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8763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8763A
KR20150008763A KR20130083143A KR20130083143A KR20150008763A KR 20150008763 A KR20150008763 A KR 20150008763A KR 20130083143 A KR20130083143 A KR 20130083143A KR 20130083143 A KR20130083143 A KR 20130083143A KR 20150008763 A KR20150008763 A KR 20150008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knob
dispenser
display
boss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31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37418B1 (en
Inventor
유명동
김형기
허준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3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418B1/en
Publication of KR20150008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7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4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8Turn kno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method to manufacture the same. The refrigerator comprises: an operation knob equipped in a door to operate by being rotated in order to select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a display equipped on one side of the operation knob to display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refrigerato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asily select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intuitively displaying the operational state.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allows low-temperature storage of food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that is shielded by a door. To this end,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cool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by using cool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thereby storing the stored food in an optimum state.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에너지 효율 등을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Recently, refrigerators have become increasingly multifunctional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dietary life and products, and refrigerators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convenience devices in consideration of user's convenience and energy efficiency are being released.

특히, 냉장고 도어 전면에 디스펜서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펜서의 조작을 통해서 외부에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냉장고에서는 통상 물과 얼음이 취출되는 통로가 별도로 제공되며,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해 조작되는 조작 버튼 또는 레버가 별도로 제공되어 각각의 조작 버튼 또는 레버의 조작에 의해 물 또는 얼음을 선택하여 취출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Particularly, a refrigerator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dispenser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water or ice can be taken o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In such a refrigerator, a passage through which water and ice are taken out is separately provided, and an operation button or a lever operated for taking out water or ice is separately provided, and water or ice is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each operation button or lever So that it can be taken out.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107367호에는 냉장고의 디스펜서 일측에 물, 각얼음, 조각얼음, 온오프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공급되는 대상물을 선책할 수 있으며, 선택된 대상물의 확인을 위해서 표시유닛을 통해 대응하는 램프 또는 음성 출력을 통해서 선택된 대상물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107367, a button for selecting water, ice, chilled ice, on-off, etc.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dispenser of a refrigerator, so that an object supplied through the dispenser can be pr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lected object through a corresponding lamp or voice output for confirmation.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의 디스펜서는 사용자가 취출을 원하는 대상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되는 대상물의 수와 대응하는 수의 버튼과 표시를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However, the dispenser of the refrigerator having such a structure requires a number of buttons and means for displaying the number of objects to be select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n object desired to be taken out.

따라서, 정수, 냉수, 조각얼음, 각얼음 등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취출 대상물이 많아지게 되면, 그에 대응하여 버튼과 표시수단 또한 많아지게 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 또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Accordingly, when a large number of objects to be taken out are selected by the user such as purified water, cold water, chilled ice, and ice, the number of buttons and display means increases correspondingly, which increases manufacturing cost and lowers productivity.

또한, 다수의 버튼 배열로 인하여 외관을 저해시킬 수 있으며, 다수의 버튼과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부주의시 오조작을 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the buttons can be hindered by a plurality of button arrangements, and a plurality of buttons and a display are disposed separately,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user can perform an operation inadvertently.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에 냉장고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해 회전 조작하는 조작노브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노브 일측에 선택된 냉장고의 동작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door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knob for rotating operation to select an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a display in which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refrigerator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operation knob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고정 장착되는 보스; 상기 보스에 제공되며,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보스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조작노브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노출되어 상기 조작노브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ss fixedly mounted on a refrigerator door; A display provided on the boss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a refrigerator which is exposed through an opened front face of the operation knob and is selected by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And displays the image.

상기 디스플레이는 원통형상의 상기 보스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보스는 전면이 개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보스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이쏘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ss, and the boss is opened so that the display is visible through the open front of the boss.

상기 보스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외부에서 확인 할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open front of the boss is shielded by a display cover which is configured to be visible so that the display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상기 보스는 외측면은 상기 조작노브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조작노브의 회전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outer side of the boss is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operation knob to serve as a rotation axis of the operation knob.

