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263A - 기존의 전달망을 활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한 패킷 다중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기존의 전달망을 활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한 패킷 다중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263A
KR20150015263A KR20130091109A KR20130091109A KR20150015263A KR 20150015263 A KR20150015263 A KR 20150015263A KR 20130091109 A KR20130091109 A KR 20130091109A KR 20130091109 A KR20130091109 A KR 20130091109A KR 20150015263 A KR20150015263 A KR 20150015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length
frame
multiplexing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준
신창섭
정운철
강호용
이인환
표철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91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5263A/ko
Priority to US14/065,723 priority patent/US20150036588A1/en
Publication of KR20150015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4Address processing for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24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allocation is indicated by an address the different channels being transmitted sequentially
    • H04J3/247ATM or packet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03Access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임의 노드에서 발생되는 패킷에 대하여 다중화 여부를 판단한다. 패킷을 다중화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패킷들을 다중화하여 제1 길이의 프레임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제1 길이의 프레임은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가지는 데이터 유닛과 헤더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부가 적어도 하나 다중화된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존의 전달망을 활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한 패킷 다중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multiplexing to extend wireless sensor network by using prior transmission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확장을 위해 기존의 전달망을 활용할 수 있으며, 패킷을 다중화하여 송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패킷은 대부분 127 바이트 미만의 짧은 데이터로서 방향성을 갖고 미리 결정된 경로로 전달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한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센서 노드의 증가 추세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양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센서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의 확대에 따른 효과적인 망의 광역화를 위해 기존의 전달망을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전달망은 기존 서비스에 최적화되어 있어서, 짧고 데이터의 양이 적은 특징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전달망으로 사용하기에는 효율적이지 못한 점이 많다. 일 예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작은 크기의 데이터가 많은 수의 노드에서 발생하는데, 데이터의 크기가 크지는 않지만 송수신단에서는 많은 수의 패킷을 처리하는데 따른 부하가 크다. 하지만 기존의 서비스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데이터가 적은 수의 노드에서 발생되어, 패킷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패킷의 크기는 큰 기존망의 서비스와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현상은 패킷망 서비스 서버의 성능은 데이터의 절대적인 양보다는 처리해야 하는 패킷의 수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패킷 수의 급격한 증가는 기존의 전달망이 고려하지 않았던 각종 기능에 부담을 가중시켜서 효과적인 전달망으로 활용이 어려운 단점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전달망을 활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패킷 다중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패킷 다중화 방법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다중화 방법에서,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에서 발생되는 패킷에 대하여 다중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패킷을 다중화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패킷들을 다중화하여 제1 길이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길이의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길이의 프레임은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가지는 데이터 유닛과 헤더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부가 적어도 하나 다중화된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다중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이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달망을 통한 패킷 전송인 경우에, 패킷 다중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이 상기 전달망을 통하여 않고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 사이에 직접 전송되는 패킷인 경우, 패킷 다중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달망을 통한 패킷 전송은 게이트웨이를 통하지 않고 전달망을 통하여 노드간에 패킷이 전송되는 경우 및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노드간에 패킷이 전송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길이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동일한 목적지 주소를 가지는 패킷들을 다중화하여 제1 길이의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길이의 프레임은 L-MPDU(management MAC packet data unit)이고, 상기 제2 길이의 데이터 유닛은 S-MPDU일 수 있다.
상기 제1 길이의 프레임은 상기 페이로드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프레임 헤더부, 상기 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헤더부, 그리고 오류 체크를 위한 FCS(frame check sequen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제2 헤더부, 제1 헤더부, 페이로드, FCS의 순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1 헤더부부터 FCS까지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다중화 장치에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임의 노드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패킷을 발생시키는 패킷 발생부; 상기 패킷이 전달망을 통한 패킷 전송인지를 판단하여 다중화 여부를 결정하는 다중화 판단부; 상기 다중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다중화하는 패킷 다중화부; 및 상기 다중화된 패킷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패킷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제1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가지는 데이터 유닛과 이에 관련된 헤더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상기 패킷 다중화부는 동일한 목적지 주소를 가지는 패킷들을 다중화할 수 있다. 상기 다중화 판단부는 상기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토대로 해당 패킷이 전달망 전송을 통한 패킷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기존 전달망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존 전달망을 활용한 서비스의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 센서네트워크 망으로만 구성된 경우에 무선 센서네트워크 백홀(backhaul)을 구성할 수 있고, 서비스 확대를 위한 전달망 접속이 필요한 경우 효과적인 망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화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다중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다중화 장치의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다중화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은 제1 헤더부(F1)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부를 포함하는 페이로드부(F2)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제2 헤더부(F3) 및 오류 체크를 위한 FCS(frame check sequence)부(F4)를 포함한다.
