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044A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044A
KR20150009044A KR1020130081136A KR20130081136A KR20150009044A KR 20150009044 A KR20150009044 A KR 20150009044A KR 1020130081136 A KR1020130081136 A KR 1020130081136A KR 20130081136 A KR20130081136 A KR 20130081136A KR 20150009044 A KR20150009044 A KR 20150009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ensor
power
controlling
usag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613B1 (ko
Inventor
임국찬
김종범
김성혁
정이선
이준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1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613B1/ko
Priority to US14/311,128 priority patent/US9549374B2/en
Publication of KR20150009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사용 패턴 및/또는 잔여 전력량을 기초로 복수 개의 센서들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대한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로 사용자의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컨텐츠를 예측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또는 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성능의 증대는 단말기에 구비되는 센서 종류의 증가로 이어졌다. 하지만, 이와 같이 센서의 종류가 다양해지더라도, 단말기는 특정 센서를 단독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센서들의 활용도는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또한, 특정 기능의 실행 상태가 아닌 이상 센서들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는 노이즈로 취급하게 되어, 센서들의 효용성 측면에서는 센서들의 다양한 종류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센서에 대한 효용성을 좀 더 향상시키고자,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복합적/종합적으로 이용하기 시작하였다. 단말기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로부터 감지되는 센싱신호를 종합적으로 이용/분석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패턴을 감지하고 학습하고, 추후 감지되는 센싱신호들로부터 사용자의 사용 의도를 판단하는 것이다.
하지만, 단말기는 그 휴대성에 대한 요구로 인해, 전력의 낭비는 최소화 시켜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감지되는 센싱신호를 항상 감지하고 분석하게 되면, 전력의 낭비에 대한 우려가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센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센서들의 전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센서에 대한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력 절전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수신되는 센싱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사용 패턴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잔존 전력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력 절전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센싱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수신되는 센싱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패턴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잔존 전력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말기에 구비되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 개의 센서들을 통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적합한 단말기의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에 대한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커버를 분리하여 리어 케이스의 표면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기존 방식과 본 발명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서버가 잔여 전력량을 판단하는 동작의 구체적인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주변상황인식레벨을 특정 지역 별로 설정하는 방법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활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상술한 센서들의 활성화/비활성화를 단계별로 적용한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00)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싱부(140)의 예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스크린(151)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터치스크린(15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 제스처는 터치 스크린(151)를 접촉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여 구현되는 제스처를 의미하며, 터치 입력은 터치 제스처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을 의미한다.
터치 제스처는 동작에 따라 태핑(tapping), 터치 드래그(touch & drag), 플리킹(flicking), 프레스(press), 멀티 터치(multi touch), 핀치 인(pinch in), 핀치 아웃(pinch out) 등으로 구분된다.
태핑은 터치 스크린(151)을 가볍게 한번 눌렀다 떼는 동작으로, 일반 퍼스널 컴퓨터에서의 마우스의 클릭과 같은 터치 제스처를 의미한다.
또한, 터치 드래그는 터치 스크린(151)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떼는 동작으로, 객체를 드래그하는 경우, 해당 객체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플리킹은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한 후 특정 방향(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으로 이동 후 접점을 떼는 동작을 의미하며, 이동 단말기(100)는 플리킹에 의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플리킹 방향, 속도 등을 토대로 특정 동작의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플리킹 방향을 토대로 전자 책(e-book)의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는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 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터치를 유지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멀티 터치는 터치 스크린(151)의 복수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핀치 인은 터치 스크린(151)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151)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또한, 핀치 아웃은 터치 스크린(151)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151)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이 때,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103)의 사이즈를 작게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전체를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 3 조작 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커버를 분리하여 리어 케이스의 표면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후면커버(또는 배터리 커버)(103), 카메라(121'), 인터페이스부(170), 마이크(122), 스피커 모듈음향출력부(154152'), 배터리(191),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66), 메모리카드 장착부(167)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 표면에는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및 메모리카드 장착부(106)와 같은 외장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외장부품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 되고 다양해진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동 단말기(100)의 성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전력소모가 큰점을 보완하기 위해 배터리(191)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교체형의 경우 사용자가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배터리 장착부(104)를 형성한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04)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되는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IM카드 장착부(166)나 메모리카드 장착부(167)는 배터리 장착부(104)의 옆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배터리 장착부(104)의 바닥면에 형성하여, 배터리(191)를 상기 배터리 장착부(104)로부터 분리하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장착부(104)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어 배터리(191)의 대형화가 가능하다.
