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6808A -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808A
KR20150006808A KR1020140086351A KR20140086351A KR20150006808A KR 20150006808 A KR20150006808 A KR 20150006808A KR 1020140086351 A KR1020140086351 A KR 1020140086351A KR 20140086351 A KR20140086351 A KR 20140086351A KR 20150006808 A KR20150006808 A KR 20150006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alveolar bone
crown
main body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덴테크
Publication of KR20150006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소실된 치조골 상에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개의 치관이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치관 연결부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소실된 치조골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소실된 치조골 상에 배치되는 골 이식재 및 상기 소실된 치조골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조직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IMPLANT}
다수 치아 또는 전악 무차악인 경우에서, 치조골이 광범위하게 소실되어 임플란트 식립시 광범위한 골이식이 필요한 경우 최소한의 뼈 이식 또는 뼈 이식 없이 시술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침습으로 빠른 저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치아 임플란트 시술은 대체적으로, 환자의 잇몸을 절개한 후 그 속에 있는 잇몸뼈(치조골, 악골)에 임플란트용 포스트를 삽입하고, 임플란트용 포스트에 인공치아(Crown)를 결합함으로써 완성된다.
임플란트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픽스쳐가 식립되는 치조골은 충분한 길이와 폭이 필요한데, 임플란트를 식립해야할 자리의 치조골이 발치 또는 치주염 등으로 인해 흡수 또는 소실되어 있어, 임플란트 시슬시 뼈이식이 경우에 따라 광범위하게 시술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골재생 유도술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임플란트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의 차폐막을 이용한 골재생 유도술의 일예는, 소실된 치조골(B)의 부위에 픽스쳐(1)를 고정시키고, 픽스쳐(1) 주위로 인공뼈(골 이식재)(40)를 충진한 다음, 소실된 치조골(B) 주위로 골 재생이 용이하도록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차폐막(30)을 이용하여 덮어준다.
픽스쳐(1)는 골 재생이 완료된 3 내지 6 개월 후 치관(임시치아, 미도시)이 연결되는 치관 연결부(20)와, 치조골(B)에의 결합을 매개하는 골조직 결합부(10)로 이루어지고, 골조직 결합부(1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나이가 많고 치조골 흡수가 많아 광범위한 골이식을 해야 할 경우 부작용(출혈, 부종, 실패, 장기간 기다림(3~6 개월)이 발생할 수 있어, 임플란트 시술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은 경우 하기의 도 2에 개시된 임플란트(50)을 시술할 수 있다.
이때, 임플란트(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양단에 치조골(B)에의 결합을 위하여 치조골(B)을 향하여 연장된 윙부(53a, 53b)가 형성된 본체(51)와, 본체(51)에 형성되되 치관이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되 암나사산부(55a)가 형성된 치관 연결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치조골이 광범위하게 소실된 경우 최소한의 골이식과 최소한의 침습으로 한번의 술식으로 기능회복이 가능한 간편한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소실된 치조골 상에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개의 치관이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치관 연결부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소실된 치조골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소실된 치조골 상에 배치되는 골 이식재 및 상기 소실된 치조골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조직 결합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치관 연결부 및 상기 골조직 결합부를 제외한 부분이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후단의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소실된 치조골을 감싸거나 치조골에 결합되는 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관 연결부는, 시술 대상 치아의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조직 결합부는, 상기 치관 연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조직 결합부는, 상기 치조골 중 골밀도가 다른 곳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조직 결합부는,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조직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결합 돌기 또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조직 결합부는, 상기 치조골을 향할수록 점점 수평 단면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조직 결합부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나사 조임 방식에 의하여 상기 치조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조직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관 연결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는 치은이 삽입되는 치은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조골에 결합된 상기 치관 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치관 또는 임시 틀니의 결합을 매개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관 연결부는 상기 치관을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 일정 각도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및 상기 윙부는, 상기 치조골의 선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상기 치관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치조골의 선단부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윙부의 연결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윙부의 선단부는 상기 치조골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치조골의 외측에 걸림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윙부는 스크류가 관통하여 상기 윙부를 상기 치조골에 고정시키도록 피스 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및 상기 윙부는, 상기 치관 연결부 및 상기 골조직 결합부를 제외한 부분이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현재 치조골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광범위한 치조골의 소실이 있어도 복수 개 또는 무치악 부위도 간편하게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별도의 차폐막 사용 및 광범위한 골재생 유도술 없이 최소한의 침습으로 시술할 수 있어 술자 및 환자 모두에게 빠르고 경제적이면서 간편하게 기능 회복을 할 수 있다. 