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803A -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층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층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803A
KR20150019803A KR20130097121A KR20130097121A KR20150019803A KR 20150019803 A KR20150019803 A KR 20150019803A KR 20130097121 A KR20130097121 A KR 20130097121A KR 20130097121 A KR20130097121 A KR 20130097121A KR 20150019803 A KR20150019803 A KR 20150019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layer
sound insulation
impact
spo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정
홍창의
Original Assignee
홍성정
홍창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정, 홍창의 filed Critical 홍성정
Priority to KR20130097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9803A/ko
Publication of KR20150019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건물에서의 층간 소음의 저감을 위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바닥층(210㎜)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의 판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층을 몰탈 또는 방수액을 사용하여 표면의 평활도를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전처리토록 하고 상기 전처리 면에 일정한 두께의 판재를 깔고 판재가 연결되어지는 부분은 실링제로 실링토록 하고, 상기 판재의 상면으로는 일정한 두께와 밀도를 갖는 흡음재를 위치토록 하고, 그 상면에 일정두께를 갖는 판재를 깔아주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판재의 연결부위에 실링제로 실링토록 하고 그 상면에 흡음재를 깔고 그 상면에 다시 판재를 깔아주고, 판재의 연결되는 부분에 실링제로 실링토록 하고 그 상면에 기포콘크리트를 40㎜정도로 발포성형토록 한 후 그 상부로 15~20㎜의 직경을 갖는 난방코일을 배관고정토록 한 후 상기 배관코일을 감싸면서 외장마감을 위하여 몰탈을 40㎜정도로 도포토록 후 몰탈의 상층으로 나무 등의 마감장식재를 10㎜정도로 형성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층 시공방법{floor-to-floor construction method for noise reduction}
본 발명은 다층건물에서의 층간 소음의 저감을 위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의 시공시 적용토록 한 것이다.
현재 아파트 등의 다층건물과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기준은 '낮에는 40dB, 밤에는 35dB'와 같이 수치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음의 측정이 번거롭고 객관적으로 증명하기도 쉬운 일이 아니어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주거형태 70%를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에서는 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간의 갈등과 불화가 끊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현재 층간소음 문제의 발생으로 가장 큰 원인은 우선 아파트의 건축구조에서 찾을 수 있는데 원래 모든 공동주택은 처음에는 기둥식구조로 축조되어 왔기 때문에 층간소음의 문제는 발생되지 않았다.
그런데 1980년대부터는 원가절감, 전용면적확대, 용적률 향상 등의 목적으로 전국 대부분의 아파트가 기둥없는 벽면식구조로 바뀌기 시작했고, 이는 제한된 면적에 적은 비용으로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높은 층의 아파트를 건축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내집마련의 꿈을 실현시켜 주기 위한 고육지책이었다.
그러자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의 두께는 슬림화되고 각 층간의 높이는 낮아지게 되면서 아래층으로 미치는 윗층에서의 소음이 더욱 커지는 결과를 낳게 된 것이다.