도 4에는 USIM카드 장착부(166)나 메모리카드 장착부(167)는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에 실장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에 측면에서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삽입 분리 가능하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상기 리어케이스의 표면을 커버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된 배터리(191), USIM카드, 메모리카드 등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상기 외장부품을 보호한다. 최근에는 방수기능을 부가하여, 상기 외장부품에 물이 투입되지 않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와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시 밀폐되도록 하는 방수구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요즘과 같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는, 필요하고 정확한 정보를 선별해 내고, 선별한 정보를 분석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특히, 단말기에 구비되는 센서의 종류가 다양해 짐에 따라서, 이렇게 다양해진 센서들로부터 감지되는 센싱신호 정보들 양 또한 무시할 수 없게 되었다. 이와 같이 급증한 센싱신호들로부터 필요한 신호만을 선별해 내고, 선별한 센싱신호들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또한 요구되고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감지되는 센싱신호들을 복합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의사를 추측하는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개개인의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장소와 시간 별로 여러개의 센서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패턴을 분석하도록 제안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센서들 각각에 대한 전력의 제어를 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통하여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장소와 시간 별로 학습된 사용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복수 개의 센서들 각각에 대하여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그럼으로써, 단말기의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운용함과 동시에, 사용자 주변 정보에 대하여 추가적인 감지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패턴에 대한 업데이트를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도 5는 기존 방식과 본 발명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a)는 기존 방식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 (a) 및 (b) 각각에서의 제어 동작은 서버 및 단말기 동작으로 나누어서 설명되고 있다.
먼저 도 5 (a)에 따른 기존 방식에서의 제어 동작을 먼저 설명한다.
S501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구비하는 센서들을 항상 활성화시키거나,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서 센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S502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활성화된 센서들을 활용하여 주변 상황을 분석/인식한다. 계속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S503단계에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게 된다. 사용자의 사용 패턴은 사용자의 장소 및 시간 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발생되는 이벤트 및 변경되는 세팅 값 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S505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새로운 장소에 진입하였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이동 단말기(100)가 새로운 위치가 아닌 기존에 진입하였던 위치일 경우, S507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이동 단말기(100)가 새로운 위치에 진입하였다면, 서버는 S506단계에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수집한다. 이 때 수집된 사용패턴의 수집은 S503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가 수집한 사용패턴을 전달 받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S505단계에서는 서버는 수집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데이터 베이스(DB)화 시켜 기록할 수 있다.
S507단계에서, 서버는 센싱된 신호를 사용패턴 DB와 비교한다. 만약, 사용패턴 DB에서, 이동 단말기(100)가 센싱한 센싱신호와 일치하는 패턴이 있다면, 사용자에게 사용패턴에 따른 서비스 대해서 안내 및/또는 추천해 줄 수 있다(S504단계).
도 5 (a)에서 상술한 방식에서는, 사용자에게 특정 서비스를 안내 및/또는 추천을 하기 위해서,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판단 및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센싱신호를 이용하고 있다. 특히, 센서들을 통하여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서, 기존 방식 (a)에서는 센서들을 항상 활성화 시키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선택된 센서들을 활성화 시키고 있다. 특정 센서들은 소모하는 전력의 양이 많고, 불필요한 신호를 수집하는 경우가 많은데, 기존 방식 (a)에 따르면 그러한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 (b)에서는, S501-1 단계 및 S501-2 단계를 추가로 거칠 것을 제안한다.
도 5 (b)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기존 방식 (a)하고 대부분의 단계에 있어서 동일하게 동작하나, S501-1 및 S501-2 단계에 있어서 차이를 가지고 있다.
S501-1 단계에서 서버는, 이동 단말기(100)의 잔여 전력이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잔여 전력이 충분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현재 이동 단말기(100)가 보유하고 있는 잔여 전력과 사용패턴을 수집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의 비교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잔여 전력의 양이 20% 인데, 사용패턴을 수집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의 양이 10% 정도라고 판단될 경우, 사용패턴 수집 후 잔여 전력의 양이 10% 밖에 남지 않게 되므로 서버는 잔여 전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잔여 전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할 경우, 서버는 S506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만약 잔여 전력이 충분하다고 판단될 경우, 서버는 S501-2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501-2 단계에서 서버는 이동 단말기(100)에게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5 (a) 및 (b)를 통하여 설명한, 기존 방식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패턴의 DB화, 이동 단말기의 위치 판단 및/또는 이동 단말기의 잔여 전력 판단을 서버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서버는, 이동 단말기(100)와 별도로 구비되어,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음으로써 동작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장치일 수도 있지만, 이동 단말기(100)와 함께 구비되어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모듈일 수도 있다.
