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8534A - Exercise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Exercise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8534A
KR20150008534A KR20130082579A KR20130082579A KR20150008534A KR 20150008534 A KR20150008534 A KR 20150008534A KR 20130082579 A KR20130082579 A KR 20130082579A KR 20130082579 A KR20130082579 A KR 20130082579A KR 20150008534 A KR20150008534 A KR 20150008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exercise
information
unit
coordin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25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75931B1 (en
Inventor
정회경
양현우
송민권
Original Assignee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82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931B1/en
Publication of KR20150008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5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9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anaging an exercise, by which exercise information such as exercise time, a movement distance, or a consumed calorie is measured on the basis of a movement coordinate of a user based on a location tracing, and the movement coordinate is shared in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ercise managing method comprises: a first location grasping step of receiving a start signal for measuring an exercise record from the outside to grasp a first location coordinate of a user terminal; a movement distance grasping step of grasping a movement coordinate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moved from the first location coordinated to a second location coordinate in which a completion signal for completing the exercise record is inputted; a storage step of storing exercis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among a movement date, time, a location, a movement distance, use time, break time, a movement speed, and altitu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coordinate, and the movement coordinate; and a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movement coordinate and the movement exerci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coordinate and the movement information are measured and uploaded in a server, thereby easily grasping the exercise information, and an exercise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sharing a variety of exercise information is provided, thereby approaching a more variety of movement information.

Description

운동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동관리 시스템{EXERCISE MANAGEMENT SYSTEM}[0001] EXCISE MANAGEMENT SYSTEM [0002]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시간, 거리 등 운동정보를 측정 및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간 위치추적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동좌표를 파악하여 운동시간, 이동거리, 소모칼로리와 같은 운동정보를 측정하고 이동좌표를 서버에 공유하는 운동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동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easuring and managing exercise information such as a user's exercise time and distance through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measuring and managing exercise information such as exercise time, Calorie, and sharing movement coordinates with a server, and a mo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현대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현대인들은 질병예방 및 개인의 취미로 운동을 하는 사람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걷기, 런닝, 자전거, 등산 등에 대한 운동이 각광받고 있다.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the interest of modern people is increasing rapidly. As a part of this, modern people are increasingly exercising with disease prevention and personal hobbies. There is a lot of movement for walking, running, biking, climbing, etc.

따라서 이동거리, 이동시간, 소모칼로리 등에 대한 운동정보를 측정하는 휴대기구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운동한 운동정보를 쉽게 측정하며 운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Accordingly, portable devices for measuring exercise information on movement distance, movement time, and calorie consumption have been introduced, and it is now possible to easily exercise and measure the exercise information of the user.

이에 한국 공개 특허 10-2010-0091529(이하 '선행문헌'이라 칭함)는 GPS 정보를 이용한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은 GPS 수신 모듈을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에 장착되는 운동 트레이닝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 운동시간, 운동량 및 이동방법을 입력받고, 출발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는 경로를 탐색하여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탐색부 및 상기 경로 탐색부에서 탐색한 경로를 참조하여, 상기 운동량을 달성하기 위한 운동 스케쥴을 수립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트레이너부를 포함한다.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9152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relates to an exercis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GPS information. The preceding document is an exercise training device mounted on a digital device having a GPS receiving module. The exercise training device receives a movement time, a momentum, and a movement method from a user, searches for a route capable of achieving the momentum with reference to the departure location information, And a trainer unit for establishing an exercise schedule for achieving the exercise amount with reference to the route searched by the route search unit and presenting the exercise schedule to the user.

따라서 선행문헌은 사용자의 운동 진행 상태를 파악하여 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리한 운동이나, 스케쥴보다 운동량이 뒤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적극적인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prior art can control the motion speed of the user so that the exercise speed can be controll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cessive exercise and the exercise amount from being less than the schedule, thereby enabling the active exercise to be performed.

하지만 선행문헌은 단순히 운동을 기록하여 할당된 운동량을 채우기 위한 운동량을 측정하여 제공할 뿐, 타인과의 운동정보 공유 및 경쟁을 할 수 없어 운동의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the prior literature only records the exercise and measures the exercise amount for filling the allocated exercise amount, and has a problem that it can not induce the interest of the exercise because it can not share or compete with exercise information with others.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91529, 공개일자 2010년 08월 19일, 출원번호 10-2009-0010769, 출원일자 2009년02월10일, 발명의 명칭 :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방법1.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91529, filed on August 19, 2010, Application No. 10-2009-0010769, filed on Feb. 10, 2009, Title of the invention: Exercis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저단말기를 통해 위치좌표를 파악하고 운동정보를 측정하여 서버에 업로드함으로써, 운동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다양한 운동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운동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ion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grasping exercise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sharing various exercise information by acquiring position coordinates through a user terminal, measuring exercise information, and uploading it to a serv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버에 공유된 운동정보를 기반으로 순위를 매김으로써, 적극적으로 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운동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ement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positively participating in exercise by ranking based on exercise information shared by a serv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운동관리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운동기록을 측정하기 위한 시작신호를 입력받아 유저단말기(1000)의 제1 위치 좌표를 파악하는 제1 위치 파악단계와 상기 제1 위치 좌표부터 운동기록을 완료하기 위한 완료신호가 입력된 제2 위치 좌표까지 상기 유저단말기(1000)가 이동된 이동좌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이동구간 파악단계와 상기 이동좌표와 상기 이동좌표에 대응되는 이동날짜, 시간, 위치, 소모칼로리, 이동거리, 소요 시간, 이동시간, 휴식시간, 이동속도 및 고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상기 이동좌표 및 운동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vement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first positioning step of receiving a start signal for measuring a movement record from the outside and grasping a first position coordinate of the user terminal, A moving-segment grasping step of grasping a moving coordinate in which the user terminal 1000 is moved from a first position coordinate to a second position coordinate input a completion signal for completing a motion record in real time, A storing step of storing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oving date, a time, a position, a consumed calorie, a moving distance, a required time, a moving time, a resting time, a moving speed and an altitude information, And a display step for displaying the image.

