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6026A - 흐름당 및 세션당 미터링 한계 적용 - Google Patents

흐름당 및 세션당 미터링 한계 적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026A
KR20150006026A KR20147033352A KR20147033352A KR20150006026A KR 20150006026 A KR20150006026 A KR 20150006026A KR 20147033352 A KR20147033352 A KR 20147033352A KR 20147033352 A KR20147033352 A KR 20147033352A KR 20150006026 A KR20150006026 A KR 20150006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pcrn
flow
rti
poli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3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1042B1 (ko
Inventor
리차드 에이 브루넷
팬 모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5000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64On-line charging system [O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03Architecture for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04L12/1407Policy-and-charging control [PCC]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32Metric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53Methods or systems for payment or settlement of the charges for data transmission involving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data transmission network
    • H04L12/1467Methods or systems for payment or settlement of the charges for data transmission involving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data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prepa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85Tariff-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1Dynamic pricing, e.g. change of tariff dur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2Criteria or parameters used for performing billing operations
    • H04M15/8228Session 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8Provision for limiting connection, or expend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4Policy-based network configura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38Roaming or hand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정책 및 과금 규칙 노드(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와 연관된 미터링 한계를 수신하는 단계와, 미터링 한계와 연관된 세션 키를 정의하는 단계와, 미터링 한계와 연관된 흐름 키를 정의하는 단계와, 세션 키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동적으로 선택된 세션 키를 사용자의 세션에 적용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와, 흐름 키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세션 키를 삭제하고, 동적으로 선택된 흐름 키를 사용자의 흐름에 적용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흐름당 및 세션당 미터링 한계 적용{PER FLOW AND PER SESSION METERING LIMIT APPLICA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흐름 및 세션 미터링(flow and session metering)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다양한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서비스 공급자들은 이 확장된 기능성을 신뢰할 수 있게 제공하기 위해 이들 시스템을 계속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한 때 음성 통신을 위해 간단히 설계된 시스템이었던 것은 다목적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all-purpose network access point)로 성장되어, 텍스트 메시징,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및 일반적인 인터넷 액세스를 포함하는 무수히 많은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공급자들은 이들의 현존하는 음성 네트워크 상에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세련되지 않은 해결책을 유도한다. 제 2 세대 및 제 3 세대 네트워크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음성 서비스는 전용 음성 채널을 통해 전달되고 회선 교환 코어를 향해 지향되고, 반면에 다른 서비스 통신이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에 따라 송신되고 상이한 패킷 교환 코어를 향해 지향된다. 이는 애플리케이션 프로비전(provision), 미터링 및 과금(metering and charging), 및 경험 품질(quality of experience: QoE) 보장에 관한 고유의 문제점을 유도한다.
제 2 세대 및 제 3 세대의 듀얼 코어 접근법을 간단화하는 노력시에,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이라 명명하는 신규한 네트워크 방안을 추천하고 있다. LTE 네트워크에서, 모든 통신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부터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라 칭하는 올-IP 코어(all-IP core)로 IP 채널을 통해 전달된다. EPC는 이어서 수용 가능한 QoE를 보장하고 이들의 특정 네트워크 액티비티에 대해 가입자에 과금하면서 다른 네트워크로의 게이트웨이 액세스를 제공한다.
3GPP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컴포넌트들: EPC의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부(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PCRF), 정책 및 과금 시행 기능부(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 PCEF), 베어러 바인딩 및 이벤트 보고 기능부(Bearer Binding and Event Reporting Function: BBERF)를 포함하여, EPC의 컴포넌트 및 다수의 기술적 사양에서 서로간의 이들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고 있다. 이들 사양은 또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사용에 대해 가입자들에게 과금하기 위해 어떻게 이들 요소가 상호 작용하는지에 대한 몇몇 안내를 제공한다.
