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8956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8956A KR20150008956A KR20130074028A KR20130074028A KR20150008956A KR 20150008956 A KR20150008956 A KR 20150008956A KR 20130074028 A KR20130074028 A KR 20130074028A KR 20130074028 A KR20130074028 A KR 20130074028A KR 20150008956 A KR20150008956 A KR 201500089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mobile terminal
- speaker
- circuit board
- parti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명부; 및 상기 공명부 내측에 구비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어 단부가 상기 제2 프레임과 접촉하는 제1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공명부는 상기 제1 격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피커 주변에 보다 넓은 공명 공간을 확보 가능하며, 제조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 중 이동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에는, 음성 통화, 동영상 시청, 또는 음악 청취 등을 위해, 스피커가 내장된다.
도1은 종래 스피커가 내장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이동 단말기는, 케이스 안쪽에 내장되는 배터리(11)와 스피커 모듈(12)을 포함한다.
이 중 스피커 모듈(12)은 스피커(12a) 및 모터(12b)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스피커(12a) 및 모터(12b)의 외부를 둘러 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하우징 내부에는 음향의 공명을 위한 공간이 구비된다.
따라서, 종래 이동 단말기의 생산을 위해서는, 스피커 모듈(12)을 미리 제조하는 공정과, 미리 제조된 스피커 모듈을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안쪽에 설치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조 과정이 복잡해 짐에 따라, 제조 원가가 상승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공명을 위한 공간이 스피커 모듈의 하우징 내부로 한정되므로, 공명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피커 모듈이, 이동 단말기 내부에서 소정의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이동 단말기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피커 모듈의 제조 공정을 생략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리의 공명을 위한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명부; 및 상기 공명부 내측에 구비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어 단부가 상기 제2 프레임과 접촉하는 제1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공명부는 상기 제1 격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프레임은 배터리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명부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제1 방향 외측과, 상기 제1 방향 외측과 교차하는 제2 방향 외측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명부는 L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에 또는 상기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메인 PCB)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명부에는 상기 스피커를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격벽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FPCB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공명부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FPCB의 높이와 상기 제1 격벽의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는 외부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외부 입력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격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제2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 또는 제2 격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의 후방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후방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스피커 모듈의 제조에 공정을 제거하여, 이동 단말기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명을 위한 공간을 최대한 크고 효율적으로 확보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및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1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2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및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1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2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최 외곽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케이스(12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 및 케이스(120)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스(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구비된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커버한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일부와 배면을 커버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부(121)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21)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21)는 홈키, 사이드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21)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121)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방에 구비되는 터치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2에는 사용자 입력부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전면쪽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의 배면 또는 측면 쪽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형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제1 프레임(130)과, 상기 제1 프레임(130)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 프레임(150)과, 상기 제2 프레임(150)의 후방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1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들 제1 프레임(130), 제2 프레임(150), 및 리어 커버(170)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120)를 구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케이스(120)는 리어 커버(170)만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케이스(120)는 상기 리어 커버(170)에 더하여, 상기 제1 프레임(130) 및 제2 프레임(150)의 측면 일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제1 프레임(130), 제2 프레임(150), 및 리어 커버(17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130)과 제2 프레임(150)에 의해 형성되는 공명부(14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먼저 제1 프레임(1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 그 배면(도3 및 도5에서는 상부)에는 배터리 수용부(131)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 수용부(131)는,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37)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제1 프레임(130) 상에서 비교적 큰 면적을 차지하며, 대략 중앙 부분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수용부(131)의 일측에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32, 이하 메인 PCB라 한다)가 위치한다. 메인 PCB(132)는 제1 프레임(1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15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30)과 제2 프레임(150)에 모두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PCB(132)는, 배터리 수용부(131)의 외곽에 위치한다. 또한, 메인 PCB(132)에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소자들이 결합된다.
제어부(controller)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수용부(131)를 중심으로 하여 메인 PCB(132)의 반대쪽에는 제1 격벽(133)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격벽(133)은 제1 프레임(130)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제2 프레임(150) 쪽을 향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격벽(133)의 일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의 정면 또는 배면에서 볼 때 어느 한 방향, 예컨대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방향을 제1 방향(X축 방향)이라 하고,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제2 방향(y축 방향)이라 할 때, 상기 제1 격벽(133)의 일부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다가, 제1 방향의 단부에서 꺽어져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 때,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격벽(133)은 대략 L자 형상을 가지고 연장될 수 있다.
공명부(140)는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제1 격벽(133)의 내측 공간에 구비된다. 즉, 공명부(140)는 제1 프레임(130)에 구비되는 제1 격벽(133)에 의해 구획되며, 이는 곧 공명부(140)가 제1 격벽(133)으로 둘러 쌓인 내부 공간이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공명부(140)는, 상기 제1 격벽(133)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도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명부(140) 역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다가, 제1 방향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꺽어져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명부(140)는 대략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명부(140)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131)의 외측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에 수직한 높이 방향을 제3 방향(z축 방향)이라 한다.
