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3923A -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3923A
KR20150013923A KR1020150003242A KR20150003242A KR20150013923A KR 20150013923 A KR20150013923 A KR 20150013923A KR 1020150003242 A KR1020150003242 A KR 1020150003242A KR 20150003242 A KR20150003242 A KR 20150003242A KR 20150013923 A KR20150013923 A KR 20150013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power supply
switching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호
박상기
Original Assignee
최기호
박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호, 박상기 filed Critical 최기호
Priority to KR1020150003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3923A/ko
Publication of KR2015001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는 대기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대상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수단(10), 및 상기 원격제어수단(10)과 이격된 장소에 위치하는 상기 대상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대기전력 차단부(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10')는 상기 원격제어수단(10)으로부터 전송되는 미리 규약된 주파수의 RF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120)와, 상기 안테나(120)로부터 수신된 RF 전파가 후단의 정류부와의 접합점에서 반사되지 않도록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임피던스 정합부(124)와,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124)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RF 전파(VRF)를 직류 전원 전압(VDC)으로 변환하는 복수개 단의 정류부로 이루어지는 전원 전압 생성부(126)와,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126)에 의하여 변환된 직류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 전자기기에 공급하는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토글 방식으로 제어하되 온되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오프되면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 토글형 스위치 구조로 이루어진 스위칭 제어/스위칭부(128), 및 전기의 입력과 출력의 접속점을 제공하는 입력 단자부(130) 및 출력 단자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Non-powersupply-based stanby power blocking device}
본 발명은 대기 전력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물리적인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는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기전력(standby power, 待機電力)은 기기(器機)의 동작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는 사이에 소모되는 전기에너지를 일컫는 용어로, 전기를 잡아먹는다는 뜻으로 전기흡혈귀(power vampire)라고도 불리운다. 근래에는 리모콘으로 작동되고,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전자제품의 증가와 함께 대기전력 소비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자 제품들의 경우는 항상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대기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기 전력이 불가피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대기전력 문제를 가장 완벽하게 해결하는 방법은 사용하지 않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뽑거나 개별적으로 스위치가 부착된 멀티탭(multitap)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멀티탭의 스위치를 끄면 플러그를 뽑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기 사용을 마치고 매번 물리적인 스위치를 끄는 것이 불편하기 때문에 대기 전력을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2012년 1월 20일자로 공고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0919호에는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장착되어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전선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로부터 방사된 RF전력에 의해 송출된 질의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가 수신한 질의신호를 바탕으로 하위의 스위칭전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질의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차단제어부, 그리고 상기 차단제어부에 의해 동작되어 스위칭 전환함으로써 가정용 전기제품에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이를 전원관리부에 인가토록 되어 있는 스위칭 전환부, 그리고 상기 스위칭 전환부에 의해 가정용 전기제품으로 인가되는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칭 전환부를 통해 충분한 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차단제어부와 송수신부에 공급하여줌으로써 원거리에 위치한 이동단말기에까지 응답신호를 송출하여 줄 수 있는 전원관리부를 포함하여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전선 플러그를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방사된 RF전력에 의해 송출된 질의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라는 기재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측이 항상 웨이크업(wake-up)되어 있어야 하므로 대기 전력이 여전히 존재할 수 밖에 없으며 별도의 전원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플러그가 부착된 RFID 태그가 이동단말기로 응답 신호를 송출하며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라고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기 전력이 불가피하게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체의 전원이 필요없고 플러그를 뽑은 것과 동일하게 완전히 대기전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방사된 RF 전파로부터 동작 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작에너지를 전원으로 이용하여 전자기기들에 공급하는 전원의 연결과 차단을 위한 스위칭 제어 및 스위칭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완전 무전원으로 대기전력이 전혀 없는 대기 전력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는,
