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720A -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720A
KR20150018720A KR20130094840A KR20130094840A KR20150018720A KR 20150018720 A KR20150018720 A KR 20150018720A KR 20130094840 A KR20130094840 A KR 20130094840A KR 20130094840 A KR20130094840 A KR 20130094840A KR 20150018720 A KR20150018720 A KR 20150018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tagging
advertisement data
information
targe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상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8720A/ko
Publication of KR2015001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도 위치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서비스 제공 기술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광고 데이터 및 상기 광고 데이터의 광고 대상에 대한 정보를 담은 타게팅 정보를 입력받고, 광고 데이터에 타게팅 정보를 태깅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태깅 광고 데이터를 타게팅 정보에 기초하여 송출하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 및 상기 중앙 광고 송출 장치로부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태깅 광고 데이터를 특정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전송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도 위치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 장치의 성능 향상 및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급속한 개발로 인해 휴대 단말 장치는 종래의 단순한 전화의 용도를 넘어 점차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게임, 음악, 영화, 증권 서비스 등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또한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 변화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의 제조사 및 통신 사업자들은 물론 일반 사용자 또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배포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기존 온라인 광고 분야에서도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해서 광고를 제공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단말의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위치 기반의 광고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다. 특정 위치에 있는 단말의 사용자에게는, 특정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근접한 곳에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에 대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의 위치 기반 광고 제공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단말이 GPS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면, 보고받은 GPS 정보를 중앙 광고 플랫폼이 종합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광고 스케쥴링 로직을 별도로 구현할 필요가 있다.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3-0012273호는 "타깃 광고 시스템, 광고 타기팅 장치 및 그 방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장치 및 그 구매 이력 정보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도 위치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GPS 정보를 보고 받지 않아도 되는 위치 기반 광고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위치 기반 광고 스케쥴링 로직 없이 위치 기반 광고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앙 광고 송출 장치는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및 상기 광고 데이터의 광고 대상에 대한 정보를 담은 타게팅 정보를 입력받는 광고 등록 인터페이스부; 상기 광고 데이터에 상기 타게팅 정보를 태깅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태깅부;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중앙 저장부; 및 상기 중앙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상기 타게팅 정보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로 송출하는 중앙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타게팅 정보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타게팅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앙 저장부는, 복수개의 타게팅 위치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태깅부는, 상기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타게팅 위치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태깅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타게팅 정보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태깅부는, 상기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태깅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타게팅 정보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타게팅 위치 및 상기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태깅부는, 상기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타게팅 위치 및 상기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태깅하여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중앙 통신부는, 상기 광고 플랫폼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선별한 후, 상기 선별된 중간 광고 제공 장치에서 상기 타게팅 위치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선별하여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각각이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단말에 서비스한 통계치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통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간 광고 제공 장치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중앙 광고 송출 장치로부터 타게팅 정보가 태깅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간 수신부; 상기 중간 수신부에서 수신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특정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중간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특정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페이징 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간 수신부는 상기 중앙 광고 송출 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개의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중간 전송부는, 상기 복수개의 태깅 광고 데이터 중 랜덤하게 선택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상기 특정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상기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간 전송부가 상기 단말에 전송한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에 대한 통계 정보를 산출하는 통계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간 전송부는, 상기 통계 산출부에서 산출한 통계 정보를 상기 중앙 광고 송출 장치에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앙 광고 송출 방법은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및 상기 광고 데이터의 광고 대상에 대한 정보를 담은 타게팅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광고 데이터에 상기 타게팅 정보를 태깅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하는 단계를 통하여 저장된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상기 타게팅 정보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타게팅 정보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타게팅 위치 또는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복수개의 타게팅 위치 또는 복수개의 광고 플랫폼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타게팅 위치 또는 광고 플랫폼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태깅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간 광고 제공 방법은 중앙 광고 송출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중간 수신부에 의하여, 중앙 광고 송출 장치로부터 타게팅 정보가 태깅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저장부에,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중간 전송부에 의하여,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특정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중앙 광고 송출 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개의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태깅 광고 데이터 중 랜덤하게 