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754A -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 module - Google Patents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754A
KR20150007754A KR1020130082177A KR20130082177A KR20150007754A KR 20150007754 A KR20150007754 A KR 20150007754A KR 1020130082177 A KR1020130082177 A KR 1020130082177A KR 20130082177 A KR20130082177 A KR 20130082177A KR 20150007754 A KR20150007754 A KR 20150007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cove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8689B1 (en
Inventor
염규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57059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00775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Priority to KR20130082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689B1/en
Priority to US14/904,468 priority patent/US9660395B2/en
Priority to PCT/KR2014/001016 priority patent/WO2015005557A1/en
Publication of KR20150007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7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6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light source module, which is installed at a car front side panel terminal and can light around the terminal. The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n internal space and an opening part; a terminal unit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positioned i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terminal equipp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housing cover which protects the terminal unit by sealing the opening part of the housing; an LED light source which i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emit light to the housing cover; and an edge lighting unit which is protruded to the outside in one side of the housing cover while being in opposite direction to one end edge of the terminal on the housing cover.

Description

광원 모듈을 구비한 단자 접속 장치{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 MODU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onnecting device having a light source module,

본 발명은 단자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전면 패널 등에 설치되어 단자 주위에 빛을 비출 수 있는 광원 모듈을 구비한 단자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onne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connection apparatus provided on a vehicle front panel or the like and having a light source module capable of emitting light around a terminal.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전면에는 계기판 외에 차량에 필요한 조작 버튼이나 오디오 장치, 기타 단자 및 슬롯이 위치하는 전면 패널이 탑재된다. 이러한 전면 패널을 통해 운전자는 운전 중에 전면 패널의 버튼을 조작하거나 단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전자기기의 작동, 충전 등의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Generally,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of a vehicle, in addition to the instrument panel, a front panel on which an operation button, an audio device, and other terminals and slots necessary for the vehicle are mounted. This front panel allows the operator to operate the buttons on the front panel during operation or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such as operation and charging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using the terminals.

최근 사람들의 기호가 다양해지면서 차량 전면 패널에 더 많은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운전 중에도 조작 버튼이나 단자를 직접 보지 않고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나, 야간에도 버튼이나 단자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나 기능, 혹은 차량 내부의 인테리어로서 심미감이 있도록 꾸며진 구조 등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Recently, as people's preferences have diversified, more functions are required on the vehicle front panel. For example, the structure or function that can accurately distinguish the buttons or terminals even during operation, the structure or the function that can accurately distinguish the buttons and terminals at night, or the structure that is designed to have aesthetic feel as the interior of the vehicle .

또한, 전면 패널에 설치되는 오디오 단자(AUX 등), 통신 단자(USB 등) 등의 단자를 구비한 단자 접속 장치에는 아직까지 주간 또는 야간 운전 중에 간편하게 식별하고 이용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단자 접속 장치는 운전 중 안전 사고를 유발하는 잠재적인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일례로, 운전자가 운전 중에 외부 기기를 연결하기 위해 오디오 입력 단자(AUX)나 USB 단자를 찾으려고 차량 전면에서 시선을 돌리는 경우, 차량 전방에서의 갑작스런 물체 출현 등의 비상 상황에서 운전자의 상황 대응 시간을 지연시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안전에 적합한 단자 접속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a terminal connection apparatus having terminals such as an audio terminal (AUX or the like)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USB, etc.) provided on the front panel has not yet been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identified and used during daytime or nighttime operation. Therefore,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may be a potential risk factor for causing a safety accident during operation. For example, if a driver turns his or her eyes at the front of a vehicle looking for an audio input terminal (AUX) or a USB terminal to connect an external device during operation, the driver ma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sudden object emergence in front of the vehicle Delays can cause accidents. Thus, a terminal connection device suitable for vehicle safety is required.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981호(2005.08.09)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1981 (2005.08.09)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1929호(2011.09.1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01929 (September 16, 201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2394호(2007.10.1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02394 (Oct. 18, 2007)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20736호(2007.12.2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20736 (December 26, 200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전면 패널의 단자 영역에 빛을 제공함으로써 심미감이 있고, 야간 운전 중 운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음영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고 광을 집중시킬 수 있어 원하지 않는 다른 영역으로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lighting system which has a feeling of esthetics by providing light to a terminal area of a vehicle front panel,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light from leaking to other undesired areas.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자 접속 장치는, 내부 공간과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부와, 하우징의 개구부를 밀봉하여 단자부를 보호하는 하우징 커버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하우징 커버에 광을 조사하는 LED 광원와, 하우징 커버 상에서 단자의 일단부 가장자리와 마주하며 하우징 커버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테두리 조명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including: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opening; a printed circuit board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An LED light sourc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to the housing cover; and an LED light source facing the one end edge of the terminal on the housing cover and facing outward on one side of the housing cover And includes a protruding edge illumination part.

일 실시예에서, 테두리 조명부의 돌출 높이는 0 초과 내지 3㎜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jection height of the edge illumination portion is in a range of more than 0 to 3 mm.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 커버는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의 빛을 받아 2회 이상 광 진행방향을 변경하여 하우징 커버의 전면으로 전달하는 광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여기서, 광 가이드부는 유도 프리즘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cover includes a light guide portion receiving light of an LED (Light Emitting Diode) light source and changing the light traveling direction twice or more to transmit the ligh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wherein the light guide portion includes an induction prism do.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단자 접속 장치는, 내부 공간과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부와, 하우징의 개구부를 밀봉하여 단자부를 보호하는 하우징 커버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하우징 커버에 광을 조사하는 LED 광원을 포함하고, 여기서 하우징 커버는 LED 광원의 빛을 받아 2회 이상 광 진행방향을 변경하여 하우징 커버의 전면으로 전달하는 일체화 구조의 광 가이드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opening; a terminal portion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a terminal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housing cover receives the light of the LED light source and changes the direction of light propagation twice or more to change the light traveling direction of the housing cover, And a light guide portion of an integrated structure for transmitting the light to the front surface.

