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440A - System of communication in wireless-LAN network with pick-up for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of communication in wireless-LAN network with pick-up for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440A
KR20150010440A KR1020130085475A KR20130085475A KR20150010440A KR 20150010440 A KR20150010440 A KR 20150010440A KR 1020130085475 A KR1020130085475 A KR 1020130085475A KR 20130085475 A KR20130085475 A KR 20130085475A KR 20150010440 A KR20150010440 A KR 20150010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oming call
smartphone
network
wireless lan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4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5938B1 (en
Inventor
오성훈
Original Assignee
오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훈 filed Critical 오성훈
Priority to KR1020130085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938B1/en
Publication of KR2015001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4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9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and an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wherein the system enables a user in a wireless LAN-installed place like home, office, and so on to receive a smartphone incoming call using a desktop computer, a laptop, a tablet, an Internet TV, an interphone and the like which are connected to a wireless LAN and equipped with a microphone and a speaker,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quickly and accurately respond to a communications call, providing convenience of use, and increasing utilization of the wireless LAN. The smartphone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comprises a smartphone, an access point, a wireless LAN, and a network terminal. The smartphone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through a first frequency while moving in a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 area; is equipped with an incoming call application; and is connected to a wireless LAN for communications. The access poin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martphone through a second frequency, and is equipped with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The wireless LAN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by wire, and forms a network for communications. The network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by wire; is equipped with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transmits/receives voice signals through an equipped microphone and speaker; and is identified through an assigned unique number.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user to quickly and conveniently receive a smartphone incoming call using a computer, a TV, an interphone and the like which are connected to a wireless LAN and equipped with a microphone and a speaker.

Description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System of communication in wireless-LAN network with pick-up for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forwarding system for a smartphone call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착신된 호출(착신콜, receiving call)을 무선랜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 등의 장치로 응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사무실 등과 같이 무선랜 네트워크가 설치된 장소에서 스마트폰에 착신된 호출(착신콜)을 무선랜의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마이크와 스피커가 구비된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인터넷 TV, 인터폰 등을 이용하여 응답하므로 통신 호출에 신속 정확하게 응답하고 사용상 편리하며 무선랜 네트워크의 활용도를 더욱 높이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a call (incoming call) received by a smart phone to a device such as a computer connected to a network of a wireless LAN, (Incoming calls)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network and responds by using a computer equipped with a microphone and a speaker, a notebook, a tablet, an Internet TV, an interphone,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forwarding apparatus for a smartphone incoming call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that further improves the utilization of a wireless LAN network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스마트폰(smart-phone)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되고 이동통신 시스템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음성통신, 데이터통신, 이메일과 문자메시지 등의 통신을 하는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이다. A smart phone is a mobile phone that is subscribed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ves freely within a service area 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desired party anytime and anywhere to carry out communication such as voice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은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의 기본 기능에 부가하여 컴퓨터, 와이파이에 의한 무선랜, 지그비, NFC, 블루투스 통신 등의 최첨단 하드웨어에 의한 부가기능을 더 추가 구비하며 이러한 부가기능은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of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the smart phone further includes additional functions by state of the art hardware such as a computer, wireless LAN by WiFi, ZigBee, NFC,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 like, So that detailed explanation will not be made.

스마트폰의 최첨단 하드웨어 기능을 활용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이 개발되어 유무상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응용프로그램은 앱(APP), 어플(APPL) 등으로 불리고 응용분야가 매우 다양한 것이 일반적이다. Application programs that utilize the most advanced hardware functions of smart phones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These applications are called applications (APP), applications (APPL), and so on.

한편, 스마트폰의 기본 기능인 통신(communication)은 중요하거나 긴급한 내용을 선택된 상대방에게 신속하며 정확하게 직접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고, 이러한 통신요청에 의한 피호출 또는 착신콜을 스마트폰으로 수신한 경우 응답에 의하여 상대방과 통신경로가 연결되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communication, which is a basic function of a smart phone, is intended to directly or indirectly deliver important or urgent contents to a selected party promptly. When receiving a call or an incoming call by such a communication request, The communication path is connected to the other party, and the user can communicate with the other party using the smart phone.

그러나 사무실 또는 가정 등에서 업무수행 또는 기타 필요한 가사 작업을 진행하는 도중 피호출에 의한 스마트폰의 착신벨 소리를 확인하지 못하거나 또는 스마트폰과 멀리 떨어져 있어 피호출 상태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통신을 할 수 없게 되고 긴급한 소식을 전달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since it is impossible to check the ringing tone of the smartphone due to the call during the work or other necessary household tasks in the office or the home, or the call state can not be checked because it is far away from the smartphone, There may be cases where you do not receive urgent news.

즉, 스마트폰에 착신된 호출을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인터넷 티비(internet-TV) 등으로 콜 픽업(call pickup)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at i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for call pickup with a computer connected to a wireless network, an internet-TV, or the like, in which a call is received by a smartphone.

유선전화로 착신된 호출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픽업하는 종래기술로 특허 공개 제10-2007-0039642호(2007.04.13.)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콜 픽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있다.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picking up a call received by a landline telephone using a smart phon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7-0039642 (Mar. 13, 2007), entitled "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call pickup service using a home network and A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마트폰의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장치를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related 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착신 정보 수신부(1), 접속 정보 수신부(2), 근거리 접속 통신 모듈(3), 착신 단말기 검색 정보 송수신부(4),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수단(5),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수단(6) 및 제어부(7)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The call information receiving unit 1, the connec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 the local area access communication module 3, the called terminal search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4,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5, , A user output interface means (6), and a control unit (7).

