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862A -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862A
KR20150011862A KR1020130086501A KR20130086501A KR20150011862A KR 20150011862 A KR20150011862 A KR 20150011862A KR 1020130086501 A KR1020130086501 A KR 1020130086501A KR 20130086501 A KR20130086501 A KR 20130086501A KR 20150011862 A KR20150011862 A KR 20150011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touch
touch screen
motion
unit
medic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호
김명선
정성현
임흥순
이상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6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1862A/ko
Publication of KR20150011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방법은, 멸균영역 내에 가상 터치스크린의 생성에 필요한 멸균환경을 구비하는 단계와, 비멸균 영역에서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을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에 투사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 상에 발생된 가상터치 개시모션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동작인식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에 대응하여 발생된 사용자 모션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사용자 모션에 상응하는 제어명령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INTERFACE OF MEDICAL THROUGH VIRTUAL TOUCH SCREEN}
본 발명은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비멸균 영역에서 구동되는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멸균 영역에서 제어할 수 있는,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술실 내 멸균영역에서는 멸균 작업을 마친 의료진과 멸균된 수술도구만을 이용하여 수술을 집행하게 된다. 이에, 멸균영역 내에서 의료진은 비멸균 영역에서 운용되는 각종 의료기기를 이용 또는 제어하기 위한 직접적인 접촉이 불가능하여, 의료기기의 신속한 조작이 제한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의료 환경과 같은 특수 상황을 고려하여 가상 멀티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의료기기를 구비하는 방안과 상기 의료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0698호
상기 특허문헌(발명의 명칭: 가상 멀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는 가상 멀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영상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인식하여 그에 대한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데 적합한 가상 멀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의료 환경과 같은 특수 상황을 고려하여 가상 멀티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의료기기 구비 및 이용 방법에 대해 전혀 개시 또는 암시하고 있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의료 환경과 같은 특수 상황을 고려하여 가상 멀티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의료기기를 구비하는 방안과 상기 의료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비멸균 영역에서 구동되는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구동을 멸균 영역 내에서 의료진이 제어할 수 있는,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방법은, 멸균영역 내에 가상 터치스크린의 생성에 필요한 멸균환경을 구비하는 단계와, 비멸균 영역에서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을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에 투사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 상에 발생된 가상터치 개시모션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동작인식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에 대응하여 발생된 사용자 모션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사용자 모션에 상응하는 제어명령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방법은, 가상 터치스크린의 생성에 필요한 환경을 구비하는 단계와,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을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에 투사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에 대응하여 발생된 사용자 모션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모션 인식에 따라,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에 투사된 상기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 신체부위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에 투사된 상기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의료기기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는 PC부와, 상기 PC부로부터 상기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을 전송받는 프로젝터부와, 상기 프로젝터부로부터 상기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이 투사되는 가상 스크린부 및 상기 가상 스크린부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사용자 모션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모션에 관한 정보를 상기 PC부로 전송하는 모션인식 센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비멸균 영역에서 구동되는 PC 시스템의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을 수술실의 멸균영역에 구비된 가상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하고, 가상 터치스크린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여, 감지된 사용자 모션에 따라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술실의 멸균환경을 유지하면서도, 의료기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방법의 전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멸균영역에 구비되는 프로젝터부(110), 가상 터치 스크린부(120), 모션인식 센서부(130)를 포함하고, 비멸균 영역에 구비되는 PC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C부(210)는 의료기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통신부(230), 디스플레이부(250), 