이러한 패킷 프레임은 제1 길이를 가지며, 제1 헤더부(F1)는 페이로드부(F2)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MHR(MAC header)이라고도 명명된다.
페이로드부(F2)는 복수의 데이터부를 포함하며, MAC 페이로드(MAC payload) 라고도 한다. 페이로드부(F2)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부(설명의 편의상 F2를 대표 번호로 부여함)는 mMPDU(management MAC packet data unit)라고도 명명된다. 각 데이터부는 도 1에서와 같이,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유닛(F21)과 데이터 유닛(F22)을 포함한다. 데이터 유닛(F22)은 MPDU 라고도 명명되며, MAC 헤더(F221)와 페이로드(MAC payload)(F222), 그리고, FCS(frame check sequence)(F223)를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 유닛(F22)은 제2 길이를 가진다.
한편, 제2 헤더부(F3)는 프레임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2 헤더부(F3)는 PFR(PHY header)라고도 명명된다. 제1 길이는 프레임의 맨 앞에 위치되는 제2 헤더부(F3)을 제외한 제1 헤더부(F1)에서부터 FCS(F4)까지의 길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제2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데이터 유닛을 다중화하여 제1 길이를 가지는 패킷 프레임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MPDU의 최대 길이가 약 127바이트로 제한되었으나 최근에는 2047 바이트까지도 가능하게 되었다. 제1 길이(예를 들어, 약 2047 바이트)의 최대 MDPU를 L-MPDU라고 명명하고, 제2 길이(예를 들어, 약 127 바이트)의 최대 MPDU를 S-MPDU라고 명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길이의 S-MPDU를 제2 길이의 L-MPDU에 다중화하며, 다중화되는 대상은 헤더 유닛과 데이터 유닛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제1 길이를 넘지 않는 한도 내에서, MAC 페이로드에 복수의 제2 길이를 가지는 데이터 유닛(S-MPDU)을 다중화한다.
다음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다중화 방법이 적용되는 MAC 프레임 유형을 나타낸다.
프레임 타입값
b2 b1 b0
비고
0 0 0 비컨
0 0 1 데이터
0 1 0 ACK
0 1 1 MAC 명령
1 0 0 종합 MPUD (Aggregated MPDU)
101 ∼111 Reserv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종류는 그 프레임 타입값에 따라 위의 표1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컨 송수신을 위한 비콘 프레임 (b2 b1 , b0 : 000),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프레임(b2 b1 b0 : 001), 데이터 수신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ACK(Acknowledgment) 프레임(b2 b1 b0 : 010), MAC 명령(command)을 위한 프레임(b2 b1 b0 : 011)이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2 길이의 S-MPDU를 다중화하여 구성된 제1 길이의 L-MPDU 즉, 종합 MPDU 프레임(b2 b1 b0 : 100)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합 MPDU 프레임(b2 b1 b0 : 100)은 도 1과 같이, MAC 헤더인 제1 헤더부(F1)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부를 포함하는 페이로드부(F2)를 포함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프레임을 이용하여 패킷을 다중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패킷 다중화시, 각 패킷의 최종 목적지 주소가 동일한 경우 다중화할 수 있으며, 각 패킷의 다음 홉(hop)이 동일한 경우에 다중화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매 홉마다 분해와 재조립이 이루어지는 스위칭 기능이 필요하여 복잡도가 증가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최종 목적지 주소가 동일한 경우에 다중화를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중화를 위한 대기 시간은 서비스에 대한 허용 지연시간 요구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화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의 노드들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거나 또는 직접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c'의 경우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인 노드간 직접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이며, 노드들의 정보가 모여서 다른 전달망을 경유하지 않고 센서 네트워크의 백홀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처리를 위한 서버로 직접 전달된다.
