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037A -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037A
KR20150011037A KR1020130077923A KR20130077923A KR20150011037A KR 20150011037 A KR20150011037 A KR 20150011037A KR 1020130077923 A KR1020130077923 A KR 1020130077923A KR 20130077923 A KR20130077923 A KR 20130077923A KR 20150011037 A KR20150011037 A KR 20150011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traffic load
threshold
cells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6010B1 (ko
Inventor
강창순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77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010B1/ko
Priority to PCT/KR2013/010039 priority patent/WO2015002350A1/ko
Publication of KR20150011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25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 H04W28/0942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based on measured or predicted load of entities- o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매크로 셀 및 마이크로 셀들이 중첩되어 운영되는 셀룰러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각 기지국의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traffic load in cellular mobile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매크로셀 및 마이크로셀들이 중첩되어 운영되는 셀룰러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각 기지국의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촌 환경 보호와 관련하여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이산화 탄소(CO2) 방출 문제는 증가하는 전력 소비와 직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소비전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통신기술의 표준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망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기지국의 소비전력을 줄일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은 초소형 셀 (예, 펨토셀), 소형 셀 (예, 피코셀) 및 대형 셀 (예, 매크로셀)들이 서로 중첩되는 계층적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차세대 중첩 셀룰러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런데 음성 트래픽은 일반적으로 낮은 전력으로 송신하는 반면에 고속 멀티미디어 트래픽은 높은 전력으로 송신하기 때문에 기지국에서 많은 소비 전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서비스 사용은 시간대별(예, 주간과 야간)과 지역별 (도심과 교외 등)로 크게 차이를 보인다. 특히 심야 시간대의 교외 지역이나 일반 가정(예, 펨토셀 사용)에서는 이러한 서비스 사용자들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공하는 기지국(셀)들은 항상 송수신기를 동작함으로써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방법들이 제시되어 왔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여 기지국의 송신전력을 줄이거나, 지역별/시간대별로 변화하는 트래픽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각 기지국의 송신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들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들에 있어서, 특정 기지국의 송신전력을 감소시키거나 송신 장치를 제어하는 동안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받던 사용자들(또는 모바일 단말기들)에게 서비스 불가 지역(이하 커버리지 홀이라 명명)을 초래하여 서비스 품질이 저하(예, 통화 단절 또는 서비스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3-00329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에게 커버리지 홀을 초래하지 않는 트래픽 부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커버리지 홀을 초래하지 않음과 동시에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전체 소비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트래픽 부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제어 방법은 (A)제1 셀의 트래픽 부하를 측정하고, 상기 트래픽 부하가 제1 임계치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상기 트래픽 부하가 제1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단말기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셀로 핸드오버시키는 단계; 및 (C)상기 제1 셀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가 이웃 셀로 모두 핸드오버 되면 상기 제1 셀의 송신장치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셀에 이웃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셀의 트래픽 부하를 측정하고, 상기 모든 셀들의 트래픽 부하가 제2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만, 상기 (A) 단계 또는 상기 (B)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셀로부터 서비스받는 모든 단말기의 핸드오버 임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단말기를 이웃 셀로 핸드오버 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든 단말기의 핸드오버 임계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D-1) 상기 제1 셀의 송신장치를 차단한 후, 상기 제1 셀과 이웃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셀들의 트래픽 부하가 제2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1) 상기 (D-1)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트래픽 부하 값이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셀의 송신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1 셀과 이웃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셀들은, 특정 매크로 셀의 셀 커버리지 내 포함되는 셀들일 수 있다.