또한 현재 국토해양부는 아파트 시공시 바닥두께 기준과 바닥충격음기준을 선택적으로 만족하도록 하고 있어 이러한 기준으로 인하여 더욱더 층간소음의 문제해결을 어렵게 하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아파트 시공시의 바닥두께기준 및 바닥충격음기준을 동시에 만족토록 개정작업을 준비하고 있는 것이고, 다만 층간소음 만족도가 높은 종래의 기둥식구조(바닥, 보, 기둥을 통하여 힘을 전달하는 구조)는 바닥두께기준만 만족할 경우 성능기준을 제외한다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환경부 중앙환경분쟁조정위는 올해부터 층간소음 피해 인정기준을 기존 낮 55dB 이상, 밤 45dB 이상에서 상기와 같이 낮 40dB이상, 밤 35dB이상으로 낮췄고, 또한 국토해양부는 2월 13일 층간소음 문제 해결을 위해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기준을 강화하는 등 법 개정을 추진하기로 하면서 국토해양부는 현재 아파트 시공시 바닥두께 기준과 바닥충격음 기준 중 선택적으로 만족하도록 하는 내용을 개정해 앞으로는 바닥두께기준(210mm)및 바닥층격음 기준(경량충격음 58dB, 중량층격음 50dB)을 동시에 만족하게 할 방침이지만 신규주택에만 적용될 바닥구조 기준은 실효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고, 전문가들은 "바닥이나 천장을 아무리 두껍게 만들어도 소음을 완전히 없앨 수 없다"며 "더불어 사는 윤리, 행동지침 등을 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현재의 층간소음저감을 위한 시공방식이 아랫층과 윗층의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의 콘크리트 두께를 210 mm로 하는 이외에 층간소음차단을 목적으로 층간차음재 또는 기타 마감재(단열재)가 선택적으로 추가되어져 콘크리트 슬라브 두께는 좀더 두꺼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층간차음재나 기타마감재(단열재)는 대부분 상층과 아랫층을 구획하는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의 상층의 바닥면에서 고무 등의 완충력을 구비하는 층간차음재 또는 기타마감재(단열재)를 여러 조각으로 연결하여 30㎜두께 정도로 깔고 그 상부로 층간차음재 또는 기타마감재(단열재)의 고정을 위하여 기포콘크리트를 40㎜정도로 발포성형토록 한 후 그 상부로 15~20㎜의 직경을 갖는 난방코일을 배관고정토록 한 후 상기 배관코일을 감싸면서 외장마감을 위하여 몰탈을 40㎜정도로 도포토록 후 몰탈의 상층으로는 나무 등의 마감장식재를 10㎜정도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층간의 소음차단을 위하여는 이러한 시공구조에서 고무 등의 완충력을 갖는 층간차음재 또는 기타마감재(단열재)를 30㎜정도로 깔게 되는 것에 의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층간의 소음은 대부분 상층에서 발생된 충격음이 소리의 전달이 초당 340m정도를 간다는 것으로 인하여 바닥층의 두께나 틈새를 통하여 아랫층으로 전달되는 것인데 바닥면에 여러개의 조각으로 깔린 차음재 만으로는 충격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에 따른 소음의 전달을 저감시킬 수 없다라는 것이다.
즉 마감장식재로 마감처리된 상면에서 발생된 충격음은 30㎜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층간차음재 또는 기타마감재(단열재)만으로는 차단이 불가능하다라는 것이고, 또한 콘크리트의 두께(210㎜)도 콘크리트의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나 통기성으로 인하여 차음이나 흡음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결국 이러한 진동은 진동충격이 발생된 부분의 직하방이나 또는 벽면이나 그 주변을 통하여 이동되면서 아랫층으로 전달된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의 상면으로 소리의 차단이 가능한 판재와 흡수가 가능한 흡음재를 다층으로 중첩토록 하고, 동시에 이러한 소리의 차음을 위하여 사용되는 판재를 소리의 새어나감이 없도록 연결되는 부분을 실링제로 실링처리토록 하고, 흡음재를 상기 소리의 차음을 위한 판재의 사이에 다단으로 위치토록 함으로서 층간의 시공이 용이토록 하면서 충격음의 전달이 아랫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바닥층(210㎜)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의 판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층을 몰탈 또는 방수액을 사용하여 표면의 평활도를 우수하게 하기 의하여 전처리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처리 면에 일정한 두께의 판재를 깔고 판재가 연결되어지는 부분은 실링제로 실링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판재의 상면으로는 일정한 두께와 밀도를 갖는 흡음재를 위치토록 하고, 그 상면에 일정두께를 갖는 판재를 깔아주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판재의 연결부위는 역시 실링제로 실링토록 하는 것이다.
그 후 그 상면에 흡음재를 깔고 그 상면에 다시 판재를 깔아주게 되는 것이고, 판재의 연결되는 부분에는 역시 실링제로 실링토록 하는 것이다.