또한, 상기 저장단계 이후 상기 저장된 이동좌표 및 운동정보를 서버(2000)에 공유하는 공유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저단말기(1000)는 상기 서버(2000)에 공유 된 이동좌표 중 원하는 이동좌표를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 단계와 상기 다운로드 된 이동좌표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안내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user terminal 1000 further includes a sharing step of sharing the stored movement coordinates and exercise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0 after the storing step, wherein the user terminal 1000 transmits desired movement coordinates among the movement coordinates shared by the server 2000 And a guiding step of guiding the downloading step of downloading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downloaded moving coordinat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서버(2000)는 공유된 운동정보를 기반으로 운동종류별, 운동시간별, 위치별, 나이별 및 성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순위를 생성한다. The server 20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ranking based on at least one of exercise type, exercise time, location, age, and sex based on shared exercise information.

또한, 상기 운동정보는 사용자 의해 선택 또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자동적으로 인식되어진 운동종류를 더 포함하며, 일별, 주별 및 월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운동정보에 대한 결과를 그래프 또는 챠트로 디스플레이된다.In addition, the exercis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 kind of exercise automatically recognized according to a method selected by the user or preset, and the result of the exercis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graph or a chart based on at least one of daily, weekly, and monthly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동 관리 시스템은 GPS신호를 통해 유저가 이동한 이동좌표와 각 이동좌표에 대응하는 운동정보를 측정하는 유저단말기(1000)와 상기 유저단말기(1000)로부터 운동정보, 이동좌표 등과 같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운동정보를 통해 순위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저장된 이동좌표 정보를 유저들에게 공유하는 서버(2000)로 구성되며, 상기 유저단말기(1000)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지리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통신부(1010)와 무선통신망(3000)을 통해 상기 서버(2000)로 상기 이동좌표와 각 이동좌표에 대응하는 운동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 무선통신부(1020)와 상기 유저단말기(1000)의 흔들림. 진동 및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1030)와 유저의 푸쉬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040)와 상기 입력부(1040)를 통해 선택 또는 상기 센서부(1030)를 통해 인식된 센서값에 의해 운동종류를 식별 및 상기 GPS 통신부(1010)를 통해 수신된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동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1050)와 상기 입력부(1040)를 통해 운동기록을 측정하기 위한 시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유저단말기(1000)의 제1 위치 좌표를 파악하고, 상기 제1 위치 좌표부터 운동기록을 완료하기 위한 완료신호가 입력된 제2 위치 좌표까지 상기 유저단말기(1000)가 이동된 좌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이동좌표를 생성하기 위한 좌표생성부(1070)와 상기 이동좌표와 상기 이동좌표에 대응되는 이동날짜, 시간, 위치, 소모칼로리, 이동거리, 소요 시간, 이동시간, 휴식시간, 이동속도 및 고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090)와 상기 이동좌표 및 운동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060)와 상기 GPS 통신부(1010), 상기 제1 무선통신부(1020), 상기 센서부(1030), 상기 입력부(1040), 상기 식별부(1050), 상기 디스플레이부(1060), 상기 좌표생성부(1070), 상기 안내부(1080) 및 상기 저장부(109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0) 로 구성되며, 상기 서버(2000)는 상기 무선통신망(3000)을 통해 상기 유저단말기(1000)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무선통신부(2010)와 상기 유저단말기(1000)로부터 송신된 상기 위치좌표 및 운동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202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20)에 저장되어 있는 운동정보를 기반으로 운동종류별, 운동시간별, 위치별, 나이별 및 성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순위를 생성하는 기록부(2030)로 구성되다.The exerci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000 for measuring movement coordinates of a user and mov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movement coordinates through a GPS signal, And a server 2000 for receiving and storing information such as movement coordinates, providing a ranking system through stored movement information, and sharing the stored movement coordinate information with users, wherein the user terminal 1000 is a mobile terminal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0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 coordinates and mov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movement coordinates to the server 2000 through a GPS communication unit 1010 for receiving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0; Fluctu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0. A sensor unit 1030 for recognizing vibration and motion, an input unit 1040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a user, a selection unit 1040 for selecting through the input unit 1040, An identification unit 1050 for identifying the type of exercise based on the sensor value and for identifying the exercise information based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GPS communication unit 1010 and a control unit 1040 for measuring the exercise record through the input unit 1040 The user terminal 1000 recognizes the first position coordinate of the user terminal 1000 by receiving the start signal and moves the user terminal 1000 from the first position coordinate to the second position coordinate, Time, location, consumed calorie, moving distance, time required to move the moving coordinate and the moving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coordinate, A display unit 1060 for displaying movement coordinates and motion information, a display unit 1060 for displaying movement coordinates and motion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1060 for displaying movement coordinate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0, the sensor unit 1030, the input unit 1040, the identification unit 1050, the display unit 1060, the coordinate generation unit 1070, the guide unit 1080 And a controller 11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unit 1090. The server 20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100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10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0, A database unit 2020 for storing the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mo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10 and the user terminal 1000 and a motion unit By time, location, age, and gender And a recording unit 2030 for generating a ranking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wo.

또한, 상기 유저단말기(1000)는 상기 서버(2000)로부터 공유된 이동좌표 중 원하는 이동좌표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 된 이동좌표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1080)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0 downloads desired moving coordinates among the moving coordinates shared from the server 2000, And a guide unit 1080 for gui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downloaded moving coordinates.