또한, (D-2) 상기 제1 셀의 송신장치를 차단한 후, 상기 제1 셀로의 통화 시도 횟수 또는 통화 시도에 따른 트래픽 부하가 제3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2) 상기 값이 제3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셀의 송신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은 사용자들에게 이웃하는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유도함으로써 커버리지 홀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핸드오버 유도를 통해 특정 기지국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모두 이웃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된 경우, 상기 특정 기지국의 송신장치를 차단함으로써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전체 소비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매크로셀 네트워크 및 복수 개의 펨토셀 네트워크가 중첩된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매크로셀 네트워크 및 복수 개의 펨토셀 네트워크가 중첩된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셀 네트워크와 펨토셀 네트워크는 서로 중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매크로셀 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매크로셀 기지국(201, 202), MME(312), 모바일 단말기(101) 등의 3가지 엔터티(entity)로 구성된다. 이때, 매크로셀 기지국(201, 202)은 모든 무선접속 기능을 수행하며 기지국간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간섭 및 트래픽 부하 정보 등을 교환한다. MME(3112)은 모바일 단말기(101)들의 이동성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반면에 펨토셀 네트워크는 펨토셀 기지국(301, 302, 303), 펨토 게이트웨이(311) 등으로 구성된다. 펨토셀 기지국(301, 302, 303)은 초소형 서비스 영역을 제공하는 기지국 기능을 수행하며, MME(312)와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셀룰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를 포함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 및 고품질 영상 서비스 등의 사용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동통신망의 트래픽 부하도 급증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트래픽 부하는 셀별로 균등하게 분포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또는 셀, 섹터) 또는 시간대 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 즉, 셀(또는 섹터)에 따라 서빙 셀의 기지국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숫자나 트래픽 양이 크게 다르다. 따라서 어떤 셀의 기지국은 많은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반면에 다른 셀(또는 섹터)의 기지국은 아주 적은 트래픽 부하(또는 소수에 불과한 사용자)에도 불구하고 기지국 시스템 전체를 항상 작동 시키기 때문에 사용하는 전력 또는 소비 전력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원 발명은 각 셀별 트래픽 부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셀 기지국의 송신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트래픽 부하를 관리함과 동시에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하, 상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부하 제어 방법은 (A)제1 셀의 트래픽 부하(L)를 측정하고, 상기 트래픽 부하가 제1 임계치(Lthreshold)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상기 트래픽 부하가 제1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단말기를 이웃 셀로 핸드오버시키는 단계; 및 (C)상기 제1 셀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가 이웃 셀로 모두 핸드오버 되면 상기 제1 셀의 송신장치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도 2의 각 단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특정 셀의 트래픽 부하를 측정한다(S210). 이하, 상기 특정 셀을 제1 셀이라고 한다. 이때 상기 제1 셀로는 대형 셀(또는 매크로셀)이 적용될 수 있으며, 소형 셀(예컨대, 피코셀, 펨토셀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S210 단계를 통해 측정되는 트래픽 부하 값으로는 다양한 측정 값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되는 패킷의 수를 측정하거나, 상기 제1 셀로부터 서비스 받는 모바일 단말기의 수를 측정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외, 상기 제1 셀의 트래픽 부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다양한 측정값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어, 상기 S210 단계를 통해 측정된 트래픽 부하값이 제1 임계값(Lthreshold) 이하 인지를 판단한다(S220).
이때, 상기 제1 임계값으로는 상기 제1 셀의 트래픽 성능에 따라 다른 값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는 상기 제1 셀의 최대 트래픽 허용량의 5% 내지 10%에 해당되는 값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임계값은 관리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임계값으로는 상기 제1 셀의 트래픽 부하가 주변 셀로 핸드오버되어도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트래픽 부하값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셀이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통해 상기 셀로부터 트래픽 부하를 모두 전달받을 경우에도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트래픽 부하값으로, 주변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변경 가능한 부하값이 적용될 수 있다.
이어, 상기 S220 단계를 통해 제1 셀의 트래픽 부하가 제1 임계값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셀에 대한 부하 관리를 통해 가용 자원 범위 내에서 사용자들에게 자원을 할당하여 통신을 지원하도록 한다(S230). 즉, 상기 제1 셀의 트래픽 부하가 제1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셀의 송신 장치를 차단하지 않고 이전과 동일하게 상기 제1 셀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모바일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반면, 상기 S220 단계를 통해 제1 셀의 트래픽 부하가 제1 임계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단말기를 상기 제1 셀에 이웃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셀(이하, 제2 셀이라 함)들로 핸드오버시킨다(S240).
