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464A - 장치간 데이터 중계 방법 - Google Patents

장치간 데이터 중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464A
KR20150018464A KR1020140102188A KR20140102188A KR20150018464A KR 20150018464 A KR20150018464 A KR 20150018464A KR 1020140102188 A KR1020140102188 A KR 1020140102188A KR 20140102188 A KR20140102188 A KR 20140102188A KR 20150018464 A KR20150018464 A KR 20150018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lay
base station
data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0431B1 (ko
Inventor
김은경
차재선
박재준
이현
임광재
장성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455,399 priority Critical patent/US9319127B2/en
Publication of KR20150018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중계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를 통해 또는, 복수의 단말 중 제1 단말과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상기 제1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 사이에서 중계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제1 단말과 나머지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를 통해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장치간 데이터 중계 방법 {Method of relay between devices}
본 발명은 기지국과 단말 사이 또는 단말과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단말간 직접 링크를 생성하는 방법이 IEEE 802.11(pre-association discovery, PAD), IEEE 802.15(TG8, peer aware communication, PAC), IEEE 802.16(GRIDMAN TG) 및 3GPP(D2D proximity-based service, ProSe) 등에서 논의 중이다.
근래, 단말간 직접 링크 형성을 통한 서비스는 공공안전(public safety), 재난 통신(disaster relief), 비공공안전(non-public safety 또는 commercial) 등을 포함하는 인접성 기반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 LTE device to device proximity discovery)로 제공된다.
단말간 직접링크를 생성하기 위해서 각 인접 단말은 탐색을 통해 직접 링크 형성 가능성을 판단한다. 직접링크 형성이 가능하면, 각 단말은 인접 단말과 직접 링크를 형성하여 기지국의 도움(중계)없이 직접 데이터를 교환한다. 하지만, 단말이 직접 링크를 생성하고 직접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중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직접 링크를 통한 데이터 교환이 불가능해지거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때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의 도움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직접 링크로 연결된 두 단말 중 하나의 단말이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벗어난 단말의 기지국과의 데이터 교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된 단말이 기지국과 다른 단말의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고, 적어도 두 개의 단말과 직접 링크를 가진 단말이 직접 링크로 연결된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또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기지국과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밖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중계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중계 요청은, 기지국에서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을 바탕으로 결정한 단말에게 전송하는 요청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은,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의 남은 전력량에 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은,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채널 품질 또는 단말과 외부 단말 사이의 직접 링크의 채널 품질에 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은, 기지국에 대한 단말의 상대 위치에 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은, 단말의 이동성에 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기지국으로 단말의 중계 능력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중계하는 단계는, 중계 요청에 대한 수락 의사를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중계하는 단계는, 중계 요청을 수락하지 않는 경우, 중계 요청에 대한 불수락 의사 또는 유보된 수락 의사를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중계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을 탐색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과 직접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기지국으로 중계 요청에 대한 인계를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기지국이 새롭게 선정한 중계 단말로 중계 역할을 인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이 새롭게 선정한 중계 단말로 중계 역할의 인계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중계 단말로 중계 역할을 인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의 리스트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데이터는, 목적지 단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중계 단말이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복수의 단말 중 제1 단말과 복수의 단말 중 