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009A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009A
KR20150019009A KR20130095287A KR20130095287A KR20150019009A KR 20150019009 A KR20150019009 A KR 20150019009A KR 20130095287 A KR20130095287 A KR 20130095287A KR 20130095287 A KR20130095287 A KR 20130095287A KR 20150019009 A KR20150019009 A KR 20150019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user
image
users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52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은재
이다영
이선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5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9009A/en
Publication of KR20150019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0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6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to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a focus based on a user at a specific location when an image is photographed by using a camera disposed on the display apparatus. Th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camera which generates an image by photographing and controls the focus; a display unit on which the image generated by the camera is displayed;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camera to control the focus based on the user at a specific location among a plurality of users, if the plurality of users are recognized in the photographed image. In the case of photographing the users in this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hotographing more clearly the user at the specific location.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000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0002]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때 특정 위치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포커스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that adjusts focus based on a user at a specific position when capturing an image using a camera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TV, 모니터, 휴대용 단말기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기본적인 기능에서 웹서핑, 게임,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등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착탈식 카메라가 부착되거나 내장형 카메라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촬영, 영상통화, 게임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As technology develops, display devices such as TVs, monitors, and portable terminals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web surfing, games, photography, or movie shooting in a basic function of outputting images. Particularly, a display device having a removable camera or a built-in camera can use functions such as photo shooting, video call, and game using a camera.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촬영되는 영상의 중심에 위치하는 사람 또는 물체를 기준으로 포커스를 설정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포커스를 설정하는 경우 실제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보다 선명하게 촬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When photographing a photograph using a camera provided on a display device, a focus is set on the basis of a person or an object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image to be photographed. However, when the focus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take a picture of a user to be actually photographed more clearly.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디스플레이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되어 있는 카메라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를 촬영하는 경우 특정 위치의 사용자를 보다 간단하고 선명하게 촬영을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display a plurality of users through a camera,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hotograph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촬영을 수행하여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촬영에 있어서 포커스의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촬영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특정 위치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camera capable of generating an image by capturing an image and adjusting focus in the capturing;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generated by the camera;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amera to adjust the focus based on a user at a specific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when a plurality of users are recognized as being photograph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가운데에 위치한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amera to adjust the focus based on a user located in the cent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밀집 정도가 소정치 이상인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ocus based on a position where the degree of density of the plurality of user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im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포커스안내UI를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isplay a focus guidance UI indicating the specific position.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포커스안내UI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포커스안내UI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move the focus guidance UI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d control the focu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moved focus guidance UI.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위치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상기 포커스안내UI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포커스안내UI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포커스안내UI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displays a plurality of focus guidance UIs when the specific position is plural, and adjusts the focus based on the posi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ocus guidance U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저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저장UI를 나타내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 storage UI for selecting whether to store the photographed image, and may store the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a user's input.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음성 또는 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입력될 수 있다.The input of the user may be input to at least one of voice or mo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포커스의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촬영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특정 위치의 사용자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capturing an image using a camera capable of adjusting focus; determining whether a plurality of users are photographed on the captured image; Designating a user at a specific location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and adjusting the focus based on the designated user.

상기 특정 위치의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가운데에 위치한 사용자로 지정할 수 있다.The user at the specific location can be designated as a user located in the cent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상기 영상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밀집 정도가 소정치 이상인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와;Designating a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users in the image in which the degree of crowdednes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지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d adjusting the focus based on the designated position.

상기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포커스안내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displaying a focus guidance UI indicating the specific position.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포커스안내UI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동된 포커스안내UI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oving the focus guidance UI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adjusting the focu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moved focus guidance UI.

