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609A - Apparatus and method for walking rout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walking rou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609A
KR20150011609A KR1020130086772A KR20130086772A KR20150011609A KR 20150011609 A KR20150011609 A KR 20150011609A KR 1020130086772 A KR1020130086772 A KR 1020130086772A KR 20130086772 A KR20130086772 A KR 20130086772A KR 20150011609 A KR20150011609 A KR 20150011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walking
environment
gai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7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기주
이규진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86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1609A/en
Publication of KR2015001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6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rout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The walking rout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unit into which a user inputs at least one of a departure point, a destination, a current location, and an evaluation item as to walking safety, walking convenience, or road environment for walking route selection; a parameter setting unit that sets a parameter for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calculation with respect to the walking route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an evaluation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with respect to the walking route by using the set parameter; and a walking route selection unit that selects the walking route with the maximum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and provides the walking route with the maximum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for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destrians deciding on walking paths can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as to the safety, convenience, and exercise-suitability of walking routes and paths.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can set their walking path repair and maintenance priorities since the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is provided based on calculation reflecting the walking path land use characteristics. Als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walking path improvement, and thus the waste of budget for walking path repair and maintenance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보행경로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WALKING ROUTE}[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WALKING ROUTE [0002]

본 발명은 보행경로 제공 장치 및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지이용 특성에 따른 보행로 유형을 고려한 보행경로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it path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it path provid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that take into account the type of a gait path according to land use characteristics.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위치확인 기술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재 다양한 유형의 위치확인 및 운행 경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위치확인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 GPS 위성에서 제공되는 위도, 경도 정보를 이용하거나 무선통신환경에서 위치확인장치와 홈 위치 등록기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positioning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various types of location confirmation and service path services are now being provided. The location confirmation service is a method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may us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provided by a GPS satellite, or may us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a location determination device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상기와 같은 위치정보 제공기술에 힘입어, 운송 수단의 주류를 이루는 자동차의 운행을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는 다양한 기술의 발전과 함께 대부분의 개인용 자동차에 보급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자동차 운행을 위한 내비게이션을 이용하면 일반 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고속도로 등과 같이 도로의 종류 및 도로 한계 속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 navigation device for driving a vehicle, which forms a mainstream of a transportation means, has become popular in most personal vehicles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chnologies. With navigation for automobile operation, information on types of roads and road speed limits can be provided, such as general roads, automobile roads, and expressways.

최근에는 스마트폰에서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자동차 전용의 내비게이션과는 달리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내비게이션을 자동차 운행뿐만 아니라 사람의 도보 중이나 조깅 시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자동차 운행에 최적화된 자동차용 내비게이션을 보행시에 사용하게 되는 경우 보행로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하여 보행에 필요한 서비스가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In recent years, smartphones have been providing navigation functions. Unlike navigation systems for automobiles, navigation systems provided by smartphones are used not only for automobile operations but also for people walking or jogging. If the navigation system is used at the time of walking, the lack of information on the walking path may result in insufficient services for walking.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43090호(2009.05.06)에 기재되어 있다.The technique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0043090 (2009.05.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행자들이 보행시에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를 기초로 보행경로를 결정할 수 있는 보행안전, 보행편리, 가로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최종 보행경로를 결정할 수 있는 보행경로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lking path capable of determining a final walking path by providing information on walking safety, walking comfort, and a walking environment in which a pedestrian can determine a walking path based on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경로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보행경로 선택을 위한 출발지, 도착지, 현재 위치, 그리고 보행안전, 보행편의 또는 가로환경에 관한 평가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해 입력 받는 정보 입력부; 상기 입력된 정보에 따른 보행경로에 대하여, 보행환경 평가도 연산을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부; 상기 설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경로에 대한 보행환경 평가도를 연산하는 평가도 연산부; 및 상기 보행환경 평가도가 최대인 보행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보행경로 선택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walking route from a user, including: a start point, a destination, a current position, and an evaluation of gait safety, 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A parameter setting unit for setting a parameter for calculating a gait environment evaluation on the gait path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An evaluation degree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gait evaluation value for the walking path using the set parameters; And a gait path selecting unit for selecting a gait path having the maximum gait evaluation degree and providing the selected gait path to the user.