본 발명은 유저단말기를 통해 위치좌표를 파악하고 운동정보를 측정하여 서버에 업로드함으로써, 운동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다양한 운동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운동관리 시스템을 제공하여 더욱 다양한 운동정보를 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vement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grasping exercise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sharing various exercise information by acquiring position coordinates through a user terminal and measuring exercise information and uploading it to a serv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또한, 서버에 공유된 운동정보를 기반으로 순위를 매김으로써, 적극적으로 운동에 참여하여 효율적이며 적극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ranking based on exercise information shared by the server, it is possib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exercise and to exercise efficiently and positive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저단말기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량에 따른 운동종류를 파악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기능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관리 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ove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graph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kind of exercise according to the amount of imp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managing a mo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저단말기(1000)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량에 따른 운동종류를 파악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00)의 기능블록도를 나타낸다. 1 to 4,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o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ove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user terminal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graph illustrating a kind of exerci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server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운동관리 시스템은 유저단말기(1000), 통신망(3000), 서버(20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exercise management system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000, a communication network 3000, and a server 2000.

도 1과 같이 다수로 구성된 유저단말기(1000)(A, B, Z)는 통신망(3000)을 통해 서버(2000)로 유저가 이동한 이동좌표와 각 이동좌표에 대응하는 운동정보를 서버(20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운동정보는 유저가 운동한 날짜, 시간, 위치, 소모칼로리, 이동거리, 소요 시간, 이동시간, 휴식시간, 이동속도 및 고도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The user terminals 1000 (A, B, and Z)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access the server 2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0 with movement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vement coordinates and movement coordinates, ). Here, the exercis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date, time, position, consumed calories, travel distance, travel time, travel time, rest time, travel speed and altitude information of the user.

유저단말기(1000)는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 PC(Personal Computer), Laptop 등과 같이 통신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해야 한다. 또한 무선통신을 위해 수 메가바이트 내지 수백 메가바이트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단말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ser terminal 1000 can communicate with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tablet PC, a personal computer (PC), a laptop, and the like and has a display unit. It is also desirable to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supporting a data transmission rate of several megabytes to several hundreds of megabyt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통신망(3000)은 무선통신망을 사용하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등을 사용한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0 use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ccordingly us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서버(2000)는 유저단말기(1000)로부터 운동정보, 이동좌표 등과 같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운동정보를 통해 순위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저장된 이동좌표 정보를 공유하여 유저들에게 제공한다.
The server 2000 receives and stores information such as exercise information, movement coordinates, and the like from the user terminal 1000, and provides a ranking system through stored exercise information. It also shares the stored mov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users.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유저단말기(10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r terminal 10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를 참조하면, 유저단말기(1000)는 GPS 통신부(1010), 제1 무선통신부(1020), 센서부(1030), 입력부(1040), 식별부(1050), 디스플레이부(1060), 좌표생성부(1070), 안내부(1080), 저장부(1090), 제어부(110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user terminal 1000 includes a GPS communication unit 1010,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0, a sensor unit 1030, an input unit 1040, an identification unit 1050, a display unit 1060, A generating unit 1070, a guide unit 1080, a storage unit 1090, and a control unit 1100.

GPS 통신부(1010)는 인공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에 인공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는 현재의 위치정보, 현재 위치에 대한 고도 정보, 현재 위치에 대한 시간, 현재 위치에 대한 날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The GPS communication unit 1010 is a device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satellite. The signal sent from the satellite includes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ltitud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position, time for the current position, and dat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position.

제1 무선통신부(1020)는 통신망(3000)을 통해 서버(2000)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에 유저의 위치좌표정보 및 운동정보를 서버(2000)로 송신하며, 서버(2000)로부터 공유된 운동정보를 수신한다. 제1 무선통신부(1020)는 이동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모듈을 사용한다. wi-fi, 네스팟 등 무선랜으로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망 및 이동통신망(3000) 사용이 가능한 W-CDMA, 와이브로(Wibro), HSDPA, 와이맥스(Wimax), LTE(Long Term Evolution) 중 어느 하나의 이동 통신모듈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무선통신부(102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RFID통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어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제1 무선통신부(1020)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운동을 측정하기 위한 기구와 연동하여 운동정보 및 신체정보를 수신받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 런닝머신, 심전도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운동정보 또는 신체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빠르고 정확하게 수신받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은 정보를 송수신 하기전, 각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인증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되기 때문에 신체정보와 같이 개인적인 정보를 보다 안정하게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0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 from the server 2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0. And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server 2000 and receives the exercise information shared from the server 2000. [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0 us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o enable mobile communication. W-CDMA, Wibro, HSDPA, WiMAX, and LTE (Long Term Evolution) capable of using an Internet network capable of accessing a wireless LAN such as a wi-fi, Communication module can be used. In additio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0 includes any on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communication, and RFID communication, thereby enabl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nc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0 includes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exercise information and the body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mechanism for measuring the mo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exercise information or the body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treadmill, the electrocardiogram meter,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quickly and accurately. In addition, since ea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step for authenticating ea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efore transmitting / receiv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 receive personal information more stably such as body information.

센서부(1030)는 유저단말기(1000)의 충격, 흔들림, 진동, 움직임 등에 대한 센서값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1030)는 충격센서, 진동센서, 동작인식센서, 가속도센서 등을 사용한다. The sensor unit 1030 measures sensor values of impact, vibration, vibration, and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1000. For this, the sensor unit 1030 uses an impact sensor, a vibration sensor, a motion recognition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like.

