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654A - Apparatus and method for judgeing low light area, and server for noticing low light area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judgeing low light area, and server for noticing low light ar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654A
KR20150011654A KR1020130086876A KR20130086876A KR20150011654A KR 20150011654 A KR20150011654 A KR 20150011654A KR 1020130086876 A KR1020130086876 A KR 1020130086876A KR 20130086876 A KR20130086876 A KR 20130086876A KR 20150011654 A KR20150011654 A KR 20150011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ea
information
generating
brightn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8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태헌
박훈규
서영일
허성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86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1654A/en
Publication of KR20150011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65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1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information on a dark area by measuring the illumination of a street by a user using a black box installed in a vehicle, and to share the collected information with other users. A device installed in a moving object comprises: an image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mage data on an image produced by photographing a certain area by a camera sensor; a brightnes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brightness information on the image by analyzing the image;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s a dark area based 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dark area notification data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Description

저조명 지역을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저조명 지역을 알리는 서버{APPARATUS AND METHOD FOR JUDGEING LOW LIGHT AREA, AND SERVER FOR NOTICING LOW LIGHT AREA}[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JUDGEING LOW LIGHT AREA, AND SERVER FOR NOTICING LOW LIGHT AREA [0002]

해당 지역이 저조명 지역임을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저조명 지역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알리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A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at the area is a low light area, and a server for notifying other users of the low light area.

최근, 어두운 지역을 다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증가하고 있으며, 어두운 밤길을 다니는 사람들이 조금이나마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도록 통화를 하면서 걸어가는 등의 지침, 호신 용품 등이 등장하고 있으며,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호신술을 배우는 사람들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보행자들이 밤에 지나다니는 길의 조명 상태를 보행자에게 직접적으로 알려주고 있지 않아, 보행자들의 경우, 밤에 자신이 지나가야 하는 길이 어두운 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보행자들이 밤에 지나다니는 길의 조명 상태를 보행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이 요구된다. Recently, crime targeting people in dark areas has been increasing. Guidelines such as walking while talking on the dark roads for people to go home safely have appeared. People are also increasingly learning to self-defense to protect themselves. However, until now, pedestrians are not directly informing the pedestrians of the lighting conditions of the roads passing by at night, so it is difficult to judge whether or not the roads that pass by at night are dark. Therefore, a method of informing the pedestrian of the lighting condition of the road passing by at night is required.

