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397A - The Method of Using Service Providing Contents Based On Shared Information Between Terminals by NFC Tagging, and Terminal - Google Patents

The Method of Using Service Providing Contents Based On Shared Information Between Terminals by NFC Tagging, and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397A
KR20150020397A KR20130096049A KR20130096049A KR20150020397A KR 20150020397 A KR20150020397 A KR 20150020397A KR 20130096049 A KR20130096049 A KR 20130096049A KR 20130096049 A KR20130096049 A KR 20130096049A KR 20150020397 A KR20150020397 A KR 20150020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eripheral
service
user information
peripher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60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94646B1 (en
Inventor
오형석
홍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96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646B1/en
Publication of KR2015002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3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6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using a content service using a terminal, which is capable of controlling issuance of a pass to watch content according to an operating system of a terminal, and preventing the pass from being duplicated in anoth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includes configur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channel with at least one nearby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user information of the nearby terminal is received, determining whether it is possible for the nearby terminal to use a content service if the user information of the nearby terminal is received, and requesting a server for a right to use the ser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nearby terminal can use the service.

Description

NFC 태깅으로 공유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단말기{The Method of Using Service Providing Contents Based On Shared Information Between Terminals by NFC Tagging, and Termina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terminal for using a service providing content based on information shared by NFC tagging,

아래 실시예들은 NFC 태깅으로 공유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relate to a method and a terminal for using a service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information shared by NFC tagging.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무선태그 기술 중 하나로 단말기끼리 접촉하지 않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이다. 통신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NFC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a wireless tag technology that allows data to be exchanged between terminals without touching each other. Since the communication distance is relatively short, the security is excellent and the price is low, and applications using NFC and various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단말기 간의 NFC 태깅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권을 선물하거나 받을 수 있다. 단말기 간에 NFC를 태깅을 하면, 상대 단말기로 자동으로 정보가 전송되고, 상대 단말기로부터 자동으로 정보가 수신된다. 한국 공개번호 제10-2013-0031526호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는 단말기와 다른 단말기가 태깅을 하여 근거리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근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다른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The user can present or receive the right to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through NFC tagging between the terminals. When NFC is tagged between terminals,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31526 entitled "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terminal and another terminal form a local communication link by tagging and receive information of another terminal through a local communication link have.

실시예들은 단말기의 운영체제의 버전에 따라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권의 발급을 제어한다.Embodiments control issuance of a content viewing service use right according to a version of an operating system of a terminal.

또한, 실시예들은 단말기가 NFC 태깅을 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전송 받아서, 양 단말기 모두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 정보 및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를 기초로, 주 단말기를 결정하여 서비스 이용권의 중복 발급을 방지한다.In addition, in embodiments, when the terminal performs NFC tagg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To prevent duplicate issuance of service use rights.

일 측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은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 입력에 따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using a content service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one side comprises: configur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hannel with one or more neighboring terminals;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received; Determining whethe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whe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received and requesting the service use right to the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And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peripheral terminal according to a user confirmation input of the terminal if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not received.

이 때,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상기 주변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고,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NFC 채널을 통한 정보 자동 전송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peripheral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can utilize the service, the peripheral terminal requests the service use right to the server,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eripheral terminal may not support the automatic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hrough the NFC channel.

이 경우,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상기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이고, 버전은 4.1 이상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may be Android, and the version may be 4.1 or higher.

또한, 상기 주변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사용자 정보 전송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위한 확인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peripheral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confirmation window for user confirmation of the transmission of the user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또한, 상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step of requesting the server for the service use right may include requesting the service use right to at least one of the peripheral terminal and the terminal.

또 다른 일측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은,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using a content service using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configur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hannel with at least one peripheral terminal; Receiving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and requesting the service use right to the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NFC 채널을 통한 정보 자동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The operating system of the peripheral terminal may support automatic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hrough an NFC channel.

또한,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상기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이고, 상기 단말기의 운영 체제의 버전은 4.1 이상이고,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의 버전은 4.1 미만일 수 있다.Als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may be Android, the operating system version of the terminal may be 4.1 or more, and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eripheral terminal may be less than 4.1.