종래기술에 의한 스마트폰 단말기는 유선전화망을 통하여 착신된 호출을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경유하여 스마트폰 단말기에서 픽업하고 통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스마트폰 단말기로 착신된 호출을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컴퓨터 등의 장비로 픽업하여 통신할 수 없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The smartph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n advantage in that a call received through a wired telephone network can be picked up and communicated in a smartphone terminal via a home network system, but a call received in a smartphone terminal can be transmitted to a computer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picked up and communicated with the equipment of the apparatus.

또한, 종래기술은 스마트폰 단말기의 하드웨어를 새롭게 구성하여야 하므로 기존에 사용하던 일반적인 스마트폰 단말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ior art has to newly configure the hardware of the smartphone terminal, there remain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smartphone terminal that is used in the past can not be used as it is.

따라서 기존에 사용하던 일반적인 스마트폰 단말기를 그대로 사용하고 스마트폰 단말기에 착신된 호출을 무선랜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등으로 픽업하여 통신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ique of using a conventional smart phone terminal as it is and picking up a call received in a smart phone terminal by a computer or the like connected to a wireless LAN network and communicating.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07-0039642호(2007.04.13.)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콜 픽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39642 (Apr. 13, 2007)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call pickup service using a home network and method of operat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사무실 또는 가정 등에서 와이파이(Wi-Fi)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마이크와 스피커 기능이 구비된 컴퓨터, 인터넷 TV, 인터폰 등을 통하여 스마트폰에 착신된 호출을 픽업하여 통신하도록 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nd necessitie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is a computer connected to a wireless LAN network including a Wi-Fi (Wi-Fi)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ll forwarding apparatus for a smartphone incoming call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that picks up an incoming call to a smart phone and communicates through the wireless LAN network.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은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을 이동하면서 이동통신 시스템과 제 1 주파수로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며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무선랜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과 제 2 주파수로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며 상기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하여 무선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통신신호를 전달하는 근거리사설망; 및 상기 근거리사설망에 유선 또는 무선 접속하고 상기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며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고 할당된 고유번호에 의하여 구분되는 네트워크 단말기; 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ll forwarding system for a smartphone incoming call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compri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by wirelessly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t a first frequency, Smartphones that install and operate apps and connect to wireless LAN to communicate; An access point for wirelessly connecting with the smartphone at a second frequency to transmit and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and to install and operate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A short distance private network for establishing a wireless LAN network by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access point and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signal; And a network terminal connected to the local area private network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and being distinguished by an assigned unique number; . ≪ / RTI >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 2 주파수로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양방향으로 송신과 수신하는 양방향 무선통신부; 상기 양방향 무선통신부와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제어하고 통신신호의 양방향 전송을 위한 경로 설정을 제어하며 감시하는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 앱을 설치하고 운용하는 착신콜앱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송신과 수신되는 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통신신호 처리부; 및 상기 무선랜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 정보와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를 포함할 수 있다.A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connecting with the smartphone at the second frequency to transmit and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in both directions; An access point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trolling access to the network terminal when incoming call information of the smart phone is received, and controlling and monitoring path setting for bidirectional transmission of a communication signal; An incoming call application unit for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by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access point control unit; A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unit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communication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access point control unit; And a network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network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by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access point control unit; . ≪ / RTI >