도 5 (b)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잔여 전력량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 사용 패턴을 분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제안한다. 특히 분석을 하더라도, 서버는 구체적으로 어떠한 센서를 이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서, 잔여 전력량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센서들 중에서 소모 전력량의 차이가 큰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S501-1단계에서 서버는 잔여 전력량을 판단하는 동작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서버가 잔여 전력량을 판단하는 동작의 구체적인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a)는, 시간과 장소 별로 특정 이벤트의 발생이 저장된 DB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에서 x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y축은 장소를 나타낼 수 있다. 특정 이벤트의 예로, 도 6에서는 충전 이벤트라고 가정한다. 601 식별 부호는 시간대 1300 ~ 1700이고, 제 1 장소에서 충전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낸다. 602 식별 부호는 시간대 1700 ~ 1800이고, 위치는 제 2 장소에서 충전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603 식별 부호는 시간대 1900 ~ 2000이고, 위치는 제 3 장소에서 충전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낸다.
제 1 장소에서의 이벤트(601 식별 부호)를 예시적으로 분석해보면, 1300 ~ 1700이라는 특정 시간대 및 제 1 장소라는 특정 장소 규칙적인 충전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낸다.
서버가 이러한 사용패턴 DB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하고, 이동 단말기(100)가 제 1 장소로 진입한 경우를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제 1 장소로 진입하여, 충전 이벤트를 발생시킬 경우, 서버는 이동 단말기(100)의 잔여 전력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계산된 이동 단말기(100)의 잔여 전력량이 60% 라고 가정한다. 서버는, 계산된 잔여 전력량을 기초로 가장 적합한 주변상황인식 레벨을 선택할 수 있다. 주변상황인식레벨이란, 주변상황을 인식하는 정확도를 여러 단계로 구분한 정도를 나타내며, 이 레벨이 높을 수록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하면서 더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이 레벨이 낮을 수록 적은 전력을 소비하면서 다소 정확도는 떨어진 인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주변상황인식레벨이 가장 높을 경우(이하, 높은 경우를 1단계 표현하고, 레벨이 낮아질 수록, 2단계, 3단계로 표현하기로 한다)에는, 구비된 모든 센서를 활성화시켜서 최대한 많은 주변 상황을 센싱하고, 센싱된 결과를 분석한다. 주변상황인식레벨이 점차 낮아질 수록, 고전력을 소비하는 센서들을 순차적으로 비활성화시키면서, 전력의 소모는 낮추되 다소 정확도가 떨어진 인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잔여전력량이 60% 이고, 주변상황인식레벨을 최고레벨인 1단계로 설정할 경우, 잔여전력량의 절반을 소비해야 하므로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60% 의 잔여 전력량을 감지할 경우, 주변상황인식레벨을 2단계(또는 그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주변상황인식레벨이 2단계로 설정될 경우, 이 설정 결과를 이동 단말기(100)에게 통보하고, 이동 단말기(100)는 통보 받은 설정 결과를 기초로 센서들에 대한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2단계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센서들 각각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주변상황인식레벨이 2단계로 설정된 것에 대응하여, 센서들 각각의 전력을 제어하였으면, 활성화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주변상황을 인식한 후, 다시 서버에 보고할 수 있다. 서버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주변상황에 대한 보고를 수신하면,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사용패턴 DB에 새로운 주변상황을 추가하고, 사용패턴 DB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업데이트 된 사용패턴 DB는, 그 업데이트 된 횟수가 늘어감에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패턴을 더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 (c)는 도 6 (a)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누적된 업데이트 횟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와 같이 DB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패턴 DB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누적된 업데이트 회수를 나타내기 위한 업데이트 인디케이터 바(bar)가 604 내지 606에 표시하고 있으며, 이 인디케이터는 업데이트 횟수가 증가할 수록 인디케이터 바(bar) 내부를 하단에서부터 채워나가는 형식으로 누적 회수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인디케이터의 형식에 특징이 있지 않으므로, 업데이트의 누적 횟수를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터라면, 그 형식에는 제한이 없다. 