이들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미터링은 가입자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의 사용량(usage)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사용은,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 메시징, 오디오 및 비디오 전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예를 들면, PCEF에 현재 키가 설치될 수 있다. 현재 3GPP 표준은 동일한 키가 세션 및 흐름에 동시에 적용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의 간단한 요약이 이하에 제시된다. 일부 간략화 및 생략이 다음 요약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의 일부 양태를 강조 및 소개하려는 의도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가 본 발명의 개념을 수립하고 이용하게 하기에 적절한 바람직하고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이하의 부분에 이어질 것이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정책 및 과금 규칙 노드(policy and charging rules node: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와 연관된 미터링 한계(metering limit)를 수신하는 단계와, 미터링 한계와 연관된 세션 키(session key)를 정의하는 단계와, 미터링 한계와 연관된 흐름 키(flow key)를 정의하는 단계와, 세션 키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동적으로 선택된 세션 키를 사용자의 세션에 적용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node)에 명령하는 단계와, 흐름 키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세션 키를 삭제(uninstall)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와, 동적으로 선택된 흐름 키를 사용자의 흐름에 적용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정책 및 과금 규칙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와 연관된 미터링 한계를 수신하는 단계와, 미터링 한계와 연관된 세션 키를 정의하는 단계와, 미터링 한계와 연관된 흐름 키를 정의하는 단계와, 흐름 키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동적으로 선택된 흐름 키를 사용자의 흐름에 적용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와, 세션 키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흐름 키를 삭제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와, 동적으로 선택된 세션 키를 사용자의 세션에 적용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정책 및 과금 규칙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와 연관된 미터링 한계를 수신하는 단계와, 미터링 한계와 연관된 세션 키를 정의하는 단계와, 미터링 한계와 연관된 흐름 키를 정의하는 단계와, 세션 키를 사용자의 세션에 그리고 흐름 키를 사용자의 흐름에 동시에 적용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 1은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가입자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도 2는 사용량 대 미터링 한계를 측정하기 위한 세션 키 및 흐름 키의 동적 사용을 예시한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3은 사용량 대 미터링을 측정하기 위한 세션 키 및 다수의 흐름 키의 동시 사용을 예시한 흐름도를 예시한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부호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 및/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요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설명 및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기술되거나 도시되지 않을지라도,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현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장치들을 고안할 수 있을 것임이 인정될 것이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들 및 본 분야를 발전시키는 데 발명자(들)에 의해 기여되는 개념들을 이해하는 데 독자를 보조하는 교육적 목적들을 위한 것으로 명백하게 주로 의도되고 그와 같이 구체적으로 언급되는 예들 및 상태들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또는"은 달리 표시되지 않으면(예를 들어, "또는 그 외에" 또는 "또는 대안으로") 비배타적인 것(즉, 및/또는)을 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일부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들을 형성하므로, 반드시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도 1은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가입자 네트워크(100)를 예시한다. 예시적인 가입자 네트워크(100)는 다양한 서비스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통신 네트워크 또는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시적인 가입자 네트워크(100)는 사용자 장비(110), 기지국(120),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130),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40) 및 애플리케이션 기능부(application function: AF)(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110)는 최종 사용자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40)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서비스는 예를 들어 음성 통신, 텍스트 메시징,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및 인터넷 액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110)는 퍼스널 또는 랩탑 컴퓨터, 무선 이메일 디바이스, 셀 폰, 태블릿, 텔레비전 셋탑 박스 또는 EPC(130)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이다.
기지국(120)은 사용자 장비(110)와 EPC(130)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20)은 3GPP 표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진화된 노드B(eNodeB)와 같은 기지국 송수신기일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20)은 무선파와 같은 제 1 매체를 통해 사용자 장비(110)와 통신하고 이더넷 케이블과 같은 제 2 매체를 통해 EPC(130)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기지국(120)은 EPC(130)와 직접 통신할 수 있고 또는 다수의 중간 노드(도시 생략)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수의 기지국(도시 생략)은 사용자 장비(110)에 이동성(mobility)을 제공하도록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110)는 EPC(13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라.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지국(120)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130)는 사용자 장비(110)에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40)로의 게이트웨이 액세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EPC(130)는 또한 제공된 데이터 서비스의 사용에 대해 가입자에 과금하고 특정 경험 품질(QoE) 표준이 부합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EPC(1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다양한 3GPP 표준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EPC(130)는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132),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134), 정책 및 과금 규칙 노드(policy and charging rules node: PCRN)(136) 및 가입 프로파일 저장소(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 SPR)(138)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SGW)(132)는 EPC(130)에 게이트웨이 액세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SGW(132)는 사용자 장비(110)에 의해 송신된 패킷을 수신하는 EPC(130) 내의 제 1 디바이스일 수 있다. SGW(132)는 이러한 패킷을 PGW(134)를 향해 포워딩할 수 있다. SGW(132)는 예를 들어 다수의 기지국들(도시 생략) 사이의 사용자 장비(11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것과, 서빙되는 각각의 흐름에 대한 특정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특성을 