또한, 상기 특정 위치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상기 포커스안내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포커스안내UI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포커스안내UI의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Displaying a plurality of focus guidance UIs when the specific position is a plurality of focus guidance UIs; designating a posi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ocus guidance UI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a user's inpu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focus guidance UIs; And adjusting the focus based on the designated position.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의 저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저장UI를 나타내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displaying a storage UI for selecting whether to store the photographed image, and storing the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a user's input .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음성 또는 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입력될 수 있다.The input of the user may be input to at least one of voice or motion.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되어 있는 카메라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를 촬영하는 경우 특정 위치의 사용자를 보다 선명하게 촬영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users ar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provided on a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obtain a clearer picture of a user at a specific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블록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용 상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제어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5 are diagrams showing a usage stat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schematic control flowchart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을 도시해 보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는 외부 환경에 대한 동영상/정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0), 외부와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는 통신부(20), 사용자입력부(80)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 수신부(30), 수신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40),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 소정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1,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10 for capturing a moving image / still image for an external environment, a communication unit 2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and the like with the outside, a user input unit 80 A display unit 50 for displaying an image, a display unit 50 for displaying an image, a display unit 50 for displaying an image, a display unit 50 for displaying an image, A control unit 60 for controlling operations, and a storage unit 70 for storing predetermined data.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디스플레이장치(1)는 카메라(10)가 착탈식으로 연결되거나 내장형으로 마련되어 있는 TV, 컴퓨터 모니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휴대폰 등과 같이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든 형식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바, 구체적인 구현 예시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display device 1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can display video images by processing video signal / video data such as a TV, a computer monito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mobile phone, etc., which are detachably connected or buil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카메라(10)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착탈식으로 연결되거나 내장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1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외부 환경을 감지 및 촬영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10)는 소정 시간 동안 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외부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50)의 전방의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10)는 줌(zoom), 포커싱(focusing), 틸팅(tilting)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The camera 1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 or may be built-in. The camera 10 senses and photographs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display device 1. [ The camera 10 can monitor the external environ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photographs an area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50 to acquire an image. The camera 10 may have functions of zooming, focusing, tilting, and the like.

상기 통신부(20)는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뿐 아니라, 디스플레이장치(1)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나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너(미도시)와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0)는 외부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이외에도, 영상처리장치의 정보/데이터/신호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통신부(20)는 외부장치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만 한정할 수 없으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20)는 블루투스(Bluetooth), IR(Infrared),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 공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선통신을 위한 공지의 통신포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0 may be configured not only to receive signals / data from an external input, but also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tuner (Not shown). ≪ / RTI > In addition to receiving a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20 may transmit information / data / signal of the image processing device to an external device.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20 can not be limited to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a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and can be implemented as an interface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20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for publicly known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IR, UWB (Ultra Wideband), ZigBee, And may further comprise a communication port.

상기 통신부(20)는 상기 카메라(10)가 디스플레이장치(1)에 착탈식으로 마련되는 경우 카메라(10)가 촬영한 촬영영상 데이터를 제어부(60)로 전달하고, 제어부(60)로부터 상기 카메라(1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신호를 카메라(10)로 전송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0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 to the control unit 60 when the camera 1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display device 1,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camera 10. In this case,

상기 사용자입력 수신부(30)는 사용자입력부(80)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제어부(60)에 전달한다.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30 transmits various preset control commands or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60 through the user input unit 80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input.

상기 사용자입력부(80)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마련된 메뉴 키(미도시), 입력 패널(미도시), 마이크(82), 카메라(10)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리모컨 또는 키보드 등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디스플레이장치(1)에 연결되어 제어 커맨드 등을 제어부(6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5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 입력메뉴를 터치함으로써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어부(60)에 전달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80 may be realized by a menu key (not shown), an input panel (not shown), a microphone 82, a camera 10, or the like provided on the display device 1, Or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 and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or the like to the control unit 60. Alternatively, when the display unit 50 is a touch screen, the user can touch the input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to display a predetermined command To the control unit (60).

상기 마이크(82)는 사람의 음성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되는 커맨드 또는 정보를 제어부(60)에 전달하고, 상기 카메라(10)는 사람의 동작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되는 커맨드 또는 정보를 제어부(60)에 전달한다. The microphone 82 recognizes a human voice and transmits a corresponding command or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60. The camera 10 recognizes a human action and transmits a corresponding command or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60. [ .

상기 영상처리부(40)는 상기 통신부(20)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처리부(40)는 영상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기 위하여 영상신호에 대하여 디모듈레이션(demodulation), A/D변환(analog-to-digital convert), 디코딩(decoding), 디멀티플렉싱 (de-multiplexing)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4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서 영상이 소정 크기로 표시될 수 있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밝기, 컬러, 콘트라스트(contrast) 등과 같은 영상의 특성을 조정하거나,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이미지 인핸스먼트(image enhancement)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40 processes a video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0 so that an image can be displayed. The image processor 40 performs demodulation, analog-to-digital (A / D) conversion, decoding, and de-multiplexing on an image signal to extract an image from the image signal. And so on.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40 may perform scaling so that the image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size on the display unit 50, and may adju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such as brightness, color, contrast, Or various image enhancement processes may be perfor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mage.