메모리부(27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멸균 영역과 비멸균 영역은 의료 환경과 같은 특수 환경에 대응하는 물리적인 공간으로서, 두 영역은 서로 격리될 수 있으며, 멸균 영역에 구비되는 모든 기구와 물품은 멸균 상태로 구비되고, 비멸균 영역에 구비되는 장치는 일반적인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비멸균 영역에 구비된 PC부(210)에 구비된 통신부(230)는 멸균영역 내에 구비된 프로젝터부(110) 및 모션인식 센서부(13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구성으로 적외선 통신(IrDA), 인프라레드(Infrared),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나, 기타 근거리에서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과, 시리얼 포트, 패럴 포트, USB 및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이 모두 이용될 수 있으나, PC부(210)와 프로젝터부(110) 및 모션인식 센서부(130)가 서로 이격된 공간인 비멸균 영역과 멸균 영역 각각에 존재하는 것을 고려하면 선에 의해 멸균 영역이 파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무선 통신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구동에 의한 실행화면이 표시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PC부(210)의 상태 및 PC부(21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 동작 상태 및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등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멸균영역에서 발생된 사용자 모션을 통한 각종 제어 명령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된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실행화면 등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모리부(2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PC부(210)의 동작 프로그램 및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과, 멸균영역에서 발생된 사용자 모션을 통해 입력된 각종 제어 명령에 의해 구동되는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270)는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중에 사용 또는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부(270)는 멸균영역에서 가상 터치 스크린부(120)에 대응하여 발생된 사용자 모션과 이에 연관된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제어 명령이 매핑된 매핑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PC부(2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90)는 모션 인식 센서부(13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모션을 분석하여 이에 대대응하는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제어명령을 추출하며, 추출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90)는 가상 터치 스크린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멸균영역에 구비되는 프로젝터부(110)는 PC부(210)의 통신부(230)를 통해 PC부(210)에서 구동되는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프로젝터부(110)는 전송받은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 데이터를 가상 터치 스크린부(120)에 전송하여 출력되게 한다. 프로젝터부(110)는 프로젝터 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프로젝터부(110)는 PC부(210)에 저장된 문서, 동영상,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특정 기능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PC부(210)와 연결될 수 있는 다른 PC, TV, VCR, DVD, 캠코더 등 각종 외부 영상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들을 가상 터치 스크린부(120)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젝터부(11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영상 입력부, 렌즈, 초점 구동 모터, 영사각 구동 모터, 영사각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상 터치 스크린부(120)는 제1 가상 터치 스크린(122) 및 제2 가상 터치 스크린(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상 터치 스크린(122)은 표시창과 터치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드는 표시장의 일측에 부착되어 표면에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터치 신호가 발생한 영역의 좌표 즉, 좌표값을 검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터치패드는 압력 센서를 이용한 하중 분압 방식, 금속세선매립방식(감압방식),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변화방식, 초음파 반사 방식, 광센서 및 전자유도 방식 등으로 동작할 수 있다. 특히, 터치패드는 사용자 모션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터치 패드는 표시창에 입력되는 좌표값을 검출하여, 검출된 좌표값을 PC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표시창은 프로젝터부(110)로부터 수신된 PC부(210)의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창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로 구성될 수 있으며, LCD 제어부와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표시창은 제1 가상 터치 스크린(122)에 입력된 사용자 모션에 의해 제어된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가상 터치 스크린(122)은 모션 인식 센서의 구비를 생략할 수 있다.
제2 가상 터치 스크린(124)은 프로젝터부(110)로부터 방출되는 영상을 수신하는 가상의 스크린으로서, 예컨대, 의료진의 손바닥이나 테이블과 같은 비전자기기를 일컫는다. 제2 가상 터치 스크린(124)은 모션 인식 센서부(130)와 연동하여 구비된다. 