일 실시예에서, 광 가이드부는 유도 프리즘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guide portion comprises an induction prism.

일 실시예에서, 단자 접속 장치는, 하우징 커버 상에서 단자의 일단부 가장자리와 마주하며 하우징 커버의 일면에서 특정 높이로 돌출하는 테두리 조명부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connection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border illumination portion facing the one end edge of the terminal on the housing cover and projecting to a certain height on one side of the housing cover.

본 발명에 의하면, 광 가이드부의 광 가이드부 내 유도 프리즘과 단자 테두리 부분에 돌출될 테두리 조명부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광원의 빛을 하우징 커버의 전면에 효과적으로 발광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운전자가 주간이나 야간에 단자를 눈으로 보거나 눈으로 보지 않고서도 쉽게 식별하여 이용할 수 있고, 게다가 인테리어의 하나로써 심미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단자 접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guide prism in the light guide portion of the light guide portion and the edge illumination portion projecting to the edge portion of the terminal, light of a different light source can be effectively emit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rminal connection device which can be easily identified and used without looking at the eyes with eyes or eyes, and which can exhibit an aesthetic effect as one of the interio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을 갖는 단자 접속 장치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 접속 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이 장착된 단자부의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 접속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예 따른 단자 접속 장치의 하우징 커버가 제거된 평면도.
도 6은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단자 접속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 접속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자 접속 장치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도 7의 단자 접속 장치의 우측면도.
도 10은 도 7의 단자 접속 장치를 뒤집어 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단자 접속 장치를 우측면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도 7 내지 도 11의 단자 접속 장치의 하우징 커버 내 유도 프리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1 is a front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connection device having a light sourc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 view of a terminal portion on which a light sourc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mounted.
4 is a plan view of a termin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plan view of the termin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th the housing cover removed.
6 is a plan view of a terminal connec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of Fig. 7 as seen from the rear side. Fig.
Fig. 9 is a right side view of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of Fig. 7;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of FIG.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connecting device of Fig. 10 viewed from the right side. Fig.
12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induction prism in the housing cover of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of Figs. 7 to 11. Fi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을 갖는 단자 접속 장치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 접속 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이 장착된 단자부의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 접속 장치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일 실시예예 따른 단자 접속 장치의 하우징 커버가 제거된 평면도이다.FIG. 1 is a front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connection device having a light sourc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 view of a terminal portion on which a light sourc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mounted, and FIG. 4 is a plan view of a termin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plan view of the termin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th the housing cover removed.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을 갖는 단자 접속 장치는, 차량의 전면 패널에 장착되는 단자 하우징(100), 단자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외부 기기와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한 단자부(200), 단자 하우징을 밀봉하여 단자부를 보호하는 하우징 커버(300), 및 단자부 내의 단자를 보호하고 하우징 커버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모듈(400)을 구비한다.1 to 5, a terminal connection apparatus having a light sour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erminal housing 100 mounted on a front panel of a vehicle, at least one A housing cover 300 for sealing the terminal housing by sealing the terminal housing, and a light source module 400 for protecting the terminals in the terminal housing and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housing cover.

단자 하우징(100)은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통 형상으로 제작된다. 물론, 차량 전면 패널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라면, 사각 통 형상 외에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The terminal housing 1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tube whose upper side is opened and whose interior is empty. Of course, any shape other than a rectangular tube shape is possible as long as it can be mounted on the vehicle front panel.

단자 하우징(100)은 하나의 바닥면과 4개의 측면을 구비한다. 측면에는 차량 전면 패널의 장착 홈에 단자 하우징(100)을 고정하기 위한 패널 고정부(110)가 마련된다. 고정부로는 후크와 같은 형상의 돌출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단자 하우징과 마주하는 두 측면에는 하우징 커버를 고정하는 커버 고정부(120)가 마련된다, 커버 고정부는 고정 걸이부로 지칭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단자부와 평면 광원부 등의 부품들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30)가 마련된다.The terminal housing 100 has one bottom surface and four side surfaces. And a panel fixing part 110 for fixing the terminal housing 100 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vehicle front panel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A protruding member having the same shape as a hook can be used as the fixing portion. A cover fixing part 120 for fixing the housing cover is provided on two side surfaces facing the terminal housing. The cover fixing part can be referred to as a fixing part. A fixing member 130 for fixing components such as a terminal portion and a flat light source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terminal housing 100.

단자 하우징(100)의 바닥면에는 하우징 관통홈(140)이 마련된다. 하우징 관통홈(140)을 통해 단자 하우징(100)의 내측의 각 부분에 전원이 공급되고, 각 부분과 통신을 위해 단자 하우징(100)의 상부면에는 단자부의 PCB 커넥터(230)가 노출 설치된다. 여기서, PCB 커넥터(230)는 차량의 전원 공급장치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차량 제어부에 접속되어 차량 제어부와 단자 접속 장치의 제어부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A housing penetration groove 14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housing 100. Power is supplied to each inner part of the terminal housing 100 through the housing penetration groove 140 and the PCB connector 230 of the terminal part is expos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housing 100 for communication with each part . Here, the PCB connector 23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receives power, and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unit, so that the vehicl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단자부(200)는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하우징 커버(300)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210), 단자(210)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220), 및 차량 내부의 전원 및 차량 제어부와의 접속을 위한 PCB 커넥터(230)를 구비한다.The terminal unit 200 includes at least one terminal 210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exposed through the housing cover 300, a printed circuit board 220 on which the terminal 210 is mounted, And a PCB connector 230 for connection with the vehicle control unit.