상기 스마트폰은 착신콜 정보를 수신하면 발신자 정보가 포함된 착신콜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smartphone receives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the smartphone outputs and displays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er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eceived call information to the access point.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는 다수로 이루어지며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인터넷-TV, 인터폰이 포함되고 음성급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마이크와 스피커가 구비되며 문자메시지가 포함된 데이터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키패드와 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주파수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엔에프시(NFC),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에 할당된 무선 주파수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network terminal includes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s, and includes a microphone, a speaker, a computer, a notebook, a tablet, an Internet-TV, and an interphone, and transmits and receives voice signals. And the second frequency may be any one or more of radio frequency allocated to Wi-Fi, Bluetooth, NFC, and ZigBee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근거리사설망,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call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including: a smart phone forwarding call forwarding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including a smart phone, an access point, In a method of operating a system,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피호출에 의한 착신콜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11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착신콜이 수신되면 확인된 발신자 정보가 포함된 착신콜 정보를 출력하는 제 12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 접속된 상기 근거리사설망에 상기 착신콜 정보를 전송하는 제 13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에 응답하는 신호가 자체적으로 입력되는지 또는 상기 근거리사설망으로부터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14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에 응답하는 신호가 자체 또는 근거리사설망으로부터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통신경로를 점유하도록 설정시켜 통신신호를 양방향 전송하는 제 15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An eleventh step of installing and operating an incoming call application by the smartphone and checking whether a called cal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outputting the called call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firmed caller information when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by the smartphone; (C) transmitting the called call information to the local area network connected via the access point by the smartphone; (14) confirming whether a signal responding to the incoming call is input by the smartphone itself or is received from the local area private network; And (15)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in a bi-directional manner by setting the communication path to be occupie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ignal responding to the incoming call by the smartphone is input from the self or the local private network. . ≪ / RTI >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근거리사설망,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21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면 동작 중인 것으로 확인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상기 착신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호출에 응답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22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폰에 전달하고 통신완료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양방향 통신경로를 할당하는 제 23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call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including: a smart phone forwarding call forwarding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including a smart phone, an access point, 21. A method of operating a system, comprising the steps of: (a) establishing an incoming call application by the access point and checking whether incoming cal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A step 22 of transmitting the called call information to the network terminal which is confirmed to be operating when the called call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access point and checking whether a response signal for responding to the call is received from the network terminal; And (23) when the access point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network terminal,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to the smartphone and allocating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path until a communication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 ≪ / RTI >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근거리사설망,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의하여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상기 스마트폰이 전송한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31 단계;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의하여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면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가 정상동작하는지 확인하고 정상동작하지 않으면 장애상태를 표시하며 수신된 착신콜 정보를 출력하는 제 32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의하여 지정된 응답키의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활성화 구동시켜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양방향 통신을 진행하는 제 33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call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including: a smart phone forwarding call forwarding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including a smart phone, an access point, 31. A method of operating a system, comprising the steps of: establishing and operating an incoming call application by the network terminal and confirming whether incoming call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mart phone is received; 32. The method of claim 30,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f the received call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network terminal, checking whether the provided microphone and speaker are operating normally, And, if it is confirmed that a signal of a response key designated by the network terminal is inputted, proceed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til the communication is completed by activating and driving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 ≪ / RTI >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사무실, 가정 등에서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한 컴퓨터, internet-TV, 인터폰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에 착신된 호출신호를 픽업하므로 호출에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고 사용자는 다른 일을 하면서도 착신 호출을 놓치지 않고 응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used in an office, a home, or the like, and is connected to a wireless LAN network including a Wi-Fi network and picks up a call signal received in a smartphone using a computer hav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an internet- And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spond without missing incoming calls while doing other work.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마트폰의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장치를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을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상세 기능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에서 스마트폰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단말기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그리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신호흐름 설명도 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related art,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ll forwarding system for a smartphone incoming call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etailed fun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phone in a smartphone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ccess point in a smartphone incoming call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terminal in a smartphone incoming call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 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ignal flow of a smartphone incoming call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통신기술 분야에서 특정 단말기를 호출하는 착신콜을 다른 단말기에서 이어받아 대신 응답하는 기능을 픽업(pick-up) 또는 착신전환이라고 한다.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 function of picking up a call from a different terminal and responding to a call is called pick-up or call forwarding.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랜 네트워크와 무선랜은 같은 의미이며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하고, 통신신호는 음성급 신호와 문자 메시지 등의 데이터 신호가 포함되는 것이며 설명과 이해의 편리를 위하여 선택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wireless LAN network and the wireless LAN have the same meaning. The wireless LAN and the wireless LAN ar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context. The communication signals include data signals such as voice grade signals and text message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을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상세 기능 구성도 이다.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ll forwarding system of a smartphone incoming call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100)은 스마트폰(110), 액세스 포인트(120), 근거리사설망(130), 네트워크 단말기(1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martphone incoming call call forwarding system 100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includes a smart phone 110, an access point 120, a near-field private network 130, a network terminal 140 ).

스마트폰(110)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형성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구성이며 이동통신 시스템과 제 1 주파수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고 착신콜 앱 프로그램을 설치 운용하고 액세스 포인트(120)와 근거리사설망(130)가 포함된 무선랜에 접속하여 선택된 네트워크 단말기(140)와 통신한다. The smartphone 110 is configured to wirelessly connect with a desired party whenever and wherever while moving freely within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smart phone 110 wirelessly accesses and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t a first frequency, And communicates with the selected network terminal 140 by connecting to the wireless LAN including the access point 120 and the local area network 130.

스마트폰(110)은 앱 프로그램을 설치 및 운용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The smart phone 110 can install and operate the application program and is generally known,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will not be given.

이동통신 교환기는 호출자의 전화번호가 포함된 정보를 피호출자에게 착신콜(착신링 신호)과 함께 전달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발신자 정보가 포함된 착신콜을 착신콜 정보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transmits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to the called party along with the incoming call (incoming ring signa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incoming call including the caller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as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스마트폰(110)은 이동통신 시스템과 제 1 주파수로 무선접속하여 상대방을 호출하거나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 될 수도 있으며, 피호출되는 경우의 착신콜 정보를 자체적으로 출력하면서 설치되어 운용되는 착신콜 앱에 의하여 제 2 주파수로 착신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120)에 전달한다. The smartphone 110 may wirelessly conn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t a first frequency to call the other party or may be called from the other party, or may be provided with an incoming call application installed and operated while outputting the called call information, And delivers the called call information to the access point 120 at the second frequency.

스마트폰(110)은 착신콜 앱의 운용에 의하여 이동통신 시스템과 액세스 포인트(120)에 채널 할당을 동시에 요청 및 점유하고 동시에 각각과 통신할 수 있다. The smartphone 110 can simultaneously request and occupy the channel assignm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access point 120 by operating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and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imultaneously.

즉, 스마트폰(110)은 착신콜 앱의 운용에 의하여 이동통신 시스템과 제 1 주파수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채널을 점유하는 동시에 액세스 포인트(120)와 제 2 주파수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채널을 점유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문자메시지 등의 데이터 신호 또는 음성급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120)에 전달(전송)하거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문자메시지 등의 데이터 신호 또는 음성급 신호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달(전송)할 수 있다. That is, the smartphone 110 occupies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y using the first frequency and occupies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hannel using the second frequency with the access point 120 by operating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Transmits) a data signal or a voice grade signal such as a text messag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the access point 120 or transmits a data signal or voice grade signal such as a text message received from the access poi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120)는 IEEE 802.11 규정에 의한 와이파이(Wi-Fi) 무선 기술로 동작하며 무선 공유기로 많이 알려져 있고 착신콜 앱을 설치 및 운용할 수 있다.An access point (AP) 120 is operated by Wi-Fi wireless technology according to IEEE 802.11 and is well known as a wireless router and can install and operate a call application.