모션 인식 센서부(130)는 제2 가상 터치 스크린(124)에 대한 특정된 사용자 모션의 감지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구성으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등 사용자 모션을 감지할 수 있는 각종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모션 인식 센서부(13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은 PC부(21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PC부(210)는 제2 가상 터치 스크린(124)에 가상영상으로 표시된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이 상기 사용자 모션에 의해 제어되도록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인식 센서부(130)는 제2 가상 터치 스크린(124)에 대응하는 사용자 모션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모션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비된 통신 기능을 통해 PC부(21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후, PC부(210)는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모션의 좌표값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모션의 좌표값에 상응하는 제어명령을 추출하여 추출된 제어 명령에 따라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C부(210)는 가상 터치 스크린에 대해 발생한 사용자 모션에 따라 사용자 모션 UI(User Interface)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멸균영역 내의 의료진이 프로젝터부(110)로부터 의료진의 손바닥에 투사된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버튼 키 화면에 대해 소정의 버튼을 터치하는 사용자 모션을 취한 경우, 모션 인식 센서부(130)는 상기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 모션에 관한 정보를 PC부(210)에 전송한다. PC부(210)는 수신된 사용자 모션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손바닥에 투사된 버튼화면과 이에 대응하여 발생된 터치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선택된 버튼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부(210)는 선택된 버튼에 기초하여 실행중인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이 제어된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결과 실행화면은 실시간으로 프로젝터부(110)로 전송되고, 이에 의해 의료진에게 실시간으로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프로젝터부(110) 및 모션인식 센서부(130)는, 도면에 멸균영역에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멸균영역 및 비멸균영역 모두에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멸균영역의 공간이 협소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멸균영역에 구성될 경우 멸균실의 내측공간과 차폐시키기 위한 별도의 차폐수단으로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프로젝터부(110) 및 모션인식 센서부(130)를 멸균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멸균실 내측공간과 차폐시켜 사용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방법의 전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방법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 310에서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가상 터치스크린의 생성에 필요한 환경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멸균 영역에 멸균영역에 구비되기 어려운 의료기기 장비를 포함하는 PC부(210)를 구비할 수 있고, 멸균 영역에 멸균 처리된 프로젝터부(110), 가상 터치 스크린부(120), 모션인식 센서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상 터치 스크린부(120)로서, 전자기기로 구비되는 제1 가상 터치스크린(122) 또는 비전자기기, 즉 의료진의 멸균 장갑을 착용한 손바닥이나, 멸균 천으로 커버된 테이블 등이 제2 가상 터치스크린(124)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제2 가상 터치스크린(124)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프로젝터부(110)의 출력 영상을 투사시키기 위해 임의로 설정된 사물 또는 사람의 신체 일부일 수 있다. 제2 가상 터치스크린(124)은 모션 인식 센서부(130)에 의해 인지되어 가상 터치스크린으로서 설정되고, 이에 관한 정보는 PC부(2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상 터치스크린(124)은 비전자기기이기 때문에 제2 가상 터치스크린(124)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사용자 모션을 검출하기 위해 모션 인식 센서부(130)와 연동된다.
PC부(210)는 특정 의료기기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이의 실행화면을 PC부(21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50)로 출력하고, 동시에 프로젝터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프로젝터부(110)는 PC부(210)로부터 수신된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실행화면을 가상 터치스크린에 투사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비전자기기인 제2 가상 터치스크린(124)을 이용하는 예를 특징으로 개시한다. 예를 들어, 의료진이 수술용 멸균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프로젝터부(110)를 가동시켜 의료기기 소프트웨어가 구동되고 있는 PC부(210)의 실행화면이 멸균 천 위에 투사되게 프로젝터부(110)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모션 인식 센서부(130)를 함께 구동시켜 모션 인식 센서부(130)가 상기 실행화면이 투사된 멸균 천이 가상 터치스크린으로 설정됨을 인식하게 한다. 가상 터치스크린이 설정된 이후, 사용자는 가상터치 개시모션을 발생시켜, 모션 인식 센서부(130)가 이후 발생되는 사용자 모션을 가상 터치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상터치 개시모션의 인식을 통해 실행되는 사용자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이하, 동작 인식 프로그램이라 일컬을 수 있다. 상기 가상터치 개시모션은 예컨대, 사용자가 모션 인식 센서부(130)에 대응하여 두 손바닥을 편 후 상하로 2회 움직인 후 2초간 정지하는 모션일 수 있으며, 이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설정된 모션일 수 있다.
단계 330에서 가상 터치 스크린에 대응하여 발생된 사용자 모션을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모션은 가상 터치 스크린에 대해 발생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과 같은 도구에 의한 탭(Tap), 더블 탭, 롱 탭, 플릭(flick), 터치, 멀티터치, 드래그 앤 드롭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40에서 인식된 사용자 모션에 상응하는 제어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 즉, PC부(210)는 모션 인식 센서부(13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모션 정보를 분석하여 이와 일치하는 사전에 정의된 사용자 모션을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모션에 매핑된 제어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 350에서 추출된 제어명령에 따라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의하면, 비멸균 영역에서 구동되는 PC 시스템의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을 수술실의 멸균영역에 구비된 가상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하고, 가상 터치스크린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여, 감지된 사용자 모션에 따라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술실의 멸균환경을 유지하면서도, 의료기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고 제어할 수 있다.