단자(210)는 USB 단자 또는 오디오 단자 또는 오디오 입력 단자(AUX)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자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자는 AUX 외의 다른 오디오 단자와 USB 단자 이외의 다른 통신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The terminal 210 includes a USB terminal or an audio terminal or an audio input terminal (AUX).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is not limited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have an audio terminal other than the AUX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other than the USB terminal.

인쇄회로기판(220)은 다양한 회로 패턴이 인쇄된 기판을 사용한다. 인쇄회로기판(220)은 단자 하우징(100) 내측에 장착 고정된다. 인쇄회로기판(220)은 단자(21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단자(210)에 접속된 외부 기기와의 차량 제어부 간에 통신을 진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uses a substrate on which various circuit patterns are printed.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is mounted and fixed inside the terminal housing 100.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is designed to supply power to the terminal 210 or communicate with a vehicle control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210. [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220)에는 다수의 회로 소자들이 실장될 수 있고, 단자에 접속된 외부 기기를 인식하거나 단자에 대한 외부 기기의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미도시)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20)에는 차량 내부의 통신 네트워크와 단자에 접속된 외부 기기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인쇄회로기판(220)에는 신호의 증폭이나 변환을 수행하는 신호 변환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의 구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circuit elements can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and a determination unit (not shown) for recogniz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or determining whether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is mounted . Also,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may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between a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vehicle and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terminals. Furthermore,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may be provided with a signal converting unit (not shown) for amplifying or converting signals. Since the structure of such a printed circuit board is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PCB 커넥터(230)는 인쇄회로기판(220)의 일측에 마련되고 차량의 전원 공급부 및 차량 제어부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PCB 커넥터(230)는 차량의 전원부의 전원을 인쇄회로기판(220)의 단자(210)에 인가함으로써 단자(210)에 접속된 외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PCB 커넥터(230)는 차량 제어부에 접속됨으로써 단자(210)에 접속된 외부 기기와 차량 제어부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PCB connector 2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and can b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part of the vehicle and a vehicle control part. In this case, the PCB connector 230 can supply power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210 by applying power from the power source of the vehicle to the terminal 210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The PCB connector 23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unit, so that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210 and the vehicle control uni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인쇄회로기판(220)은 사각 판 형태로 제작되고, 단자 하우징(100) 내측에 인입 고정된다. 단자 하우징(100)의 개구부 영역에 위치한 인쇄회로기판(220)의 소정 영역에는 단자(210)가 마운트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terminal housing 100. A terminal 210 is mounted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located in an opening area of the terminal housing 100.

하우징 커버(300)는 단자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측 즉, 개구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마련된 캡 형상으로 제작된다. 하우징 커버(300)는 하부가 개방된 사각 통 형상으로 제작된다. 즉, 하우징 커버(300)는 하나의 상측면과 4개의 커버 측면을 구비한다. 상측면에는 단자부(200)의 단자(210)가 노출되는 단자 홈(3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두 개의 커버 측면에는 커버 고정부(120)에 고정되는 고정 걸이부(320)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 커버(300)가 단자 하우징(100)에 밀착되고 서로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housing cover 300 is formed in a cap shape so as to cover an opened upper side of the terminal housing 100, that is, an opening area. The housing cover 3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with its bottom opened. That is, the housing cover 300 has one upper side and four cover sides. And a terminal groove 3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portion 200 to expose the terminal 210 of the terminal portion 200. The cover cover 320 is fixed to the cover fixing part 120 on the two cover sides.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housing cover 300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terminal housing 100 and can be firmly fixed to each other.

하우징 커버(300)는 투광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 커버(300)는 불 투광성 재료로 제작가능하다. 그리고, 하우징 커버(300)에는 단자 홈(310) 주변에 단자 명칭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명칭 표시 영역의 광투광성은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것이 시인성에 유리한다. 즉, 하우징 커버(300)가 불투광성 재료로 제작되는 경우, 해당 영역만을 별도의 투광성 재질로 충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300)가 투광성 재료의 표면에 불투광성 물질을 코팅한 경우이면, 명칭 표시 영역은 불투광성 물질이 코팅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다.The housing cover 300 may be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Of course, the housing cover 300 can be made of an opaque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cover 310 is provided with a terminal name on the housing cover 300. In this case, the translucency of the name display area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areas, which is advantageous for visibility. That is, when the housing cover 300 is made of an opaque material, only the corresponding region can be filled with a separate translucent material. Further, if the housing cover 300 is coated with an opaque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translucent material,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opacifying material from being coated on the name display area.

광원 모듈(400)은 하우징 커버(300)에 광을 조사하여 조명 효과를 주기 위한 것이다. 광원 모듈(400)은 단자부(2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LED 광원(410), LED 광원의 빛을 모아 하우징 커버(300)에 조사하는 광 수집부(420)를 구비한다.The light source module 400 irradiates the housing cover 300 with light to provide a lighting effect. The light source module 400 includes at least one LED light source 410 mounted on the terminal unit 200 and a light collecting unit 420 collecting the light of the LED light source and irradiating the light to the housing cover 300.