제1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 사이에서 중계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제1 단말과 나머지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단말로부터 데이터에 대한 중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결정하는 단계는, 나머지 단말 중 제2 단말로부터 데이터에 대한 중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새로운 단말이 제1 단말과 직접 링크를 생성한 후 제1 단말이 전송한 중계에 대한 인계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새로운 단말로 중계 역할을 인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제1 단말로 중계에 대한 인계를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제1 단말이 선정한 새로운 단말로 중계 역할을 인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계 단말이 기지국과 단말 사이 또는 단말과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고, 이때, 기지국은 중계 단말 선정 조건(단말의 이동성, 단말의 위치, 채널 품질 및 단말의 남은 전력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중계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데이터 중계 시나리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단말의 중계 역할 인계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장치(Devic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T, MS, AMS, HR-MS, SS, PSS, AT, UE,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소형 기지국,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BS, ABS, HR-BS, 소형 기지국,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HR-R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단말 1(121) 및 단말 2(122)는 기지국(120)과 다른 단말(단말 3 및 단말 4)(123, 124)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는 단말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20)은 네트워크(110)를 통해 서버(101), 지시자(commander)(102) 또는 지휘부(command center)(103)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 1의 단말 1(121) 및 단말 2(122)는 유형1에 포함된다. 즉, 유형1에 포함된 단말은 기지국과 다른 하나의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단말 1(211)은 기지국(200)과 다른 복수의 단말(단말 2 내지 단말 6)(212 내지 216)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는 단말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2(212)는 최초 기지국(200)과 연결되어 있다가, 이동하여(212 -> 212') 단말 1(211)과 직접 링크를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도 2의 단말 1(211)은 유형2에 포함된다. 즉, 유형2에 포함된 단말은 기지국과 다른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단말 8(308)은 직접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두 개의 단말(단말 1 및 단말 9)(301, 309)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는 단말이다. 또한, 도 3의 단말 2(302)는 하나의 단말(단말 1)(301)과 복수의 단말(단말 3 내지 단말 7)(303 내지 307)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을 중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 3의 단말 8(308)은 유형3에 포함되고, 도 3의 단말 2(302)는 유형4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유형3에 포함된 단말은 단말간 직접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두 개의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고, 유형4에 포함된 단말은 단말간 직접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하나의 단말 및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데이터 중계 시나리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데이터는 기지국과 단말 사이, 또는 단말과 단말 사이에서 중계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과 단말 사이 또는 단말과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는 단말간 직접 링크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단말에 의해 중계될 수 있다.
시나리오1은, 하나의 단말(단말 1)(411)이 기지국(410)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 이상의 단말(단말 2)(412)이 기지국(410)의 서비스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 1(411)이 기지국(410)과 단말 2(412)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상황을 설명한다.
시나리오2는, 모든 단말이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경우(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더라도 기지국이 관여하지 않는 경우가 포함됨), 단말 4(424)가 두 개의 단말(단말 3 및 단말 5)(423, 425)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상황을 설명한다.
시나리오3은,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 7(437)이, 기지국(430)의 서비스 영역 밖에 위치한 단말(단말 6 및 단말 8)(436, 438)과 기지국(430)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고, 또한 두 개의 단말(단말 6 및 단말 8)(436, 438)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상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말이 기지국과 단말 또는 단말과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할 때, 중계역할 단말의 선정 및 재선정에 관한 조건과, 중계역할 단말의 선정 및 재선정 절차가 고려될 수 있다.
먼저, 중계역할 단말의 선정 및 재선정에 관한 조건을 설명한다.