착신콜 앱은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이며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program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액세스 포인트(120)는 와이파이(Wi-Fi) 기술 이외에 블루투스(Bluetooth), 엔에프시(NFC), 지그비(ZigBee) 방식의 무선통신 기술과 같이 알려진 무선통신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Meanwhile, the access point 120 may use any one or more than one of the known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such as Bluetooth, NFC, ZigBee, etc., in addition to the Wi-Fi technology It is quite natural that it can be applied.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랜은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사설망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wireless LAN will be described with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access point and a local area network.

일 례로, 지그비(ZigBee)는 IEEE-SA 802.15 규격에 의한 것으로 868 MHz, 902-928 MHz, 2.4 GHz 대역의 무선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무선랜을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ZigBee is based on the IEEE-SA 802.15 standard and can configure a wireless LAN operating in the 868 MHz, 902-928 MHz, and 2.4 GHz frequency bands.

지그비(ZigBee)를 사용하는 무선랜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50m 이내의 거리에 설치된 네트워크 단말기(140)와 최고 250 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전력소모가 적고 최대 255 개의 네트워크 단말기(140)를 구분할 수 있다. A wireless LAN using ZigBee can exchange data at a speed of up to 250 Kbps with a network terminal 140 installed within a distance of 50 m from the access point. I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maximize 255 network terminals 140 .

블루투스(bluetooth)는 IEEE 802 규격에 의한 것으로 48 비트 주소를 가지고 단말기를 구분할 수 있으며, 점대점 또는 멀티포인트 접속이 가능하고 통신 범위는 최대 10m 이며, 데이터는 1 ~ 2 Mbps의 속도로 전송하고, 주파수 홉 방식에 의하여 전자기 장애가 심한 지역에서도 통신이 가능하다. Bluetooth is an IEEE 802 standard that can distinguish terminals with 48-bit addresses, can be point-to-point or multipoint connections, has a maximum communication range of 10 meters, transmits data at 1 to 2 Mbps, The frequency hop method enables communication even in areas where electromagnetic disturbance is severe.

엔에프시(NFC: Near Field Communication)는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태그(RFID)로 알려져 있으며 13.56 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고 424 Kbit로 통신하며 교통카드, 은행카드 등에 많이 사용되고 통달거리는 수동형과 능동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known as near-field communication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t uses radio frequencies in the 13.56 MHz band and communicates at 424 Kbits. It is widely used for traffic cards and bank cards. Passive and active There is a difference.

액세스 포인트(120)는 스마트폰(110)과 제 2 주파수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고, 제 2 주파수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엔에프시(NFC), 지그비(ZigBee) 방식에서 각각 사용하는 주파수이며 각 방식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The access point 120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smartphone 110 at a second frequency and the second frequency may be at least one of Wi-Fi, Bluetooth, NFC, ZigBee, And each method is well known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액세스 포인트(120)는 양방향 무선통신부(121),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122), 착신콜 앱부(123), 통신신호 처리부(124), 네트워크 접속부(125)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The access point 120 includes a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1, an access point control unit 122, an incoming call application unit 123, a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unit 124, and a network connection unit 125.

양방향 무선통신부(121)는 제 2 주파수로 스마트폰(110)과 무선접속하여 양방향 통신 신호를 송신과 수신한다. The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1 establishes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smartphone 110 at a second frequency to transmit and receiv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ignals.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122)는 액세스 포인트(120)를 구성하는 각 기능부와 접속하고 감시하며 제어하는 것으로, 양방향 무선통신부(121)를 통하여 스마트폰(110)으로부터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면 근거리사설망(130)에 접속된 네트워크 단말기(140)에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네트워크 단말기(140)로부터 스마트폰(110)과 통신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스마트폰(110)에 전달하는 동시에 양방향 통신을 위한 경로 설정(채널 할당)을 제어하고 감시한다. The access point control unit 122 connects to and monitors and controls each functional unit constituting the access point 120. When the call recep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110 through the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1, 130 to the network terminal 140 connected thereto. When a sig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smartphone 110 is inputted from the network terminal 140,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110 and the path setting (channel allocation)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s controlled and monitored.

착신콜앱부(123)는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착신콜 앱 의 응용 프로그램을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자동 설치하여 운용한다.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unit 123 stores the application program of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in the allocated area by th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access point control unit, automatically installs and operates the application program.

통신신호 처리부(124)는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송신과 수신되는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소정 레벨로 각각 증폭하여 출력한다. The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unit 124 amplifies the voice and data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access point control unit, respectively, to a predetermined level.

네트워크 접속부(125)는 근거리사설망(130)에 접속하고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122)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착신콜 정보와 통신신호를 정합(matching) 상태로 입력하고 매칭 상태로 출력하므로 전송(전달)하거나 또는 송신과 수신한다. The network connection unit 125 connects to the local area private network 130 and inputs and receives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in the matching state by th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access point control unit 122, Or transmit and receive.

근거리사설망(13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지역망(LAN : Local Area Network)이며, 액세스 포인트(120)와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기(140)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The local area network (LAN) 130 is a known local area network (LAN), and forms a network by connecting an access point 120 and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s 140 by wire.