또한, 상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step of requesting the server for the service use right may include requesting the service use right to at least one of the peripheral terminal and the terminal.

또 다른 일측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은,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주변 단말기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중에서, 주(Primary)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서버로 요청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using a content service using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configur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hannel with at least one peripheral terminal;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peripheral terminal and receiving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Determining a primary terminal among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wherein the main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and when the terminal can utilize the service, Request the use right to the server.

이 때,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NFC 채널을 통한 정보 자동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can support automatic information transmission through the NFC channel.

또한,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에는 상기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Customer Telephone Number, CTN)을 포함하고, 상기 주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may include a CTN of the peripheral terminal, and the step of determining the main terminal may include determining a size of the telephone number of the terminal and a telephone number of the peripheral terminal, Can be determined.

이 때,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상기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이고, 버전은 4.1 미만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may be Android, and the version may be less than 4.1.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하는 통신부;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요청부;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 입력에 따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nfigures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hannel with one or more neighboring terminals;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receive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whe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received; A request unit for requesting the service use right to the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rvice can be used;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peripheral terminal according to a user confirmation input of the terminal whe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not received.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상기 주변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고,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NFC 채널을 통한 정보 자동 전송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The peripheral terminal having receive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and requests the service use right to the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can use the service, The operating system may not support automatic transmission of information over NFC channels.

또한,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상기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이고, 버전은 4.1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may be Android, and the version may be 4.1 or higher.

상기 전송부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사용자 정보 전송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위한 확인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nfirmation window for confirming a user of the transmission of the user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terminal.

실시예들은 단말기의 운영체제의 버전에 따라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권의 발급을 제어한다.Embodiments control issuance of a content viewing service use right according to a version of an operating system of a terminal.

또한, 실시예들은 단말기가 NFC 태깅을 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전송 받아서, 양 단말기 모두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 정보 및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를 기초로, 주 단말기를 결정하여 서비스 이용권의 중복 발급을 방지한다.In addition, in embodiments, when the terminal performs NFC tagg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To prevent duplicate issuance of service use right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단말기의 운영 체제 버전이 4.1이상인 단말기 간의 태깅을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단말기의 운영 체제 버전이 4.1이상인 단말기 간의 태깅(Tagging)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단말기의 운영 체제 버전이 4.1이상과 운영체제 버전이 4.1 미만인 단말기 간의 태깅을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단말기의 운영 체제 버전이 4.1미만인 단말기 간의 태깅을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간의 태깅(Tagging)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content viewing service using tagging between terminals having an operating system version of an Android terminal of 4.1 or high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agging between terminals having an operating system version of the Android terminal of 4.1 or hig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content viewing service using tagging between terminals having an operating system version of 4.1 or more and an operating system version of less than 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content viewing service using tagging between terminals having an operating system version of the Android terminal of less than 4.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agging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일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단말기는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버로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컨텐츠 시청 서비스는 단말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중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terminal may request the server to use the service to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in this specification is merely an example of various services available through the termi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안드로이드 버전이 4.<Android version 4. 1이상인1 or more 단말기 간의 태깅> Tagging between terminals>

안드로이드 단말기에서, 안드로이드 버전이 4.1 이상 단말기는 버전이 4.1미만인 경우와 달리 안드로이드 버전이 4.1 이상 단말기 간에 NFC 태깅(Tagging)을 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로 자동으로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다.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Unlike the case where the Android version is 4.1 or later and the Android version is 4.1 or less, when Android version is 4.1 or more, NFC tagging is not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other terminal. If there is an input of the user of the terminal,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other terminal.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Android) 단말기의 운영 체제 버전이 4.1이상인 단말기 간의 태깅을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content viewing service using tagging between terminals having an operating system version of an Android terminal of 4.1 or hig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110).A method of using a content viewing service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configure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hannel with one or more peripheral terminals (110).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20). 여기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단말기의 전화번호(Customer Telephone Number, CTN), 단말기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서비스 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서비스 가입 정보는 단말기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 회원 ID와 같은 가입자 번호, 가입한 서비스의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using a content viewing service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o receive user information of a peripheral terminal (120). Here,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y include a telephone number (CTN) of the terminal, and content viewing service subscrip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user. The content viewing service subscrip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user may include whether the terminal user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a subscriber number such as a member ID, contents of the subscription service, and the like.

