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436A -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 - Google Patents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436A
KR20150010436A KR1020130085466A KR20130085466A KR20150010436A KR 20150010436 A KR20150010436 A KR 20150010436A KR 1020130085466 A KR1020130085466 A KR 1020130085466A KR 20130085466 A KR20130085466 A KR 20130085466A KR 20150010436 A KR20150010436 A KR 20150010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group
message group
user inp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900B1 (ko
Inventor
정진홍
김건수
김한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900B1/ko
Priority to CN201480040758.6A priority patent/CN105706428B/zh
Priority to US14/904,550 priority patent/US10742573B2/en
Priority to PCT/KR2014/006546 priority patent/WO2015009103A1/en
Priority to EP14825683.7A priority patent/EP3022848B1/en
Publication of KR2015001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06Arrangements for sorting, selecting, merging, or comparing data on individual record carriers
    • G06F7/08Sorting, i.e. grouping record carriers in numerical or other ordered sequenc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t least some of the information they car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가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사용자 기기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제 1 속성으로 제공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제 2 속성으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METHOD OF PROVIDING MESSAGE AND USER EQUIPMENT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PC 또는 모바일 사용자 기기의 대화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신저 등의 메시지 기반의 대화 기능 운용 중에 메시지를 그룹핑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기기는 메시지 송수신시 송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최근 스마트폰에서는 개별 메시지를 데이터화 하여 저장 및 복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송수신 메시지를 날짜를 기반으로 하여 그 영역을 구분하여 메시지 송수신 시간 및 날짜를 쉽게 알려 주기도 하며 각 메시지의 송수신 시간을 표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 기기의 대화창에 나타난 메시지들을 그룹핑하고, 신규로 생성되는 메시지가 자동으로 그룹핑되도록 제어하고, 대화창에 나타난 메시지를 강조하고, 대화 내용을 저장하여 대화 참여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기기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제 1 속성으로 제공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제 2 속성으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공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제 1 속성으로 제공하는 표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가 감지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제 2 속성으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시지들을 그룹핑함으로써 메시지들의 관리 및 검색을 하기 위한 메뉴 조작 동작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그룹핑된 대화 내용들을 직관적으로 표시하고 관리하여 사용자의 메시지 검색을 위한 메뉴 조작 동작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그룹핑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메시지 그룹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메시지 그룹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메시지 그룹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메시지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를 전송하면서 메시지를 강조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그룹 생성 동작에서 표시부에 나타난 메시지 간의 간격 조정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언폴딩 상태에서의 메시지 그룹 표시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미리 보기 아이템을 표시, 등록, 선택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언폴딩 상태에서 미리 보기 아이템의 선택에 따른 일 영역 표시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경우의 언폴딩 상태의 메시지 그룹 표시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 상태에서의 메시지 그룹 표시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 상태에서 미리 보기 아이템의 선택에 따른 일 영역 표시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메시지 그룹을 표시한 표시부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그룹 분리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그룹 결합을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그룹에 메시지를 포함시키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그룹으로부터 메시지를 제외시키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그룹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그룹의 삭제를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그룹의 중요도에 따른 메시지 그룹의 배열 순서 변경을 도시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그룹의 생성과 동시에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을 활성화한 경우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도시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의 메시지 그룹의 표시를 도시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그룹의 저장 및 전송 동작을 도시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그룹의 저장 및 전송에 대한 화면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에서 일부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포함하는"은 다른 요소들 또는 동작들을 배제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단수 명사는 달리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다면 복수 명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시지”는 하나의 메시지를 가리킬 수도 있고 2 이상의 메시지를 가리킬 수도 있다.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제1, 제2, 제3” 등은 유사한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반드시 순차적 또는 연대순으로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렇게 사용된 용어들은 적절한 상태에 따라 교체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 또는 도시된 시퀀스와는 다른 시퀀스들로 동작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컨텐츠를 표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로써, 예를 들면, 태블릿(Tablet)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용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 액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메시지”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메시지는 사용자 기기의 표시부에서 일정 공간을 차지한다. 메시지가 차지하는 공간에 대한 경계선은 직사각형 또는 말풍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계선은 두께를 가지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색깔, 재질, 음영 등에 의해 메시지의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구별할 수 있으면 족하다. 텍스트만 포함하는 메시지를 텍스트 메시지, 이미지만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미지 메시지, 동영상만 포함하는 메시지를 동영상 메시지라 정의한다. 메시지가 동영상을 포함할 경우 화면상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은 동영상의 미리보기 이미지만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가 음성을 포함할 경우 화면상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은 해당 음성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해당 음성의 재생 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메시지 그룹”은 경계 표시의 일종으로서, 메시지 그룹이 형성하는 경계선은 두께를 가지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색깔, 재질, 음영 등에 의해 메시지 그룹의 내부와 외부를 구별할 수 있으면 족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메시지 그룹에 포함된 메시지”란 화면 상에서 메시지 그룹이 형성하는 경계의 내부에 위치한 메시지를 의미한다. 상기 메시지의 속성에 따라, 상기 메시지 그룹에 속하거나 속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메시지의 속성(attribute)”은, 메시지가 화면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모양 또는 크기,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의 크기, 색, 굵기, 투명도 또는 서체, 메시지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크기, 메시지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가로 세로 비율 또는 투명도, 메시지의 배경부분의 색, 밝기 또는 투명도, 메시지의 윤곽선의 유무,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었는지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메시지의 제1 속성”은, 메시지 표시를 위한 입력 신호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디폴트(default) 속성을 의미하며, 이는 사용자 기기 별로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메시지를 강조하여 제공"하는 것은 메시지의 속성 중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제1 속성과 다르게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를 둘러싸고 있는 말풍선 등의 윤곽 표시를 투명하게 하는 것이 메시지를 강조하여 제공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이 상술한 예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구성들의 형태 변경이나, 추가적인 기능들까지도 포함하는 형태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서, 일부 요소들의 크기는 예시를 위해 확대될 수 있으며, 크기에 비례하여 도시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기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및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영상이나 메시지 등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대화 기능 운용을 위한 메시지 서비스 채널 형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서비스 채널은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 등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서비스 채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 채널은 대화 기능 운용을 위한 메시지를 타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는 채널과 타 사용자 기기가 전송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채널은 서로 다른 주파수 채널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 주파수 채널이 이용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대화 기능 운용 중에 메시지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메시지 그룹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메시지 그룹을 다른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거나, 다른 사용자 기기에 전송 요청을 전송하여 이를 수신한 사용자 기기로부터 메시지 그룹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메시지 그룹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지시한 적어도 하나의 타 사용자 기기 주소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주소 정보는 사전에 등록되어 관리되거나 신규 요청 및 사용자 승인에 따라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터치 패널(121), 키보드(122), 움직임 감지부(123), 마이크(1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터치 패널(121)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 키보드(122)에서 발생하는 키 신호, 움직임 감지부(123)에서 발생하는 감지 신호 또는 마이크(124)에서 발생하는 음성 신호를 감지하고 이들을 제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터치 패널(121)은 표시 패널(131)의 상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널(121)은 감압 방식 또는 정전 방식으로 손가락의 접촉에 따라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터치 위치 정보 또는 터치 입력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패널에 입력 도구를 접촉하지 않고 근접한 거리에 접근시킨 상태를 호버링(hovering)이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패널(121)은 입력 도구의 직접 접촉이 아니라 호버링 상태에서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호버링을 위한 입력 도구는 스타일레스 펜 또는 손가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패널(121)은 메시지 기반의 대화 기능 운용 중에 다양한 영역에 대한 터치 유효 영역 처리를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터치 입력 신호 생성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121)은 대화 기능 운용 중 메시지 작성기에 포함된 다수의 문자에 대하여 각각 위치 할당과 유효 영역 할당을 수행하여 사용자 터치에 따른 메시지 작성을 지원한다. 