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886A -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직관형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직관형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886A
KR20150020886A KR20130097945A KR20130097945A KR20150020886A KR 20150020886 A KR20150020886 A KR 20150020886A KR 20130097945 A KR20130097945 A KR 20130097945A KR 20130097945 A KR20130097945 A KR 20130097945A KR 20150020886 A KR20150020886 A KR 20150020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d lamp
fixture
exten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7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582B1 (ko
Inventor
윤철구
Original Assignee
미미라이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미라이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미라이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7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5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20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10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직관형 조명장치(100)의 고정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체결된 직관형 LED램프(120)의 쳐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를 고정시키는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하부에 체결되는 지지부(131); 상기 지지부(131)의 양측에서 각각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각각의 하부가 외향절곡된 연장부(133); 및 각 연장부(133)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의 방열프레임(123)의 양측에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형성된 끼움홈(124)에 측방향으로 삽입되는 끼움편(134);을 포함하는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직관형 조명장치{Fixing Device For Straight Type LED Lamp And, Straight Type LE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직관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관형 조명장치의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직관형 조명장치에 체결된 직관형 LED램프의 쳐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직관형 LED램프를 지지하면서 고정시키는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직관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하는 종래의 직관형 조명장치(10)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직관형 조명장치(1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설치장소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과, 상기 고정프레임(11)의 양측에 장착된 소켓(15)에 양단의 접속단자가 끼움결합되며 상부에는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방열프레임(13)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조명광을 투과시키는 투광판(14)이 배치된 직관형 LED램프(12)로 구성되었다.
여기서, 상기 방열프레임(13)은 직관형 LED램프(12)의 내부에서 발광구동하는 LED광원으로부터 전달되는 발열을 외부로 방출시켜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으로서, 직관형 LED램프(12)에 장착될 수 있도록 인발(Drawing) 가공되어 가늘고 긴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방열프레임(13)의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발 가공에 따른 가늘고 긴 형상 및 자중에 의해 직관형 조명장치(10)에 설치된 이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중앙부가 휘어지면서 하부방향으로 쳐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방열프레임(13)이 하향 절곡됨에 따라 외관이 불량해짐은 물론, 심한 경우 고정프레임(11)의 소켓(15)에 삽입된 접속단자가 이탈되면서 의도하지 않게 고정프레임(11)으로부터 직관형 LED램프(12)가 분리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투광판(14)의 경우 LED광원의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광확산투과용 재료인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아크릴(Acrylic) 등의 유기물 재질로 구성되는데, 상기 유기물 재질은 표면저항이 높아 정전기가 쉽게 발생하게 되며, 상기 정전기로 인해 상기 광확산판을 포함한 직관형 LED램프(12)의 표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LED모듈의 경우에는, 구동하여 고휘도의 광을 발산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발열로 인해 투광판(14)의 표면은 보다 건조해지며 이로 인해 상기 정전기의 발생은 더욱 심화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조명장치의 경우 천장과 같이 실내외의 높은 곳에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정전기로 인해 투광판(14)의 표면에 흡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인위적으로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투광판(14)의 표면에 이물질이 마찰되어 발생하는 흠집이 인해 광도가 저하되어 광효율이 더욱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12044호(2011.12.30, 직관형 LED 램프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직관형 조명장치의 고정프레임에 체결된 상태에서 직관형 LED램프의 방열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직관형 LED램프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직관형 LED램프의 쳐짐이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직관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직관형 조명장치(100)의 고정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체결된 직관형 LED램프(120)의 쳐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를 고정시키는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하부에 체결되는 지지부(131); 상기 지지부(131)의 양측에서 각각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각각의 하부가 외향절곡된 연장부(133); 및 각 연장부(133)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의 방열프레임(123)의 양측에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형성된 끼움홈(124)에 측방향으로 삽입되는 끼움편(134);을 포함하는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설치장소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0);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양측에 장착된 소켓(112)에 양단이 끼움결합되되, 상부에는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방열프레임(123)이 배치되며, 상기 방열프레임(123)의 양측에는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끼움홈(124)이 형성된 직관형 LED램프(120); 및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하부에 체결되는 지지부(131)와, 상기 지지부(131)의 양측에서 각각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각각의 하부가 외향절곡된 연장부(133) 및, 각 연장부(133)의 하단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24)에 각각 삽입되는 끼움편(134)을 포함하는 고정구(130);를 포함하는 직관형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구(130)는, 상기 