또한,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는, 상기 입력된 평가요소에 대한 세부 평가지표를 설정하는 평가지표 설정부; 상기 입력된 각 평가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인 보행안전 평가계수, 보행편의 평가계수, 가로환경 평가계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각 세부 평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인 보행안전 세부 평가계수, 보행편의 세부 평가계수, 가로환경 세부 평가계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평가계수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세부 평가지표에 대응되는 보행안전, 보행편의, 가로환경에 대한 정량화 지표를 설정하는 정량화 지표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rameter setting unit may include an evaluation index setting unit that sets a detailed evaluation index for the input evaluation factor; A step of setting at least one of a pedestrian safety evaluation coefficient, a walking unit evaluation coefficient, and a lateral environment evaluation coefficient, which a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of the input evaluation factors, and determining at least one of a pedestrian safety detailed evaluation coefficient, An evaluation coefficient setting unit that sets at least one of an evaluation coefficient and a lateral environment detailed evaluation coefficient; And a quantification index setting unit for setting quantitative indexes for walking safety, walking comfort, and street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set detailed evaluation indexes.

또한, 상기 평가도 연산부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환경 평가도를 연산하며, 상기 보행환경 평가도는 종합 보행환경 평가도, 안전 보행환경 평가도, 편의 보행환경 평가도, 환경 보행환경 평가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valuation degree calculator calculates the gait environment evaluation degre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and the gait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is a comprehensive gaug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a safety gaug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a convenience gaug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And an environmental evaluation chart.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여기서, K는 보행로 유형, Walk - core K 는 상기 종합 보행환경 평가도, fs K 는 상기 안전 보행환경 평가도, fc K 는 상기 편의 보행환경 평가도, fe K 는 상기 환경 보행환경 평가도를 각각 나타내며, w s 는 보행안전 평가계수, w c 는 보행편의 평가계수, w e 는 가로환경 평가계수를 나타내며, w s ,r 는 안전 세부 평가계수, w c ,r 는 편의 세부 평가계수, w e ,r 는 환경 세부 평가계수를 나타내고, i s ,r 는 보행안전 정량화 지표, i c ,r 는 보행편의 정량화 지표 그리고 i e ,r 는 가로환경 정량화 지표를 각각 나타낸다.Where K is the walkway type, Walk - core K is the comprehensive gait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 fs K is the safety gait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 fc K is the gaug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 and fe K is the environmental gaug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represents, w s is a pedestrian safety evaluation coefficient, w c is the walking comfort evaluation coefficient, w e represents the horizontal environmental evaluation coefficient, w s, r is the safety sub-factor, w c, r is a convenience sub-factor, w e , r denotes the environmental sub-evaluation factor, i s , r denotes the pedestrian safety quantification index, i c , r denotes the quantification index of the walking member , and i e , r denotes the lateral environment quantification index.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경로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보행경로 선택을 위한 출발지, 도착지, 현재 위치, 그리고 보행안전, 보행편의 또는 가로환경에 관한 평가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해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정보에 따른 보행경로에 대하여, 보행환경 평가도 연산을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경로에 대한 보행환경 평가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환경 평가도가 최대인 보행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oviding a walking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t least one of a starting point, a destination, a current position, and an evaluation factor for a walking safety, a walking comfort, ; Setting a parameter for calculating a gait environment evaluation for a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Calculating a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degree for the walking path using the set parameters; And selecting a walking path having the maximum degree of the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and providing the selected walking path to the user.

본 발명인 보행경로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보행자들이 보행로를 결정함에 있어 어떤 보행경로가 안전한지, 편리한지, 운동하기에 좋은 보행로인지 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whether a walking path is safe, convenient, and a walking path that is good for a walking in determining a walking path.

또한, 보행로의 토지이용 특성을 반영하여 산출된 보행환경 평가도를 제공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보행로 정비대상 우선순위를 선정할 수 있게 하고, 보행로 개선에 활용할 수 있어 보행로 정비에 따른 불필요한 예산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map that reflects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route, it is possible to allow the local governments to select the priority of the pedestrian route maintenance target and to utilize it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destrian route,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경로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경로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연산된 보행환경 평가도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로 유형별 보행환경 평가도를 적용하여 산출된 보행경로에 대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walking path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walking path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a gait environment assessment diagram computed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a gait path calculated by applying a gait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먼저 본 발명의 보행경로 제공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 walking path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경로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lking path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보행경로 제공 장치(100)는, 입력부(110), 파라미터 설정부(120), 평가도 연산부(130) 및 보행경로 선택부(140)를 포함한다.1, a walking path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a parameter setting unit 120, an evaluation degree calculating unit 130, and a walking path selecting unit 140 do.

