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698A -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698A
KR20150018698A KR20130094445A KR20130094445A KR20150018698A KR 20150018698 A KR20150018698 A KR 20150018698A KR 20130094445 A KR20130094445 A KR 20130094445A KR 20130094445 A KR20130094445 A KR 20130094445A KR 20150018698 A KR20150018698 A KR 20150018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sation
anonymous
user
chat
part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4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드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드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드퀸
Priority to KR20130094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8698A/ko
Publication of KR20150018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93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messaging or cha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identity of one or more communicating identities is hidd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3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연락처를 알고 있는 지인과의 익명 대화를 통해 자신의 고민을 공유하여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이 알고 있거나 목격한 반사회적 행위나 피해 사례를 익명으로 제보함으로써, 학교나 사회의 약자(피해자)를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구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불특정 다수가 익명의 감시자이자 제보자가 되므로 범죄 발생율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신이 원할 경우 익명대화를 차단하고 채팅방을 삭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익명성을 악용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언어폭력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anonymous talk service based on call number provider system and method for realizing anonymous talk thereof}
본 발명은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락처를 알고 있는 지인과의 익명 대화 및 익명 제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는 최근 스마트폰의 선풍적인 인기에 힘입어 널리 보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업체와 사용자들 사이에서 흔히 "톡(talk) 서비스"라고 불리우고 있다. 이러한 톡 서비스는 기존의 SMS(Short Message Service) 서비스와 달리 무료로 문자를 전송할 수 있고 커뮤니티 그룹 간에 상호 대화가 실시간으로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32229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는 전화번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여 아이디(ID)를 등록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 없이, 문자 메시지를 보내듯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톡 서비스는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 사이에서 음성통화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 하루일과의 대부분이 수업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음성통화가 가능한 시간이 한정되어 있고 통화내용을 주위 사람들이 듣게 되는 반면 톡 서비스는 무음의 문자 서비스로서 부모님이나 선생님 또는 주위 사람들이 자신과 상대방의 대화 내용을 알아챌 수 없어 서로의 고민이나 궁금한 점을 비밀리에 공유할 수 있으므로 감수성이 예민한 사춘기 청소년들이 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한편, 최근들어 초, 중, 고등학교에서는 학교폭력, 음주, 흡연 등 여러가지 잘못된 행위와 피해 사례가 늘어나,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학교 내에서 일어나는 문제는 학생들 스스로 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 미성숙한 단계에 있는 학생들이라 합리적이고 원활한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행정부처와 일선 학교에서는 학교 보안관 제도, 고민 상담 프로그램, 학교폭력 근절 프로그램 등 다양한 방안을 내놓고 있지만 결국 학생들이 솔직하게 자신의 고민이나 자신이 알고 있는 반사회적인 문제들을 부모님이나 선생님들과 공유하면서 해결해 나가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 내에서 일어나는 폭력적이고 학생신분을 벗어난 일련의 문제 행동들에 대해 학생들의 자발적인 고민상담이나 제보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신변을 보호받으면서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익명 대화 채널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32229호 (등록일 2013.02.05)
본 발명의 목적은, 연락처를 알고 있는 지인과 익명대화를 통해 자신의 고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신이 알고 있거나 목격한 반사회적 행위나 피해 사례를 익명으로 제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신이 원할 경우 익명대화를 차단하고 채팅방을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보 영상이나 화면을 익명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서비스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익명 대화 모드 또는 실명 대화 모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앱 서버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대화모드를 익명 대화모드에서 실명 대화모드로, 또는 실명 대화모드에서 익명 대화모드로 변경하는 대화모드 처리부, 현재 대화모드가 익명 대화모드인 경우, 익명 대화를 요청한 대화상대방의 이름을 익명으로 표시하는 대화명 처리부, 상기 대화상대자와의 채팅방을 생성하며, 상기 대화상대방이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대화내용과 사용자가 입력한 대화내용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채팅 처리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부; 및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간에 채팅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메시지 서버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은,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대화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대화상대자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와 익명 대화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은,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친구" 목록에서 대화 상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는 실명으로 이루어지는 "1:1 대화" 또는 익명으로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익명 대화"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와 익명 대화를 실시하고, 사용자가 "1:1 대화"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와 실명 대화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은,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다양한 영역의 상담을 전문으로 하는 전문가 집단에서 대화상대자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의지에 따라 자신이 선택한 상담 전문가와 실명으로 이루어지는 "1:1 대화" 또는 익명으로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익명 대화"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와 익명 대화를 실시하고, 사용자가 "1:1 대화"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와 실명 대화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은,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는 대화상대자로 경찰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의지에 따라 자신이 선택한 경찰과 실명으로 이루어지는 "1:1 대화" 또는 익명으로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익명 대화"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자신이 선택한 경찰과 익명 대화를 실시하고, 사용자가 "1:1 대화"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자신이 선택한 경찰과 실명 대화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락처를 알고 있는 지인과의 익명대화를 통해 자신의 고민을 공유하고, 자신이 알고 있거나 목격한 반사회적 행위나 피해 사례를 익명으로 제보함으로써, 학교나 사회의 약자(피해자)를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구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불특정 다수가 익명의 감시자이자 제보자가 되므로 범죄 발생율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신이 원할 경우 익명대화를 차단하고 채팅방을 삭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익명성을 악용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언어폭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의 개념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마스크 챗)을 탑재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a, 102b, 102c)의 상세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을 가장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마스크 챗)의 로딩 화면이다.