입력부(1040)는 유저의 푸쉬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즉, 입력부(1040)는 운동기록을 측정하기 위한 시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입력수단장치로는 터치패널, 버튼,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40)가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유저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The input unit 1040 is a device capable of receiving commands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the user. That is, the input unit 1040 is a device for inputting a start signal for measuring a motion record. The input device may be a touch panel, a button, a mouse, or the like. When the input unit 1040 is configured as a touch panel, a user interface is provided.

좌표생성부(1070)는 입력부(1040)를 통해 운동기록을 측정하기 위한 시작신호를 입력받아 유저단말기(1000)의 제1 위치 좌표를 파악한다. 제1 위치 좌표를 파악하기 위해 GPS 통신부(1010)를 통해 현재의 위치 좌표정보를 수신한다. 제1 위치 좌표부터 운동기록을 완료하기 위한 완료신호가 입력된 제2 위치 좌표까지 이동된 이동좌표를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시작신호가 입력되면 유저단말기(1000)는 자동적으로 GPS정보를 수신하며, 완료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유저단말기(1000)가 이동한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유저단말기(1000)가 총 이동한 위치좌표를 생성한다. The coordinate generating unit 1070 receives the start signal for measuring the movement record through the input unit 1040, and grasps the first position coordinates of the user terminal 1000. And receives the current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through the GPS communication unit 1010 to grasp the first position coordinate. In real time, the movement coordinate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coordinate to the second position coordinate where the completion signal for completing the motion recording is inputted. When the start signal is inputted, the user terminal 1000 automatically receives the GPS information and recogniz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0 until the completion signal is input, and obtain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user terminal 1000 .

식별부(1050)에서 운동정보는 사용자 의해 선택 또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자동적으로 운동종류를 인식한다. 이에 도 3을 통해 자동적으로 운동종류를 인식하는 하나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충격량에 따른 운동종류를 파악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식별부(1050)는 센서부(1030)의 충격감지 센서에서 인식된 충격량과 충격간격을 인식한다. 이를 통해, 식별부(1050)는 30초간 충격량이 10~20사이의 값, 충격간격이 5~10번의 충격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운동종류를 걷기로 식별한다. 도 3과 같이, 충격량이 10~20 사이이고 충격신호가 8번 발생되는 A파형을 걷기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식별부(1050)는 30초간 충격량이 20~30사이의 값, 충격간격이 10~20번 사이의 충격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운동종류를 런닝으로 식별한다. 도 3과 같이, 충격량이 10~20사이이고 충격신호가 17번 발생되는 B파형을 런닝으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식별부(1050)는 30초간 충격량이 0~50사이의 값이 랜덤하게 발생하면 운동종류를 자전거로 식별한다. 도 3과 같이, 충격량이 0~50사이에서 랜덤하게 발생되는 C파형을 자전거로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식별부(1050)는 센서부(1030)를 통해 감지된 센서값을 전달받아 운동종류를 자동으로 식별하게 된다. 여기서 운동종류를 식별하는 방법 및 수치는 위의 예로 한정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 또는 관리자에 의해 변경 설계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In the identification unit 1050, the exercis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lected by the user or automatically recognized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A method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type of move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3 is a graph showing an embodiment for understanding the kind of mo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impact. Referring to FIG. 3, the identification unit 1050 recognizes the amount of impact and the impact interval recognized by the impact sensor of the sensor unit 1030.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unit 1050 identifies the kind of exercise as walking if the impact amount for 30 seconds is a value between 10 and 20, and the impact signal for an impact interval is 5 to 10 times. As shown in FIG. 3, an A waveform having an impact amount of 10 to 20 and an impact signal of 8 times is recognized as walking. Also, the identification unit 1050 identifies the kind of exercise as running if the impact amount for 30 seconds is a value between 20 and 30, and the impact signal for an impact interval between 10 and 20 is input. As shown in FIG. 3, the B waveform in which the impact amount is 10 to 20 and the impact signal is generated 17 times is recognized as running. Also. The identification unit 1050 identifies the kind of exercise by a bicycle when a value of 0 to 50 is randomly generated for 30 seconds. As shown in FIG. 3, the C waveform, which is randomly generated at an impact amount of 0 to 50, is recognized as a bicycle. In this way, the identification unit 1050 receives the sensor value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1030 and automatically identifies the type of exercise. Here, the method and the numerical value for identifying the kind of exercis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it would be possible for the user to change the design and the value by the administrator.

또한, 식별부(1050)는 이동좌표에 대응하는 운동정보를 식별한다. 여기서 운동정보는 유저가 운동한 날짜, 시간, 위치, 소모칼로리, 이동거리, 소요 시간, 이동시간, 휴식시간, 이동속도 및 고도정보 등에 대한 정보이다. 즉, 식별부(1050)는 GPS 통신부(101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운동한 날짜, 시간, 위치, 이동속도 및 고도정보를 기반으로 평균이동속도, 경사도 및 가속도에 대한 운동정보를 식별하며, 속도에 거리에 대응되는 소모칼로리를 계산한다.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unit 1050 identifies mo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coordinates. Here, the exercis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date, time, position, consumed calories, travel distance, travel time, travel time, break time, travel speed and altitude information of the user. That is, the identifying unit 1050 identifies motion information on the average moving speed, the tilt, and the acceleration based on the date, time, position, moving speed, and altitude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GPS communication unit 1010 And calculates the consumed calori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to the speed.