컨텐츠 시청 서비스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 받을 수 있다. 컨텐츠 시청 서비스는 공중파(예를 들어, KBS, SBS, MBC) 실시간 방송 및 VOD(Video On Demand) 컨텐츠, 케이블(예를 들어, TvN) 실시간 방송 및 VOD 컨텐츠, 및 유튜브(YouTube) 동영상, 인기 동영상 제공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viewing service can be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The content viewing service can be used for real-time broadcast and VOD (video on demand) contents, cable (for example, TvN) real-time broadcasting and VOD contents, and YouTube videos, popular videos (for example, KBS, SBS, May be provided.

상기 열거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 시청 서비스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사항일 뿐,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 시청 서비스는 전술한 사항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user information and the content viewing service of the terminal listed above are only illustrati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content viewing service of the terminal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단말기가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130).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중 가입 서비스의 내용을 이용하여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의 표준 월 정액 가입자인 경우, 주변 단말기는 서비스 이용권(예를 들어, 하루권) 발급의 대상이 아니다.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는 표준 월 정액 가입자이므로,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가 서비스 이용권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월 정액은 단말기 사용자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월 단위로 해당 서비스 이용 요금을 지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f the terminal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the terminal can determine whethe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13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by us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For example, the terminal can determine whethe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by using the content of the subscription service amo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f the user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a standard monthly fixed-rate subscriber of the content viewing service, the peripheral terminal is not subject to issuance of the service use right (for example, one-day ticket). Since the user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a standard monthly fixed subscriber, the terminal can determine that the peripheral terminal can not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through the service use right. Here, the standard monthly fee may mean that the terminal user pays the corresponding service use fee on a monthly basis to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단계(130)에서,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단말기로부터 주변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수신한 후, 서버로 주변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에 대한 쿼리(query)를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response)을 수신하여,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In step 130,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viewing service can be used through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and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A query for the content viewing service including the identifier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a response from the server as to whethe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determine whethe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기는 서버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다(140). 예를 들어,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통해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의 가입자이지만 표준 월 정액 가입자가 아닌 경우(예를 들어, 결제를 해야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가입자 또는 표준 월 정액 이외의 월 정액 가입자),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가 서비스 이용권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는 서버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는 주변 단말기로 상기 이용권을 전송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the terminal can request the content viewing service using right to the server (140). For example, if the user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a subscriber of the corresponding service but is not a standard monthly fixed subscriber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for example, if the subscriber who can pay for the content or the non- Subscriber), the terminal can determine that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through the service use right. The terminal can request the content viewing service use right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can transmit the use right to the peripheral terminal.

단말기가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 입력에 따라 주변 단말기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150). 이 경우, 단말기의 화면에 사용자 정보 전송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위한 확인 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f the terminal does not receive the user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terminal,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neighbor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confirmation input (150). In this case, a confirmation window for user confirmation of user information transmission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주변 단말기는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사용자가 표준 월 정액 가입자인 경우 주변 단말기는 단말기가 서비스 이용권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의 사용자가 표준 월 정액 가입자가 아닌 경우, 주변 단말기는 단말기가 서비스 이용권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주변 단말기는 서버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는 주변 단말기로 상기 이용권을 전송할 수 있다.The peripheral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and may request the server to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For example, if the user of the terminal is a standard monthly flat rate subscribe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determine that the terminal can not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through the service use right. If the user of the terminal is not a standard monthly fixed subscriber, the peripheral terminal may determine that the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through the service use right. The peripheral terminal can request the content viewing service use right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can transmit the usage right to the peripheral terminal.

단계(150)에서,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 입력과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주변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고,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In step 150, when the user confirmation input of the terminal and the user confirmation input of the peripheral terminal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terminal, an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이 경우,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 중에서 주(primary) 단말기가 결정될 수 있다. 주 단말기는 단말기 또는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서비스 이용권을 서버로 요청한다.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에는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주 단말기는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rimary terminal can be determined among the terminal and peripheral terminals. The main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o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and requests the server to use the service use right when the terminal can use the service.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may include a telephone number of the terminal. The main terminal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ize of the telephone number of the terminal and the size of the telephone number of the peripheral terminal.