선택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상기 특정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상기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광고 데이터 및 상기 광고 데이터의 광고 대상에 대한 타게팅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광고 데이터에 상기 타게팅 정보를 태깅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상기 타게팅 정보에 기초하여 송출하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 및 상기 중앙 광고 송출 장치로부터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특정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전송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도 위치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위치 기반 광고 서비스 제공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모바일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GPS 정보를 보고 받을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이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 내로 진입한 정보만으로 위치 기반의 광고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 기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위치 기반 광고 스케쥴링 로직이 필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스케줄링과 광고 송출을 위한 비교 로직을 구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중앙광고 플랫폼의 성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중앙 광고 송출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말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단말에 광고가 제공된 모습을 도시한 일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단말에 광고가 제공된 모습을 도시한 다른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의 중앙 광고 플랫폼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7의 송출 플랫폼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은 도 10의 광고 등록 및 태깅 단계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중앙 광고 송출 장치(100), 중앙 광고 송출 장치(1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제 1 및 2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a, 2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제 1 및 2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a, 200b)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 1 및 2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a, 200b)는 기지국 외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중앙 광고 송출 장치(100)와 통신하며, 원격으로 제 1 및 2 단말(300a, 300b)에 광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제 1 및 2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a, 200b)는 기지국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 1 및 2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a, 200b)는 제 1 및 2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각각의 범위들(A, B)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단말 즉, 제 1 및 2 단말(300a, 300b)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단말(300a) 및 제 2 단말(300b)은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네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광고 송출 장치(100), 제 1 및 2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a, 200b), 제 1 및 2 단말(300a, 300b)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도 2 내지 4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중앙 광고 송출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광고 송출 장치(100)는 광고 등록 인터페이스부(110), 태깅부(120), 중앙 저장부(130), 태그 확인부(140), 중앙 통신부(150), 및 통계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고 등록 인터페이스부(110)는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및 타게팅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 때, 타게팅 정보는 광고 데이터의 광고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해당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타게팅 위치에 대한 정보, 및 해당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태깅부(120)는 광고 등록 인터 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입력받은 광고 데이터에 타게팅 정보를 태깅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태깅부(120)는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타게팅 위치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광고 데이터에 태깅할 수 있다. 타게팅 위치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는 중앙 저장부(130)에 매칭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태깅부(120)는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광고 데이터에 태깅할 수 있다. 타게팅 정보가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타게팅 위치 및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태깅부(120)는 타게팅 정보에 포함된 타게팅 위치 및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모두 광고 데이터에 태깅한다.
중앙 저장부(130)는 태깅부(120)에서 생성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저장한다. 중앙 저장부(130)는 복수개의 타게팅 위치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즉,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앙 저장부(130)는 A 지역에 대하여는 제 1 기지국 및 제 1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a)에 대한 정보를 매칭 저장하며, B 지역에 대하여는 제 2 기지국 및 제 2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b)에 대한 정보를 매칭 저장한다. 또한, 중앙 저장부(130)는 복수개의 광고 플랫폼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태그 확인부(140)는 후술하는 중앙 통신부(150)를 통하여 각 중간 광고 제공 장치에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전달하기 전에, 태깅 광고 데이터의 태그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태그 확인부(140)는 태깅 광고 데이터의 태그를 확인하여 어느 중간 광고 제공 장치에 태깅 광고 데이터를 보낼지를 결정할 수 있다.
중앙 통신부(150)는 중앙 저장부(130)에 저장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태그 확인부(140)에서 결정된 중간 광고 제공 장치에 송출한다. 도 1에서 중앙 통신부(150)와 태그 확인부(140)를 별개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중앙 통신부(150)가 태그 확인부(140)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즉, 중앙 통신부(150)는 중앙 저장부(130)에 저장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태깅 광고 데이터의 타게팅 정보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로 송출할 수 있다. 즉,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중앙 통신부(150)는 광고 등록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하여 광고주가 광고를 송출할 지역으로 A 지역을 고르는 경우, 태그를 확인하여 A 지역을 서비스하는 기지국에 상응하는 제 1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a)로 해당 태깅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신부(150)는 광고 등록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하여 광고주가 광고를 송출할 지역으로 B 지역을 고르는 경우, 태그를 확인하여 B 지역을 서비스하는 기지국에 상응하는 제 2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b)로 해당 태깅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신부(150)는 광고 등록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하여 광고주가 선택한 광고 플랫폼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더불어, 타게팅 정보가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타게팅 위치 및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중앙 통신부(150)는 광고 플랫폼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선별한 후 선별된 중간 광고 제공 장치에서 타게팅 위치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최종 선별하여, 최종 선별된 중간 광고 제공 장치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즉, 중앙 통신부(150)는 태깅 광고 데이터의 태그에 타게팅 위치 및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광고 플랫폼을 우선 판단하여 송출할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선별할 수 있다.
