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135A - An igni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multiple safety switches - Google Patents

An igni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multiple safety switch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135A
KR20150007135A KR20130081151A KR20130081151A KR20150007135A KR 20150007135 A KR20150007135 A KR 20150007135A KR 20130081151 A KR20130081151 A KR 20130081151A KR 20130081151 A KR20130081151 A KR 20130081151A KR 20150007135 A KR20150007135 A KR 20150007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switch
control
cable
igni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11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78053B1 (en
Inventor
김도형
이승재
이재엽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30081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053B1/en
Publication of KR20150007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1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0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8/00Practice or training ammunition
    • F42B8/12Projectiles or miss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An igni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multiple safety switches comprises: a test body; and an ignition control device which can be separated from a rack for supporting the test body. The ignition control system can completely and physically block a path for supplying ignition power to an initiator of the test body as much as the number of multiple switches. The switches are controlled one by one in a preset order in order to connect the path for supplying ignition power in order. In addition, the ignition control system includes an emergency stop switch so that a user can stop functions related to ignition control. Therefore, the ignition control system can prevent damage to reliability and safety in performing ignition control even when separating or moving the ignition control device, and can provide high reliability and safety in performing ignition control.

Description

다중 안전 스위치를 포함하는 점화통제시스템{AN IGNI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MULTIPLE SAFETY SWITCHE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gni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multiple safety switches,

본 발명은 점화통제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특히 미사일(missile) 추진 기관의 지상시험시 점화통제를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gnition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safely performing ignition control during a ground test of a missile propulsion engine.

미사일 체계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새로운 미사일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새로 개발된 미사일을 발사 시험을 위한 점화통제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issile system, it was required to develop various new missil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gnition control system for launching a newly developed missile.

점화통제시스템은 미사일 착화기의 안정적인 점화, 점화전류 및 그 시퀀스(sequence)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뿐만 아니라 점화통제 시스템 자체의 점검 및 미사일 시험 시나리오 모의(simulation), 그리고 점화통제와 관련된 모든 상태 정보를 전시하는 등의 점화통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The ignition control system is for precisely controlling the stable ignition, ignition current and sequence of the missile igniter. In addition to this, it also performs ignition control tasks such as checking the ignition control system itself, simulating the missile test scenario, and displaying all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ignition control.

그런데 현재의 점화통제시스템은 연소시험장에 점화통제장치가 고정된 인프라(Infra) 형태로 구축된다. 따라서 다른 발사장에서 미사일에 대한 시험이 수행될 경우에는 연소시험장에 고정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기반의 점화통제장치를 고정형 랙(lack)에서 분리하여야 한다. 그리고 다시 이동형 랙에 조립하여 발사장으로 옮기는 형태로 점화통제가 수행된다. 그리고 이처럼 점화통제시스템에서 점화통제장치를 분리, 재조립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조립의 정확도에 따라 그 안전도 및 신뢰도가 손상된다.However, the present ignition control system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n infra in which the ignition control device is fixed in the combustion test site. Therefore, if the missile is tested at another launch site, the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based ignition control system fixed to the combustion test site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fixed rack. Then, the ignition control is carried out in such a way that it is assembled in the movable rack and transferred to the bulb. If the ignition control system is separated and reassembled in such an ignition control system,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ignition control system are impaired according to the accuracy of the assembly.

따라서 현재의 점화통제시스템은 신뢰성 및 그 안전도가 낮고, 점화통제의 수행에 있어서도 그 효율이 크게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gnition control system ha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and safety of the ignition control system is low, and the efficiency of the ignition control system is greatly reduced.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신뢰성 및 안전도가 높은 점화통제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gnition control system with higher reliability and safety.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점화통제장치를 분리, 조립 및 이동하는 경우에 점화통제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그 신뢰성 및 안전도가 손상되지 않는 점화통제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gnition control system in which the reliability and safety are not impaired in performing ignition control when the ignition control device is separated, assembled and mov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시스템은, 시험체와, 상기 시험체와 점화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시험체에 상기 점화케이블을 통해 점화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시험체의 시험발사 및 점화통제를 수행하는 점화통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점화통제장치는 상기 점화케이블을 분리하는 것으로 상기 시험체와 쉽게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gni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st body, a test body connected to the test body by an ignition cable, and supplying ignition power to the test body through the ignition cable, And the ignition control device separates the ignition cable so that the ignition control devic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est body.

또한 상기 점화통제장치는, 점화전원을 공급하는 점화전원 공급기와, 점화전원이 상기 점화케이블에 공급되는 경로인 전로를 분리 또는 연결하는 다중 안전 스위치들과, 기 설정된 점화통제 순서에 따라 상기 다중 안전 스위치들을 제어하여 상기 점화케이블에 점화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점화제어기와, 기 설정된 임계값이하의 측정 전류를 사용하여 점화저항을 측정하는 점화저항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gnition control device further includes an ignition power supply for supplying ignition power, multiple safety switches for disconnecting or connecting the converter,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the igni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ignition cable, An igni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power to be supplied to the ignition cable by controlling the switches, and an ignition resistance meter for measuring the ignition resistance using a measurement current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또한 상기 점화통제장치는 비상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화통제장치는, 상기 비상 스위치가 입력되면 상기 점화통제에 관련된 모든 기능을 즉각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gnition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switch, wherein the ignition control device immediately stops all functions related to the ignition control when the emergency switch is input.

또한 상기 점화통제장치는, 비상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화제어기는, 상기 비상 스위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다중 안전 스위치들을 제어하여 점화전원을 상기 점화케이블에 공급하는 것을 즉각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gnition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switch, wherein, when the emergency switch is input, the ignition controller immediately controls stopping the supply of the ignition power to the ignition cable by controlling the multiple safety switches do.