LED 광원(410)은 광원 모듈의 일례로서 본 실시예는 LED 광원 이외에 LED 광원과 유사한 광원 또는 LED 광원과 대체가능한 다른 광원을 이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LED 광원(410)은 인쇄회로기판(220)에 실장된다. LED 광원(410)은 인쇄회로기판(220)의 전면 또는 배면에 실장될 수 있다.The LED light source 410 is an example of a light source module, and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using a light source similar to the LED light source in addition to the LED light source, or another light source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 LED light source. The LED light source 410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The LED light source 410 may b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r the back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 광원(410)이 단자(210)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220)의 전면에 실장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220)의 실장 면적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LED 광원(410)은 단자(210)의 하측 영역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220)의 전면에 실장된 LED 광원(410)으로 탑 뷰 타입의 LED를 사용하고, 그에 의해 LED 광원(410)에서 나오는 빛이 단자(210)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 when the LED light source 410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on which the terminal 210 is mounted, the effect of the mounting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is The LED light source 41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region of the terminal 210. [ In this case, the top view type LED is used as the LED light source 410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thereby preven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light source 410 from being blocked by the terminal 210 can do.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 광원(410)이 단자(210)가 실장되지 않은 인쇄회로기판(220)의 배면에 실장되는 경우, LED 광원(410)은 인쇄회로기판(220)의 상측 영역 즉, 단자(210)가 실장된 하측 영역에 배치되며, 그에 의해 LED 광원(410)과 인쇄회로기판(220)과의 연결 단자의 일측면이 단자(21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배면 실장의 경우, 사이드 뷰 타입의 LED를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LED광원의 광이 상측 방향 즉, 인쇄회로기판(220)의 장축 연장선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다.2, when the LED light source 410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on which the terminal 210 is not mounted, the LED light source 410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terminal between the LED light source 4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can be protected by the terminal 210.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back surface mounting, a side view type LED can be used, and the light of the LED light source can be emitted upward,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axis extens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한편, LED 광원(410)의 발광을 제어하는 단자 접속 장치의 제어부는 단자 접속 장치 내에 별도의 구성부로 설치될 수 있지만 단자 접속 장치가 차량에 탑재되는 경우 차량의 메인 제어부의 일부 기능부나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의 메인 제어부의 일부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LED 광원(410)은 RGB 색상 중 어느 한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것이 이용될 수 있고, 구현에 따라서 백색광을 방출하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f the LED light source 410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component in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However, when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is mounted on the vehicle, It may be implemented with some components of the main control of the car performing. In addition, the LED light source 410 may be used to emit light of any one of the colors R, G, and B, and emits white light in accordance with implementation.

전술한 설명에서, 도 1에서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20)의 단자 실장면에 실장되는 LED를 전면 LED 광원이라 지칭하고, 도 2에서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20)의 배면에 실장되는 LED를 후면 LED 광원이라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단자 접속 장치는 PCB 광원(410)을 인쇄회로기판(220)의 전면과 후면에 배치하여 인쇄회로기판(220)에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1, the LED mounted on the terminal mounting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is referred to as a front LED light source, and the LED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as shown in FIG. 2, May be referred to as a back LED light source.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can supply power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by arranging the PCB light source 410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한편, 상술한 LED 광원(410)은 점광원 형태로 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LED 광원(410)과 마주하는 영역에 광이 집중된다. 이것은 단자(210)가 노출되는 하우징 커버(300)의 전면에 균일한 휘도를 형성하기 어려워 시인성을 좋지 않게 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LED light source 410 emits light in the form of a point light source, light is concentrated in a region facing the LED light source 410. This makes it difficult to form a uniform brightness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300 where the terminals 210 are exposed, and the visibility may be poor.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LED 광원(410)의 광을 모아 하우징 커버(300)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광 수집부(420)를 통해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다.In this embodiment, the light collecting unit 420 collects the light of the LED light source 410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cover 300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즉, 광 수집부(420)는 하우징 커버(30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사각 띠 형태의 상측면(421), 상측면(421)의 일측 장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일측이 인쇄회로기판(220)에 접촉하는 반사면(422), 상측면(421)의 타측 장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후측 연장면(423), 후측 연장면(423)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인쇄회로기판(220)에 접촉하는 수직면(424), 상측면의 양 단변에서 반사면(424)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고 인쇄회로기판(220)에 접촉하는 2개의 제1 측부 연장면(425), 제1 측부 연장면(425)에서 일부가 이격되고 상측면의 양 단변에서 후측 연장면(423)과 수직면(424)을 따라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220)에 접촉하는 2개의 제2 측부 연장면(426)을 구비한다.That is, the light collecting unit 420 includes an upper side 421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and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300, a lower side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one long side of the upper side 421, A rear extended surface 42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ther long side of the upper side surface 421 and a rear extended surface 423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Two first side extension surfaces 425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reflective surface 424 at both short sides of the upper side and contac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Two second side extension surfaces 426 that are spaced apart from the side extension surface 425 and extend along the back side extension surface 423 and the vertical side surface 424 at both sides of the top side to contact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

제1 및 제2 측부 연장면(425, 426)의 이격 공간에 인쇄회로기판(220)이 끼워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반사면(422)과 2개의 제1 측부 연장면(425) 그리고 인쇄회로기판(220)의 상면은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전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후측 연장면(423), 수직면(424), 2개의 제2 측부 연장면(426) 및 인쇄회로기판(220)의 배면은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후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내부 공간을 통해 LED 광원(410)의 빛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하우징 커버(300)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광 수집부(420)는 컵 형태의 구조로 단자(210)는 물론, LED 광원(41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is fitted and fixed in the spacing sp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extension surfaces 425 and 426. With this structure, the reflective surface 422, the two first side extension surfaces 42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form an empty space (front inner space). The rear extended surface 423, the vertical surface 424, the two second side extended surfaces 426, and the back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form an empty space (rear inner space). The light of the LED light source 410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inner space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cover 300 without exiting to the outside. The light collecting part 420 can protect the LED light source 410 as well as the terminal 210 from an external impact by a cup-shaped structure.