기존의 단근형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없을 정도의 치조골이 흡수된 고령환자 또는 기존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서 뼈 이식을 많이 해야 하는 고령의 환자를 위해서 뼈이식을 하지 않거나 아주 적게 뼈 이식을 함으로써 침습적인 수술을 최대로 줄임으로써 빠른 치유와 빠른 기능을 할 수 있다. 고령의 환자에게 뼈이식을 많이 하면 환자에게 치유기간이 훨씬 길어져서 부담감이 커지고, 많은 고통이 따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임플란트의 고정력을 증강시킬 수 있으며, 임플란트에 치관 연결부를 제공할 수 있어 강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고령의 환자 특히 치조골이 많이 흡수되어 기존의 임플란트로 식립할 수 없어 일반적인 틀니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도 본 바형의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고, 고령의 환자에게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골재생 유도술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임플란트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써 골조직 결합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4의 C-C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써, 치조골에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100)에 따른 임플란트는 치조골(B) 상에 배치되는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체(110)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본체(110)의 하부는 치조골(B) 또는 치조골(B) 상에 형성되는 골 이식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110)가 배치되는 치조골(B)은 치아가 상실된 곳인 것이 바람직하다. 치조골(B)은 뼈가 소실되어 있을 수 있으며, 소실된 상태 그대로의 치조골 또는 골 이식재로 수복된 상태의 치조골 상에 본체(11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서, 본체(110)가 배치되는 치조골은 뼈의 소실 여부 및 골 이식재 시술 여부 등에 무관할 수 있다.
본체(110)는 플레이트 형상이나 그물망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110)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골 이식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체(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홀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통과홀의 형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는 본체(110)에 형성되는 치관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치관 연결부(130)는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분리되어 본체(11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치관 연결부(130)는 본체(110)로부터 치조골(B)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치관 연결부(130)는 임플란트에 결합하는 치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관이 치관 연결부(130)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 치관 연결부(130)는 어버트먼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본체(1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치관 연결부(130)는 일체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110)가 설치된 후 치관을 접착 부재를 통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치관 연결부(130)는 치관이 어버트먼트를 통하여 결합하는 경우 돌기 형태 또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치관 연결부(130)는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어버트먼트에 삽입되는 볼트가 삽입되도록 본체(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볼트삽입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버트먼트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 치관 연결부(130)는 어버트먼트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며, 홈에는 어버트먼트와 치관 연결부(130)를 결합시키는 볼트가 삽입되도록 볼트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어버트먼트의 일부가 입입되는 경우 치관 연결부(130)는 어버트먼트의 인입된 부분에 삽입되도록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돌기 상에는 어버트먼트와 치관 연결부(130)를 결합시키는 볼트가 삽입되도록 볼트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치관 연결부(130)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치관 또는 어버트먼트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치관 연결부(130)가 돌출된 돌기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치관 연결부(130)는 치관 또는 어버트먼트를 일정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치관 연결부(130)는 본체(110)의 상면에 대해서 치관 또는 어버트먼트를 일정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치관 연결부(130)는 소실된 치아의 방향과 치관 연결부(130)에 설치되는 치관 또는 어버트먼트의 방향이 동일하도록 본체(110)의 상면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치관 연결부(130)에는 시술이 완료된 후 치은의 일부가 삽입되는 치은 삽입홈(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치은 삽입홈은 치관 연결부(130)의 외면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임플란트는 본체(110)에 형성되거나 결합하는 골조직 결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골조직 결합부(140)는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10)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골조직 결합부(140)는 치관 연결부(130)와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110)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골조직 결합부(140)는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타격으로 인하여 치조골(B)에 삽입될 수 있으며, 회전을 통하여 치조골(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골조직 결합부(140)의 형태는 하기의 다른 형태의 임플란트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의 시술 방법을 살펴보면, 소실된 치아가 인접하거나 여러 곳에 있는 경우 본체(110)를 소실된 치아에 해당하도록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치관 연결부(130)와 골조직 결합부(140)는 복수개 구비되며, 각 치관 연결부(130)와 각 골조직 결합부(140)는 소실된 치아에 대응되도록 본체(110)에 형성되거나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치조골(B)의 소실된 부분에 골 이식재를 배치한 후 재생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골 이식 시술은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이후 골조직 결합부(140)를 통하여 재생골 및/또는 치조골(B)에 본체(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110)를 고정한 후 치관 연결부(130)에 치관 또는 어버트먼트를 