또한 상기 다중 안전 스위치는, 상기 점화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로를 연결하는 점화안전 플러그(plug) 스위치와, 상기 점화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로를 연결하여 상기 시험체의 점화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점화 1 스위치와, 상기 점화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로를 연결하여 상기 시험체의 점화 상태로 진입하는 점화 2 스위치와, 상기 시험체가 점화 상태에 진입하면, 상기 점화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점화케이블로 상기 점화전원을 공급하는 점화전원 출력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ultiple safety switch may further comprise an ignition safety plug switch for connecting the convert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ignition controller, and an ignition switch for connecting the ignition controller to the ignition standby state, 1 switch, an ignition 2 switch connected to the convert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ignition controller to enter an ignition state of the test bod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switch And an ignition power output circuit for supplying ignition power.

또한 상기 점화전원 출력회로는,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전로와 상기 점화케이블을, 상기 점화제어기의 제어가 있는 때에만 연결하는 점화저항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ignition power output circuit includes an ignition resistance switch that connects the ignition cable and the converter in a completely separated state only when the ignition controller is under control.

따라서 본 발명은 점화통제장치를 독립적인 형태로 구현하여 점화통제시스템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화통제장치를 분리 및 이동하는 경우에도 점화통제를 수행하는데 있어 그 신뢰성 및 안전도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ignition control system by implementing the ignition control device in an independent form so that even when the ignition control device is separated and moved, the reliability and safety of the ignition control are not compromised It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점화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다중 스위칭 기법을 통해 물리적으로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서 점화통제에 있어 높은 신뢰성 및 안전도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ignition power is supplied is physically completely blocked by the multiple switching technique, thereby providing high reliability and safety in ignition contro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안전 스위치를 포함하는 점화전원 제어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플러그가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된 점화안전 플러그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전원 제어모듈의 점화 스위치들이 모의 저항에 연결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장치가 점화통제와 관련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제어기가 경고음 발생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장치가 원격 제어부와 연결되어 점화전원 공급기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부가 이격되어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장치에서 점화통제를 수행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gni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ignition power control module including multiple safety switc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n ignition safety plug switch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plug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example in which ignition switches of an ignition power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a simulated resistor.
FIG. 5 is a view showing an igni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ignition control.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gnition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rning sound generator.
7 is a view showing an igni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remote control unit to control an ignition power supply.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remote controller is installed apart from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ignition control in the igni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comprises" Or "include." Should not be construed to encompass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portions may not be included, or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And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Further, in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obscur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시험체 및 시험체를 지지하는 랙과 별도로 분리될 수 있는 형태로 점화통제장치를 구현하며, 시험체의 착화기에 점화전원을 공급하는 경로가 복수개의 스위치들의 개수만큼 물리적으로 완전히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들을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하나하나 제어하여 상기 점화전원이 공급되는 경로가 차례대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비상 중지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언제든지 점화통제에 관련된 기능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facilitat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ic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gnition control device is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separated from a rack supporting a test body and a test body. So that the supplying path can be physically completely blocked by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The switches are controlled one by one in a predetermined order so that the paths to which the ignition power is supplied can be sequentially connected. And an emergency stop switch so that the user can stop the ignition control related function at any tim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점화통제장치를 분리 및 이동하는 경우에도 점화통제를 수행하는데 있어 그 신뢰성 및 안전도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점화통제를 수행함에 있어 보다 높은 신뢰성 및 안전도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ignition control device is separated and moved, the reliability and safety of the ignition control are not compromised,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er reliability and safety in performing ignition control. It is effective.

도 1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gni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장치(100)는 시험체(130) 또는 시험체(130)가 설치된 랙과 분리된 독립적인 형태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장치(100)는 시험체(130)와 점화케이블(120)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점화통제장치(100)는 상기 점화케이블(120)의 분리를 통해 시험체(130) 또는 시험체(130)가 고정된 랙과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점화통제장치(100)는 시험체(130)의 점화를 위한 점화전원을 상기 점화케이블(120)을 통해 공급한다. 1, an ignition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type separated from a rack in which a test body 130 or a test body 130 is installed. The ignition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test body 130 through the ignition cable 120. [ Therefore, the igni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ack in which the test body 130 or the test body 130 is fixed through separation of the ignition cable 120.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supplies ignition power for ignition of the test body 130 through the ignition cable 120. [

따라서 점화통제장치(100)는 이동시, 시험체(100) 또는 시험체(100)가 설치된 랙으로부터 점화케이블(130)을 분리하는 것으로 쉽게 분리되어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조립 또한 단순히 점화케이블(130)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시험체(130)와 쉽게 연결될 수 있다. Therefore, the igni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be easily separated and moved by separating the ignition cable 130 from the test body 100 or the rack in which the test body 100 is installed. The assembly can also be easily connected to the test body 130 simply by connecting the ignition cable 130.

또한 점화통제장치(100)는 원격제어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부(150)는 광케이블 또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점화통제장치(100)가 인터넷이 연결가능한 곳으로 이동하는 경우, 점화통제장치(100) 및 시험체(130)만 이동하고 원격제어부(150)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점화통제장치(100)를 제어하여 점화통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Also,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150. The remote control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an optical cable or a TCP / 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herefore, when the ignition control apparatus 100 moves to a place where the Internet can be connected, only the igni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test body 130 are moved, and the remote control unit 150 transmits the ignition control apparatus 100 The ignition control may be performed.

