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841A - 주차장 센서 주차등 - Google Patents

주차장 센서 주차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841A
KR20150016841A KR1020130092793A KR20130092793A KR20150016841A KR 20150016841 A KR20150016841 A KR 20150016841A KR 1020130092793 A KR1020130092793 A KR 1020130092793A KR 20130092793 A KR20130092793 A KR 20130092793A KR 20150016841 A KR20150016841 A KR 20150016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ase plate
sensor
cover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중원
Original Assignee
조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중원 filed Critical 조중원
Priority to KR1020130092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6841A/ko
Publication of KR2015001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 F21V23/008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the casing being outside the housing of the ligh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장 센서 주차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주차 등은, 천장(100)을 따라 1개 또는 그 이상의 수로 간격을 두고 결합 고정 설치되는 지지 브래킷(110); 지지 브래킷(110)을 따라 결합 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개방부(122)의 전면을 가려주고 내부에 LED 조명 램프에서 발광하는 조사광을 투과시키는 커버재(130);로 이루어지며, 지지 브래킷(110)과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각각 마련된 제1 결합수단; 및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커버재(130)에 각각 마련된 제2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주차 등 설치 작업성을 개선하여 주차 등을 간단하게 설치하고, 부품 결합을 간단한 조작으로 결합하거나 끼움 결합을 통해 조립이 가능하며, 유지 및 점검을 위한 분해와 재조립이 간단해진다.

Description

주차장 센서 주차등{Parking of Sensor Parking Light}
본 발명은 주자창 센서 주차 등(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장 천장에 주차 등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주차 등의 설치 작업성을 개선하여 주차 등을 편리하고 간단하게 설치하고, 주차 등을 구성하는 부품 결합을 원터치 조작으로 결합하거나 끼움 결합을 통해 조립이 가능하며, 유지 및 점검을 위한 분해와 재조립이 간단한 주차장 센서 주차 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마트, 빌딩, 아파트 등의 지하주차장에는 안전사고 또는 도난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야간은 물론 주간에도 지속적으로 전등이 점등되어 있어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발생 된다.
또한, 출입구와 멀리 떨어진 주차장(지하 2층 이하)의 출입빈도가 낮음 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전등이 주 야간 구분없이 24시간 점등되어, 이에 따른 전력 손실 및 전등의 수명감소로 인하여 관리비용이 증가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형 마트, 백화점 등의 주차장은 진출입 차량의 회전율이 높기 때문에 주차장의 곳곳에 빈 주차공간이 발생하고, 상기 공간에 적절하게 차량을 유도하기 위하여 주차유도 관리가 필요하다.
주차유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으면,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은 주차공간을 찾기 위하여 주차장 내를 무작정 배회해야 하기 때문에 유류소모와 주차장 내의 환경오염, 운전 시간 지연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을 분석해보면, 주차장 전력 관리와 관련된 주차장 자동 점등 시스템의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1424호에 게재되어 있다. 도 1은 주차장 자동 점등시스템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주차장 자동 점등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이다.
알려져 있는 주차장 점등 시스템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차장의 차량 이동통로 천정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초음파 센서부(10), 초음파 센서부(10) 신호를 입력받아 센서등(30)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20), 차량 이동통로의 천정에 센서등(30)과 교번 되게 배치된 상시등(40), 초음파 센서부(10), 제어부(20), 센서등(30) 및 상시등(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를 포함하고, 제어부(20)는 마이컴이 초음파 센서(10)와 시간 조절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릴레이부의 접점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이 지나가는 통로에 배치되는 센서등(30)의 점등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센서등(30)의 점등시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 기술은 센서등과 상시등을 통합 제어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주차장 이용 불편을 줄이고 에너지 사용 조건에 제한을 두는 대안을 제시한다. 그러나, 센서등을 어떠한 구조와 방법으로 설치하는지에 대한 검토가 없다.