지지부(13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며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볼트홈(137)이 개구되어 형성된 슬라이딩블록(136) 및, 상기 지지부(131)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132)과 상기 볼트홈(137)에 연속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131)와 슬라이딩블록(136)을 상하로 체결시키는 체결볼트(135)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블록(136)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블록이동홈(115)이 형성되고, 하부판(116)에는 상기 블록이동홈(115)과 연통되어 상기 체결볼트(135)의 몸체부(135a)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볼트이동홈(11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130)는, 상기 슬라이딩블록(136)이 블록이동홈(115)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끼움편(134)이 끼움홈(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되며, 상기 체결볼트(135)의 회전결합에 의해 조절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의 투광판(125)의 외부면에 도포된 형태로 배치되어 표면저항을 감소시키는 코팅부(1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방열프레임(123), 고정프레임(110) 및, 고정구(130)는, 각각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일측은 접지(Ground)되도록 회로구성되며, 상기 체결볼트(135)는, 상기 고정구(130)의 지지부(131)와 고정프레임(110)의 하부판(116)을 연속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의 투광판(125) 및 방열프레임(123)에 형성된 정전기의 전하가 상기 코팅부(140)의 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방열프레임(123), 고정구(130) 및 체결볼트(135)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의해 접지접속되어 방전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고정구가 직관형 조명장치의 고정프레임에 체결된 상태에서 직관형 LED램프의 방열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직관형 LED램프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직관형 LED램프의 가늘고 긴 형상 및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상기 고정구의 상부에 슬라이딩블록을 체결하고,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블록이동홈에 슬라이딩블록를 삽입하고 슬라이딩 이동시킴에 따라 직관형 LED램프를 지지하는 고정구의 체결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슬라이딩블록이 블록이동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블록과 고정구를 상하로 체결시키는 체결볼트를 회전결합시킴에 따라 슬라이딩블록과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프레임의 하부판을 가압할 수 있어 상기 고정구를 조절된 위치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넷째, 상기 블록이동홈의 일단에는 상기 슬라이딩블록이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블록삽입공이 형성되어, 슬라이딩블록과 고정구를 체결볼트에 의해 가체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블록삽입공을 통해 슬라이딩블록을 블록이동홈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체결공정이 간소해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직관형 LED램프의 투광판에 도포된 형태로 배치되어 표면저항을 감소시키는 코팅부에 의해, 직관형 LED램프의 투광판 및 방열프레임에 형성된 정전기의 전하기 코팅부의 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고정프레임에 의해 접지접속되어 방전될 수 있으므로 직관형 LED램프 및 고정구의 표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직관형 조명장치의 구성 및 방열프레임의 쳐짐 현상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조명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가 직관형 LED램프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LED램프가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에 의해 고정프레임에 지지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단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 상에서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의 체결된 위치가 조절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 상에서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가 조절된 체결위치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팅부에 의해 투광판에 형성된 정전기의 전하가 접지접속되면서 방전되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130) 및 이를 포함하는 직관형 조명장치(100)는, 고정프레임(1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직관형 LED램프(120)의 방열프레임(123)의 양측에 형성된 끼움홈(124)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직관형 LED램프(120)의 쳐짐이 방지되도록 고정시키는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10)과, 직관형 LED램프(120) 및 고정구(1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설치장소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수단으로서, 내부에는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직관형 LED램프(120)를 발광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원 형태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SMPS, 미도시)가 장착되며, 하부판(116)에는 직관형 LED램프(120)의 양단에 배치된 접속단자(127)가 삽입되기 위한 소켓(112)이 양측단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장소는 천장 및 벽면 등과 같이 직관형 조명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는, 고정프레임(110)의 양측단에 배치된 소켓(112)에 양단이 끼움결합되어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발광구동하는 발광수단으로서, 상부에는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형성된 방열프레임(123)이 배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방열프레임(123)에 양측이 끼움결합되어 LED로부터 발광하는 조명광을 외부로 투과하기 위한 투광판(125)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프레임(123)의 폭방향(W, 도 3 참고)의 양측에는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끼움홈(124)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24)은 후술되는 블록이동홈(115)과 함께 상기 고정구(130)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구(130)는, 고정프레임(110)과 직관형 LED램프(120) 사이에 배치되며, 고정프레임(110)의 하부판(116)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의 방열프레임(123)에 끼움결합되어 방열프레임(123)의 가늘고 긴 형상 및 자중에 의해 중앙부가 휘어지면서 하부방향으로 쳐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1)와, 연장부(133) 및 끼움편(134)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31)는, 고정프레임(110)의 후부에 체결되어 고정구(13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중앙에는 체결볼트(135)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하부판(116)에 체결되기 위한 삽입공(132)이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33)는, 지지부(13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각각의 하부가 외향절곡된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부(131)로부터 연장형성되면서 절곡된 부위 또는 외측방향으로 외향절곡된 부위가 갖는 강성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향하는 탄성력을 갖게 된다.