결합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는 골조직 결합부(140)를 통하여 본체(110)를 재생골 또는/및 치조골(B)에 견고하게 결합시켜 고정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 후 임플란트의 지지력 및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써 골조직 결합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4의 C-C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써, 치조골에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예(20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치아가 광범위하게 소실된 경우, 임플란트를 식립하면서 임플란트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임플란트에 의해 강한 지지력을 갖는 치관 연결부(23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200)는, 복수 개의 치관이 연결되는 치관 연결부(23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본체(210)와, 본체(210)의 전후로 치조골(B)을 감싸거나 치조골(B)에 결합되는 윙부(220a, 220b)와, 치조골(B)에의 결합을 매개하는 복수 개의 골조직 결합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치관 연결부(230)는 일종의 어버트먼트(abutment)로 이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어버트먼트가 치관 연결부(23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윙부(220a, 220b)가 형성된 본체(21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바(bar) 형태로 잇몸 밖으로 나와 있어 치조골(B)에의 고정 후에 치아인 치관이 연결됨과 아울러, 틀니와의 연결을 매개하는 미도시의 브릿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치관 결합부(230)는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치관 결합부(230)는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치관 결합부(230)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치관 결합부(230) 중 적어도 하나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치관 결합부(230) 중 다른 하나는 볼트삽입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윙부(220a, 220b)는 악골 외형에 밀착되게 제공되어 임플란트 유지력 및 안전성을 증대시키고, 임플란트에 부가적으로 스크류(screw) 형 미니 임플란트를 사용해서 밀착력과 안정성을 증대 시킴으로써 임플란트를 더욱 안정화 시킬 수 잇는 골격 역할을 한다.
치조골(B)에 결합되는 본체(210) 및 윙부(220a, 220b)는, 임플란트 식립 시술 전에 미리 CT(3차원) 촬영이나 스캐너에 의한 스캐닝 등을 통해 임플란트할 부분의 치조골(B) 형태를 얻은 후, 이를 기반으로 치조골 형태에 맞게 윙부(220a, 220b)을 제작하고 치조골에 결합되는 본체(fixture) 부의의 위치 및 방향을 설정해서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본체(210), 윙부(220a, 220b), 치관 결합부(240) 부위는 3차원 프린팅(3D printing) 기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200)는, 피시술자의 치조골(B)의 굴곡 또는 요철 형태에 대응되도록 제작됨으로써 치조골(B)에 결합이 되면 지지력이 여타의 임플란트에 비하여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실질적으로 피시술자의 소실된 치조골(B) 형태는 특정할 수 없으므로, 기본적으로 소실된 치조골(B)에 결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예(200)의 개념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내용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한편, 치관 연결부(230)는, 시술 대상 치아의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또한 상술한 CT 및 3D Printing 기법에 의하여 미리 설계할 수 있는 내용으로써, 본체(210) 및 윙부(220a, 220b)가 피시술자의 소실된 치조골(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맞춤 제작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골조직 결합부(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윙부(220a, 220b) 사이에 위치되되, 본체(210)의 반대 부분에 배치된 치관 연결부(230)와 어긋난 위치에 위치되거나, 치관 연결부(230)가 위치된 곳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골조직 결합부(240)는 소실된 치조골(B) 중 골소실이 비교적 적거나 골밀도가 다른 곳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처럼, 골조직 결합부(240)가 골밀도가 높은 곳에 위치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00)에 따른 임플란트가 치조골(B)에 결합된 후 견고한 고정력을 갖게 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도 6를 참조하면, (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직 결합부(240b,240c)는, 어버트먼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 부위를 관통하여 배치되거나, 나사 조임 방식에 의하여 치조골(B)에 결합되도록 어버트먼트 부위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의 (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와 별도로 골조직 결합부(240a)가 구비될 경우, 본체(210)에는 골조직 결합부(240a)가 관통하는 관통홀(210a)이 형성될 수 있고, 골조직 결합부(24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241a)이 형성되어 나사 조임 방식에 의한 결합으로 치조골(B)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의 (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와 골조직 결합부(240b)가 일체로 구비될 경우, 골조직 결합부(240b)의 외주면에는 치조골(B)에의 결합 후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하도록 결합 돌기(241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곤충의 발 모양이나 낚시 바늘 모양 또는 음형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골조직 결합부(240b)는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치조골(B)에의 결합 후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하도록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결합홈은 골조직 결합부(240b)의 원주 상으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등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결합홈에는 골 이식재가 삽입되어 골조직 결합부(240b)와 재생골 및/또는 본래의 치조골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의 (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와 골조직 결합부(240c)가 일체로 구비될 경우, 골조직 결합부(240c)는 치조골(B)을 향할수록 점점 수평 단면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골조직 결합부(240c)는 외면에 결합돌기나, 곤충의 발 모양, 낚시 바늘 모양 또는 음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a)에 참조된 골조직 결합부(240a)의 실시예의 경우 본체(210) 및 윙부(220a,220b)를 소실된 치조골(B)에 맞춤 가고정시킨 후 나사 조임 방식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도 6의 (b) 및 (c)에 참조된 골조직 결합부(240b,240c)의 실시예의 경우 본체(210) 및 윙부(220a,220b)를 소정 부위 타격공구를 이용한 타격에 의하여 맞춤 고정시킬 수 있다.