다른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2-0138946에 게재된 내용은, 엘이디 센서등에 관한 것으로 차량 전조등을 켜고 주차장과 같은 조광필요 지역으로 진입시 이를 인지하여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안전 시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도 3은 특허문헌에 게재된 센서등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등(10)은, 케이스(60), 케이스(60)에 복수로 배치된 엘이디 램프(61), 엘이디 램프(61)의 점등을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62),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63) 및 주변 사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로 이루어지는 모션감지센서(64), 케이스(60)를 덮는 커버(6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술에 따르면, 조도에 따라 램프 제어부(62)에 점등신호를 입력하는 등의 고성능 다기능화된 센서 및 제어수단들이 적용될 수 있음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주차장 센서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변 조도, 점등 조건 등의 전력 제어는 상당한 기술 수준과 여러 방법들로 제안되어 있으나, 천정에 케이스를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 또는 효과적 설치와 주차등 관리와 점검을 위한 케이스 구조물에 대한 검토가 부족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1424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2-0138946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장 내 천장에 주차 등을 편리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설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차장의 천장에 설치하는 주차 등의 구조를 슬림화하고 외관상 미려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주차 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장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진입 여부에 따라 주차 등이 연속적으로 점등될 수 있도록 다수의 주차 등을 미려한 상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주차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 등을 간단히 분해하고 다시 빠른 시간에 재조립할 수 있는 주차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센서 주차 등은,
물체 이동을 인식하여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 상기 센서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점등되는 LED 조명 램프, LED 조명 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LED 조명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센서, 제어부, LED 조명 램프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여 주차장 천장에 설치되는 주차장 센서 주차 등에 있어서,
상기 천장에 부착 설치되거나 다른 결합수단을 매개로 천장을 따라 1개 또는 그 이상의 수로 간격을 두고 결합 고정 설치되는 지지 브래킷;
상기 LED 조명 램프를 포함한 회로기판과 모듈 부품들을 실장하고 지지하는 수납 공간을 제공하고 전면이 개방부로 뚫려져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브래킷을 따라 결합 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방부 전면을 가려주고 내부에 LED 조명 램프에서 발광하는 조사광을 투과시키는 커버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 브래킷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원터치 가압으로 결합할 수 있게 그 지지 브래킷과 베이스 플레이트에 각각 마련된 제1 결합수단;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커버재를 원터치 가압 또는 슬라이드 결합으로 분해 결합할 수 있게 그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재에 각각 마련된 제2 결합수단;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브래킷에는 천장을 따라 주차 등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가 관통하는 앵커홀이 형성되고, 그 앵커홀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버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뚫려진 개방부를 가려주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선단면부에 장착된 인너 커버와 상기 인너 커버와 별도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벽을 따라 결합 되어 주차 등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아웃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수단은, 상기 지지 브래킷에 형성된 개방부 및 그 단부 양단이 안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탄성 걸림턱;
상기 탄성 걸림턱에 진입하여 턱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직 벽면 외벽면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 단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결합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커버재의 하나인 인너 커버를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방부를 중심으로 그 양 벽면에 형성된 걸림홈 및 상기 인너 커버의 대응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을 따라 결합되는 걸림 단턱;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커버재의 하나인 아웃 커버를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직 벽면 외벽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단턱;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걸림 단턱을 따라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아웃 커버의 수직 벽면에 형성된 결합 턱;을 더 포함한다.
또한, 주차 등의 일단은 센서를 장착할 수 있는 센서 홀과, 인접 주차 등과 전기적 접속 연결을 위한 커넥터 홈을 구비하는 센서 커버를 장착하여 마감되고, 상기 주차 등의 타단은 단부를 가려주는 엔드 캡을 구비하는 엔드 커버를 장착하여 마감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차장의 천장에 주차 등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주차 등의 설치 작업성을 개선하고 주차 등을 구성하는 부품 결합에서 원터치 조작으로 결합하거나 끼움 결합을 통해 조립이 가능하여 주차 등을 편리하게 구성할 수 있고 주차 등을 효과적으로 천장에 설치할 수 있다.
주차장의 천장에 설치하는 주차 등의 구조를 슬림화할 수 있어 외관상 미려한 상태로 주차 등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주차장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진입 여부에 따라 주차 등이 연속적으로 점등될 수 있도록 다수의 주차 등을 연속적으로 접속시켜 배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주차 등을 간단히 분해하고 다시 빠른 시간에 재조립할 수 있으므로 보수 및 유지 점검 등을 위한 주차 등의 효율적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주차장 센서 주차 등의 점등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설명도 이다.
도 2는 종래의 주차장 센서 주차 등의 회로 구성의 예를 나타낸 블럭도 이다.