상측면(421)은 사각 띠 형상으로 제작되도, 하우징 커버(300)의 내측면 사이즈와 오차 범위(1% ~ 3% 정도) 내에서 일치하도록 제작된다. 상측면(421)은 하우징 커버(300)에 밀착된다. 이를 통해 LED 광원(410)의 빛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The upper side surface 421 is form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inner side size of the housing cover 300 within an error range (about 1% to 3%) even if the upper side surface 421 is formed in a rectangular band shape. The upper surface 4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cover 300. The light of the LED light source 4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반사면(422)은 상측면(421)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1 면과, 제1 면에서 인쇄회로기판(220)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면을 구비한다. 반사면의 제2 면은 인쇄회로기판(220)에 밀착된다. 제2 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 형태로 제작된다.The reflective surface 422 has a first surfac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421 and a second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The second surface of the reflective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And the second surface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본 실시예에서 반사면(422)의 내측면에는 광을 반사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 반사 구조는 반사면(422)의 내측면을 표면 연마 등을 통해 매끄럽게 형성하는 것이나, 별도의 반사 시트나 코팅재를 배치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광 반사 구조의 형성시, 최소한 LED 광원(410)과 마주하는 반사면(422)의 제2 면에 광 반사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것은 제2 면이 LED 광원(410)의 광을 하우징 커버(300)의 전면 측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더욱 효과적인 광 분산을 위해 제2 면 상에는 다수의 요철부(반사패턴, 반사막 등)이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structure for reflecting light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flecting surface 422. [ Such a light reflection structure can be realized by smoothly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flection surface 422 through surface polishing or the like, or by disposing a separate reflection sheet or coating material. It is effective to form a light reflecting structure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reflecting surface 422 facing at least the LED light source 410 at the time of forming the above described light reflecting structure. This is because the second surface is provided so as to reflect the light of the LED light source 410 to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cover 300.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portions (reflection patterns, reflective films, etc.)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for more effective light dispersion.

후측 연장면(423)은 상측면의 타측 장변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후측 연장면(423)은 후면 LED 광원(410)의 실장 영역 아래 부분까지 연장된다. 인쇄회로기판(220)의 일변에서 후면 LED 광원(410)까지의 거리를 1로 할 경우, 후측 연장면(423)의 길이는 1.3 내지 3일 수 있다.The rear side extending surface 423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other long side of the upper sid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rear extended surface 423 extends to a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area of the rear LED light source 410. When the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to the rear LED light source 410 is 1, the length of the rear extended surface 423 may be 1.3 to 3.

수직면(424)은 후측 연장면(4230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수직면(424)의 일면은 인쇄회로기판(422)에 밀착될 수 있다.The vertical surface 424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ear extended surface 4230. One surface of the vertical surface 424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422. [

제1 측부 연장면(425)은 상측면(421)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하되, 반사면(422)과 인쇄회로기판(220)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다. 이를 통해 2개의 제1 측부 연장면(425)과 반사면(422) 그리고 인쇄회로기판(220)은 광이 집중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더욱이 제1 측부 연장면(425)은 인쇄회로기판(220)과 밀착됨으로 인해 광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현에 따라서 제1 측부 연장면(425)는 대략 부채꼴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side extension surface 425 extends downwardly from the upper side 421 and extends downward along the reflective surface 422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Whereby the two first side extension surfaces 425, the reflection surface 422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form an internal space through which light can be concentrated. In addition, the first side extension surface 42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to prevent light from leaking out.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first side extension surface 425 may have a generally fan-shaped configuration.

제2 측부 연장면(426)은 상측면(421)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하되, 후측 연장면(423)을 따라 하측으로 수직면(424)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제2 측부 연장면(426)의 일측은 인쇄회로기판(220)에 접촉된다. 이를 통해 2개의 제2 측부 연장면(426)과 후측 연장면(423), 수직면(424) 및 인쇄회로기판(220)은 광이 집중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제2 측부 연장면(426)도 인쇄회로기판(220)에 밀착되며 그에 의해 광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측부 연장면(426)은 사각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extension surface 426 extends downwardly from the upper side 421 and extends downwardly along the rear extension surface 423 to the vertical side 424. One side of the second side extension surface 426 is in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The two second side extension surfaces 426 and the rear extension surface 423, the vertical surface 424,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form an internal space in which light is concentrated. The second side extension surface 426 is also in close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thereby preventing light from leaking out.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ide extension surface 426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 수집부(420)는 LED 광원(410)의 실장 위치에 따라 2개의 광 집중을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광 수집부(420)는 LED 광원(410)과 단자(210)를 둘러쌓기 때문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이들을 보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 collecting unit 42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form an internal space for focusing two light beams according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ED light source 410. [ Since the light collecting unit 420 surrounds the LED light source 410 and the terminal 210, the light collecting unit 420 can protect them from external impacts.

또한, 제1 및 제2 측부 연장면(425, 426)은 상측면(421)에서 연장되지만, 구현에 따라서 이 둘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경우, 이격 공간에 인쇄회로기판(22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인쇄회로기판(220)은 이격 공간에 끼워지는 부분에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 홈은 인쇄회로기판(220)이 광 수집부(420)의 이격 공간에 삽입된 후 이탈하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광 수집부(420)가 인쇄회로기판(2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Also,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side extension surfaces 425 and 426 extend from the upper side 421, a spacing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two. In that case,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ing space. At this time,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may have a groove at a portion to be fitted in the spacing space. This groove prevents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from being detached and mov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pacing space of the light collecting part 420.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ight collecting unit 420 is stably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상술한 설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220)의 전면(단자 실장면)과 배면에 각각 LED 광원(410)이 실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인쇄회로기판의 어느 일면에만 LED 광원(410)이 실장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그 경우, 장치의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광 수집부(420)의 형상은 그에 맞게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수집부(420)는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서 설치된 LED 광원으로부터 수집된 광을 하우징 커버(300)에 균일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광가이드 격벽이나 반사부재, 산란 유도 패턴 등을 구비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LED light source 410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terminal mounting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and includes a case where the LED light source 410 is mounted on only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is case, the overall size of the apparatus can be reduced, and the shape of the light collecting unit 420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accordingly. For example, the light collecting unit 420 may include a separate light guide partition wall, a reflecting member, a scattering inducing pattern, or the like in order to uniformly provide the collected light from the LED light sourc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the housing cover 300 .