도 6은 사용자와 "친구"간에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사용자와 "친구"간에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 과정을 나타내는 주요 화면들이다.
도 11은 사용자와 "AMA" 간에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사용자와 "AMA"간에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 과정을 나타내는 주요 화면들이다.
도 17은 사용자와 "경찰"간에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하기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의 개념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나(10)"를 중심으로 크게 "친구(20)" 그룹과 "AMA(Ask Me Anything)" 그룹이 존재한다. 여기서, "나(10)"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가칭: 마스크 챗(mask chat),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 및 마스크 챗은 동일 의미로 기재됨)를 이용하는 서비스 이용자이고, "친구(20)"은 동갑 친구, 선배 또는 후배와 같이 편하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모든 대화 상대자를 의미한다. 그리고, "AMA(30)"는 멘토(mentor:30)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고민, 범죄, 법률, 교육, 의료에 관한 상담을 제공하는 전문가 집단(혹은 익명 상담을 희망하는 일반인)또는 경찰이나 선생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와 "친구", "나"와 "AMA" 간에 이루어지는 "마스크 챗"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먼저 영어권에서는 가면 대화, 프랑스어권에서는 고양이 가면을 의미하는 용어로서, 자신의 신분이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를 의미한다.
이처럼, "나(10)"를 비롯하여 "친구(20)"와 "AMA(30)"에 등록되어 있는 대화상대자들은 모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마스크 챗)을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스마트폰)에 다운로드함으로써, "나(10)"와 "친구(20)" 사이, 그리고 "나(10)"와 "AMA(30)"간에는 익명대화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나(10)"와 "친구(20)"는 대개 친구관계이므로 일상생활에 관한 편한 대화 내지 개인적인 고민에 관한 가벼운 대화가 오갈 수 있다. 그리고, "AMA(30)"은 사회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서, "AMA(30)"에게는 보다 심도있는 고민 상담을 통하여 나의 고민이나 내가 알고 있는 지인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조언을 구하거나 내가 당하고 있거나 내가 알고 있는 반사회적 문제들을 제보하여 보다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사건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학생들은 자신이 학교 폭력의 피해자를 알고 있거나 자신이 학교 폭력의 피해자인 경우, 경찰이나 선생님에게 이러한 사실을 익명으로 제보하여 도움을 청함으로써, 피해자의 정신적/육체적 고통을 덜어줄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청소년의 자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나(10)"와 "친구(20)"간에는 익명대화를 기본으로 하나, "나"와 "친구" 모두 익명대화 모드를 실명대화 모드로, 또는 실명대화 모드를 익명대화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대방과의 익명 대화는 상대방이 마스크 챗 기능을 활성화 시켰을 경우에만 익명 대화 신청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대방이 익명대화가 가능한 시간을 지정했을 경우에는 지정된 시간동안 익명 대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익명대화 상대자가 익명대화 중 욕설, 비방등의 언어폭력을 저지를 경우에는 대화상대자를 차단하거나 신고할 수 있고, 채팅내용 및 채팅방을 삭제함으로써, 익명을 이용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폭력에 대해서도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그리고, "나(10)"와 "AMA(30)"간에는 익명대화를 기본으로 한다. 왜냐하면, "나(10)"와 "AMA(30)"간에 이루어지는 대화는 "나(10)"와 "친구(20)"간에 이루어지는 대화에 비하여 보다 무거운 주제, 예를 들면 자신만의 비밀스런 고민이나 자신이 알고 있는 반사회적인 사건등에 대한 상담이나 제보가 주(主)를 이루기 때문이다. 일 예로, 학생들이 학교 안에서나 학교 주변에서 벌어지는 폭력적인 사건들을 교사에게 실시간으로 익명제보하면서 학교폭력이나 도난 발생률이 줄어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나(10)"는 나 자신의 고민, 지인의 고민, 나 자신이 알고 있는 반사회적 문제를 비롯하여 각종 범죄, 법률, 교육, 의료에 관한 상담을 전문가와 익명 상담 혹은 익명 제보를 통해 자살, 폭력등의 사회병리현상을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크게 앱 서버(100),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a, 102b, 102c) 및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메시지 서버(106)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인터넷 및 CDMA, 셀룰라, GSM, W-CDMA,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EEE 802.11 표준을 따르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방식을 포함한다.