도 3은 종래의 주차장 센서 주차 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센서 주차 등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표면도, (c)는 좌측면, (d)는 우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센서 주차 등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커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엔드 커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등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등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참고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센서 주차 등은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센서 주차 등을 나타낸 것이다. (a)는 정면도이고, (b)는 표면도 이며, (c)는 좌측면을 나타내고, (d)는 우측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주차 등(100)의 '표면'은 LED 조명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최종적으로 투과시키는 광 조사 면이고, 아웃 커버(130b)에 해당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센서 주차 등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평면'은 주차 등(100) 유닛에서 천장(200)과 마주 대하는 대응면에 해당되는 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커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엔드 커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등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등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참고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센서 주차 등은, 물체 이동을 인식하여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S), 센서(S)의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점등되는 LED 조명 램프(미도시), LED 조명 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LED 조명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센서(S), 제어부, LED 조명 램프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주차장 천장(200)에 설치되는 주차장 센서 주차 등(1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구성들, LED 조명 램프, 제어부, 전원공급부는 상용화된 제품들에 공용화된 구성들로서 모두 공지된 구성이고, 본 발명의 구성 요지와 직접 관련을 갖는 않는 것으로 구체적인 도면 및 설명은 생략되었다.
주요 부분은, 천장(200)에 부착 설치되거나 다른 결합수단을 매개로 천장(100)을 따라 1개 또는 그 이상의 수로 간격을 두고 결합 고정 설치되는 지지 브래킷(110)이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2개의 지지 브래킷(110)이 설치된 예로 나타나 있으며, 지지 브래킷(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천장(200)에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그 위치는 결정된 것이 아니고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브래킷(110)에 결합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LED 조명 램프를 포함한 회로기판과 모듈 부품들을 실장하고 지지하는 수납 공간(121)을 제공하고 전면이 개방부(122)로 뚫려져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브래킷(110)을 따라 결합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개방부(122) 전면을 가려주고 내부에 LED 조명 램프에서 발광하는 조사광을 투과시키는 커버재(130)가 구성된다. 커버재(130)는 내부에 실장된 LED 조명 램프(미도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과하여 방사할 수 있는 투명재질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 수지, 비닐수지 등 다양한 소재를 선택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브래킷(110)에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원터치 가압으로 결합할 수 있게 그 지지 브래킷(110)과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각각 마련된 제1 결합수단이 구성된다. 제1 결합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지지 브래킷(110)에 원터치식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지지 브래킷(110)과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커버재(130)를 원터치 가압 또는 슬라이드 결합으로 분해 결합할 수 있게 그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커버재(130)에 각각 구성된 제2 결합수단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수단은 커버재(130)를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별도의 도구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센서 주차 등(100)을 구성하는 구성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지지 브래킷(110)에는 천장(200)을 따라 주차 등(10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113)가 관통하는 앵커홀(111)(112)이 형성되고, 그 앵커홀(111)(112)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으로 형성된다. 앵커홀(111)(112)을 장공형으로 형성하면 앵커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113)의 체결 위치를 중심으로 지지 브래킷(110)의 위치를 앵커홀(111)(112)의 영역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전체 주차 등(100)의 설치 위치에 대한 미세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커버재(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뚫려진 개방부(122)를 가려주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선단면부에 장착된 인너 커버(130a)와 그 인너 커버(130a)와 별도로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외벽을 따라 결합 되어 주차 등(100)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아웃 커버(130b)로 구성된다. 