또한 터치 패널(121)은 메시지 그룹의 생성과 관리 및 검색에 관련된 다양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터치 패널(121)이 감지하는 대화 기능 운용을 위한 다양한 터치 입력 신호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화면 예시도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키보드(122)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23)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기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정보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사용자 기기(100)의 움직임은 사용자 기기(100)의 직선방향의 움직임, 사용자 기기(100)의 회전방향의 움직임, 사용자 기기(100)의 흔듦, 사용자의 눈의 움직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23)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속도 센서, 중력 센서, 기울기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24)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음성 패턴(143) 중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음성과 일치하는 것이 있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것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밖에도 입력부(120)는 사용자 기기(100)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수단으로서, 버튼, 마우스, 리모콘, 조그 휠 또는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기기(100)의 메시지 제공에 관련된 다양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메시지 기반의 대화 기능 운용을 지원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선택 및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 대화 기능 운용 중 메시지 작성을 위한 입력 신호,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송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입력 신호, 생성된 메시지 그룹의 분할, 메시지 그룹들의 통합, 위치 이동, 정렬을 위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메시지 그룹 검색을 위한 입력 신호, 특정 메시지 그룹 선택 및 열람을 위한 입력 신호, 메시지 그룹을 다른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기 위한 입력 신호, 메시지 그룹들을 빠르게 또는 전체 화면으로 검색하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표시 패널(131) 또는 스피커(132)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100)의 표시 패널(131)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31)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31)은 터치 패널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이 표시 패널(131) 상에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31)은 사용자 기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컨대 표시 패널(131)은 사용자 기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면 상에는 메시지뿐만 아니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이미지, 포인터 이미지, 객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21)은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쿼티 키맵, DVORAK 키맵, 3*4 키맵, 4*3 키맵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31)은 대화 기능 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31)은 메시지 기반의 대화 기능 운용 중 메시지를 표시하는 화면,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화면, 메시지 수신 화면, 메시지 그룹이 생성되는 화면, 메시지 그룹이 표시되는 화면, 메시지 그룹의 미리 보기 아이템 화면, 메시지 그룹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들이 배치된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31)은 생성된 메시지 그룹의 분할을 지원하는 화면, 메시지 그룹들의 통합을 지원하는 화면, 메시지 그룹의 위치 이동을 지원하는 화면, 메시지 그룹을 정렬하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 패널(131)은 메시지 그룹의 일 영역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미리 보기 아이템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31)은 새로운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메시지 입력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32)는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32)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대화 기능 운용 중에 메시지 송신 또는 수신을 알리는 효과음, 메시지 선택 또는 강조에 따른 효과음, 메시지 그룹 생성 또는 분리에 따른 효과음, 미리 보기 아이템에 따른 선택음,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 선택 또는 해제에 따른 효과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32)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메시지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도 지원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캐시메모리, D램, S램, 플래쉬메모리, 자기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광디스크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메시지 제공에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표시 패널(131)에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140)는 메시지 대화 기능을 가지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141), 대화 기능 운용을 위한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142), 음성 패턴(143) 및 움직임 패턴(144)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어플리케이션(141)은 메시지 그룹의 생성과 표시, 관리, 저장, 송수신 및 검색 등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메시지 어플리케이션(141)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또는 사용자 기기(100) 설정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으며, 활성화된 이후 메시지의 작성 또는 수신된 메시지의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어플리케이션(141)은 입력되는 신호 예를 들면, 터치 입력 신호에 따라 일정 개수의 메시지들을 메시지 그룹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 그룹 및 이에 부수하는 표시 정보를 표시부(13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생성된 메시지 그룹에 부수하는 표시 정보는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 메시지 그룹에 포함된 메시지에 대한 송수신 시간 정보, 메시지 그룹의 중요도 정보 또는 메시지 그룹의 화면 표시 빈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141)의 활성화 후 발생한 모든 메시지가 표시부(130)에 출력되지 않고 일부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되지 않은 부분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예를 들면, 스크롤 입력에 따라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141)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시지 그룹의 분할이나 메시지 그룹의 결합, 메시지 그룹의 위치 조정 및 정렬을 할 수 있다.
메시지 데이터베이스(142)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141) 운용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메시지, 메시지 그룹 그리고 메시지 그룹에 부수하는 표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베이스(142)는 메시지 그룹의 생성, 분할, 결합, 송수신 또는 검색에 관련된 정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음성 패턴(143)은 메시지 그룹의 생성과 표시, 관리 및 검색 등에 관련된 음성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음성 패턴(143)은 음소, 단어 또는 문장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음성 패턴(143)은 국적, 지역, 나이 및 성별 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구분될 수 있으며, 사용자와 유사한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음성데이터와 비교될 수 있다.
움직임 패턴(144)은 메시지 그룹의 생성과 표시, 관리 및 검색 등에 관련된 움직임 패턴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움직임 패턴(144)은 사용자 기기(100)의 직선방향의 움직임, 사용자 기기(100)의 회전방향의 움직임, 사용자 기기(100)의 진동, 터치패널(121)에서의 터치, 터치패널(121)에서의 드래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패턴(144)은 사용자 기기(100)의 제조 시에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 또는 삭제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디지털 신호처리부(DSP)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기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사용자 기기(100)의 대화 기능 운용 지원을 위한 다양한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입력부(120)가 감지한 메시지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표시부(130)에 표시한 메시지를 제2 속성으로 제공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터치패널(121) 또는 움직임 감지부(123)에 의해 측정된 터치, 드래그 또는 사용자 기기(100)의 움직임이 저장부(140)에 저장된 움직임 패턴(144)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마이크(124)에 의해 측정된 소리를 저장부(143) 음성 패턴(143)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그룹핑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표시부(130)는 메시지 기반의 대화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제1 속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S210). 메시지를 제1 속성으로 제공하는 것은, 예를 들어, 메시지를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상태에서 검정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메시지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을 포함하는 메시지의 경우, 동영상을 스트림하는 것을 표시하거나 동영상의 미리 보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동영상의 미리 보기 이미지를 표시한 상태에서 동영상의 미리 보기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이 발생하면 동영상을 스트림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에 제1 속성으로 제공된 메시지 중에서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부(12)를 통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20). 상기 사용자 입력은 키보드, 버튼, 드래그, 제스처, 음성, 호버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감지된 사용자 입력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적어도 제1 사용자 입력 또는 제2 사용자 입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의 정보는 입력의 강도, 입력의 방향, 입력의 세기, 입력의 위치, 입력의 수, 입력의 종류, 입력의 속도, 입력의 거리, 입력의 호버링 여부, 또는 입력의 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메시지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제2 속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속성은 메시지 타입, 메시지 내용, 표시 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를 제2 속성으로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적어도 일부 메시지를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하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적어도 일부 메시지를 강조하여 제공하는 동작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를 제2 속성으로 제공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적어도 일부 메시지를 메시지 그룹에 포함한 상태에서 붉은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를 제2 속성으로 제공하는 것은 메시지가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를 도안화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텍스트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를 제2 속성으로 제공하는 것은 메시지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경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테두리를 붉은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를 제2 속성으로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적어도 일부 메시지의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속성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일부 메시지의 정보는 메시지 타입, 메시지 내용 또는 제1 속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일부 메시지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경우와 텍스트만 포함하는 경우에 메시지 그룹의 표시 방법을 서로 다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가 메시지 그룹을 생성하기 위하여 메시지 그룹에 포함될 메시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제1 사용자 입력이라 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부(12)를 통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30). 제어부(15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사용자 입력인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 메시지를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S250). 