상기 앱 서버(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 지도, 정보, 영화, 뉴스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운로드 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개발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앱 스토어(Apps store)를 통해 상기 앱 서버(100)에 등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앱 서버(100)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을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 한다. 이때, 상기 앱 서버(100)를 통해 제공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져 앱을 비롯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은 애플, 구글, SK플래닛, 다음(DAUM), 네이버(NAVER)에서 제공하는 앱 스토어(Apps store)를 통해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a, 102b, 102c)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104a, 104b, 104c)을 탑재한 "나", "친구" 및 "AMA"가 소유하고 있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를 총칭한다. 물론, 실질적으로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마스크 챗을 다운로드받은 사람의 수에 따라 무수히 많이 존재하지만 본 발명의 설명 편의를 위하여 "나"를 중심으로 대표적인 유저 집단인 "친구"과 "AMA" 소유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구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a, 102b, 102c)는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혹은 스마트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a, 102b, 102c)는 상기 앱 서버(100)의 앱 스토어(Apps store)로부터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104a, 104b, 104c)을 다운로드 받아 구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a, 102b, 102c)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104a, 104b, 104c)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a, 102b, 102c)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를 채팅을 위한 대화상대방정보로 등록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익명대화 메신저 서비스 또는 실명대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104a, 104b, 104c)은 익명대화 중 욕설, 비방 등의 대화내용을 입력하는 대화상대방을 차단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신고할 수도 있으며, 대화상대방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채팅방과 채팅내용을 모두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 서버(106)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a, 102b, 102c) 간에 채팅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시지 서버(106)는 예컨대 애플, 구글, SK플래닛, 다음(DAUM), 네이버(NAVER)에서 운영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마스크 챗)을 탑재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a, 102b, 102c)의 상세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a, 102b, 102c)는 크게 조작부(108), 표시부(110), 통신부(112), 저장부(114) 및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상기 조작부(108)는 사용자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으로서, 키 버튼, 터치패널, 필기체 입력수단, 음성 인식수단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0)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는 영역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2)는 무선 네트워크와 음성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영역으로서, 예컨대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및 무선통신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통신부(112)는 다양한 버젼의 CDMA, 셀룰라, GSM, W-CDMA 방식등 현존하는 방식은 물론, 향후에 등장할 이동통신방식의 무선통신회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통신부(112)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EEE 802.11 표준을 따르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기술의 표준을 따르는 무선통신회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14)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104a, 104b, 104c), 즉 마스크 챗이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대화상대방정보 DB(116)와, 채팅정보 DB(118)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화상대방정보 DB(116)는 대화상대방의 연락처, 이름, 생일, 배경화면 이미지를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와 대화차단목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채팅정보 DB(118)는 채팅방 식별정보와 대화내용을 포함하는 채팅목록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저장부(114)에 저장된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104a, 104b, 104c)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역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대화모드 처리부(122), 대화명 처리부(124), 채팅 처리부(126) 및 대화차단 처리부(128)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화모드 처리부(122), 대화명 처리부(124), 채팅 처리부(126) 및 대화차단 처리부(128)는 프로그램 코드로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예를 들어 애플 앱스토어, 구글플레이와 같은 상용화된 앱 스토어(Apps store)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화모드 처리부(122)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대화모드를 익명 대화모드에서 실명 대화모드로, 또는 실명 대화모드에서 익명 대화모드로 변경한다. 그리고, 대화모드 변경을 위한 사용자 조작은, 예컨대 화면에 표시되는 '대화모드 설정 아이콘'을 터치하는 동작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화모드 처리부(122)는 대화모드를 실명 대화모드에서 익명 대화모드로 변경하는 경우 '익명 대화 아이콘 이미지'에 하이라이트 표시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대화모드 처리부(122)는 대화모드를 익명 대화모드에서 실명 대화모드로 변경하는 경우 '실명 대화 아이콘 이미지'에 하이라이트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대화모드 처리부(122)는 다수의 대화상대방을 초청하여 그룹 채팅을 진행하는 경우에도, 익명 대화 전환 버튼 입력을 통해 실명 대화모드를 익명 대화모드로, 또는 익명 대화모드를 실명 대화모드로 변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대화명 처리부(124)는 현재 대화모드가 익명 대화모드인 경우, 익명 대화를 요청한 대화상대방의 이름을 익명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채팅 처리부(126)는 채팅방을 생성하며, 대화상대방이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대화내용과 사용자가 입력한 대화내용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채팅방 식별정보와 대화내용을 채팅정보 DB(118)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채팅 처리부(126)는 일례로 제1 대화상대방이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1 채팅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 채팅방 삭제 요청메시지가 입력되면 채팅정보 DB(118)에서 제1 채팅방 식별정보와 대화내용을 삭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제1 채팅방 식별정보와 대화내용을 별도보관한 경우에는 제1 대화상대방과의 채팅방 식별정보와 대화내용이 삭제되지 않으나 향후 동일한 대화상대방, 즉 제1 대화상대방과 대화를 이어나가더라도 해당 채팅방에서는 대화가 이어지지 않고 별도의 채팅방이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채팅 처리부(126)는 채팅방 삭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채팅정보 DB(118)에서 제1 채팅방 식별정보와 대화내용을 삭제함과 동시에 채팅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채팅방 삭제 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대화상대방이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대화차단 처리부(128)는 제1 대화상대방에 대한 대화차단 이벤트가 발생하면 대화상대방정보 DB(116)의 대화차단목록에 제1 대화상대방정보를 등록하고, 대화상대방정보 DB(116)의 대화차단목록에서 제1 대화상대방정보를 삭제한다.