상기 도어에는 외부에서 물 취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가 구비되며, 상기 조작노브는 상기 디스펜서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configured to be able to take out water from the outside, and the operation knob is provided to the dispenser.

상기 디스펜서의 일측에는 상기 조작노브의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고내 온도 및 시간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main display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penser to display a temperature and a time of the inside of the dispenser se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 본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어, 물 또는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하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의 취출 개시 및 종료를 결정하는 취출레버; 상기 취출레버의 상방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이 배출되는 취출통로; 상기 디스펜서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취출통로를 수용하며, 상기 디스펜서의 동작 모드의 회전 조작에 의한 선택 및 선택된 동작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ispenser provided on a door of a refrigerator for taking out water or ice from the outside; A take-out lever provided in the dispenser for determining start and end of taking out water or ice; A take-out passage provided above the take-out lever and through which water or ice is discharged; And a control unit mounted on the dispenser to receive the take-out passage and to display selected and selected operation information by a rotat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mode of the dispenser.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취출구 및 취출레버와 상하로 연장된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blow-out port and the blow-out lever.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디스펜서에 장착되며, 상기 취출구를 수용하는 커버 케이스와, 상기 디스펜서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동작 모드의 입력을 위해 조작하는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조작노브의 전면을 통해 상기 조작노브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상기 동작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ver case mounted on the dispenser and accommodating the dispensing opening, an operation knob rotatably disposed on the dispenser and operated by a user to input the operation mode, And a display on which the oper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operation knob is output.

상기 디스펜서에는 상기 조작노브의 내측에서 상기 조작노브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스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보스의 내측에 제공되어 상기 보스 및 조작노브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서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enser is provided with a bos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operation knob on the inside of the operation knob, and the display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oss to output ope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open front of the boss and the operation knob .

상기 컨트롤 유닛에는 상기 조작노브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회전량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배출되는 물 또는 얼음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는 감지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device for sens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operation knob and determining the state of water or ice discharged through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상기 커버 케이스에는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숫자로 표시하는 보조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ver cas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display for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frigerator in numerical form.

상기 조작노브는 상기 보조 디스펜서에 표시되는 냉장고의 온도 및 시간을 회전 조작에 의해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operating knob is capable of setting the temperature and time of the refrigerator displayed on the auxiliary dispenser by a rotating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회전 조작 가능한 조작노브의 선택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의 동작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며, 조작 노브에 디스플레이가 제공되어 조작과 동시에 동작 설정 상태의 인식이 가능하게 됩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ode of the dispenser can be selected by the selection of the operation knob which can be rotated, and the display is provided to the operation knob so that the operation setting state can be recognized simultaneously with the operation It's possible.

따라서, 별도의 버튼 조작없이 상기 조작노브의 회전 조작만으로 다양한 동작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습니다.Therefore, various operations can be set only by rotating the operation knob without operating any buttons,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또한, 상기 조작노브를 통해서 디스펜서의 동작은 물론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 등 온도 조작 및 시간 조작을 위한 조작의 경우 다수의 버튼 조작 없이 노브의 간단한 회전 조작으로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한층 더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through the operation knob, as well as the operation for temperature operation and tim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or the freezer room of the refrigerator, can be performed by a simple rotation operation of the knob without operating a number of buttons,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더욱이, 상기 디스펜서의 조작과 상기 냉장고의 온도 시간 조작이 동시에 가능하게 되어 전체적인 조작을 위한 구성이 한층 더 간결해 지는 이점이 있습니다.Furthermore,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and the temperature tim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nfiguration for the entire operation can be further simplified.