상기 끼움편(134)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관형 LED램프(120)의 끼움홈(124)에 삽입되어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의 하중을 고정구(130)가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각 연장부(133)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의 방열프레임(123)의 폭방향(W) 양측에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형성된 두 끼움홈(124)에 각각 삽입된다.
이러한 고정구(1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130)를 지지부(131)에 형성된 삽입공(132)과 고정프레임(110)에 형성된 체결공(111)이 상호 연통하도록 배치시킨 상태에서 헤드부(135a)와 몸체부(135b)로 이루어진 체결볼트(135)의 몸체부(135b)를 연통되도록 정렬배치된 삽입공(132)과 체결공(111)에 연속 관통삽입하여 체결볼트(135)의 헤드부(135a)에 의해 고정프레임(110)의 하부판(116)과 지지부(131)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구(130)를 고정프레임(110)에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체결볼트(135)에 의해 고정구(130)를 고정프레임(110)에 체결시킨 상태에서, 고정구(130)의 두 연장부(133) 사이를 벌려 각 연장부(133) 사이에 직관형 LED램프(120)의 방열프레임(123)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장부(133)를 벌리는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연장부(133)가 갖는 탄성력에 의해 끼움편(134)이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끼움홈(124)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프레임(110)에 체결된 고정구(130)에 의해 직관형 LED램프(120)의 하중이 지지되므로 직관형 LED램프(120)의 가늘고 긴 형상 및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2개의 고정구(130)가 직관형 LED램프(120)의 연장된 길이방향(L) 상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체결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직관형 LED램프(120)의 연장된 길이에 따라 하나 또는 3개 이상의 고정구(130)가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고정구(130)는, 고정프레임(110)의 하부판(116) 상에서 배치된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직관형 LED램프(120)의 방열프레임(123)을 지지하는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130)는, 지지부(13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며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볼트홈(137)이 개구되어 형성된 슬라이딩블록(136) 및, 상기 지지부(131)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132)과 상기 볼트홈(137)에 연속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131)와 슬라이딩블록(136)을 상하로 체결시키는 체결볼트(135)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블록(136)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블록이동홈(115)이 형성되고, 하부판(116)에는 상기 블록이동홈(115)과 연통되어 체결볼트(135)의 몸체부(135b)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볼트이동홈(1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130)는, 슬라이딩블록(136)이 블록이동홈(115)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끼움편(134)이 끼움홈(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체결볼트(135)를 회전시키게 되면 체결볼트(135)의 헤드부(135a)와 슬라이딩블록(136)의 하부면이 하부판(116)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체결볼트(135)의 회전결합에 의해 고정구(130)의 조절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더불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이동홈(115)의 일단에는 슬라이딩블록(136)이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블록삽입공(113)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136)과 고정구(130)를 체결볼트(135)에 의해 가체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블록삽입공(113)을 통해 슬라이딩블록(136)을 블록이동홈(115)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체결공정이 간소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조명장치(100)는 정전기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직관형 조명장치(10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직관형 조명장치(100)의 광효율이 감소되지 않으며 장치의 유지관리가 용이해지도록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의 투광판(125)의 외부면에 도포된 형태로 배치되어 표면저항을 감소시키는 코팅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방열프레임(123), 고정프레임(110), 고정구(130) 및 체결볼트(135)는 각각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일측은 접지(Ground)되도록 회로구성되며, 상기 체결볼트(135)는 상기 고정구(130)의 지지부(131)와 고정프레임(110)의 하부판(116)을 연속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의 투광판(125) 및 방열프레임(123)에 형성된 정전기의 전하가 상기 코팅부(140)의 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방열프레임(123) 및 고정구(130)를 거쳐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의해 접지접속되어 방전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프레임(123) 및 고정구(130)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방열프레임(123) 및 고정구(130)의 표면에 상기 코팅부(140)를 도포하여 배치하는 것으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와 동일 유사한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팅부(140)는 직관형 LED램프(120)의 투광판(125)에만 도포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판(125), 방열프레임(123) 및, 고정구(130)의 외부면에도 도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기 코팅부(140)는 상기 투광판(125), 방열프레임(123) 및 고정구(130)의 각 체결부위에 끊김없이 코팅된 형태로 형성되도록, 상기 투광판(125)과 방열프레임(123)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도포되어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방열프레임(123) 및 고정구(130)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코팅부(140)는 투광판(125)에만 도포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상기 코팅부(140)는, 투광판(125)의 외부면을 연하여 도포되어 표면저항을 감소시켜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대전방지제로서, 직관형 조명장치(100)의 광속을 유지하여 광효율이 감소되지 않도록 무색 투명의 박막 코팅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코팅부(140)는 투광판(125)의 외부면에 10μm 이하로 박막 코팅되며, 투색 투명 상태를 유지하도록 Tr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hloride polymer와, Methylmethacrylate polymer와, Ethylmethacrylate polymer 및, Hydroxypropyl methacrylate polymer 등의 대전방지물질로 이루어진 대전방지제가 IPA(n-propyl alcohol) 및 증류수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전방지물질들과 