디스플레이부(1060)는 GPS 통신부(1010)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 및 운동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60)는 운동정보를 출력하는데 있어서 일별, 주별 및 월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운동정보에 대한 결과를 그래프 또는 챠트로 출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060)는 영상의 출력가능한 장치로써,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사용한다. 또한, 입력부(1040)가 터치패널일 경우, 입력부(1040)와 디스플레이부(1060) 기능이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룸으로써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칭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60 outputs position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GPS communication unit 101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060 can display the results of motion information on a graph or chart based on at least one of daily, weekly, and monthly motions in outputting the motion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060 us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the like as a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an image. When the input unit 1040 is a touch panel, the functions of the input unit 1040 and the display unit 1060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안내부(1080)는 서버(2000)로부터 공유된 이동좌표를 다운받아 음성 및 영상표시로 안내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안내부(1080)는 GPS 통신부(1010)를 통해 현재 유저단말기(1000)의 위치를 파악하며, 설정되어 있는 전자지도를 통해 경로를 안내해 준다. The guide unit 1080 is a device for downloading the shared moving coordinates from the server 2000 and guiding the moving coordinates to voice and video display. For this purpose, the guide unit 1080 grasp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0 through the GPS communication unit 1010 and guides the route through the set electronic map.

저장부(1090)는 좌표생성부(1070)를 통해 생성된 이동좌표와 서버(2000)로부터 다운로드한 이동좌표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자신의 운동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60)를 통해 자신의 운동기록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torage unit 1090 is a device for storing the moving coordinates generated through the coordinate generating unit 1070 and the moving coordinates downloaded from the server 200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rasp the motion record of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1060 by storing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제어부(1100)는 유저단말기(1000)의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GPS 통신부(1010)로 송신된 위성정보를 식별부(1050)로 전송하며, 좌표생성부(1070)를 통해 생성된 이동좌표를 제1 무선통신부(1020)를 통해 서버(2000)로 전송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1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ntire system of the user terminal 1000. In particular, the satellit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GPS communication unit 1010 is transmitted to the identification unit 1050, and the movement coordinates generated through the coordinate generation unit 1070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0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0 .

이하 도 4를 통해 서버(2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서버(2000)의 기능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2000)는 제2 무선통신부(2010), 데이터베이스부(2020), 기록부(2030)를 포함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server 20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4 show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server 2000. Fig. Referring to FIG. 4, the server 2000 may include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10, a database unit 2020, and a recording unit 2030.

제2 무선통신부(2010)는 통신망(3000)을 통해 유저단말기(1000)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에 유저단말기(1000)로부터 유저의 위치좌표정보 및 운동정보를 수신하며, 공유된 운동정보를 유저단말기(1000)로 송신한다. 제2 무선통신부(2010)는 이동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 통신모듈을 사용한다. wi-fi, 네스팟 등 무선랜으로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망 및 이동통신망(3000) 사용이 가능한 W-CDMA, 와이브로(Wibro), HSDPA, 와이맥스(Wimax), LTE(Long Term Evolution) 중 어느 하나의 이동 통신모듈의 사용이 가능하다.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10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information to / from the user terminal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0. The user terminal 1000 receives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1000 and transmits the shared mo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0.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10 us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o enable mobile communication. W-CDMA, Wibro, HSDPA, WiMAX, and LTE (Long Term Evolution) capable of using an Internet network capable of accessing a wireless LAN such as a wi-fi, Communication module can be used.

데이터베이스부(2020)는 개인정보DB(2021), 운동정보DB(2022), 이동좌표DB(2023), 지도정보DB(2024)로 구성되어있다. 개인정보DB(2021)는 유저단말기(1000)로부터 유저의 개인정보를 수신 받아 각 유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운동정보DB(2022)는 앞서 유저의 개인정보에 대응되는 운동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서 운동정보는 각 유저로 분류하여, 운동한 날짜, 시간, 위치, 소모칼로리, 이동거리, 소요 시간, 이동시간, 휴식시간, 이동속도 및 고도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동좌표DB(2023)는 각 유저단말기(1000)로부터 생성된 이동좌표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지도정보DB(2024)는 다양한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써, 각 지도에 대응되는 좌표계정보를 저장한다. 좌표계정보로는 WGS84좌표계, TM좌표계, UTM 좌표계, google좌표계 등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좌표계를 WGS84좌표계, TM좌표계, UTM 좌표계, google좌표계로만 한정하지 않으며, 국내/외에서 사용되는 모든 좌표계를 포함한다.The database unit 2020 includes a personal information DB 2021, an exercise information DB 2022, a movement coordinate DB 2023, and a map information DB 2024. The personal information DB 2021 is a database that receives user's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0 and stores information about each user. The exercise information DB 2022 is a database for storing exerc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Here, the exercise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each user, and the exercise date, time, position, consumed calories, travel distance, travel time, travel time, rest time, travel speed and altitude information are stored. The movement coordinate DB 2023 is a database for receiving and storing movement coordinates generated from each user terminal 1000. The map information DB 2024 is a database for storing various map information, and stores coordinate sys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map. The coordinate system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GS84 coordinate system, a TM coordinate system, a UTM coordinate system, and a google coordinate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coordinate system to the WGS84 coordinate system, the TM coordinate system, the UTM coordinate system, and the google coordinate system, and includes all the coordinate systems used in the domestic and the overseas.