제1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a) 및 제2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b)는 각각 하나의 기지국에 상응하는 것일 수도 있고, 복수개의 기지국들에 상응하는 것일 수도 있다.
통계부(160)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100)와 연결된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해당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각각이 태깅 광고 데이터를 단말에 서비스한 통계치를 수신하여 분석한다. 이 때, 통계치는 태깅 광고 데이터를 몇 번 단말들에 제공하였는지,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제공한 시간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는 중간 수신부(210), 저장부(220), 페이징 확인부(230), 중간 전송부(240) 및 통계 산출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는 도 2에 따른 중앙 광고 송출 장치(1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며, 기지국 외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중앙 광고 송출 장치(100)와 통신하며, 원격으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는 기지국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는 도 1의 제 1 및 2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a, 200b) 각각과 동일한 구성이다.
중간 수신부(210)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로부터 타게팅 정보가 태깅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한다. 중간 수신부(210)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개의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중간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가 서비스하는 지역에 송출할 태깅 광고 데이터를 미리 별도의 스토리지 즉,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페이징 확인부(230)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와 연관된 특정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이 특정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 이 때, 페이징 신호는 단말이 해당 특정 기지국으로 핸드 오프하기 위하여 송출하는 시작 신호일 수 있다.
중간 전송부(24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페이징 확인부(230)를 통하여 확인된 특정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전송한다. 그리고, 중간 전송부(240)는 중간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서로 다른 복수개의 태깅 광고 데이터 중 랜덤하게 선택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전송부(240)는 중간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서로 다른 복수개의 태깅 광고 데이터를 기 설정된 광고 정책에 의하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통계 산출부(250)는 중간 전송부(240)가 단말에 전송한 태깅 광고 데이터에 대한 통계 정보를 산출한다. 통계 산출부(250)에서 산출된 통계 정보는 중간 전송부(240)를 통하여 중앙 광고 송출 장치에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단말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300)은 통신부(310) 및 인터페이스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따른 단말(300)은 도 1의 제 1 및 2 단말(300a, 300b) 각각과 동일한 구성이다. 더불어, 단말(300)은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네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와 연관된 기지국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통신부(310)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20)는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320)는 통신부(310)를 통하여 수신한 태깅 광고 데이터를 단말(300)의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이 때, 태깅 광고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여부는 단말(300)의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위치 광고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설정한 단말(300)인 경우에만 해당 태깅 광고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단말(3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단말(300)에 태깅 광고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도 5 및 도 6과 함께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단말에 광고가 제공된 모습을 도시한 일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말(300)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인터페이스부의 디스플레이부(330)의 일 측(330a)에 위치 광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의 도면 부호 330b는 단말(300)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도시한 것이다.
즉, 단말(300)의 사용자가 위치 기반 광고 서비스 제공받기가 이루어지도록 설정한 경우, 중간 광고 제공 장치는 저장부에 저장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단말(300)에 송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단말에 광고가 제공된 모습을 도시한 다른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말(300)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인터페이스부의 디스플레이부(330)의 일 측(330a)에 위치 광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의 도면 부호 330c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 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관련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0)은 중앙 광고 송출 장치(500), 중앙 광고 송출 장치(5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즉, 제 1 및 2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a, 2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제 1 및 2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a, 200b)는 제 1 및 2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각각의 범위들(A, B)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단말 즉, 제 1 및 2 단말(300a, 300b)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0)은 도 1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과 중앙 광고 송출 장치(500)의 구성이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와 함께, 중앙 광고 송출 장치(5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같은 도면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도 7의 중앙 광고 플랫폼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중앙 광고 플랫폼(510)은 광고 등록 인터페이스부(511), 태깅부(512), 중앙 저장부(513), 중앙 통신부(514) 및 통계부(5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고 등록 인터페이스부(511)는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및 타게팅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 때, 타게팅 정보는 광고 데이터의 광고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해당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타게팅 위치에 대한 정보, 및 해당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태깅부(512)는 광고 등록 인터 페이스부(511)를 통하여 입력받은 광고 데이터에 타게팅 정보를 태깅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태깅부(512)는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타게팅 위치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광고 데이터에 태깅할 수 있다. 타게팅 위치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는 중앙 저장부(513)에 매칭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태깅부(512)는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광고 데이터에 태깅할 수 있다. 타게팅 정보가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타게팅 위치 및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태깅부(512)는 타게팅 정보에 포함된 타게팅 위치 및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모두 광고 데이터에 태깅한다.