대기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대상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수단(10); 및
상기 원격제어수단(10)과 이격된 장소에 위치하는 상기 대상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대기전력 차단부(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10')는,
상기 원격제어수단(10)으로부터 전송되는 미리 규약된 주파수의 RF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120)와;
상기 안테나(120)로부터 수신된 RF 전파가 후단의 정류부와의 접합점에서 반사되지 않도록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임피던스 정합부(124)와;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124)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RF 전파(VRF)를 직류 전원 전압(VDC)으로 변환하는 복수개 단의 정류부로 이루어지는 전원 전압 생성부(126);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126)에 의하여 변환된 직류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 전자기기에 공급하는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토글 방식으로 제어하되 온되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오프되면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 토글형 스위치 구조로 이루어진 스위칭 제어/스위칭부(128); 및
전기의 입력과 출력의 접속점을 제공하는 입력 단자부(130) 및 출력 단자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모콘은,
입력 전압(VCC)을 제공받아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온/오프 절환되는 물리적 스위치(100)와;
상기 스위치(100)로부터 전달된 입력 전압(VCC)을 사용하여 RF 전파를 생성하는 RF 생성부(102)와;
상기 RF 생성부(102)로부터 생성된 RF 전파가 안테나(106)와의 접합점에서 반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임피던스 정합부(104)와;
상기 RF 전파를 방사하는 안테나(106)와;
대상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리모콘부(110); 및
상기 리모콘부(110)로부터 생성된 기기 제어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송출부(1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칭 제어/스위칭부(128)는,
직류 전원 전압(VDC)이 생성되면 생성된 직류 전원 전압(VDC)을 사용하여 스위칭 제어 및 스위칭하는 것으로 선단의 스위치가 온되면 후단의 스위치를 온하도록 직렬 접속되고 선단에 비하여 후단의 스위치가 접점 용량이 큰 것으로 복 수개 접속되어 이루어진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칭 제어/스위칭부(128)는,
직류 전원 전압(VDC)이 생성되면 생성된 직류 전원 전압(VDC)을 사용하여 스위칭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128_1)와,
상기 직류 전원 전압(VDC)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절환되는 제1 접점 용량의 제1 스위치(128_2), 및
상기 제1 접점 용량보다 큰 제2 접점 용량을 가지며 상기 제1 스위치(128_2)에 의하여 출력된 스위칭 제어 신호(V_ctrl)에 응답하여 전원 전압을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128_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는 별도의 리모콘으로부터 단방향 온/오프 제어만으로 방사되는 RF 전파로부터 동작 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작에너지를 전원으로 이용하여 전자기기들에 공급하는 전원의 연결과 차단을 위한 스위칭 제어 및 스위칭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일체의 전원이 필요없고 플러그를 뽑은 것과 동일하게 대기전력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에 구비되는 원격제어수단(10)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대상 전자 기기에 설치되는 대기전력 차단부(10')의 전원/제어전압 생성부(126)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직류 전원 전압(VDC)을 사용하여 스위칭 제어 및 스위칭하는 것으로 선단의 스위치가 온되면 후단의 스위치를 온하도록 직렬 접속되고 선단에 비하여 후단의 스위치가 접점 용량이 큰 것으로 복 수개 접속되어 이루어진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의 구조를 블록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는 대기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대상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수단(10), 및 상기 원격제어수단(10)과 이격된 장소에 위치하는 상기 대상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대기전력 차단부(10')로 이루어진다.
대기 전력 차단부(10')는 상기 원격제어수단(10)으로부터 전송되는 미리 규약된 주파수의 RF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120)와, 상기 안테나(120)로부터 수신된 RF 전파가 후단의 정류부와의 접합점에서 반사되지 않도록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임피던스 정합부(124)와,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124)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RF 전파(VRF)를 직류 전원 전압(VDC)으로 변환하는 복수개 단의 정류부로 이루어지는 전원 전압 생성부(126),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126)에 의하여 변환된 직류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 전자기기에 공급하는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토글 방식으로 제어하되 온되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오프되면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 토글형 스위치 구조로 이루어진 스위칭 제어/스위칭부(128), 및 전기의 입력과 출력의 접속점을 제공하는 입력 단자부(130) 및 출력 단자부(140)로 이루어진다.
