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989A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989A
KR20150017989A KR1020130094335A KR20130094335A KR20150017989A KR 20150017989 A KR20150017989 A KR 20150017989A KR 1020130094335 A KR1020130094335 A KR 1020130094335A KR 20130094335 A KR20130094335 A KR 20130094335A KR 20150017989 A KR20150017989 A KR 20150017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screen
control
control device
u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5904B1 (ko
Inventor
김성현
고성욱
김혜인
이상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4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904B1/ko
Priority to US14/323,363 priority patent/US20150047020A1/en
Priority to EP14179953.6A priority patent/EP2835755A1/en
Publication of KR20150017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39Recurrent ver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제1 제어장치로부터 개인화면 모드 진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제1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을 상기 제1 제어장치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인증에 기초하여,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을 제어장치에 부여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티브이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티브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을 해당 사용자에게만 부여하도록 하여, 개인화면 이용 시, 외부로부터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화면 및 그에 대한 제어권 전환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부재 시,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제1 제어장치로부터 개인화면 모드 진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제1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을 상기 제1 제어장치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어권이 부여된 제1 제어장치를 상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제어 장치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 얼굴 정보, 일정 패턴 정보, 사용자 성문 정보, 비밀번호 및 제어장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1 제어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개인화면을 제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어 명령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명령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부재여부 확인을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제2 제어장치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화면을 상기 제2 제어장치에 대응하는 제2 개인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한 동의 여부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전환에 대해 동의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고, 상기 제2 개인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장치에 상기 제2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개인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와 상기 제2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 개인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제3 제어장치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제어장치가 상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개인화면을 제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제1 제어장치로부터 개인화면 모드 진입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표시된 제1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을 상기 제1 제어 장치에 부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제어권이 부여된 제1 제어장치를 상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제어 장치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제1 제어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개인화면을 제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명령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제어명령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부재여부 확인을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는, 제2 제어장치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개인화면을 상기 제2 제어장치에 대응하는 제2 개인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한 동의 여부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전환에 대해 동의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고, 상기 제2 개인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제2 제어장치에 상기 제2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는, 제3 제어장치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제어장치가 상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개인화면을 제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제1 제어장치로부터 개인화면 모드 진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제1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을 상기 제1 제어장치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을 해당 사용자에게만 부여하도록 하여, 개인화면 이용 시, 외부로부터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개인서비스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개인화면 및 그에 대한 제어권 전환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부재 시,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개인화면 모드 진입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면 및 그에 대한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면 및 제어권 전환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a)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a)는 제어부(140), 디스플레이부(120), 사용자 입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4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외부의 제어장치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로부터의 신호를 외부의 제어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130)는 제어장치(200)로부터 개인화면 모드 진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제어장치(200)로 입력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20)로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a)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어장치(200a)로부터 개인화면 모드 진입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입력 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인증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제1 개인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을 제1 제어장치(200a)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어권이 부여된 제1 제어장치(200a)를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제어장치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제어권이 부여된 제1 제어장치(200a)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어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4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부(120)는 입력 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화면(제1 개인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권이 부여된 제1 제어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어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부재여부 확인을 위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제2 제어장치(200b)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1 개인화면을 제2 제어장치(200b)에 대응하는 제2 개인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한 동의 여부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b)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b)는 제어부(140), 디스플레이부(120), 사용자 인식부(110), 사용자 입력부(130), 방송 수신부(15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80), 저장부(160), 센서부(미도시), 및 오디오 출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제어부(140), 디스플레이부(120), 사용자 입력부(130)는 도 1의 제어부(140), 디스플레이부(120), 사용자 입력부(130)에 각각 대응되므로,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상술한 내용과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방송 수신부(150)는, 튜너부(151), 복조부(1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부(151)와 복조부(152)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0)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51)와 복조부(152)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부(15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5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5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4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부(151)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51)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51)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52)는 튜너부(15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5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5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2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90)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80)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80)는, 무선 통신부(185) 및 사용자 입력부(130) 및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8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80)는 제어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되어, 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어명령을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185)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무선 통신부(185)는 제어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을 제어부(14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4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4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4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4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b)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4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8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저장부(160)가 제어부(14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4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튜너부(151) 또는 복조부(152)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2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4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9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4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40)는, 영상표시장치(100b)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튜너부(15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b)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식부(110)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b)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2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개인화면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인식부(110)에서 사용자를 인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4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8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90)는, 제어부(14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사용자 인식부(110)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부(11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개인화면을 등록하는 경우,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얼굴을 함께 등록할 수 있어,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식부(110)에서 인식된 사용자 얼굴과 등록된 사용자 얼굴을 비교하여, 사용자 인식부(110)에서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인화면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식부(110)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카메라는 영상표시장치(100b)에 매립되어, 디스플레이부(120) 상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4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입력부(13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b)로부터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TV 수상기, 모니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a, 100b)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a, 100b)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에 도시된 튜너부(151)와 복조부(15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 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20)와 오디오 출력부(190)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2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10), 제2 사용자 입력부(250), 출력부(260), 제2 저장부(240) 및 제2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1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통신부(210)는 무선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제어장치(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무선 통신부(21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a, 100b)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IR 모듈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a, 100b)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무선 인터넷 기술 및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a, 100b)로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부(25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50)를 조작하여 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a, 100b)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부(250)가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a, 100b)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부(25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a, 100b)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입력부(25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출력부(260)는 제2 사용자 입력부(25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a, 100b)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60)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50)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a, 100b)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60)는 제2 사용자 입력부(25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a, 100b)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40)는 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2 제어부(230)는 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제2 제어부(230)는 제2 사용자 입력부(25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a, 100b)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a, 100b)로 입력된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a, 100b)의 제어부(140)로 전송된다. 제어부(140)는 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a, 100b)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어장치(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제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200)는 제1 제어장치(200a) 및 제2 제어장치(20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제어장치로부터 개인화면 모드 진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410).