중앙 저장부(513)는 태깅부(512)에서 생성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저장한다. 중앙 저장부(513)는 복수개의 타게팅 위치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즉,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앙 저장부(513)는 A 지역에 대하여는 제 1 기지국 및 제 1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a)에 대한 정보를 매칭 저장하며, B 지역에 대하여는 제 2 기지국 및 제 2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b)에 대한 정보를 매칭 저장한다. 또한, 중앙 저장부(513)는 복수개의 광고 플랫폼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중앙 통신부(514)는 중앙 저장부(513)에 저장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후술하는 송출 플랫폼으로 전달한다.
통계부(515)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500)와 연결된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해당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각각이 태깅 광고 데이터를 단말에 서비스한 통계치를 수신하여 분석한다. 이 때, 통계치는 태깅 광고 데이터를 몇 번 단말들에 제공하였는지,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제공한 시간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송출 플랫폼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송출 플랫폼(520)은 수신부(521), 태그 확인부(522) 및 타게팅 전송부(5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521)는 도 8의 중앙 광고 플랫폼(510)의 중앙 통신부(514)에서 전달하는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한다.
태그 확인부(522)는 후술하는 타게팅 전송부(523)를 통하여 각 중간 광고 제공 장치에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전달하기 전에, 태깅 광고 데이터의 태그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태그 확인부(522)는 태깅 광고 데이터의 태그를 확인하여 어느 중간 광고 제공 장치에 태깅 광고 데이터를 보낼지를 결정할 수 있다.
타게팅 전송부(523)는 태깅 광고 데이터를 태그 확인부(522)에서 결정된 중간 광고 제공 장치에 송출한다. 도 9에서 타게팅 전송부(523)와 태그 확인부(522)를 별개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타게팅 전송부(523)가 태그 확인부(522)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즉, 타게팅 전송부(523)는 수신부(521)에 수신한 태깅 광고 데이터를, 해당 태깅 광고 데이터의 타게팅 정보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로 송출할 수 있다. 즉, 도 7과 함께 참조하면, 타게팅 전송부(523)는 광고 등록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하여 광고주가 광고를 송출할 지역으로 A 지역을 고르는 경우, 태그를 확인하여 A 지역을 서비스하는 기지국에 연결된 제 1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a)로 해당 태깅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타게팅 전송부(523)는 광고 등록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하여 광고주가 광고를 송출할 지역으로 B 지역을 고르는 경우, 태그를 확인하여 B 지역을 서비스하는 기지국에 연결된 제 2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b)로 해당 태깅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타게팅 전송부(523)는 광고 등록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하여 광고주가 선택한 광고 플랫폼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더불어, 타게팅 정보가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타게팅 위치 및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타게팅 전송부(523)는 광고 플랫폼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선별한 후 선별된 중간 광고 제공 장치에서 타게팅 위치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최종 선별하여, 최종 선별된 중간 광고 제공 장치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즉, 타게팅 전송부(523)는 태깅 광고 데이터의 태그에 타게팅 위치 및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광고 플랫폼을 우선 판단하여 송출할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선별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500)가 중앙 광고 플랫폼(510)과 송출 플랫폼(520)으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10 은 도 1 내지 4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0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의 기술 내용은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기술 내용과 동일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중앙 광고 송출 장치(100)에서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및 광고 데이터의 광고 대상에 대한 정보를 담은 타게팅 정보를 입력받아, 광고 데이터 및 타게팅 정보를 등록한다(S101). 이 때, 타게팅 정보는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타게팅 위치에 대한 정보 및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광고 송출 장치(100)의 태깅부에 의하여 광고 데이터에 타게팅 정보를 태깅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한다(S102). 이 때, 생성된 태깅 광고 데이터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100)의 중앙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 때, 중앙 광고 송출 장치(100)의 중앙 저장부는 복수개의 타게팅 위치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단계(S102)에서는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타게팅 위치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광고 데이터에 태깅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02)에서는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광고 데이터에 태깅할 수 있다. 