도 2에는 도 1의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에 구비되는 원격제어수단(10) 구조의 일예를 블록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에 구비되는 원격제어수단(10)에는 입력 전압(VCC)을 제공받아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온/오프 절환되는 물리적 스위치(100)와, 상기 스위치(100)로부터 전달된 입력 전압(VCC)을 사용하여 RF 전파를 생성하는 RF 생성부(102)와, 상기 RF 생성부(102)로부터 생성된 RF 전파가 안테나(106)와의 접합점에서 반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임피던스 정합부(104)와, 상기 RF 전파를 방사하는 안테나(106)와, 대상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리모콘부(110), 및 상기 리모콘부(110)로부터 생성된 기기 제어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송출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F 전파는 기본적으로 산업, 과학, 의료용 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인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equipment)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ITU-R에서는 ISM 대역으로 13.553~13.567MHz, 26.975~27.283MHz, 40.66~40.70MHz, 433.05~433.79MHz(1지역), 902~928MHz(2지역), 2.4~2.48GHz, 5.725~5.875GHz, 24~24.25GHz, 61~61.5GHz, 122~123GHz, 244~246GHz를 지정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ITU-R에서 지정한 ISM 대역이 일부 지정되어 있지 않으며, 3지역인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433MHz대역과 902MHz대역은 ISM 대역이 아니다. 최근에는 ISM 대역을 통신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하여, 허가가 불필요한 소출력 무선 기기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어 이 주파수 대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장비는 ISM 기기들과 이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장비 간에 간섭을 용인한다는 조건에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2.4GHz 대역은 공중 무선 LAN 서비스, 블루투스, 무선 식별 시스템(RFID), 디지털 코드 없는 전화 등 다양한 통신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기술개발에도 불구하고 아직 풀어야할 핵심적인 개발과제도 산적해 있는 것이 사실이다. RFID 태그용 안테나는 전기적 요구 성능뿐만 아니라 칩 및 패키지와 결합이 용이하고 태그가 부착되는 물질 및 사용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13.56MHz대역에서는 부하 변조기능을 할 수 있도록 칩의 제어에 따라 임피던스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와 900MHz 대역의 수동형에서는 전력변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칩의 입력 임피던스와의 정합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태그를 전 세계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소형 광대역 안테나가 요구되며, 제작비용을 줄이기 위해 단일 층 구조로 소형이면서도 100MHz 대역폭을 만족시키는 새로운 안테나 기술도 필요하다.
RF 주파수 대역은 필요에 따라 사용가능한 전 주파수 대역 중에서 전용대역을 할당받아 사용도 가능하며 전자기기에 따라 사용주파수를 구분 및 세분화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격 조정을 위한 원격제어수단(10)의 물리적 스위치(100)를 조작하면 물리적 스위치(100)는 입력 전압(VCC)을 제공받아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온/오프 절환되어 후단으로 입력 전압(VCC)을 전달하고, RF 생성부(102)상기 스위치(100)로부터 전달된 입력 전압(VCC)을 사용하여 RF 전파를 생성한다. 임피던스 정합부(104)는 RF 생성부(102)로부터 생성된 RF 전파가 안테나(106)와의 접합점에서 반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RF 전파 송출을 위한 안테나(106)에서 반사되지 않고 최적의 조건으로 RF 전파가 방사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원격제어수단(10)은 RF 전파 방사만을 위한 것이 아니므로 대상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통상의 리모콘부(110), 및 상기 리모콘부(110)로부터 생성된 기기 제어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송출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즉, 상기 원격제어수단(10)은 기존 리모컨 구성에 칩셋화된 무전원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온/오프(On/Off)제어를 위하여 리모컨의 기본기능을 유지하면서 리모컨의 온/오프(On/Off) 버튼을 누를시 전파(Radio Frequency Power) 송출기능을 갖는 것이다.