한편, 일반적으로 감시용 카메라 등은 주차장, 출입구 또는 길목과 같은 특정한 장소에 설치되며,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 자동차 또는 차량 내부에 블랙박스와 같은 촬영 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을 촬영하기도 한다. 자동차의 경우, 블랙박스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주변이 어두운 경우 자동으로 전조등 및 후미등을 작동시켜 차량 주변의 어두움을 해소하기도 하고, 주차장 등에 설치된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자동으로 점등하여 해당 지역의 어두움을 해소하기도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72690호에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를 이용하여 가로등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general, a surveillance camera or the like is installed at a specific place such as a parking lot, an entrance or a road, and captures an image of a subject. A vehicle such as a black box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or the vehicle to photograph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In the case of a car,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black box is analyzed to automatically eliminate the darkness around the vehicle by operating the headlights and tail lights automatically when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are dark, analyze the camera image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It automatically lights up to clear the darkness of the area.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0072690 discloses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streetlight using a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참여형의 거리 조도 측정을 통해 어두운 지역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한다. 수집된 정보를 타인들에게 공유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We want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dark area by measuring the user 's participant' s distance illuminance using the black box mounted on the vehicle. We want to share the collected information with other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be presen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카메라 센서를 통해 소정 영역을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영상의 밝기 정보를 생성하는 밝기 정보 생성부, 영상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판단 결과에 따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mage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mage data of an image photographed in a predetermined area through a camera sensor, A posi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a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s a dark region based 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a dark region notification data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ser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센서를 통해 소정 영역을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영상의 밝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영상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에 따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generating image data,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image data of an image photographed in a predetermined region through a camera sensor; generating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image by analyzing the image;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s dark based 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dark area notification data inclu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센서를 통해 소정 영역을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영상의 밝기 정보를 생성하는 밝기 정보 생성부,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판단 결과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로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mage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mage data of an image photographed in a predetermined region through a camera sensor, a brightnes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image by analyzing the imag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s a dark area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notification data to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체에 설치된 영상 촬영 디바이스로부터 소정 영역을 촬영한 영상의 밝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영상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생성부,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판단 결과에 따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brightness information of an image photographed in a predetermined area from a video image pickup device installed in a moving object, a position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s a dark area,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rk area notification data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체에 설치된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촬영된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알리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indicating whether a region photographed by a first device from a first device installed in a moving object is a shadow area; And transmitting the response message including the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to the second device when the response message includes the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참여형의 방식을 통해 차량에 장착된 블랙 박스 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저조명 지역의 위치를 수집할 수 있다. 서버에 접속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시용자들에게 저조명 지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수집된 정보를 제공 및 공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tasks, the location of the low-illuminated area can be collected using the black box and the smart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through the user participatory manner. The collect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nd shared so that the user of the smart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can confirm the low illumination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에 설치된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에 설치된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에 위치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두운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over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vice installed in a mov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vice installed in a moving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for manag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device located in a mov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dark reg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어두운 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어두운 지역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이동체에 설치된 디바이스(10), 어두운 영역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20), 이동체에 위치한 모바일 디바이스(30) 및 모바일 디바이스(40)를 포함하나. 다만, 도 1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over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a user is in a dark area and providing a user's mobile device with information on a dark area includes a device 10 installed in a moving object, a server 20 managing information on a dark area, Includes a mobile device (30) and a mobile device (40) located on a mobile body. However, since the system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IG.

도 1에 도시된 전체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Each component of the overall system shown in Fig. 1 may be generally connected via a network.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between each node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One example of such a network is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 A WAN (Wide Area Network), a PAN (Personal Area Network), a Bluetooth (Bluetooth), a wireless LAN (Local Area Network) Networks, satellite broadcast networks, analog broadcast network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s, and the like.

모바일 디바이스(40) 및 이동체에 위치한 모바일 디바이스(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device 40 and the mobile device 30 located in the mobile device can be implemented as portable terminals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through a network. 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to be portable and mobility. For example,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a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a PHS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W-CDMA (W-CDM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A smart pad, a tablet PC, and the like.

이동체에 설치된 디바이스(10)는 차량에 설치되는 블랙박스, 네비게이션 또는 카메라 장치를 통해 차량의 외부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device 10 installed in the moving object may include devices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a black box, a navigation device, or a camera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may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through a network It is possible.

다만, 디바이스(10), 모바일 디바이스(30 내지 40)가 앞서 예시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 모바일 디바이스(30 내지 40)는 소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되는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owever, the device 10 and the mobile devices 30 to 40 are not limited to those illustrated above, and may further include various types of devices. For example, the device 10, the mobile devices 30 to 40 may further include devices that are operated throug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or program.

디바이스(10)는 카메라 센서를 통해 소정 영역을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영상의 밝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는 차량 운행 중 카메라 센서를 통해 차량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조도에 대한 영상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evice 10 may generate image data of an image photographed in a predetermined area through a camera sensor and generat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image by analyzing the generated imag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an image outside the vehicle through a camera sensor, analyze the photographed image, and perform image filtering on the illuminance.

디바이스(10)는 영상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디바이스(10)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 필터링 결과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어두운 경우, 해당 지역 또는 영역이 어둡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현재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device 10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determines whether the area is a dark area based on the generated brightness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dark area notification data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Lt; / RTI > For example, if the image filtering result for the photographed image is darker than the preset reference, the device 10 may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region or area is dark, and may transmi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

이와 같은 디바이스(1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다시 한번 설명된다. Such an operation of the device 10 will be described again in Fig.