IPA 및 증류수는 각각 1:1:1의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투광판(125)은, 광확산투과용 재료인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아크릴(Acrylic) 등의 유기물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표면저항이 1012/㎠ 내지 1013 Ω/㎠ 정도 유지하게 되나, 상기 코팅부(140)를 상기 투광판(125)에 도포하게 되면, 상기 코팅부(140)를 구성하는 대전방지제의 특성으로 인하여 표면저항이 109 Ω/㎠ 내지 1010 Ω/㎠ 로 감소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투광판(125)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는 공기중으로 분산되어 사라지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110)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그 표면에 내식성 또는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페인트 등의 유기물이 도포된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조명장치(100)에서는, 상기 코팅부(140)에 의해 표면저항을 감소시키는 구성 이외에 체결볼트(135, 접지연결부)를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의 표면저항을 더욱 감소되도록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조명장치는, 외부에 노출된 금속재질의 부분품이 금속재질로 형성될 경우, 유입전류가 상기 부분품을 따라 누설되지 않도록 부분품의 일측을 접지(Ground)접속시키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직관형 조명장치(100)의 외부로 누출된 부분품 즉, 고정프레임(110)의 일측은 접지접속되도록 회로구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110)과 고정구(130)의 지지부(131)가 접촉되는 부분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벽면 내부와 상기 지지부(131)의 벽면 내부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체결볼트(135)가 연속 관통되어 삽입된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135)는, 헤드부(135a)와 몸체부(135b)로 구분되는 나사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체결볼트(135)의 헤드부(135a)은 상기 지지부(131)의 벽면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지지부(131)의 외부면에 접촉되며, 상기 체결볼트(135)의 몸체부(135b)는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벽면에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판(125), 방열프레임(123) 및 고정구(130)에 형성된 정전기의 전하는 도면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코팅부(140)의 표면을 따라 흐르게 되어 상기 체결볼트(135)의 내부를 통해 고정프레임(110)의 내부 금속재질부분을 따라 접지되므로 투광판(125), 방열프레임(123) 및 고정구(130)의 표면저항은 더욱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체결볼트(135)는 고정구(130)를 고정프레임(110) 상에 체결시키는 기능과, 고정구(130)와 고정프레임(110)를 접지연결시켜 정전기의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와 같이 코팅부(140)에 의해 정전기의 발생이 최소화되어 조명장치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이물질에 의해 조명장치의 광효율이 감소되지 않으며 조명장치의 유지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직관형 조명장치 110...고정프레임
120...직관형 LED램프 123...방열프레임
124...끼움홈 130...고정구
131...지지부 132...삽입공
133...연장부 134...끼움편
135...체결볼트 136...슬라이딩블록
140...코팅부

Claims (4)

  1. 직관형 조명장치(100)의 고정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체결된 직관형 LED램프(120)의 쳐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를 고정시키는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하부에 체결되는 지지부(131);
    상기 지지부(131)의 양측에서 각각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각각의 하부가 외향절곡된 연장부(133); 및
    각 연장부(133)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의 방열프레임(123)의 양측에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형성된 끼움홈(124)에 측방향으로 삽입되는 끼움편(134);을 포함하는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
  2.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설치장소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0);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양측에 장착된 소켓(112)에 양단이 끼움결합되되, 상부에는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방열프레임(123)이 배치되며, 상기 방열프레임(123)의 양측에는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끼움홈(124)이 형성된 직관형 LED램프(120); 및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하부에 체결되는 지지부(131)와, 상기 지지부(131)의 양측에서 각각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각각의 하부가 외향절곡된 연장부(133) 및, 각 연장부(133)의 하단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24)에 각각 삽입되는 끼움편(134)을 포함하는 고정구(130);를 포함하는 직관형 조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30)는, 상기 지지부(13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며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볼트홈(137)이 개구되어 형성된 슬라이딩블록(136) 및, 상기 지지부(131)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132)과 상기 볼트홈(137)에 연속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131)와 슬라이딩블록(136)을 상하로 체결시키는 체결볼트(135)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블록(136)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블록이동홈(115)이 형성되고, 하부판(116)에는 상기 블록이동홈(115)과 연통되어 상기 체결볼트(135)의 몸체부(135a)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볼트이동홈(11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130)는, 상기 슬라이딩블록(136)이 블록이동홈(115)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끼움편(134)이 끼움홈(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되며, 상기 체결볼트(135)의 회전결합에 의해 조절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조명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의 투광판(125)의 외부면에 도포된 형태로 배치되어 표면저항을 감소시키는 코팅부(1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방열프레임(123), 고정프레임(110) 및, 고정구(130)는, 각각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일측은 접지(Ground)되도록 회로구성되며,
    상기 체결볼트(135)는, 상기 고정구(130)의 지지부(131)와 고정프레임(110)의 하부판(116)을 연속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직관형 LED램프(120)의 투광판(125) 및 방열프레임(123)에 형성된 정전기의 전하가 상기 코팅부(140)의 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방열프레임(123), 고정구(130) 및 체결볼트(135)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의해 접지접속되어 방전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조명장치.
