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435A -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트롤리 바 - Google Patents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트롤리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435A
KR20150021435A KR20140023093A KR20140023093A KR20150021435A KR 20150021435 A KR20150021435 A KR 20150021435A KR 20140023093 A KR20140023093 A KR 20140023093A KR 20140023093 A KR20140023093 A KR 20140023093A KR 20150021435 A KR20150021435 A KR 20150021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bar
connector
trolley
bodie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운
Original Assignee
김종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운 filed Critical 김종운
Priority to KR20140023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1435A/ko
Publication of KR20150021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트롤리 바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간단한 결합구를 가진 커넥터로 연결과 취급이 용이하고 그리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트롤리 바에 관한 것이다.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전도 원형 바(111a. 111b), 상기 전도 원형 바(111a. 111b)를 연결하고 제1 개방 홈(113)이 형성된 연결 부재(112)로 이루어진 제1 트롤리 바(11); 한 쌍의 전도 원형 바(121a, 121b) 및 제2 개방 홈(123)이 형성된 연결 부재(122)로 이루어지고 한 쪽 끝에 결합 홀(124)이 형성된 제2 트롤리 바(12);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몸체(131a, 131b); 상기 몸체(131a, 131b) 각각으로부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결합 날개(132a, 132b, 133a, 133b); 및 몸체(131a, 131b)에 형성된 체결 홀(134a, 134b)로 이루어진 커넥터(1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트롤리 바{Trolley Bar Coupled by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트롤리 바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간단한 결합구를 가진 커넥터에 의해 연결과 취급이 용이하고 그리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트롤리 바에 관한 것이다.
트롤리 바는 각종 크레인, 호이스트 또는 스태커 크레인과 같은 장치의 이송 대차의 이동 경로에 설치되어 주행, 횡행 및 크레인 설치 과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전기 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한 바 형태의 도선을 말하고 막대 전선 또는 급전선으로 불린다. 일반적으로 트롤리 바는 10 내지 1000 A의 높은 전류가 흐르고 전도성 소재로 막대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트롤리 바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7-0053173호 ‘이송대차용 트롤리 바’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하나의 트롤리 바에 다선의 전력선을 통해 전력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트롤리 바의 전체적 크기 및 설치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트롤리 바 내부에 다수의 동도체가 인입되기 위한 다수 개의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개구가 되는 하단 내측으로 고무재의 커버체가 결합되기 위한 커버 결합체부가 대향 구비되어 집전기를 통해 이송 대차 등으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바에서 트롤리 바가 하단 양 내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커버체 결합부로 결합 홈을 형성하고, 결합부가 일체로 되는 커버체가 대향되며 상기 결합 홈에 삽입 체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이송대차용 트롤리 바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트롤리 바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643020호 ‘트롤리 바의 결합구’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를 가지고 연결 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복수의 트롤리 바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구에 있어서, 상기 각 트롤리 바의 연결 단부에 덧대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각 결합공에 끼워지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 돌기에는 변위 유도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공에 상기 결합 돌기의 삽입 시, 상기 변위 유도 홈에 의하여 상기 결합 돌기가 압축 변형됨으로서 상기 결합공에 억지 끼워지고, 상기 각 트롤리 바를 감싸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응하는 제1 대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보호 커버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각 트롤리 바의 연결 단부에서 상호 이격 배열되고, 상기 각 보호 커버의 인접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결합구를 덮는 조인트 커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조인트 커버는 상기 결합구를 덮는 보호체와, 상기 보호체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각 지지체 단부 부분이 수용되는 가압 지지체와, 상기 가압 지지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대응 가이드부에 상응하는 제2 대응 가이드부와, 상기 보호체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 지지체의 단부와 맞닿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결합구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제시된 선행기술에서 트롤리 바를 연결하는 결합구는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하여 설치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그와 같이 결합된 트롤리 바는 연결 부위의 전류 흐름의 안전성이 보장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은 가진다.