도 6 (c)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603 식별 부호는 업데이트의 누적 횟수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은 604 식별 부호, 마지막으로는 605 식별 부호의 누적 횟수가 가장 적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주변상황인식레벨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특정 지역 별로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시예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주변상황인식레벨을 특정 지역 별로 설정하는 방법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정화면의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a)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51)에 지도를 표시하면서, 지역 별 전력 소모량을 표시하기 위하여 소모량 인디케이터(701-a 내지 701-e)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소정 지역에 대해서, 사용패턴의 추가 업데이트가 필요한 지역은 소모량 인디케이터를 더욱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701-a 소모량 인디케이터가 표시하는 지역에 대해서, DB에 저장된 사용패턴의 부족할 경우(학습한 정보량이 부족할 경우), 제어부(180)는 701-a 소모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소모량 인디케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선택한 지점에 대한 주변상황인식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소정 소모량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예를 들어서, 701-a 소모량 인디케이터를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할 경우, 주변상황인식레벨을 설정할 수 있는 팝업창(702)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팝업창(702)에서 어느 하나의 단계를 선택할 경우, 해당 지점에 대한 주변상황인식레벨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특정 지점에 대해서, 주변상황인식레벨이 설정될 경우, 도 7 (c)에서와 같이 해당 지점에 대한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팝업창(704)를 출력할 수 있다. 이 704 팝업창에는 선택된 지점에 대한, 지역 정보(예를 들면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7 (b)에서 상술한, 주변상황인식레벨에 대한 설정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7 (c)에서 표시된 설정정보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잔존 전력이 30%라는 정보와 함께 주변상황인식레벨 설정(2단계 설정)에 따른 예상되는 소모 전력이 20%임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704 팝업창과 함께, 선택된 지점을 식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703)를 지도화면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특정 지역에 대해서 주변상황인식레벨이 설정된 상태에서, 만약 이동 단말기(100)가 해당 지역에 진입할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2단계 설정에 따라서 센서들의 전력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사용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패턴을 감지하는데 있어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의 양과 실제 소모된 전력의 양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실제 소모된 전력의 양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안한다.
도 7 (d)는 전체 전력의 사용양에 따른, 항목별 사용 비율을 표시하는 상태도이다. 사용자로부터 항목별 사용 비율을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도 7 (d)의 상태도를 표시할 수 있다.
항목별 사용 비율에는, 디스플레이에 소모된 전력 비율, 전화 대기 상태에서 소모된 전력 비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7 (b)에서 설정된 주변상황인식레벨에 따라 실제 수행된 사용패턴 감지에 소모된 전력 비율을 표시(705)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정된 바에 따르면, 예상 소모 전력은 20% 이었으나, 도 7 (d)의 상태도가 나타내듯이 실제 소모된 전력은 22%로 다소 상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추후 사용자의 의도를 예측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예측된 사용자의 의도를 바탕으로, 제어부(180)는 해당 동작을 사용자가 쉽게 실행할 수 있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환경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사용패턴을 학습하는 단계와 학습된 사용패턴을 활용하는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사용패턴을 학습하는 단계에서는, 낭비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잔여 전력량을 고려해야 함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 두 단계에 대해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활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 사용패턴을 학습하는 단계 - 제 1 예시
도 8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사용패턴을 학습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a) 및 (b)와 함께 설명되는 예시에서 사용자는 0600~0620 시간대에 규칙적으로 집을 나와 지하철역으로 걸어간다고 가정한다(식별 번호 802 참조). 그리고, 사용자는 802 경로 상에서 주로 (1) 도보로 이동 (2) 뮤직 플레이어의 재생 (3) 지하철 도착 시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4) 특정 상대방에게 문자 메시지를 작성/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패턴을 학습하기 위해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잔여전력량을 기초로 주변상황인식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주변상황인식레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변상황을 인식하는 정확도를 구분한 정도를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매일 아침 특정 시간대에 도보로 이동하는 사용패턴을 감지함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들을 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잔여 전력량이 충분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GPS 센서를 활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변화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특정 시간/위치 사용패턴으로, 상술한 예시에서 (1) 내지 (4)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렇게 감지한 사용패턴을 서버로 보고하고, DB화 시킬 수 있다.