인너 커버(130a) 만으로도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개방부(122)를 가려서 내부 전장부품들이 겉으로 드러나 보이지 않도록 커버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손실과 파손 그리고 유실 등을 방지하기 위해 아웃 커버(130b)를 외부에 더 씌워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아웃 커버(130b)는 인너 커버(130a)를 포함하여 그 상부쪽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수직 벽면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으로 끼워지는 형식을 결합 되어 전체적으로 주차 등(100)의 내부 전장부품을 보호하고 외관을 미려한 상태로 마감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지지 브래킷(110)에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원터치 가압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결합수단은,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브래킷(110)에 형성된 개방부(114) 및 그 단부 양단이 안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탄성 걸림턱(115)으로 구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20)에는 지지 브래킷(110)의 탄성 걸림턱(115)에 진입하여 턱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수직 벽면 외벽면에 다수의 걸림 단턱(123)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별도의 도구나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지지 브래킷(110)의 탄성 걸림턱(115)에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걸림 단턱(123)이 턱 결합으로 간단히 결합 되어 조립성이 좋아지고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커버재(130)를 원터치 가압 또는 슬라이드 결합으로 분해 결합할 수 있게 그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커버재(130)에 각각 구성된 제2 결합수단은, 커버재(130)를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별도의 도구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커버재(130)의 하나인 인너 커버(130a)를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개방부(122)를 중심으로 그 양 벽면에 형성된 걸림홈(124) 및 상기 인너 커버(130a)에 대응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24)을 따라 결합되는 걸림 단턱(13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커버재(130)의 하나인 아웃 커버(130b)를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수직 벽면 외벽면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단턱(123)으로 구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걸림 단턱(123)을 따라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아웃 커버(130b)의 수직 벽면에 형성된 결합 턱(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2 결합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이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커버재(130)를 원터치 가압 또는 슬라이드 결합으로 분해 결합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커버재(130)를 장착하는데 있어서 별도의 도구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인너 커버(130a) 및 아웃 커버(130b)를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주차 등(100)의 일단은 센서(S)를 장착할 수 있는 센서 홀(302)과 인접 주차 등(100)과 전기적 접속 연결을 위한 커넥터 홈(303)을 구비하는 센서 커버(301)를 장착하여 마감함으로써, 이웃하는 다른 주차 등(100)들과 커넥터 홈(303)을 통한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여 설치 작업성이 개선되고 다수의 주차 등(100)들과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여 별도의 전기 배선을 천장(200)에 배선하는 불필요한 작업을 없애고 주차 등(100)을 자유롭고 간편하게 배열 설치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주차 등(100)의 타단에는 단부를 가려줄 수 있는 엔드 캡(402)을 구비하는 엔드 커버(401)를 장착하여 마감 처리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미려하면서도 간결하게 마감처리된 주차 등(100)으로 조립 구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센서 주차등에 의하면, 주차장 내 천장(200)에 주차 등(100)을 편리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 브래킷(110)을 설치하고, 이곳에 맞추어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설치한 후 커버재(130)들을 차례로 조립하는 것으로 주차 등(100)의 제작이 완료되며, 이러한 주차 등(100)의 제작에서 별도의 공구나 도구 또는 체결구 등과 같은 기계적 조립 요소 부품 사용 없이 탄성력에 의한 탄성 결합, 또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물간 턱 결합을 유도하여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성이 개선되고 조립 품질이 향상되며, 미려한 외관을 나타낸다.
또한, 주차 등(100)을 구조적으로 슬림화할 수 있고, 설치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주차 등(100)을 천장(200)에 최대한 가깝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주차 등(100)의 설치 자유도가 개선되고 설치 후 외관을 미려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진입 여부에 따라 주차 등(燈)이 연속적으로 점등될 수 있도록 다수의 주차 등(100)을 연속적으로 설치하는데 있어서 개별 주차 등(100)들을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간단히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전기 배선을 없이 간단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등(100)은 구조적으로 턱과 단턱들 상호 체결 결합 구조로 완성되어 있어 각 구성 부품들을 간단히 분해할 수 있고 반대로 다시 쉽게 재조립할 수 있으므로 램프 교체를 포함하여 전장부품들의 교환, 수리, 보수 및 점검 등 유지 관리를 위한 주차 등(100)의 관리 작업에 따르는 작업성을 개선하는 장점이 있으며, 대부분의 구성 부품들을 사출 성형품으로 제조할 수 있어 양호한 양산성을 가지며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 부분 교체와 재활용이 가능하여 저비용으로 장기간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주차 등 110: 지지 브래킷
111.112: 앵커홀 113: 체결구
114: 개방부 115: 걸림턱
120: 베이스플레이트 121: 수납 공간
122: 개방부 123: 걸림 단턱
124: 걸림홈 130: 커버재
130a: 인너커버 130b: 아웃커버
131: 걸림 단턱 132: 결합 턱
301: 센서 커버 302: 센서 홀
303: 커넥터 홈 401: 엔드 커버
402: 엔드 캡

Claims (6)

  1. 물체 이동을 인식하여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S), 상기 센서(S)의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점등되는 LED 조명 램프, LED 조명 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LED 조명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센서(S), 제어부, LED 조명 램프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주차장 천장(200)에 설치되는 주차장 센서 주차 등(100)에 있어서,
    상기 천장(200)에 부착 설치되거나 다른 결합수단을 매개로 천장(100)을 따라 1개 또는 그 이상의 수로 간격을 두고 결합 고정 설치되는 지지 브래킷(110);