그러면, 도 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마스크 챗)을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을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을 가장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그리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챗"의 로딩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00단계에서는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을 구동시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챗"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킨다(도 5 참조).
제202단계에서 사용자는 "마스크 챗" 초기 화면에 표시되는 '대화모드 설정 아이콘'을 터치하여 실명 대화모드를 익명 대화모드로 변경하거나 익명 대화모드를 실명대화모드로 변경한다.
제204단계에서 사용자는 현재 대화 모드가 익명 대화 모드인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익명 대화 모드일 경우에는 제206단계로 진행된다.
제206단계에서는 대화상대자를 선택한다. 이때, 대화상대자는 친구나 전문 상담가 또는 선생님일 수 있다.
제208단계에서는 상기 제206단계에서 선택한 대화상대자와 "마스크 챗"을 통한 익명 대화를 실시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대화상대자와의 익명 대화를 통해 자신의 고민을 솔직하게 털어놓음으로써 우울한 기분을 떨쳐 버리거나 해법을 찾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학생일 경우, 학교 폭력 사실을 선생님이나 경찰에 익명 제보함으로써, 피해자를 위험으로부터 신속하게 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학교 폭력이 발생되는 현장을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첨부함으로써, 익명 제보의 신빙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210단계에서는 상기 대화상대자와의 익명 대화를 종료한다. 이때, 상기 대화상대자와의 익명 대화를 종료할 경우에는 익명 대화 종료 의사를 밝히고 익명 대화를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04단계에서 자신이 익명 대화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212단계로 진행되어 익명 대화 모드를 실명 대화 모드로 변경한 후, 제214단계로 진행되어 대화 상대방과 실명 대화를 실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대화모드를 실명 대화모드에서 익명 대화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익명 대화 아이콘 이미지에, 익명 대화모드에서 실명 대화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실명 대화 아이콘 이미지에 하이라이트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화상대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채팅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채팅방 삭제 요청메시지가 입력되면 채팅정보 DB에서 상기 채팅방 식별정보와 대화내용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상기 채팅방 삭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채팅정보 DB에서 상기 채팅방 식별정보와 대화내용을 삭제하고, 상기 채팅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채팅방 삭제 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대화상대방이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화상대방에 대한 대화차단 이벤트가 발생하면 대화상대방정보 DB의 대화차단목록에 상기 대화상대방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대화상대방에 대한 대화차단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대화상대방정보 DB의 대화차단목록에서 상기 대화상대방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중의 하나로서, 양자간 서로의 연락처를 알고 있는 사용자와 친구간에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10은 사용자와 친구간에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 과정을 나타내는 주요 화면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00단계에서는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을 구동시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챗"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킨다.
제302단계에서 사용자는 "친구" 목록에서 대화 상대를 선택한다(도 7참조).
제304단계에서 사용자는 실명으로 이루어지는 "1:1 대화" 또는 익명으로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를 선택한다(도 8참조).
제306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익명 대화"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제308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의 대화창이 익명 대화 모드인지를 확인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챗 이용자들은 자신의 선택에 따라 익명/실명 모드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가 현재 어떤 대화 모드 상태로 설정해 놓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확인 결과,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가 익명 대화 모드일 경우에는 제310단계로 진행되어 대화상대자와 익명 대화를 실시한다(도 9참조).