대기전력 차단부(10')에 구비되는 임피던스 정합부(124: Impedance Matching)는 상기 안테나(120)로부터 수신된 RF 전파가 후단의 정류부와의 접합점에서 반사되지 않도록 임피던스를 정합시킴으로써 외부에 접속되는 안테나 접속단자를 통하여 수신되는 전파가 최적의 수신 상태를 갖도록 한다. 즉,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124)는 칩셋 형태로 이루어진 대기 전력 차단부(10')의 초단에 위치하여 안테나(120)과 연결되어 최적의 전파 수신 상태를 갖도록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임피던스 정합을 통하여 수신된 최적의 수신신호는 전파를 전압으로 변환(RF to Voltage)하기 위하여 전원 생성부로 전달된다. 임피던스 정합은 최적의 RF(Radio Frequency) 전파신호 수신을 위하여 중요한 요소로 부 정합은 전압변환 효율의 저하로 이어진다.
전원 전압 생성부(126)는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124)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RF 전파(VRF)를 직류 전원 전압(VDC)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임피던스 정합부(124)를 통하여 수신된 전파(Radio Frequency Power)를 전압(Voltage)으로 변환(RF to Voltage Conversion)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칩 및 장치의 스위칭 제어 및 스위칭 동작에 충분한 전압을 생성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의 정류부(Multi-stage Voltage multiplier)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생성된 전압은 장치의 동작전원과 스위칭 제어전압 등 칩 내,외부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된다.
스위칭 제어/스위칭부(128)는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126)에 의하여 변환된 직류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 전자기기에 공급하는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토글 방식으로 제어하되 온되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오프되면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 토글형 스위치 구조를 기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스위칭 구조가 가능하다. 스위칭 제어/스위칭부(128)는 궁극적으로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연결과 차단의 제어를 담당하며 대기전원 차단 장치의 입력단자부와 출력단자부와 접속되어 제어 전압에 의해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과 연결하는 스위칭 제어 또는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
무전원 대기전력 차단 장치(10)의 입력단자부(130)는 사용하고자하는 대상 전자기기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원으로 전기 입력의 접속점을 제공하며 스위칭 제어 및 스위칭부(128)의 입력단과 연결되어 스위칭 제어에 의해 출력 단자부(140)와 연결 또는 차단되고, 물리적으로 콘센트, 터미널, 단자 등 적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 무전원 대기전력 차단 장치(10)의 출력단자부(140)는 전기 출력의 접속점을 제공하며 무전원 대기전력 차단 칩셋의 스위칭 제어 및 스위칭부 출력과 연결되어 입력단자부(130)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원격 제어에 의한 토글방식의 스위칭 동작으로 대상 전자기기에 연결 또는 차단하게 된다. 즉, 전자기기의 미동작시 출력단자부(140)의 출력은 입력단자부(130)와 완전히 분리됨으로서 전자기기의 대기전력을 완벽하게 차단하며, 이러한 출력 단자부(140)는 물리적인 콘센트, 터미널, 단자 등 적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124)와,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124)로부터 수신된 전파의 세기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동작전원 및 제어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제어전압생성부(126)와, 상기 전원/제어전압생성부(126)로부터 생성된 전압을 이용하여 입력과 출력 단자의 연결/차단(Short/Open)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및 스위칭부(128)는 하나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대상 전자 기기에 설치되는 대기전력 차단부(10')의 전원/제어전압 생성부(126) 구조의 일예를 블록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제어전압 생성부(126)는 다단의 정류부(126_1, 126_2, 126_3)로 이루어져 E[Vp-p]의 교류 입력 전압(E)을 1E, 2E, 및 3E의 DC 전압으로 승압시킨다. 즉, 상기와 같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의 전원/제어전압 생성부(126)는 RF 전파만으로 생성되는 미약한 전압으로 전원 전압과 제어 전압으로도 스위칭 제어 및 스위치를 가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에 구비되는 전원 전압 생성부는 다단의 정류부를 사용하여 스위치를 순간 구동할 수 있을 정도의 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압으로 가동되는 스위치는 토글 래치 스위치를 기본으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블록도를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직류 전원 전압(VDC)을 사용하여 스위칭 제어 및 스위칭하는 것으로 선단의 스위치가 온되면 후단의 스위치를 온하도록 직렬 접속되고 선단에 비하여 후단의 스위치가 접점 용량이 큰 것으로 복 수개 접속되어 이루어진다. 