본체(210)와 윙부(220a,220b)의 내측면은 결합 후 완성된 피시술자의 현재 치조골(B)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윙부(220a",220b")의 연결 부분은 치조골(B)의 형상에 맞게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골조직 결합부(240b)의 외면에 대한 여러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골조직 결합부의 외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D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골조직 결합부(240b)는 결합홈(820a)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820a)은 치조골(미도시)에 식립된 후 상기 치조골 또는 상기 치조골에 채워지는 골 이식재(미도시)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합홈(820a)은 골조직 결합부(240b) 외면에 서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820a)은 골조직 결합부(240b)의 식립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홈(820a)은 골조직 결합부(240b)의 외면을 일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820a)은 골조직 결합부(240b)의 외면에서 처음과 끝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820a)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직 결합부(240b)의 식립 방향을 향해 경사면이 형성되고, 식립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단턱이 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은 식립시 마찰을 적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2은 도 6의 골조직 결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E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골조직 결합부(240b)는 결합돌기(820B)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820B)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결합돌기(820B)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820B)는 도시된 반구형 이외에 여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러 형상이 혼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820B)는 음형으로 즉, 오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도 6의 골조직 결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골조직 결합부(240b)는 격자 패턴(820C)이 형성될 수 있다. 격자 패턴(820C)은 복수의 격자를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격자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격자 패턴(820C)은 골조직 결합부(240b)의 외면에 형성된 홈, 돌기, 또는 홈과 돌기의 혼재된 형태가 서로 교차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격자 패턴(820C)은 골조직 결합부(240b)의 표면 거칠기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7(b) 및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윙부(220a", 220b") 중 치조골(B)에 가까운 선단부 중 하나(220a")에는 치조골(B)의 외측에 걸림되는 걸림부(250)가 다른 하나의 윙부(220b")를 향하여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50)는, 치조골(B)에의 본체(210) 및 윙부(220a", 220b")의 결합시 치조골(B)에 억지끼움 방식의 결합력을 제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임플란트의 최종 고정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걸림부(250)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윙부(220b")에는 측부로 스크류(미도시)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윙부(220b")를 고정시키도록 피스 홀(260")이 복수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치관 연결부(230")와 본체(210") 사이에는 치조골(B)에의 본체(210") 및 윙부(220a", 220b")의 고정 후 절개된 치은(G)이 삽입되는 치은 삽입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치은 삽입홈(231)은 내부로 삽입된 치은(G) 부분을 치관 연결부(230)에 의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임시 고정시킴은 물론, 치은(G)의 외부로 치관 연결부(230)가 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윙부(220a, 220b)는, 전체적으로 치관 연결부(230) 및 골조직 결합부(240)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물망 형상은 2차원 형상의 모습에 적합한 용어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체(210) 및 윙부(220a, 220b)는, 혈류 및 골 재생이 방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다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실된 치조골(B) 부위에 해당하는 치은(G)을 절개하여 벌린 후,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200)를 치조골(B)에 식립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200)는, 치조골(B)의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맞춤 제작된 바, 복수 개의 치관이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치관 연결부(230)가 하나의 본체(210)에 형성되므로, 광범위하게 치아가 소실된 경우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골조직 결합부(240)를 이용하여 타격 또는 나사 조임 방식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2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윙부(220a,220b)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걸림부(250)에 의하여 치조골(B)에 억지 끼움식으로 고정되어 임시 고정력을 가중시킨 다음, 최종적으로 골조직 결합부(240)를 이용하여 고정된 후, 피스 홀(260")을 관통하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치조골(B)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서 측방으로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치조골(B)에 임플란트(200)를 고정시키면, 치은(G)을 덮어 꿰맨 다음, 보철물(또는 보철물 상부)을 위한 브릿지 혹은 치관을 직접 치관 연결부(230)에 연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B: 치조골 G: 치은
100,200,200',200": 임플란트
110,210: 본체 220a,220b: 윙부
130,230,230": 치관 연결부 231: 치은 삽입홈
235": 암나사산부 140,240: 골조직 결합부
241a: 숫나사산 241b: 결합 돌기
250: 걸림부 260": 피스 홀

Claims (19)