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643020호 트롤리 바의 결합구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어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설치가 간단한 트롤리 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전도 원형 바, 상기 전도 원형 바를 연결하고 제1 개방 홈이 형성된 연결 부재로 이루어진 제1 트롤리 바; 한 쌍의 전도 원형 바 및 제2 개방 홈이 형성된 연결 부재로 이루어지고 한 쪽 끝에 결합 홀이 형성된 제2 트롤리 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몸체; 상기 몸체 각각으로부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결합 날개; 및 몸체에 형성된 체결 홀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커넥터의 한쪽에 연결되고 한쪽 끝에 제1 개방 홈이 형성된 제1 트롤리 바; 커넥터의 다른 쪽에 연결되고 한쪽 끝에 제1 개방 홈에 연결되는 제2 개방 홈 및 결합 홀이 형성된 제2 트롤리 바; 및 한 쌍의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결합 날개 및 몸체에 형성된 체결 홀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홀 중 하나는 결합 홀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결합 날개는 제1 트롤리 바 및 제2 트롤리 바의 전도 원형 바의 외부 면에 접촉이 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는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그리고 연결에 따른 접촉 저항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안전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의 커넥터는 독립적으로 제조되어 트롤리 바의 설치 이전에 예비적으로 결합되어 설치 과정에서 견고하게 결합이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설치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의 커넥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와 커넥터가 연결된 상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에 보호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롤리 바(10)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전도 원형 바(111a. 111b), 전도 원형 바(111a. 111b)를 연결하고 제1 개방 홈(113)이 형성된 연결 부재(112)로 이루어진 제1 트롤리 바(11); 한 쌍의 전도 원형 바(121a, 121b) 및 제2 개방 홈(123)이 형성된 연결 부재(122)로 이루어지고 한 쪽 끝에 결합 홀(124)이 형성된 제2 트롤리 바(12);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몸체(131a, 131b); 상기 몸체(131a, 131b) 각각으로부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결합 날개(132a, 132b, 133a, 133b); 및 몸체(131a, 131b)에 형성된 체결 홀(134a, 134b)로 이루어진 커넥터(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트롤리 바는 크레인, 호이스트 또는 스태커 크레인과 같은 장치의 이송 대차의 이동 경로에 설치되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또는 막대 전선을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막대 형상 또는 판 형상으로 연장되어 전력 공급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전선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롤리 바(10)는 제1 트롤리 바(11)와 제2 트롤리 바(12) 2개의 서로 다른 트롤리 바를 커넥터(13)에 의해 연결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트롤리 바(11)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전도 원형 바(111a, 111b), 한 쌍의 전도 원형 바(111a, 111b)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12), 연결 부재(112)의 한쪽 끝에 형성되는 제1 개방 홈(1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전도 원형 바(111a, 111b)를 양 옆에 두고 가운데 부분이 연결 부재(112)로 연결된 형상이며 연결 부재(112)의 한쪽 끝에 형성된 제1 개방 홈(113)은 한 쌍의 전도 원형 바(111a, 111b)의 커넥터(13)와 연결되는 한쪽 끝에서부터 홈이 시작된다.
제2 트롤리 바(12)는 제1 트롤리 바(11)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전도 원형 바(121a, 121b)를 연결 부재(122)로 연결하고 연결 부재(122)의 한쪽 끝에 제2 개방 홈(123)이 형성되어 있지만 제1 트롤리 바(11)와 달리 제2 개방 홈(123)과 이격되어 결합 홀(12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홀(124)은 2개의 트롤리 바(11, 12)를 커넥터(13)로 연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제1 개방 홈(113)이 제2 개방 홈(123)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제1 트롤리 바(11)와 제2 트롤리 바(12)가 서로 연결이 되면 제1 개방 홈(113)과 제2 개방 홈(123)은 서로 연결이 되어 폐쇄된 연장 홀의 형상이 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트롤리 바(11)의 한쪽 끝 그리고 제2 트롤리 바(12)의 한쪽 끝으로 제시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제2 트롤리 바(12)의 한쪽 끝은 제1 트롤리 바(11)의 다른 끝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제1 트롤리 바(11)의 한쪽 끝과 제2 트롤리 바(12)의 한쪽 끝은 하나의 트롤리 바의 양쪽 끝이 될 수 있다.
커넥터(13)는 2개의 트롤리 바(11, 12)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13)는 한 쌍의 몸체(131a, 131b), 몸체에 경사지도록 결합된 결합 날개(132a, 132b, 133a, 133b), 몸체(131a, 131b)에 형성된 체결 홀(134a, 134b) 및 체결 홀(134a, 134b)에 결합되는 볼트와 같은 고정 수단(136a, 136b)으로 이루어져 있다.