도 6은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단자 접속 장치의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of a termin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접속 장치는, 하우징 커버(300)의 상측면의 단자홈(310) 둘레에 테두리 조명부(330)를 두어 하부 광 수집부(420)에 의한 광이 테두리 조명부(33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6, the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dge illumination unit 330 around the terminal groove 310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cover 300, So that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dge illumination unit 330.

테두리 조명부(330)은 전술한 명칭 표시 영역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border illumination unit 330 may be configured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name display area.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는 야간에도 테두리 조명부(330)에서 나오는 조명에 의해 단자의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driver can easily and accurately grasp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by illumination emitted from the edge illumination unit 330 at night.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자 접속 장치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단자 접속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7의 단자 접속 장치를 뒤집어 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단자 접속 장치를 우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of Fig. 7 viewed from the rear side, and Fig. 9 is a right side view of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of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of Fig. 7 turned upside dow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of Fig. 10 viewed from the right side.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접속 장치는, 내부 공간과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미도시),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220)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단자(210)를 구비하는 단자부, 하우징의 개구부를 밀봉하여 단자부를 보호하는 하우징 커버(300A), 인쇄회로기판(220)에 실장되어 하우징 커버(300A)에 광을 조사하는 LED 광원(410)을 구비한다.7 to 11, the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not shown)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opening, a printed circuit board 220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a printed circuit board A housing cover 300A for sealing the openings of the housing to protect the terminals, an LED light source 410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and for illuminating the housing cover 300A with light, Respectively.

본 실시예의 단자 접속 장치는, 하우징 커버(300A)가 유도 프리즘의 광 가이드부(350)을 구비하고, 테두리 조명부(330A)가 돌출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단자 접속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he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housing cover 300A has the light guide portion 350 of the guide prism and the edge illumination portion 330A has the protruding structur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described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단자 접속 장치의 구성요소 및 이들의 연결관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하우징은 상술한 단자 하우징과 유사한 형태나 구조를 구비할 수 있고, 구현에 따라서 상술한 단자 하우징과 달리 하우징 커버(300A)를 제외하고 단자부와 광원을 포위하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구현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으며, 그 경우 하우징은 차량 전면 패널 자체가 그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단자 접속 장치는 차량 전면 패널의 구조에 따라 하우징이 생략된 채로 차량 전면 패널에 탑재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have a shape or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terminal housing described above and, unlike the terminal housing described above, the housing cover 300A,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light source can be surrounded. Also, the housing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in which case the housing may be replaced by the vehicle front panel itself. That is,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ounted on the vehicle front panel with the housing o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front panel.

단자부는 단자(210), 인쇄회로기판(220) 및 서로 다른 두 종류의 PCB 커넥터(230)를 구비한다. 단자(210)는 오디오 입력 단자(AUX) 및 USB 단자를 포함한다. 단자(210), 인쇄회로기판(220) 및 PCB 커넥터(230)는 상술한 실시예의 대응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The terminal portion includes a terminal 210, a printed circuit board 220, and two different types of PCB connectors 230. The terminal 210 includes an audio input terminal (AUX) and a USB terminal. The terminals 210,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and the PCB connector 23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하우징 커버(300A)는 단자 홈(310), 테두리 조명부(330A) 및 광 가이드부(35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커버(300A)는 구조 전체가 소정의 광 투과율을 구비하며 LED 광원(410)의 빛에 의해 구조 전체가 발광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The housing cover 300A has a terminal groove 310, a border illumination portion 330A, and a light guide portion 350. [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cover 300A has a predetermined light transmittance as a whole and can be made to emit light by the light of the LED light source 410 as a whole.

또한, 하우징 커버(300A)에 있어서, 단자 홈(310)은 하우징 커버의 전면(301)에서 단자(210)의 일단부를 외부에 노출하기 위한 개구부이다. 단자 홈(310)은 단자의 단면 형태(원형, 사각형 등)에 대응하는 모양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단자 홈(310)에는 두 단자들(210) 즉, 오디오 입력 단자와 UBS 단자가 각각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 커버의 전면(301)에는 단자의 이름이 각 단자 하부측의 명칭 표시 영역에 'AUX' 및 'USB'로 각각 표시되어 있다.In the housing cover 300A, the terminal groove 310 is an opening for exposing one end of the terminal 210 from the front surface 301 of the housing cover to the outside. The terminal groove 3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sectional shape (round, square, etc.) of the terminal. In this embodiment, two terminals 210, that is, an audio input terminal and a UBS terminal ar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two terminal grooves 310, respectively. In the front face 301 of the housing cover, names of the terminals are indicated as 'AUX' and 'USB' in the name display area on the lower side of each terminal.

테두리 조명부(330A)는, 하우징 커버(300A) 상에서 단자(210)의 말단부 가장자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하우징 커버의 일면(301)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테두리 조명부(330A)는 하우징 커버의 전면(301)의 표면에서 소정 높이(h1)로 돌출된다. 테두리 조명부(330A)를 소정 높이로 돌출시키면, 운전 중에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 전면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운전자는 단자 접속 장치를 쳐다보지 않고 손의 촉감을 통해 용이하게 원하는 단자를 정확하게 찾아 이용할 수 있다.The edge illumination portion 330A is disposed on the housing cover 300A so as to face the terminal edge of the terminal 210 and protrudes outward from one surface 301 of the housing cover. The edge illumination unit 330A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h1 from the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301 of the housing cover. When the rim lighting portion 330A is protrud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driver can easily find and use a desired terminal with ease by touching the hand without looking at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even when the driver's line of sight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vehicle during operation .