  1. 치조골 상에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개의 치관이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치관 연결부; 및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치조골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치조골 상에 배치되는 골 이식재 및 상기 치조골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조직 결합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치관 연결부 및 상기 골조직 결합부를 제외한 부분이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된 임플란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후단의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소실된 치조골을 감싸거나 치조골에 결합되는 윙부;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치관 연결부는, 시술 대상 치아의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형성된 임플란트.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직 결합부는, 상기 치관 연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된 임플란트.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직 결합부는, 상기 치조골 중 골밀도가 다른 곳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대응되도록 위치된 임플란트.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직 결합부는,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임플란트.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직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결합 돌기 또는 결합홈이 형성된 임플란트.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직 결합부는, 상기 치조골을 향할수록 점점 수평 단면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임플란트.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직 결합부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나사 조임 방식에 의하여 상기 치조골에 결합되는 임플란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직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임플란트.
  12.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치관 연결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는 치은이 삽입되는 치은 삽입홈이 형성된 임플란트.
  13.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에 결합된 상기 치관 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치관 또는 임시 틀니의 결합을 매개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1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치관 연결부는 상기 치관을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 일정 각도로 결합시키는 임플란트.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윙부는, 상기 치조골의 선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상기 치관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치조골의 선단부에 대응되게 형성된 임플란트.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윙부의 연결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된 임플란트.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윙부의 선단부는 상기 치조골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치조골의 외측에 걸림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임플란트.
  1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윙부는 스크류가 관통하여 상기 윙부를 상기 치조골에 고정시키도록 피스 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임플란트.
  1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윙부는, 상기 치관 연결부 및 상기 골조직 결합부를 제외한 부분이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된 임플란트.
KR1020140086351A 2013-07-09 2014-07-09 임플란트 KR201500068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623 2013-07-09
KR20130080623 2013-07-09
KR1020130119536 2013-10-07
KR20130119536 2013-10-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808A true KR20150006808A (ko) 2015-01-19

Family

ID=5257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351A KR20150006808A (ko) 2013-07-09 2014-07-09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68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498B1 (ko) * 2015-10-29 2017-01-24 이민정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498B1 (ko) * 2015-10-29 2017-01-24 이민정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218B1 (ko) 임플란트 장치
KR101452849B1 (ko)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KR20150040777A (ko) 임플란트
KR102173435B1 (ko) 치과 보철 시스템
KR20140051300A (ko) 여러 가지 각도로 제작되는 코어크라운을 수용할 수 있으며 캡을 부착하면 힐링어버트먼트의 기능을 하는 어버트먼트와 그를 이용한 임플란트 보철물의 제조방법 및 임플란트 시술방법
KR20160098105A (ko) 임플란트용 차폐막
RU2739695C2 (ru) Имплантат для укрепления кости, содержащий отверстие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вектора сверления и охватывающую пластину для реплантации челюсти,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мплантата
KR20120020405A (ko) 틀니용 어태치먼트
KR10129175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KR101446072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20180132222A (ko) 치간공극을 이용한 다기능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KR20190040590A (ko) 시술 과정이 감소되는 범용 어버트먼트
KR102068525B1 (ko)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KR101388185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102280897B1 (ko)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KR101540559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지지플레이트
KR101363062B1 (ko)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임프레션 캡
KR20150006808A (ko) 임플란트
KR101571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KR101820489B1 (ko) 시술 과정이 감소되는 범용 어버트먼트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KR101573466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KR101037892B1 (ko) 임플란트 디텍터 커버스크류
KR20140105098A (ko) 경사형 임플란트
KR20150133671A (ko) 임플란트용 차폐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