그 상면에 적층되어지는 판재와 흡음재의 고정을 위하여 기포콘크리트를 40㎜정도로 발포성형토록 한 후 그 상부로 15~20㎜의 직경을 갖는 난방코일을 배관고정토록 한 후 상기 배관코일을 감싸면서 외장마감을 위하여 몰탈을 40㎜정도로 도포토록 후 몰탈의 상층으로는 나무 등의 마감장식재를 10㎜정도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층의 충격음은 판재와 흡음재의 적층구조로 인하여 차음과 흡음이 일어나면서 충격음이 저감토록 되어 밤의 기준음인 35dB보다 우수한 수치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고, 윗층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아랫층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실질적인 충격음의 저감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현재 아파트 등의 바닥층에 시공되는 시공상태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충격저감을 위한 시공상태의 층간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흡음재의 또 다른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차음재와 흡음재의 또 다른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판재의 연결을 위한 실링방식을 도시한 상세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다양한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충격음의 저감을 위한 충격저감층(1)의 기본 구성은 충격음의 발생을 차단하게 되는 차음을 위하여 사용되는 일정한 두께와 경도를 갖는 판재(10,10a,…)와 상기 판재(10,10a,…)를 연결하는 부위에 기밀유지를 위하여 실링토록 되는 실링부(11)와 이러한 실링부(11)에 의하여 판재(10,10a,…)의 사이가 실링된 상태에서 그 상면에 위치되는 흡음과 일정한 강도 유지를 위하여 밀도를 갖는 스폰지(20)와 상기 스폰지(20)의 상면에 차음을 위하여 사용되는 일정한 두께와 경도를 갖는 또 다른 판재(30,30a,…)와 그 상면에 흡음과 일정한 강도 유지를 위하여 밀도를 갖는 스폰지(40)와 상기 스폰지(40)의 상면에 차음을 위하여 사용되는 일정한 두께와 경도를 갖는 또 다른 판재(50,50a,…)로 이루어져 충격음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러한 충격저감을 위한 충격저감층(1)을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100)에 적층을 위하여는 우선 아랫층과 윗층의 층간을 구획하는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바닥층(100)이 규정상 210㎜정도의 두께로 타설되어지는 바닥층(100)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의 차음을 위한 판재(10,10a,…)의 긴밀한 밀착과 각각의 판재(10,10a,…)간의 긴밀한 연결을 유도하기 위하여 바닥층(100)을 몰탈 또는 긴밀한 밀착과 방수를 위하여 방수액을 사용하여 표면의 평활도를 우수하게 하도록 전처리층(110)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토록 하는 것이다.
그후 상기 전처리층(110)의 상면으로 상기의 충격음의 저감을 위한 충격저감층(1)을 시공토록 하는 것이다.
그후 충격음의 저감을 위한 충격저감층(1)을 시공토록 한 후 충격저감층(1)의 최상면에 해당되는 일정한 두께와 경도를 갖는 또 다른 판재(50,50a,…)가 연결되는 부위에 실링제로 실링부(51)를 형성하면서 기밀이 유지되게 처리된 상태에서 그 상면으로 차음을 위한 판재(10,10a,…)(30,30a,…)(50,50a,…)와 흡음을 위한 흡음재(20,40)의 고정을 위하여 기포콘크리트층(200)을 40㎜정도로 발포성형토록 하게 되고, 그 그 상부로 난방등을 위하여 15~20㎜의 직경을 갖는 난방코일(300)을 배관고정토록 한 후 상기 배관코일(300)을 감싸면서 외장마감을 위하여 몰탈층(400)을 40㎜정도로 도포토록 하게 되고, 그후 몰탈층(400)의 상층으로는 나무 등의 마감장식재(500)를 10㎜정도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이 시공토록 함으로서 정부에서 요구하는 아파트 등의 다층건물과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기준인 '낮에는 40dB, 밤에는 35dB'보다 우수한 충격음의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원출원인이 실험한 바에 의하면 차음과 흡음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원발명에서는 일정한 소리를 발생하는 핸드폰의 벨소리를 기준으로 실험한 결과이다.