주 단말기가 결정되면, 주 단말기는 단말기 또는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서비스 이용권을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When the main terminal is determined, the main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o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and can request the service use right to the server when the content viewing service is availabl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단말기의 운영 체제 버전이 4.1이상인 단말기의 태깅(Tagging)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agging of a terminal having an operating system version of an Android terminal of 4.1 or high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화면(210)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화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NFC 태깅을 이용하여 주변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거나, 주변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려면 NFC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screen 210 is a screen on which an application is driven. More specifically, an NFC application can be used to transmit information to peripheral terminals using NFC tagging or to receive information from peripheral terminals.

화면(220)은 단말기와 주변 단말기가 태깅된 경우를 보여준다.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버전이 4.1이상이므로, 단말기와 주변 단말기가 태깅되어도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주변 단말기로 자동 전송되지 않는다. 주변 단말기의 안드로이드의 버전이 4.1이상인 경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단말기로 자동 전송되지 않는다.The screen 220 shows a case where the terminal and peripheral terminal are tagged. Since the Android version of the terminal is 4.1 or higher,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not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terminal even if the terminal and peripheral terminal are tagged. If the Android vers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4.1 or more,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not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화면(230)은 주변 단말기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전송" 확인 창(231)을 디스플레이한 단말기의 화면이다. 확인 창(231)에 대한 단말기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주변 단말기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사용자는 확인 창(231)을 탭하여 주변 단말기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주변 단말기의 안드로이드의 버전이 4.1이상인 경우, 주변 단말기의 화면에도 "전송" 확인 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확인 창에 대한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주변 단말기로부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변 단말기도 단말기로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screen 230 is a screen of the terminal displaying the "transmission" confirmation window 231 for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peripheral terminal. If there is an input of the terminal user to the confirmation window 231,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terminal. For example, the user of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user information to the peripheral terminal by tapping the confirmation window 231. [ If the version of Android on the peripheral terminal is 4.1 or higher, a "transmission" confirmation window is also displayed on the peripheral terminal's screen. Here, if the input of the confirmation window of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user is simultaneously performed,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peripheral terminal and receive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from the peripheral terminal. The peripheral terminal can also transmit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to the terminal and receive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버전이 4.<Android version of the terminal 4. 1이상이고1 or more , 주변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버전이 4.1 미만일 때, 단말기와 주변 단말기의 태깅>, When the Android vers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less than 4.1, the tagging of the terminal and peripheral terminal>

안드로이드 버전이 4.1인 단말기가 안드로이드 버전이 4.0인 단말기와 NFC 태깅을 하는 경우, 안드로이드 버전이 4.0인 단말기의 정보가 안드로이드 버전이 4.1인 단말기로 자동 전송될 수 있다.
If the terminal with Android version 4.1 is tagged with the terminal with Android version 4.0,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ith Android version 4.0 can be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terminal with Android version 4.1.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단말기의 운영 체제 버전이 4.1이상과 운영체제 버전이 4.1 미만인 단말기 간의 태깅을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content viewing service using tagging between terminals having an operating system version of 4.1 or more and an operating system version of less than 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310).A method of using a content viewing service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configure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hannel with one or more peripheral terminals (310).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320). 여기서,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Customer Telephone Number, CTN),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서비스 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서비스 가입 정보는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 회원 ID와 같은 가입자 번호, 가입한 서비스의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using a content viewing service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receive user information of a peripheral terminal (320). Here,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may include a telephone number (Customer Telephone Number) of the peripheral terminal, and content viewing service subscription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user. The content viewing service subscription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user may include whether the user of the peripheral terminal subscribed to the service, the subscriber number such as the member ID, the contents of the subscription service,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330).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A method of using a content viewing service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a peripheral terminal can use a content viewing service (33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by us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주변단말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다(340).
In a method of using a content viewing service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a peripheral terminal determines that a content viewing service can be used, the server can request a service using right (340).