한편, 상기 제1 격벽(133)의 내부, 즉 공명부(140)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134, 이하 FPCB라 한다)이 위치한다. 상기 FPCB(134)는 상기 공명부(140)에 장착되는, 후술하는 스피커(162) 및 모터(161)를, 메인 PCB(132)에 결합되는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FPCB(134) 상에는, 모터가 장착되는 부분인 모터 장착부(134a)와, 스피커(162)가 장착되는 부분인 스피커 장착부(134b)가 구비되며, 모터(161) 및 스피커(162)와 제어부 사이에서 신호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FPCB(134)는, 메인 PCB(132)와 외부 입력부(121)를 연결하여, 외부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메인 PCB(13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상기 제1 격벽(133)을 넘어 공명부(140)외부로 연장되는 FPCB(134)의 일부를 연장부(134c)라 한다.
한편, 제1 격벽(133)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를 구비한다.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상기 제1 격벽(133)의 제3방향(z축 방향)에 따른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상기 제1 격벽(133)의 내부에 위치하는 FPCB(134)는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공명부(140) 외측으로 연장된다. 즉 연장부(134c)가 공명부(140)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부 입력부(121)에 연결된다.
따라서, 외부 입력부(121)로 입력되는 외부 신호는, FPCB(134)를 거쳐 메인 PCB(132) 상의 제어부로 전달된다.
이때, 절개부 상의 FPCB(134)의 높이, 즉 절개부에 놓인 연장부(134c)의 높이는, 제1 격벽(133)의 높이와 동일하다. 즉, 제1 격벽(133)과 FPCB(134)의 연장부(134c)의 제3 방향(z축 방향) 단부는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공명부(140)의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제1 격벽(133)에 의해 정의되며, 제3 방향은 제1 프레임(130)의 배면 및 제2 프레임(150)의 전면에 의해 구획된다. 즉 제1 격벽(133)의 제3 방향(z축 방향) 단부는 제2 프레임(150)과 접촉한다.
상기 제1 프레임(130)에는 제1 밀착 수단(135, 136)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밀착 수단(135, 136)은 제1 프레임(130)과 후술하는 제2 프레임(150)을 서로 밀착시켜, 음샘 현상을 방지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밀착 수단(135, 136)은 후크부(135)와 나사 결합공(136)을 포함한다.
이하,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제2 프레임(15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2 프레임(150)은 상기 제1 프레임(130)의 후방(도3에서 상부)에 결합된다. 도6은 제2 프레임(150)을 전방 쪽(도3의 하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7은 제2 프레임(150)을 전방 쪽(도2의 상부, 도3의 하부)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2 프레임(150)의 중앙에는 배터리가 위치하는 배터리 장착부(151)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프레임(150)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151)의 일측에서, 상기 제1 격벽(133)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 격벽(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격벽은(152), 제1 격벽(15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단부에서 꺽어져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격벽(152)의 단부에는 탄성 패킹(1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패킹(153)은 상기 제1 격벽(133)의 단부와 접촉하여, 공명부(140) 내부의 소리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공명부(140)의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은 제2 결합부에 의해 구획되며, 제3 방향(z축 방향)은 제1 프레임(130)의 배면과 제2 프레임(150)의 전면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즉, 공명부(140)은, 제1 격벽(133), 제2 격벽(152), 제1 프레임(130)의 배면, 및 제2 프레임(150)의 전면에 의해 둘러 싸인 공간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프레임(150)은, 전술한 제1 프레임(130)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제2 밀착 수단(154, 155)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밀착 수단(154, 155)은 제2 후크부(154)와 제2 나사 결합공(155)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후크부(154)는 전술한 제1 프레임(130)의 제1 후크부(135)와 후크 결합되도록, 상기 제1 후크부(135)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나사 결합공(155)은 전술한 제1 프레임(130)의 제1 나사 결합공(136)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결합 나사가 제1 나사 결합공(136)과 제2 나사 결합공(155)을 모두 관통하여 제1 프레임(130)과 제2 프레임(150)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상기 공명부(140) 안쪽에 설치되는 모터(161) 및 스피커(162)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61)는 제1 프레임(130) 또는 제2 프레임(15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161)는 통화 신호 수신시, 또는 기타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한다. 상기 모터(161)는 연성회로기판(134)의 모터 장착부(134a)에 위치되며, 연성회로기판(134)을 통해 메인 인쇄회로기판(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피커(162)는 제1 프레임(130) 또는 제2 프레임(150)에 결합된다. 상기 스피커(162)는 제1 프레임(130) 또는 제2 프레임(15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162)는 연성회로기판(134)의 스피커 장착부(134b)에 위치되며, 연성회로기판(134)을 통해 메인 인쇄회로기판(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스피커(162)의 후방에는 후방 패드(162)가 결합된다. 상기 후방 패드(162)는 상기 스피커를 제1 프레임(13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음향이 방출되는 뒷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 프레임(150)에는, 스피커(162)에 대응되는 위치에, 음 통과부(156, 도3 참조)가 형성된다. 상기 음 통과부(156)는 복수개의 관통 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제1 프레임(130) 및 제2 프레임(150)의 후방에 구비되는 리어 커버(170)를 포함한다. 상기 리어 커버(170)는 이동 단말기의 최 후방(도2에서는 최 하단, 도3에서는 최 상단)에 위치하는 구성 요소로서, 이동 단말기의 후방 및 측방 일부를 커버한다.