핸드폰 벨소리의 측정음을 측정한 결과 통상 82dB임을 확인토록 하였다.
이러한 핸드폰 벨소리를 얇은 종이 시트 1장을 기밀이 유지되게 한 후 측정한 결과 68dB가 측정되었고, 또한 이러한 종이시트를 2장으로 중첩하여 기밀이 유지되게 한 후 측정한 결과는 61dB가 측정되었다.
또한 얇은 비닐필름이 다층으로 합지되어진 비닐시트를 사용하여 기밀이 유지토록 한 후 측정한 결과 71dB가 측정되였고, 또한 얇은 한장의 필름상으로 이루어지는 비닐지로 기밀이 유지토록 한 후 측정한 결과 거의 차음효과가 없이 82dB가 측정되었다.
또한 일정한 두께(0.3㎜)를 갖는 단순한 플라스틱 판재를 기밀이 유지되게 한 후 측정한 결과 70dB가 측정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에 의하면 일정한 두께를 갖는 종이시트로 차음하는 것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라스틱 판재보다도 차음효과가 우수하다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종이의 재질의 특성상 차음과 동시에 흡음이 일어날 수 있었기 때문이라 사료되는 것이다.
또한 비닐지도 하나의 필름상으로 차음할 경우에는 차음효과거 거의 없었음에 반하여 이를 다층으로 적층된 비닐시트로 사용할 경우에는 차음효과가 존재함을 알 수 있어 결국 흡음이 없는 플라스틱 판재나 시트에 대하여는 차음의 효과는 기밀유지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즉 한장의 필름상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상의 비닐지는 통기가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소리의 새어나감에 의하여 차음혀과가 거의 없다라는 것은 차음을 위하여는 기밀유지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층간의 충격은 저감을 위하여는 차음재의 기밀유지와 흡음이 동시에 연속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원하는 차음의 효과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이러한 적층구조를 갖는 본원발명의 충격저감층(1)을 구현한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기본 구성인 차음을 위한 플라스틱 판재를 기밀이 유지(즉 소리의 새어나감이 없도록 한 것)토록 한 후 흡음재를 플라스틱 판재의 중간에 위치토록 한 후 측정한 결과는 42.9dB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이를 2중으로 중첩토록 할 경우 즉 차음을 위한 플라스틱 판재를 기밀이 유지(즉 소리의 새어나감이 없도록 한 것)토록 한 후 흡음재를 플라스틱 판재의 중간에 위치토록 한 후 다시 플라스틱 판재의 상면으로 흡음재를 적층토록 한 후 다시 플라스틱 판재를 기밀이 유지되게 적층할 경우에는 30.2dB가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것은 측정된 데이타가 없어 본인이 추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반드시 이러한 측정치에 대하여는 새롭게 측정하시여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플라스틱 판재를 밀도가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특히 방탄재질)로 사용할 경우에는 10~20%정도의 차음효과가 증진됨을 확인토록 하였고, 플라스틱 판재의 두께(0.2~0.3㎝)가 두꺼울 경우(0.4~0.6㎝)에도 역시 10%이상의 차음효과가 증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플라스틱 판재의 두께는 반드시 흡음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10%~20%정도가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만일 흡음재를 적층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에는 대략 3~5%정도의 차음효과만이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흡음재로 밀도가 우수한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흡음효과의 증진으로 차음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얇은 흡음재를 2중으로 적층할 경우에 즉 30㎜의 