상기 S240 단계에 있어,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들을 이웃하는 셀들로 핸드오버시키는 방법으로는 서비스 받는 모든 단말기의 핸드오버 임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유도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핸드오버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현재 상기 단말기에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빙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와 이웃 셀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중에서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비교한다. 각 단말기들은 이웃 셀의 신호 세기가 서빙 셀의 신호세기보다 기 설정되어 있는 핸드오버 임계치(또는, 핸드오버 히스테러시스 마진, Handover Hysteresis Margin)보다 큰 지를 비교하고, 클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서빙 셀의 기지국에 보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 단말기는 서빙 셀에서 다른 셀로 핸드오버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1 셀로부터 서비스받는 모든 단말기는 핸드오버의 수행 여부 판단시 제2 셀로부터의 신호세기가 제1 셀로부터의 신호세기보다 핸드오버 임계치보다 큰 지를 판단하게 되며, 상기 핸드오버 임계치가 감소하게 되면 각 단말기들은 이전(핸드오버 임계치의 변경 전) 대비 제2 셀로 쉽게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S240 단계는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든 단말기의 핸드오버 임계치를 감소시킴으로써 각 단말기들이 제2 셀로 핸드오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핸드오버 유도 방식과 달리, 강제적으로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든 단말기들을 제2 셀로 핸드오버 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핸드오버 임계치 값으로 음의 값이 적용될 경우, 제2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제1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보다 약한 경우라도 각 단말기들을 제2 셀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
이외, 상기 S240 단계에서는 단말기들을 핸드오버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1 셀로부터 서비스받는 단말기들을 이웃하는 제2 셀들로 핸드오버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S240 단계는 상기 제1 셀에 이웃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2 셀의 트래픽 부하를 측정하고, 상기 모든 셀들의 트래픽 부하가 제2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2 임계치 값으로는 특정 셀이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트래픽 부하의 한계값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특정 셀의 종류(매크로셀 또는 마이크로셀), 한계 용량 등 기타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셀에 이웃하는 셀(이하, 제2 셀이라 함)의 트래픽 부하는 한계치(제2 임계치)를 초과하고 있으나, 상기 제1 셀의 트래픽 부하는 제1 임계값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를 제2 셀로 모두 핸드오버하게 되면 상기 제2 셀의 트래픽 부하량은 더 커지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제2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든 단말기의 서비스의 질은 일정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즉, 상기 S240 단계는 상기 제1 셀에 이웃하는 제2 셀이 상기 제1 셀로부터 서비스 받던 단말기들을 핸드오버 받을 경우라도 상기 단말기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240 단계의 핸드오버를 통해 상기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들이 모두 이웃하는 제2 셀들로 핸드오버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50). 즉, 상기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셀의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패킷 수, 트래픽 부하값, 또는 서비스하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S250 단계에서 적용될 수 있는 판단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해할 수 있다.
상기 S250 단계를 통해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가 하나라도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S210 내지 S240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S240 단계에서는 단말기의 핸드오버 임계치를 중복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핸드오버 임계치가 이미 변경(감소)된 경우에도 상기 S240 단계를 통해 상기 핸드오버 임계치는 중복하여 변경(감소)될 수 있다.
또는, 상기 S250 단계를 통해 특정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가 하나라도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S220 내지 S240 단계를 반복할 수도 있으며, S240 단계만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반복 구성은 관리자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반면, 상기 S250 단계를 통해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가 하나도 없다고 판단된 경우(즉, 제1 셀의 셀 커버리지 내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셀의 송신 장치를 차단한다(S260).