커넥터(13)의 몸체(131a, 131b)는 판 형상을 가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면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몸체(131a, 131b)의 연장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연결되는 트롤리 바의 전체 길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몸체(131a, 131b)의 폭은 연결되는 트롤리 바의 구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몸체(131a, 131b)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결합 날개(132a, 132b, 133a, 133b)가 연장될 수 있다. 결합 날개(132a, 132b, 133a, 133b)는 몸체(131a, 131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131a, 131b)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위쪽 방향으로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몸체(131a, 131b)에 체결 홀(134a, 134b)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 홀(134a, 134b)은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1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2개의 체결 홀(134a, 134b)이 형성된 실시 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체결 홀(134a, 134b)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체결 홀(134a, 134b)에 볼트와 같은 고정 수단(136a, 136b)이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13)는 트롤리 바의 연결을 위한 것이므로 커넥터(13)의 끝 부분은 트롤리 바(11, 12)의 구조에 적합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제1 트롤리 바(11)는 몸체(131a, 131b)의 한쪽 끝에 삽입이 되고 그리고 제2 트롤리 바(12)는 몸체(131a, 131b)의 다른 끝에 삽입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체결 홀(134a)은 제1 고정 수단(135a)에 의하여 제1 개방 홈(113)과 제2 개방 홈(123)이 형성하는 연장 홀에 결합되고 그리고 다른 하나의 체결 홀(134b)은 제2 고정 수단(135b)에 의하여 결합 홀(124)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홀(124)이 제2 개방 홈(123)과 분리되도록 형성한 것은 조립의 편리성을 위한 것이다. 2개의 트롤리 바(11, 12)의 결합 과정에서 제2 체결 홀(134b)과 결합 홀(124)에 제2 고정 수단(135b)이 먼저 결합이 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커넥터(13)와 제2 트롤리 바(12)가 체결 홀(134b)과 결합 홀(124)에 의하여 임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제1 트롤리 바(11)를 몸체(131a, 131b)에 삽입시키고 그리고 제1 고정 수단(135a)을 이용하여 제1 체결 홀(134b) 및 제1 개방 홈(113)과 제2 개방 홈(123)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장 홀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개방 홈(113)과 제2 개방 홈(123)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한 것은 결합의 용이성을 위한 것이다. 달리 말하면 제1 트롤리 바(11)를 커넥터(13)에 연결시키고 제1 고정 수단(135a)에 의하여 체결하는 경우 만약 제1 트롤리 바(11)에 제1 체결 홀(134a)에 대응되는 정확한 홀이 형성되어 있다면 제1 고정 수단(135a)에 의한 체결이 어려워진다. 이에 비하여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연장 홀이 형성되면 체결이 간단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개방 홈(113)과 제2 개방 홈(123)의 연결 그리고 분리된 위치의 결합 홀(124)은 조립 및 시공이 간단해지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트롤리 바의 설치 작업은 높은 장소에서 이루어지고 그리고 복잡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한 장소에서 제2 트롤리 바(12)의 한쪽 끝에 커넥터(13)가 연결되고 고정 수단(135b)에 의하여 임시적으로 조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트롤리 바(11)가 설치된 장소에 제2 트롤리 바(12)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의 커넥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진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진다. 그러므로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는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커넥터(13)는 2개의 서로 다른 트롤리 바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롤리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3)는 서로 다른 트롤리 바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는 임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체결 부재 또는 이음 부재와 같은 것을 포함한다.
한 쌍의 몸체(131a, 131b)는 이격 부재(211)에 의하여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격 부재(211)는 몸체(11a, 11b)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몸체(131a, 131b)에 연결된 결합 날개(132a, 132b, 133a, 133b)는 몸체(131a, 131b)가 평면 형상이 되는 것과 달리 곡면 형상이 될 수 있다. 결합 날개(12a, 12b)가 곡면 형상이 되는 것은 트롤리 바의 전도 원형 바(111a, 111b, 121a, 121b)와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몸체(131a, 131b)에 형성된 체결 홀(134a, 134b)의 위쪽 부분 또는 아래쪽 부분은 고정 수단(136a, 136b)의 위쪽 부분 또는 아래쪽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홀(134a, 134b)의 위쪽 부분은 나팔 관 형상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체결 홀(134a, 134b)의 형상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2a 및 도 2b에 제시된 커넥터(13)에서 결합 날개(132a, 132b, 133a, 133b)의 형상, 이격 부재(211)의 형상 또는 수, 체결 홀(134a, 134b)의 구조 또는 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와 커넥터가 연결된 상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커넥터(13)는 제1 트롤리 바(11) 및 제2 트롤리 바(12)의 내부에 삽입된 구조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제1 트롤리 바(11)와 제2 트롤리 바(12)는 전류의 흐름이 안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그리고 위험한 장소에서의 설치 작업 시 조립 및 시공을 간단하도록 하여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1 트롤리 바(11)의 다른 끝 및 제2 트롤리 바(12)의 다른 끝은 각각 제2 트롤리 바(11)의 한쪽 끝 및 제1 트롤리 바(12)의 한쪽 끝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트롤리 바에 보호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에 보호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트롤리 바(11) 및 제2 트롤리 바(12)에 각각 절연체로 이루어진 보호 커버(31b)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트롤리 바(11)와 제2 트롤리 바(12)의 연결 부분에 연결 보호 커버(31a)가 결합될 수 있다. 