기록부(2030)는 운동정보DB(2022)에 저장되어 있는 각 유저의 운동정보를 기반으로 각 유저의 기록에 대한 순위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순위를 생성하는 일 예로써, 운동종류가 걷기, 런닝, 자전거, 등산으로 구분되었을 경우, 각 운동종류에 대하여 가장 많이 운동한 사람순으로 랭킹을 측정할수 있다. 이러한 순위를 측정하는 기준으로는 운동종류별, 운동시간별, 위치별, 나이별 및 성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순위를 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순위정보를 유저단말기(1000)에 제공함으로써, 유저는 자신의 현재 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The recording unit 2030 generates and stores a rank of each user's record based on the exercise information of each user stored in the exercise information DB 2022. [ For example, if the type of exercise is divided into walking, running, cycling, and mountain climbing, the ranking can be measured in the order of the person exercising most for each exercise type. As the criteria for measuring the ranking, it is possible to rank based on at least one of exercise type, exercise time, location, age, and sex. By providing the ranking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1000, the user can confirm his / her current ranking.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관리 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이하의 설명에 의해 앞서 본 발명의 운동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보다 명확해질 수 있다. Hereinafter, a mo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show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managing a mo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foregoing is omitted or simplified. The configuration of the exercis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clearer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입력부(1040)를 통해 운동기록을 측정하기 위한 시작신호를 입력받아 유저단말기(1000)의 제1 위치 좌표를 파악한다(S401). 이에 제1 위치 좌표를 파악하기 위해 GPS 통신부(1010)를 통해 유저단말기(1000)의 현재 위치 좌표정보를 수신한다. 5, first, a start signal for measuring a motion record is input through an input unit 1040, and a first position coordinate of the user terminal 1000 is grasped (S401). And receives the current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0 through the GPS communication unit 1010 to grasp the first position coordinate.

유저단말기(1000)는 제1 위치좌표부터 운동기록을 완료하기 위한 완료신호가 입력된 제2 위치 좌표까지 유저단말기(1000)가 이동된 이동좌표를 실시간으로 파악한다(S402). 즉, 시작신호가 입력되면 유저단말기(1000)는 자동적으로 GPS정보를 수신하며, 완료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유저단말기(1000)가 이동한 위치정보를 파악한다. The user terminal 1000 grasps the movement coordinates of the user terminal 1000 in real time from the first position coordinate to the second position coordinate where the completion signal for completing the motion recording is input (S402). That is, when the start signal is inputted, the user terminal 1000 automatically receives the GPS information and grasp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0 until the completion signal is inputted.

앞서 파악된 이동좌표와 각 이동좌표에 대응되는 운동정보를 저장한다(S403). 운동정보는 이동좌표에 대응되는 이동날짜, 시간, 위치, 소모칼로리, 이동거리, 소요 시간, 이동시간, 휴식시간, 이동속도 및 고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The movement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obtained movement coordinates and the respective movement coordinates are stored (S403). The exercis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movement date, a time, a position, a consumed calorie, a movement distance, a required time, a movement time, a resting time, a movement speed, and altitu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coordinates.

이동좌표 및 운동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S404). 또한, 일별, 주별 및 월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운동정보에 대한 결과를 그래프 또는 챠트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최근에 운동한 양, 시간 등을 체크함으로써, 운동을 규칙적,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ovement coordinates and motion information are displayed (S404).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exercis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a graph or a chart based on at least one of daily, weekly, and monthly. Thus, the user can check the amount and time of exercise recentl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xercise the exercise regularly and systematically.

저장된 이동좌표 및 운동정보를 서버(2000)에 업로드하여 공유한다(S405). 이에 서버(2000)는 각 유저단말기(1000)로부터 전송된 이동좌표 및 운동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공유된 운동정보를 기반으로 운동종류별, 운동시간별, 위치별, 나이별 및 성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순위를 정한다. The stored movement coordinates and exercise information are uploaded to the server 2000 and shared (S405). The server 2000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movement coordinates and mo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user terminal 1000. [ Also, based on the shared exercise information, ranking is made based on at least one of exercise type, exercise time, location, age, and sex.

또한, 유저단말기(1000)는 서버(2000)에 공유된 이동좌표를 선택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다(S406). 유저단말기(1000)는 서버(2000)의 이동좌표DB(2023)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좌표 중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이동좌표DB(2023)는 이동좌표를 저장하는데 있어서, 운동종류별, 위치별, 거리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이를 통해 유저단말기(1000)는 운동종류, 위치, 거리에 대한 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전, 이동좌표에 대해 미리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Also, the user terminal 1000 may select and download the shared coordinates to the server 2000 (S406). The user terminal 1000 can select and download desired one of the moving coordinates stored in the moving coordinate DB 2023 of the server 2000. [ Here, the movement coordinate DB 2023 classifies and stores motion coordinate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motion type, the position, and the distance.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000 can grasp th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coordinates before downloading the information on the type of exercise, the position, and the distance.

유저단말기(1000)는 다운로드 된 이동좌표를 음성 및 영상표시를 통해 안내한다(S407). 이를 위해 유저단말기(1000)는 GPS 통신부(1010)를 통해 현재 유저단말기(1000)의 위치를 파악하며, 설정되어 있는 전자지도를 통해 경로를 안내한다. The user terminal 1000 guides the downloaded moving coordinates through audio and video display (S407).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1000 grasp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0 through the GPS communication unit 1010 and guides the route through the set electronic map.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1000 : 유저단말기 010 : GPS 통신부
1020 : 제1 무선통신부 030 : 센서부
1040 : 입력부 1050 : 식별부
1060 : 디스플레이부 1070 : 좌표생성부
1080 : 안내부 1090 : 저장부
1100 : 제어부 000 : 서버
2010 : 제2 무선통신부 020 : 데이터베이스부
2021 : 개인정보DB 022 : 운동정보DB
2023 : 이동좌표DB 024 : 지도정보DB
2030 : 기록부 3000 : 통신망
1000: User terminal 010: GPS communication unit
1020: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030:
1040: input unit 1050:
1060: Display unit 1070: Coordinate generator
1080: Guide unit 1090: Storage unit
1100: control unit 000: server
2010: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020: database unit
2021: Personal information DB 022: Exercise information DB
2023: Moving coordinate DB 024: Map information DB
2030: recording unit 3000:

Claims (7)