그리고, 다수의 버튼이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지 않고, 하나의 조작노브와 조작노브 상애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체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냉장고의 외관이 한층 더 간결하고 우수하게 되는 이점이 있습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buttons are not expos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the entire oper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a display in which one operation knob and the operation knob are arranged in a manner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is further simplified and excellent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디스펜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디스펜서가 장착된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디스펜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컨트롤 유닛의 일구성들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컨트롤 유닛의 일구성들의 결합관계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디스펜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ispenser of the refrigerator.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the dispenser.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ispenser.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on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on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dispenser.
8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dispense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and tha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devised by adding, .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바텀프리즈 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other words,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f a bottom freeze type refrigerator for the sak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structure and it can be applied to all refrigerators having a dispenser Le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디스펜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ispenser of the refrigerato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1 and 2,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forming a storage space therein, a door 20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10, The outer shape can be formed.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상하로 구획되어 상부에 냉장실(11)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냉장실(11)과 냉동실(12)을 각각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좌우 한쌍이 하나의 냉장실(11)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so that a refrigerating chamber 11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 freezing chamber 12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1 and a free compartment compartment door 2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2, respectively.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1 may be arranged in parallel so that the pair of right and left refrigerators can open and close on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 independently.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 중 어느 일측에는 디스펜서(3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30)는 냉장고 외측에서 조작하여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장고(1)에는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30)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일반적인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 dispenser (30) is provided on either side of a pair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s (21). The dispenser 3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take out water or ice by operating it outside the refrigerator. To this end, the refrigerator 1 may be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or ice to the dispenser 30, and such a configuration is general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디스펜서(30)는 내측으로 함몰된 캐비티(31)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캐비티(31)의 상측에는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될 수 있는 취출통로(3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31)의 내측에는 상기 디스펜서(30)를 통해 취출 되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취출레버(34)가 구비된다.The dispenser 30 forms an inwardly recessed cavity 31 and a take-out passage 33 through which water or ice can be extracte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31. Inside the cavity 31, a take-out lever 34 for determining the take-out operation of water or ice taken out through the dispenser 30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캐비티(31)의 상단에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의 조절 및 동작 정보의 표시를 위한 컨트롤 유닛(40)이 구비될수 있다. 상기 컨트롤 유닛(40)은 디스플레이(44)가 구비된 조작노브(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frigerator 1 and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cavity 31. [ The control unit 40 may include an operation knob 42 having a display 44, and a more specific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elow.

그리고, 상기 캐비티(31)의 하단에는 상기 물 또는 얼음의 취출시 용기를 놓을 수 있도록 상기 캐비티(31)의 바닥을 형성하는 트레이(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2)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 후 발생되는 잔수 등을 버리기 위해 상기 캐비티(31)의 내측에서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용기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캐비티(31)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바닥면이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 tray 32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cavity 31 to form the bottom of the cavity 31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placed when the water or ice is taken out. The tray 32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side the cavity 31 to discard water or the like generated after taking out water or ice and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ide of the cavity 31 So that the bottom surface can be extended.

도 3은 상기 디스펜서가 장착된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디스펜서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컨트롤 유닛의 일구성들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컨트롤 유닛의 일구성들의 결합관계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the dispenser.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ispenser.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on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on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디스펜서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ispens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FIG.

상기 디스펜서(30)의 내측 벽면에는 사용자가 눌러서 조작할 수 있는 취출레버(34)가 구비된다. 상기 취출레버(34)는 상기 디스펜서(30)의 취출 통로를 통한 물 또는 얼음의 취출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취출레버(34)를 누르는 동안에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될 수 있게 된다. The dispenser 30 is provided at its inner wall with a take-out lever 34 which can be operated by the user. The take-out lever 34 is for instructing a take-out operation of water or ice through the take-out passage of the dispenser 30, so that water or ice can be taken out while the take-out lever 34 is pressed.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30)의 상부에는 컨트롤 유닛 장착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 유닛 장착부(211)는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 유닛(40)이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211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ispenser 30. The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211 is formed to ope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21 and is configured to mount the control unit 40.

이때, 상기 컨트롤 유닛 장착부(211)의 내측에는 물 또는 얼음이 배출되기 위한 취출통로(33)가 위치된다. 상기 취출통로(33)는 물과 얼음이 각각 별도의 유로에 의해 취출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구된 출구가 상기 캐비티(31)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취출레버(34)를 조작하게 될 때 자연스럽게 물 또는 얼음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take-out passage 33 for discharging water or ice is positioned inside the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211. The takeout passage 33 can be independently constructed so that water and ice can be taken out by separate flow paths, and the opened outlet is arranged to face the cavity 31, It can be configured to receive water or ice naturally when it is operated.