네트워크 단말기(140)는 근거리사설망(130)과 유선으로 접속하고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며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로 음성급 신호를 송수신하고 문자 메시지 등의 데이터 신호는 터치식 입력장치 또는 별도의 키보드 장치로 입력하며 수신된 문자메시지 등의 데이터 신호는 지정된 영역에 출력하여 표시한다.The network terminal 140 is connected to the near-by private network 130 by wire, installs a call-in-call application, transmits and receives voice-grade signals to and from a microphone and a speaker, and transmits data signals such as text messages via a touch- And the data signal such as the received text message is output to the designated area and displayed.

네트워크 단말기(140)는 할당된 고유번호에 의하여 각각이 구분되는 것으로 다수로 이루어지며 노트북, 태블릿(tablet), 개인용 컴퓨터가 포함된 컴퓨터(142), 인터넷 TV(144), 인터넷에 연결된 인터폰(146)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가 네트워크 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The network terminal 140 includes a plurality of computers, each of which is divided according to an assigned unique number. The computer terminal 142 includes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computer, a personal computer, an Internet TV 144, an interphone 146 ) And the like. 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various kinds of terminals generally known can be included in a network terminal.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기(140)는 액세스 포인트(120)에서 고유번호를 할당하여 구분되며, 구분하는 방식은 액세스 포인트(120)에 적용되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엔에프시(NFC),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방식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기술은 알려져 있다.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s 140 are assigned a unique number in the access point 120 and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Wi-Fi, Bluetooth, NFC), and ZigBee (ZigBee), and these techniques are known.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에서 스마트폰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단말기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신호흐름 설명도 이다.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phone in a smartphone incoming call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ccess point in a smartphone incoming call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network.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ccess point in a smartphone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smartphone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무선랜 네트워크,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스마트폰에 의한 운용방법은 스마트폰에 의하여 착신콜 앱 프로그램을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착신콜 앱을 설치하여 운용상태로 설정한다(S1100). Hereinafter, a method for operating a smartphone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including a smart phone, an access point, a wireless LAN network, and a network terminal using a smartphon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program is stored in the allocated area and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set to the operating state (S1100).

착신콜 앱이 운용되는 스마트폰은 제 1 주파수로 무선접속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피호출에 의한 착신콜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S1200), 착신콜이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착신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므로 발신자 정보를 확인한다(S1300). 착신콜 신호에 발신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smart phone in which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is operated confirms whether a called call based on the called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ly connected to the first frequency (S1200). If it is confirmed that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the received smart call is included in the incoming call signal The caller information is extracted (S1300). Since it is already known that the call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ncoming call signal,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스마트폰은 확인된 발신자 정보를 소리, 빛, 문자, 이미지 등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력하고(S1400), 제 2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접속된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근거리사설망에 접속하고 착신콜 정보를 전송한다(S1500). The smartphone outputs the confirmed sender information using one or more of sound, light, text, images, etc. (S1400), accesses the near-by private network via the access point wirelessly connected using the second frequency, Information is transmitted (S1500).

여기서 근거리사설망은 데이터를 단순히 전송하는 수동장치(passive apparatus)이며, 데이터를 분석하고 필요한 제어와 감시하는 능동장치(active apparatus)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신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전송(전달)한다. A local private network is a passive apparatus that simply transmits data and transmits (transmits) data that is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an access point, which is an active apparatus that analyzes data and controls and monitors the data.

스마트폰에 의하여 착신콜에 응답하는 신호가 자체적으로 발생되어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고((S1600), 자체 응답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무선랜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S1700). (S1600).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elf response signal is not inputted, it is confirmed whether the corresponding response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LAN network S1700).

무선랜 또는 무선랜 네트워크는 액티브 포인트와 근거리사설망이 포함된 구성이다. A wireless LAN or wireless LAN network is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an active point and a local area network.

스마트폰은 착신콜에 대한 응답신호가 자체적으로 입력되지 않고 무선랜 네트워크로부터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종료로 진행하고, 착신콜에 대한 응답신호가 자체적으로 입력되거나 또는 무선랜 네트워크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호출한 상대방과 통신을 진행하도록 해당 통신 경로(채널)를 점유하도록 설정한다. 스마트폰은 점유된 채널을 통하여 음성 또는 문자메시지 등의 통신신호를 양방향 전송(전달)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S1800). If the response signal to the incoming call is not received from the wireless LAN network and the response signal to the incoming call is not received from the wireless LAN network, the smart phone proceeds to the end, and if the response signal to the incoming call is input or received from the wireless LAN network, And sets the communication path (channel) to occupy the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The smartphone controls and monitors the communication signal such as voice or text message through the occupied channel in both directions (S1800).

여기서 스마트폰은 자체 응답신호가 입력된 경우 음성급 신호는 자체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시켜 송수신하고 문자 메시지가 포함된 데이터 신호는 자체 구비된 소프트 또는 하드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 송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신호는 표시부에 출력하므로 표시한다. When a response signal is input, the smartphone transmits and receives a voice signal by setting its own microphone and speaker to be in an active state. The data signal including a text message is input and transmitted through a soft or hard keypad And the received data sig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한편, 스마트폰은 무선랜을 경유하여 응답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자체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 및 키패드와 표시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무선랜으로부터 제 2 주파수를 이용하여 입력된 통신신호를 제 1 주파수를 이용하여 접속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상대방에게 송신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상대방으로부터 제 1 주파수를 이용하여 수신된 통신신호는 제 2 주파수를 이용하여 접속된 무선랜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a response signal has been received via the wireless LAN, the smart phone sets a microphone, a speaker, a keypad, and a display unit, which are provided therein, to a disabled state, 1 frequency to the communication partner of the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partn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first frequency to be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wireless LAN using the second frequency Monitor.