제1 사용자 입력은 선택한 메시지를 터치패널(121)을 통하여 드래그 또는 호버링하는 입력, 키보드를 통한 선택 입력, 마이크(124)를 통한 음성 입력 또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기기의 움직임 입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를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일부 메시지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메시지 그룹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일부 메시지 중의 일부를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 사용하거나, 상기 적어도 일부 메시지 중의 일부에 대한 송수신 시간 정보를 메시지 그룹을 표시하면서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를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하는 동작은, 새로운 메시지가 획득되는 경우에는, 상기 새로운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적어도 일부 메시지를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한 후에, 사용자가 메시지를 새로 입력하여 송신하거나 다른 사용자 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새롭게 송수신된 메시지가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새로운 메시지가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메시지를 강조하여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제2 사용자 입력이라 정의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이 제1 사용자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이 제2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40). 제어부(15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2 사용자 입력인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 메시지를 강조하여 제공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S260). 제2 사용자 입력은 선택한 메시지를 터치패널(121)을 통하여 드래그 또는 호버링하는 입력, 키보드(122)를 통한 선택 입력, 움직임 감지부(123)을 통한 움직임 입력 또는 마이크(124)를 통한 음성 입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입력은 세로 방향의 드래그 입력에 해당하고 제2 사용자 입력은 가로 방향의 드래그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입력과 제2 사용자 입력은 표시부(130)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에 대한 터치 입력 및 마이크(124)를 통한 음성 입력 또는 움직임 감지부(123)를 통한 움직임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한 후에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 제2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제2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한 후에 제2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감지된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은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메시지 중에서 일부를 강조하여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메시지 그룹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제1 사용자 입력이 드래그에 의해 메시지를 선택하는 경우, 이러한 드래그를 제1 드래그라고 정의한다. 제1 드래그가 시작되는 지점에 위치한 메시지를 제1 메시지라 정의하고, 제1 드래그가 종료되는 지점에 위치한 메시지를 제2 메시지라 정의한다. 드래그가 종료되는 지점에 메시지가 없는 경우에는 드래그가 종료되는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메시지가 제2 메시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드래그가 시작되는 지점이 복수개인 경우 제1 메시지는 복수개의 메시지를 지칭할 수 있다. 제1 드래그가 종료되는 지점이 복수개인 경우 제2 메시지는 복수개의 메시지를 지칭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이 드래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시지 중에서 양단에 위치한 메시지를 각각 지칭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사이에서의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별도의 제2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제1 메시지 또는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강조하여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기반의 대화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표시부(130)는 다른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받은 메시지 및 다른 사용자 기기에 송신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 기반의 대화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5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하는 메시지 기반의 대화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에 따라 표시부(130)에 표시된 4개의 메시지(301, 302, 303, 304)를 하나의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하는 동작에 대한 것이다.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는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 사용하려 하거나 가장 상위에 위치하기를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선택하는 것은 단일 터치, 멀티 터치, 일정시간 이상의 터치 또는 메시지 안에 있는 특정 영역의 터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는 메시지 그룹을 대표하거나 메시지 그룹의 내용을 나타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도 3의 (b)에서는 터치 패널(121)을 통해 메시지(301)를 터치하여 선택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는 터치 패널(121)을 통해 선택한 메시지를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드래그가 시작되면 생성하려는 메시지 그룹을 표시하도록 터치패널(121)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드래그에 대응하여 메시지 그룹의 크기가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1 드래그가 시작되면 별도의 입력이 없이도 선택된 메시지가 자동으로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터치패널(12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별도의 제2 사용자 입력에 의해 메시지가 강조되어 표시되는 것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어떤 예에서는, 선택된 메시지가 별도의 윤곽, 예를 들어 말풍선 형태의 윤곽을 갖는 경우에 선택된 메시지에 대한 드래그가 시작되면 상기 윤곽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의 (c)에서는 메시지(301)에서 제1 드래그가 시작함에 따라, 메시지(301)가 강조되어 표시되고 메시지(301)에 대한 말풍선 윤곽이 제거된 것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강조되고 윤곽이 제거되어 표시됨에 따라, 메시지(301)가 생성된 메시지 그룹(310)의 제목 정보로서 표시될 수 있다.
메시지 기반의 대화 기능 수행 시에 표시부(130)는 메시지 입력 영역(311)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1 드래그가 시작되면 메시지 입력 영역(311)이 편집에 관한 메뉴를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집에 관한 메뉴는 화면 이동을 위한 버튼(321, 322, 323, 3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d)는 제1 드래그가 메시지(304)가 있는 지점에서 종료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3의 (d)에서는 메시지(304)를 제2 메시지로 하는 경우의 드래그 종료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어부(150)는 제1 드래그가 종료되면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그리고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사이에 있는 모든 메시지를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메시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의 (e)에서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메시지들(301, 302, 303, 304)을 포함하는 메시지 그룹(310)을 생성하여 표시한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표시된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다른 메시지로 교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메시지 그룹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4의 (a)에서는 메시지(401)와 메시지(404)를 멀티 터치하여 선택한 후 선택한 메시지들을 드래그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드래그가 시작되는 지점에 위치한 메시지(401)과 메시지(404)가 모두 제1 메시지에 해당한다.
도 4의 (b)에서는 메시지(403)에서 제1 드래그가 종료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메시지(403)이 제2 메시지에 해당한다. 메시지(403)에서 드래그가 종료되면 도 4의 (c)와 같이 메시지 그룹(410)이 생성되어 표시된다. 도 4의 (b)에서는 제1 드래그가 종료되기 전에는 메시지 그룹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드래그에 대응하여 두 개의 메시지 그룹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의 (c)에서는 제1 사용자 입력의 종료에 따라 제1 메시지 중에서 상면에 위치한 메시지(401)가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서 표시된 것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메시지(403)가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드래그 시작 또는 종료 시에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 표시되는 메시지가 강조되어 표시되거나 메시지의 윤곽이 제거되어 표시될 수 있고, 표시된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다른 메시지로 교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메시지 그룹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5에서는 제1 드래그가 시작되는 지점에 위치한 메시지(502)가 제1 메시지에 해당한다. 도 5의 (a)에서는 메시지(502)를 멀티 터치하여 선택하고 두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제1 드래그에 대응하여 메시지 그룹이 양방향으로 커지는 것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메시지(501)과 메시지(504)가 제2 메시지에 해당한다. 도 5의 (b)에서는 메시지(501)과 메시지(504)에서 제1 드래그가 종료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메시지(501)과 메시지(504)에서 드래그가 종료되면 도 5의 (c)와 같이 메시지 그룹(510)이 생성되어 표시된다.
도 5의 (d)에서는 제2 메시지 중의 하나인 메시지(501)가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서 표시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어떤 예에서는, 도 5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메시지(502)가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드래그 시작 또는 종료시에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 표시되는 메시지가 강조되어 표시되거나 메시지의 윤곽이 제거되어 표시될 수 있고, 표시된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다른 메시지로 교체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메시지의 정보에 기반하여, 메시지의 타입 또는 메시지의 내용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Good”이라는 텍스트를 가지는 메시지를, “Good”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메시지로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두 개의 메시지에 대한 멀티 터치 상태에서의 핀치 줌 아웃을 제1 사용자 입력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두 개의 메시지를 터치에 의해 선택한 후 사용자 기기(100)를 흔드는 것을 제1 사용자 입력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메시지를 터치에 의해 선택한 후 호버링 상태에서 다른 메시지가 있는 지점으로 이동한 후 상기 다른 메시지를 터치하는 것을 제1 사용자 입력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어떤 예에서는, 메시지 그룹을 생성하는 동작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스쳐 입력 또는 버튼 입력을 통해서 제1 메시지 또는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메시지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메시지 그룹 생성 중에 제2 사용자 입력이 없이 메시지를 강조하여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어떤 예에서는, 제2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메시지를 강조하여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를 강조하여 제공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601)를 터치하여 강조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은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한 메시지를 어느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이 제1 드래그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드래그는 제1 드래그와 방향이 다르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6의 (b)에서는 제2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드래그가 우측 방향의 드래그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메시지의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 메시지가 강조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의 (c)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시지가 강조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는 제2 사용자 입력이 드래그를 포함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강조하려는 메시지를 일정시간 이상 터치하거나 강조하려는 메시지를 2회 터치하는 것이 제2 사용자 입력인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강조하려는 메시지 근방에서 입력도구를 호버링한 상태에서 입력도구를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2 사용자 입력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메시지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6의 텍스트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메시지를 강조하여 표시한다.