상기 점화통제장치(100)는 상기 시험체(130)가 위치한 시험구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점화제어기(110), 점화저항 측정기(102), 그리고 점화전원 공급기(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소형화 및 이동성의 개선을 위해 32bit 마이크로 컨트롤러 기반으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를 적용하여 보다 다양한 입출력 신호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점화통제의 신뢰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The ignition controller 100 may be installed in a test zone where the test body 130 is located and includes an ignition controller 110, an ignition resistance meter 102, and an ignition power supply 104. And it can be designed based on 32bit microcontroller to improve miniaturization and mobility. By applying CPLD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more I / O signal processing is possible, and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ignition control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점화제어기(110)는 점화신호 및 각종 명령에 따라 점화통제 과정 전반을 제어하며, 점화 안전회로 등의 다중 안전 스위칭등을 통해 상기 점화케이블(120)에 점화전원을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시험체(130)는 상기 점화케이블(120)을 통해 점화전원을 인가 받는다. 점화제어기(110)는 점화전원 제어모듈(116), 입출력 신호 처리 모듈(114), 그리고 점화명령 제어모듈(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ignition controller 110 controls the entire ignition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ignition signal and various commands and applies ignition power to the ignition cable 120 through multiple safety switching such as an ignition safety circuit. The test body 130 receives the ignition power through the ignition cable 120. The ignition controller 110 may include an ignition power control module 116, an input / output signal processing module 114, and an ignition command control module 112.

상기 점화명령 제어모듈(112)은 사용자가 점화통제를 수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각종 점화 신호 및 점화 명령에 따라 점화통제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입출력 신호 처리 모듈(114)은 사용자나 상기 시험체(130) 또는 원격제어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및 상기 시험체(130) 또는 상기 원격제어부(150)로 출력되는 신호들을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점화명령 제어모듈(112)은 다수의 스위치들을 이용하여 상기 점화전원 공급기(104)로부터 출력되는 점화전원이 상기 점화케이블(120)로 인가되는 것을 제어한다. 그리고 비상 중지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중지 요청이 있는 경우 외부 인터럽트(interrupt)를 발생시켜 점화 통제에 관련된 모든 기능 또는 특정한 기능을 즉시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ignition command control module 112 is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control according to various ignition signals and ignition commands necessary for the user to perform ignition control. The input and output signal processing module 114 processes signals inputted from the user or the test body 130 or the remote control unit 150 and signals output to the test body 130 or the remote control unit 150. The ignition command control module 112 controls the ignition power supplied from the ignition power supply 104 to be applied to the ignition cable 120 by using a plurality of switches. And an emergency stop switch to generate an external interrupt in response to a stop request of the user so that all the functions related to the ignition control or the specific function can be immediately stopped.

그리고 상기 점화저항 측정기(102)는 기 설정된 미세 측정 전류로 점화저항을 정밀하게 측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점화저항 측정기(102)는 우발 점화를 방지하기 위해 최대 5mA의 미세한 측정 전류를 사용하여 점화저항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The ignition resistance measuring device 102 accurately measures the ignition resistance with a predetermined fine measuring current. For example, the ignition resistance meter 102 may measure the ignition resistance using a fine measuring current of 5 mA at maximum to prevent accidental ignition.

그리고 상기 점화전원 공급기(104)는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점화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점화전원 공급기(104)는 상기 원격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점화전원의 인가, 차단, 그리고 점화전원의 전압 및 전류 설정등을 조정한다. The ignition power supply 104 supplies ignition power according to a preset sequence. The ignition power supply 104 adjusts the ignition power supply, the ignition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current setting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ler 150.

상기 원격제어부(150)는 충분한 안전거리 확보를 위해 상기 시험체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점화통제장치(100)와 충분한 이격거리를 두고 연결되어 상기 점화통제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원격제어부(150)는 상기 점화통제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152)와 상기 점화통제에 관련된 모든 상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는 상태 정보 전시기(1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 unit 15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est body to secure a sufficient safety distance. The remote control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at a sufficient distance to remotely control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can do. The remote controller 150 may include a controller 152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controller 100 and a status information converter 154 for displaying all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ignition contro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안전 스위치를 포함하는 점화전원 제어모듈(116)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gnition power control module 116 including multiple safety switc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전원 제어모듈(116)은 점화안전 플러그 스위치(200), 점화 1, 2 스위치(202), 안전 스위치(204) 및, 점화전원 출력회로(206)를 포함하는 다중 안전 스위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비상 중지 스위치(210) 및 상태 정보 전시기(212)와 연결될 수 있다. 2, an ignition power control module 1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gnition safety plug switch 200, an ignition 1 and 2 switch 202, a safety switch 204, (206). ≪ / RTI > And can be connected to the emergency stop switch 210 and the status information relay 212.

여기서 상기 점화안전 플러그 스위치(200)는 상기 점화전원 공급기(104)로부터 점화전원이 인가되면 점화명령 제어모듈(112)의 제어에 따라 점화안전 플러그(plug) 스위치(200)가 상기 점화전원 공급기(104)로부터 출력된 점화전원을 점화 1, 2 스위치(202)로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점화안전 플러그 스위치(200)는, 점화전원이 공급되는 경로인 전로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점화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When the ignition power is supplied from the ignition power supply 104, the ignition safety plug switch 200 switches the ignition safety plug switch 200 to the ignition power supply 104 to the ignition switches 1, 2. Here, the ignition safety plug switch 200 may apply the ignition power by connecting a converter,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ignition power is supplied.

이러한 점화안전 플러그 스위치(200)는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전로를 연결하는 형태가 아니라 실제로 플러그가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s shown in FIG. 2, the ignition safety plug switch 200 may be configured not to connect the transformer but to connect the plug.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플러그가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된 점화 안전 플러그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3 is a view showing an ignition safety plug switch constructed in such a manner that a plug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점화안전 플러그 스위치(200)는 실제로 안전 플러그의 장착을 필요로 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점화전원의 공급을 물리적으로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안전 플러그가 장착되지 않으면, 점화전원 공급기(104)와 점화케이블(120)이 연결되는 경로가 완전히 분리되어, 점화전원의 공급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ignition safety plug switch 20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actually requires mounting of a safety plug. Accordingly, the user may physically control the supply of the ignition power directly. In this case, if the safety plug is not mounted, the path through which the ignition power supply 104 and the ignition cable 120 are connected is completely disconnected, so that supply of the ignition power supply can be shut down at the source.