즉, 스마트폰이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과 제 1 주파수로 접속하여 통신채널을 점유하는 동시에 액세스 포인트와는 제 2 주파수로 접속하여 통신채널을 각각 점유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된 호출자와 네트워크 단말기의 응답자 사이에 통신경로가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That is, when the smart phone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network terminal, the smart phone accesses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t the first frequency to occupy the communication channel and accesses the access point at the second frequency to occupy each communication channel, And controls and monitors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caller connected to the system and the responder of the network terminal.

한편,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근거리사설망,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운용방법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착신콜 앱 프로그램을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착신콜 앱을 설치하여 운용상태로 설정한다(S2100). On the other hand, an operation method of an access point of a smartphone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including a smart phone, an access point, a local private network, and a network terminal stores an incoming call application program in an allocated area And sets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to the operating state (S2100).

착신콜 앱이 운용되는 액세스 포인트는 제 2 주파수로 무선접속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스마트폰이 피호출된 착신콜이 발신자 정보가 포함된 착신콜 정보로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S2200), 착신콜 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근거리사설망에 접속된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중에서 동작 중인 네트워크 단말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네트워크 단말기에 수신된 착신콜 정보를 전송(전달) 한다(S2300). The access point in which the call receiving application operates checks whether the incoming call in which the smart phone is called from the smartphone wirelessly connected at the second frequency is received as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er information (S2200) If it is confirmed that the received data is received, the mobile terminal searches for an active network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s connected to the local private network, and transmits (delivers) the received incoming call information to the searched network terminal (S2300).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동작중인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착신콜에 응답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S2400). It is checked whether a response signal responding to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from any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s operating by the access point (S2400).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응답신호를 제 2 주파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에 전달(전송)한다(S2500). When it is confirmed that a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network terminal by the access point,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network terminal is transmitted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using the second frequency (S2500).

액세스 포인트는 네트워크 단말기의 응답신호를 스마트폰에 전달한 후 스마트폰과의 사이에 음성급 신호가 송신 및 수신되도록 하는 양방향 통신 경로(채널)를 할당하며(S2600) 할당된 통신경로는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유지시킨다(S2700).
The access point transmits a response signal of the network terminal to the smartphone, and then allocates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path (channe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voice grade signal to / from the smartphone (S2600) (S2700).

또 한편,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근거리사설망,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네트워크 단말기에 의한 운용방법은 네트워크 단말기에 의하여 착신콜 앱 프로그램을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착신콜 앱을 설치하여 운용상태로 설정한다(S3100). In addition,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phone incoming call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including a smart phone, an access point, a local area private network, and a network terminal is a method in which an incoming call application program is allocated And sets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to the operating state (S3100).

네트워크 단말기는 근거리사설망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TV(인터넷 텔레비전), 인터폰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근거리사설망에 접속된 네트워크 단말기는 하나 이상 다수일 수 있으며 동일하게 적용 및 동작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The network terminal is composed of any one or more of a computer, a notebook, a tablet, a TV (Internet television), and an interphone, which ar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a local private network. And a network terminal connected to the near-by private network may be one or more than one, and is equally applied and operated.

네트워크 단말기는 스마트폰을 호출한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S3200),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음성급 신호로 통신하기 위한 마이크와 스피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를 확인한다(S3300). In step S3200, the network terminal confirms whether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that calls the smartphone is received (S3200). If it is confirmed that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is received, the network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audio signal are normally operated (S3300) .

네트워크 단말기에 의하여 마이크와 스피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장애 상태 메시지를 표시하고(S3400), 착신콜 정보를 소리, 빛, 기호, 이미지 등으로 출력한다(S35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are not operated normally by the network terminal, the corresponding failure status message is displayed (S3400), and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is output as sound, light, symbol, image or the like (S3500).

네트워크 단말기는 착신콜 앱의 설치 및 운용에 의하여 지정된 응답 키(버튼)로부터 응답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고(S3600), 응답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고 출력하면서 스마트폰 호출자와 양방향 통신을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진행한다(S3700, S3800). The network terminal confirms whether a response signal is input from a response key (button) designated by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S3600). When it is confirmed that a response signal is inputted, the network terminal inputs the voice grade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And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caller is continued until the communication is completed (S3700, S3800).

여기서 응답 키(버튼)은 하드키 또는 소프트 키 일 수 있다. The response key (button) may be a hard key or a soft key.

그리고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 전체의 신호 흐름은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네트워크 단말기에서 각각 착신콜 앱을 설치 및 운용한다(ST41). In the signal flow of the smart call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the wireless LAN network,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smart phone, the access point, and the network terminal respectively (ST41).

착신콜 앱은 응용 프로그램이며 하나의 착신콜 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액세스 포인트와 네트워크 단말기를 각각 제어하고 감시하는 기능이 모두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The call-in-call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program. It explains that it has all the functions of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smartphone, the access point, and the network terminal using one incoming call application program.

착신콜 앱이 운용중인 스마트폰에 의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피호출에 의한 착신콜이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되면(ST42), 착신콜로부터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확인하고(ST43), 확인된 발신자 정보를 자체적으로 출력하는 동시에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전달)한다(ST44).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alled cal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y the smartphone in operation by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ST42), the caller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incoming call (ST43), and the confirmed caller information is checked And transmits (transfers) the data to the access point (ST44).