어떤 예에서는, 강조된 메시지는 메시지 강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시지 강조를 해제할 수 있다. 메시지 강조 해제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한 메시지 강조 해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c)에서 강조된 메시지(601)를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것을 메시지 강조 해제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메시지 강조 해제 입력은 제2 사용자 입력과 동일한 입력인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메시지 강조 해제 이벤트는 메시지 그룹의 해체 시에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 사용된 메시지에 대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은 메시지 그룹 생성 중에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메시지 그룹의 생성에 관계없이 표시부(130)에 표시된 메시지를 강조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할 경우에 작성된 메시지를 강조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를 전송하면서 메시지를 강조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8의 (a)에서는, 메시지 입력 영역(810)에 강조하고자 하는 메시지 “Hello”를 입력한 후에 전송 버튼(820)을 터치하는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b)에서는, 전송 버튼(820)을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여 전송 버튼에 옵션 메뉴가 표시되는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b)에서 표시된 옵션 메뉴는 강조 기능 버튼(830) 및 복사 기능 버튼(840)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옵션 메뉴가 다른 기능 버튼도 함께 포함하거나 강조 기능 버튼만 표시될 수도 있다. 도 8의 (c)는 강조 기능 버튼(830)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강조한 형태로 전송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Hello”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그룹 생성 동작에서 표시부에 나타난 메시지 간의 간격 조정을 도시한다.
제1 드래그가 종료되기 전에 생성중인 메시지 그룹을 표시하는 경우, 제1 드래그에 대응하여 메시지 그룹의 크기가 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메시지 중에서 메시지 그룹에 가장 가까운 메시지와 메시지 그룹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도록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메시지들의 위치가 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그룹에 포함된 인접 메시지 간의 거리는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인접 메시지 간의 거리보다 가깝도록 메시지들의 위치가 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30)는 2이상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경우 인접 메시지 간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메시지가 강조된 경우에도 강조된 메시지와 인접한 메시지간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드래그에 따라 메시지가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면, 포함된 메시지 간의 간격은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메시지 간의 간격보다 좁은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인접 메시지 그룹 간의 거리 또는 메시지 그룹과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인접 메시지간의 거리는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인접 메시지 간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메시지간 간격 조정 시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그룹에 포함된 인접 메시지 간의 간격을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메시지 간의 간격보다 좁도록 조정할 때에 메시지 그룹에 포함된 인접 메시지 간에 만유인력의 법칙이 작용하는 듯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30)에서 새로운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메시지 입력 영역(311)을 표시하는 것을 입력 모드라 정의한다. 이와는 달리, 메시지 그룹에 부수하는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열람 모드라 정의한다. 입력 모드와 열람 모드를 구별하는 것은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며, 구현 예에 따라 입력 모드와 열람 모드를 구별하지 않고, 메시지 입력 영역과 부가적인 정보를 함께 표시하거나 둘 다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 모드와 열람 모드를 구별하는 경우, 미리 설정한 조건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미리 설정한 조건에 따라 모드가 변경되는 것은, 입력 모드에서 메시지 그룹을 생성하는 경우 특정 시간의 경과 후 자동으로 열람 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설정한 조건 또는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메시지 그룹 내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수 또는 메시지 그룹이 표시되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 중에서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 사용되는 메시지 외의 메시지를 화면상에 표시한 상태를 언폴딩(unfolding) 상태, 표시하지 않은 상태를 폴딩(folding) 상태라고 정의한다. 메시지 그룹을 언폴딩 상태 또는 폴딩 상태로 표시부(130)에 제공하는 것은 미리 설정한 조건 또는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서는 언폴딩 상태의 메시지 그룹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는 폴딩 상태의 메시지 그룹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언폴딩 상태에서의 메시지 그룹 표시에 대하여 도시한다.
이는 열람 모드 하에서의 표시에 해당하지만, 열람 모드가 아닌 경우에도 언폴딩 상태의 메시지 그룹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서 메시지 그룹에 부수하는 표시 정보, 예를 들어 메시지의 송수신 시간 정보(1030), 메시지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식별자(1040), 미리 보기 아이템(1060)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10에서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1010)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는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다른 메시지들(1020)과 별개로 표시하였다. 메시지 그룹을 표시하는 것은 도 10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10에 도시된 아이템 중 일부만 표시하거나 메시지만 표시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아이템을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메시지 그룹에 부수하는 각각의 표시 정보의 위치와 형태는 도 10에 도시한 것과 다를 수 있다.
제어부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메시지 그룹의 크기가 일정 크기를 넘지 못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30)가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를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스크롤 기능을 사용하여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모든 메시지를 열람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표시부(130)가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 중에서 일부만 표시하는 경우, 표시부(130)가 디폴트로 표시하는 메시지는 가장 최근에 송수신된 메시지, 가장 최초로 송수신된 메시지,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열람한 메시지, 사용자가 가장 자주 열람하는 메시지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송수신 시간(1030)을 표시하는 것은 각각의 메시지의 송신시간 또는 수신시간을 모두 표시하거나, 최초 또는 최후에 송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의 송신시간 또는 수신시간을 대표로서 표시하거나, 최초 송수신시간과 최후 송수신시간의 시간차를 표시하는 것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메시지를 열람하는 당일에 송수신되지 않은 메시지의 송수신시간을 표시할 경우 년월일을 함께 표시하거나 년월일만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식별자(1040)는 메시지 그룹의 중요도 정보 또는 메시지 그룹의 화면 표시 빈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메시지 그룹의 중요도 정보 또는 메시지 그룹의 화면 표시 빈도 정보는 메시지 그룹의 배경색 또는 재질(1050)을 통해 나타낼 수도 있다. 예컨대, 식별자의 색깔 또는 모양이나 메시지 그룹의 배경색 또는 재질은 디폴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메시지 그룹의 중요도 또는 메시지 그룹의 접근 빈도에 따라 식별자의 색깔 또는 모양이나 메시지 그룹의 배경색 또는 재질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미리 보기 아이템(1060)은 메시지 그룹 내부의 일 영역에 대한 미리 보기를 표시하는 아이템이다. 사용자가 미리 보기 아이템을 선택하면 표시부(130)는 선택된 미리 보기 아이템에 대응되는 특정 메시지 또는 대응되는 특정 메시지 그룹을 포함하는 일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열람 모드에서 미리 보기 아이템을 표시하는 것을 디폴트로 설정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메시지 그룹 생성중이거나 메시지 자동 포함 모드인 경우 미리 보기 아이템을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미리 보기 아이템의 개수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0의 경우 표시부(130)에 5개의 미리 보기 아이템을 표시하고 있다. 표시되지 않은 미리 보기 아이템은 스크롤 기능에 의해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미리 보기 아이템이 표시된 경우 미리 보기 아이템의 배열 순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미리 보기 아이템을 표시, 등록, 선택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S1110). 제어부(150)는 메시지 그룹의 일 영역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아이템의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20). 미리 보기 아이템의 표시 이벤트는 미리 보기 아이템의 표시 입력, 미리 보기 아이템의 등록 입력, 열람 모드로의 모드 전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미리 보기 아이템의 표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0)를 통해 메시지 그룹의 일 영역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아이템을 제공한다(S1130).