<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버전이 4.<Android version of the terminal 4. 1미만이고1 , 주변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버전이 4.1 이상일 때, 단말기와 주변 단말기의 태깅>, When the Android version of peripheral terminal is 4.1 or higher, tagging of terminal and peripheral terminal>

안드로이드 버전이 4.1인 단말기가 안드로이드 버전이 4.0인 단말기와 NFC 태깅을 하는 경우, 안드로이드 버전이 4.0인 단말기의 정보가 안드로이드 버전이 4.1인 단말기로 자동 전송될 수 있다.If the terminal with Android version 4.1 is tagged with the terminal with Android version 4.0,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ith Android version 4.0 can be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terminal with Android version 4.1.

단말기와 주변 단말기가 NFC 태깅을 하는 경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주변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되지만,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되지 않는다. 주변 단말기는 수신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주변 단말기는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단말기로 이용권을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perform NFC tagg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terminal, but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not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neighboring terminal can use the user information of the received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The peripheral terminal can request the service use right to the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The server can transmit the usage right to the terminal.

<안드로이드 버전이 4.<Android version 4. 1미만인Less than 1 단말기 간의 태깅> Tagging between terminals>

안드로이드 단말기에서, 안드로이드 버전이 4.1 미만인 단말기 간에 NFC 태깅(Tagging)을 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로 자동으로 정보가 전송되고,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자동으로 정보가 수신된다.
In an Android terminal, when NFC tagging is performed between terminals with an Android version lower than 4.1,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other terminal and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received from the other terminal.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단말기의 운영 체제 버전이 4.1미만인 단말기 간의 태깅을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content viewing service using tagging between terminals having an operating system version of the Android terminal of less than 4.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410).The method of using a content viewing service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configure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hannel with one or more peripheral terminals (410).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주변 단말기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420).A method of using a content viewing service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transmit user information of a terminal to a peripheral terminal and receive user information of a peripheral terminal (420).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 중에서, 주(Primary) 단말기를 결정할 수 있다(430). 주 단말기의 결정은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결정될 수 있다. 수신한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에는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기는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숫자형 데이터로 전환하여, 숫자형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숫자형 데이터의 크기가 큰 단말기가 주 단말기가 될 수 있고, 숫자형 데이터의 크기가 작은 단말기가 주 단말기가 될 수 있다.A method of using a content viewing service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etermine a primary terminal among a terminal and a peripheral terminal (430). The determination of the primary terminal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terminal and the size of the telephone number of the peripheral terminal. The user information of the received peripheral terminal may includ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peripheral terminal. The terminal can convert the telephone number of the terminal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peripheral terminal into numeric data to compare the size of the numeric data. A terminal having a large numeric data size can be a main terminal, and a terminal having a small numeric data size can be a main terminal.

주 단말기는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서비스 이용권을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주 단말기는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주 단말기이고, 단말기의 사용자 및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가 표준 월 정액 가입자라고 가정하자.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가 표준 월 정액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주 단말기는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가 서비스 이용권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월 정액은 단말기 사용자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월 단위로 해당 서비스 이용 요금을 지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main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and can request the service using right when the content viewing service is available. The main terminal can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by us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For example, suppose the terminal is a primary terminal, and the user of the terminal and the user of the peripheral terminal are standard monthly fixed subscriber.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through the standard monthly payment so that the main terminal can determine that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can not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through the service use right. Here, the standard monthly fee may mean that the terminal user pays the corresponding service use fee on a monthly basis to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위의 예에서, 단말기의 사용자가 표준 월 정액 가입자가 아닌 경우, 주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가 서비스 이용권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고, 단말기가 서비스 이용권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주 단말기는 단말기를 위한 서비스 이용권을 서버로 요청할 수 있고, 서버는 단말기로 서비스 이용권을 전송할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if the user of the terminal is not a standard monthly fixed subscriber, the main terminal can determine that the peripheral terminal can not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through the service use right, and the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It can be judged to be possible. The main terminal can request the service use right for the terminal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can transmit the service use right to the terminal.

위의 예에서,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모두가 표준 월 정액 가입자가 아닌 경우, 주 단말기는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가 서비스 이용권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주 단말기는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를 위한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는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로 서비스 이용권을 전송할 수 있다.
In the above example, if both the terminal and the user of the peripheral terminal are not standard monthly fixed subscribers, the main terminal can determine that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through the service use right. The main terminal can request the service use right for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and the server can transmit the service use right to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간의 태깅(Tagging)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agging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화면(510)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화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NFC 태깅을 이용하여 주변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거나, 주변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려면 NFC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screen 510 is a screen on which an application is driven. More specifically, an NFC application can be used to transmit information to peripheral terminals using NFC tagging or to receive information from peripheral terminals.