상기 영상처리부(40)는 상기 통신부(2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상기 카메라(1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신호 및 상기 저장부(70)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및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소스영상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40)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50)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 처리된 소스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40 includes a video signal source and a video source including a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0, a video signal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 and a video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70 And performs a predetermined image processing process for the source image including the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The image processing unit 40 outputs the processed image signal to the display unit 50 so that the processed source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영상처리부(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50 may display an image on the basis of a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40. The display unit 50 is not limited to a liquid crystal, a plasma, a light-emitting diode,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carbon nanotube, nano-tube, nano-crystal, and the like.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5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5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상기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5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50 is a liquid crystal type, the display unit 5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not shown), a backlight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light thereto, And may include a substrate (not shown).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카메라(10)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The display unit 50 displays images captured through the camera 10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the images.

상기 저장부(70)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서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예컨대, 정보 표시, 영상의 밝기, 볼륨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참조되는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저장부(7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O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The storage unit 70 is a non-volatile memory (Writable ROM) such as a flash memory or a hard disk, and stores information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 includes all information referred to in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information display, image brightness, volume, and the like. The display device 1 executes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70 to perform an operation. The program includes an OS, an application program, and the like.

상기 저장부(70)는 상기 카메라(10)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70 may store an image or a photograph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0.

상기 제어부(60)는 디스플레이장치(1)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의 메모리와,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로딩하는 램과 같은 휘발성의 메모리와, 로딩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display device 1 as a whole. The control unit 60 includes a control program,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for storing the control program, a volatile memory such as a RAM for loading at least a part of the control program, and a microprocessor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카메라(10)로 촬영된 영상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촬영되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특정 위치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10)의 포커스를 조정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ocus of the camera 10 based on a user at a specific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when a plurality of users are photographed from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 [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2 to 4 are use stat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측에 카메라(1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10)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다. 상기 카메라(10)는 포커스 조정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방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2, the display device 1 is provided with a camera 10 on the upper side thereof, and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The camera 10 is capable of adjusting the focus, and photographs the front area of the display device 1 to generate an image.

상기 카메라(1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방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6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지 판단하고,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있으면 상기 제어부(60)는 특정 위치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10)의 포커스를 조정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에서 특정 위치의 사용자를 지정하는 것은 예컨대,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가운데 위치한 사용자(c)의 위치를 특정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amera 10 photographs the front area of the display device 1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control unit 60. [ The controller 6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lurality of users in the captured image, and if there is a plurality of users in the captured image, the controller 60 adjusts the focus of the camera 10 on the basis of a user at a specific position .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user at a specific location can be set to a specific location, for example, the location of the user c located in the center among a plurality of users.

상기 제어부(60)는, 상기에서와 같이 특정 위치를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가운데 위치한 사용자(c)의 위치로 설정하는 경우, 가운데 위치한 사용자(c)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카메라(10)의 포커스를 조정하고 영상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카메라(10) 촬영 모드 중 하나의 모드 예컨대, 파티 모드 등으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파티를 하는 경우 다수의 사람들을 촬영하면 일반적으로 파티의 주인공은 가운데 위치하므로, 상기 파티 모드로 설정하여 영상을 촬영하면 자동적으로 가운데 위치한 주인공을 기준으로 포커스를 조정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controller 60 automatically adjusts the focus of the camera 10 on the basis of the centered user c when the specific position is set to the position of the user c located in the center among a plurality of users as described above. And images can be taken to generate an image. This function can be used by setting one of the camera 10 photographing modes, for example, a party mode,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a user performs a party, when a large number of people are photographed, since the main character of the party is generally located in the center, when the image is set by setting the party mode, the focus is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the central character, You can shoot.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60)는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있으면 특정 위치의 사용자에 포커스안내UI(52)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포커스안내UI(5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입력은 음성, 모션, 리모컨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60 may control to display a focus guidance UI 52 to a user at a specific position when a plurality of users are present in the photographed image. The controller 60 may move the focus guidance UI 52 according to a user's input. At this time, the user's input can be inputt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voice, motion, remote control, and the like.