서버(20)는 이동체에 설치된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 제 1 디바이스(10)에 의해 촬영된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알리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 2 디바이스(40)로부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4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20)는 도보로 이동 중인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요청에 기초하여 해당 스마트폰에 어두운 영역에 대한 알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e server 20 receives the dark area notification data from the first device 10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and informs whether the area photographed by the first device 10 is dark or not, The second device 40 can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including the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to the second device 40. [ For example, the server 20 may transmit notification data for a dark area to a corresponding smart phone based on a request from a smart phone of a user who is moving on foot.

서버(2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다시 한번 설명된다. The operation of the server 20 will be described once again in Fig.

이동체에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30)는 이동체에 설치된 영상 촬영 디바이스로부터 소정 영역을 촬영한 영상의 밝기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영상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에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30)는 수신된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mobile device 30 installed in the moving object can receive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image photographed in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image captur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object and generate th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Also, the mobile device 30 installed in the moving object can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area is a dark area based on the received brightness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dark area notification data to the server 2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모바일 디바이스(3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5에서 다시 한번 설명된다. The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30 will be described once again in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에 설치된 디바이스(1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101), 밝기 정보 생성부(102), 위치 정보 생성부(103), 판단부(104) 및 전송부(105)를 포함한다. 다만, 디바이스(10)의 구성이 도 2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vice 10 installed in a mov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device 10 includes an image data generation unit 101, a brightnes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2, a po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3, a determination unit 104, and a transmission unit 105.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10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

영상 데이터 생성부(101)는 카메라 센서를 통해 소정 영역을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영상 데이터 생성부(101)는 영역을 촬영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 데이터 생성부(101)는 카메라 센서를 통해 제 1 위치에서 촬영한 제 1 영상의 영상 데이터 및 제 2 위치에서 촬영한 제 2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생성부(101)는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 장치를 통해 차량 외부의 전방 영상 또는 후방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image data generation unit 101 generates image data of an image photographed in a predetermined area through a camera sensor. The image data generation unit 101 can generate a plurality of image data of the area. For example, the image data generation unit 101 may generate image data of a first image photographed at a first position and image data of a second image photographed at a second position through a camera sensor. For example, the image data generation unit 101 may generate image data by shooting a forward image or a backward image outside the vehicle through a camera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밝기 정보 생성부(102)는 생성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영상의 밝기 정보를 생성한다. 밝기 정보 생성부(102)는 조도 측정 알고리즘을 통해 영상의 밝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밝기 정보 생성부(102)가 밝기 정보를 생성하는데 있어, 조도 측정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밝기 정보 생성부(102)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저조명 영상 필터링을 사용하여 영상의 밝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brightnes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2 generates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image by analyzing the generated image. The brightnes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2 may generate brightness information of an image through a brightness measurement algorithm. In generating the brightness information by the brightnes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2, a brightness measurement algorithm can be used. For example, the brightnes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2 may generate brightness information of an image using low-illuminance image filtering on the photographed image data.

위치 정보 생성부(103)는 영상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위치 정보 생성부(103)는 위치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위치 정보는 영상이 촬영된 시점에서 디바이스(10)의 위치 정보가 되며, 위치 측정 센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기지국과의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영상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The po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3 generates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The posi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3 may generat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using the position measuring sensor. The position information may b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10 at the time when the image is captured,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mage through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a communication base station.

판단부(104)는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104)는 밝기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판단되는 어두운 영역은 저조명 지역, 저조도 영역 및 저광도 영역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104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rea is a dark area based 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The determination unit 104 may determine whether the area is a dark area by comparing the brightness information with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determined dark region may be any one of a low-illuminated region, a low-illuminated region, and a low-luminous intensity region.