더불어, 단계(S102)에서는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타게팅 위치 및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광고 데이터에 태깅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102)에서 생성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타게팅 정보에 대응되는 기지국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로 송출한다(S103). 태깅 광고 데이터에 타게팅 위치 및 광고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함께 태깅되어 있는 경우, 광고 플랫폼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선별한 후, 선별된 중간 광고 제공 장치에서 타게팅 위치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선별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는 단계(S103)를 통하여 수신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한다(S104). 이 때, 위치 기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태깅 광고 데이터가 저장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의 저장부는 기지국 외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중앙 광고 송출 장치(100)와 통신하며, 원격으로 단말에 광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가 수신하는 태깅 광고 데이터는 서로 다른 광고주에 의하여 등록된 복수개의 태깅 광고 데이터일 수 있다.
이 후,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는 단말(300)로부터 페이징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S105).
단계(S105)를 통하여 단말(300)로부터 페이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300)이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와 연관된 특정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별한다(S106).
그리고,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는 태깅 광고 데이터를 단말(300)에 송출한다(S107). 이 때,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는 저장하고 있는 복수개의 태깅 광고 데이터 중 랜덤하게 선택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S107)를 통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300)은 해당 태깅 광고 데이터를 단말(300)의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S108).
더불어,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는 단계(S107)를 통하여 송출한 태깅 광고 데이터에 대한 통계치를 저장한다(S109).
그리고,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는 단계(S109)에서 저장한 통계치에 대한 내용을 중앙 광고 송출 장치(100)에 전달한다(S110).
단계(S110)를 통하여 통계치에 대한 내용을 전달받은 중앙 광고 송출 장치(100)는 통계치의 내용을 종합 분석한다(S111).
도 11은 도 10의 광고 등록 및 태깅 단계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중 도 10의 단계(S101) 및 단계(S102)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및 광고 데이터의 광고 대상에 대한 타게팅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한다(S201).
그리고, 타게팅 정보에 타게팅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202).
단계(S202)의 판단 결과, 타게팅 정보에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타게팅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타게팅 위치에 대한 정보를 광고 데이터에 태깅한다(S203).
그리고, 타게팅 정보에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204).
단계(S204)의 판단 결과 타게팅 정보에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타게팅 위치에 대한 정보를 광고 데이터에 태깅한다(S205).
그리고, 단계(S202) 내지 단계(S205)를 통하여 태깅된 태깅 정보에 기초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중간 광고 제공 장치에 전달한다(S206). 이 때, 태깅 광고 데이터에 타게팅 위치 및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우선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도 7 내지 도 9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2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의 기술 내용은 도 7 내지 도 9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기술 내용과 동일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중앙 광고 플랫폼(510)에서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및 광고 데이터의 광고 대상에 대한 정보를 담은 타게팅 정보를 입력받아, 광고 데이터 및 타게팅 정보를 등록한다(S301). 이 때, 타게팅 정보는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타게팅 위치에 대한 정보 및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광고 플랫폼(510)의 태깅부에 의하여 광고 데이터에 타게팅 정보를 태깅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한다(S302). 이 때, 생성된 태깅 광고 데이터는 중앙 광고 플랫폼(510)의 중앙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 때, 중앙 광고 플랫폼(510)의 중앙 저장부는 복수개의 타게팅 위치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단계(S302)에서는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타게팅 위치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광고 데이터에 태깅할 수 있다. 또한, 단계(S302)에서는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광고 데이터에 태깅할 수 있다. 더불어, 단계(S302)에서는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타게팅 위치 및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광고 데이터에 태깅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후, 중앙 광고 플랫폼(510)에서 생성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송출 플랫폼(520)으로 전달한다(S303).