본 발명의 보행경로 제공 장치(100)는 내비게이션, PDA,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로 구현하거나, 휴대용 단말과 네트워크 연결된 서버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데스크탑 컴퓨터, ATM(automated teller machine), 키오스크와 이에 준하는 고정 단말과, 노트북, 태블릿 PC,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을 포함한다.The walking path provid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user terminal such as a navigation system, a PDA, or a smart phone, or a server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Here,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desktop computer, an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a kiosk and a fixed terminal equivalent thereto, and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notebook, a tablet PC, and a mobile phone.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현재위치 정보 및 보행 옵션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다. 이 경우, 입력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발지 정보 또는 목적지 정보 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행자는 보행로를 결정함에 있어서 선호 유형에 따라 평가요소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요소는 보행안전, 보행편의 및 가로환경 중에서 하나이며, 사용자가 '일반' 선택하는 경우 세가지를 종합한 평가요소를 고려한다. 상기 평가요소는 보행로 유형과 관련이 있다.The input unit 110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source informati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walking op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In this case, the input unit 110 may obtain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using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o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pedestrian can enter the evaluation factor according to the preference type in determining the walkway. Here, the evaluation factor is one of the walking safety, the walking comfort, and the street environment. When the user selects 'general', the evaluation factor which includes the three factors is considered. The evaluation factor is related to the walkway type.

즉, 평가요소를 '보행안전', '보행편의', '가로환경'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안전, 편의, 환경을 종합한 '일반'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행로 제공 장치는, '일반'에 대해서 평가요소 '보행안전', '보행편의', '가로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종합 보행환경 평가도를 연산한다.In other words, the evaluation factor can be selected from 'walking safety', 'walking comfort', 'landscape environment', and 'general' that combines safety, convenience and environment. In this case, the gaitway providing apparatus calculates the comprehensive gait evaluation degree by taking the evaluation factors 'walking safety', 'walking convenience', and 'lateral environment' into consideration for 'general'.

다음으로 파라미터 설정부(120)는 입력된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또는 현재위치 정보를 기초로 입력된 평가요소에 대해 보행환경 평가도 연산을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한다.Next, the parameter setting unit 120 sets a parameter for calculating the gait environment evaluation degree for the evaluation element input based on the input source informati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or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또한 파라미터 설정부(120)는 입력된 평가요소에 대한 세부 평가지표를 설정하는 평가지표 설정부(121), 입력된 각 평가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인, 보행안전 평가계수(w s ), 보행편의 평가계수(w c ), 가로환경 평가계수(w e )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각 세부 평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인, 보행안전 세부 평가계수(w s ,r ), 보행편의 세부 평가계수(w c ,r ), 가로환경 세부 평가계수(w e ,r )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평가계수 설정부(122), 및 상기 설정된 세부 평가지표에 대응되는 보행안전 정량화 지표(i s ,r ), 보행편의 정량화 지표(i c ,r ), 가로환경 정량화 지표(i e ,r )를 설정하는 정량화 지표 설정부(12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arameter setting section 120 to set a sub-index for the input evaluation factor evaluation index setting unit 121,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element type, pedestrian safety evaluation coefficients (w s), the walking comfort evaluation coefficient (w c), horizontal environmental evaluation coefficient (w e) at least a set one,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sub-index the set, walking safety sub coefficients (w s, r), the walking comfort sub coefficient from ( w c, r), the horizontal environment sub-factor (w e, r) evaluation coefficient setting section (122 for setting at least one of a), and pedestrian safety quantification indices (i s, r) corresponding to a sub-surface the set A quantification index setting unit 123 for setting a walking parameter quantification index i c , r and a lateral environment quantification index i e , r .

평가도 연산부(130)는 파라미터 설정부(120)에서 설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보행경로에 대한 보행환경 평가도를 연산한다.The degree-of-evaluation calculating unit 130 calculates the degree of evaluation of the walking environment with respect to the walking path using the parameters set by the parameter setting unit 120. [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행경로 제공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alking path provid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경로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walking path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보행경로 선택을 위한 출발지, 도착지, 현재 위치와, 보행안전, 보행편의 또는 가로환경에 관한 평가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해 입력 받는다(S210).The input unit 110 receives at least one of a starting point, a destination, a current position for selecting a walking path from the user, and an evaluation factor related to walking safety, walking comfort, or street environment (S210).

보행경로 선택을 위하여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다. 출발지 정보를 입력 받는 대신에 GPS 수신 장치에 의해 현재위치가 알려지면 현재위치를 출발지로 하여 보행경로를 탐색한다. 평가요소는 보행안전, 보행편의, 가로환경 및 종합적 평가요소인 일반으로 분류될 수 있다.For the selection of the walking route, the input unit 110 receives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If the current position is known by the GPS receiving device instead of receiving the starting point information, the walking path is searched from the current position as the starting point. Evaluation factors can be classified as pedestrian safety, walking comfort, street environment, and general evaluation factor.