한편, 도 2에서 'b'의 경우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확장을 위해 기존의 전달망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IP 주소 체계와 같이 기존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별도의 게이트웨이를 거치지 않고 전달망을 통하여 노드간에 데이터가 직접 전달된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노드에서 발생하는 짧은 길이의 패킷은 주소 체계의 비효율성과 기존의 전달망에서 예측하지 못한 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b'와 같이 기존 전달망을 통하여 노드간에 패킷을 송수신할 때, 패킷을 다중화한다. 하여 최대 2047바이트의 긴 길이 데이터를 적용하는 센서 네트워크 백홀(backhaul)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a'의 경우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확장을 위해 기존의 전달망을 사용하는 경우로서, 전달망의 별도의 게이트웨이(G)를 통하여 노드간에 패킷을 송수신한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G)를 통한 송수신에 따라 센서 네트워크의 주소 체계에 대한 처리 부담은 없으나, IP 주소 체계와 같이 기존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소 체계로 주소를 변환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많은 노드에서 발생하는 짧은 길이의 패킷은 주소 체계의 비효율성과 기존의 전달망에서 예측하지 못한 처리 부하를 가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a'와 같이 기존 전달망의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노느간에 패킷을 송수신할 때, 패킷을 다중화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다중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에서 발생되는 패킷은 짧은 길이를 가지는 데이터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반복적으로 데이터를 여러 차례 전송하지 않고 데이터들을 다중화하여 하나의 패킷으로 처리하여 전송한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임의 노드가 다른 노드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패킷 다중화 장치는 전달망을 통한 패킷 전송인지를 판단한다(S100, S110). 첨부한 도 2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a'와 'b'의 경우와 같이, 전달망을 통한 패킷 전송인 경우, 패킷 다중화 장치는 패킷 다중화를 수행한다(S120). 반면, 전달망을 통하지 않고 'c'와 같이 노드간에 패킷이 직접 송신되는 경우에는 패킷 다중화를 수행하지 않는다(S130). 전달망을 통한 패킷 전송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패킷의 주소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킷의 목적지 주소 체계가 전달망의 주소 체계를 따르는 경우, 해당 패킷이 전달망을 통한 전송인 것으로 판단한다.
패킷 다중화를 수행하는 경우,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들을 다중화하여 패킷 프레임을 생성한다. 즉, 제2 길이를 가지는 패킷인 데이터 유닛과 이에 관련된 헤더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부를 적어도 하나 다중화하여 페이로드부(F2)를 생성한다(S130). 여기서 다중화되는 데이터부들 목적지 주소가 동일하다.
제2 길이의 데이터 유닛을 가지는 데이터부를 적어도 하나 다중화하여 페이로드부(F2)를 형성하고, 이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헤더부(F1)을 결합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제1 길이의 프레임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제1 길이의 프레임을 전송한다(S150).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짧은 길의 데이터 패킷을 반복하여 전송하는데 반하여, 이러한 데이터 패킷들을 다중화하여 보다 긴 길이의 프레임으로 처리하여 전송함으로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적은 크기의 패킷의 반복적인 송수신 처리에 따른 처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다중화 장치의 구조도이다.
첨부한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다중화 장치(100)는 패킷 발생부(110), 다중화 판단부(120), 패킷 다중화부(130), 그리고 패킷 전송부(140)를 포함한다.
패킷 발생부(110)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임의 노드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패킷을 발생시킨다.
다중화 판단부(120)는 발생된 패킷이 전달망을 통한 패킷 전송인지를 판단하여 다중화 여부를 결정한다. 노드간에 패킷이 직접 송신되는 경우에는 패킷 다중화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고 해당 패킷을 패킷 전송부(140)로 전달한다. 전달망을 통한 패킷 전송인 경우에는 패킷 다중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해당 패킷을 패킷 다중화부(130)로 전달한다.
패킷 다중화부(130)는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들을 다중화한다. 제2 길이를 가지는 패킷인 데이터 유닛과 이에 관련된 헤더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부를 적어도 하나 다중화하여 페이로드부를 생성하여 패킷 전송부(140)로 제공한다. 다중화되는 데이터부들의 목적지 주소가 동일할 수 있다.