흡음재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15㎜의 흡음재로 연결되는 부위가 가려지도록 하여 지그재그로 적층되게 사용할 경우에는 10%이상의 차음효과가 증진되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스폰지의 밀도가 높을 경우에는 더욱 우수한 차음효과(20%이상)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즉 본 발명의 충격저감층(1)을 또 다른 형태로의 충격저감층(1a)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격음의 발생을 차단하게 되는 차음을 위하여 사용되는 일정한 두께와 경도를 갖는 판재(10,10a,…)와 상기 판재(10,10a,…)를 연결하는 부위에 기밀유지를 위하여 실링토록 되는 실링부(11)와 이러한 실링부(11)에 의하여 판재(10,10a,…)의 사이가 실링된 상태에서 그 상면에 위치되는 흡음과 일정한 강도 유지를 위하여 밀도를 갖는 스폰지(20)를 상하로 지그재그로 중첩토록 하여 상층의 스폰지(20)가 연결되는 부위가 하층의 스폰지(20a)로 가려지도록 중첩토록 한 후 상기 중첩된 스폰지(20,20a)의 상면에 차음을 위하여 사용되는 일정한 두께와 경도를 갖는 또 다른 판재(30,30a,…)와 상기 판재(30,30a,…)를 연결하는 부위에 기밀유지를 위하여 실링토록 되는 실링부(31)와 이러한 실링부(31)에 의하여 판재(30,30a,…)의 사이가 실링된 상태에서 그 상면에 위치되는 흡음과 일정한 강도 유지를 위하여 밀도를 갖는 중첩되어지는 스폰지(40,40a)와 상기 스폰지(40)의 상면에 차음을 위하여 사용되는 일정한 두께와 경도를 갖는 또 다른 판재(50,50a,…)와 상기 판재(50,50a,…)를 연결하는 부위에 기밀유지를 위하여 실링토록 되는 실링부(51)와 이러한 실링부(51)에 의하여 판재(50,50a,…)의 사이가 실링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스폰지의 두께는 중첩되지 않은 스폰지의 두께의 1/2의 두께를 중첩되게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럴 경우에 차음효과는 하나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10%이상의 차음효과가 증진됨을 확인하였고, 스폰지의 밀도를 높게 할 경우에는 더욱 우수한 차음효과(20%정도의 증가)를 발견하였다.
또한 또 다른 충격저감층(1b)의 구현을 위하여 판재(10,10a,…)(30,30a,…)(50,50a,…)의 두께도 2배로 두껍게 할 경우에도 10%의 차음효과를 증진토록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층격저감층(1a,1b)판재가 두꺼워지고, 스폰지를 중첩되게 사용함으로서 기존의 충격저감층(1)보다도 20%이상의 차음효과가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또 다른 충격저감층(1c)의 구현을 위하여 스폰지를 두껍게 사용하면서 스폰지의 사이에 종이시트를 게재토록 한 후 종이시트가 제재된 스폰지의 상하로 플라스틱 판재를 합지토록 할 경우에도 저중량이면서도 거의 동일한 충격음 저감효과를 발생토록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종이시트는 그 두께를 1~2㎜의 것을 사용하였고, 가능하면 서로 중첩되게 형성토록 한 후 풀칠에 의하여 접착토록 하여 접착라인을 형성함으로서 차음의 효과가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만일 틈새가 발생될 경우에는 원하는 차음효과보다 떨어지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종이시트를 1~2㎜의 것을 2중 3중으로 중첩되게 사용할 경우에는 판재를 사용하는 것보다 저중량이면서도 차음효과가 더욱더 증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종이시트가 차음과 동시에 흡음의 기능을 갖기 때문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이시트는 습기에 약하기 때문에 난방설비의 시공시 누수가 발생될 경우에 재시공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종이시트를 라미네이팅을 한 후 사용함으로서 습에 의한 훼손의 문제점을 해소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라미네이팅을 할 경우에는 연결부위를 플라스틱 판재의 연결부의 실링을 위한 실링제에 의한 실링부를 형성토록 하여 기밀이 유지되게 연결토록 해야 하는 것이다.