파라미터 설정부(120)는 상기 입력된 정보에 따른 보행경로에 대하여, 보행환경 평가도 연산을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220). 여기서 파라미터는 보행환경 평가도 연산을 위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에 기초한다. 또한 파라미터 설정 단계 내부적으로는 평가요소에 대한 세부 평가지표를 설정하는 단계, 입력된 각 평가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인, 보행안전 평가계수, 보행편의 평가계수, 가로환경 평가계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각 세부 평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인, 보행안전 세부 평가계수, 보행편의 세부 평가계수, 가로환경 세부 평가계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세부 평가지표에 대응되는 보행안전, 보행편의, 가로환경에 대한 정량화 지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arameter setting unit 120 sets a parameter for calculating the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for the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S220). Here, the parameters are based on equations (1) to (4) for calculating the gait environment evaluation. Setting a detailed evaluation index for the evaluation factor in the parameter setting step, setting at least one of the pedestrian safety evaluation coefficient, the walking facility evaluation coefficient, and the lateral environment evaluation coefficient, which a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input evaluation factor, A step of setting at least one of a walking safety sub-evaluation coefficient, a walking comfort sub-evaluation coefficient, and a lateral environment sub-evaluation coefficient, which ar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et sub-evaluation indexes, and a walking safety, And setting a quantification index for the transverse environment.

평가도 연산부(130)는 상기 설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경로에 대한 보행환경 평가도를 연산한다(S230).The evaluation degree comput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degree for the walking path using the set parameters (S230).

이하에서는 파라미터 설정단계(S220) 및 평가도 연산단계(S230)에 대하여 수학식과 표를 이용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arameter setting step S220 and the evaluation degree computing step S2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equations and tables.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수학식 1은 종합 보행환경 평가도를 구하는 연산식이다.Equation (1) is an expression for obtaining a comprehensive gait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평가도 연산부(130)는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4를 이용하여 각각의 보행요소에 대한 보행환경 평가도인 f s , f c , f e 를 연산하고, 이들을 기초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다시 종합 보행환경 평가도(Walk - Score K )를 연산한다. 여기서 Walk - Score K 는 K (보행로 유형: 신도심, 구도심, 상업지역, 지하철역, 하천/공원 주변 보행로) 별로 연산되는 종합 보행환경 평가도이다.The evaluation degree calculator 130 calculates f s , f c , and f e , which are gait evaluation scores for each of the walking elements, using Equations 2 to 4, And calculates a comprehensive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map ( Walk - Score K ). Here, Walk - Score K is a comprehensive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calculated by K (walkway type: new downtown area, old downtown area, commercial area, subway station,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수학식 2는 안전 보행환경 평가도를 구하는 연산식이다.
Equation (2) is an equation for obtaining a safety gait environment evaluation degree.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수학식 3은 편의 보행환경 평가도를 구하는 연산식이다.
Equation (3) is an equation for obtaining a degree of convenience gait environment evaluation.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수학식 4는 환경 보행환경 평가도를 구하는 연산식이다.Equation (4) is an equation for obtaining the environmental walk environment evaluation degree.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에서, w s , w c , w e 는 평가계수로서 각 평가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낸다. w s 는 보행안전(s)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이며, w c 는 보행편의(c)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w e 는 가로환경(e)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이다.In Equations (1) to (4), w s , w c , and w e represent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element as evaluation coefficients. w s is the relative importance for walking safety (s), w c is the relative importance for walking (c), and w e is the relative importance for street environment (e).

상대적 중요도는 도시·교통 전문가 대상의 전문가 의사결정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이기 때문에 각 보행로 유형별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평가지표가 다르며, 그 평가지표 별 계수도 보행로 유형에 부합하게 제시되어 있다.Relative importance is analyzed using expert decision making techniques for urban and transportation experts. Since this is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the evaluation indexes to be considered important for each type of walkway are different, and the coefficients for the evaluation indexes are also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the walkway.

표 1은 보행로 유형 별 평가요소에 대한 평가계수를 나타낸다.Table 1 shows the evaluation factors for the evaluation factors for each type of walkway.

보행로 유형(K)Walkway type (K) 평가요소(f)Evaluation element (f) 신도심
보행로
New Century
Walkway
구도심
보행로
Old Town
Walkway
상업지역 보행로Commercial Area Walkway 지하철역
보행로
subway station
Walkway
하천/공원
보행로
River / Park
Walkway
보행안전(ws)Walking Safety (w s ) 0.350.35 0.450.45 0.270.27 0.330.33 0.290.29 보행편의(wc)Walking Comfort (w c ) 0.390.39 0.300.30 0.380.38 0.470.47 0.230.23 가로환경(we)Landscape environment (w e ) 0.260.26 0.250.25 0.350.35 0.200.20 0.480.48