그리고, 상기 취출통로(33)는 상기 컨트롤 유닛(40)이 상기 컨트롤 유닛 장착부(211)에 장착될 때 상기 컨트롤 유닛(40)의 내측에 수용되어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취출통로(3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가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takeout passage 33 is accommodated in the control unit 40 when the control unit 40 is mounted on the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211 so that the takeout passage 33 is opened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컨트롤 유닛(40)은, 상기 컨트롤 유닛 장착부(211)에 장착되며, 상기 컨트롤 유닛(40)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 케이스(41)와, 상기 사용자가 회전 조작하는 조작노브(42), 상기 조작노브(42)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44) 그리고 상기 조작노브(42)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조작 감지 장치(4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 includes a cover case 41 mounted on the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211 and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control unit 40, an operation knob 42 for rotating the user, A display 44 provided on the operation knob 42, and an operation sensing device 48 for sens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42. [

상세히, 상기 커버 케이스(41)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30)의 캐비티(31)를 향하여 다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case 41 may be formed of a plastic or metal material to form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1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slightly protruding toward the cavity 31 of the dispenser 30 .

그리고, 상기 커버 케이스(41)의 전면에는 상기 조작노브(42)가 관통되는 노브 관통구(4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 관통구(411)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노브(42)를 사용자가 조작 할 수 있게 된다.A knob through-hole 411 through which the operation knob 42 passes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case 41. Therefore, the user can operate the operation knob 42 protruding forward through the knob through-hole 411.

상기 조작노브(42)는 전면(도 3에서 좌측면)과 후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노브(42)의 후단의 둘레를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기어부(4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노브(42)의 전면에는 개구된 개구부(42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422)에는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커버 플레이트(423)가 장착되어 상기 조작노브(42)의 개구를 차폐하게 된다.The operation knob 4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front surface (left side in FIG. 3) and a rear surface and a gear portion 421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rear end of the operation knob 42 . An opening 422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operation knob 42 and a cover plate 423 is installed in the opening 422 to allow the opening of the operation knob 42 to be shielded .

그리고, 상기 조작노브(42)의 내측에는 보스(43)가 장착된다. 상기 보스(43)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베이스 프레임(45)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조작노브(42)의 회전 축이 되며, 상기 조작노브는(42) 상기 보스(43)의 외측면을 감싸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스(43)는 상기 조작노브(42)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노브(42)의 회전 조작시 상기 보스(43)를 축으로 하여 상기 조작노브(42)는 회전 조작될 수 있게 된다.A boss 43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operation knob 42. The boss 4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ly mounted on a base frame 45 to be described below and serves as a rotation shaft of the operation knob 42. The operation knob And has a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Therefore, the boss 43 may be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ration knob 42, and when the operation knob 42 is rotated, the operation knob 42 42 can be rotated.

그리고, 상기 보스(43)의 내측 전반부에는 디스플레이(44)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44)는 엘시디 또는 엘이디를 포함하여 외부로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출력장치가 채택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30) 또는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A display 44 is provid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boss 43. The display 44 may include an LCD or an LED and may be an output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e display 44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operation state of the dispenser 30 or the refrigerator 1 externally.

상기 디스플레이(44)는 상기 보스(43)의 내측에서 고정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44)의 출력되는 부분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423)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44)는 상기 보스(43)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보스(43)의 내측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체결부재 또는 결합을 위한 별도의 부재가 제공되어 상기 보스(43)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The display 44 is fixedly mounted inside the boss 43 and the output portion of the display 44 is disposed to face the cover plate 423. The display 44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ss 43 and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ss 43 and may include a separate fastening member or a separate member So that it can be mounted inside the boss 43.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44)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423)를 통해서 투시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42)를 조작하게 될 때 조작에 따른 냉장고(1)의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30)를 통해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해 상기 조작노브(42)를 회전 조작하게 될 경우,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44)에서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 또는 조각얼음 또는 파쇄된 얼음 등을 그림 또는 문자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The display 44 is disposed to be visible through the cover plate 423 and displays the state of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opera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knob 42. [ For example,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ration knob 42 to take out water or ice through the dispenser 30, the display 44 senses the operation of the user, Such as crushed ice or crushed ice, in the form of pictures or characters.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1)에는 상기 조작노브(42) 및 상기 보스(43)가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45)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45)은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조작노브(42) 및 상기 보스(43)가 관통될수 있도록 하는 장착구(451)가 형성된다.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1 is provided with a base frame 45 on which the operation knob 42 and the boss 43 are mounted. The base frame 45 is injection molded from a plastic material and a mounting hole 451 through which the operation knob 42 and the boss 43 are inserted is formed.