1: 충격저감층
10,10a,...: 판재 11:실링부
20,40: 스폰지
30,30a,...: 판재
50,50a,...: 판재

Claims (3)

  1. 아랫층과 윗층을 구획하는 바닥층의 상면에 충격음의 발생을 차단하게 되는 차음을 위하여 사용되는 일정한 두께와 경도를 갖는 판재(10,10a,…)와
    상기 판재(10,10a,…)를 연결하는 부위에 기밀유지를 위하여 실링토록 되는 실링부(11)와
    상기 실링부(11)에 의하여 판재(10,10a,…)의 사이가 실링된 상태에서 그 상면에 위치되는 흡음과 일정한 강도 유지를 위하여 밀도를 갖는 스폰지(20)와
    상기 스폰지(20)의 상면에 차음을 위하여 사용되는 일정한 두께와 경도를 갖는 또 다른 판재(30,30a,…)와
    그 상면에 흡음과 일정한 강도 유지를 위하여 밀도를 갖는 스폰지(40)와
    상기 스폰지(40)의 상면에 차음을 위하여 사용되는 일정한 두께와 경도를 갖는 또 다른 판재(50,50a,…)로 이루어져 충격음의 저감을 도모하고, 상기 상층으로는 차음을 위한 판재(10,10a,…)(30,30a,…)(50,50a,…)와 흡음을 위한 흡음재(20,40)의 고정을 위하여 기포콘크리트층(200)을 발포성형토록 하게 되고, 그 상부로 난방등을 위하여 난방코일(300)을 배관고정토록 한 후 상기 배관코일(300)을 감싸면서 외장마감을 위하여 몰탈층(400)을 도포토록 하고, 그후 몰탈층(400)의 상층으로는 나무 등의 마감장식재(500)를 형성하게 되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20,40)를 상하로 지그재그로 중첩토록 하여 상층의 스폰지(20,40)가 연결되는 부위가 하층의 스폰지(20a,40a)로 가려지도록 중첩토록 하여 사용토록 되는







  3. 이러한 충격저감을 위한 충격저감층(1)을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100)에 적층을 위하여는 우선 아랫층과 윗층의 층간을 구획하는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바닥층(100)이 규정상 210㎜정도의 두께로 타설되어지는 바닥층(100)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의 차음을 위한 판재(10,10a,…)의 긴밀한 밀착과 각각의 판재(10,10a,…)간의 긴밀한 연결을 유도하기 위하여 바닥층(100)을 몰탈 또는 긴밀한 밀착과 방수를 위하여 방수액을 사용하여 표면의 평활도를 우수하게 하도록 전처리층(110)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토록 하는 것이다.
    그후 상기 전처리층(110)의 상면으로 상기의 충격음의 저감을 위한 충격저감층(1)을 시공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플라스틱 판재를 밀도가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특히 방탄재질)로 사용할 경우에는 10~20%정도의 차음효과가 증진됨을 확인토록 하였고, 플라스틱 판재의 두께(0.2~0.3㎝)가 두꺼울 경우(0.4~0.6㎝)에도 역시 10%이상의 차음효과가 증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플라스틱 판재의 두께는 반드시 흡음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10%~20%정도가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만일 흡음재를 적층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에는 대략 3~5%정도의 차음효과만이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흡음재로 밀도가 우수한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흡음효과의 증진으로 차음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얇은 흡음재를 2중으로 적층할 경우에 즉 30㎜의 흡음재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15㎜의 흡음재로 연결되는 부위가 가려지도록 하여 지그재그로 적층되게 사용할 경우에는 10%이상의 차음효과가 증진되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스폰지의 밀도가 높을 경우에는 더욱 우수한 차음효과(20%이상)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즉 본 발명의 충격저감층(1)을 또 다른 형태로의 충격저감층(1a)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럴 경우에 차음효과는 하나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10%이상의 차음효과가 증진됨을 확인하였고, 스폰지의 밀도를 높게 할 경우에는 더욱 우수한 차음효과(20%정도의 증가)를 발견하였다.