통상의 단말은 기지국과의 연결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이후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단말이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등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유지할 수 없을 때, 다른 단말의 중계를 통해 특정 단말에 대한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단말과 기지국 간의 연결이 유지되고 있더라도, 다른 단말의 데이터 중계로 인해 전송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특정 단말과 기지국 사이 또는 특정 단말과 다른 특정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특정 단말이 주변의 복수의 단말에게 그룹 통신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특정 단말과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다. 이때 특정 단말이 복수의 단말과 그룹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이동성으로 인한 서비스 영역 이탈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단말의 전력이 고려될 수 있다. 단말이 한정된 전력으로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전력이 중요한 고려 요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중계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중계 가능 단말)에게 현재 전력량을 보고할 것을 요청하고, 보고 요청을 수신한 단말은 보고 요청을 전송한 기지국으로 현재 잔여 전력량을 보고한다. 이후, 기지국은 보고 받은 전력량을 참고하여 중계 가능 단말 중 중계 단말을 선정한다. 이때 기지국은, 남은 전력량이 가장 큰 단말을 중계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기준 전력의 크기를 미리 정하여, 특정 단말의 전력이 기준 전력보다 많이 남아 있는 경우 전력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잔여 전력량을 보고하는 대신 기준 전력보다 많이 남아있는 지 여부에 대한 정보만 전송하여, 기지국이 단말을 선정 시 보고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기준 전력보다 많은 단말 중 임의로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중계 단말은 기준 전력보다 적은 전력량인 경우 기지국에 해당하는 정보 1)기준전력보다 전력량이 감소하였다는 사실 또는 2)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여 기지국이 중계 단말을 재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중계 역할 단말과의 송수신 채널의 품질이 고려될 수 있다. 특정 단말이 데이터를 중계하는 경우, 특정 단말과 연결된 두 개 이상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의 링크는 다른 단말과 사이에 형성된 직접 링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은, 단말 사이의 직접 링크의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중계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중계될 단말과의 채널 상태가 가장 양호한 단말을 중계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채널 상태의 기준 양호도를 미리 정하여, 기준 양호도 이상의 채널 상태를 갖는 단말은 채널 품질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에게 채널 품질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채널 품질 정보 보고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데이터 중계를 위해 기지국의 요청에 의해서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중계 단말은 기준 채널상태 이하로 채널상태가 품질이 안 좋아지는 경우 기지국에 해당하는 정보 1)기준 채널 상태 이하의 채널 품질 상태 또는 2) 채널품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여 기지국이 중계 단말을 재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중계 단말 선정에 있어서, 단말의 위치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외곽에 위치한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중계 단말의 기지국에 대한 상대 위치에 따라 기지국과 중계 단말 사이의 채널 상태 및 목적 단말과 중계 단말 사이의 채널 상태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과 목적 단말 사이에 위치한 중계 단말의 위치가 중계 단말 선정의 중요한 요소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또한, 중계 단말 선정에 있어서, 단말의 이동성(또는 이동 속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중계 단말이 이동하게 되면 링크의 채널 상태가 변하므로, 기지국은 정지된 단말 또는 이동성이 적은 단말을 중계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성을 판단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의 이동성(빠름, 보통, 느림 등의 단계 또는 구체적인 속도 크기)을 단말이 기지국에 보고하거나 기지국이 단말의 이동성을 유추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중계를 위한 단말 선정을 위한 조건(전력량, 채널상태, 이동성 등)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건을 조합하여 데이터 중계를 위한 단말로 선정/재선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 중 중계 역할에 적합한 단말을 미리 지정하여 그 단말에게 중계를 요청할 수 있다. 도 2의 단말 1 또는 도 3의 단말 2가 기지국이 미리 중계 단말로 지정한 단말이 될 수 있다.
다음, 중계역할 단말의 선정 및 재선정 절차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위와 같은 조건을 바탕으로 중계 단말을 선정하면, 기지국은 중계 단말로 선정된 단말에게 중계를 요청한다.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요청을 수신한 단말은, 요청을 수락하여 중계 역할을 수행하고 수락 의사를 기지국에게 전달한다. 또는, 단말은 중계 역할을 수행하지 않고, 중계 요청의 불수락(또는 유보된 수락) 의사를 기지국에게 전달한다.