제어부(150)는 미리 보기 아이템의 등록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40). 이 경우 미리 보기 아이템을 등록하는 입력 동작은 미리 보기 아이템에 대응시킬 메시지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표시부(130)가 메시지 그룹 내부에 있는 메시지 중의 일부를 포함하는 새로운 메시지 그룹을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12의 (c)에서 메시지 그룹이 메시지 그룹을 포함하는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메시지 그룹이 메시지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메시지 그룹에 포함된 메시지 그룹에 대하여 미리 보기 아이템을 등록할 수 있다. 미리 보기 아이템의 등록 입력은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뿐만 아니라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 그룹에 대응시켜서도 할 수 있다. 미리 보기 아이템의 등록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0)는 새로 등록된 미리 보기 아이템을 포함하여 미리 보기 아이템을 제공한다(S1150).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에 제공된 미리 보기 아이템에 입력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60). 제어부(150)는 입력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이 감지된 미리 보기 아이템에 대응되는 메시지 그룹의 일 영역을 메시지 그룹 내에 또는 팝업창에 표시한다(S1170).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가 미리 보기 아이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한 미리 보기 아이템에 대응되는 특정 메시지 또는 특정 메시지 그룹을 포함하는 메시지 그룹의 일 영역이 표시부(130)에 표시된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언폴딩 상태에서 미리 보기 아이템의 선택에 따른 일 영역 표시를 도시한다.
도 12의 (a)에서, 표시부(130)에 표시된 미리 보기 아이템 중의 하나(1210)를 터치하여 선택하는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12의 (b)는 미리 보기 아이템 중의 하나(1210)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미리 보기 아이템(1210)에 대응되는 메시지(1230)를 포함하는 일 영역이 표시된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어떤 예에서는, 도 12에서 미리 보기 아이템은 미리 보기 아이템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일 영역을 작게 나타낸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도 12의 (c)는 미리 보기 아이템(1220)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미리 보기 아이템(1220)에 대응되는 메시지 그룹(1240)을 포함하는 일 영역이 표시된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가 미리 보기 아이템을 선택하여 표시부(130)에 표시된 메시지가 바뀌는 동작에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보기 아이템의 선택에 따라 기존에 표시되었던 메시지가 상하 또는 좌우로 스크롤 되어 사라지고 미리 보기 아이템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일 영역이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메시지 또는 미리 보기 아이템이 하나의 객체로 처리되어 각각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 예를 들면 가속도와 탄성 등을 가지고 스크롤 될 수 있다. 책을 넘기듯이 메시지가 교체될 수도 있다. 기존에 표시되었던 메시지가 페이드 아웃되고 미리 보기 아이템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일 영역이 페이드 인 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경우의 언폴딩 상태의 메시지 그룹 표시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의 (a)는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 사용된 메시지가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에 메시지 그룹을 표시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메시지 그룹이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 사용된 메시지가 표시부(130)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다른 메시지를 표시할 공간이 줄어든다. 어떤 예에서는, 메시지 그룹의 제목은 메시지 그룹을 쉽게 검색하여 찾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 사용된 메시지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메시지 그룹의 배경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검색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의 (b)는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가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의 배경으로 사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의 (b)에서는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가 배경으로 사용된 이미지보다 우선하여 표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의 배경으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3의 (c)에서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배경으로 사용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일부 투명하게 표시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어떤 예에서는,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 사용된 메시지의 화면상 크기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도 13의 (d)는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여 작게 표시한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와 메시지 송수신 시간 및 식별자와 겹치는 부분이 더 뚜렷하게 보이도록 조절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 사용된 메시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표시부(130)에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 사용된 메시지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로 사용된 메시지가 텍스트 메시지인 경우라도 이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 상태에서의 메시지 그룹 표시를 도시한다.
도 14을 참조하면, 폴딩 상태의 메시지 그룹은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1410), 메시지의 송수신 시간 정보(1430), 메시지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식별자(1440), 미리 보기 아이템(14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4을 비교하면 제목 정보로 사용되지 않는 메시지의 표시 여부에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폴딩 상태의 메시지 그룹을 표시하는 것은 도 14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14에 도시된 아이템 중 일부만 표시하거나 메시지만 표시할 수 있고, 도 14에 도시되지 않은 아이템을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메시지 또는 메시지 그룹이 다수 표시되는 경우에 메시지 그룹을 폴딩 상태로 표시하면 언폴딩 상태로 표시하는 경우보다 많은 양의 메시지 또는 메시지 그룹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 그룹 및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메시지를 표시부(130)에 모두 나타낼 수 없는 경우, 어떤 예에서는, 스크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 상태에서 미리 보기 아이템의 선택에 따른 일 영역 표시를 도시한다.
폴딩 상태의 메시지 그룹은 자체적으로 메시지를 표시할 공간을 확보하고 있지 않다. 폴딩 상태에서 미리 보기 아이템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해서 메시지 그룹 외부의 영역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폴딩 상태에서 미리 보기 아이템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미리 보기 아이템을 선택하면 팝업창에 미리 보기 아이템에 대응하는 일 영역을 보여줄 수 있다. 이 경우 일 영역을 보여주는 것은 미리 보기 아이템을 선택하고 있는 동안만, 미리 보기 아이템의 선택 입력을 감지한 후 일정시간 동안 또는 새로운 입력이 있을 때까지 나타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팝업창은 미리 보기 아이템의 표시부상 위치를 고려하여 미리 보기 아이템의 좌우 또는 상하면 중 어느 한쪽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5에서는 미리 보기 아이템의 상면에 팝업창을 표시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메시지 그룹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팝업창을 표시할 여유 공간이 있는 경우 상면에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언폴딩 상태와 폴딩 상태간의 상호 변경은 미리 설정한 조건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메시지 그룹은 각각 언폴딩 상태 또는 폴딩 상태에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모든 미리 보기 아이템이 언폴딩 상태에 있거나 또는 폴딩 상태에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별도의 버튼을 두거나, 핀치 줌, 더블 탭, 단일 탭, 멀티 터치, 제스처 등의 방법에 의해 언폴딩 상태와 폴딩 상태간에 상호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메시지 그룹을 표시한 표시부를 도시한다.
도 16의 (a)를 참조하면, 언폴딩 상태에 있는 메시지 그룹(1610), 폴딩 상태에 있는 메시지 그룹(1620,1640),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메시지들(1630, 1650)을 표시하고 있다. 도 16의 (a)에서 복수의 메시지 그룹 중에서 일부는 폴딩 상태이고 일부는 언폴딩 상태이다. 이와는 달리 모든 미리 보기 아이템이 폴딩 상태이거나, 모든 미리 보기 아이템이 언폴딩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표시부(130)는 상기 메시지 그룹 및 메시지 중에서 일부분만 표시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의 (b),(c)는 도 16의 (a)의 메시지 그룹 및 메시지 중에서 일부만 표시한 것에 대한 예시도이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예를 들어 도 16의 (b)에서 어느 한 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화면을 드래그하면 도 16의 (c)의 화면이 표시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 스크롤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이 아니라 음성 입력 또는 움직임 입력일 수도 있다.
표시부(130)에 메시지 그룹이 표시된 경우, 메시지 그룹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하나의 메시지 그룹을 두 개로 분리하거나, 두 개의 메시지 그룹을 하나로 결합하거나, 메시지 그룹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그룹에 새로운 메시지를 추가하거나, 메시지 그룹에 포함된 메시지를 삭제하거나, 메시지 그룹에 포함된 메시지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시지 그룹 또는 메시지에 대한 편집 기능은, 별도의 편집 모드를 두고, 편집 모드에서 수행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도 17 내지 도 22에 도시한 것과 같은 직관적인 방법에 의하여 가능하다.
도 17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그룹 분리를 도시한다.