한편, 판단부(104)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 각각의 밝기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정보를 비교하고,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기 설정된 기준 정보보다 작은 밝기 정보를 갖는 영상 데이터의 개수에 기초하여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부(104)는 제 1 위치에서 촬영한 제 1 영상 데이터의 밝기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정보보다 작고, 제 2 위치에서 촬영한 제 2 영상 데이터의 밝기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정보보다 박고, 제 1 영상 촬영 시점과 제 2 영상의 촬영 시점 간의 시간 간격이 기 설정된 시간 간격보다 작은 경우, 영역을 어두운 영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termination unit 104 compares brightness inform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video data with predetermined reference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area is dark based on the number of video data having brightness information smaller than predetermined reference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video data The determination unit 104 may determine whether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e data photographed at the first position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second image data photographed at the second position If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first image-taking time point and the second image-taking time point is shorter than a preset time interval, the region may be judged to be a dark region.

예를 들면, 판단부(104)는 촬영된 영상의 일정 영역 이상이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어두운 경우, 어두운 영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어둡다고 판단되는 지역을 일정 거리 이상 주행하는 경우, 해당 지역을 어두운 지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104)는 특정 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저조명 지역을 주행하는 경우에도 해당 지역을 어두운 지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104 can determine that a dark region is present when a predetermined region or more of the photographed image is dark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and when the region is determined to be dark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It can be judged as an area. On the other hand, the determination unit 104 can determine the area as a dark area even when the low-illuminated area continuously runs for a specific time or longer.

통신부(105) 판단 결과에 따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서버(20)로 전송한다.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는 서버(2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40)와 공유될 수 있으며, 어두운 영역에 대한 판단 결과, 영역에 대한 식별자, 밝기 정보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05)는 저조명 시점, 즉 어두운 영역의 시점과 어두운 영역이 끝나는 시점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And transmits the dark area notification data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mmunication unit 105. The dark area notification data may be shared with the external device 40 through the server 2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dentifier for the area, brightness information, and image data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dark area.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05 may transmit the dark area notification data to the server 20, which further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at a low illumination point, that is, a point of time when a dark area ends and a dark area ends.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에 설치된 디바이스(10)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디바이스(10)는 차량 내부에 위치한 모바일 디바이스(3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어두운 영역을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3의 디바이스(10)에 대하여 설명되지 않은 내용은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되는 디바이스(10)의 내용에 포함되거나 이를 통해 유추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vice 10 installed in a moving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10 shown in FIG. 3 performs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 dark area through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mobile device 30 located inside the vehicle. Therefore, details not described for the device 10 of FIG. 3 can be included in or can be deduced from the contents of the device 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106), 밝기 정보 생성부(107), 판단부(108) 및 전송부(109)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device 10 includes an image data generation unit 106, a brightnes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7, a determination unit 108, and a transmission unit 109.

영상 데이터 생성부(106)는 카메라 센서를 통해 소정 영역을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 생성부(106)는 야간에 이동 중인 차량 내에서 길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The image data generation unit 106 can generate image data of an image photographed in a predetermined area through a camera sensor. For example, the image data generation unit 106 may collect image information about a road in a moving vehicle at night.

밝기 정보 생성부(107)는 생성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영상의 밝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밝기 정보 생성부(107)는 수집된 영상 중 저조명 영상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The brightnes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7 can generat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image by analyzing the generated image. For example, the brightnes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7 may perform filtering on the low illumination image among the collected images.

판단부(108)는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08)는 특정 시간 이상 연속으로 어두운 영역을 지나는 경우, 해당 영역을 어두운 지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108 can determine whether the area is a dark area based 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determination unit 108 passes a dark region continuously over a specific time, the determination unit 108 can determine the region as a dark region.

전송부(109)는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 내부에 위치한 모바일 디바이스(30)로 알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부(109)는 차량 내부의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어두운 영역임을 알리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e transmitting unit 109 may transmit the notification data to the mobile device 30 locat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example, the transmitting unit 109 may transmit notification data to the smartphone of the user in the vehicle to indicate that it is a dark area.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20)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서버(20), 또는 관리 서버(20)는 이동체에 장착된 디바이스(10)로부터 어두운 영역을 알리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외부의 모바일 디바이스(40)에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4의 서버(20)의 동작 중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되는 디바이스(10)의 설명에 포함되거나, 유추 가능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20 for manag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20 or the management server 20 shown in Fig. 4 receives the data informing the dark area from the device 10 mounted on the moving body and transmits the dark area notification data to the external mobile device 40 Role.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server 20 of FIG. 4 is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device 10, which is described in FIG. 1 and FIG.