즉, 스위칭 제어/스위칭부(128)는 직류 전원 전압(VDC)이 생성되면 생성된 직류 전원 전압(VDC)을 사용하여 스위칭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128_1)와, 상기 직류 전원 전압(VDC)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절환되는 제1 접점 용량의 제1 스위치(128_2), 및 상기 제1 접점 용량보다 큰 제2 접점 용량을 가지며 상기 제1 스위치(128_2)에 의하여 출력된 스위칭 제어 신호(V_ctrl)에 응답하여 전원 전압을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128_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미약한 RF 전파를 DC 전압으로 승압시킨 것을 전원 전압 및 제어 전압으로 사용하여 스위칭할 수 있는 스위치의 접점 용량은 교류 전압을 스위칭하기에는 접점 용량이 불충분하거나 내구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위 실시예에서와 같이 선단에서 일차로 스위칭한 신호를 사용하여 접점 용량이 큰 스위치를 후단에 배치하여 상당한 전류량을 요하는 스위칭을 견딜 수 있게 하였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모콘에서 전파를 송출(S50)하면, 송출된 전파로 내부 동작전원 전압이 생성(S52)되고, 생성된 제어 전압으로 메인 전원의 공급 또는 차단(S54)이 이루어지도록 래치 토글형 스위치를 기본으로 적용하여, 별도의 리모콘으로부터 단방향 온/오프 제어만으로 방사되는 RF 전파로부터 동작 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작에너지를 전원으로 이용하여 전자기기들에 공급하는 전원의 연결과 차단을 위한 스위칭 제어 및 스위칭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일체의 전원이 필요없고 플러그를 뽑은 것과 동일하게 대기전력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도 6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리모콘에서 전파를 송출(S60)한다. 선단에 배치되는 제1 스위치의 접점 용량보다 직렬로 접속되는 후단의 제2 스위치의 접점 용량을 크게 설계하고, 송출된 전파를 사용하여 내부 동작 전원 전압을 생성하고 제1 스위치를 온하고 그에 의하여 제2 스위치를 온시킨다(S62). 이로써 접점 용량이 큰 제2 스위치에 의하여 실질적인 메인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함으로써 허용 전류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경우에도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위 실시예들에서는 대기 전력 관리 대상인 전자 기기들이 대기전력 차단 상태에서 깨어나기 위한 전파를 송출하는 수단이 리모콘인 것을 예로써 설명하였다. 하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하여 정의되는 원격제어수단(10)은 리모콘으로 약칭되는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RF 전파 송출 기능을 갖는 기기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원격제어수단
100 : 물리적 스위치 102 : RF 생성부
104 : 임피던스 정합부 106 : 안테나
110: 리모콘부 112 : 적외선 송출부
10' : 대기전력 차단부
120 : 안테나 124 : 임피던스 정합부
126 : 전원 전압 생성부 128 : 스위칭 제어/스위칭부
130 : 입력 단자부 140 : 출력 단자부
128 : 스위칭 제어/스위칭부
128_1 : 스위칭 제어부 128_2 : 제1 스위치
128_3 : 제2 스위치

Claims (4)

  1. 대기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대상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수단(10); 및
    상기 원격제어수단(10)과 이격된 장소에 위치하는 상기 대상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대기전력 차단부(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10')는,
    상기 원격제어수단(10)으로부터 전송되는 미리 규약된 주파수의 RF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120);
    상기 안테나(120)로부터 수신된 RF 전파가 후단의 정류부와의 접합점에서 반사되지 않도록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임피던스 정합부(124);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124)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RF 전파(VRF)를 직류 전원 전압(VDC)으로 변환하는 복수개 단의 정류부로 이루어지는 전원 전압 생성부(126);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126)에 의하여 변환된 직류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 전자기기에 공급하는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토글 방식으로 제어하되 온되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오프되면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 토글형 스위치 구조로 이루어진 스위칭 제어/스위칭부(128); 및
    전기의 입력과 출력의 접속점을 제공하는 입력 단자부(130) 및 출력 단자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은,
    입력 전압(VCC)을 제공받아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온/오프 절환되는 물리적 스위치(100);