중계 단말로부터 수락 의사를 수신한 기지국은 중계 단말의 단말간 장치 탐색 이후, 중계 단말의 데이터 중계를 통해 서비스 영역 외곽의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중계 단말은 이미 생성된 직접 링크를 통해 외곽의 단말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고 또는 데이터 중계가 필요한 외곽의 단말을 탐색하고 탐색된 외곽의 단말과 직접 링크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단말의 중계 역할 인계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처음에, 단말 1(511)은 기지국(500)에 의해 중계 단말로 선정되어 단말 3(513), 단말 4(514) 및 단말 5(515)와, 기지국(500)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한다. 이후, 단말 1(511)은 단말 2(512)에게 중계 역할을 인계(role over) 할 수 있다. 이때, 기존 중계 단말인 단말 1(511)은, 새로운 중계 단말인 단말 2(512)에게 중계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중계 역할 인계는 기지국(500)에서 지시할 수도 있고, 단말1(511)이 요청할 수도 있다. 그리고 중계를 위해 필요한 정보는, 중계 단말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말 2(512)가 새로운 중계 단말이 되고, 기지국(50)과 단말 3 내지 단말 5(513 내지 515)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처음에 단말 3(603)은 단말 1(601)과, 단말 4(604) 및 단말 5(605)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이후, 단말 2(602 -> 602')가 단말 1(601)로 근접하게 되고 단말 3(603)이 단말 2(602')에게 중계 역할을 인계하면, 단말 2(602')가 새로운 중계 단말이 되어 단말 4 내지 단말 7(604 내지 607)에게 단말 1(601)의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중계 단말은 아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중계 단말은,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고, 다른 단말과 직접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 중계 단말이 기지국에 초기 접속(attach 또는 entry)할 때, 중계 단말은 기지국으로 중계 능력을 보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중계 능력 또는 단말과 단말 사이의 중계 능력으로 유형을 구분하여 중계 능력을 보고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단말이 보고한 중계 능력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단말이 이웃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등으로 이동하는 경우, 기지국은 이웃 기지국으로 단말의 중계 능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이웃 기지국으로 중계 능력을 보고하지 않을 수 있다.
- 중계 단말은 중계되는 단말의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중계 단말이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통신을 중계하는 경우, 중계 단말은 중계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고자 하는 단말의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어떤 단말이 기지국과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없는 경우, 그 단말은 단말간의 직접 링크를 통해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내에 중계 가능한 단말이 있는지 확인한다.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내에 중계 가능한 단말이 직접 링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면, 단말은 중계 가능 단말에게 중계를 요청하고, 중계 가능 단말은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중계 단말과도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고, 중계 단말을 통해 연결된 서비스 영역 외곽의 단말과도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데이터를 송신할 때, 송신되는 데이터의 목적지에 관한 정보도 데이터에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데이터의 매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헤더에 데이터의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전송하는 경로를 구분하여 데이터의 목적지를 구별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간 직접 링크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 되는 경우에도, 데이터의 목적지에 관한 정보가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소스(source) 단말이 타겟(target) 단말을 향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타겟 단말은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말(중계 단말)이 될 수도 있고 중계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단말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소스 단말은 데이터의 목적지를 중계 단말 및 최종 단말 사이에서 구분시키기 위해, 데이터의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계 단말이 기지국과 단말 사이 또는 단말과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고, 이때, 기지국은 중계 단말 선정 조건(단말의 이동성, 단말의 위치, 채널 품질 및 단말의 남은 전력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중계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9)

  1. 기지국과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밖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중계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중계 요청은,
    상기 기지국에서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을 바탕으로 결정한 단말에게 전송하는 요청인 데이터 중계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은,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의 남은 전력량에 관한 조건을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은,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의 채널 품질 또는 상기 단말과 상기 외부 단말 사이의 직접 링크의 채널 품질에 관한 조건을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5. 제2항에서,
    상기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은, 상기 기지국에 대한 상기 단말의 상대 위치에 관한 조건을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6. 제2항에서,
    상기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은, 상기 단말의 이동성에 관한 조건을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중계 능력을 보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요청에 대한 수락 의사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9. 제1항에서,
    상기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요청을 수락하지 않는 경우, 상기 중계 요청에 대한 불수락 의사 또는 유보된 수락 의사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10. 제1항에서,
    상기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을 탐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과 직접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11. 제1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중계 요청에 대한 인계를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이 새롭게 선정한 중계 단말로 중계 역할을 인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12. 제1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이 새롭게 선정한 중계 단말로 중계 역할의 인계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중계 단말로 상기 중계 역할을 인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13.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의 리스트를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14. 제1항에서,
    상기 데이터는, 목적지 단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15.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중계 단말이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제1 단말과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상기 제1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 사이에서 중계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나머지 단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에 대한 중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17. 제15항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단말 중 제2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에 대한 중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18. 제15항에서,