- 사용패턴을 활용하는 단계 - 제 1 예시
도 8 (b)는 DB화된 사용패턴을 활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기 위한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a)과 함께 상술한 사용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위치에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해 있으면서, 해당 시간대에 진입할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추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서, 상기 감지한 패턴 중 (2) 내지 (4)의 동작을 예측하고, 예측된 동작을 손쉽게 실행하기 위한 실행 아이콘을 이동 단말기의 잠금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2) 동작을 예측하여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뮤직 플레이어를 재생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805)를 잠금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3) 동작을 예측하여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하철 도착 시간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804)를 잠금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4) 동작을 예측하여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803)을 잠금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180)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항상 전송하던 상대방을 자동으로 입력하여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주변상황인식레벨을 특정 지역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복수개의 센서들 각각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가 특정지역별로 설정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소지한 채, 해당 지역에 진입할 경우,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센서들을 활성화/비활성화하도록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활성화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용패턴을 감지하고, 이를 서버에 보고할 수 있다.
- 사용패턴을 학습하는 단계 - 제 2 예시
다른 예를 들어서, 해당 지역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통화 사용패턴을 감지한 것으로 가정한다. 특히 사용자의 통화 사용패턴 중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한 음성인식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를 설명하고자 한다.
사용자의 통화 사용패턴 중, 제어부(180)는 통화 음성을 인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기초로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의 통화 키워드 중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한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관련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관련 컨텐츠를 추천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8 (c)와 함께 설명한다.
- 사용패턴을 활용하는 단계 - 제 2 예시
도 8 (c)의 상태도는, 웹브라우져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뉴스 웹페이지를 출력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제어부(180)는 상술한 통화 사용패턴의 분석에서 획득한 키워드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뉴스 컨텐츠 중에서 추천 컨텐츠를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되도록 표시하기 위해서 해당 컨텐츠에 추천 인디케이터(801)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서, 사용자는 통화 상대방과의 대화 중에서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고 가정하고, 제어부(180)는 '이명박 대통령'라는 키워드를 추출했다고 가정한다. 그 후,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뉴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경우(또는 웹브라우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서 뉴스 웹페이지를 출력할 경우), 추출한 '이명박 대통령'라는 키워드와 연관된 컨텐츠들을 식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예시에서는 추천 컨텐츠를 식별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컨텐츠의 추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의 추천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소정 기능을 추천하는 것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주변상황인식레벨이 설정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였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80)의 판단에 의해서 상기 레벨이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센서들의 전력 각각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조건은,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잔여 전력량 및/또는 학습된 사용패턴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 잔여 전력량 고려
이동 단말기(100)의 잔여 전력량이 충분할 경우, 제어부(180)는 모든 센서를 전부 가동시켜서 사용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잔여 전력량이 소정 수치 이상일 경우, 모든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활성화시킨 센서들을 통하여 사용자의 사용패턴을 높은 정확/정밀도로 학습하고, 학습한 결과를 서버로 보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잔여 전력량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180)는 센서들의 전력량을 제어함으로써, 사용패턴 감지에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센서들의 전력량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방법은, 두 가지 방법으로 제안된다. 첫 번째 방법으로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센서들 중에서 높은 전력을 소모하는 센서와 낮은 전력을 소모하는 센서가 있을 경우, 높은 전력을 소모하는 센서 대신 낮은 전력을 소모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패턴을 감지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서,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와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nsor)로 두 가지 센서로 구분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써, 그 전력의 소모가 다른 센서에 비해서 많다. 가속도 센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써, 자이로 센서에 비해서 소모하는 전력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다. 두 센서는 모두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써, 상세 기능은 다르지만 유사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이 있을 수 있다. GPS 센서는 실외 환경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높은 전력을 소모하는 단점을 가지는 센서이다.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기지국의 셀 아이디(cell info) 또는 Wi-Fi AP(Access Point)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들은 GPS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위치 정보 보다는 부정확할 수는 있지만, GPS 센서를 활용하는 경우보다 전력의 소모가 적다.
특히,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바이오 센서에서도 이러한 전력의 차이는 존재한다. ECG(electrocardiogram) 센서, PPG센서들은 소비전력이 상대적으로 높으나, BPM(Beats per minute), HRV (Heart Rate Variability), RRI를 측정하는데 있어서는 소비전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도 9는 상술한 센서들의 활성화/비활성화를 단계별로 적용한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예시에서는 주변상황인식 레벨이 1단계 내지 3단계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901, 903, 905의 방법들은 높은 전력의 소모가 예상되고, 902, 904, 906의 방법들은 낮은 전력의 소모가 예상된다.