즉 표 1은 보행로 유형과 평가요소 별로 차별된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내고 있다. 보행환경 평가요소(f)에 대한 정량화된 값은 보행로 유형(K)과 보행환경 평가요소의 세부 평가지표(i)에 따라 결정되는데, 연산 대상 보행로가 신도심 보행로인 경우, 보행안전에 대한 평가도는 세부 평가지표인 '차도와의 분리', '자전거 도로와의 분리', '자동차/오토바이 주정차', '보안 CCTV 설치', '조명시설 설치', '보행로 포장불량'에 대해 조사된 값과 각 세부 평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를 각각 연산하여 집계한다. 이때, 보행로 유형별로 고려해야 할 각 세부 평가지표는 보행자 설문과 전문가 의사결정기법에 의해 통계적으로 접근하여 결정되었고, 각 지표에 대해 분석된 상대적 중요도는 표 2와 같다.Table 1 shows the relative importance of pedestrian type and evaluation factor. The quantified value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factor (f)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edestrian type (K) and the detailed evaluation index (i)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element. When the pedestrian path to be computed is a new center road, Is a measure of the value of the detailed evaluation index "separation from roadway", "separation from bicycle roads", "car / motorcycle drive vehicle", "security CCTV installation", "installation of lighting fixtur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sub-evaluation index is calculated and aggregated. In this case, each detailed evaluation index to be considered for each type of walkway was determined by approaching statistically by pedestrian questionnaire and expert decision making technique, and the relative importance analyzed for each index is shown in Table 2.

표 2는 보행로 유형 별 평가요소 별 세부 평가지표에 대한 세부 평가계수를 나타낸다.Table 2 shows the detailed evaluation factors for the detailed evaluation index by evaluation factor by type of the walkway.

평가요소
(f)
Evaluation factor
(f)

r

r


평가지표
(i)


Evaluation index
(i)
보행로 유형(K)Walkway type (K)
신도심 보행로New city center walkway 구도심 보행로Old city center walkway 상업지역 보행로Commercial Area Walkway 지하철역
보행로
subway station
Walkway
하천/공원 보행로River / park walkway
보행안전
(s)
Walking safety
(s)
1One 차도와의 분리Separation from roadway 0.5230.523 0.5470.547 0.5450.545 0.4840.484 0.2940.294
22 자전거 도로와의 분리Separation from bicycle roads 0.1470.147 0.1360.136 0.1930.193 00 0.1500.150 33 자동차/오토바이 주정차Automotive / Motorcycle Drivers 00 00 00 0.2030.203 00 44 보안 CCTV 설치Secure CCTV installation 0.1980.198 00 00 0.1970.197 0.2900.290 55 조명 시설 설치Installation of lighting facilities 0.1320.132 0.2370.237 0.0840.084 0.1160.116 0.2650.265 66 보행로 포장불량Poor walking path 00 0.0800.080 0.1780.178 00 00 보행편의
(c)
Walking comfort
(c)
1One 보행자수 Number of pedestrians 0.2370.237 0.2260.226 0.2250.225 0.3050.305 0.2170.217
22 입체횡단시설
(육교/지하도)
Transverse facility
(Overpass / underpass)
0.2000.200 0.2490.249 0.2200.220 0.0890.089 0.2370.237
33 보행로 포장상태 Walkway packing status 0.1450.145 0.3100.310 0.1150.115 0.1450.145 00 44 보행로 장애물(수목,연석등)Obstacle obstacle (tree, curb, etc.) 0.4180.418 00 0.4400.440 0.4600.460 0.4360.436 55 횡단보도 신호주기 Crosswalk signal cycle 00 0.2160.216 00 00 0.1110.111 가로환경
(e)
Landscape environment
(e)
1One 매연, 소음Soot, noise 0.4020.402 0.4300.430 0.3900.390 0.3920.392 0.4640.464
22 자연 채광, 풍광Natural light, scenery 0.1500.150 0.1260.126 0.1310.131 0.1810.181 0.2250.225 33 식재, 조경Planting, landscape 0.1410.141 0.1020.102 0.1300.130 00 00 44 보행로 청결상태Walkway cleanliness 0.3060.306 0.3420.342 0.3490.349 0.2840.284 0.2560.256 55 주변 건축 디자인Surrounding architecture design 00 00 00 0.1430.143 0.0550.055

여기서, 보행환경 평가지표에 대한 정량화 조사값(i)은 보행로 현황조사를 통해 측정되며, 각 지표에 대한 정량화 방법은 표 3과 같다.Here, the quantitative survey value (i) for the gait environment evaluation index is measured through the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walkway, and the quantification method for each indicator is shown in Table 3.

표 3은 평가요소 별 세수 평가지표에 대한 정량화 지표를 나타낸다.Table 3 shows the quantification index for the tax assessment index by evaluation factor.