도 17의 (a)는 메시지 그룹(1710)의 어느 한 변에 위치한 어느 지점(1711)에서 드래그를 시작하는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17의 (b)는 메시지 그룹의 변에 위치한 어느 지점(1712)에서 드래그를 종료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7의 (a),(b)에서 드래그가 진행되는 동안 메시지 그룹(1710)의 오른쪽 변에 위치한 어느 지점(1713)에 대하여 터치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상기 입력을 통해 도 17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점(1711)과 지점(1712)을 잇는 직선을 경계선으로 하여, 하나의 메시지 그룹(1710)이 두 개의 메시지 그룹(1720, 1730)으로 나뉘게 된다. 드래그로 인하여 메시지 그룹이 나뉘는 경계선은 메시지와 메시지 사이가 아니라 하나의 메시지 내에서의 행간일 수도 있다. 메시지 그룹의 분할 요청 입력은 상기 입력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드래그를 종료하는 지점이 위치한 지점에서 터치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도 메시지 그룹이 나누어지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시지 그룹의 양변에서의 한 지점을 각각 드래그의 출발점 또는 도착점으로 하는 것은 매우 직관적이며 다른 입력과의 구별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입력에 따라 메시지 그룹이 나누어지는 경우 애니메이션 효과를 함께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그룹이 나뉘어질 때 가위로 종이를 오리거나 손으로 종이를 찢는 형상을 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그룹 결합을 도시한다.
메시지 그룹을 결합하는 동작은 메인 메시지 그룹을 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이 완료되면 결합된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에는 메인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가 표시된다. 두 개 이상의 메시지 그룹을 하나의 메시지 그룹으로 합하기 위해서는 메시지 그룹 결합 기능을 활성화하는 입력이 감지되어야 한다. 메시지 그룹 결합 기능을 활성화하는 입력에는 메시지 그룹에 대한 롱 프레스(Long Press) 또는 전용 버튼 선택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예에서는, 메시지 그룹에 대한 롱 프레스는 편집 모드로의 모드 변경 입력에 해당할 수 있으며, 편집 모드 하에서는 롱 프레스에 의해 메시지 그룹 결합 기능, 메시지 그룹에서 메시지를 제외시키는 기능 등이 함께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8의 (a)에서 메인 메시지 그룹(1810)을 롱 프레스하여 메시지 그룹 결합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18의 (b)에서 결합하고자 하는 다른 메시지 그룹(1820)을 터치하여 선택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8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터치하여 선택한 메시지 그룹(1820)이 메인 메시지 그룹(1810)에 결합하여 표시된다. 여기서 결합된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에 메인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가 표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 메시지 그룹에 결합되는 메시지 그룹이 복수인 경우 터치된 순서대로 메인 메시지 그룹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8의 (d)와 (e)에서 새로운 메시지 그룹(1830)을 터치하여 메시지 그룹을 추가적으로 결합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어떤 예에서는, 메시지 그룹을 터치하는 것 이외의 입력이 있는 경우 메시지 그룹 결합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메시지 그룹이 결합하면 메시지 그룹 결합 기능이 자동으로 비활성화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어떤 예에서는, 메시지 그룹 결합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메시지 그룹이 아니라 메시지를 터치하는 입력이 감지된 경우 터치된 메시지가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그룹에 메시지를 포함시키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19의 (a)에서는 롱 프레스에 의해 메시지 그룹 결합 기능이 활성화되고 기준 메시지 그룹을 정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메시지 그룹 결합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은 롱 프레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9의 (b)에서는 메시지 그룹에 속하지 않는 메시지를 터치하는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19의 (c)에서는 터치된 메시지가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어 표시된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기 생성되어 표시된 메시지 그룹에 메시지를 추가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도 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그룹으로부터 메시지를 제외시키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20의 (a)는 메시지 그룹에서 메시지를 제외시키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메시지 그룹을 롱 프레스하는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메시지 그룹에서 메시지를 제외시키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은 롱 프레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0의 (b)는 메시지 그룹에 대한 롱 프레스를 유지한 상태에서 메시지 그룹에서 제외하려는 메시지(2010)를 드래그하는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드래그가 종료되면 도 2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래그된 메시지가 원래 포함되었던 메시지 그룹에서 제외된 상태로 표시된다. 도 20의 (b)에서 메시지 그룹의 내부에서 드래그가 종료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그룹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21의 (a)는 편집 모드 하에서 메시지 그룹의 이동을 위해서 메시지 그룹을 선택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 때 메시지 그룹의 이동을 위한 메시지 그룹 선택 입력은 메시지 그룹의 특정 위치를 터치하거나 메시지가 없는 여백부분을 터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의 (a) 에서 이동시키려는 메시지 그룹의 특정 위치를 터치하거나 메시지가 없는 여백부분을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면 옵션 메뉴가 표시되고, 옵션 메뉴가 다른 메시지 그룹의 위치 변경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변경 버튼을 선택하여 메시지 그룹을 드래그하여 이동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구현예로서 메시지 그룹을 이동시키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1의 (b)는 선택한 메시지 그룹을 드래그하여 사용자 기기의 표시부(130) 상에서 이동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그룹의 삭제를 도시한다.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는 편집 모드 하에서 메시지 그룹을 삭제하는 입력에 의해 메시지 그룹을 삭제할 수 있다. 도 22는 메시지 그룹의 특정 위치의 터치에 의해 메시지 그룹을 삭제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메시지 그룹을 삭제하는 입력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정 버튼 선택, 사용자, 단일 터치, 멀티 터치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30)에 복수의 메시지 그룹이 표시된 경우,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의 시간적 선후관계를 기준으로 메시지 그룹의 배열 순서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 중에서 가장 먼저 송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 각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 중에서 가장 늦게 송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 각 메시지 그룹의 대표 메시지 간의 시간적 선후관계를 기준으로 메시지 그룹의 배열 순서를 정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그룹의 중요도에 따른 메시지 그룹의 배열 순서 변경을 도시한다.
각각의 메시지 그룹에 대하여 사용자가 중요도를 설정한 경우, 중요도를 고려하여 표시된 복수의 메시지 그룹의 배열 순서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도가 높게 설정된 메시지일수록 화면의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중요도가 동일한 메시지 그룹 간에는 각각의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 중에서 가장 늦게 송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의 시간적 선후관계를 기준으로 배열 순서를 정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중요도가 아니라 화면 접근 빈도가 높은(예: 평균 접근 빈도보다 높은) 메시지일수록 화면의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23의 (a)에서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가 메시지 그룹에 대하여 중요도에 관한 식별자를 터치하여 중요도를 변경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3의 (b)에서 터치에 의해 중요도가 더 높아진 메시지 그룹(2310)이, 중요도가 낮은 다른 메시지 그룹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메시지 입력 영역의 표시 요청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입력 모드로의 모드 전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등에 메시지 입력 영역이 표시부(13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메시지 입력 영역이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가 제3 메시지 및 메시지 입력 영역 사이에서의 제3 드래그 입력의 발생을 감지하면,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3 드래그 입력은, 예를 들어, 표시부(130) 상에 표시된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 중에서 제3 메시지를 선택하여 메시지 입력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드래그 입력에 따라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이 활성화되면, 제어부(150)는 메시지 입력 영역과 메시지 그룹간에 연결 관계가 있음을 표시부(130)가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가 새롭게 입력하여 전송하는 메시지가 제3 메시지를 포함하는 해당 메시지 그룹에 자동으로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부(120)가 새로운 메시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0)가 감지된 새로운 메시지를 포함하여 메시지 그룹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새로 수신한 메시지가 제3 메시지를 포함하는 해당 메시지 그룹에 자동으로 포함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메시지 자동 포함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통신부(110)가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150)는 수신한 메시지를 포함하여 메시지 그룹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은 미리 설정한 조건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비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한 조건은 메시지 기반의 대화 기능 운용 종료 또는 열람 모드로의 모드 전환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특정 버튼의 선택 또는 메시지 입력 영역에서 시작되어 제3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그룹 내의 영역에서 종료되는 드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이,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메시지 입력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을 활성화하는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메시지 그룹의 생성과 동시에 활성화될 수도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그룹의 생성과 동시에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동작을 도시한다.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3 드래그 입력은 제1 드래그 입력을 대체할 수 있다. 도 24의 (a)는 메시지 그룹을 생성하기 위하여 메시지(2410)에서 드래그가 시작된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24의 (b)는 메시지 입력 영역에서 드래그가 종료하는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며, 이는 도 3의 제1 사용자 입력이 메시지가 있는 지점에서 종료하는 것과 다르다. 메시지(2410)에서 시작되어 메시지 입력 영역에서 종료하는 드래그를 제3 드래그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4의 (a)와 (b)에서 메시지 2410이 제3 메시지이며, 드래그를 제3 드래그 입력인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3 드래그 입력에 따라 도 2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래그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그룹이 새롭게 생성되고 생성된 메시지 그룹과 메시지 입력 영역 간에 연결 통로가 있음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4의 (c)에서는 깔때기 모양의 연결 통로를 도시하고 있으나 연결 통로의 모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이 활성화되면 사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메시지가 자동으로 해당 메시지 그룹에 포함된 것으로 표시된다. 어떤 예에서는,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이 활성화되면 제3자로부터 새롭게 수신한 메시지도 자동으로 상기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는,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버튼이나 메뉴를 별도로 제공하여 주고, 이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도 25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을 활성화한 경우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도시한다.