    새로운 단말이 상기 제1 단말과 직접 링크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단말이 전송한 상기 중계에 대한 인계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새로운 단말로 중계 역할을 인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19. 제15항에서,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중계에 대한 인계를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단말이 선정한 새로운 단말로 중계 역할을 인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KR1020140102188A 2013-08-09 2014-08-08 장치간 데이터 중계 방법 KR102120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55,399 US9319127B2 (en) 2013-08-09 2014-08-08 Method of relay between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994 2013-08-09
KR1020130094994 2013-08-09
KR1020130115300 2013-09-27
KR20130115300 2013-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464A true KR20150018464A (ko) 2015-02-23
KR102120431B1 KR102120431B1 (ko) 2020-06-09

Family

ID=5304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188A KR102120431B1 (ko) 2013-08-09 2014-08-08 장치간 데이터 중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4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543A1 (en) * 2015-03-18 2016-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relay connections in d2d broadcast communication-based network
US10594832B2 (en) 2015-03-18 2020-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relay connections in D2D broadcast communication-based network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4312A1 (en) * 2008-07-24 2011-05-26 Kwon Il W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emergency call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base station
US20110319013A1 (en) * 2008-12-23 2011-12-29 Jung In Uk Method for controlling mobility of terminal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including relay station
KR20120074239A (ko) * 2010-12-27 2012-07-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의 중계 방법
KR20130007957A (ko) * 2011-07-11 2013-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의 중계 방법
WO2013025166A1 (en) * 2011-08-16 2013-02-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bility state aware mobile relay operation
WO2013076933A1 (en) * 2011-11-24 2013-05-30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4312A1 (en) * 2008-07-24 2011-05-26 Kwon Il W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emergency call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base station
US20110319013A1 (en) * 2008-12-23 2011-12-29 Jung In Uk Method for controlling mobility of terminal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including relay station
KR20120074239A (ko) * 2010-12-27 2012-07-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의 중계 방법
KR20130007957A (ko) * 2011-07-11 2013-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의 중계 방법
WO2013025166A1 (en) * 2011-08-16 2013-02-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bility state aware mobile relay operation
WO2013076933A1 (en) * 2011-11-24 2013-05-30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543A1 (en) * 2015-03-18 2016-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relay connections in d2d broadcast communication-based network
US10594832B2 (en) 2015-03-18 2020-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relay connections in D2D broadcast communication-based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431B1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9127B2 (en) Method of relay between devices
JP6569779B2 (ja) マスター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10880792B2 (en) Node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arget PLMN ID and target cell ID
US108274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mo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463477B2 (ja) 中継端末の再選方法及び装置
JP6146832B2 (ja) デバイス間通信のハンドオーバ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9992815B2 (en)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procedure, making handover decis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and control node thereof
KR10174901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US9215643B2 (en) Route selecting device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160044613A1 (en) Notification of relay capabilities for ue-to-network relay functions
US103757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connection setup and communication for power conscious devices
US20120100860A1 (en) Method of managing x2 interface, handover method,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6161759A1 (zh) 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
CN105075385A (zh) 直接模式ue对ue通信中的网络辅助的ue检测
US9504074B2 (en) Method of providing proximity service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supporting proximity service communications
CN111316698A (zh) 用于确定目标plmn id和目标小区id的节点和方法
US201402958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ffic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90335370A1 (en) Methods and system for managing handover procedure in a radio access network
JP2018515013A (ja) サービスルーティングのためのデバイスマネージャ
US202103605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ity optimization
KR20150018464A (ko) 장치간 데이터 중계 방법
US20230156531A1 (en) Coordinated change of protocol data unit session anchors
JP685477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で通信を行う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2023547053A (ja) 第1ネットワークノード、第2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方法
US20130065634A1 (en) Method for communication of terminal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bas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