그리고 상기 점화안전 플러그 스위치(200)에서 점화전원이 인가되면 점화 1 스위치 및 점화 2 스위치는 점화명령 제어모듈(112)의 제어에 따라 점화전원을 안전 스위치(204)로 인가한다. 우선 상기 점화 1 스위치에 점화전원이 인가되면, 점화 1 스위치는 점화명령 제어모듈(112)의 제어에 따라 전로를 연결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장치(100) 및 시험체(130)는 점화대기 상태에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점화 1 스위치에 이어 점화 2 스위치에 점화전원이 인가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장치(100) 및 시험체(130)는 시험체의 점화 상태에 진입하게 된다. When the ignition power is applied to the ignition safety plug switch 200, the ignition 1 switch and the ignition 2 switch apply the ignition power to the safety switch 204 under the control of the ignition command control module 112. First, when the ignition power is applied to the ignition 1 switch, the ignition 1 switch connects the converter under the control of the ignition command control module 112. Then,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and the test body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ter the ignition standby state. When the ignition switch is connected to the ignition switch 1 and the ignition power is applied to the ignition switch 2, the igni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test body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ter the ignition state of the test body.

여기서 상기 점화 1 스위치 및 점화 2 스위치는 실제 시험체(130)를 연결하지 않는 경우에도, 시험 시나리오 모의를 위한 점화통제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점화 1 스위치 및 점화 2 스위치는 실제 시험체(130) 착화기의 고유 저항과 유사한 모의 저항에 연결된다. Here, the ignition 1 switch and the ignition 2 switch may be used for ignition control for simulating the test scenario even when the actual test object 130 is not connected. In this case, the ignition 1 switch and the ignition 2 switch are connected to a simulated resistance similar to the intrinsic resistance of the actual test body 130 igniter.

도 4는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전원 제어모듈의 점화 스위치들이 모의 저항에 연결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example in which the ignition switches of the ignition power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the simulated resistance.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점화 1 스위치(400)는 모의 저항 1(402) 및 저항 측정기 1(404), 그리고 전류 측정기 1(406)에 연결된다. 그리고 점화 2 스위치(450)는 모의 저항 2(452) 및 저항 측정기 2(454), 그리고 전류 측정기 2(456)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점화 1 스위치(400) 및 점화 2 스위치(450)는 실제로 시험체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모의 저항들(402, 452)과 저항 측정기들(404, 454), 그리고 전류 측정기들(406, 456)을 내장하여, 점화통제장치(100)와 시험체(130)의 직접적인 연결 또는 사용자가 시험체에 접근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체 점검 및 시험 시나리오의 모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4, the ignition 1 switch 400 is connected to the simulated resistor 1 402 and the resistance meter 1 404 and to the current meter 1 406. And the ignition 2 switch 450 is connected to the simulated resistor 2 452, the resistance meter 2 454, and the current meter 2 456. Accordingly, the ignition 1 switch 400 and the ignition 2 switch 450 can be switched between the simulated resistors 402 and 452 and the resistance measurers 404 and 454 and the current measurers (not shown) 406 and 456 so as to allow direct connection of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and the test body 130 or to simulate the self check and test scenarios even when the user is not approaching the test body.

그리고 상기 점화 1, 2 스위치(202)에 모두 점화전원이 인가되면, 인가된 점화전원은 안전 스위치(204)로 입력된다. 그리고 안전 스위치(204)는 점화명령 제어모듈(112)의 제어에 따라 점화전원이 공급되는 경로인 전로를 연결하여 점화전원을 점화전원 출력회로(206)로 인가한다. When the ignition power is applied to the ignition switches 1 and 2, the ignition power is applied to the safety switch 204. Then, the safety switch 204 connects the ignition power control circuit 112 to the ignition power supply circuit 206 by connecting the ignition power supply circuit to the ignition power supply circuit.

그리고 상기 안전 스위치(204)의 인가를 통해 점화전원이 점화전원 출력회로(206)에 입력되면 점화전원 출력회로(206)는 점화저항 스위치(208)를 제어하여 점화케이블(120)이 연결되는 경로를 스위칭(switching)한다. 여기서 점화전원 출력회로(206)는 상기 점화케이블(120)과 상기 점화전원이 공급되는 경로인 전로가 평상시에는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점화저항 스위치(208)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점화전원 공급의 인가가 허락된 경우에만 점화전원이 공급되는 경로인 전로와 상기 점화케이블(120)이 연결되도록 상기 점화저항 스위치(208)를 제어한다.When the ignition power is input to the ignition power output circuit 206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afety switch 204, the ignition power output circuit 206 controls the ignition resistance switch 208, . Here, the ignition power output circuit 206 may control the ignition resistance switch 208 so that the ignition cable 120 and the converter,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the ignition power is supplied, are kept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ntrols the ignition resistance switch 208 so that the ignition cable 120 is connected to the ignition power supply path only when the ignition power supply is permitted.

여기서 상기 점화전원 출력회로(206)는 점화케이블(120) 입력단과 점화저항 측정기(102)가 상시 연결되도록 상시 점화저항 스위치(208)를 제어하여, 평상시에는 점화전원 공급기(104)에서 점화케이블(120)로 입력되는 경로를 완전히 분리시켜 점화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The ignition power output circuit 206 controls the ignition resistance switch 208 so that the input terminal of the ignition cable 120 and the ignition resistance meter 102 are norm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ignition power supply 104 normally supplies the ignition cable 120 can be completely disconnected to cut off the supply of ignition power.