송출 플랫폼(520)은 태깅 광고 데이터를 태깅 정보에 기초하여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로 송출한다(S304). 태깅 광고 데이터에 타게팅 위치 및 광고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함께 태깅되어 있는 경우, 광고 플랫폼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선별한 후, 선별된 중간 광고 제공 장치에서 타게팅 위치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선별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는 단계(S304)를 통하여 전달받은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한다(S305).
이 후,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는 단말(300)로부터 페이징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S306).
단계(S306)를 통하여 단말(300)로부터 페이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300)이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와 연관된 특정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별한다(S307).
그리고,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는 태깅 광고 데이터를 단말(300)에 송출한다(S308). 이 때,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는 저장하고 있는 복수개의 태깅 광고 데이터 중 랜덤하게 선택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S308)를 통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300)은 해당 태깅 광고 데이터를 단말(300)의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S309).
더불어,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는 단계(S308)를 통하여 송출한 태깅 광고 데이터에 대한 통계치를 저장한다(S310).
그리고, 중간 광고 제공 장치(200)는 단계(S310)에서 저장한 통계치에 대한 내용을 중앙 광고 플랫폼(510)에 전달한다(S311).
단계(S311)를 통하여 통계치에 대한 내용을 전달받은 중앙 광고 플랫폼(510)는 통계치의 내용을 종합 분석한다(S312).
본 발명에 따른 중앙 광고 송출 방법 및 중간 광고 제공 방법을 포함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원리들의 교시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 저장부 상에서 실재로 구현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임의의 적절한 아키텍쳐를 포함하는 머신에 업로드되고 머신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머신은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들(CPU), 컴퓨터 프로세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입/출력(I/O) 인터페이스들과 같은 하드웨어를 갖는 컴퓨터 플랫폼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플랫폼은 운영 체제 및 마이크로 명령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프로세스들 및 기능들은 마이크로 명령 코드의 일부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고, 이들은 CPU를 포함하는 다양한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추가로, 추가 데이터 저장부 및 프린터와 같은 다양한 다른 주변 장치들이 컴퓨터 플랫폼에 접속될 수 있다.
첨부 도면들에서 도시된 구성 시스템 컴포넌트들 및 방법들의 일부가 바람직하게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므로, 시스템 컴포넌트들 또는 프로세스 기능 블록들 사이의 실제 접속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이 프로그래밍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의 교시들이 주어지면, 관련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이들 및 유사한 구현예들 또는 구성들을 참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보고받지 않은 상황에서 별도의 광고 스케쥴링 로직 없이도, 단말이 중간 광고 제공장치와 연관된 특정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 내로 진입한 정보만으로 위치 기반 광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율이 높아지고 위치 기반의 유효 광고 서비스의 제공의 중요도가 높아지는 추세를 감안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기술은 그 활용도가 적지 않을 것이다.
100, 500; 중앙 광고 송출 장치
110; 광고 등록 인터페이스부 120; 태깅부
130; 중앙 저장부 140; 태그 확인부
150; 중앙 통신부 160; 통계부
200, 200a, 200b; 중간 광고 제공 장치
210; 중간 수신부 220; 저장부
230; 페이징 확인부 240; 중간 전송부
250; 통계 산출부
300, 300a, 300b; 단말
310; 통신부 320; 인터페이스부
510; 중앙 광고 플랫폼
511; 광고 등록 인터페이스부 512; 태깅부
513; 중앙 저장부 514; 중앙 통신부
515; 통계부
520; 송출 플랫폼
521; 수신부 522; 태그 확인부
523; 타게팅 전송부

Claims (16)

  1.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및 상기 광고 데이터의 광고 대상에 대한 정보를 담은 타게팅 정보를 입력받는 광고 등록 인터페이스부;
    상기 광고 데이터에 상기 타게팅 정보를 태깅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태깅부;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중앙 저장부; 및
    상기 중앙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상기 타게팅 정보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로 송출하는 중앙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게팅 정보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타게팅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저장부는,
    복수개의 타게팅 위치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태깅부는,
    상기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타게팅 위치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태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게팅 정보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태깅부는,
    상기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태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타게팅 정보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타게팅 위치 및 상기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태깅부는, 상기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타게팅 위치 및 상기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태깅하여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중앙 통신부는, 상기 광고 플랫폼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선별한 후, 상기 선별된 중간 광고 제공 장치에서 상기 타게팅 위치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선별하여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각각이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단말에 서비스한 통계치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통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
  7. 중앙 광고 송출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중앙 광고 송출 장치로부터 타게팅 정보가 태깅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간 수신부;
    상기 중간 수신부에서 수신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특정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중간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페이징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간 수신부는 상기 중앙 광고 송출 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개의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중간 전송부는,