즉, 본원발명은 멸균영역 내에서 상기 멸균 영역과 격리된 비멸균 영역에서 구동되는 의료기기의 실행을 직접적, 물리적 접촉 없이 제어함으로써, 감염의 우려를 방지하고, 의료 환경을 보존할 수 있는 의료 환경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프로젝터부 120: 가상 터치 스크린부
130: 모션 인식 센서부 210: PC부
230: 통신부 250: 디스플레이부
270: 메모리부 290: 제어부

Claims (10)

  1. 멸균영역 내에 가상 터치스크린의 생성에 필요한 멸균환경을 구비하는 단계;
    비멸균 영역에서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을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에 투사시키는 단계;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 상에 발생된 가상터치 개시모션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동작인식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에 대응하여 발생된 사용자 모션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사용자 모션에 상응하는 제어명령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의 생성에 필요한 멸균환경을 구비하는 단계는,
    멸균 처리된 프로젝터, 모션인식 센서, 멸균 의복을 착용한 신체의 일부나, 멸균 천으로 커버된 사물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된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터치 개시모션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사용자 모션을 인식하는 상기 동작인식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특정 모션을 인식하는,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션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에 대해 발생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도구에 의한 탭(Tap), 더블 탭, 롱 탭, 플릭(flick), 터치, 멀티터치, 드래그 앤 드롭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모션을 검출하는,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방법.
  5. 가상 터치스크린의 생성에 필요한 환경을 구비하는 단계;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을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에 투사하는 단계;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에 대응하여 발생된 사용자 모션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모션 인식에 따라,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에 투사된 상기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 신체부위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터치스크린에 투사된 상기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을 제어하는,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방법.
  6.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있어서,
    의료기기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는 PC부;
    상기 PC부로부터 상기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을 전송받는 프로젝터부;
    상기 프로젝터부로부터 상기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이 투사되는 가상 스크린부; 및
    상기 가상 스크린부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사용자 모션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모션에 관한 정보를 상기 PC부로 전송하는 모션인식 센서부를 포함하는,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인식 센서부는,
    상기 가상 스크린부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미리 설정된 가상터치 개시모션을 인식함에 따라 동작인식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인식 센서부는,
    상기 동작인식 프로그램의 실행 이후 발생하는 사용자 모션에 관한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PC부로 전송하는,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터치 스크린부는,
    상기 프로젝터부로부터 영상이 투사되는 신체의 일부 또는 사물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되는,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C부는,
    상기 모션인식 센서부 및 상기 프로젝터부와 적외선 통신(IrDA), 인프라레드(Infrared),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20130086501A 2013-07-23 2013-07-23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1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501A KR20150011862A (ko) 2013-07-23 2013-07-23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501A KR20150011862A (ko) 2013-07-23 2013-07-23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862A true KR20150011862A (ko) 2015-02-03

Family

ID=5248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501A KR20150011862A (ko) 2013-07-23 2013-07-23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18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9761A (zh) * 2020-06-19 2020-09-18 深圳市宝佳终端科技有限公司 触摸式显示屏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9761A (zh) * 2020-06-19 2020-09-18 深圳市宝佳终端科技有限公司 触摸式显示屏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1896B2 (en) Device interaction in augmented reality
JP6994466B2 (ja) 医療情報との相互作用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4172726A1 (e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using speech and text captions
US8693724B2 (en) Method and system implementing user-centric gesture control
US20130063345A1 (en) Gesture input device and gesture input method
US11954268B2 (en) Augmented reality eyewear 3D painting
US20160216792A1 (en) Head mount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head mounted display
US104094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display position of a three-dimensional image
US11089427B1 (en) Immersive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using spatial audio
KR20100064177A (ko)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US1103098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60070410A1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hand-wearing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EP3881293A1 (en) Systematic positioning of virtual objects for mixed reality
EP2579142B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a controlled device
CN117916777A (zh) 手工制作的增强现实努力证据
JP2016126687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操作受付方法および操作受付プログラム
KR20090076124A (ko) 가전 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50011862A (ko) 가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JP6439398B2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US10885335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7068001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9880670B2 (en) Gesture control having automated calibration
CN117940964A (zh) 手工制作的增强现实体验
US20170097656A1 (en) Controlling a target device
CN117940877A (zh) 增强现实道具交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