또한 상기 점화전원 출력 회로는 기 설정된 점화 시퀀스(sequence)에 따라 점화가 결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점화가 결정된 시점의 -0.5초에서 +0.5초 동안에만 상기 전로와 상기 점화케이블(120)을 연결하여 카운트다운(count down) 진행 도중에 우발적으로 점화가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점화가 결정된 시점이라는 것은 상기 카운트다운 시간이 만료되는 시점, 즉'0'이 되는 시점을 말한다. In addition, the ignition power output circuit outputs the ignition power only for a preset time, for example, -0.5 to +0.5 seconds at the time when igni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ignition timing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gnition seque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gnition from occurring accidentally during the count down process by connecting the ignition switch 120. Here, the time point at which the ignition is determined means a time point at which the countdown time expires, that is, a time point when the countdown time becomes '0'.

그리고 점화전원 제어모듈(116)은 비상 중지 스위치(2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상 중지 스위치(2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의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점화 통제에 관련된 모든 기능 또는 특정 기능을 즉시 중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비상 중지 스위치(210)가 입력되면 스위치들(200, 202, 204, 206)은 즉각 모든 기능을 중지한다. 이에 따라 점화전원이 공급되는 경로인 전로와 점화케이블(120)은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 머무르게 된다. 따라서 점화전원 공급기(104)에서 출력된 점화전원은 점화케이블(120)로 공급되지 않는다. And the ignition power control module 116 may be coupled to the emergency stop switch 210. The emergency stop switch 210 generates an external interrup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o immediately stop all the functions related to the ignition control or a specific function. When the emergency stop switch 210 is input, the switches 200, 202, 204, and 206 immediately stop all functions. Accordingly, the ignition cable 120 and the converter, which are paths through which the ignition power is supplied, remain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us, the ignition power output from the ignition power supply 104 is not supplied to the ignition cable 120.

그리고 점화전원 제어모듈(116)은 상태 정보 전시기(212)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 전시기(212)는 현재의 점화통제 진행 과정 및 점화통제에 관련된 모든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고, 시험체(130)가 점화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점화통제와 관련된 모든 상태 정보라는 것은, 스위치들의 설정 상태, 점화 안전플러그 장착여부, 점화채널의 설정, 현재 설정된 모드가 점검 모드인지 시험 모드인지 여부, 카운트다운 시각, 각 구성 요소의 통신 상태, 현재 설정된 점화전원에 대한 정보 즉, 점화전원의 전류 및 전압의 측정값들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 정보 전시기(212)는, 상기 점화통제장치(10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원격제어부(150)에 구비될 수도 있다. And the ignition power control module 116 may be coupled to the state information relay 212. Here, the state information transition period 212 displays state information on all the states related to the current ignition control progress process and the ignition control, and displays information on the ignition when the test object 130 is ignited. Here, all the st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gnition control means that the setting state of the switches, whether or not the ignition safety plug is installed, the setting of the ignition channel, whether the currently set mode is the check mode or the test mode, the countdown tim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ly set ignition power, that is, measured values of the current and voltage of the ignition power. The state information relaying unit 212 may be provided in the ignition control apparatus 100 or may be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unit 150. [

도 5는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장치가 점화통제와 관련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the state of the igni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상태 정보 전시기(212)는 각종 스위치의 상태 및 점화전원의 측정값, 그리고 각 장비의 통신 상태등을 표시한다. 그리고 이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에 따라 점화통제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 중지 스위치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언제든지 점화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state information transition period 212 indicates states of various switches, measured values of the ignition power, and communication states of respective equipments. In addition to this, an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various command signals from the user is provided, and the ignition control can proceed according to the command inputted by the user. And an emergency stop switch to allow the user to stop supplying ignition power at any ti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제어기(110)는 점화통제인원에게 점화통제진행 정보 및 점화통제진행에 따른 경고를 제공하여 보다 안전하게 점화통제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Also, the ignition controller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ignition control personnel with ignition control progress information and warnings according to the ignition control progress, so that the ignition control can proceed more safely.

도 6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점화제어기가 경고음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gnition controller further includes a warning sound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제어기(110)는 경고음 발생기(600) 및 스피커(6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고음 발생기(600)는 점화통제진행 상황 및 카운트다운 시각과 동기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발생된 경고음은 스피커(60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고음은 점화통제진행을 위한 컨퍼런스 망(conference network)(604)을 통해 연동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퍼런스 망(604)에 접속된 사용자들은 상기 컨퍼런스 망(604)을 통해 점화통제진행 정보 및 카운트다운 시각과 동기된 경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ignition controller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eep generator 600 and a speaker 602. Here, the warning sound generator 600 may generate a warning soun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progress of the ignition control and the countdown time. Then, the generated warning sound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602. The warning sound may be interlocked through a conference network 604 for ignition control proceeding. Accordingly, the users connected to the conference network 604 can receive the ignition control progress information and the alarm synchronized with the countdown time through the conference network 60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장치는, 독립적으로 점화통제수행이 가능하지만, 사용자에게 보다 높은 안전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원격으로 점화통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원격제어부(1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igni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the ignition control independently, but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ler 150 to control the ignition control remotely so as to provide higher safety and convenience to the user It is possible.

도 7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장치가 원격 제어부와 연결되어 점화전원 공급기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gni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remote control unit to control an ignition power supply.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장치(100)의 점화전원 공급기(104)는 TCP/IP와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해 원격제어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부(150)의 컨트롤러(152)는 연결된 점화전원 공급기(104)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점화전원의 인가, 차단 또는 점화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제어부(150)는 점화통제장치(100)와 안전거리 확보를 위하여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격 제어를 위한 각 장비의 통신 규격은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interface)가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ignition power supply 104 of the ignition controll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ler 150 through an Internet protocol such as TCP / IP. The controller 152 of the remote controller 150 can remotely control the ignition power supply 104 connected thereto to set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ignition power supply, the ignition power supply, or the ignition power supply. The remote control unit 15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secure a safety distance. An Ethernet interface can be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standard of each device for remote control.