즉, 상기 S260 단계에서는 제1 셀의 서비스 동작을 차단함으로써 이로 인한 전력 소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제1 셀의 송신 장치는 차단하더라도, 상기 제1 셀에 통화(또는 서비스)를 시도하는 횟수(또는 부하)를 측정하는 별도의 모듈은 작동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셀의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셀의 트래픽 부하(상기 제1 셀에 통화(또는 서비스)를 시도하는 횟수(또는 부하) 등)를 측정하는 수단을 별도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통해 상기 실시예에 따라 차단된 송신 장치를 재작동시키는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1 셀의 송신 장치가 차단된 경우, 상기 제1 셀과 이웃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셀들의 트래픽 부하가 한계치(제2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10). 이때, 상기 제2 임계치 값은 해당 셀 들의 종류(매크로셀 또는 마이크로셀), 한계 용량 등 기타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셀과 이웃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셀들로는 특정 매크로 셀의 셀 커버리지 내 포함되는 셀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셀로는 제1 매크로 셀의 셀 커버리지 내 포함되는 펨토셀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매크로 셀의 셀 커버리지 내에는 상기 제1 셀 외에 복수 개의 펨토셀들이 구비될 수 있다.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동일 매크로 셀의 셀 커버리지 내 구비되는 복수 개의 펨토셀들은 동일한 그룹 내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이, 상기 S310 단계에서는 일전에 송신 장치가 차단된 제1 셀과 동일 그룹인 제2 셀들의 트래픽 부하가 제2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310 단계를 통해 트래픽 부하 값이 제2 임계치 이상인 셀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셀의 송신 장치를 재작동시킨다(S320).
즉, 송신 장치가 차단된 제1 셀과 동일 그룹에 속하는 펨토셀의 트래픽 부하가 증가하게 되면, 상기 제1 셀의 송신 장치를 재작동시킴으로써 트래픽 부하 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전력 소모량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들의 서비스 품질 또한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셀은 일전에 핸드오버 임계치를 변경(감소)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서비스받고 있는 단말기들에게 핸드오버 임계치를 원래 상태로 복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1 셀의 가상 무선 커버리지는 원래 상태로 복원하게 되고, 서비스 받는 단말기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S310 단계와 달리, 상기 제1 셀로의 통화 시도 횟수 또는 통화 시도에 따른 트래픽 부하가 제3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330).
이때, 상기 S330 단계는 상기 제1 셀에 구비된 별도의 모듈을 통해 송신 장치가 차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셀로의 통화 시도 횟수 또는 통화 시도에 따른 트래픽 부하 값을 측정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임계치 값으로는 다양한 값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임계치와 동일한 값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임계치 보다는 큰 값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S330 단계를 통해 상기 제1 셀에 대한 트래픽 부하가 제3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S320 단계와 동일하게 상기 제1 셀의 송신 장치를 재작동시킨다(S340).
즉, 송신 장치가 차단된 제1 셀에 대해서 일정 이상의 통화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셀의 송신 장치를 재작동시킴으로써 트래픽 부하 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전력 소모량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들의 서비스 품질 또한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셀은 일전에 핸드오버 임계치를 변경(감소)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서비스받고 있는 단말기들에게 핸드오버 임계치를 원래 상태로 복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1 셀의 가상 무선 커버리지는 원래 상태로 복원하게 되고, 서비스 받는 단말기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를 제어함과 동시에 소비 전력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불필요하게 동작하는 송신 장치는 차단함으로써 전체 소모 전력량을 감소시키고, 이후 전체 트래픽의 부하량이 일정 이상이 되게 되면 차단되었던 송신 장치를 재작동시킴으로써 트래픽 부하의 분포를 고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모바일 단말기
201, 202 : 매크로 기지국
301, 302, 303 : 펨토 기지국
311 : 펨토 게이트웨이 312: MME(Mobile Management Entity)

Claims (7)

  1. (A)제1 셀의 트래픽 부하를 측정하고, 상기 트래픽 부하가 제1 임계치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상기 트래픽 부하가 제1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단말기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셀로 핸드오버시키는 단계; 및
    (C)상기 제1 셀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가 이웃 셀로 모두 핸드오버 되면 상기 제1 셀의 송신장치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에 이웃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셀의 트래픽 부하를 측정하고, 상기 모든 셀들의 트래픽 부하가 제2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만,
    상기 (A) 단계 또는 상기 (B)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셀로부터 서비스받는 모든 단말기의 핸드오버 임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단말기를 이웃 셀로 핸드오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든 단말기의 핸드오버 임계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D-1) 상기 제1 셀의 송신장치를 차단한 후, 상기 제1 셀과 이웃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셀들의 트래픽 부하가 제2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1) 상기 (D-1)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트래픽 부하 값이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셀의 송신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1 셀과 이웃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셀들은,
    특정 매크로 셀의 셀 커버리지 내 포함되는 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D-2) 상기 제1 셀의 송신장치를 차단한 후, 상기 제1 셀로의 통화 시도 횟수 또는 통화 시도에 따른 트래픽 부하가 제3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2) 상기 값이 제3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셀의 송신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제어 방법.