    상기 LED 조명 램프를 포함한 회로기판과 모듈 부품들을 실장하고 지지하는 수납 공간(121)을 제공하고 전면이 개방부(122)로 뚫려져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브래킷(110)을 따라 결합 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개방부(122)의 전면을 가려주고 내부에 LED 조명 램프에서 발광하는 조사광을 투과시키는 커버재(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 브래킷(110)에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원터치 가압으로 결합할 수 있게 그 지지 브래킷(110)과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각각 마련된 제1 결합수단;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커버재(130)를 원터치 가압 또는 슬라이드 결합으로 분해 결합할 수 있게 그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커버재(130)에 각각 마련된 제2 결합수단;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센서 주차 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래킷(110)에는 천장(200)을 따라 주차 등(10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113)가 관통하는 앵커홀(111)(112)이 형성되고, 그 앵커홀(111)(112)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으로 형성된 주차장 센서 주차 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재(13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뚫려진 개방부(122)를 가려주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선단면부에 장착된 인너 커버(130a)와 상기 인너 커버(130a)와 별도로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외벽을 따라 결합 되어 주차 등(100)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아웃 커버(13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센서 주차 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수단은,
    상기 지지 브래킷(110)에 형성된 개방부(114) 및 그 단부 양단이 안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탄성 걸림턱(115);
    상기 탄성 걸림턱(115)에 진입하여 턱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수직 벽면 외벽면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 단턱(123);으로 구성된 주차장 센서 주차 등.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커버재(130)의 하나인 인너 커버(130a)를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개방부(122)를 중심으로 그 양 벽면에 형성된 걸림홈(124) 및 상기 인너 커버(130a)에 대응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24)을 따라 결합되는 걸림 단턱(13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커버재(130)의 하나인 아웃 커버(130b)를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수직 벽면 외벽면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 단턱(123);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걸림 단턱(123)을 따라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아웃 커버(130b)의 수직 벽면에 형성된 결합 턱(132);을 더 포함하는 주차장 센서 주차 등.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등(100)의 일단은 센서(S)를 장착할 수 있는 센서 홀(302)과 인접 주차등(100)과 전기적 접속 연결을 위한 커넥터 홈(303)을 구비하는 센서 커버(301)를 장착하여 마감되고, 상기 주차 등(100)의 타단은 단부를 가려주는 엔드 캡(402)을 구비하는 엔드 커버(401)를 장착하여 마감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센서 주차 등.
KR1020130092793A 2013-08-05 2013-08-05 주차장 센서 주차등 KR20150016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793A KR20150016841A (ko) 2013-08-05 2013-08-05 주차장 센서 주차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793A KR20150016841A (ko) 2013-08-05 2013-08-05 주차장 센서 주차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841A true KR20150016841A (ko) 2015-02-13

Family

ID=52573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793A KR20150016841A (ko) 2013-08-05 2013-08-05 주차장 센서 주차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68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784A1 (ko) * 2016-08-30 2018-03-08 주식회사프라텍 조명장치
KR102015723B1 (ko) * 2018-03-12 2019-08-28 오광식 지하 주차장의 주차 면에 장착하는 등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784A1 (ko) * 2016-08-30 2018-03-08 주식회사프라텍 조명장치
KR102015723B1 (ko) * 2018-03-12 2019-08-28 오광식 지하 주차장의 주차 면에 장착하는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6360B2 (en) Lighting systems for use in residential garages and other locations
CA2612399A1 (en) Add-on sensor module for lighting system
KR101281155B1 (ko) 엘이디 라인바 부착기구
KR20170048214A (ko) 개선된 조명기구
KR102161398B1 (ko) 카메라 부스함
KR20150016841A (ko) 주차장 센서 주차등
EA014589B1 (ru) Модульный корпус,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сигна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на светоизлучающих диодах (сид)
US8449168B2 (en) Intelligent and energy-saving LED lamp with glimmer and full light emission
KR102232194B1 (ko) 차량통과 감지장치
US10962202B2 (en) Adjustable luminaire mounted sensor housing
JP2006241877A (ja) 機能門柱
US11174674B1 (en) Lighted interface
KR100784175B1 (ko) 주차장용 멀티 덕트
KR20140145371A (ko) 발광 다이오드 매입형 조명기구
KR101829408B1 (ko) Led 조명을 포함한 외벽 판넬 몰딩 부재
JP4339773B2 (ja) 太陽電池付き後付け庇ユニット
KR200473120Y1 (ko) 보호커버를 가지는 가로등기구
KR102296224B1 (ko) 개선된 조립구조의 주차장용 엘이디 등기구
BE1019475A5 (nl) Lamellenprofiel voor het houden van ledstrip en lamellenwand omvattende een dergelijk lamellenprofiel.
KR101019599B1 (ko) 인체 감지 센서등
JP6009945B2 (ja) 照明ユニット、開口部装置、照明用枠材の設置方法
EP2837878A1 (en) Lighting device for indoor parking lot
KR101883924B1 (ko) 천장 직착식 led 조명등
KR200482917Y1 (ko)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
KR101493271B1 (ko) 슬래브에 매설된 전기 배선박스를 이용한 감시카메라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