개인화면 모드 진입 요청은 제어장치의 특정 키를 입력하거나,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디스플레이부(120)에 개인화면 모드 또는 공용화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메뉴(5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개인화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장치(200)가 터치스크린(520)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선택 메뉴는 제어장치의 터치스크린(520)에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520)을 터치함으로 개인화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개인화면 모드로 진입하면,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요청하고,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S420).
이때,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 얼굴 정보, 일정 패턴 정보, 비밀번호, 사용자 성문 정보 및 제어장치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암호패턴을 입력하라는 메시지(610)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장치(200)의 터치스크린(520)를 이용하여, 일정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입력 받은 일정 패턴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620)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장치(200) 등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식부(110)는 얼굴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식된 얼굴은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제어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장치(200)의 식별정보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영상표시장치(100a, 100b)로 전송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입력 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와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입력 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430), 일치하는 경우, 개인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440).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입력 받은 일정 패턴이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암호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인화면(7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입력 받은 비밀번호가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제1 개인화면(7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인식된 얼굴이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얼굴과 일치하는 경우, 제1 개인화면(7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입력 받은 음성의 성문 정보가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성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제1 개인화면(7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입력 받은 제어장치의 식별정보가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제어장치로 등록된 제어장치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제1 개인화면(73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화면(730)은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실시간 방송, 게임,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인화면(730)은 개인별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컨텐츠,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받은 컨텐츠, 영상표시장치가 사용되는 시간에 따른 추천 컨텐츠 및 다른 사용자에 의해 공유 받은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컨텐츠 사용 이력, 검색 이력, 채널 시청 이력 및 관심 분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인별 컨텐츠는 이를 기초로 하여, 추천 받은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여성이고, 20대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추천 서버로부터 20대 여성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컨텐츠를 추천 받아 개인화면(73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채널 시청 이력 및 영상표시장치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사용하는 시간대에 가장 많이 시청했던 방송 채널을 개인화면(73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a, 100b)와 연동된 외부장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태블릿 등)로부터 컨텐츠 사용 이력, 검색 이력, 채널 시청 이력 및 관심 분야와 같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는 사용자 정보를 추천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추천 서버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추천된 컨텐츠를 영상표시장치(100a, 100b)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추천 서버로부터 수신한 추천 컨텐츠가 개인화면에 포함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화면(730)은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7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개인화면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 기 설정된 일부 컨텐츠만 표시하고, 일부 컨텐츠에 대해서는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표시가 제한된 컨텐츠(733)에 대해서 암호를 입력 받고, 암호 일치 여부에 따라 제한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을 제어 장치에 부여할 수 있다(S450).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제1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을 제1 제어장치(200a)에 부여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제1 제어 장치(200a)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한 경우, 수신한 제어명령에 따라 제1 개인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제어장치(200a)를 이용하여, 제1 개인화면에 표시되는 방송채널을 전환하거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1 개인화면에 포함된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반면에,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제어권이 없는 제2 제어장치(200b)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도, 수신한 제어명령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제1 제어장치(200a)를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제어장치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임의의 제어장치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임의의 제어장치가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명령에 따라 제1 개인화면을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제1 개인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S810), 제1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이 부여된 제1 제어장치(200a)에 의해 제1 개인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S820).
한편,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제2 제어장치로부터 개인화면 전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830).
예를 들어, 제2 제어장치(200b)는 제2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제어장치로 등록된 제어장치일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화면 전환 요청을 영상표시장치(100a, 100b)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제어장치(200b)로부터 개인화면 전환 요청을 수신한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인화면을 제2 개인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한 동의 여부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1020)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S840).
이때, 사용자가 제어권을 가진 제1 제어장치(200a)를 이용하여, 예를 선택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고, 디스플레이부(120)에 제2 개인화면(1130)을 표시할 수 있다(S850).