상기 포커스안내UI(52)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각각의 위치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있으면 우선 상기 포커스안내UI(52)가 가운데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에 표시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음 사용자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포커스안내UI(52)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현재 표시되는 위치를 지정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현재 지정된 위치의 포커스안내UI(52)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10)의 포커스를 조정하도록 제어한다.The focus guidance UI 52 is displayed at each position of a plurality of users in the photographed image. For exampl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in the photographed image, the focus guidance UI 52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of the user positioned at the center, and the focus guidance UI 52 can be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next user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When the focus guidance UI 52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the user can designate the currently displayed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ocus guidance UI 52, (10).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각각의 위치에 상기 포커스안내UI(52)를 모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포커스안내UI(52)가 모든 사용자의 위치에 표시되면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80)를 통하여 원하는 위치의 포커스안내UI(52)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복수의 포커스안내UI(52) 중에서 하나의 포커스안내UI(52)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포커스안내UI(52)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10)의 포커스를 조정한다.The controller 60 may display all the focus guidance UIs 52 at the respectiv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users in the photographed image. In this way, when a plurality of focus guidance UIs 52 are displayed at the positions of all users, the user can select the focus guidance UI 52 at a desired position through the user input unit 80. When one of the focus guidance UIs 52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focus guidance UIs 52 by user input, the controller 60 controls the camera 10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focus guidance UI 52, To adjust the focus.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에 마련되어 있는 카메라(10)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여러 그룹으로 나뉘어서 나타나면, 제어부(60)는 상기 복수의 그룹 중에서 사용자의 밀집 정도가 소정치 이상인 그룹의 위치를 특정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10)의 포커스를 조정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그룹 중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은 그룹을 특정 위치로 설정하면, 제어부(60)는 촬영된 영상에서 복수의 그룹의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고, 각각의 그룹의 사용자의 수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가장 많은 그룹(m)을 기준으로 카메라(10)의 포커스를 조정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10)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4개의 그룹으로 나타난다. 각 그룹에는 사용자가 4명, 3명, 3명, 2명 이렇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어부(60)는 각 그룹 중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은 즉, 4명이 있는 그룹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위치를 기준으로 카메라(10)의 포커스를 조정한다. 이때, 그룹을 지정하는 것은 사용자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그 거리가 소정치 이하인 경우를 하나의 그룹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when a plurality of user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in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0 provided in the display apparatus 1,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whether the density of users in the plurality of groups is small Sets a position of a group having a value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to a specific position, and controls the focus of the camera 10 based on the specific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the group with the largest number of users among the plurality of groups, the controller 60 grasps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groups in the photographed image, grasps the number of users in each group, The focus of the camera 10 is controlled on the basis of the group m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groups m.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a plurality of users are displayed in four groups on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0. FIG. Each group consists of four, three, three, or two users. Therefore, the control unit 60 grasps the position of the group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users among the groups, that is, four groups, and adjusts the focus of the camera 10 based on the posi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user is determined by designating the group, and a case where the distan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determined as one group.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60)는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여러 그룹으로 나뉘어서 나타나면, 특정 위치의 사용자 그룹에 포커스안내UI(52)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포커스안내UI(5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입력은 음성, 모션, 리모컨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unit 60 may control the focus guidance UI 52 to be displayed on a user group at a specific position when a plurality of user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in the captured image. The controller 60 may move the focus guidance UI 52 according to a user's input. At this time, the user's input can be inputt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voice, motion, remote control, and the like.

상기 포커스안내UI(52)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복수의 사용자 그룹의 각각의 위치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 그룹이 있으면 우선 상기 포커스안내UI(52)는 사용자가 가장 많은 그룹의 위치에 표시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음 사용자 그룹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포커스안내UI(52)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현재 표시되는 위치를 지정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현재 지정된 위치의 포커스안내UI(52)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10)의 포커스를 조정하도록 제어한다.The focus guidance UI 52 is displayed at each position of a plurality of user groups in the photographed image. For exampl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 groups in the photographed image, the focus guidance UI 52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of the largest group of users, and may move to the position of the next user group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When the focus guidance UI 52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the user can designate the currently displayed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ocus guidance UI 52, (10).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복수의 사용자 그룹의 각각의 위치에 상기 포커스안내UI(52)를 모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포커스안내UI(52)가 모든 사용자 그룹의 위치에 표시되면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80)를 통하여 원하는 위치의 포커스안내UI(52)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복수의 포커스안내UI(52) 중에서 하나의 포커스안내UI(52)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포커스안내UI(52)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10)의 포커스를 조정한다.The controller 60 may display all of the focus guidance UI 52 at each position of a plurality of user groups in the captured image. When a plurality of focus guidance UIs 52 are displayed at the positions of all the user groups, the user can select the focus guidance UI 52 at a desired position through the user input unit 80. [ When one of the focus guidance UIs 52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focus guidance UIs 52 by user input, the controller 60 controls the camera 10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focus guidance UI 52, To adjust the focus.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복수의 사용자 그룹 각각에 표시된 복수의 포커스안내UI(52) 중에서 하나의 포커스안내UI(52)를 선택하면, 카메리(10)의 틸팅 기능을 이용하여 선택된 사용자 그룹을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는 영상의 중심에 오도록 조정할 수 있고, 카메라(10)의 줌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그룹을 보다 크게 촬영 할 수도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one focus guidance UI 52 from among the plurality of focus guidance UIs 52 display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groups, the control unit 60 displays the selected focus group using the tilting function of the camera 10 Can be adjusted to come to the center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and the user group can be photographed larger using the zoom function of the camera 10. [