외부로부터 운동기록을 측정하기 위한 시작신호를 입력받아 유저단말기(1000)의 제1 위치 좌표를 파악하는 제1 위치 파악단계;
상기 제1 위치 좌표부터 운동기록을 완료하기 위한 완료신호가 입력된 제2 위치 좌표까지 상기 유저단말기(1000)가 이동된 이동좌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이동구간 파악단계;
상기 이동좌표와 상기 이동좌표에 대응되는 이동날짜, 시간, 위치, 소모칼로리, 이동거리, 소요 시간, 이동시간, 휴식시간, 이동속도 및 고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상기 이동좌표 및 운동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관리 방법.
A first positioning step of receiving a start signal for measuring a motion record from the outside and grasping a first position coordinate of the user terminal 1000;
A movement interval grasping step of grasping the movement coordinates of the user terminal 1000 in real time from the first position coordinate to a second position coordinate where a completion signal for completing the movement recording is input;
And stores exercis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ovement date, a time, a position, a consumed calorie, a movement distance, a required time, a movement time, a resting time, a movement speed and an altitu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coordinates and the movement coordinates step; And
And a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movement coordinates and the movement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 이후, 상기 저장된 이동좌표 및 운동정보를 서버(2000)에 공유하는 공유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저단말기(1000)는 상기 서버(2000)에 공유 된 이동좌표 중 원하는 이동좌표를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 된 이동좌표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안내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haring step of sharing the stored movement coordinates and exercise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0) after the storing step,
The user terminal 1000 includes a downloading step of downloading desired moving coordinates among moving coordinates shared with the server 2000; And
Guiding a moving path of the downloaded moving coordinat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0)는 공유된 운동정보를 기반으로 운동종류별, 운동시간별, 위치별, 나이별 및 성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순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관리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rver (2000) generates a rank based on at least one of exercise type, exercise time, location, age, and sex based on shared exercise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정보는 사용자 의해 선택 또는 내장된 충격감지 센서에서 인식된 충격량 및 충격간격에 따라 판단되는 운동종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n exercise type determined based on the amount of impact and the impact interval recognized by the shock sensor selected or embedded by the us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정보는 일별, 주별 및 월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운동정보에 대한 결과를 그래프 또는 챠트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ercise information is displayed as a graph or a chart on the basis of at least one of daily, weekly, and monthly exercise information.
GPS신호를 통해 유저가 이동한 이동좌표와 각 이동좌표에 대응하는 운동정보를 측정하는 유저단말기(1000); 및 상기 유저단말기(1000)로부터 운동정보, 이동좌표 등과 같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운동정보를 통해 순위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저장된 이동좌표 정보를 유저들에게 공유하는 서버(2000); 로 구성되는 운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저단말기(1000)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지리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통신부(1010);
무선통신망(3000)을 통해 상기 서버(2000)로 상기 이동좌표와 각 이동좌표에 대응하는 운동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 무선통신부(1020);
상기 유저단말기(1000)의 충격, 흔들림, 진동 및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1030);
유저의 푸쉬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040);
상기 입력부(1040)를 통해 선택 또는 상기 센서부(1030)를 통해 인식된 센서값에 의해 운동종류를 식별 및 상기 GPS 통신부(1010)를 통해 수신된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동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1050);
상기 입력부(1040)를 통해 운동기록을 측정하기 위한 시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유저단말기(1000)의 제1 위치 좌표를 파악하고, 상기 제1 위치 좌표부터 운동기록을 완료하기 위한 완료신호가 입력된 제2 위치 좌표까지 상기 유저단말기(1000)가 이동된 좌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이동좌표를 생성하기 위한 좌표생성부(1070);
상기 이동좌표와 상기 이동좌표에 대응되는 이동날짜, 시간, 위치, 소모칼로리, 이동거리, 소요 시간, 이동시간, 휴식시간, 이동속도 및 고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090);
상기 이동좌표 및 운동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060); 및
상기 GPS 통신부(1010), 상기 제1 무선통신부(1020), 상기 센서부(1030), 상기 입력부(1040), 상기 식별부(1050), 상기 디스플레이부(1060), 상기 좌표생성부(1070), 상기 안내부(1080) 및 상기 저장부(109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0); 로 구성되며,
상기 서버(2000)는
상기 무선통신망(3000)을 통해 상기 유저단말기(1000)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무선통신부(2010);
상기 유저단말기(1000)로부터 송신된 상기 위치좌표 및 운동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2020);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20)에 저장되어 있는 운동정보를 기반으로 운동종류별, 운동시간별, 위치별, 나이별 및 성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순위를 생성하는 기록부(20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관리 시스템.
A user terminal 1000 for measuring movement coordinates of a user through a GPS signal and mov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movement coordinates; A server 2000 for receiving and storing information such as exercise information and movement coordinates from the user terminal 1000, providing a ranking system through stored exercise information, and sharing the stored movement coordinate information to users; The exercis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user terminal 1000
A GPS communication unit 1010 for receiving geographical information from the satellite;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0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 coordinates and mov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movement coordinates to the server 20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0;
A sensor unit 1030 for recognizing the impact, vibration, vibration, and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1000;
An input unit 1040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a user;
For identifying the exercise type by the sensor value recognized through the input unit 1040 or through the sensor unit 1030 and for identifying the exercise information based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GPS communication unit 1010 An identification unit 1050;
A start signal for measuring a motion record through the input unit 1040 is received and a first position coordinate of the user terminal 1000 is grasped and a completion signal for completing motion record from the first position coordinate is inputted A coordinate generating unit (1070) for grasping coordinates in which the user terminal (1000) is moved to a second position coordinate in real time and generating moving coordinates;
And stores exercis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ovement date, a time, a position, a consumed calorie, a movement distance, a required time, a movement time, a resting time, a movement speed and an altitu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coordinates and the movement coordinates Unit 1090;
A display unit 1060 for displaying the movement coordinates and motion information; And
The GPS communication unit 1010,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0, the sensor unit 1030, the input unit 1040, the identification unit 1050, the display unit 1060, the coordinate generation unit 1070, A controller 1100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guide unit 1080 and the storage unit 1090; Lt; / RTI >
The server 2000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1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information to / from the user terminal 10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0;
A database unit 2020 for storing the position coordinates and mo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0; And
And a recording unit 2030 for generating a ranking based on at least one of exercise type, exercise time, location, age, and sex based on the exercis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2020 Exercise management system.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단말기(1000)는 상기 서버(2000)로부터 공유된 이동좌표 중 원하는 이동좌표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 된 이동좌표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10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user terminal 1000 downloads desired moving coordinates from among the moving coordinates shared from the server 2000. Further comprising a guidance unit (1080) for gui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downloaded moving coordinates.
KR1020130082579A 2013-07-15 2013-07-15 Exercise management system KR1015759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579A KR101575931B1 (en) 2013-07-15 2013-07-15 Exercise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579A KR101575931B1 (en) 2013-07-15 2013-07-15 Exercise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534A true KR20150008534A (en) 2015-01-23
KR101575931B1 KR101575931B1 (en) 2015-12-10