평가요소(f)Evaluation element (f) rr 평가지표(i)Evaluation index (i) 평가지표의 정량화 지표(i)Quantification index of evaluation index (i) 보행안전(s)Walking safety (s) 1One 차도와의 분리Separation from roadway 완전 분리된 연장 / 총 연장Fully separated extension / total extension 22 자전거 도로와의 분리Separation from bicycle roads 완전 분리된 연장 / 총 연장Fully separated extension / total extension 33 자동차/오토바이 주정차Automotive / Motorcycle Drivers 대 / 총 연장Large / total extension 44 보안 CCTV 설치Secure CCTV installation 개수 / 총 연장Number / total extension 55 조명 시설 설치Installation of lighting facilities 개수 / 총 연장Number / total extension 66 보행로 포장불량Poor walking path 상/중/하Top / middle / bottom 보행편의(c)Walking comfort (c) 1One 보행자수 Number of pedestrians 보행자수Number of pedestrians 22 입체횡단시설(육교/지하도)Transverse facility (overpass / underpass) 총 연장 / 총 연장Total extension / Total extension 33 보행로 포장상태 Walkway packing status 상/중/하Top / middle / bottom 44 보행로 장애물(수목,연석등)Obstacle obstacle (tree, curb, etc.) 개수 / 총 연장Number / total extension 55 횡단보도 신호주기 Crosswalk signal cycle 초 / 총 연장Seconds / total extension 가로환경
(e)
Landscape environment
(e)
1One 매연, 소음Soot, noise 통과 차량수Number of vehicles passing
22 자연 채광, 풍광Natural light, scenery 해당 구간 연장 총 연장Extension of applicable section Extension of extension 33 식재, 조경Planting, landscape 개수 / 총 연장Number / total extension 44 보행로 청결상태Walkway cleanliness 상/중/하Top / middle / bottom 55 주변 건축 디자인Surrounding architecture design 상/중/하Top / middle / bottom

보행로 별로 정량화된 평가지표는 평균과 표준편차의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를 표준화하여야 하며, z표준화 방법을 통해 평균이 0이고 표준편차가 1인 표준정규분포로 변환하여 모든 보행로에 대한 세부 평가지표의 정량화된 값을 표준화할 수 있다.Since the measurement indexes that are quantified by the walkways have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they should be standardized and converted to a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with an average of 0 and a standard deviation of 1 through z standardization method, Lt; RTI ID = 0.0 > standardized < / RTI >

다음으로 보행경로 선택부(140)는 상기 보행환경 평가도가 최대인 보행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240). 보행경로 선택부(140)는 보행환경 평가도 순위에 따라 복수의 보행 경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보행경로 선택부(140)는 보행환경 평가도를 목적변수로 하는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Next, the walking path selecting unit 140 selects a walking path having the maximum degree of the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and provides the walking path to the user (S240). The gait path selection unit 140 can generate a plurality of gait path lists according to the ranking of the gait environment evaluation. In addition, the walking path selecting unit 140 may use a Dijkstra algorithm having a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degree as a target variabl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토지이용에 따른 보행로 유형의 보행환경 평가지표와 그 상대적 중요도를 고려하여 보행자의 보행목적에 부합하는 보행환경 평가도를 연산하고 보행환경 평가도가 높은 보행로 중심의 보행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map corresponding to the walking purpose of the pedestrian in consideration of the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index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walking route type according to the land use, The user can select the walking rou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환경 평가도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환경 평가도를 보행로의 중요요소를 고려하여 맵(Map)상에 도출한 예시도이며, 보행경로 선택부(140)는 사용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보행안전', '보행편의', '가로환경' 별로 연산된 보행환경 평가도를 표시할 수 있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 map in consideration of important elements of a walking path. The walking path selecting unit 140 selects' walking safety ',' , 'Walking comfort', and 'street environm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환경 평가도를 고려하여 제공하는 보행경로를 맵(Map)상에 도출한 예시도이다.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walking path provided on a map in consideration of a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보행경로 선택부(140)는 사용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보행안전', '보행편의', '가로환경' 별로 보행 경로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그리고 보행환경 평가도에 따라 표시되는 경로의 두께를 다르게 하여 보행자에게 보행로의 보행환경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제공한다.The walking path selection unit 140 can divide and display the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walking safety', 'walking comfort', and 'landscape environment' that the user considers important, Provide pedestrians with advance information about the walking environment of the walkway with different thicknes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로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보행자들이 보행로를 결정함에 있어 어떤 보행경로가 안전한지, 편리한지, 운동하기에 좋은 보행로인지 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walkway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the pedestrians to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whether a walking route is safe, convenient, or a walking route that is easy to exercise.