그리고, 익명 대화 시에도 대화상대방이 대화도중 비방이나 욕설을 하여 대화를 차단하거나, 신고의 필요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즉, 제312단계에서 익명 대화 상대방이 대화도중 비방이나 욕설을 하여 대화를 차단하거나, 신고의 필요성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대화 차단이나 신고의 필요성이 없을 경우에는 제316단계로 진행되어 익명 대화를 순조롭게 종료한다. 그러나, 대화상대방이 대화도중 비방이나 욕설을 하여 대화를 차단하고 싶을 제314단계로 진행되어 상대방의 프로필 사진을 클릭한다. 그러면, 신고 화면이 나타나는데 신고하기를 누르면 상대방이 차단되어 더 이상 상대방의 대화 내용은 수신되지 않는다(도 10참조). 그리고, 이처럼 친구를 차단하면 차단된 상대방은 친구목록에서 삭제되고, 채팅방 또한 삭제된다.
한편, 사용자가 "1:1 대화"를 원할 경우에는 제318단계로 진행되어 자신이 선택한 친구와 "1:1 대화"를 실시한다. 상기 "1:1 대화"는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와 실명 대화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1:1 대화" 시 사용자, 즉 대화를 시도한 사람의 실명은 공개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용자가 대화상대자로 선택한 친구는 익명 상태로 대화를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제320단계에서는 대화상대방이 대화도중 비방이나 욕설을 하여 대화를 차단하거나, 신고의 필요성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대화 차단이나 신고의 필요성이 없을 경우에는 제322단계로 진행되어 "1:1 대화"를 순조롭게 종료하게 된다. 그러나, 대화상대방이 대화도중 비방이나 욕설을 하여 대화를 차단하거나, 신고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제314단계로 진행되어 상대방의 프로필 사진을 클릭한다. 그러면, 신고 화면이 나타나는데 신고하기를 누르면 상대방이 차단되어 더 이상 상대방의 대화 내용은 수신되지 않는다(도 10참조). 그리고, 이처럼 친구를 차단하면 차단된 상대방은 친구목록에서 삭제되고, 채팅방 또한 삭제된다.
이러한 "1:1 대화"는 비록 대화상대방에게 자신의 신분을 밝히고 대화하는 것이나, 상기 대화상대방은 사용자 자신이 직접 선택한 사람인 만큼 신뢰하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1:1 대화"를 통해서도 자신의 고민을 솔직하게 털어놓을 수 있고, 이처럼 솔직한 대화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큰 만족감을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08단계에서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가 익명 대화 모드가 아닐 경우에는 제324단계로 진행되어 다른 대화상대방을 선택할 것인지를 확인한다. 다른 상대방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에는 "마스크 챗"을 종료하고, 다른 상대방을 선택할 경우에는 제326단계로 진행되어 제324단계에서 선택한 다른 대화상대자의 대화 모드가 익명 대화 모드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익명 대화 모드일 경우에는 제310단계로 진행되어 익명 대화를 진행하게 되고, 익명 대화 모드가 아닐 경우에는 제324단계로 되돌아가 다른 대화상대자를 선택할 것인지를 계속해서 확인한다.
이처럼, 연락처를 기반으로 한 타인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고민을 해소하거나 조언을 구할 수 있어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즉, "1:1 대화" 는 비록 대화상대방에게 자신의 신분을 밝히고 대화하는 실명 대화 방식이기는 하나, 상기 대화상대방은 사용자 자신이 직접 선택한 사람인 만큼 신뢰하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1:1 대화"를 통해서도 자신의 고민을 솔직하게 털어놓을 수 있고, 이처럼 솔직한 대화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큰 만족감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1:1 대화"에 비해 자신과 상대방의 신분을 모르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의 경우, 자신의 고민에 대해 익명의 상대와 보다 진솔한 대화를 나눔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학생일 경우, 성적 문제나 따돌림 문제 또는 학교 폭력 사실을 선생님이나 경찰에 익명 제보함으로써, 자신이 피해자인 경우는 물론 자신이 알고 있는 피해자를 폭력의 위험으로부터 신속하게 구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중의 하나로서, 사용자와 "AMA"간에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6은 사용자와 "AMA"간에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 과정을 나타내는 주요 화면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400단계에서는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을 구동시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챗"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킨다.
제402단계에서 사용자는 AMA 목록에서 대화 상대를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404단계로 진행되어 "All" 또는 "카테고리(category)"를 선택하게 된다(도 12 참조).
이어서, 제406단계로 진행되어 사용자가 "All" 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제408단계로 진행되어 모든 입점 기관들을 디스플레이한다(도 12 참조). 그리고, 제410단계에서는 대화 상대자를 선택하고 제412단계로 진행되어 상기 자신이 선택한 대화 상대자와 실명 대화인 "1:1 대화" 또는 "익명 대화"를 선택한다.