도 8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부가 이격되어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remote control unit is spaced a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시험체(130)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장치(100)는 점화케이블(120)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 경우 점화케이블(120)의 길이에 의해 서로 근접한 거리에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test body 130 and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the ignition cable 120. And in this case, can be installed at a distance close to each other by the length of the ignition cable 120.

그러나 원격제어부(150)는 상기 점화통제장치(100)와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 또는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부(150)는 상기 점화통제장치(100)와 상당한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 있고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However, the remote control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through an unshielded twisted pair (UTP) cable or an optical cable. Accordingly, the remote controller 150 can be install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ignition controller 100, and a sufficient safety distance can be secure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장치에서 점화통제를 수행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ignition control in the igni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장치(100)는 900단계로 진행하여 카운트다운 및 점화 1, 2 스위치(202)의 점화전원 인가 시각 설정, 점화안전 플러그 스위치등의 모든 상태 정보를 체크한다. 그리고 원격제어부(150)와 같은 외부 연결 장비가 있는 경우 연결된 장비의 연결 유무 및 그 통신 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점화통제장치(100)는 연결된 각 장비 간 통신에 문제가 없을 경우, 상태 정보 전시기(212)에 정상 표시를 표시할 수 있다.9, in step 900, the ignition controll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ignition power supply time setting of the countdown and ignition 1 and 2 switches 202, Check all status information. If there is an external connection device such as the remote control unit 150,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connected device and its communication status are checked. If there is no problem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nected devices,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may display a normal indication at the state information transition time 212. [

그리고 점화통제장치(100)는 902단계로 진행하여 점화통제와 관련된 모든 설정들을 완료한다. 그리고 904단계로 진행하여 점화전원 공급기(104)에서 공급되는 점화전원의 전압 및 전류의 설정을 완료한다. 그리고 점화통제장치(100)는 906단계로 진행하여 점화통제시험 시나리오에 따른 카운트다운을 시작한다. Then,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proceeds to step 902 and completes all the settings related to the ignition control. In step 904, setting of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ignition power supplied from the ignition power supply 104 is completed. Then,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proceeds to step 906 and starts counting down according to the ignition control test scenario.

카운트다운을 시작하면 점화통제장치(100)는 908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카운트다운 시간 내에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다중 안전 스위치를 통해 점화전원을 점화케이블(120)에 인가한다. 상기 908단계는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점화전원 제어모듈(116)의 각 스위치들을 통해 점화전원을 인가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The ignition control apparatus 100 proceeds to step 908 and applies the ignition power to the ignition cable 120 through the multiple safety switches in a predetermined order within a predetermined countdown time. In step 908, the ignition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respective switches of the ignition power control module 116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그리고 상기 908단계에서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스위치에 점화전원이 인가되면, 점화통제장치(100)는 91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비상 중지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비상 중지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면, 점화통제장치(100)는 912단계로 진행하여 모든 다중 안전 스위치가 점화전원을 인가하였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912단계의 체크 결과 상기 다중 안전 스위치들 중 점화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스위치가 있는 경우라면, 다시 908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스위치가 점화전원을 인가하도록한다. When the ignition power is applied to the switch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order in step 908,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proceeds to step 910 and checks whether the user inputs an emergency stop command. If the emergency stop command is not input from the user,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proceeds to step 912 to check whether all the multiple safety switches have applied the ignition pow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912 that there is a switch that does not apply the ignition power among the multiple safety switches,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908 so that th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t sequence applies the ignition power.

그리고 점화통제장치(100)는 910단계로 다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비상 중지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비상 중지 명령을 입력한 경우라면, 그 즉시 점화통제에 관련된 모든 과정 및 기능을 중지시킨다. 이러한 비상 중지 명령은 외부 인터럽트를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n,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proceeds to step 910 and checks whether the user inputs an emergency stop command. If the user enters an emergency stop command, it immediately stops all processes and functions associated with the ignition control. Such an emergency stop command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d utilize an external interrupt.

그러나 910단계의 확인 결과 비상 중지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고, 또한 912단계의 체크 결과 모든 다중 안전 스위치들이 점화전원이 인가를 한 경우라면 점화통제장치(100)는 914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점화가 결정된 시각, 즉 기 설정된 카운트다운 시각이 만료하는 시점에 점화저항 스위치(208)가 점화전원을 점화케이블(120)로 인가하도록 한다. 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910 that the emergency stop command has not been input, and if all of the multiple safety switches are ignited in step 912, the ignition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914. Then, the ignition resistor switch 208 applies the ignition power to the ignition cable 120 at the time when the ignition is determined, that is, when the preset countdown time expires.

그리고 점화전원이 점화케이블로 인가되면 시험체(130)의 착화기에는 점화가 시작된다. 그리고 점화통제장치(100)는 914단계로 진행하여 점화제어기(110) 내부에 장착된 전류 측정기에서 점화전류를 측정하면 카운트다운은 종료된다. 여기서 만약 미사일 시험 시나리오를 모의하는 것이라면 실제 점화는 발생하지 않고, 모의 저항1, 2(402, 452)를 통해 점화전류를 측정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When the ignition power is applied to the ignition cable, the ignition of the test body 130 is started. Then, the ignition control apparatus 100 proceeds to step 914 and counts down when the ignition current is measured in the current measuring instrument mounted in the ignition controller 110. Here, if simulating the missile test scenario, the actual ignition does not occur, but the ignition current can be measured through the simulated resistors 1 and 2 (402 and 452).

