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086A - 집전전압 안정화를 위한 집전장치 - Google Patents

집전전압 안정화를 위한 집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086A
KR20150011086A KR20130085861A KR20130085861A KR20150011086A KR 20150011086 A KR20150011086 A KR 20150011086A KR 20130085861 A KR20130085861 A KR 20130085861A KR 20130085861 A KR20130085861 A KR 20130085861A KR 20150011086 A KR20150011086 A KR 20150011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llector
pickup
voltage
presen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5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4803B1 (ko
Inventor
조동호
정구호
송보윤
신승용
이충희
김양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085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803B1/ko
Publication of KR20150011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2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by charging in short intervals along the itinerary, e.g. during short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5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without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power supply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02Details
    • B60M1/10Arrangements for energising and de-energising power line sections using magnetic actuation by the pass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급전선로로부터 유도되는 집전전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집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집전전압 안정화를 위한 집전장치{Power Collecting Apparatus for Stabilizing Voltage Coll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급전선로로부터 유도되는 집전전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집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집전장치에서 급전선로로부터 전력을 제공받는 픽업이 급전선로의 세그먼트 변환구간을 지날 때 유도전압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막기 위해 픽업 뒷단에 레귤레이터 달아 전압을 안정화시켰다. 집전장치에 레귤레이터를 사용하면 전압이 충분히 안정화되지만 레귤레이터에서 소모되는 전력손실은 피할 수 없게 된다.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픽업에 유도되는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픽업진행 방향(즉, 픽업을 장착한 열차 또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으로 길이가 긴 픽업으로써 픽업의 길이가 급전선로 세그먼트의 전환 구간에 비해 상당히 길게 함으로써 급전선로에서 올라오는 자기장이 평균적으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픽업에 유도되는 전압이 비교적 일정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유도전압을 픽업 뒷단에 인가시킬 수 있게 된다.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유도 전압을 안정화시킬 수 있어서 레귤레이터 삽입으로 인한 전력손실을 피할 수 있다.
도 1은 급전선로(100) 위의 종래의 집전장치(110)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집전장치(110)의 측면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집전장치가 급전선로 세그먼트 상을 지나가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를 기술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집전장치에 픽업을 장착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집전장치(110)의 형상에 대비하여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장치(21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기존 집전장치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장치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급전선로(100) 위의 종래의 집전장치(110)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집전장치(110)의 측면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급전선로로부터 유도되는 집전전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새로이 고안되었다. 일반적으로 도로 또는 철로에 깔리는 급전선로는 다수의 급전선로 세그먼트가 일렬로 배치되는 형태를 한다. 이러한 급전선로 상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픽업은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 와 같이 급전선로의 길이에 비해 짧으며 급전선로의 세그먼트 변환 구간에서 픽업에 인가되는 자기장이 작아 픽업에 유도되는 전압에 급격한 변화가 생긴다. 이때 순간적으로 전압이 높은 펄스파가 발생되어 픽업의 뒷단에 연결된 소자들을 상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집전장치가 급전선로 세그먼트 상을 지나가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를 기술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색 네모로 표시된 구간에 집전장치가 지나가게 되면 구간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작아 집전장치에 유도되는 전압이 급격하게 적어져 유도 전압 불균형이 발생된다. 이 때 순간적으로 높은 펄스 전압이 인가되면 픽업 뒷단에 오는 소자들이 상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도 4는 집전장치에 픽업을 장착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기존의 연구자들은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regulator를 삽입하여 뒷단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방식을 택하였다. regulator를 사용하면 집전부 뒷단 전압을 확실하게 안정화시킬 수는 있으나 regulator 사용으로 인한 전력손실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레귤레이터를 픽업 뒷단에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레귤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전력손실을 피할 수가 없는 고질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픽업진행 방향(즉, 픽업을 장착한 열차 또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으로 길이가 긴 픽업으로써 픽업의 길이가 급전선로 세그먼트의 전환 구간에 비해 상당히 길게 함으로써 급전선로에서 올라오는 자기장이 평균적으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픽업에 유도되는 전압이 비교적 일정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유도전압을 픽업 뒷단에 인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종래의 집전장치(110)의 형상에 대비하여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장치(21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장치(210)는 기존의 픽업과 다르게 급전선로(100)의 약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장형 집전장치이다.
도 5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집전장치(210)는 급전선로(100) 위에 놓인 집전장치(210)로서 페라이트 코어에 코일이 감긴 일반적인 기존의 집전장치 형태와 달리 급전선로(100)의 전환구간에 비해 매우 긴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집전장치(210)가 장착된 열차 또는 자동차가 운행하면서 집전장치(210)가 급전선로(100)로부터 유도되는 자기장을 고루 받을 만큼 길다는 것이다.
도 6의 (a)는 기존 집전장치(110)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장치(210)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집전장치(110)의 구성과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장치(210)의 길이가 길어 급전선로(100)의 세그먼트 변환 지점(620)을 지나도 집전장치(210)가 세그먼트 내의 다른 지점을 포괄하고 있어 평균적인 유도전압을 유지하며 자기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면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집전장치(210) 뒷단의 전압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Claims (2)