전술한 테두리 조명부(330A)의 높이(h1)는 외부 기기(오디오 입력 장치, USB 장치)와 단자(21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들 간의 전기적인 접촉을 안정하기 확보할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테두리 조명부의 높이(h1)는 0초과 내지 약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3㎜를 초과하면, 단자와 외부 기기 간의 전기적인 접촉을 불량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흔들리는 차량에서 외부 기기와 단자 간의 전기적인 접촉 불량은 외부 기기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접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Since the height h1 of the edge illumination unit 330A can form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external device (the audio input device and the USB device) and the terminal 210, th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m can be secured . For example, the height h1 of the edge illumination portion is preferably in a range of more than 0 to about 3 mm. If it exceeds 3 mm, th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can be deteriorated. In particular, in a shaky vehicle, it is necessary to take care to ensure a stable contact because the electrical contact failure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terminal may cause failure of the external device.

광 가이드부(350)는 인쇄회로기판(220)의 길이 방향에서 그 일단부가 광 가이드부의 측면을 눌러 광 가이드부를 일정 깊이만큼 압착하는 구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예컨대, 입 벌린 조개 모양의 구조)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단자(210)의 일단부가 하우징 커버의 전면(301)에 용이하게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조는, 인쇄회로기판의 양면에 실장된 복수의 LED 광원(410) 중 인쇄회로기판(220)의 전면에서 인쇄회로기판을 게재하고 단자(210)와 마주하는 영역에 배치된 제1 LED 광원(410)과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서 단자(210)의 뒤쪽(하우징 커버의 전면 기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LED 광원(410)으로부터의 입사 광을 효과적으로 하우징 커버의 전면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light guide unit 350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light guide unit 350 presses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to press the light guide unit by a predetermined depth. Such a structure (for example, an opening structure of the mouth) is for allowing one end of the terminal 210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be easily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301 of the housing cover.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be applied to a case where a printed circuit board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220 among a plurality of LED light sources 410 mounted on both surfaces of a printed circuit board, 1 LED light source 410 and at least one second LED light source 410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210 (on the front face of the housing cover) from the rear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cover So as to be guided.

본 실시예의 광 가이드부(350)는 기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하우징 커버(300)와 광 수집부(420)의 일체형 구조로서 개선된 구조를 구비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광 가이드부(350)의 전면에서 배면으로의 길이는 인쇄회로기판을 기준으로 그 상부측에 위치한 제1 광 가이드부의 길이가 그 하부측에 위치한 제2 광 가이드부의 길이보다 짧다. 또한, 광 가이드부(350)는, 인쇄회로기판(220)의 전면에 실장된 하나의 LED 광원(410)와 후면에 실장된 두 개의 LED 광원(410)에서 방출되는 광을 받고, 광의 진행 방향을 적어도 2회 이상 절곡하여 하우징 커버의 전면(301)에 균일하게 조사하도록 구성된다.The light guide unit 350 of the present embodiment basically has an improved structure as an integral structure of the housing cover 300 and the light collecting unit 42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More specifically, the length from the front surface to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guide portion 35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light guide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light guide portion located on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light guide unit 350 receives the light emitted from one LED light source 410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and the two LED light sources 410 mounted on the rear surface, Is bent at least twice to uniformly illuminate the front surface (301) of the housing cover.

이를 위해, 광 가이드부(350)는 유도 프리즘 구조를 구비한다. 유도 프리즘은 광 굴절 및 집광/분산을 원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프리즘을 지칭한다. 이러한 유도 프리즘은 적어도 일면에 광 굴절 및 분산을 위한 렌즈부 또는 요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 프리즘은 LED 모듈의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o this end, the light guide portion 350 has an inductive prism structure. The guiding prism refers to a prism that is designed to guide light refraction and light condensation / dispersion in a desired direction. Such an induction prism may have a lens portion or concave-convex portion for at least one surface to refract and disperse light. Since such an inductive prism is well known to be widely used in a backlight unit of an LED modul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LED 광원(410)은 복수의 LED 모듈을 포함한다. LED 모듈은 고효율을 위해 동종 제품의 동일 순방향 전류 조건하에서 순방향 전압이 낮은 제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ED 광원(410)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원공급용 컨버터(미도시)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전원공급용 컨버터는 세 개의 LED 모듈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LED light source 410 includes a plurality of LED modules. For high efficiency, it is desirable that the LED module use a product having a low forward voltage under the same forward current condition of the same type of product. In addition, the LED light source 410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converter (not shown)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convert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hree LED modules.

도 12는 도 7 내지 도 11의 단자 접속 장치의 하우징 커버 내 유도 프리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12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induction prism in the housing cover of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of Figs. 7 to 11. Fig.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단자 접속 장치에 이용되는 유도 프리즘은 광 가이드부로서 하우징 커버(300A) 내에 탑재된다. 즉, 유도 프리즘으로 형성되는 광 가이드부(도 11의 350 참조)는 인쇄회로기판(22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LED 광원(410)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입사된 광을 적어도 2회 굴절시켜 하우징 커버(300A)의 내부에서 하우징 커버의 전면(301)에 조사하도록 기능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induction prism used in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of this embodiment is mounted in the housing cover 300A as a light guide portion. That is, when light is incident from the LED light source 410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the light guide part (refer to 350 in FIG. 11) And refracts and functions to irradiate the inside of the housing cover 300A to the front surface 301 of the housing cover.

여기서, LED 광원(410)에서 출사된 광은 하우징 커버(300A)의 외부에서 일측(하우징 커버의 뒤쪽 부분으로서 LED 광원과 마주하는 부분)으로 입사되면서 그 경계면(302)에서 굴절율의 차이와 입사각의 크기에 따라 소정 각도만큼 1차로 굴절되고, 하우징 커버(300A)의 내부에서 직진하여 하우징 커버(300A)의 내벽에 적어도 1회 이상 반사되어 2차로 굴절된 후 하우징 커버의 전면(301)에 조사된다.He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light source 410 is incident on one side (a portion facing the LED light source as a rear portion of the housing cover)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cover 300A, and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and the angle of incidence Is deflec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size and is linearly reflected inside the housing cover 300A and reflected at least once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cover 300A to be refracted secondarily and then irradiated to the front face 301 of the housing cover .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유도 프리즘이 내장된 하우징 커버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LED 광원에서의 빛을 효과적으로 집광 및 분산하여 하우징 커버의 전면에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고, 하우징 커버 전면에서의 음영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원하는 영역에 광을 집중시키거나 원하지 않는 다른 영역으로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테두리 조명부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도 촉감 등을 통해 운전자가 쉽게 단자를 식별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light from the plurality of LED light sources can be effectively condensed and dispersed to be uniformly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by using the housing cover with the induction prism incorporated therein. The light can be minimized, the light can be concentrated in a desired area, the light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another area that is not desired, and the edge illumination part can easily identify and use the terminal through the touch, etc. in various situations have.