상기 제412단계에서 "익명 대화"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제414단계로 진행되어 자신이 선택한 대화 상대방과 익명 대화를 실시한다. 그리고, 익명 대화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416단계로 진행하여 익명 대화창을 닫음으로써, 대화상대방과의 익명 대화를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제412단계에서 사용자가 "1:1 대화"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제418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와 실명 대화 모드인 "1:1 대화"를 실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406단계에서 사용자가 "All"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420단계로 진행하여 "카테고리"를 선택한다.
이어서, 상기 제422단계에서 "카테고리(상위 카테고리)" 창을 클릭하면,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담기관, 경찰, 경찰청, 학교등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마스크 챗)의 입점기관들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제424단계에서 사용자가 입점 기관, 즉 상위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입점 기관의 성격에 따라 하위 카테고리가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된다(도 14 참조). 도 14는 사용자가 입점 기관을 디스플레이하는 상위 카테고리 중에서 "경찰"을 선택한 화면으로서, "경찰"에 포함되어 있는 각 지방의 단위 경찰서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제426단계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424단계에서 선택된 카테고리 내 대화상대자를 선택한다(도 15 참조).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위 카테고리를 "경찰"로 선택한 뒤, "경찰" 내의 하위 카테고리 중에서 특정 지역에 위치한 경찰서를 클릭하면, 사용자와 익명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대화창이 열리게 된다.
그리고, 대화창이 열리게 되면, 상기 제4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대화상대자와 "1:1 대화" 또는 "익명 대화"를 선택한 뒤, 상기 대화상대자와 실명으로 이루어지는 "1:1 대화" 또는 익명으로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를 나누게 된다. 도 16에는 사용자와 대화상대자가 익명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익명 대화" 창이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스스로 해결하기 힘든 자신만의 고민이 있을 경우, 이를 전문 상담가와 익명 대화를 통해 구체적인 해결책을 조언받거나 그저 솔직히 털어놓는 것만으로도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아직 미약한 청소년들의 경우, 성적 문제, 이성 문제, 집단 따돌림(소위, 은어적인 표현으로 "왕따") 문제 또는 학교 폭력 사실을 스스로 해결하는데는 어려움이 있으며, 실질적으로 청소년들 스스로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자신이나 자신 주위의 친구들이 겪고 있는 이러한 문제들을 전문 상담가나 존경할 수 있는 성직자, 또는 선생님이나 경찰과 익명 대화를 실시하거나 익명 제보함으로써, 자살이나 약물등의 극단적인 상황으로부터 나 자신을 포함한 피해자를 적극적으로 보호해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처럼 사용자와 "AMA"간의 대화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분을 노출시키지 않고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를 원칙으로 하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명 대화인 "1:1 대화" 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자신의 신분을 밝히는 것이므로, 익명 대화를 통해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중에서, 특히 학교 폭력 문제를 근절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와 "경찰"간에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500단계에서는 사용자(청소년)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을 구동시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챗"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킨다.
제502단계에서 사용자는 AMA 목록에서 대화 상대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504단계로 진행되어 "All" 또는 "카테고리(category)"를 선택하게 된다.
이어서, 제506단계로 진행되어 사용자가 "All" 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제508단계로 진행되어 모든 입점 기관들을 디스플레이하게 되며, 사용자는 이처럼 디스플레이되는 입점 기관들중에서 특정 경찰서(또는 경찰)을 선택한다. 이때, 학교 폭력 사건의 특성상 경찰의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므로, 사용자의 주거지역에 인접한 경찰서(경찰)이 우선 순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506단계에서 "카테고리"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여러 개의 주제별 카테고리 중에서 경찰서를 선택하게 되고, 이어서 제508단계로 진행되어 선택한 경찰서에서 익명 상담을 담당하도록 지정된 경찰관을 선택하게 된다.