도 4를 참조하면, 서버(20)는 관리 서버 또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 관리 서버 등으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수신부(201), 전송부(202), 알림 데이터 선택부(203)를 포함한다. 4, the server 20 includes a receiving unit 201, a transmitting unit 202, and a notification data selecting unit 203, which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management server, a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management server, .

수신부(201)는 이동체에 설치된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 제 1 디바이스(10)에 의해 촬영된 영역이 어두운 영역이지 여부를 알리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부(201)는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로부터 블랙박스를 통해 수집된 저조명 지역에 대한 데이터 또는 어두운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201 may receive the dark area notification data indicating whether the area photographed by the first device 10 is dark or not from the first device 10 installed in the moving object. For example, the receiving unit 201 may receive data for a low-illuminated area or data for a dark area collected through a black box from a black box installed in the vehicle.

전송부(202)는 제 2 디바이스(40)로부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4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202)는 도보로 이동 중인, 차량을 통해 이동 중인 다른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어두운 지역에 대한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GPS로 체크된 어두운 지역에 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40, the transmitting unit 202 may transmit a response message including the dark area notification data to the second device 40. [ When a message requesting notification of a dark area is received from a smartphone of another user who is moving on a foot, which is being moved on foot, the transmitter 202 transmits information on a dark area checked by the GPS to another user's smart Phone.

알림 데이터 선택부(203)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 중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알림 데이터 선택부(203)는 제 2 디바이스(4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 중 제 2 디바이스(40)에 위치 정보에 해당하거나 또는 제 2 디바이스(40) 주변의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The notification data selection unit 203 can select the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among the plurality of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data selection unit 20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notif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econd device 40 among the plurality of pieces of the dark area notification dat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40, Can be selec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에 위치한 모바일 디바이스(30)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30)는 도 3에 도시된 디바이스(10)과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디바이스(10) 및 모바일 디바이스(30)를 이용하여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10)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디바이스(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5에도 적용된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30 locat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device 30 shown in FIG. 5 can perform operations of the device 10 shown in FIG. 2 through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device 10 shown in FIG. In other word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10 and the mobile device 30 shown in Figures 3 and 5 can be used to implement the operation of the device 10 shown in Figures 1 and 2 . Thus, the description of the device 10 through Figs. 1-2 applies to Fig.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30)는 수신부(301), 위치 생성부(302), 판단부(303) 및 통신부(304)를 포함한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30)의 구성이 도 5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 the mobile device 30 includes a receiving unit 301, a position generating unit 302, a determining unit 303, and a communication unit 304.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device 30 shown in Fig. 5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수신부(301)는 이동체에 설치된 영상 촬영 디바이스로부터 소정 영역을 촬영한 영상의 밝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위치 생성부(302)는 영상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301 can receive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image photographed in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image captur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body, and the position generating unit 302 can generate th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또한, 판단부(303)는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통신부(304)는 판단 결과에 따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determining unit 303 may determine whether the area is a dark area based 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304 may transmit the dark area notification data inclu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Lt; / RTI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는 야간에 이동 중인 차량 내에서 길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에 저조명 영상 필터링을 적용하여 밝기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특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 이상 어두운 지역을 지나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생성(S601)하고, 생성된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서버(20)로 전송(S602)한다. 서버(20)는 외부의 모바일 디바이스(40)로부터의 요청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40)의 위치에 해당하거나, 또는 위치 주변의 어두운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S603)할 수 있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device 10 collects image information about a road in a moving vehicle at night, and applies low-light image filtering to the collected image to extract brightness information. Thereafter, when the user goes through a dark area for a specific time or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he user generates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including positional information on the area (S601),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to the server (S602) do. The server 20 may correspond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40 based on a request from the external mobile device 40 or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hadow area around the location (S603).