이때,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 받아, 입력 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와 제2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제2 개인화면(11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제2 제어장치(200b)에 제2 개인화면(1130)에 대한 제어권을 부여할 수 있다(S85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제어장치(200b)를 이용하여, 제2 개인화면(1130)에 표시되는 방송채널을 전환하거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2 개인화면(1130)에 포함된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제1 제어장치(200a)를 이용하여 아니오를 선택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부(120)에 제1 개인화면(730)을 표시하고, 제1 제어장치(200a)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제1 개인화면(730)을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개인화면이 표시되고(S1210), 제1 제어장치에 제1 개인화면의 제어권이 부여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제1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S1220).
모니터링 결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제어장치로부터 제어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S1230),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S1230).
이때,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부재여부 확인을 위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부재로 판단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는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디스플레이부(120)에 개인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표시된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A)에 대응하는 제1 개인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A)가 영상표시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개인화면 모드에 대한 종료 여부를 묻는 메시지(13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예를 선택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는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제어장치(200a)는 영상표시장치로 무선통신방식으로 상태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장치가 영상표시장치와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영역(1410)을 벗어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개인화면 표시 종료 여부를 묻는 메시지(14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예를 선택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는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a, 100b)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부재로 판단되는 경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또는 서버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 또는 서버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제1 제어장치로부터 개인화면 모드 진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제1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을 상기 제1 제어장치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제어권이 부여된 제1 제어장치를 상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제어 장치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 얼굴 정보, 일정 패턴 정보, 사용자 성문 정보, 비밀번호 및 제어장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제1 제어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개인화면을 제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제어 명령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명령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부재여부 확인을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제2 제어장치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화면을 상기 제2 제어장치에 대응하는 제2 개인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한 동의 여부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전환에 대해 동의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고, 상기 제2 개인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장치에 상기 제2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인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와 상기 제2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 개인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제3 제어장치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제어장치가 상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개인화면을 제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11. 제1 제어장치로부터 개인화면 모드 진입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표시된 제1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을 상기 제1 제어 장치에 부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권이 부여된 제1 제어장치를 상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제어 장치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 얼굴 정보, 일정 패턴 정보, 사용자 성문 정보, 비밀번호 및 제어장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제1 제어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개인화면을 제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명령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명령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부재여부 확인을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제2 제어장치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개인화면을 상기 제2 제어장치에 대응하는 제2 개인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한 동의 여부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전환에 대해 동의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개인화면 표시를 종료하고, 상기 제2 개인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제2 제어장치에 상기 제2 개인화면에 대한 제어권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제3 제어장치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제어장치가 상기 제1 개인화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개인화면을 제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0. 제1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30094335A 2013-08-08 2013-08-08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45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335A KR101545904B1 (ko) 2013-08-08 2013-08-08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4/323,363 US20150047020A1 (en) 2013-08-08 2014-07-03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14179953.6A EP2835755A1 (en) 2013-08-08 2014-08-06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335A KR101545904B1 (ko) 2013-08-08 2013-08-08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989A true KR20150017989A (ko) 2015-02-23
KR101545904B1 KR101545904B1 (ko) 2015-08-20

Family

ID=5148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335A KR101545904B1 (ko) 2013-08-08 2013-08-08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47020A1 (ko)
EP (1) EP2835755A1 (ko)
KR (1) KR101545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9064A1 (en) * 2015-04-08 2016-11-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11617A (ko) 2015-07-23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1016634B2 (en) * 2016-09-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storage system having a display
KR102582923B1 (ko) * 2016-10-28 202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보호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0120B2 (en) * 2008-01-03 2013-12-03 Apple Inc. Personal computing device control using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JP2010023451A (ja) * 2008-07-24 2010-02-0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US8589968B2 (en) * 2009-12-31 2013-11-19 Motorola Mobility Llc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content on a display based upon facial recognition of a viewer
US20130027613A1 (en) * 2011-05-03 2013-01-31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8625796B1 (en) * 2012-11-30 2014-01-07 Mourad Ben Ayed Method for facilitating authentication using proxim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47020A1 (en) 2015-02-12
EP2835755A1 (en) 2015-02-11
KR101545904B1 (ko)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602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60654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14492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971528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47432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789619B1 (ko)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음성과 제스쳐를 이용한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US895874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70867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8738374B (zh) 图像显示装置
KR2014003964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2843959B1 (en) Remote control for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vice
US20220006526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30188098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control terminal
JP2013141181A (ja)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通信方法、携帯端末の動作プログラム
KR10154590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5001999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544645B2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3002171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4956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6302062B2 (ja) 電子機器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2839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EP3992816A1 (en) Display device
KR10210806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115740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의 빠른 변경을 위한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WO2014192155A1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