이어서, 제510단계에서는 자신이 선택한 경찰관과 익명 대화를 나눌 것인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익명 대화를 나누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512단계로 진행되어 익명 상담 지정 경찰관과 익명 대화를 나누게 된다. 또는, 자신이 학교 폭력을 당하고 있거나, 주위에서 학교 폭력을 당하고 있는 피해자를 알고 있을 경우에는 익명 대화에서 더 나아가 익명 제보 형태의 대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학교 폭력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사진이나 동영상이 존재할 경우, 이러한 파일을 경찰관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익명 제보의 신빙성이 보장될 수 있으므로, 이처럼 사건 현장에 대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확인한 경찰은 학교 폭력이 일어나고 있는 사건 현장으로 즉시 출동하여 피해자를 구출하고, 가해자를 제압하거나 검거한다. 또는, 학교 폭력이 발생된 학교를 방문하여 학교측과 공조 수사를 벌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510단계에서의 익명 대화중 통화를 원할 경우에는 "통화" 버튼을 눌러 자신이 선택한 경찰관과 즉시 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처럼 경찰과의 익명 대화를 통해 도움을 받거나 익명 제보를 완료한 사용자는 제514단계로 진행되어 익명 대화 창을 닫음으로써, 익명 대화를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510단계에서 사용자가 익명 대화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516단계로 진행되어 자신이 선택한 경찰과 1:1 대화를 진행하게 된다. 원칙적으로, 사용자와 경찰간의 대화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분을 노출시키지 않고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를 원칙으로 하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명 대화인 "1:1 대화"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자신의 신분을 밝히는 것이므로, 익명 대화를 통해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리고, 상기 제516단계에서의 1:1 대화중 통화를 원할 경우에는 "통화" 버튼을 눌러 자신이 선택한 경찰관과 즉시 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학교 폭력이나 범죄 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아직 미약한 청소년들의 경우, 성적 문제, 이성 문제, 집단 따돌림(은어적 표현으로 "왕따") 문제 또는 학교 폭력 사실을 스스로 해결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학교 폭력등의 문제들이 해결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가해자들의 보복을 두려워하는 피해자들의 신고율 저조와 자신이 직접 학교 폭력의 피해자는 아니지만 그저 방관자로서 친구의 고통을 묵인하고 있는 주변인들의 신고 부재가 그 원인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신고자의 신분을 철저히 보장할 수 있는 익명 대화, 즉 마스크 챗을 도입하여 학생들 스스로 가해자들의 보복 위협을 벗어날 수 있다는 안정감을 주게 된다. 그 결과, 학교 폭력의 신고율이 증가하여 극단적인 해결 방법(자살, 약물등)을 통해 현실의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피해자, 또는 자신이 학교 폭력의 피해자에서 가해자로 변이하는 폐혜를 적극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신이 익명 대화 또는 1:1 대화를 실시했던 경찰은 사용자, 즉 학교 폭력등을 신고한 청소년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친구" 목록에 자동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자신과 대화했던 경찰을 빠른 시간내에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유대감을 돈독히 함과 아울러 학교 폭력등에 대한 재신고시 보다 빠른 제보가 가능하도록 하여 피해자를 보다 신속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앱 서버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대화모드를 익명 대화모드에서 실명 대화모드로, 또는 실명 대화모드에서 익명 대화모드로 변경하는 대화모드 처리부, 현재 대화모드가 익명 대화모드인 경우, 익명 대화를 요청한 대화상대방의 이름을 익명으로 표시하는 대화명 처리부, 상기 대화상대자와의 채팅방을 생성하며, 상기 대화상대방이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대화내용과 사용자가 입력한 대화내용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채팅 처리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부; 및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간에 채팅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메시지 서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모드 처리부에서는 상기 대화모드를 실명 대화모드에서 익명 대화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익명 대화 아이콘 이미지에, 익명 대화모드에서 실명 대화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실명 대화 아이콘 이미지에 하이라이트 표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처리부에서는 상기 대화상대방이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채팅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채팅방 삭제 요청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채팅정보 DB에서 상기 채팅방 식별정보와 대화내용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처리부에서는 상기 채팅방 삭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채팅정보 DB에서 상기 채팅방 식별정보와 대화내용을 삭제하고, 상기 채팅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채팅방 삭제 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대화상대방이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상대방에 대한 대화차단 이벤트가 발생하면 대화상대방정보 DB의 대화차단목록에 상기 대화상대방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대화상대방에 대한 대화차단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대화상대방정보 DB의 대화차단목록에서 상기 대화상대방정보를 삭제하는 대화차단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대화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대화상대자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와 익명 대화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대화모드를 실명 대화모드에서 익명 대화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익명 대화 아이콘 이미지에, 익명 대화모드에서 실명 대화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실명 대화 아이콘 이미지에 하이라이트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상대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채팅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채팅방 삭제 요청메시지가 입력되면 채팅정보 DB에서 상기 채팅방 식별정보와 대화내용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방 삭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채팅정보 DB에서 상기 채팅방 식별정보와 대화내용을 삭제하고, 상기 채팅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채팅방 삭제 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대화상대방이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상대방에 대한 대화차단 이벤트가 발생하면 대화상대방정보 DB의 대화차단목록에 상기 대화상대방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대화상대방에 대한 대화차단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대화상대방정보 DB의 대화차단목록에서 상기 대화상대방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11.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친구" 목록에서 대화 상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는 실명으로 이루어지는 "1:1 대화" 또는 익명으로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익명 대화"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와 익명 대화를 실시하고, 사용자가 "1:1 대화"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와 실명 대화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대화모드를 실명 대화모드에서 익명 대화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익명 대화 아이콘 이미지에, 익명 대화모드에서 실명 대화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실명 대화 아이콘 이미지에 하이라이트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상대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채팅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채팅방 삭제 요청메시지가 입력되면 채팅정보 DB에서 상기 채팅방 식별정보와 대화내용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방 삭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채팅정보 DB에서 상기 채팅방 식별정보와 대화내용을 삭제하고, 상기 채팅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채팅방 삭제 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대화상대방이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상대방에 대한 대화차단 이벤트가 발생하면 대화상대방정보 DB의 대화차단목록에 상기 대화상대방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대화상대방에 대한 대화차단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대화상대방정보 DB의 대화차단목록에서 상기 대화상대방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16.