상기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카메라(10)의 포커스를 조정하여 영상을 촬영하면, 제어부(60)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70)에 저장할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저장UI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고 촬영된 영상을 입력 또는 취소할 수 있다. When the focus of the camera 10 is adjusted to capture an image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control unit 60 may display a storage UI so that the user can select whether or not to store the captured image in the storage unit 70 have. At this time, the user can confirm the photographed image and input or cancel the photographed image.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제어 흐름도이다. 6 to 8 are schematic control flowchart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1)에 마련되어 있는 포커스의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10)가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고(S10), 상기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촬영되었는지 판단하고(S11), 상기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촬영되었으면(S11의 YES)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특정 위치의 사용자를 지정한다(S12). 그리고, 상기 지정된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10)의 포커스를 조정한다(S13). 만약, 상기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촬영되지 않았으면(S11의 NO) 카메라(10)는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값을 기준으로 포커스를 조정한다. 6,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focus of a display device 1 in which a camera 10 capable of adjusting a focus provided on the display device 1 photographs an image in front of the display device 1 (S11). If a plurality of users are photographed on the photographed image (YES in S11), a user at a specific position is designa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S12). Then, the focus of the camera 10 is adjusted based on the designated user (S13). If a plurality of users are not photographed on the photographed image (NO in S11), the camera 10 adjusts the focus on the basis of the previously set value.

상기에서 특정 위치의 사용자를 지정하는 단계(S12)는 예컨대,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가운데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를 특정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사용자가 여러 그룹으로 나뉘어서 있는 경우 복수의 그룹 중에서 사용자의 밀집 정도가 소정치 이상인 위치 즉, 복수의 그룹 중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은 그룹을 특정 위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In the step S12 of designating a user at a specific location, for example, the user can set the location of a user located in the center among a plurality of users to a specific location. Alternatively, when a plurality of user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group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users among the plurality of groups as a specific position, in a place where the degree of crowdedness of the users among the plurality of groups i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의 다른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1)에 마련되어 있는 포커스의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10)가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고(S20), 상기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촬영되었는지 판단하고(S21), 상기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촬영되었으면(S21의 YES)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특정 위치의 사용자에 포커스안내UI(52)를 표시한다(S22).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포커스안내UI(52)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S23),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포커스안내UI(52)를 위치 시키면, 상기 이동된 포커스안내UI(52)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10)의 포커스를 조정한다(S24). 만약, 상기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촬영되지 않았으면(S21의 NO) 카메라(10)는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값을 기준으로 포커스를 조정한다.7, the other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focus of the camera 10, which is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1, (S21). When a plurality of users have been photographed on the photographed image (YES in S21), a user at a specific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UI 52 is displayed (S22). Then, the user can move the focus guidance UI 52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S23). At this time, when the user places the focus guidance UI 52 at a desired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moved focus guidance UI 52 The focus of the camera 10 is adjusted on the basis of the focus (step S24). If a plurality of users are not photographed on the photographed image (NO in S21), the camera 10 adjusts the focus based on the previously set value.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의 또 다른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1)에 마련되어 있는 포커스의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10)가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고(S30), 상기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촬영되었는지 판단하고(S31), 상기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촬영되었으면(S31의 YES)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에 복수의 상기 포커스안내UI(52)를 표시한다(S32). 그리고 상기 복수의 포커스안내UI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포커스안내UI(52)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S33) 상기 선택된 포커스안내UI(52)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10)의 포커스를 조정한다(S34). 만약, 상기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촬영되지 않았으면(S31의 NO) 카메라(10)는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값을 기준으로 포커스를 조정한다.8, another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focus of the camera 10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1, (S31). If a plurality of users are photographed (S31), a plurality of users are photographed on the photographed image (YES in S31) The guidance UI 52 is displayed (S32).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ocus guidance UIs 52 i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inpu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focus guidance UIs in step S33, The focus is adjusted (S34). If a plurality of users are not photographed on the photographed image (NO in S31), the camera 10 adjusts the focus on the basis of the previously set values.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1 : 디스플레이장치 10 : 카메라
20 : 통신부 30 : 사용자 입력부
40 : 영상처리부 50 : 디스플레이부
60 : 제어부 70 : 저장부
80 : 사용자 입력부
1: Display device 10: Camera
20: communication unit 30: user input unit
40: image processing unit 50:
60: control unit 70:
80: User input