주변상황인식 레벨의 1단계에서는, 모든 종류의 센서들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주변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901 내지 906의 모든 방법을 활용하여 정밀한 사용패턴을 취득하고, 취득한 사용패턴을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주변상황인식 레벨의 2단계에서는, 높은 전력을 소모하는 방법에 대응하는 센서들을 비활성화시키고, 낮은 전력을 소모하는 방법들의 센서들만 활성화시킨다. 비록 사용패턴을 파악하는 정밀도는 낮아질 수 있지만, 잔여 전력량이 낮은 상태일 경우에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변상황인식 레벨의 3단계에서는, 모든 센서들을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사용패턴을 획득하고 분석하는 동작은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기습득된 사용패턴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기저장된 사용패턴을 기초로 할용하는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이전 사용패턴을 이용하여 활용도가 낮은 센서를 비활성화 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서, 주중에 회사에서 근무하는 시간이 일정하고, 근무하는 동안에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GPS 센서 및/또는 셀 아이디를 활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들은 불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잔여 전력량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주중에 회사에서 근무하는 일정한 시간 동안에는 비활성화시킴으로서,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 학습된 사용패턴의 양
학습된 사용패턴의 양을 고려하여, 센서들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만약, 학습된 사용패턴의 양이, DB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양이라고 할 경우, 잔여 전력의 양이 충분한지 여부에는 상관없이 더 이상의 사용패턴 학습은 불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패턴의 학습 대신, 사용자에게 학습된 사용패턴을 활용하는 동작만을 제공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패턴 학습량이 일정 횟수 이상 저장되어 충분하다고 판단될 경우, 센서들을 비활성화 시킨 후 사용패턴을 획득하고 분석하여 서버로 보고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현재 장소 및/또는 시간에 대한 사용패턴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제어부(180)는 센서들을 활성화시킨 후, 활성화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패턴을 획득, 서버로 보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센서들의 활성 및 비활성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이러한 활성 및 비활성은, 센서들 자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력을 차단/허용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센서 자체에서는 전력을 사용하더라도, 센싱신호를 분석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제어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소정 센서를 비활성화시킨 경우, 소정 센서에 대한 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소정 센서에 대한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경우라도 소정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센싱신호를 분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왜냐하면, 소정 센서에 대한 전력 자체는 차단/허용에 따라서 그 소모 전력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나, AP(Application Processor)에서 센싱신호를 분석하는 동작에서 전력 소모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센서들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AP와 별도로 구비하고, MCU에서 센서들을 제어하여 감지한 센싱신호들을 AP에서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센서에 대한 비활성화는, AP에서 분석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대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 단말기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출력부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150: 출력부
160: 메모리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190: 전원공급부

Claims (16)

  1. 전력 절전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수신되는 센싱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사용 패턴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잔존 전력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존 전력의 레벨을 단계적으로 구분하고,
    상기 잔존 전력의 레벨이 증가/감소함에 따라서, 상기 센싱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을 단계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 시키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제 1 센서그룹과 제 2 센서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존 전력의 양이 제 1 값 이하일 경우, 제 1 센서그룹에 속한 센서들을 비활성화 시키는,
    이동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존 전력의 양이 제 2 값 이하일 경우,
    상기 제 2 센서그룹에 속한 센서들을 비활성화 시키되,
    상기 제 2 값은 상기 제 1 값 보다 작은 값인,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사용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사용 패턴의 양을 기초로, 상기 센싱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위치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사용 패턴의 양을 기초로, 상기 센싱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된 사용 패턴을 기초로, 추천 어플리케이션 또는 추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자이로(Gyro) 센서 및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전력 절전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센싱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수신되는 센싱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패턴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잔존 전력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 전력은 레벨을 단계적으로 구분되며,
    상기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잔존 전력의 레벨이 증가/감소함에 따라서, 상기 센싱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을 단계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 시키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제 1 센서그룹과 제 2 센서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잔존 전력의 양이 제 1 값 이하일 경우, 제 1 센서그룹에 속한 센서들을 비활성화 시키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잔존 전력의 양이 제 2 값 이하일 경우, 상기 제 2 센서그룹에 속한 센서들을 비활성화 시키되,
    상기 제 2 값은 상기 제 1 값 보다 작은 값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사용 패턴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사용 패턴의 양을 기초로, 상기 센싱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를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위치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사용 패턴의 양을 기초로, 상기 센싱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사용 패턴을 기초로, 추천 어플리케이션 또는 추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자이로(Gyro) 센서 및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30081136A 2013-07-10 2013-07-10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14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136A KR102114613B1 (ko) 2013-07-10 2013-07-10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4/311,128 US9549374B2 (en) 2013-07-10 2014-06-20 Mobile terminal operating based on use patter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136A KR102114613B1 (ko) 2013-07-10 2013-07-10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044A true KR20150009044A (ko) 2015-01-26