상기 설명에서는 910단계에서 다중 스위치를 차례대로 제어하여 점화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비상 중지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상기 비상 중지 명령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화통제과정 중 언제라도 외부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카운트다운 진행을 포함한 점화통제에 관련된 모든 기능을 중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in step 9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emergency stop command input from the user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multiple switches in order to supply ignition power. However, if there is the emergency stop command, it is possible to stop all functions related to the ignition control including the countdown process by generating an external interrupt at any time during the ignition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사용자는 상태 정보 전시기(212)를 통해 점화통제의 진행 과정을 확인하고 특정 과정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특정 과정까지만 점화통제 과정을 진행하여 점화통제장치의 성능이나 상태등을 체크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정지할 시점을 미리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user may check the progress of the ignition control through the status information transition period 212 and suspend the specific process. In this case, the user can perform the ignition control process only to a specific process, and check the performance or state of the ignition control device. Alternatively, it is of course possible to set in advance a point at which to stop the operation in advance.

예를 들어 상기 908단계에서는 점화통제장치(100)는 다중 안전 스위치들 각각을 제어하여 점화케이블(120)로 공급되는 점화전원을 제어한다. 이 경우 점화통제장치(100)는 각 스위치들이 점화전원을 인가할 때마다 사용자로부터 비상 중지 명령이 있었는지 또는 사용자로부터 비상 중지 명령이 예정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 중지 명령이 있는 경우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스위치가 점화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중지한다. For example, in step 908,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controls each of the multiple safety switches to control the ignition power supplied to the ignition cable 120. In this case, the ignition control device 100 may check whether the user has an emergency stop command or an emergency stop command is scheduled from the user each time each of the switches applies the ignition power. If there is an emergency stop command, the switch in the following sequence stops applying the ignition power.

또한 비상 중지 명령이 있는 경우, 해당 스위치까지만 점화전원을 인가한 상태로 사용자로부터 다른 명령이 있을 때까지 정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 스위치별로 점화전원이 공급되는 상황을 체크하여 각 스위치의 성능 및 상태를 점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효과를 체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n the case of an emergency stop instruction, it is also possible to stop the ignition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switch until another instruction is issued from the user.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state of supplying the ignition power to each switch, check the performance and condition of each switch, and check the effect of the switch.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점화안전 플러그 스위치, 점화 1 스위치, 점화 2 스위치, 안전 스위치, 그리고 점화저항 스위치를 사용하여 점화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보다 더 많은 스위치 또는 위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한 상태로 다중 안전 스위치들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safety plug switch, the ignition 1 switch, the ignition 2 switch, the safety switch, and the ignition resistor switch are used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ignition power.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multiple safety switches may be used.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점화통제 장치 102 : 점화저항측정기
104 : 점화전원공급기 110 : 점화제어기
112 : 점화명령 제어모듈 114 : 입출력 신호처리 모듈
116 : 점화전원 제어모듈 120 : 점화케이블
130 : 시험체 150 : 원격제어부
152 : 컨트롤러 154 : 상태정보 전시기
100: Ignition control device 102: Ignition resistance meter
104: Ignition power supply 110: Ignition controller
112: ignition command control module 114: input / output signal processing module
116: Ignition power control module 120: Ignition cable
130: Test body 150: Remote control unit
152: Controller 154: State information

Claims (10)

시험체와,
상기 시험체와 점화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시험체에 상기 점화케이블을 통해 점화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시험체의 시험발사 및 점화통제를 수행하는 점화통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점화통제장치는 상기 점화케이블을 분리하는 것으로 상기 시험체와 쉽게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통제시스템.
The specimen,
And an ignition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test body by an ignition cable and performing ignition control of the test body by supplying ignition power to the test body through the ignition cable,
Wherein the ignition control device is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from the test body by separating the ignition c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통제장치는,
점화전원을 공급하는 점화전원 공급기와,
점화전원이 상기 점화케이블에 공급되는 경로인 전로를 분리 또는 연결하는 다중 안전 스위치들과,
기 설정된 점화통제 순서에 따라 상기 다중 안전 스위치들을 제어하여 상기 점화케이블에 점화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점화제어기와,
기 설정된 임계값이하의 측정 전류를 사용하여 점화저항을 측정하는 점화저항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통제시스템.
2. The igni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n ignition power supply for supplying ignition power,
A plurality of safety switches for disconnecting or connecting the converter, which is the route through which the igni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ignition cable,
An igni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ignition power to be supplied to the ignition cable by controlling the multiple safety switch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gnition control sequence,
And an ignition resistance meter for measuring an ignition resistance using a measuring current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통제장치는,
비상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화통제장치는,
상기 비상 스위치가 입력되면 상기 점화통제에 관련된 모든 기능을 즉각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통제시스템.
2. The igni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mergency switch,
The ignition control device includes:
And immediately stops all functions related to the ignition control when the emergency switch is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통제장치는,
비상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화제어기는,
상기 비상 스위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다중 안전 스위치들을 제어하여 점화전원을 상기 점화케이블에 공급하는 것을 즉각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통제시스템.
2. The igni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mergency switch,
Wherein the ignition controller comprises:
And when the emergency switch is input, controlling the multiple safety switches to immediately stop supplying the ignition power to the ignition c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안전 스위치는,
상기 점화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로를 연결하는 점화안전 플러그(plug) 스위치와,
상기 점화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로를 연결하여 상기 시험체의 점화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점화 1 스위치와,
상기 점화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로를 연결하여 상기 시험체의 점화 상태로 진입하는 점화 2 스위치와,
상기 시험체가 점화 상태에 진입하면, 상기 점화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점화케이블로 상기 점화전원을 공급하는 점화전원 출력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통제시스템.
The multi-safety switch according to claim 2,
An ignition safety plug switch for connecting the convert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ignition controller,
An ignition 1 switch connected to the converter under the control of the ignition controller to enter an ignition standby state of the specimen,
An ignition 2 switch connected to the converter under the control of the ignition controller to enter an ignition state of the specimen,
And an ignition power output circuit for supplying the ignition power with the ignition cable under the control of the ignition controller when the test object enters an ignition st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1 스위치 및 상기 점화 2 스위치는,
상기 시험체의 고유 저항 대신, 각각 상기 시험체의 고유 저항과 유사한 모의 저항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통제시스템.
6. The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ignition 1 switch and the ignition 2 switch,
In place of the intrinsic resistance of the test specimen, are each connected to simulated resistors similar to the intrinsic resistance of the specimen Ignition control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전원 출력회로는,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전로와 상기 점화케이블을, 상기 점화제어기의 제어가 있는 때에만 연결하는 점화저항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통제시스템.
The ignition power supply circuit according to claim 5,
And an ignition resistance switch for connecting said converter and said ignition cable in a fully separated state only when controlled by said ignition controll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저항 스위치는,
점화 결정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만 상기 전로와 상기 점화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통제시스템.
8. The ignition switch according to claim 7,
And the ignition cable is connected to the converter and the ignition cable onl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based on the ignition determination time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통제장치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controler)와,
점화통제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전시기를 구비하는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통제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remote control having an indicator for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all information related to ignition contro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다중 안전 스위치들 각각의 상태, 점화안전 플러그 장착여부, 점화채널의 설정, 현재 설정된 모드가 점검 모드인지 시험 모드인지 여부, 카운트다운 시각, 각 구성 요소의 통신 상태, 점화전원의 전류 및 전압의 측정값들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통제시스템.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state of each of the multiple safety switches, whether the ignition safety plug is installed, the setting of the ignition channel, whether the currently set mode is the check mode or the test mode, the countdown time, the communication state of each component, And information on the measured values.
KR1020130081151A 2013-07-10 2013-07-10 An igni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multiple safety switches KR1015780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151A KR101578053B1 (en) 2013-07-10 2013-07-10 An igni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multiple safety switch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151A KR101578053B1 (en) 2013-07-10 2013-07-10 An igni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multiple safety switch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135A true KR20150007135A (en) 2015-01-20
KR101578053B1 KR101578053B1 (en) 2015-12-16