보호 커버(31a, 31b)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보호 커버(31b)와 연결 보호 커버(31a)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트롤리 바는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그리고 연결에 따른 접촉 저항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안전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트롤리 바를 연결하는 커넥터는 독립적으로 제조되어 트롤리 바의 설치 이전에 예비적으로 결합되어 설치 과정에서 견고하게 결합이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설치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트롤리 바 11: 제1 트롤리 바
12: 제2 트롤리 바 13: 커넥터
31a, 31b: 보호 커버
111a, 111b: 전도 원형 바 112: 연결 부재
113: 제1 개방 홈 121a, 121b: 전도 원형 바
122: 연결 부재 123: 제2 개방 홈
124: 결합 홀 131a, 131b: 몸체
132a, 132b, 133a, 133b: 결합 날개 134a, 134b: 체결 홀
135a, 135b: 고정 수단 211: 이격 부재

Claims (2)

  1.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전도 원형 바(111a. 111b), 상기 전도 원형 바(111a. 111b)를 연결하고 제1 개방 홈(113)이 형성된 연결 부재(112)로 이루어진 제1 트롤리 바(11);
    한 쌍의 전도 원형 바(121a, 121b) 및 제2 개방 홈(123)이 형성된 연결 부재(122)로 이루어지고 한 쪽 끝에 결합 홀(124)이 형성된 제2 트롤리 바(12);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몸체(131a, 131b);
    상기 몸체(131a, 131b) 각각으로부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결합 날개(132a, 132b, 133a, 133b); 및
    몸체(131a, 131b)에 형성된 체결 홀(134a, 134b)로 이루어진 커넥터(13)를 포함하는 트롤리 바.
  2. 커넥터(13)의 한쪽에 연결되고 한쪽 끝에 제1 개방 홈(213)이 형성된 제1 트롤리 바(21);
    커넥터(13)의 다른 쪽에 연결되고 한쪽 끝에 제1 개방 홈(113)에 연결되는 제2 개방 홈(123) 및 결합 홀(124)이 형성된 제2 트롤리 바(12); 및
    한 쌍의 몸체(131a, 131b), 상기 몸체(131a, 131b)로부터 연장되는 결합 날개(132a, 132b, 133a, 133b) 및 몸체(131a, 131b)에 형성된 체결 홀(134a, 134b)로 이루어진 커넥터(13)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홀(134a, 134b) 중 하나는 결합 홀(124)과 연결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바.
KR20140023093A 2014-02-27 2014-02-27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트롤리 바 KR20150021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3093A KR20150021435A (ko) 2014-02-27 2014-02-27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트롤리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3093A KR20150021435A (ko) 2014-02-27 2014-02-27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트롤리 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943 Division 2013-08-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148A Division KR101987520B1 (ko) 2015-11-27 2015-11-27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트롤리 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435A true KR20150021435A (ko) 2015-03-02

Family

ID=53019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3093A KR20150021435A (ko) 2014-02-27 2014-02-27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트롤리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14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870U (ko) 케이블 받침대
EP2452400B1 (en) Clamp for electrical connections
US9009923B2 (en) Cushion sleeve
KR101681150B1 (ko) 방호관
KR101987520B1 (ko)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트롤리 바
CN207459659U (zh) 支撑装置
KR200491327Y1 (ko) 연장형 인류클램프 절연커버(폴리머현수애자용)
CN105699713A (zh) 多功能可伸缩式电力高空测试钳及其使用方法
KR102343722B1 (ko) 철탑 금구
KR20150021435A (ko)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트롤리 바
KR101597610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20160034276A (ko) 트롤리 바의 커넥터 및 그에 의하여 연결된 트롤리 바
KR20180108527A (ko) 트롤리 바의 커넥터 및 그에 의하여 연결된 트롤리 바
KR101026855B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20150052823A (ko) 트롤리 바의 커넥터 및 그에 의하여 연결된 트롤리 바
KR20150071696A (ko) 철근 접지 결속장치
CN203747053U (zh) 一种电表导线连接装置
KR20140127668A (ko) 트롤리 바의 커넥터 및 그에 의하여 연결된 트롤리 바
US9882359B2 (en) Temporary transfer bus
KR20150033539A (ko) 전차선 시스템의 버스바 부재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CN107425495A (zh) 支撑装置
CN205863425U (zh) 一种可调节方向的接地线
US2979555A (en) Electrical mid-span spacer connector
CN205609778U (zh) 大线径双分裂c型线夹接地线挂设装置
KR20160085458A (ko)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