다만,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예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However, FIG. 6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embodiments may exis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두운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의 어두운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되는 디바이스(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여도,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디바이스(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7에도 적용된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dark reg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dark region of FIG. 7 includes steps that are processed in a time-series manner in the device 10 described in FIGS. Therefore, even if omitt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device 10 through Figs. 1 and 2 also applies to Fig.

도 7을 참조하면, 이동체 내부에 위치한 디바이스(10)는 카메라 센서를 통해 소정 영역을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S701)하고,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영상의 밝기 정보를 생성(S702)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device 10 located inside the moving object generates image data of an image photographed in a predetermined area through a camera sensor (S701), and generates image brightness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image (S702) .

그리고, 디바이스(10)는 영상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S703)하고, 생성된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S704)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서버(20)로 전송(S705)할 수 있다. Then, the device 10 generates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703),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region is a dark region based on the generated brightness information (S704),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gion includes the posi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dark area notification data to the server 20 (S705).

도 7을 통해 설명되는 어두운 영역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shadow area data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이동체 내부의 디바이스
20: 관리 서버
30: 이동체 내부의 모바일 디바이스
40: 외부의 모바일 디바이스
10: Device inside the moving object
20: Management server
30: Mobile device inside the moving object
40: External mobile device

Claims (17)

이동체에 설치된 디바이스에 있어서,
카메라 센서를 통해 소정 영역을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
상기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영상의 밝기 정보를 생성하는 밝기 정보 생성부;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상기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In a device installed in a moving body,
An image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mage data of an image photographed in a predetermined area through a camera sensor;
A brightnes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image by analyzing the image;
A posi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s a dark area based 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And
And transmitting the dark area notification data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밝기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area is a dark area by comparing the brightness information with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영역을 촬영한 복수의 영상의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 각각의 밝기 정보와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정보보다 작은 밝기 정보를 갖는 영상 데이터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디바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mage data generation unit generates a plurality of image data of a plurality of images of the area,
Wherein the determination unit compares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 data with the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area is dark based on the number of image data having brightness information smaller than the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image data Area, < / RTI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제 1 위치에서 촬영한 제 1 영상의 제 1 영상 데이터 및 제 2 위치에서 촬영한 제 2 영상의 제 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의 밝기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정보보다 작고, 상기 제 2 영상 데이터의 밝기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정보보다 작고, 상기 제 1 영상의 촬영 시점과 상기 제 2 영상의 촬영 시점간의 시간 간격이 기 설정된 시간 간격보다 작은 경우, 상기 영역을 어두운 영역이라고 판단하는 것인, 디바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mage data generation unit generates first image data of a first image photographed at a first position and second image data of a second image photographed at a second position,
Wherein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e data is smaller than the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second image data is smaller than the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And judges that the region is a dark region when the time interval between shooting points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는, 상기 서버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공유되는 것인,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is shared with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영역의 식별자, 상기 밝기 정보 및 상기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identifier of the area, the brightness information, and the image data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정보 생성부는 조도 측정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영상의 밝기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ightness information generator generates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image through a brightness measurement algorith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생성부는 위치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위치 측정 센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인 것인,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using a position measuring sensor,
Wherein the position measurement sensor i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생성부는 통신 기지국과의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through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communication base s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두운 영역은 저조명 영역, 저조도 영역 및 저광도 영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rk region is one of a low illumination region, a low illumination region, and a low luminous intensity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영상이 촬영된 시점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인 것인,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at the time the image was taken.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센서를 통해 소정 영역을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영상의 밝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for generating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Generating image data of an image photographed in a predetermined area through a camera sensor;
Generating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image by analyzing the image;
Generating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s a dark area based 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And
And transmitting the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이동체에 설치된 디바이스에 있어서,
카메라 센서를 통해 소정 영역을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
상기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영상의 밝기 정보를 생성하는 밝기 정보 생성부;
상기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로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In a device installed in a moving body,
An image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mage data of an image photographed in a predetermined area through a camera sensor;
A brightnes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image by analyzing the imag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s a dark area based 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And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notification data to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알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디바이스.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mobile device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based on the notification data, and transmits the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이동체에 설치된 영상 촬영 디바이스로부터 소정 영역을 촬영한 영상의 밝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생성부;
상기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In a mobile device,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brightness information of an image photographed in a predetermined area from a video image pickup device installed in a mobile body;
A posi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s a dark area based 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rk area notification data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이동체에 설치된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촬영된 영역이 어두운 영역인지 여부를 알리는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서버.
A server for managing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rk area notification data indicating whether an area photographed by the first device is a dark area from a first device installed in a moving object; And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including the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to the second device when a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 중 상기 어두운 영역 알림 데이터를 선택하는 알림 데이터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서버.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request message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And a notification dat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he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among the plurality of shadow area notification dat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KR1020130086876A 2013-07-23 2013-07-23 Apparatus and method for judgeing low light area, and server for noticing low light area KR201500116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876A KR20150011654A (en) 2013-07-23 2013-07-23 Apparatus and method for judgeing low light area, and server for noticing low light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876A KR20150011654A (en) 2013-07-23 2013-07-23 Apparatus and method for judgeing low light area, and server for noticing low light are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654A true KR20150011654A (en) 2015-02-02