    또한 또 다른 충격저감층(1b)의 구현을 위하여 판재(10,10a,…)(30,30a,…)(50,50a,…)의 두께도 2배로 두껍게 할 경우에도 10%의 차음효과를 증진토록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층격저감층(1a,1b)판재가 두꺼워지고, 스폰지를 중첩되게 사용함으로서 기존의 충격저감층(1)보다도 20%이상의 차음효과가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또 다른 충격저감층(1c)의 구현을 위하여 스폰지를 두껍게 사용하면서 스폰지의 사이에 종이시트를 게재토록 한 후 종이시트가 제재된 스폰지의 상하로 플라스틱 판재를 합지토록 할 경우에도 저중량이면서도 거의 동일한 충격음 저감효과를 발생토록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종이시트는 그 두께를 1~2㎜의 것을 사용하였고, 가능하면 서로 중첩되게 형성토록 한 후 풀칠에 의하여 접착토록 하여 접착라인을 형성함으로서 차음의 효과가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만일 틈새가 발생될 경우에는 원하는 차음효과보다 떨어지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종이시트를 1~2㎜의 것을 2중 3중으로 중첩되게 사용할 경우에는 판재를 사용하는 것보다 저중량이면서도 차음효과가 더욱더 증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종이시트가 차음과 동시에 흡음의 기능을 갖기 때문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이시트는 습기에 약하기 때문에 난방설비의 시공시 누수가 발생될 경우에 재시공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종이시트를 라미네이팅을 한 후 사용함으로서 습에 의한 훼손의 문제점을 해소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라미네이팅을 할 경우에는 연결부위를 플라스틱 판재의 연결부의 실링을 위한 실링제에 의한 실링부를 형성토록 하여 기밀이 유지되게 연결토록 해야 하는 것이다.
KR20130097121A 2013-08-16 2013-08-16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층 시공방법 KR20150019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121A KR20150019803A (ko) 2013-08-16 2013-08-16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층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121A KR20150019803A (ko) 2013-08-16 2013-08-16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층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803A true KR20150019803A (ko) 2015-02-25

Family

ID=5257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7121A KR20150019803A (ko) 2013-08-16 2013-08-16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층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98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533B1 (ko) * 2020-09-02 2020-12-08 주식회사 탑그린이피에스 상하면에 방수막을 구비한 층간소음방지용 흡음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533B1 (ko) * 2020-09-02 2020-12-08 주식회사 탑그린이피에스 상하면에 방수막을 구비한 층간소음방지용 흡음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69086B (zh) 多层声学板
KR101267523B1 (ko) 층간소음 방지 시스템
KR101656794B1 (ko) 공동주택의 평면분할 차음구조 및 시공방법
KR20150093628A (ko) 건축용 방음 방진 패널 및 시공방법
KR20160104507A (ko) 소음방지재
KR101238751B1 (ko) 층간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0922009B1 (ko) 직물기재를 이용한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2137373B1 (ko)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감쇄 구조물을 포함하는 난방패널
KR20150019803A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층 시공방법
CN106013659A (zh) 一种墙面软包结构的施工工艺
KR20200082848A (ko)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31126A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슬라브 상,하면의 시공방법
KR200455458Y1 (ko) 방수층 보호시트가 부착된 탄성 이피에스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CN204326282U (zh) 超静音构造系统
KR101558751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다층건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 및 그 시공방법
KR101516891B1 (ko) 건축물용 바닥재
CN217868710U (zh) 隔声隔振阻尼复合卷材
KR20160104506A (ko) 건축물용 바닥재
CN202363103U (zh) 软体隔声箱
KR101911790B1 (ko) 차음용 적층체
JP2011033093A (ja) 縦管用耐火二層遮音管
KR20140103202A (ko) 층간소음 방지용 시트
KR101549984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저감 시트
CN204326283U (zh) 双层隔音板系统
CN204326366U (zh) 隔音构造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