KR20130077923A 2013-07-03 2013-07-03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 KR101496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7923A KR101496010B1 (ko) 2013-07-03 2013-07-03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
PCT/KR2013/010039 WO2015002350A1 (ko) 2013-07-03 2013-11-07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7923A KR101496010B1 (ko) 2013-07-03 2013-07-03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037A true KR20150011037A (ko) 2015-01-30
KR101496010B1 KR101496010B1 (ko) 2015-02-26

Family

ID=5214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7923A KR101496010B1 (ko) 2013-07-03 2013-07-03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6010B1 (ko)
WO (1) WO20150023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080B1 (ko) 2015-04-28 2017-06-0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통신 시스템 소모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143B1 (ko) * 2008-12-16 2013-0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지국의 저전력 운용 방법
JP5598464B2 (ja) * 2009-03-25 2014-10-01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基地局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移動局
KR101676033B1 (ko) * 2010-01-08 201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KR101704814B1 (ko) * 2010-06-15 2017-02-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 셀과 연계하여 펨토 셀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전력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펨토 셀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396351B2 (ja) * 2010-09-01 2014-0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基地局システム及び基地局
JP2012114753A (ja) 2010-11-25 2012-06-14 Fujitsu Ltd 基地局、基地局制御方法及び基地局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010B1 (ko) 2015-02-26
WO2015002350A1 (ko)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618B1 (ko) 이종 네트워크들에서의 이동성 파라미터 조정 및 이동성 상태 추정
EP2432284B1 (en) A macrocell base statio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 femtocell base station, and a method of switching a femtocell base station between a dormant mode and an active mode
CN102695251B (zh) 移动通信系统中的节能方法
US9001758B2 (en) Flexible bandwidth small cells
CN104080118B (zh) 关于小区覆盖扩展的偏置调整的方法、装置与系统
CN105103640B (zh) 用于基于小区间干扰协调减少异构通信网络中的干扰的方法和装置
US8285293B2 (en) Femtocell base station, and a method of radio communication in a network comprising a femtocell base station
CN102625388B (zh) 切换方法、基站和系统
KR101645267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성이 낮은 아이들모드 디바이스의 통신을 위한 메저먼트 장치 및 방법
EP3520493B1 (en) Methods and nodes for cell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426974B1 (en) A femtocell base station, and a method of selecting carrier frequency band of a femtocell base station
US9693271B2 (en) Adaptive cell range expansion mechanisms for LTE cells
KR20170136508A (ko) 셀 특정 확률 로드 밸런싱의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EP2842371B1 (en) Method and apparatus
CN103596244A (zh) 一种方法及一种无线发射/接收单元(wtru)
JP5958724B2 (ja) 通信システム
WO2011158858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電源制御方法
CN104185222A (zh) 异构网络中的小区切换和激活
CN104519557A (zh) 一种实现小小区唤醒的方法与接入网元设备
Prasad et al. Energy efficient small cell activation mechanism for heterogeneous networks
US20150358923A1 (en) Methods and Apparatus
CN104113897A (zh) 一种小区节能补偿协调方法和设备
KR101496010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
CN102123434B (zh) 一种基站调度的处理方法和系统
EP2139287B1 (en) Method for measuring home ce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