또한, 보행로의 토지이용 특성을 반영하여 산출된 보행환경 평가도를 제공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보행로 정비대상 우선순위를 선정할 수 있게 하고, 보행로 개선에 활용할 수 있어 보행로 정비에 따른 불필요한 예산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map that reflects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route, it is possible to allow the local governments to select the priority of the pedestrian route maintenance target and to utilize it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destrian route, Can be prevented.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보행로 제공 장치 110: 입력부
120: 파라미터 설정부 130: 평가도 연산부
140: 보행경로 선택부
100: Walkway providing apparatus 110: Input unit
120: Parameter setting unit 130: Evaluation degree calculating unit
140: Walking path selector

Claims (6)

사용자로부터 보행경로 선택을 위한 출발지, 도착지, 현재 위치, 그리고 보행안전, 보행편의 또는 가로환경에 관한 평가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정보 입력부;
상기 입력된 정보에 따른 보행경로에 대하여, 보행환경 평가도 연산을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부;
상기 설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경로에 대한 보행환경 평가도를 연산하는 평가도 연산부; 및
상기 보행환경 평가도가 최대인 보행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보행경로 선택부를 포함하는 보행경로 제공 장치.
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 starting point, a destination, a current position for selecting a walking route from the user, and an evaluation factor for walking safety, walking comfort, or street environment;
A parameter setting unit for setting a parameter for calculating a gait environment evaluation on the gait path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An evaluation degree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gait evaluation value for the walking path using the set parameters; And
And a gait path selecting unit for selecting a gait path having the maximum degree of gait evaluation and providing the gait path to the us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는,
상기 입력된 평가요소에 대한 세부 평가지표를 설정하는 평가지표 설정부;
상기 입력된 각 평가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인 보행안전 평가계수, 보행편의 평가계수, 가로환경 평가계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각 세부 평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인 보행안전 세부 평가계수, 보행편의 세부 평가계수, 가로환경 세부 평가계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평가계수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세부 평가지표에 대응되는 보행안전, 보행편의, 가로환경에 대한 정량화 지표를 설정하는 정량화 지표 설정부를 포함하는 보행경로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rameter setting unit comprises:
An evaluation index setting unit for setting a detailed evaluation index for the input evaluation factor;
A step of setting at least one of a pedestrian safety evaluation coefficient, a walking unit evaluation coefficient, and a lateral environment evaluation coefficient, which a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of the input evaluation factors, and determining at least one of a pedestrian safety detailed evaluation coefficient, An evaluation coefficient setting unit that sets at least one of an evaluation coefficient and a lateral environment detailed evaluation coefficient; And
And a quantification index setting unit for setting quantitative indexes for walking safety, walking comfort, and street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set detailed evaluation index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도 연산부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환경 평가도를 연산하며,
상기 보행환경 평가도는 종합 보행환경 평가도, 안전 보행환경 평가도, 편의 보행환경 평가도, 환경 보행환경 평가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행경로 제공 장치: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여기서, K는 보행로 유형, Walk - core K 는 상기 종합 보행환경 평가도, fs K 는 상기 안전 보행환경 평가도, fc K 는 상기 편의 보행환경 평가도, fe K 는 상기 환경 보행환경 평가도를 각각 나타내며, w s 는 보행안전 평가계수, w c 는 보행편의 평가계수, w e 는 가로환경 평가계수를 나타내며, w s ,r 는 안전 세부 평가계수, w c ,r 는 편의 세부 평가계수, w e ,r 는 환경 세부 평가계수를 나타내고, i s ,r 는 보행안전 정량화 지표, i c ,r 는 보행편의 정량화 지표 그리고 i e ,r 는 가로환경 정량화 지표를 각각 나타낸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valuation degre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degre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Wherein the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tegrated gait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a safety gait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a convenience gaug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and an environment gaug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Where K is the walkway type, Walk - core K is the comprehensive gait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 fs K is the safety gait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 fc K is the gaug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 and fe K is the environmental gaug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represents, w s is a pedestrian safety evaluation coefficient, w c is the walking comfort evaluation coefficient, w e represents the horizontal environmental evaluation coefficient, w s, r is the safety sub-factor, w c, r is a convenience sub-factor, w e , r denotes the environmental sub-evaluation factor, i s , r denotes the pedestrian safety quantification index, i c , r denotes the quantification index of the walking member , and i e , r denotes the lateral environment quantification index.
사용자로부터 보행경로 선택을 위한 출발지, 도착지, 현재 위치, 그리고 보행안전, 보행편의 또는 가로환경에 관한 평가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정보에 따른 보행경로에 대하여, 보행환경 평가도 연산을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경로에 대한 보행환경 평가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환경 평가도가 최대인 보행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경로 제공 방법.
Receiving at least one of a starting point, a destination, a current position, and an evaluation factor for walking safety, walking comfort, or street environment for the user from the user;
Setting a parameter for calculating a gait environment evaluation for a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Calculating a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degree for the walking path using the set parameters; And
And selecting and providing a walking path having the maximum degree of the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to the us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평가요소에 대한 세부 평가지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각 평가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인 보행안전 평가계수, 보행편의 평가계수, 가로환경 평가계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각 세부 평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인 보행안전 세부 평가계수, 보행편의 세부 평가계수, 가로환경 세부 평가계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세부 평가지표에 대응되는 보행안전, 보행편의, 가로환경에 대한 정량화 지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경로 제공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tting of the parameter comprises:
Setting a detailed evaluation index for the input evaluation factor;
A step of setting at least one of a pedestrian safety evaluation coefficient, a walking unit evaluation coefficient, and a lateral environment evaluation coefficient, which a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of the input evaluation factors, and determining at least one of a pedestrian safety detailed evaluation coefficient, An evaluation coefficient, and a lateral environment detailed evaluation coefficient; And
And setting a quantitative index for walking safety, walking comfort, and street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set detailed evaluation indexe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환경 평가도를 연산하는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환경 평가도를 연산하며,
상기 보행환경 평가도는 종합 보행환경 평가도, 안전 보행환경 평가도, 편의 보행환경 평가도, 환경 보행환경 평가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행경로 제공 방법: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여기서, K는 보행로 유형, Walk - core K 는 상기 종합 보행환경 평가도, fs K 는 상기 안전 보행환경 평가도, fc K 는 상기 편의 보행환경 평가도, fe K 는 상기 환경 보행환경 평가도를 각각 나타내며, w s 는 보행안전 평가계수, w c 는 보행편의 평가계수, w e 는 가로환경 평가계수를 나타내며, w s ,r 는 안전 세부 평가계수, w c ,r 는 편의 세부 평가계수, w e ,r 는 환경 세부 평가계수를 나타내고, i s ,r 는 보행안전 정량화 지표, i c ,r 는 보행편의 정량화 지표 그리고 i e ,r 는 가로환경 정량화 지표를 각각 나타낸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calculating the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degree includes:
Calculates the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degre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Wherein the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tegrated gait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a safety gait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a convenience gaug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and an environment gaug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Where K is the walkway type, Walk - core K is the comprehensive gait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 fs K is the safety gait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 fc K is the gaug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 and fe K is the environmental gauging environment evaluation chart represents, w s is a pedestrian safety evaluation coefficient, w c is the walking comfort evaluation coefficient, w e represents the horizontal environmental evaluation coefficient, w s, r is safe sub-factor, w c, r the convenience sub-factor, w e , r denotes the environmental sub-evaluation factor, i s , r denotes the pedestrian safety quantification index, i c , r denotes the quantification index of the walking member , and i e , r denotes the lateral environment quantification index.
KR1020130086772A 2013-07-23 2013-07-23 Apparatus and method for walking route KR201500116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772A KR20150011609A (en) 2013-07-23 2013-07-23 Apparatus and method for walking rou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772A KR20150011609A (en) 2013-07-23 2013-07-23 Apparatus and method for walking rou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609A true KR20150011609A (en) 2015-02-02