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다양한 영역의 상담을 전문으로 하는 전문가 집단에서 대화상대자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의지에 따라 자신이 선택한 상담 전문가와 실명으로 이루어지는 "1:1 대화" 또는 익명으로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익명 대화"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와 익명 대화를 실시하고, 사용자가 "1:1 대화"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와 실명 대화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17.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메신저 앱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는 대화상대자로 경찰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의지에 따라 자신이 선택한 경찰과 실명으로 이루어지는 "1:1 대화" 또는 익명으로 이루어지는 "익명 대화"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익명 대화"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와 익명 대화를 실시하고, 사용자가 "1:1 대화"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자신이 선택한 대화상대자와 실명 대화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사용자의 주거지역에 인접한 위치의 담당 경찰(경찰서)을 우선 순위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학교 폭력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사진이나 동영상이 자신이 선택한 경찰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경찰과의 "1:1 대화" 또는 "익명 대화" 중 통화를 원할 경우에는 "통화" 버튼을 눌러 자신이 선택한 경찰관과 즉시 통화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익명 대화" 또는 "1:1 대화"를 실시한 경찰은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친구" 목록에 자동 등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구현 방법.
KR20130094445A 2013-08-08 2013-08-08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 KR20150018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445A KR20150018698A (ko) 2013-08-08 2013-08-08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445A KR20150018698A (ko) 2013-08-08 2013-08-08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5822A Division KR20150020019A (ko) 2014-03-27 2014-03-27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698A true KR20150018698A (ko) 2015-02-24

Family

ID=5257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4445A KR20150018698A (ko) 2013-08-08 2013-08-08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869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625A (ko) * 2016-05-27 2018-06-20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서버
CN108965334A (zh) * 2018-09-03 2018-12-07 福建兑信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匿名功能的群聊系统
CN109450894A (zh) * 2018-11-06 2019-03-08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交互方法、装置、系统、服务器用户终端及存储介质
KR20220088229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카카오 저장된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과 서버 및 단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625A (ko) * 2016-05-27 2018-06-20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서버
US10880398B2 (en) 2016-05-27 2020-12-29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Information updating/exchange method, apparatus, and server
CN108965334A (zh) * 2018-09-03 2018-12-07 福建兑信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匿名功能的群聊系统
CN109450894A (zh) * 2018-11-06 2019-03-08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交互方法、装置、系统、服务器用户终端及存储介质
KR20220088229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카카오 저장된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과 서버 및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wson et al.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mental health of prisoners
US10944726B2 (en) Method and application for communicating sensitive information
US10547732B2 (en) Community safety, security, health communicati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providing emergency source tracking
US81655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to an emergency call center
US8126424B2 (en) Personalized message escrow with graphical route representation
Akinfaderin-Agarau et al.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for using new media and mobile phones to expand access to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information and services for adolescent girls and young women in six Nigerian states
US20170331954A1 (en) Identifying information pertinent to an emergent event through social media postings
US20090191840A1 (en) Personalized message escrow
Paredes et al. SOSPhone: a mobile application for emergency calls
CA2662606A1 (en) Personalized message escrow
US20150312739A1 (en) Computer program,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and providing emergency services
CA3099145A1 (en) Verification system
US10812438B1 (en) Integrated telephone applications on online social networks
CN107181671B (zh) 社交信息处理方法和装置
AU2015401019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sensitive incident information and locations to receivers
KR20150018698A (ko)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
US11194540B1 (en) Controlled-environment facility digital bulletin board
Sinha et al. A survey of the mobile phone-based interventions for violence prevention among women
US20210335124A1 (en) Composing and transmitting customized alert messages to responders
Solvoll et al. Strategies to reduce interruptions from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in surgical wards
US9924135B1 (en) Rules-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visitation
US20210407695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motivation to seek and get treatment
Panchanadeswaran et al. Female sex workers' use of mobile phones in India: Lessons in effective engagement
KR20150020019A (ko) 연락처 기반 익명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익명 대화 구현 방법
JP2019029918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