스마트폰은 착신콜 정보를 자체적으로 출력한 후에 스마트폰 자체의 응답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ST52)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채널을 점유하고 자체적으로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성급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통신을 진행한다(ST53). When it is confirmed that a response signal of the smartphone itself is input after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is output by the smartphone itself (ST52), the smartphone occupies the communication chann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uses the built-in microphone and speaker to transmit the voice- The communication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eds (ST53).

한편, 액세스 포인트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착신콜 정보를 수신하고 근거리사설망에 접속된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기를 검색하여 동작중인 네트워크 단말기가 있는 지를 확인하고(ST45), 동작 중인 네트워크 단말기에 착신콜 정보를 전송(전달)한다(ST46). On the other hand, the access point receives incoming call information from the smart phone, searches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s connected to the local private network to check whether there is a network terminal in operation (ST45), and transmits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to the active network terminal (ST46).

착신콜 정보를 수신한 네트워크 단말기는 착신콜 정보를 분석하여 소리, 문자, 빛, 이미지 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이 피호출된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ST47). The network terminal receiving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analyzes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and outputs the received call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called state of the smart phone us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among sound, text, light, and image (ST47).

이때, 네트워크 단말기는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가 정상 동작하는지를 확인한 후 장애가 있으면 해당 장애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At this time, the network terminal confirms whether the built-in microphone and the speaker are operating normally, and displays the fault stat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fault state.

네트워크 단말기는 착신콜 앱에 의하여 지정된 응답 키(버튼)이 선택된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응답신호를 액세스 포인트에 출력하고 액세스 포인트는 네트워크 단말기의 응답신호를 제 2 주파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에 전달(전송)한다.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ignal selected by the answer key (button) designated by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is inputted, the network terminal outputs a response signal to the access point, and the access point transmits the response signal of the network terminal to the smart phone (Transmission).

이때, 스마트폰은 착신콜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응답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설명한다. At this time, it is described that the smart phone is in a state in which the response signal itself is not inputted to the incoming call.

한편, 스마트폰은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통신채널을 점유하는 동시에 액세스 포인트에 양방향 통신채널의 점유를 요청한다(ST48). Meanwhile, the smart phone occupies the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requests the access point to occupy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hannel (ST48).

액세스 포인트는 스마트폰의 요청에 의하여 스마트폰과 응답신호를 출력한 네트워크 단말기 사이에 양방향 통신채널을 할당한다(ST49). The access point allocates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smart phone and the network terminal that outputs the response signal at the request of the smart phone (ST49).

네트워크 단말기는 제 2 주파수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스마트폰이 연결되고 제 1 주파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결된 상태로 호출자와 음성급 신호로 통신하게 된다(ST51).
The network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by using the second frequency and communicates with the caller by voice signal in a state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first frequency (ST51).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110 : 스마트폰 120 : 액세스 포인트
121 : 양방향 무선통신부 122 :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
123 : 착신콜 앱부 124 : 통신신호 처리부
125 : 네트워크 접속부 130 : 근거리사설망
140 : 네트워크 단말기 141 : 컴퓨터
144 : 인터넷 TV 146 : 인터폰
100: Call forwarding system of smartphone incoming call using wireless LAN network
110: smartphone 120: access point
121: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access point control unit
123: incoming call application unit 124: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unit
125: network connection 130: local area network
140: network terminal 141: computer
144: Internet TV 146: Interphone