새롭게 생성된 메시지가 자동으로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는 동작은 애니메이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에 따르면, 메시지 그룹과 메시지 입력 영역 사이에 깔때기 모양의 연결 통로(2510)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비누방울 생성을 위한 기구 형태와 비슷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5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입력되어 전송된 메시지가 타원형의 윤곽에 둘러싸인 채로 연결 통로를 이동하여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어떤 예에서는, 이동 중인 비누방울을 터치하는 경우 비누방울을 터뜨리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나타내면서 해당 메시지가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는 동작을 취소할 수 있다. 해당 메시지가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는 동작이 취소되는 것은 메시지 전송의 취소일 수도 있고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는 동작만 취소되고 메시지 자체는 전송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의 메시지 그룹의 표시를 도시한다.
메시지 자동 포함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 또는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제목 정보 외의 메시지의 투명도를 각각 조절하여 제목 정보와 제목 정보 외의 메시지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6의 (a)와 (b)에서는 제목 정보 외의 메시지 또는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표시한 것을 도시하였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화 기능 운용 중에 메시지 그룹의 저장 및 전송 동작을 도시한다.
제어부(150)는 메시지 그룹의 저장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2710). 메시지 그룹의 저장 이벤트는 주기적으로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메시지 그룹의 저장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시지 그룹에 포함된 메시지가 하나의 메시지 그룹으로서 저장부(140)에 저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S2720).
메시지 그룹의 저장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거나 메시지 그룹을 저장한 후에, 제어부(150)는 그룹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2730). 그룹 메시지 전송 요청은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거나 통신부(110)가 다른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메시지 그룹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메시지 그룹 중에서 요청을 수신한 메시지 그룹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740). 요청을 수신한 메시지 그룹이 저장부(140)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는 메시지 그룹에 대한 전송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 기기에 요청받은 메시지 그룹이 없음을 알리는 답신을 전송할 수 있다(S2750). 요청을 수신한 메시지 그룹이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저장부(140)에 저장된 해당 메시지 그룹을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S2760).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그룹의 저장 및 전송에 대한 화면을 도시한다.
메시지 그룹에 대한 저장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시지 그룹에 포함된 메시지를 하나의 메시지 그룹으로서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메시지 그룹 또는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가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적이 있으면 편집에 대한 히스토리를 함께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8의 (a)에서는 메시지 그룹이 저장된 경우의 메시지 그룹의 미리 보기 아이템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28의 (a)에서 도시하는 메시지 그룹의 미리 보기 아이템은,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에 대응되는 미리 보기 아이템 또는 메시지 그룹이 포함하는 메시지 그룹에 대응되는 미리 보기 아이템과 달리, 저장부(140)에 저장된 메시지 그룹에 대응된다. 제목 정보가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텍스트의 미리 보기 화면이 미리 보기 아이템에 표시될 수 있다. 제목 정보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경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미리 보기 화면이 미리 보기 아이템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8의 (a)에서 미리 보기 아이템(2810)은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가 텍스트이며, 미리 보기 아이템(2820)은 메시지 그룹의 제목 정보가 이미지이다.
저장된 메시지 그룹에 대한 불러오기 입력에 의해 메시지 그룹의 내용을 열람할 수 있다. 저장된 메시지 그룹에 대한 불러오기 입력은 도 28의 (a)에서와 같이 표시부(130)에 표시된 복수의 미리 보기 아이템 중에서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된 메시지 그룹에 대한 불러오기 입력에 의해 입력 모드 상태에서의 메시지 그룹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롭게 송신 또는 수신되는 메시지가 메시지 그룹에 자동으로 포함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목 정보가 이미지인 메시지 그룹을 저장한 메시지 그룹을 열람하는 경우 도 28의 (c)에서와 같이 제목 정보에 대한 댓글 형태로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제목 정보에 대한 댓글 형태로 표시할 경우 메시지 그룹에 대한 열람 또는 수정만 가능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저장된 메시지 그룹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저장된 메시지 그룹을 다른 사용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도 28의 (a) 에서 미리 보기 아이템을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면 옵션 메뉴가 표시되고, 옵션 메뉴가 다른 사용자 기기로의 전송 버튼을 포함하고, 전송 버튼을 선택하여 메시지 그룹을 전송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구현예로서 저장된 메시지 그룹을 다른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사용자 기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21 : 터치 패널
122 : 키보드 123 : 움직임 감지부
124 : 마이크 130 : 표시부
131 : 표시 패널 132 : 스피커
140 : 저장부 141 :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142 : 메시지 데이터베이스 143 : 음성 패턴
144 : 움직임 패턴 150 : 제어부

Claims (20)

  1.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제 1 속성으로 제공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제 2 속성으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속성으로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적어도 제1 사용자 입력 또는 제2 사용자 입력으로 구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인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일부를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 2 사용자 입력인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일부를 강조하여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속성으로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일부를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하는 동작 또는 상기 적어도 일부를 강조하여 제공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메시지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메시지 그룹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하는 동작은, 미리 설정한 조건 또는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메시지 그룹 내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수 또는 상기 메시지 그룹이 표시되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그룹의 일 영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미리 보기 아이템을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보기 아이템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미리 보기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메시지 그룹의 일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하는 동작은, 새로운 메시지가 획득되는 경우에는, 상기 새로운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새로운 메시지가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그룹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그룹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 그룹을 다른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속성으로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일부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속성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메시지 제공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제 1 속성으로 제공하는 표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가 감지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제 2 속성으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적어도 제1 사용자 입력 또는 제2 사용자 입력으로 구분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인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일부를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 2 사용자 입력인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일부를 강조하도록 설정된 사용자 기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일부를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제공하거나 상기 적어도 일부를 강조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제공하도록 설정된 사용자 기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새로운 메시지가 획득되는 경우에는, 상기 새로운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그룹에 포함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제공하도록 설정된 사용자 기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새로운 메시지가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그룹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사용자 기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그룹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 그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다른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도록 설정된 사용자 기기.