Family

ID=5248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772A KR20150011609A (en) 2013-07-23 2013-07-23 Apparatus and method for walking rou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160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723A (en) * 2019-06-11 2020-12-21 주식회사 에스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lief home return ser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723A (en) * 2019-06-11 2020-12-21 주식회사 에스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lief home return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76566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favorability of parking locations
US10352718B2 (en) Discovering points of entry to a location
US10672264B2 (en) Predictive incident aggregation
US10782138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edestrian behavior profile generation
US2020017380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for parking of vehicles
US10969234B2 (en) Multimodal vehicle routing system and method with vehicle parking
KR102086081B1 (en) Localization of a device using multilateration
CN107305131A (en) Navigation optimization centered on node
RU2572279C1 (en) System for planning trip multimodal route
US8090532B2 (en) Pedestrian route production
US1101766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parking assistance for vehicles
US11022457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lane-level route guidance
US9301099B2 (en) Method of analyzing points of interest with probe data
US1124417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oadwork zone identification
US20150292894A1 (en) Travel route
KR20140034869A (en) Providing routes through information collection and retrieval
US11042648B2 (en) Quantification of privacy risk in location trajectories
US20130211700A1 (en) Method of determining and validating navigational priority settings utilizing probe data
JP705166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erminal device, program, gradient table creation method
KR201500116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lking route
JP4186671B2 (en) Method for creating travel time database and route search method
US20240118371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mmunication node localization
US20240155547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adio model generation, mobile device positioning, and/or hash key generation for a radio model
US2022035131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quantifying public transport coverage
Zhang et al. Application for locational intelligence and geospatial navigation (ALIGN): Smart navigation tool for generating routes that meet individual prefere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