    상기 스위치(100)로부터 전달된 입력 전압(VCC)을 사용하여 RF 전파를 생성하는 RF 생성부(102);
    상기 RF 생성부(102)로부터 생성된 RF 전파가 안테나(106)와의 접합점에서 반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임피던스 정합부(104);
    상기 RF 전파를 방사하는 안테나(106);
    대상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리모콘부(110); 및
    상기 리모콘부(110)로부터 생성된 기기 제어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송출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스위칭부(128)는,
    직류 전원 전압(VDC)이 생성되면 생성된 직류 전원 전압(VDC)을 사용하여 스위칭 제어 및 스위칭하는 것으로 선단의 스위치가 온되면 후단의 스위치를 온하도록 직렬 접속되고 선단에 비하여 후단의 스위치가 접점 용량이 큰 것으로 복 수개 접속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스위칭부(128)는
    직류 전원 전압(VDC)이 생성되면 생성된 직류 전원 전압(VDC)을 사용하여 스위칭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128_1)
    상기 직류 전원 전압(VDC)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절환되는 제1 접점 용량의 제1 스위치(128_2), 및
    상기 제1 접점 용량보다 큰 제2 접점 용량을 가지며 상기 제1 스위치(128_2)에 의하여 출력된 스위칭 제어 신호(V_ctrl)에 응답하여 전원 전압을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128_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
KR1020150003242A 2015-01-09 2015-01-09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 KR20150013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242A KR20150013923A (ko) 2015-01-09 2015-01-09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242A KR20150013923A (ko) 2015-01-09 2015-01-09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923A true KR20150013923A (ko) 2015-02-05

Family

ID=5257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242A KR20150013923A (ko) 2015-01-09 2015-01-09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39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4429A (zh) * 2019-09-11 2019-11-19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配电网送电防误闭锁方法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4429A (zh) * 2019-09-11 2019-11-19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配电网送电防误闭锁方法及系统
CN110474429B (zh) * 2019-09-11 2021-05-25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配电网送电防误闭锁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65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mbient RF power in a portable terminal
KR101710822B1 (ko) 이동 단말의 코일 장치
CN211209701U (zh) 无线充电装置和终端
CN104348236A (zh) 无线充电装置和方法
KR20140101028A (ko) 주파수 체배기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Abdullah et al. Design of Dual ISM bands low power rectenna for indoor wireless power transfer application
EP3419110B1 (en) Terminal antenna and terminal
KR20150013923A (ko) 무전원 대기 전력 차단 장치
EP2609665A2 (en) Remote control power isolation switch
WO2016071686A1 (en) Energy harves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el Prete et al. A dual-band wake-up radio for ultra-low power wireless sensor networks
CN211828110U (zh) 一种无线语音装置
CN209861174U (zh) 一种无源室内分布系统
CN104518812A (zh) 一种移动终端切换天线及其切换方法
Lopezf et al. Phased arrays in wireless power transfer
JP2002218679A (ja) 待機消費電力ゼロの遠隔制御装置
CN102194308A (zh) 一种射频红外遥控器
CN111541051B (zh) 天线及通信设备
KR20120001517A (ko) 반사파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
CN106207471A (zh) 一种基于用户选择的智能天线系统
CN217721324U (zh) 待机供电电路及显示终端
CN202093673U (zh) 一种射频红外遥控器
KR100713214B1 (ko) 마우스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감 시스템
KR200431585Y1 (ko) 무선 고주파 전력을 사용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WO2016177074A1 (zh) 一种能量转化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