be inserted. The inner edge and one end of the comb insertion groove 321 are hinged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lid 331 which is connected to the comb 330 by a hinge joint so as to be foldable.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330)을 빗삽입홈(321)에 밀착되도록 덮개(331)와 함께 접은 상태에서는 자루(200)와 결합하여 청소용 솔로 사용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브러시(300)를 자루(200)에서 분리하여 덮개(331)를 열고 빗(330)을 펼친 상태에서는 브러시(100)의 강모(110) 사이에 엉키거나 끼이는 머리카락이나 먼지 또는 오물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빗질하여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e comb 330 is folded together with the lid 331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mb insertion groove 321, the comb 330 can be combined with the bag 200 and used as a cleaning brush. When the auxiliary brush 300 is separated from the bag 200 and the lid 331 is opened and the comb 330 is opened, the bristles 110 of the brush 100 are tangled or caught between the bristles 110 It can be used for removing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dirt residue by combing.

그뿐만 아니라 보조브러시(300)의 보조모(310)는 베란다 구석이나 욕실 및 화장실 구석 등의 브러시(100)의 강모(110)로 닦기 어려운 부분을 닦는데 유용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hair 310 of the auxiliary brush 300 may be useful and effectively used for wiping a part difficult to wipe with the bristles 110 of the brush 100 such as a veranda corner, a bathroom, and a toilet corner.

즉, 하나의 물품으로 두 가지 물품 기능을 겸용하여 동시에 사용 및 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 및 활용성을 극대화하며, 그에 따른 경제성을 제고하는 등 사용상의 편익을 도모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two products can be used and extinguished at the same time by using one produc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functionality and usability, and to improve the economical efficiency thereof.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용 솔은 브러시(100)로 공동주택의 베란다 바닥이나 욕실 및 화장실 바닥 등을 빡빡 문질러 닦을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브러시(100)의 강모(110) 사이에 엉키거나 끼이는 머리카락이나 먼지 또는 오물찌꺼기 등의 각종 이물질은 보조브러시(300)의 보조모(310)나 빗(330)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The cleaning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brush 100 to rub the bottom of a veranda of a multi-family house, bathroom, toilet floor, etc.,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tangled or stained hair, dust or dirt can be removed easily and easily by using the auxiliary hair 310 or the comb 330 of the auxiliary brush 300.

또한, 손가락 등으로 강모(110)를 고정하는 탄성체(121)의 상면을 가압하여 누르면 반작용에 의해 그 하면이 하방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브러시(100)의 강모(110)들이 각각 외향으로 기울어지고, 이로 인해 브러시(100)의 강모(110)들의 간격이 서로 벌어진 상태를 이루게 되기 때문에 브러시(100)의 강모(110) 사이에 엉키거나 끼인 이물질을 한층 신속하고 수월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ody 121 fixing the bristles 110 is pressed by a finger or the like, the bristles 110 of the brush 100 are deformed into a shape protruding downward by the reaction, So that the bristles 110 of the brush 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quickly and easily remove foreign matter entangled or caught between the bristles 110 of the brush 100 do.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r constructions. Variou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브러시 110: 강모
120: 몸체 121: 탄성체
122: 지지체 200: 자루
240: 결합홈 300: 보조브러시
310: 보조모 320: 몸체
330: 빗 340: 후크
100: Brush 110: bristles
120: body 121: elastic body
122: support 200: sack
240: coupling groove 300: auxiliary brush
310: Auxiliary body 320: Body
330: comb 340: hook

Claims (5)