KR102114613B1 KR102114613B1 (ko) 2020-05-25

Family

ID=5227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136A KR102114613B1 (ko) 2013-07-10 2013-07-10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49374B2 (ko)
KR (1) KR102114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5505B2 (en) * 2013-11-08 2017-01-03 Polar Electro Oy User interface control in portable system
WO2016150981A1 (en) * 2015-03-23 2016-09-29 Koninklijke Philips N.V. Smart plurality of sensors for power management
KR20170096499A (ko) * 2016-02-16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07531B2 (en) * 2016-02-29 2018-06-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adaptive interface for illiterate
KR101758267B1 (ko) * 2016-03-10 2017-07-17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을 예측할 수 있는 통신 장치,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예측 소비 전력 제공 방법
US10021002B2 (en) * 2016-06-24 2018-07-10 Qualcomm Incorporated Sensor data acquisition in a user equipment
US10648829B2 (en) * 2017-06-08 2020-05-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ecting content items using map contexts by background applications
US10904306B2 (en) * 2018-05-07 2021-01-26 Spotify Ab Personal media streaming appliance system
KR102607790B1 (ko) * 2018-11-15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1246816A1 (en) 2020-06-04 2021-1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enhancing performance of electronic device
KR20230075956A (ko) * 2021-11-23 2023-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액션 추천 방법 및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6209A1 (en) * 2003-02-25 2006-07-13 Satoshi Matsuura Application program predic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110164148A1 (en) * 2010-01-06 2011-07-07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position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3001134A1 (en) * 2011-06-28 2013-01-03 Nokia Corporation Context extraction
JP2013031121A (ja) * 2011-07-29 2013-02-07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5413B2 (en) * 1998-11-24 2012-03-13 Tracbeam Llc Platform and applications for wireless location and other complex services
US6721546B1 (en) * 2001-02-27 2004-04-13 Point Six Wireless, Ll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unique data transmission device
US7469161B1 (en) * 2004-12-16 2008-12-23 Cardiac Pacemaker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7978065B2 (en) * 2006-09-13 2011-07-12 Trackpoint Systems, Ll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mobile assets
US8258942B1 (en) * 2008-01-24 2012-09-04 Cellular Tracking Technologies, LLC Lightweight portable tracking device
JP5531801B2 (ja) * 2010-06-16 2014-06-25 ヤマハ株式会社 3軸磁気センサ、電子コンパス
US9692611B1 (en) * 2011-04-06 2017-06-27 Google Inc. Context-based sensor selection
CN103891360A (zh) * 2011-07-29 2014-06-25 国际壳牌研究有限公司 基于传感器节点位置的功率优化
US20130346347A1 (en) * 2012-06-22 2013-12-26 Google Inc. Method to Predict a Communicative Action that is Most Likely to be Executed Given a Context
EP2875682A4 (en) * 2012-07-17 2015-12-30 Intertrust Tech Corp PORTABLE RESOURC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
US9319589B2 (en) * 2013-05-31 2016-04-19 Sony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s and selecting a desired image by tilting th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6209A1 (en) * 2003-02-25 2006-07-13 Satoshi Matsuura Application program predic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110164148A1 (en) * 2010-01-06 2011-07-07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position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3001134A1 (en) * 2011-06-28 2013-01-03 Nokia Corporation Context extraction
JP2013031121A (ja) * 2011-07-29 2013-02-07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49374B2 (en) 2017-01-17
US20150017965A1 (en) 2015-01-15
KR102114613B1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61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29502B1 (ko) 인스턴트 메시지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5006133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198118B2 (en)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2013580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
KR2015002538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5224234A (zh) 文本内容选择方法及移动终端
KR2014004696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KR101679270B1 (ko) 통신 단말기에서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표시하는 방법
KR2015002251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672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35356B1 (ko)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제어방법
KR10198746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1949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315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0995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538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스처 입력 처리방법
KR2015004191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7026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01475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KR10182255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89981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KR2015004944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551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4526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