Claims (16)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촬영을 수행하여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촬영에 있어서 포커스의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촬영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특정 위치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In the display device,
A camera for generating an image by performing photographing and adjusting a focus in the photograph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generated by the camera;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amera to adjust the focus based on a user at a specific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when a plurality of users are recognized as being photographed on the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가운데에 위치한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amera to adjust the focus based on a user located in the cent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밀집 정도가 소정치 이상인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ocus to be adjusted based on a position where the density of the plurality of users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포커스안내UI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 focus guidance UI indicating the specific posi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포커스안내UI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포커스안내UI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moves the focus guidance UI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d controls the focus based on a position of the moved focus guidance UI.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위치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상기 포커스안내UI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포커스안내UI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포커스안내UI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 plurality of focus guidance UIs when the specific position is a plurality of focuses and controls the focus based on the posi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ocus guidance UI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a user's input And th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저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저장UI를 나타내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 storage UI for selecting whether or not to store the photographed image, and stores the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a user's input.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음성 또는 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Wherein the input of the user is at least one of voice or motion.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포커스의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촬영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특정 위치의 사용자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Capturing an image using a camera capable of adjusting focus;
Determining whether a plurality of users are photographed on the photographed image;
Specifying a user at a specific location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And adjusting the focus based on the designated us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의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가운데에 위치한 사용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user at the specific location is a user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plurality of use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밀집 정도가 소정치 이상인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Designating a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users in the image in which the degree of crowdednes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adjusting the focus based on the designated posi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포커스안내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displaying a focus guidance UI indicating the specific position.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포커스안내UI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동된 포커스안내UI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Moving the focus guidance UI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d adjusting the focus based on a position of the moved focus guidance UI.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상기 포커스안내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포커스안내UI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포커스안내UI의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pecific positions,
Displaying a plurality of the focus guidance UIs;
Designating a posi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ocus guidance UIs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d adjusting the focus based on the designated position.
제9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의 저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저장UI를 나타내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Displaying a storage UI for selecting whether to store the photographed image;
And storing the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an input of a user.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음성 또는 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claims 13 to 15,
Wherein the input of the user is at least one of voice or motion.
KR20130095287A 2013-08-12 2013-08-1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500190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5287A KR20150019009A (en) 2013-08-12 2013-08-1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5287A KR20150019009A (en) 2013-08-12 2013-08-1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009A true KR20150019009A (en) 2015-02-25

Family

ID=5257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5287A KR20150019009A (en) 2013-08-12 2013-08-1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900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9383B2 (en) Capture and user interface using night mode processing
KR102302197B1 (en)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373333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ensing based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and image photographing method therefor
WO2020238380A1 (en) Panoramic photography method and terminal device
EP2991338A1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cameras
EP3174283B1 (en) Preview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9106836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where continuous shooting or single shooting is performed based on touch
US20130215322A1 (en) Document camera with automatically switched operating parameters
WO2016035421A1 (en) Pan/tilt operation device, camera system, program for pan/tilt operation, and pan/tilt operation method
US9838609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zooming function
JP6426484B2 (en) Mobile terminal
JP20140573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amera preview screen of portable terminal device
CN111182205A (en) Photograph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CN111093023B (en) Video shoot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773116B1 (e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17520876A (en) Button operation processing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in one-hand mode
US20160182860A1 (en) Methods for performing image capture and real-time image display on physically separated or separable devices and apparatus therefor
KR102657340B1 (en) Control method for device cradle
US1157584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cradle and composing images
US9742987B2 (en) Image pickup display apparatus, image pickup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21067807A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program
JP6685185B2 (en) Communication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10090623A (en) Home network terminal being capable of tracking face and method thereof
JP6761228B2 (en) Display devices and their control methods, programs, and storage media
KR20150019009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