KR20130097945A 2013-08-19 2013-08-19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직관형 조명장치 KR101508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945A KR101508582B1 (ko) 2013-08-19 2013-08-19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직관형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945A KR101508582B1 (ko) 2013-08-19 2013-08-19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직관형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886A true KR20150020886A (ko) 2015-02-27
KR101508582B1 KR101508582B1 (ko) 2015-04-07

Family

ID=5257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7945A KR101508582B1 (ko) 2013-08-19 2013-08-19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직관형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5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138B1 (ko) * 2018-01-29 2018-06-04 (주)큐라이트 내압 방폭 엘이디 조명등
EP3343281A1 (en) * 2016-12-28 2018-07-04 LG Display Co., Ltd. Light source module, an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2401B2 (ja) 2004-08-30 2009-10-14 株式会社稲葉電機 照明型表示体用光源機器支持具とそれを用いた照明型表示体用光源装置
KR101133269B1 (ko) * 2009-12-21 2012-04-05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Led 조명 장치용 하우징 및 그 하우징의 제조방법
JP3164438U (ja) * 2010-06-14 2010-12-02 昌則 奥村 蛍光管形led照明装置の落下防止装置
KR101270217B1 (ko) 2012-11-20 2013-06-04 에스피반도체통신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3281A1 (en) * 2016-12-28 2018-07-04 LG Display Co., Ltd. Light source module, an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668499B (zh) * 2016-12-28 2019-08-11 南韓商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光源模組、背光單元及包含該背光單元的液晶顯示裝置
TWI671575B (zh) * 2016-12-28 2019-09-11 南韓商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光源模組、背光單元及包含該背光單元的液晶顯示裝置
US10606122B2 (en) 2016-12-28 2020-03-31 Lg Display Co., Ltd. Light source module, an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864138B1 (ko) * 2018-01-29 2018-06-04 (주)큐라이트 내압 방폭 엘이디 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582B1 (ko)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598B2 (en) LED light fixture
KR101009468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형광등형 조명기구
KR101038189B1 (ko) 오염방지 기능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KR101173921B1 (ko) 엘이디 투광등
KR101410559B1 (ko) 광학성과 방열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led 조명장치
KR101508582B1 (ko) 직관형 led램프용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직관형 조명장치
KR101128771B1 (ko) 고정형 led등기구
CN104299535A (zh) 一种可组装的led灯箱
KR101478628B1 (ko) 엘이디 등기구 본체
KR101070884B1 (ko) 엘이디 조명장치 구조물
CN207298431U (zh) 灯具
CN110762421A (zh) 一种多功能的led灯具
KR101258627B1 (ko)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
CN204005351U (zh) 一种led模块
KR100971146B1 (ko) 엘이디 가로등
KR20110014733A (ko) 엘이디 옥외등
CN220911287U (zh) 一种用于灯光装饰的节点灯
CN203848119U (zh) 一种led工矿灯
CN203099476U (zh) 高性能led灯盘
KR101524841B1 (ko) 탈부착 가능한 led 조명기구
CN102155727A (zh) 一种led插拔管
CN206647856U (zh) 一种led车间灯
CN211624936U (zh) 一种结构牢固的线条灯
KR101237440B1 (ko) 엘이디 조명기구
JP3165856U (ja) Led道路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