  1. 복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구성된 급전선로의 상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급전선로의 상부를 이동하는 집전장치에 있어서,
    폭이나 두께보다 길이를 길게 한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에 권취되고 상기 급전선로로부터 전달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압을 유도하는 코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자성체의 길이가 상기 급전선로의 세그먼트의 길이보다 2배 이상 길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장치.
KR1020130085861A 2013-07-22 2013-07-22 집전전압 안정화를 위한 집전장치 KR102094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861A KR102094803B1 (ko) 2013-07-22 2013-07-22 집전전압 안정화를 위한 집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861A KR102094803B1 (ko) 2013-07-22 2013-07-22 집전전압 안정화를 위한 집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086A true KR20150011086A (ko) 2015-01-30
KR102094803B1 KR102094803B1 (ko) 2020-03-31

Family

ID=5248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861A KR102094803B1 (ko) 2013-07-22 2013-07-22 집전전압 안정화를 위한 집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8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8545A (ja) * 2007-01-24 2008-08-07 Olympus Corp 無線給電システム、カプセル内視鏡、及びカプセル内視鏡システム
KR20110031257A (ko) * 2009-09-19 2011-03-25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용 급전장치 및 집전장치
KR20110131934A (ko) * 2010-06-01 2011-12-07 김차현 비접촉 전원 공급 장치의 수전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8545A (ja) * 2007-01-24 2008-08-07 Olympus Corp 無線給電システム、カプセル内視鏡、及びカプセル内視鏡システム
KR20110031257A (ko) * 2009-09-19 2011-03-25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용 급전장치 및 집전장치
KR20110131934A (ko) * 2010-06-01 2011-12-07 김차현 비접촉 전원 공급 장치의 수전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803B1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69495A3 (en) Transferring electric energy to a vehicle by induction
US11031178B2 (en) Primary-sided and a secondary-sided arrangement of winding structures, a system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and a method for inductively supplying power to a vehicle
KR20120016521A (ko) 자기유도식 전력전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체
GB201207144D0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a vehicle with electric energy by magnetic induction
KR102249722B1 (ko) 전기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주행 중 무선충전 급전 시스템
WO2011034393A3 (en) Power supply and acquisition apparatus for on-line electric vehicle
EP2800111A3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transducers having interchangeable source resonator and capture resonator
WO2011124761A3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ducing capacitive current
KR20150011086A (ko) 집전전압 안정화를 위한 집전장치
WO2012107490A3 (de) Vorrichtung zur energieübertragung und zur induktiven kommunikation
US10611263B2 (en) Wireless power supply apparatus
JP2008273434A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とその延長方法
DE102007024293B4 (de) Anlage mit Primärleitersystem und bewegbar angeordneter Vorrichtung
EP2789987A3 (en) Magnetic sensor, magnetic field sensor, contactless position sensor, and contactless position sensor system
RU84790U1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го назем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CN103487071A (zh) 一种列车车轮智能传感器
KR101587126B1 (ko) 급전 선로에 따른 급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급집전 장치
KR101078037B1 (ko)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공통선 자계 차폐 장치
KR101496288B1 (ko) 철도선로 유기전류 감소를 위한 무선급전 선로 시스템
CN205176049U (zh) 一种新型轮速传感器
KR20130062795A (ko) 집전 및 급전 시스템과 그를 위한 집전 장치, 급전 구조물
CN202847470U (zh) 机车感应接收器
CN204402111U (zh) 一种立体停车设备的拼接轨道
KR101563317B1 (ko) 합산형 픽업장치
KR20150113258A (ko) 무선 전력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