화면(520)은 단말기와 주변 단말기가 태깅된 경우를 보여준다. 단말기와 주변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버전이 4.1미만이므로, 단말기와 주변 단말기가 태깅되는 경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주변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된다. 또한,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로부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A screen 520 shows a case where a terminal and a peripheral terminal are tagged. Since the Android version of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is less than 4.1, when the terminal and peripheral terminal are tagge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terminal. Also, the terminal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from the peripheral terminal.

주변 단말기는 단말기로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peripheral terminal can transmit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to the terminal and receive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600)는 통신부(610), 판단부(620), 요청부(630), 및 전송부(640)를 포함한다.The terminal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610, a determination unit 620, a request unit 630, and a transmission unit 640.

통신부(610)는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610 may form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hannel with one or more peripheral terminals.

판단부(620)는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620)는,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단말기로부터 주변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수신한 후, 서버로 주변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에 대한 쿼리(query)를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6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received, and whe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received, the determination unit 620 can determine whethe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The determination unit 62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ntent viewing service is available through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A query for a content viewing service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server to determine whethe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요청부(630)는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다.The request unit 630 may request the service use right to the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viewing service can be used.

전송부(640)는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 입력에 따라 주변 단말기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640)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사용자 정보 전송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위한 확인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f the transmitter 640 does not receive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the transmitter 640 may transmit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peripheral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confirmation input. The transmitting unit 64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nfirmation window for user confirmation of the transmission of the user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주변 단말기는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상기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이고, 버전은 4.1 이상이다.The peripheral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and can request the service use right to the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viewing service. In additio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is Android, and the version thereof is 4.1 or more.

도 6에 도시된 각 블록들에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하여 기술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blocks described in FIG. 1 through FIG. 5 may be applied to the respective blocks shown in FIG. 6,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gt;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gt;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7)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 입력에 따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Configur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hannel with one or more peripheral terminals;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received;
Determining whethe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whe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received and requesting the service use right to the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Whe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not received,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peripheral terminal according to a user confirmation input of the terminal
Containing
Method of using contents service using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상기 주변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고,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NFC 채널을 통한 정보 자동 전송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ripheral terminal having receive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and requests the service use right to the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Wherei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does not support automatic information transmission through an NFC channel,
Method of using contents service using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상기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이고, 버전은 4.1 이상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is Android and the version is 4.1 or higher,
Method of using contents service using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사용자 정보 전송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위한 확인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peripheral terminal comprises:
Displaying a confirmation window for user confirmation of the transmission of the user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questing the server for the service use right includes:
Requesting the service use right for at least one of the peripheral terminal and the terminal,
Method of using contents service using terminal.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Configur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hannel with one or more peripheral terminals;
Receiving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and requesting the service use right to the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Containing
Method of using contents service using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NFC 채널을 통한 정보 자동 전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eripheral terminal supports automatic information transmission through an NFC channel,
Method of using contents service using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상기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이고, 상기 단말기의 운영 체제의 버전은 4.1 이상이고,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의 버전은 4.1 미만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is Android, the version of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is 4.1 or more, the version of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less than 4.1,
Method of using contents service using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of requesting the server for the service use right includes:
Requesting the service use right for at least one of the peripheral terminal and the terminal,
Method of using contents service using terminal.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주변 단말기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중에서, 주(Primary)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주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서버로 요청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Configur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hannel with one or more peripheral terminals;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peripheral terminal and receiving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Determining a primary terminal among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Lt; / RTI &gt;
Wherein the main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and when the terminal can utilize the service,
Method of using contents service using termi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NFC 채널을 통한 정보 자동 전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supports automatic information transmission through an NFC channel,
Method of using contents service using termi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에는 상기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Customer Telephone Number, CTN)을 포함하고,
상기 주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결정되는,
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ncludes a telephone number of the peripheral terminal (CTN)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primary terminal comprises:
Determining a size of a telephone number of the terminal and a size of a telephone number of the peripheral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service using the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상기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이고, 버전은 4.1 미만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is Android and the version is less than 4.1,
Method of using contents service using terminal.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하는 통신부;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요청부;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 입력에 따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hannel with at least one peripheral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receive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eripheral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whe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received;
A request unit for requesting the service use right to the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rvice can be use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peripheral terminal according to a user confirmation input of the terminal whe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terminal is not received,
Lt; / RTI &g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상기 주변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고,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NFC 채널을 통한 정보 자동 전송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eripheral terminal having receive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and requests the service use right to the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can use the content service,
Wherei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does not support automatic information transmission through an NFC channel,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상기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이고, 버전은 4.1 이상인,
단말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terminal is Android and the version is 4.1 or higher,
termi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사용자 정보 전송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위한 확인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transmission unit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nfirmation window for user confirmation of the transmission of the user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KR1020130096049A 2013-08-13 2013-08-13 The Method of Using Service Providing Contents Based On Shared Information Between Terminals by NFC Tagging, and Terminal KR1015946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049A KR101594646B1 (en) 2013-08-13 2013-08-13 The Method of Using Service Providing Contents Based On Shared Information Between Terminals by NFC Tagging, and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049A KR101594646B1 (en) 2013-08-13 2013-08-13 The Method of Using Service Providing Contents Based On Shared Information Between Terminals by NFC Tagging, and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397A true KR20150020397A (en) 2015-02-26
KR101594646B1 KR101594646B1 (en) 2016-02-29