Family

ID=5248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876A KR20150011654A (en) 2013-07-23 2013-07-23 Apparatus and method for judgeing low light area, and server for noticing low light ar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1654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424A1 (en) * 2015-04-27 2016-11-03 엘지전자(주)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3681153A1 (en) * 2019-01-09 2020-07-1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erver, on-board device, vehic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KR20200094303A (en) * 2019-01-30 2020-08-0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ight pollution map using image processi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424A1 (en) * 2015-04-27 2016-11-03 엘지전자(주)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3681153A1 (en) * 2019-01-09 2020-07-1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erver, on-board device, vehic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CN111422128A (en) * 2019-01-09 2020-07-1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Server, in-vehicle device, vehicl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2020112941A (en) * 2019-01-09 2020-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Server, on-vehicle device, vehicle,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US11140530B2 (en) 2019-01-09 2021-10-0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erver, on-board device, vehic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11641453B2 (en) 2019-01-09 2023-05-0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erver, on-board device, vehic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CN111422128B (en) * 2019-01-09 2023-05-2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Server, in-vehicle apparatus, vehicl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20200094303A (en) * 2019-01-30 2020-08-0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ight pollution map using image proces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6758B2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emergency services
CN108702203B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to access network
US9384395B2 (en)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user terminal and access point using the same
CN106027960B (en) A kind of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KR101716070B1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using mobile terminals
CN104426957A (en) Method for sending configuration parameter, and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configuration parameter
US9064406B1 (en) Portable and persistent vehicle surveillance system
JP5757576B2 (en)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maging subject moving with portable terminal
KR102252899B1 (en) Remote vessel real time monitoring system with enhanced vessel tracking methodology using LPWA - IoT device via mobile telecom
JP2013222216A (en) Monitoring device, user terminal, and monitoring center
WO2019124236A1 (en)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transmitting device, and receiving device
KR20110071408A (en) Method of location tracking of an intresting moving object based on beacon
JP2017529029A (en) Camera control and image streaming
CN111966769B (e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for recommending information based on life circle
CN107968917A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5001165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judgeing low light area, and server for noticing low light area
US112109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data fusion and filtering
US20160182820A1 (en) Image sensor system for detec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CN109451809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rmining position information
JP5040615B2 (en) Electronic camera
KR101619522B1 (en) Image acquisition system by vehicle camer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9451808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rmining position information
US20130011017A1 (en) Method of obtaining spatial images on demand
KR101639068B1 (en) A system of providing ward's images of security cameras by using GIS data
CN111422128B (en) Server, in-vehicle apparatus, vehicl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