  20. 사용자 기기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제 1 속성으로 제공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제 2 속성으로 제공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85466A 2013-07-19 2013-07-19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 KR102147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466A KR102147900B1 (ko) 2013-07-19 2013-07-19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
CN201480040758.6A CN105706428B (zh) 2013-07-19 2014-07-18 提供消息的方法以及支持所述方法的用户设备
US14/904,550 US10742573B2 (en) 2013-07-19 2014-07-18 Method of providing message and user device supporting the same
PCT/KR2014/006546 WO2015009103A1 (en) 2013-07-19 2014-07-18 Method of providing message and user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14825683.7A EP3022848B1 (en) 2013-07-19 2014-07-18 Method of providing message and user device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466A KR102147900B1 (ko) 2013-07-19 2013-07-19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436A true KR20150010436A (ko) 2015-01-28
KR102147900B1 KR102147900B1 (ko) 2020-08-25

Family

ID=5234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466A KR102147900B1 (ko) 2013-07-19 2013-07-19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42573B2 (ko)
EP (1) EP3022848B1 (ko)
KR (1) KR102147900B1 (ko)
CN (1) CN105706428B (ko)
WO (1) WO201500910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634A (ko) * 2016-05-18 2019-02-13 애플 인크. 그래픽 메시징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확인응답 옵션들의 적용
KR20190082998A (ko) * 2016-05-18 2019-07-10 애플 인크. 그래픽 메시징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확인응답 옵션들의 적용
KR20210051744A (ko) * 2019-10-31 2021-05-10 이현희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연관 메시지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159922B2 (en) 2016-06-12 2021-10-26 Apple Inc. Layers in messaging applic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515B1 (ko) 2013-10-01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742720B2 (en) 2014-11-05 2017-08-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ly sharing messages across groups
KR101620050B1 (ko) * 2015-03-03 2016-05-12 주식회사 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한 시나리오 이모티콘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
US20160373388A1 (en) * 2015-06-19 2016-12-22 Voxer Ip Llc Messaging application for recording and inserting a video message into a chat
US10705683B2 (en) * 2016-10-31 2020-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hanging visual aspects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to bring focus to a message
KR102388539B1 (ko) * 2017-04-30 2022-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WO2018201300A1 (zh) * 2017-05-02 2018-11-08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通知的方法及电子设备
CN107122117B (zh) * 2017-05-15 2021-04-20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通知展开方法及装置、计算机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102811B (zh) * 2017-05-24 2021-09-24 上海星佑网络科技有限公司 显示对象操作方法和装置
CN109660445B (zh) * 2017-10-12 2022-02-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消息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750539B2 (en) * 2020-01-31 2023-09-05 Slack Technologies, Ll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announcement for display in a group-based communication interface
CN113064690B (zh) * 2021-03-30 2023-01-1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868596B2 (en) * 2021-07-28 2024-01-09 Capital One Services, Llc Color-based system for generating notific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85797A1 (en) * 2011-01-14 2012-07-19 Alicia Thorsen Grouping email messages into conversations
KR20130080519A (ko) * 2012-01-05 2013-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기반의 대화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4826B1 (en) * 1999-09-28 2003-09-23 Ricoh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sual representations for audio documents
US20030163537A1 (en) * 2001-11-27 2003-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onversation threads and message groupings as a single entity
US7111044B2 (en) * 2002-07-17 2006-09-19 Fastmobile,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roup chat sessions on wireless mobile terminals
US7356772B2 (en) * 2003-11-25 2008-04-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column user interface for managing on-line threaded conversations
US8020105B1 (en) * 2003-12-19 2011-09-13 Apple Inc. Unified user interface for instant messaging and email
JP2005309995A (ja) * 2004-04-23 2005-11-04 Olympus Corp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94450B1 (ko) 2004-12-30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미리보기 방법
CN100396129C (zh) 2005-04-04 2008-06-18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自动合并查看来自同一号码的未阅读讯息的方法及系统
US9542667B2 (en) * 2005-09-09 2017-01-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avigating messages within a thread
US20070214424A1 (en) 2006-03-13 2007-09-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etworked chat technique
KR20080022727A (ko) 2006-09-07 2008-03-12 김영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를 통한 메시지노출방법
US8134727B1 (en) * 2006-11-27 2012-03-13 Ringcentral, Inc. Message preview control
CN101052182A (zh) 2007-03-27 2007-10-10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内容显示的方法、装置和终端
KR101463804B1 (ko) 2007-04-27 201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8407603B2 (en) * 2008-01-06 2013-03-26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instant messaging multiple recipients
KR101461954B1 (ko) 2008-05-08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0766B1 (ko) * 2009-06-26 201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를 그룹화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EP2378750A1 (en) * 2010-04-14 2011-10-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ssage list displaying method therein
KR101701836B1 (ko) 2010-07-05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시지 송신 제어 방법
KR101672216B1 (ko) * 2010-07-13 2016-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79001B1 (ko) * 2010-10-14 2017-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40435B1 (ko) 2010-10-18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객체 관련 정보 관리 방법
KR20120076014A (ko) 2010-12-29 2012-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1850821B1 (ko) * 2011-09-15 2018-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US20130097526A1 (en) 2011-10-17 2013-04-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ply message composition
KR101969583B1 (ko) * 2012-01-10 2019-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관리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US9128605B2 (en) * 2012-02-16 2015-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umbnail-image selection of applications
CN103139377A (zh) 2012-12-26 2013-06-0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移动通信终端的应用的消息预览方法及消息预览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85797A1 (en) * 2011-01-14 2012-07-19 Alicia Thorsen Grouping email messages into conversations
KR20130080519A (ko) * 2012-01-05 2013-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기반의 대화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2137A (ko) * 2016-05-18 2023-03-27 애플 인크. 그래픽 메시징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확인응답 옵션들의 적용
US11320982B2 (en) 2016-05-18 2022-05-03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KR20190139343A (ko) * 2016-05-18 2019-12-17 애플 인크. 그래픽 메시징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확인응답 옵션들의 적용
US10592098B2 (en) 2016-05-18 2020-03-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0852935B2 (en) 2016-05-18 2020-12-0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0949081B2 (en) 2016-05-18 2021-03-1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0983689B2 (en) 2016-05-18 2021-04-2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1112963B2 (en) 2016-05-18 2021-09-0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1966579B2 (en) 2016-05-18 2024-04-23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1954323B2 (en) 2016-05-18 2024-04-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itiating a payment action in a messaging session
US11126348B2 (en) 2016-05-18 2021-09-2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KR20210153750A (ko) * 2016-05-18 2021-12-17 애플 인크. 그래픽 메시징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확인응답 옵션들의 적용
US11221751B2 (en) 2016-05-18 2022-01-1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KR20190082998A (ko) * 2016-05-18 2019-07-10 애플 인크. 그래픽 메시징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확인응답 옵션들의 적용
US11513677B2 (en) 2016-05-18 2022-11-2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KR20190015634A (ko) * 2016-05-18 2019-02-13 애플 인크. 그래픽 메시징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확인응답 옵션들의 적용
US11625165B2 (en) 2016-05-18 2023-04-1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1778430B2 (en) 2016-06-12 2023-10-03 Apple Inc. Layers in messaging applications
US11159922B2 (en) 2016-06-12 2021-10-26 Apple Inc. Layers in messaging applications
KR20210051744A (ko) * 2019-10-31 2021-05-10 이현희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연관 메시지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2848A1 (en) 2016-05-25
EP3022848B1 (en) 2018-12-19
CN105706428A (zh) 2016-06-22
EP3022848A4 (en) 2017-02-22
KR102147900B1 (ko) 2020-08-25
CN105706428B (zh) 2019-12-27
US20160149838A1 (en) 2016-05-26
US10742573B2 (en) 2020-08-11
WO2015009103A1 (en)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900B1 (ko)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
US20230359349A1 (en)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20230152940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US20220397996A1 (en)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KR102203885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426403B (zh) 移动终端
CN111339032B (zh) 管理具有多页面的文件夹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US20130318437A1 (en) Method for providing ui and portable apparatus applying the same
AU2014287943A1 (en) User terminal device for support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s thereof
US20140055398A1 (en) Touch 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touch-based manipulation for contents
KR20140128209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AU2021201687B2 (en)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JP2015527626A (ja) Ui提供方法及びそれを適用した携帯用機器
AU2022224726B2 (en)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