한편, 상기 조작노브(42)와 보스(43)의 장착 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조작노브(42)는 상기 장착구(451)에 삽입되며, 상기 기어부(421)가 형성된 상기 조작노브(42)의 후단은 상기 장착구(451)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게 되어 전방으로 빠지지 않고 구속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45)에는 조작노브 지지부재(46)가 장착된다.4, the operation knob 42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451, and the gear portion 421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451. In this case, The rear end of the operation knob 42 having the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mounting hole 451 is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operation knob 42 does not fall forward but is confined. In this state, the operation knob support member 46 is mounted on the base frame 45.

상기 조작노브 지지부재(46)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5)의 배면과 접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조작노브(42)의 후단에서 돌출되는 결합돌기(424)와 결합되는 수용홈(461)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노브(42)를 후방에서 지지하게된다. 이때, 상기 조작노브 지지부재(46)는 상기 조작노브(42)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조작노브(42)의 회전 조작시 함께 회전 할 수 있게 된다.The operation knob support member 46 is mount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frame 45 and has a receiving groove 461 to be engaged with an engaging projection 424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operation knob 42 Thereby supporting the operation knob 42 from behind. At this time, the operation knob support member 46 is allow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operation knob 42 when the operation knob 42 is rotated.

그리고, 상기 보스(43)는 상기 조작노브(42)의 개구된 후방으로 통해 상기 조작노브(42)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조작노브(42)의 내측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노브(42)의 후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45)에 제공되는 보스 지지부재(47)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보스(43)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5)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상기 조작노브(42)의 회전축 역할을 하게 된다.The boss 43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operation knob 42 through the open rear side of the operation knob 42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peration knob 42. [ The rear end of the operation knob 42 is fixed to the boss support member 47 provided on the base frame 45. At this time, the boss 43 is fixed to the base frame 45 so as not to rotate, and serves as a rotation axis of the operation knob 42.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45)의 후방에는 조작 감지 장치(4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 감지 장치(48)는 상기 도어 또는 베이스 프레임(45)에 고정되는 베이스(481)와 상기 베이스(48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기어(482), 상기 연결기어(482)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483)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483)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8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있다.Meanwhile, an operation sensing device 48 may be provided behind the base frame 45. The operation sensing device 48 includes a base 481 fixed to the door or the base frame 45, a connection gear 482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481, A rotation driving gear 483, and a sensing sensor 484 for sens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driving gear 483.

상기 연결기어(482)는 일측이 상기 조작노브(42)의 기어부(421)와 기어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구동기어(483)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조작노브(42)의 조작시 회전되어 상기 구동기어(483)가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One end of the connection gear 482 is gear-engaged with the gear portion 421 of the operation knob 42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gear 482 is gear-engaged with the drive gear 483 and rotated when the operation knob 42 is operated So that the driving gear 483 can be interlocked.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483)의 후방에는 감지센서(484)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483)의 회전량 또는 회전 방향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484)는 마그네틱과 홀센서를 이용하거나 상기 구동기어(483)에 표식을 인식하는 반사식 광센서 또는 상기 구동기어(483)의 슬롯을 인식하는 투과형 광센서, 또는 상기 구동기어(483)의 접점과 접촉되는 접촉 센서 또는 스위치 등 회전 방향과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할 것이다.A sensing sensor 484 is provided behind the driving gear 483 to sense the amount of rotation or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riving gear 483. The sensing sensor 484 may be a reflection type optical sensor using a magnetic and Hall sensor or recognizing a mark on the driving gear 483 or a transmission type optical sensor for recognizing a slot of the driving gear 483, 483), such as a contact sensor or a switch, which can sense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amount of rotation.