Family

ID=5257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049A KR101594646B1 (en) 2013-08-13 2013-08-13 The Method of Using Service Providing Contents Based On Shared Information Between Terminals by NFC Tagging, and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6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332A (en) 2020-01-02 2021-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6440A (en) * 2006-04-05 2008-12-05 가부시키가이샤 훼이스 Content providing system
KR20090046979A (en) * 2007-11-07 2009-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Rights sharing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KR101036656B1 (en) * 2011-03-15 2011-05-2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130022846A (en) * 2011-08-26 2013-03-07 주식회사 팬택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suing nfc in cloud circumst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6440A (en) * 2006-04-05 2008-12-05 가부시키가이샤 훼이스 Content providing system
KR20090046979A (en) * 2007-11-07 2009-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Rights sharing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KR101036656B1 (en) * 2011-03-15 2011-05-2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130022846A (en) * 2011-08-26 2013-03-07 주식회사 팬택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suing nfc in cloud circum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646B1 (en)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1462B1 (en) Licensing rights for media content that follows a subscriber
CN102934454A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a partially viewed vod program from a first to a second location
US20110289537A1 (en) Temporary authorization for a user device to remotely access a video on-demand service
KR101707549B1 (en) Digital signage system using cloud serv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1757854B2 (en) Secure stream buffer on network attached storage
US201602050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screen onboarding and interaction
US20230188772A1 (en) Content viewing method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used for same
KR101953090B1 (en) Contents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blockchain technology
CN104883540A (en) Video monitoring client system based on NeoKylin operation system
AU2016256803B2 (en) Automatically determining restored availability of multi-channel media distributors for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US20150163204A1 (en) Digital content access control
KR101594646B1 (en) The Method of Using Service Providing Contents Based On Shared Information Between Terminals by NFC Tagging, and Terminal
CN106575423B (en) Broadcast link service based on cloud streaming media, broadcast link service client device, and trigger content providing server
TWI499288B (en) Video playback system allowing multip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to control the same video decoder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202303365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web page using captive portal
KR20220118143A (en) Method of provding contents and terminal device
TWI467985B (en) Video playback system supporting group-based billing mechanism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s
KR202101311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anner associated with broadcast
US9900639B2 (en) Temporary viewer access to videos from programmers while multichannel video programming distributors are unavailable for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KR102290430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questing notification of product sales broadcast
KR1023854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broadcast direction information
KR20120036398A (en) Server,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through a wireless or wired network
KR102342519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vod service
TW200926818A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to communicate authorized programming between a receiving device and a mobile device
US20210219017A1 (en) Media device software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