Family

ID=5257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579A KR101575931B1 (en) 2013-07-15 2013-07-15 Exercise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931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713A (en) 2015-11-10 2016-09-07 주식회사 투비크로스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ym service
WO2016208898A1 (en) * 2015-06-25 2016-12-29 김현진 Exercise equip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nipulation of exercise data
KR20170007719A (en) 2015-07-12 2017-01-20 정태연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measuring management service
KR20170007720A (en) 2015-07-12 2017-01-20 정태연 Exercise measuring management system and exercise measuring management method in the system
KR20170026803A (en) * 2015-08-28 2017-03-09 성희찬 System for managing outdoor sports leagu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ame
WO2017074060A1 (en) * 2015-10-28 2017-05-04 (주)그린콤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linked to wearable device
WO2018147658A1 (en) * 2017-02-08 2018-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activity information of other related to activity pattern of us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220258B2 (en) 2015-06-26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workout guide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290B1 (en) * 2018-02-23 2019-07-23 주식회사 네오펙트 Method for providing rehabilitation training, user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102370703B1 (en) * 2020-09-18 2022-03-04 주식회사 피트메디 An user exercise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20220133572A (en) 2021-03-25 2022-10-05 박종윤 A health record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6558A (en) * 2015-06-25 2018-05-30 Hyun Jin Kim Exercise equip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nipulation of exercise data
WO2016208898A1 (en) * 2015-06-25 2016-12-29 김현진 Exercise equip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nipulation of exercise data
US10974099B2 (en) 2015-06-25 2021-04-13 Hyun Jin Kim Exercise equip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nipulation of exercise data
GB2556558B (en) * 2015-06-25 2021-04-07 Hyun Jin Kim Exercise equip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nipulation of exercise data
US10220258B2 (en) 2015-06-26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workout guide information
KR20170007720A (en) 2015-07-12 2017-01-20 정태연 Exercise measuring management system and exercise measuring management method in the system
KR20170007719A (en) 2015-07-12 2017-01-20 정태연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measuring management service
KR20170026803A (en) * 2015-08-28 2017-03-09 성희찬 System for managing outdoor sports leagu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ame
WO2017074060A1 (en) * 2015-10-28 2017-05-04 (주)그린콤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linked to wearable device
JP2019500982A (en) * 2015-10-28 2019-01-17 グリーンコ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Greencomm Co.,Lt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linked with wearable device
KR20160105713A (en) 2015-11-10 2016-09-07 주식회사 투비크로스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ym service
WO2018147658A1 (en) * 2017-02-08 2018-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activity information of other related to activity pattern of us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80092105A (en) * 2017-02-08 2018-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activity information of other related to user activity patter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321272B2 (en) 2017-02-08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activity information of other related to activity pattern of us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10326276A (en) * 2017-02-08 2019-10-11 三星电子株式会社 For provide it is relevant to the activity pattern of user other people action message method and its electronic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931B1 (en)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931B1 (en) Exercise management system
CN107154969B (en) Destination point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CN107807947B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on electronic devices based on emotional state detection
US10010754B2 (en) Recommended modes of transportation for achieving fitness goals
CN105573573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based on image
CN109556621B (en) Route planning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CN104272709B (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ext inferred
CN107024221B (en) Navigation route making method and device
KR20160084706A (en) Device for Providing Description Information Regarding Workout Record and Method Thereof
KR20130000032A (en) System and method for partial updating of map data based on use's moving path, service device and termin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384311B1 (en) Device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based on image and method thereof
JP2015058218A (en) Device with virtual comparison func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1458432B1 (en) Auto connection exercise equipment for providing exercise information, smart device, exercise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7006102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3395250A1 (en) Wearable apparatus and user terminal device connectable to wearable device
KR20180000812A (en) Health navigation system, server and method
KR100709750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ervice
CN106610781B (en) Intelligent wearing equipment
KR101031063B1 (en) System for providing with path information based on current loc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271806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ized recommendation service applied to an autonomous vehicle
KR20160147297A (en) Management and encourage system for practical exercise using internet of things platform
KR20160090113A (en) Management and encourage system for practical exercise using wearable device
US2022008465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102266863B1 (en) Server and method for calculating mobile reward using real-time location search function
CN112968992B (en) Dynamic distance prompting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