한편, 상기 커버 케이스(41)의 전면에는 보조 디스플레이(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50)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관통구(411)의 상방에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an auxiliary display 5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case 41. The auxiliary display 50 is mounted above the through-hole 411 for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frigerator 1. [

이때,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50)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냉장고의 온도, 시간 등을 표시하기 위한 세븐 세그먼트(7 segment)로 구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auxiliary display 50 may be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 seven segment for displaying temperature, time, etc. of the refrigerator.

상기 커버 케이스(41)는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50)의 구동시 이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반투명 또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50)가 장착되는 위치는 투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auxiliary display 50 is driven, the cover case 4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semitransparent or light-permeable so as to identify the auxiliary display 50 from the outside, Lt; / RTI >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상기 디스펜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dispenser.

도 7을 참도하면, 상기 냉장고(1)의 디스펜서(30)를 통해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는 상기 조작노브(42)를 조작하여 상기 디스펜서(30)의 취출되는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7, in order to extract water or ice through the dispenser 30 of the refrigerator 1, the user first operates the operation knob 42 to select a mode to be taken out of the dispenser 30 do.

즉, 도 7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42)를 잡고 조작을 시작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44)에서는 선택 가능한 모든 모드가 아이콘의 형태로 출력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7A, when the user starts to operate the operation knob 42, all of the selectable modes ar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con on the display 44.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42)를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도 7b에서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44)는 정수된 물 모양의 아이콘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취출레버(34)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디스펜서(30)의 취출통로(33)를 통해서 정수된 물이 취출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ration knob 42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display 44 outputs the purified water-like icon as shown in FIG. 7B. When the user operates the take-out lever 34 in this state, the purified water can be taken out through the take-out passage 33 of the dispenser 30.

그리고, 도 7c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노브(42)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44)는 파쇄된 얼음 모양의 아이콘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취출레버(34)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디스펜서(30)의 취출통로(33)를 통해서 파쇄된 얼음이 취출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operation knob 42 is further rotated clockwise as shown in FIG. 7C, the display 44 outputs a crushed ice-shaped ic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take-out lever 34 in this state, the crushed ice can be taken out through the take-out passage 33 of the dispenser 30.

그리고, 도 7d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노브(42)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44)는 얼음 모양의 아이콘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취출레버(34)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디스펜서(30)의 취출통로(33)를 통해서 파쇄되지 않은 상태의 일반적인 얼음이 취출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operation knob 42 is further rotated clockwise as shown in FIG. 7D, the display 44 outputs an ice-shaped icon. In this state, when the user operates the take-out lever 34, general ice in the unbroken state can be taken out through the take-out passage 33 of the dispenser 30.

이와 같이 상기 조작노브(42)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44)는 취출 가능한 형태의 물 또는 얼음을 상기 디스플레이(44)로 출력하게 되고, 사용자는 이를 확인한 후에 상기 취출레버(34)를 조작하여 원하는 상태의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display 44 outputs water or ice in a form that can be taken out to the display 44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42. After the user confirms the operation, the user operates the blowout lever 34 So that water or ice in a desired state can be taken out.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Meanwhil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ther embodiments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그 구성은 동일하며, 상기 조작노브(42)의 조작에 따라 냉장실(11) 또는 냉동실(12) 등의 온도 조절 등 동작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11 or the freezer compartment 12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42 .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그 구성은 동일하므로 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그 작용에 대하여서만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since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nd only it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dispense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즉, 도 8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42)를 잡고 조작을 시작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44)에서는 선택 가능한 모든 모드가 아이콘의 형태로 출력된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user starts to operate the operation knob 42 as shown in FIG. 8A, all of the selectable mode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44 in the form of icons.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42)를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디스펜서(30)의 모드 선택 및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30)의 모드 조작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ration knob 42 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mode of the dispenser 30 can be selected and operated. Since the operation of the mode of the dispenser 30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조작노브(42)를 반시계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도 8a에서와 같이 냉장실(11) 및 냉동실(12)의 동작 조작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operation knob 42 is oper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operating opera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 and the freezing chamber 12 can be selected as shown in FIG. 8A.