강모(110)가 촘촘하게 박힌 브러시(100);
상기 브러시(100)의 측면에 달린 자루(200); 및
상기 자루(200)의 길이 방향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에 보조모(310)가 촘촘하게 박힌 보조브러시(300);
를 포함하는 청소용 솔.
A brush (100) in which bristles (110) are tightly embedded;
A bag 200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rush 100; And
An auxiliary brush 300 detachably attached to a longitudinal end of the bag 200 and closely flanking the auxiliary fins 310 at one side thereof;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러시(300)의 몸체(320)에는, 상기 브러시(100)의 강모(110)를 가지런히 빗어 내리면서 그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정 너비와 간격으로 빗살을 다수 갖는 빗(330)이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 청소용 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mb 330 having a plurality of combs in a predetermined width and interval is provided on the body 320 of the auxiliary brush 300 in order to uniformly brush bristles 110 of the brush 100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sandwiched therebetween. ) Of the cleaning brush.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200)의 상기 브러시(100)와 반대쪽 방향 단부 양측에 결합홈(240)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브러시(300)의 단부 양측에 외력을 받을 시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결합홈(240)과 대응 결합되는 후크(340)가 형성된 청소용 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coupling groove 2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nd of the bag 200 opposite to the brush 100. The coupling groove 240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auxiliary brush 300, And the hooks (340) are coupled in a corresponding mann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100)의 몸체(120)는, 상기 강모(110)들의 간격을 벌릴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탄성체(121)와, 상기 탄성체(121)를 상기 자루(200)와 연결 고정하는 지지체(122)로 이루어진 청소용 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ody 120 of the brush 100 includes an elastic body 121 having an inner hollow formed therein so as to enlarge the gap between the bristles 110 and a support body 121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elastic body 121 to the bag 200. [ (1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20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브러시(300)의 보조모(310)는 상기 자루(200)와 상기 보조브러시(300)의 결합 상태 시 상기 자루(200)의 중공 내부로 삽입되는 청소용 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uxiliary brush 310 is formed in the hollow of the bag 200 so that when the bag 200 and the auxiliary brush 30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
KR1020130099390A 2013-08-22 2013-08-22 Cleaning Brush KR1015249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390A KR101524927B1 (en) 2013-08-22 2013-08-22 Cleaning 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390A KR101524927B1 (en) 2013-08-22 2013-08-22 Cleaning 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084A true KR20150022084A (en) 2015-03-04
KR101524927B1 KR101524927B1 (en) 2015-06-01

Family

ID=5302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390A KR101524927B1 (en) 2013-08-22 2013-08-22 Cleaning 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92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662A (en) 2018-12-28 2020-07-08 노규빈 That can put a brush to clean up
CN114468524A (en) * 2020-10-26 2022-05-13 爱飞司可丽雅国际贸易有限公司 Cosmetic brush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2537U (en) * 1983-02-25 1984-09-05 鶴田 清子 Brush with cleaning tool
FR2725348B1 (en) * 1994-10-07 1997-01-24 Celluloid Soc Nouv COMB AND BRUSH COMPRISING SUCH A COMB
JP2010264211A (en) * 2009-05-15 2010-11-25 Masahiko Uemura Toothbrush with brush cleaning tool
KR200456687Y1 (en) * 2009-12-18 2011-11-16 김유진 Broomsti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662A (en) 2018-12-28 2020-07-08 노규빈 That can put a brush to clean up
CN114468524A (en) * 2020-10-26 2022-05-13 爱飞司可丽雅国际贸易有限公司 Cosmetic 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927B1 (en)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430B1 (en) Cleaning tool
JP2014505563A (en) Mouth or tooth cleaning appliance
US20030019065A1 (en) Cleaning attachment for converting a cleaning implement to a mop
US20180368363A1 (en) Self-cleaning pet grooming scrub brush
KR101524927B1 (en) Cleaning Brush
US20130284201A1 (en) Multi-Purpose Self-Cleaning Brush
JP4438783B2 (en) Cleaning tool
CN203564186U (en) Multifunctional plastic broom
KR200466368Y1 (en) Sash for cleaning brushes
KR200484576Y1 (en) Toothbrush
JP2010110599A (en) Wiper with handle having wholly flexible head
JP2007014746A (en) Cleaning brush
JP3870849B2 (en) Cleaning tool
KR200489458Y1 (en) A protruding scrubber
AU2015101062A4 (en) Multi-functional floor mop brush
KR100974376B1 (en) Toothbrush with cup
JP2005103196A (en) Mop base
JP3158515U (en) Cleaning tool
KR20190091418A (en) Cleaning tool
TWM563854U (en) Scraping device structure of cleaning appliance
EP1419726B1 (en) Cleaning attachment for converting a cleaning implement to a mop
JP3140187U (en) Cleaning tool
JP6276953B2 (en) Toilet cleaner
KR102246694B1 (en) Cleaning tool
KR200456687Y1 (en) Broomsti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