상기 리어 커버(170)에는, 상기 스피커(162)에 대응되는 위치에 음향 통과부(171)가 구비되며, 상기 음향 통과부(171)는 복수의 관통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162)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후방으로 출력되는 음향은 제2 프레임(150)의 음향 통과부(156) 및 리어 커버(170)의 음향 통과부(156)를 거쳐, 이동 단말기 외부로 출력된다.
이 과정에서, 종래 공명을 위한 공간이 스피커 모듈 내부로 한정되던 것에 비해, 더 넓은 공명 공간이 구비 되므로, 우수한 음질의 더 큰 소리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스피커 모듈이 필요치 않게 되므로, 제조 공정이 단순화 되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이동 단말기 110: 디스플레이부
120: 외부 입력부 130: 제1 프레임
131: 배터리 장착부 132: 메인 PCB
133: 제1 격벽 133a: 절개부
134: FPCB 134a: 모터 장착부
134b: 스피커 장착부 134c: 연장부
135: 후크 136: 나사 결합부
137: 배터리 140: 공명부
150: 제2 프레임(150) 151: 배터리 장착부
152: 제2 격벽 153: 탄성 패드
154: 후크 155: 나사 결합공
156: 음향 통과부 161: 모터
162: 스피커 162a: 후방 패드
170: 리어 커버 171: 음향 통과부
120: 외부 입력부 130: 제1 프레임
131: 배터리 장착부 132: 메인 PCB
133: 제1 격벽 133a: 절개부
134: FPCB 134a: 모터 장착부
134b: 스피커 장착부 134c: 연장부
135: 후크 136: 나사 결합부
137: 배터리 140: 공명부
150: 제2 프레임(150) 151: 배터리 장착부
152: 제2 격벽 153: 탄성 패드
154: 후크 155: 나사 결합공
156: 음향 통과부 161: 모터
162: 스피커 162a: 후방 패드
170: 리어 커버 171: 음향 통과부
Claims (9)
-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명부; 및
상기 공명부 내측에 구비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어 단부가 상기 제2 프레임과 접촉하는 제1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공명부는 상기 제1 격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배터리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명부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제1 방향 외측과, 상기 제1 방향 외측과 교차하는 제2 방향 외측에 걸쳐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부는 L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 또는 상기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명부에는
상기 스피커를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이동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제1 격벽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절개부를 통해 공명부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높이와 상기 제1 격벽의 높이가 동일한
이동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는 외부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외부 입력부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격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제2 격벽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 또는 제2 격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부가 구비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후방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후방 패드가 구비되는
이동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74028A KR20150008956A (ko) | 2013-06-26 | 2013-06-26 | 이동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74028A KR20150008956A (ko) | 2013-06-26 | 2013-06-26 | 이동 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8956A true KR20150008956A (ko) | 2015-01-26 |
Family
ID=5257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74028A KR20150008956A (ko) | 2013-06-26 | 2013-06-26 |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895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64505A1 (ko) * | 2016-03-24 | 2017-09-28 | 주식회사 하이딥 |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
US12058823B2 (en) | 2020-12-04 | 2024-08-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module |
-
2013
- 2013-06-26 KR KR20130074028A patent/KR2015000895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64505A1 (ko) * | 2016-03-24 | 2017-09-28 | 주식회사 하이딥 |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
US10572041B2 (en) | 2016-03-24 | 2020-02-25 | Hideep Inc. |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
US12058823B2 (en) | 2020-12-04 | 2024-08-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modu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69561B2 (en) | Antenna having single non-conductive por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EP2899951B1 (en) | Mobile terminal having a curved display unit | |
EP3729794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upled to opening of bracket for adjusting resonance generated from the opening | |
US10601113B2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 |
EP3815393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coustic module | |
CN109413246B (zh) | 壳体组件及电子设备 | |
KR20200101178A (ko) | 전자 부품 배치 구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EP3598722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40099006A (ko) | 이동 단말기 | |
EP3139578B1 (en) | Intermediate frame for fixing a display to the housing of a mobile device | |
KR20160122514A (ko) | 이동 단말기 | |
KR20200109903A (ko) | 정전기 유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150101818A (ko) | 이동 단말기 | |
CN108540616B (zh) |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 |
CN110557704A (zh) | 受话器、受话器组件及电子设备 | |
KR20150008956A (ko) | 이동 단말기 | |
KR20210145381A (ko) |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EP3029844B1 (en) | Mobile terminal | |
KR20200034349A (ko) | 유연성이 있는 안테나를 배치한 전자 장치 | |
CN111225305B (zh) | 电子设备 | |
KR20150126190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50088601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90020934A (ko) | 모기 퇴치 장치 및 이동 단말기 | |
KR20150024501A (ko) | 이동 단말기 | |
CN113419601A (zh) |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