Claims (7)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을 이동하면서 이동통신 시스템과 제 1 주파수로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며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무선랜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과 제 2 주파수로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며 상기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하여 무선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통신신호를 전달하는 근거리사설망; 및
상기 근거리사설망에 유선 또는 무선 접속하고 상기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며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고 할당된 고유번호에 의하여 구분되는 네트워크 단말기; 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A smart phon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by wirelessly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t a first frequency while mov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installing and operating an incoming call application, and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LAN for communication;
An access point for wirelessly connecting with the smartphone at a second frequency to transmit and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and to install and operate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A short distance private network for establishing a wireless LAN network by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access point and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signal; And
A network terminal which is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local area private network, installs and operates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transmits and receives communication signals, and is distinguished by an assigned unique number; A call forwarding system for a smartphone incoming call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 2 주파수로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양방향으로 송신과 수신하는 양방향 무선통신부;
상기 양방향 무선통신부와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제어하고 통신신호의 양방향 전송을 위한 경로 설정을 제어하며 감시하는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 앱을 설치하고 운용하는 착신콜앱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송신과 수신되는 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통신신호 처리부; 및
상기 무선랜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 정보와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ccess point
A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connecting with the smartphone at the second frequency to transmit and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in both directions;
An access point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trolling access to the network terminal when incoming call information of the smart phone is received, and controlling and monitoring path setting for bidirectional transmission of a communication signal;
An incoming call application unit for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incoming call application by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access point control unit;
A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unit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communication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access point control unit; And
A network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network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by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access point control unit; A call forwarding system for a smartphone incoming call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착신콜 정보를 수신하면 발신자 정보가 포함된 착신콜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martphone outputs and displays incoming call information including caller information upon receipt of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and delivers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to the access point using the wireless LAN network.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는 다수로 이루어지며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인터넷-TV, 인터폰이 포함되고 음성급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마이크와 스피커가 구비되며 문자메시지가 포함된 데이터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키패드와 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주파수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엔에프시(NFC),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에 할당된 무선 주파수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network terminal includes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s, and includes a microphone, a speaker, a computer, a notebook, a tablet, an Internet-TV, and an interphone, and transmits and receives voice signals. A display unit is provided,
Wherein the second frequency is one or more of a radio frequency assigned to a Wi-Fi, Bluetooth, NFC, ZigBee communication scheme, Call forwarding system of smartphone incoming call using.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근거리사설망,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피호출에 의한 착신콜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11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착신콜이 수신되면 확인된 발신자 정보가 포함된 착신콜 정보를 출력하는 제 12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 접속된 상기 근거리사설망에 상기 착신콜 정보를 전송하는 제 13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에 응답하는 신호가 자체적으로 입력되는지 또는 상기 근거리사설망으로부터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14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에 응답하는 신호가 자체 또는 근거리사설망으로부터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통신경로를 점유하도록 설정시켜 통신신호를 양방향 전송하는 제 15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call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including a smart phone, an access point, a local private network, and a network terminal,
An eleventh step of installing and operating an incoming call application by the smartphone and checking whether a called cal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outputting the called call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firmed caller information when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by the smartphone;
(C) transmitting the called call information to the local area network connected via the access point by the smartphone;
(14) confirming whether a signal responding to the incoming call is input by the smartphone itself or is received from the local area private network; And
(B)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signal in a bi-directional manner by setting the communication path to be occupied if it is confirmed by the smart phone that a signal responding to the incoming call is inputted from the self or a local private network;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mart call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the wireless LAN network.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근거리사설망,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21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면 동작 중인 것으로 확인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상기 착신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호출에 응답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22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폰에 전달하고 통신완료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양방향 통신경로를 할당하는 제 23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call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including a smart phone, an access point, a local private network, and a network terminal,
(21) installing and operating an incoming call application by the access point and confirming that incoming cal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A step 22 of transmitting the called call information to the network terminal which is confirmed to be operating when the called call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access point and checking whether a response signal for responding to the call is received from the network terminal; And
And (b) if the access point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network terminal,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to the smartphone and allocating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path until a communication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mart call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the wireless LAN network.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근거리사설망,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의하여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상기 스마트폰이 전송한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31 단계;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의하여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면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가 정상동작하는지 확인하고 정상동작하지 않으면 장애상태를 표시하며 수신된 착신콜 정보를 출력하는 제 32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의하여 지정된 응답키의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활성화 구동시켜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양방향 통신을 진행하는 제 33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call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a wireless LAN network including a smart phone, an access point, a local private network, and a network terminal,
31.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3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a) establishing an incoming call application by the network terminal and confirming whether incoming call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mart phone is received;
32. The method of claim 30,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f the received call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network terminal, checking whether the provided microphone and speaker are operating normally, And
(B) confirming that a signal of a response key designated by the network terminal is inputted; and (b) perform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til the communication is completed by activating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mart call incoming call forwarding system using the wireless LAN network.


KR1020130085475A 2013-07-19 2013-07-19 System of communication in wireless-LAN network with pick-up for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5859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475A KR101585938B1 (en) 2013-07-19 2013-07-19 System of communication in wireless-LAN network with pick-up for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475A KR101585938B1 (en) 2013-07-19 2013-07-19 System of communication in wireless-LAN network with pick-up for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440A true KR20150010440A (en) 2015-01-28
KR101585938B1 KR101585938B1 (en) 2016-01-22

Family

ID=5248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475A KR101585938B1 (en) 2013-07-19 2013-07-19 System of communication in wireless-LAN network with pick-up for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9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305B1 (en) * 2019-07-22 2019-09-06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external call using interpho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367A (en) * 2001-05-07 2004-03-03 아이엑스아이 모바일 인코포레이티드 A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a managed wireless network using short-range radio signals
KR20070039642A (en) 2005-10-10 2007-04-13 주식회사 팬택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call pick up service using home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evice
KR20120050245A (en) * 2010-11-10 2012-05-18 하나 마이크론(주)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phone based compu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367A (en) * 2001-05-07 2004-03-03 아이엑스아이 모바일 인코포레이티드 A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a managed wireless network using short-range radio signals
KR20070039642A (en) 2005-10-10 2007-04-13 주식회사 팬택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call pick up service using home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evice
KR20120050245A (en) * 2010-11-10 2012-05-18 하나 마이크론(주)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phone based compu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305B1 (en) * 2019-07-22 2019-09-06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external call using inter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938B1 (en) 201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6818B2 (en) Optimizing placement of a wireless range extender
CN106464303B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US20170181006A1 (en) Optimizing placement of a wireless range extender
KR101399292B1 (en)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and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server thereof
CN104301857A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US20100099435A1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dependent services to terminals of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4301456A (en) Call transfer method, wearing device and terminals
KR101190658B1 (en) Customer service system based o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JP5656925B2 (en) Network converter
KR10072247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ccess point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20130120213A (en) A method of setting up value-added service for a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telecommunication device therefor
KR101585938B1 (en) System of communication in wireless-LAN network with pick-up for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1557102A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13239907A (en) Network conversion device
KR101901717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text message in multi sim mobile terminal
CN103987073A (en) Control method based on wireless protocol extension
KR20070108683A (en) Wired telephone,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call forwarding by using local area network
KR101632627B1 (en) Communication terminal for automatic setting of local area network
CN103699864A (en) Selec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card non-contact communication technology
CN103517217A (en) Method and corresponding terminal for carrying out service control over trunking terminal
KR20140032143A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l area mvoip communication using wireless fidelity
KR102019305B1 (en) Method and device for external call using interphone
KR201100336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KR102233688B1 (en) Converged Home Service System, Mobile and Converged Home Service Method therefor
KR20020093363A (en) Communication method for smartphone equipped wireless lan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