Family

ID=52570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151A KR101578053B1 (en) 2013-07-10 2013-07-10 An igni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multiple safety switch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05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423B1 (en) * 2017-09-04 2019-02-20 국방과학연구소 Squib circuit check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1102885A (en) * 2019-12-31 2020-05-0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三研究所 Ignition device
CN112684306A (en) * 2020-12-11 2021-04-20 哈尔滨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Station type helicopter cable in-situ test platfor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388B1 (en) * 2019-02-28 2019-07-11 (주)이알씨 Fire Ignition control system
KR102089079B1 (en) 2019-08-08 2020-03-13 국방과학연구소 A device for measureing the ignition resistance of a missile exposion system
KR102395090B1 (en) * 2020-03-26 2022-05-10 (주) 시드코어 Ignition current limiter and ignition resistance measurement method u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07B1 (en) * 2006-09-11 2007-11-30 국방과학연구소 A digital onboard using squib device test circuit
KR20120088430A (en) * 2011-01-31 2012-08-08 국방과학연구소 Fire control system for moving launching system
KR20130019561A (en) * 2011-08-17 2013-02-27 국방과학연구소 Launch control system for flight tes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07B1 (en) * 2006-09-11 2007-11-30 국방과학연구소 A digital onboard using squib device test circuit
KR20120088430A (en) * 2011-01-31 2012-08-08 국방과학연구소 Fire control system for moving launching system
KR20130019561A (en) * 2011-08-17 2013-02-27 국방과학연구소 Launch control system for flight tes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추진공학회지 2008. 6. 제12권 제3호 제41면 내지 제48면*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423B1 (en) * 2017-09-04 2019-02-20 국방과학연구소 Squib circuit check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1102885A (en) * 2019-12-31 2020-05-0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三研究所 Ignition device
CN112684306A (en) * 2020-12-11 2021-04-20 哈尔滨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Station type helicopter cable in-situ test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053B1 (en)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053B1 (en) An igni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multiple safety switches
ES2616122T3 (en) Procedure for checking various protection devices distributed in the space of a power supply network, as well as corresponding checking system
CN103217920B (en) Initiating explosive device short-circuit protection circuit for measure-control device
WO2017196427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arm and fire devices
JP2017106881A (en) Distributor and obstruction detection method
CN107356883B (en) Signal lamp fault detec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current effective value
CN103278769A (en) Detection device for relay
CN103308797A (en) Intelligent automatic standby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calibration system
JP2011505552A (en) Tester for testing flight control system signal lines for aircraft THS motors
CN104330688A (en) Continuity test device and continuity test method of airborne cable
KR101551703B1 (en) Missile Firing Procedures Inspection System Based on Missile Real Feature Imitation
CN104168520A (en) Optical line selection equipment and method used for remotely controlling optical communication equipment
KR101232722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ignition circuit in multiple rocket launcher tube
KR101441644B1 (en) Panel device for practicing electric circuit, method for practicing electric safety using the same
CN106557022B (en) Carrier rocket redundant time sequence control system
JP6077828B2 (en) Ignition system with self-inspection function
CN107346004B (en) Signal lamp fault detection device based on voltage effective value
KR20150120619A (en) Validation device for testing apparatus of satelite
CN104333115A (en) Simulated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and power transfer control method realized by adopting same
RU2475696C1 (en)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 parameters of weapons system and computer-aided complex to this end
CN103823459A (en) Engine control box tester
CN105676116A (en)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servo driver ADC circuit
CN211543935U (en) A320 series aircraft cargo door position indication system tester
CN108802514B (en) Ground test system and method based on ring bus network
CN112722323A (en) Rotorcraft avionics system fault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