패킷 전송부(140)는 송신하고자 하는 패킷에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부를 결합하여 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된 프레임을 전송한다. 특히 패킷 전송부(140)는 패킷 다중화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제2 길이의 데이터 유닛을 가지는 데이터부를 적어도 하나 다중화하여 생성된 페이로드부에 대하여,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헤더부를 결합하여 제1 길이의 프레임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사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다중화 방법에서,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에서 발생되는 패킷에 대하여 다중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패킷을 다중화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패킷들을 다중화하여 제1 길이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길이의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길이의 프레임은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가지는 데이터 유닛과 헤더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부가 적어도 하나 다중화된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패킷 다중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이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달망을 통한 패킷 전송인 경우에, 패킷 다중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이 상기 전달망을 통하여 않고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 사이에 직접 전송되는 패킷인 경우, 패킷 다중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킷 다중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망을 통한 패킷 전송은 게이트웨이를 통하지 않고 전달망을 통하여 노드간에 패킷이 전송되는 경우 및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노드간에 패킷이 전송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패킷 다중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동일한 목적지 주소를 가지는 패킷들을 다중화하여 제1 길이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패킷 다중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의 프레임은 L-MPDU(management MAC packet data unit)이고, 상기 제2 길이의 데이터 유닛은 S-MPDU인, 패킷 다중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의 프레임은 상기 페이로드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프레임 헤더부, 상기 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헤더부, 그리고 오류 체크를 위한 FCS(frame check sequence)를 더 포함하는, 패킷 다중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2 헤더부, 제1 헤더부, 페이로드, FCS의 순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1 헤더부부터 FCS까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패킷 다중화 방법.
  8.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다중화 장치에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임의 노드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패킷을 발생시키는 패킷 발생부;
    상기 패킷이 전달망을 통한 패킷 전송인지를 판단하여 다중화 여부를 결정하는 다중화 판단부;
    상기 다중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다중화하는 패킷 다중화부; 및
    상기 다중화된 패킷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패킷 전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제1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가지는 데이터 유닛과 이에 관련된 헤더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패킷 다중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다중화부는 동일한 목적지 주소를 가지는 패킷들을 다중화하는, 패킷 다중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판단부는 상기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토대로 해당 패킷이 전달망 전송을 통한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패킷 다중화 장치.
KR20130091109A 2013-07-31 2013-07-31 기존의 전달망을 활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한 패킷 다중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15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1109A KR20150015263A (ko) 2013-07-31 2013-07-31 기존의 전달망을 활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한 패킷 다중화 방법 및 그 장치
US14/065,723 US20150036588A1 (en) 2013-07-31 2013-10-29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packet to extend wireless sensor network using existing transmiss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1109A KR20150015263A (ko) 2013-07-31 2013-07-31 기존의 전달망을 활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한 패킷 다중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263A true KR20150015263A (ko) 2015-02-10

Family

ID=5242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1109A KR20150015263A (ko) 2013-07-31 2013-07-31 기존의 전달망을 활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한 패킷 다중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36588A1 (ko)
KR (1) KR201500152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59950B1 (en) * 2015-02-20 2019-09-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bt patter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800465B1 (pt) * 2007-03-20 2020-04-22 Kk Toshiba Toshiba Corporation sistema de difusão de protocolo de internet, multiplexador e aparelho de recepção usados em um lado de recepção do mesmo e método para converter uma pluralidade de fluxos de transporte em pacotes de protocolo de transporte em tempo real para uma transmissão de rede de protocolo de internet e transmitir os pacotes de rtp convertidos para uma rede de difusão na rede de ip
US8457106B2 (en) * 2008-09-30 2013-06-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36588A1 (en)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3833B2 (ja) 情報伝送方法及び装置
EP2323441B1 (en) Method of transmitting a message in a mesh network having a maximum number of next hop addresses
US7180904B2 (en) Interface link layer device to build a distributed network
US8107408B2 (en) Route maintenance and update based on connection identifier in multi-hop relay systems
KR20050013023A (ko)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 고속 프레임의 전송 방법
US20140071971A1 (en)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terminal, and packet transmission method
WO2021062803A1 (zh) 一种数据包传输方法及装置
US10680853B2 (en) System for combining wireless sensor networks and method thereof
WO2020246515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US82437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s in a packet switched network
US20150215199A1 (en) Network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6065108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50015263A (ko) 기존의 전달망을 활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한 패킷 다중화 방법 및 그 장치
US7684393B2 (en) Void-filling in an optical burst switching system using constant offset
JP6424740B2 (ja) パケット中継装置およびパケット中継方法
JP2019176289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10205613B2 (en) Data relay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laying data
US20080170577A1 (en) Station Device, Message Transfer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of
KR101931543B1 (ko) 플로우-모드 메시지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환경에서의 장애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199921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CN116709571A (zh) 用于移动载体的无线弹性组网方法和系统
CN115150329A (zh) 发送报文、生成路由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系统
Veytser et al. Network-coded connected dominating set relaying for airborne tactical networks
JP2006148396A (ja) Awgシングルホップwdmネットワーク構成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