    상기 복수개의 태깅 광고 데이터 중 랜덤하게 선택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상기 특정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송부가 상기 단말에 전송한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에 대한 통계 정보를 산출하는 통계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송부는,
    상기 통계 산출부에서 산출한 통계 정보를 상기 중앙 광고 송출 장치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
  12.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및 상기 광고 데이터의 광고 대상에 대한 정보를 담은 타게팅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광고 데이터에 상기 타게팅 정보를 태깅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하는 단계를 통하여 저장된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상기 타게팅 정보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광고 송출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타게팅 정보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송출할 타게팅 위치 또는 광고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복수개의 타게팅 위치 또는 복수개의 광고 플랫폼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개의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타게팅 정보에 포함되는 타게팅 위치 또는 광고 플랫폼에 대응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 정보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태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광고 송출 방법.
  14. 중앙 광고 송출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중간 수신부에 의하여, 중앙 광고 송출 장치로부터 타게팅 정보가 태깅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저장부에,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중간 전송부에 의하여,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특정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광고 제공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중앙 광고 송출 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개의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태깅 광고 데이터 중 랜덤하게 선택된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상기 특정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광고 제공 방법.
  16. 광고 데이터 및 상기 광고 데이터의 광고 대상에 대한 타게팅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광고 데이터에 상기 타게팅 정보를 태깅하여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상기 타게팅 정보에 기초하여 송출하는 중앙 광고 송출 장치; 및
    상기 중앙 광고 송출 장치로부터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태깅 광고 데이터를 특정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전송하는 중간 광고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30094840A 2013-08-09 2013-08-09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18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840A KR20150018720A (ko) 2013-08-09 2013-08-09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840A KR20150018720A (ko) 2013-08-09 2013-08-09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720A true KR20150018720A (ko) 2015-02-24

Family

ID=5257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4840A KR20150018720A (ko) 2013-08-09 2013-08-09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87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606B1 (ko)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가맹점 광고방법
JP5973519B2 (ja) データ収集と注目対象広告の方法
US91433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nhanced broadcast advertising
US9859953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dentifying remote computing systems
EP2021999B1 (en) Location-specific delivery of promotional content to mobile consumer device
KR20160030482A (ko)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시퀀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위치에 체크인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3543165A (ja) 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広告方法および装置
US20120117593A1 (en) System and Method of Delivering Advertisements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60019574A1 (en) Securely Managing Transactional History for Targeted Content
KR20170037879A (ko) 검출가능한 방식으로 동적 마크들을 시각적 이미지들에 내장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431306B1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615590B1 (ko) 오프라인 광고와 결합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모바일 장치 및 마케팅 서버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1000A (ko)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광고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US20140108563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Classification of Electronic Device and Servo System
KR20160124066A (ko)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가맹점 광고방법
KR20170050233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비콘, 그를 포함하는 광고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133869A (ko) 비콘을 이용한 일행을 확인하기 위한 단말, pos 단말, 비콘 관리 서버, 비콘 신호 송출기, 일행 관리 서버 및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1196936A (ja) ナビゲーション端末、広告配信システム、並びにナビゲーション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18720A (ko)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31203B1 (ko)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가맹점 광고방법
KR101332983B1 (ko) 이벤트에 연동한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130262208A1 (en) Peer-to-Peer Distribution of Advertising
KR20170006128A (ko) Dsp 연동 시 로그 처리를 위한 광고 송출 서비스 제공 장치, 사용자 장치,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dsp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광고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518839B1 (ko) 네트워크를 통한 교통 승객에 대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광고 서버
KR101569373B1 (ko) 태그를 이용한 자동 배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배차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