도 8b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노브(4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44)는 냉장실(11)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노브(42)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50)에서 냉장실(11)에 해당하는 부분의 온도가 올라가게 된다. 즉, 상기 조작노브(42)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냉장실(11)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8B, when the operation knob 42 is rotated clockwise, the display 44 displays the refrigerating chamber 11. When the operation knob 42 is further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is state, the temperatur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11 in the auxiliary display 50 is increased.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 can be se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42.

그리고, 도 8a와 같은 상태에서 도 8c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노브(4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44)는 냉동실(12)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노브(42)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50)에서 냉동실(12)에 해당하는 부분의 온도가 올라가게 된다. 즉, 상기 조작노브(42)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냉장실(11)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8A, when the operation knob 42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8C, the display 44 displays the freezing compartment 12. When the operation knob 42 is further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is state, the temperatur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eezing chamber 12 in the auxiliary display 50 is increased.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 can be se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42.

이와 같이 상기 냉동실(12)과 냉장실(11)의 모드를 선택한 다음 상기 조작노브(42)를 회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조작노브(42)의 회전량에 따라서 설정되는 온도의 조작이 가능하며, 상기 조작노브(42)의 조작을 통해서 냉장실(11)의 설정온도를 신속하게 설정 가능하게 된다.When the mode of the freezing chamber 12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11 is selected and then the operation knob 42 is rotated, the temperature set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operation knob 42 can be manipulated, The set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 can be quickly se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42. [

물론, 상기 냉장실(11)과 냉동실(12)의 온도 외에도, 고내의 특정 칸 또는 특정 공간의 온도를 조작할 수도 있고, 특정 기능에 대한 시간 설정 등도 상기 조작노브(42)를 통해서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in addition to the temperatures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11 and the freezer compartment 12, the temperature of the specific compartment or the specific space in the compartment can be manipulated, and the time setting for the specific function can also be performed through the operation knob 42.

Claims (13)

냉장고 도어에 고정 장착되는 보스;
상기 보스에 제공되며,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보스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조작노브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노출되어 상기 조작노브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boss fixedly mounted on the refrigerator door;
A display provided on the boss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an operation knob mounted to surround the boss and rotated by a user,
Wherein the display externally displays operation information of a refrigerator which is exposed through an opened front face of the operation knob and is selected by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원통형상의 상기 보스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보스는 전면이 개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보스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이쏘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ss,
Wherein the boss is configured to be open so that the display is visible through the open front of the bos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외부에서 확인 할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pen front of the boss is shielded by a display cover configured to be visible so that the display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외측면은 상기 조작노브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조작노브의 회전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boss is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operation knob to serve as a rotation axis of the operation kno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외부에서 물 취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가 구비되며, 상기 조작노브는 상기 디스펜서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configured to allow water to be taken out from the outside, and the operation knob is provided to the dispens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의 일측에는 상기 조작노브의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고내 온도 및 시간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ain display is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ispenser, the main display indicating a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dispenser se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어, 물 또는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하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의 취출 개시 및 종료를 결정하는 취출레버;
상기 취출레버의 상방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이 배출되는 취출통로;
상기 디스펜서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취출통로를 수용하며, 상기 디스펜서의 동작 모드의 회전 조작에 의한 선택 및 선택된 동작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dispenser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door for taking out water or ice from the outside;
A take-out lever provided in the dispenser for determining start and end of taking out water or ice;
A take-out passage provided above the take-out lever and through which water or ice is discharged;
And a control unit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dispenser for receiving the takeout passage and displaying selected and selected operation information by a rotat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mode of the dispens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취출구 및 취출레버와 상하로 연장된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blow-out port and the blow-out lev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디스펜서에 장착되며, 상기 취출구를 수용하는 커버 케이스와,
상기 디스펜서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동작 모드의 입력을 위해 조작하는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조작노브의 전면을 통해 상기 조작노브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상기 동작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ver case mounted on the dispenser,
An operation knob rotatably disposed in the dispenser and operated by a user for inputting the operation mode,
And a display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operation knob and output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operation knob.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에는 상기 조작노브의 내측에서 상기 조작노브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스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보스의 내측에 제공되어 상기 보스 및 조작노브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서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spenser is provided with a bos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operation knob on the inside of the operation knob,
Wherein the display is provided inside the boss to output ope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open front of the boss and the operation knob.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에는 상기 조작노브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회전량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배출되는 물 또는 얼음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는 감지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sensing device for sens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operation knob and determining the state of water or ice discharged through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케이스에는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숫자로 표시하는 보조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ver cas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display for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frigerator in numerical form.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는 상기 보조 디스펜서에 표시되는 냉장고의 온도 및 시간을 회전 조작에 의해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operation knob is capable of setting the temperature and time of the refrigerator displayed on the auxiliary dispenser by a rotation operation.
KR1020130083143A 2013-07-15 2013-07-15 refrigerator KR1021374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143A KR102137418B1 (en) 2013-07-15 2013-07-15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143A KR102137418B1 (en) 2013-07-15 2013-07-15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763A true KR20150008763A (en) 2015-01-23
KR102137418B1 KR102137418B1 (en) 2020-07-24