이상에서와 같이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ombinations and permutations and applications not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that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단자 하우징 200: 단자부
210: 단자 220: 인쇄회로기판
230: PCB 커넥터 300, 300A: 하우징 커버
330, 330A: 테두리 조명부 350: 광 가이드부
400: 광원 모듈 410: LED 광원
420: 광 수집부
100: terminal housing 200: terminal portion
210: terminal 220: printed circuit board
230: PCB connector 300, 300A: housing cover
330, 330A: a border illumination part 350: a light guide part
400: light source module 410: LED light source
420: light collecting part

Claims (6)

내부 공간과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부;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밀봉하여 상기 단자부를 보호하는 하우징 커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에 광을 조사하는 LED 광원; 및
상기 하우징 커버 상에서 상기 단자의 일단부 가장자리와 마주하며 상기 하우징 커버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테두리 조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 장치.
A housing having an interior space and an opening;
A terminal portion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a terminal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housing cover sealing the opening of the housing to protect the terminal portion;
An LED light sourc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illuminate the housing cover; And
An edge illumination unit facing the one end edge of the terminal on the housing cover and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And a terminal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termina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조명부의 돌출 높이는 0 초과 내지 3㎜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rojecting height of the edge illumination part is in a range of more than 0 to 3 m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LED 광원의 빛을 받아 2회 이상 광 진행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의 전면으로 전달하는 광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광 가이드부는 유도 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cover includes a light guiding part receiving the light of the LED light source and changing the light traveling direction twice or more to transmit the ligh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and the light guiding part includes an induction prism. .
내부 공간과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부;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밀봉하여 상기 단자부를 보호하는 하우징 커버;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에 광을 조사하는 LED 광원;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LED 광원의 빛을 받아 2회 이상 광 진행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의 전면으로 전달하는 일체화 구조의 광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 장치.
A housing having an interior space and an opening;
A terminal portion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a terminal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housing cover sealing the opening of the housing to protect the terminal portion; And
An LED light sourc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illuminate the housing cover;
/ RTI >
Wherein the housing cover includes a light guide part having an integrated structure for receiving the light of the LED light source and changing the light traveling direction twice or more to transmit the ligh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 또는 상기 광 가이드부는 유도 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ousing cover or the light guide portion includes an induction pris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 상에서 상기 단자의 일단부 가장자리와 마주하며 상기 하우징 커버의 일면에서 특정 높이로 돌출하는 테두리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border illumination unit (130) facing the edge of one end of the terminal on the housing cover and protruding to a specific height on one side of the housing cover.
KR20130082177A 2013-07-12 2013-07-12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 module KR1014886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177A KR101488689B1 (en) 2013-07-12 2013-07-12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 module
US14/904,468 US9660395B2 (en) 2013-07-12 2014-02-06 Terminal connection device having light source module
PCT/KR2014/001016 WO2015005557A1 (en) 2013-07-12 2014-02-06 Terminal connection device having light source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177A KR101488689B1 (en) 2013-07-12 2013-07-12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754A true KR20150007754A (en) 2015-01-21
KR101488689B1 KR101488689B1 (en) 2015-02-04

Family

ID=5257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2177A KR101488689B1 (en) 2013-07-12 2013-07-12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68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387Y1 (en) * 2018-05-15 2019-01-23 비클시스템주식회사 USB connector socket for treating light
KR101972358B1 (en) * 2017-12-28 2019-08-16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Lighting device for vehicle's usb install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600Y1 (en) * 2006-10-26 2008-02-2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Handsfree device for vehicle
JP2008147077A (en) 2006-12-12 2008-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n-vehicle electronic device
JP5098579B2 (en) * 2007-10-31 2012-12-1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External connector connector holder for electronic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358B1 (en) * 2017-12-28 2019-08-16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Lighting device for vehicle's usb install apparatus
KR200488387Y1 (en) * 2018-05-15 2019-01-23 비클시스템주식회사 USB connector socket for treating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689B1 (en)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0395B2 (en) Terminal connection device having light source module
KR101351451B1 (en)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 module
CN108603648A (en) lamp and vehicle with lamp
JP4946998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JP2013062074A (en) Combination lamp of vehicular lamp fitting
KR20170064665A (en) Light unit and Lamp unit for automobile of using the same
US7592561B2 (en) Illuminated switch
KR101488689B1 (en)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 module
CN108224351B (en) Lighting unit
JP2010149763A (en) Lighting system
JP2010149762A (en) Lighting system
JP7440315B2 (en) Vehicle lights
CN112136171B (en) Electrical device for a vehicle pedal
KR101461176B1 (en) External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CN108375038A (en) Automotive lamp and motor vehicle
KR101726036B1 (en) Terminal device
KR102594479B1 (en) Switch knob and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having the same
KR101966507B1 (en) Lightning apparatus of clock for vehicle using dual prism
JP2016130039A (en) Lighting structure for vehicle
JP6565255B2 (en) Light alarm device and lens thereof
JP5589930B2 (en) Lighting device
JP7115103B2 (en) ETC antenna
CN211698981U (en) Electronic equipment
US20210188174A1 (en) Bsm unit
JP5794351B2 (en) L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