Family

ID=5257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143A KR102137418B1 (en) 2013-07-15 2013-07-15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41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82524A1 (en) * 2018-12-10 2020-06-11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variable ice dispenser
US10845117B2 (en) 2018-12-10 2020-11-24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variable fluid dispens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809A (en) * 2002-06-25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Function selection dial for kim-chi refrigeration
US20080023309A1 (en) * 2006-07-31 2008-01-31 Montalvo Juan J Rotary knob with a display
KR20120084594A (en) * 2011-01-20 2012-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enser for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809A (en) * 2002-06-25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Function selection dial for kim-chi refrigeration
US20080023309A1 (en) * 2006-07-31 2008-01-31 Montalvo Juan J Rotary knob with a display
KR20120084594A (en) * 2011-01-20 2012-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enser for refrigerato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82524A1 (en) * 2018-12-10 2020-06-11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variable ice dispenser
US10845117B2 (en) 2018-12-10 2020-11-24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variable fluid dispenser
US11009278B2 (en) 2018-12-10 2021-05-18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variable ice dispenser
CN113167526A (en) * 2018-12-10 2021-07-23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Refrigerator with variable ice dispenser
CN113557400A (en) * 2018-12-10 2021-10-2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Refrigerator with variable fluid dispenser
EP3870912A4 (en) * 2018-12-10 2022-03-30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variable fluid dispenser
EP3874213A4 (en) * 2018-12-10 2022-04-20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variable ice dispenser
CN113167526B (en) * 2018-12-10 2022-05-20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Refrigerator with variable ice dispenser
US11519653B2 (en) 2018-12-10 2022-12-06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variable ice dispenser
US11971212B2 (en) 2018-12-10 2024-04-30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variable fluid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418B1 (en)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7072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808993B2 (en) Refrigerator
KR100440419B1 (en) Refrigerator
JP5866230B2 (en) refrigerator
EP2407740B1 (en) Refrigerator
US20110023524A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20110088937A (en) Refrigerator
JP2003262438A (en) Freezer-refrigerator
KR20100022654A (en) Dispenser of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50008763A (en) refrigerator
JP2008275276A (en) Refrigerator
JP6357397B2 (en) refrigerator
JP4908368B2 (en) refrigerator
KR102548251B1 (en) Refrigerator
KR102202412B1 (en) Refrigerator
JP2003004365A (en) Liquid crystal display for refrigerator, display selecting method for refrigerator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10071564A (en) Refrigerator
KR100568172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6923589B2 (en) refrigerator
KR100568169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07845B1 (en) A dispenser of refrigerator
KR20240051646A (en) Refrigerator
KR20240051637A (en) Refrigerator
KR20240051629A (en) Refrigerator
KR20110089791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