시행하는 것과 같은 다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록시 모바일 IP 표준을 구현하는 것들과 같은 다양한 구현예에서, SGW(132)는 베어러 바인딩 및 이벤트 보고 기능부(Bearer Binding and Event Reporting Function: BBERF)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EPC(130)는 다수의 SGW(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SGW는 다수의 기지국(도시 생략)과 통신할 수 있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GW)(134)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40)로의 게이트웨이 액세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PGW(134)는 SGW(132)를 통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40)를 향해 사용자 장비(110)에 의해 송신된 패킷을 수신하는 EPC(130) 내의 마지막 디바이스일 수 있다. PGW(134)는 각각의 서비스 데이터 흐름(service data flow: SDF)에 대해 정책 및 과금 제어(policy and charging control: PCC) 규칙을 시행하는 정책 및 과금 시행 기능부(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 PCEF)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PGW(134)는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node: PCEN)일 수 있다. PGW(134)는 예를 들어 패킷 필터링, 심도 패킷 검사 및 가입자 과금 지원과 같은 다수의 부가의 피쳐들을 포함할 수 있다. PGW(134)는 또한 미지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리소스 할당을 요청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정책 및 과금 규칙 노드(PCRN)(136)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PCC 규칙을 생성하고, PGW(134) 및/또는 다른 PCEN(도시 생략)에 PCC 규칙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의 그룹일 수 있다. PCRN(136)은 Rx 인터페이스를 통해 AF(150)와 통신할 수 있다. AF(150)과 관련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PCRN(136)은 AF(150)로부터 인증 및 인가 요청(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Request: AAR)(160)의 형태의 애플리케이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AAR(160)의 수신 시에, PCRN(136)은 애플리케이션 요청(160)을 충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규한 PCC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PCRN(136)은 또한 Gxx 및 Gx 인터페이스를 통해 SGW(132) 및 PGW(134)와 각각 통신할 수 있다. PCRN(136)은 SGW(132) 또는 PGW(134)로부터 크레디트 제어 요청(credit control request: CCR)(도시 생략)의 형태의 애플리케이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AAR(160)과 마찬가지로, CCR의 수신 시에, PCRN은 애플리케이션 요청(170)을 충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규한 PCC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AAR(160) 및 CCR은 개별적으로 프로세싱될 2개의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 요청을 표현할 수 있고, 반면에 다른 실시예에서, AAR(160) 및 CCR은 단일 애플리케이션 요청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PCRN(136)은 AAR(160)과 CCR의 조합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PCC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PCRN(136)을 단일-메시지 및 페어링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요청 모두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신규한 PCC 규칙의 생성 시에 또는 PGW(134)에 의한 요청 시에, PCRN(136)은 Gx 인터페이스를 통해 PGW(134)에 PCC 규칙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MIP 표준을 구현하는 것들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PCRN(136)은 또한 QoS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신규한 QoS 규칙의 생성 시에 또는 SGW(132)에 의한 요청 시에, PCRN(136)은 Gxx 인터페이스를 통해 SGW(132)에 QoS 규칙을 제공할 수 있다.
가입 프로파일 저장소(SPR)(138)는 가입자 네트워크(100)의 가입자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따라서, SPR(138)은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액세스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메모리 디바이스 및/또는 유사한 저장 매체와 같은 머신-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SPR(138)은 PCRN(136)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또는 EPC(130) 내의 독립적인 노드를 구성할 수 있다. SPR(138)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각각의 가입자의 식별자 및 대역폭 한계, 과금 파라미터 및 가입자 우선순위와 같은 각각의 가입자를 위한 가입 정보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40)는 사용자 장비(110)와 AF(150)와 같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40)에 접속된 다른 디바이스 사이에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40)는 또한, 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40)와 통신하는 다양한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화 및/또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기능부(AF)(150)는 공지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사용자 장비(110)에 제공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따라서, AF(150)는 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리밍 또는 음성 통신 서비스를 사용자 장비(110)에 제공하는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AF(150)는 또한 Rx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130)의 PCRN(136)과 통신할 수 있다. AF(150)가 사용자 장비(110)에 공지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할 때, AF(150)는 리소스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해 할당되어야 한다는 것을 PCRN(136)에 통지하기 위해, 다이어미터 프로토콜(Diameter protocol)에 따라 인증 및 인가 요청(AAR)(160)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사용하는 가입자의 신분, 가입자의 IP 어드레스 및/또는 연관된 IP-CAN 세션을 위한 APN 및/또는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정되어야 하는 특정 서비스 데이터 흐름의 식별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F(150)는 Rx 인터페이스를 통해 PCRN(136)에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요청을 통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가입자 네트워크(100)의 사용자는, 가입자가 지정된 시간 내에 사용할 수 있는 리소스의 양에 대한 한계를 정의하는 미터링 한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는 한 달에 10 GB의 데이터에 대한 자격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사용량이 물론 미터링될 수 있다. 가입자에 의한 네트워크 사용량을 포착하기 위해, PCRN(136)은 PGW(134)와 같은 PCEN에 키를 설치할 수 있다. PGW(135)는 키에 관련된 사용량 정보를 PCRN(136)으로 주기적으로 송신하여, 이어서, PCRN(136)은 가입자에 대한 미터링 한계와 사용량을 비교할 수 있다.
PGW(134)에 의해 적용된 키는 세션 키 또는 흐름 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세션 키는 IP-CAN 세션과 같은 사용자 세션과 연관된 모든 사용량을 측정할 것이다. 흐름 키는 IP-CAN 세션 내의 가입자 흐름의 사용량을 측정할 것이다.
미터링 한계는 가입자의 리소스 또는 서비스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리소스는 간단히 가입자에 의해 소비될 수 있는 사용량이다. 동일한 미터링 한계가 세션 또는 흐름 레벨 중 어느 하나 또는 심지어 양자의 레벨들에 동적으로 적용되도록 허용하기 위한 요구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세션 키 및 흐름 키 양자는 미터링 한계와 연관될 수 있다. 현재, 3GPP 사양은 동일한 키가 세션 및 흐름에 동시에 적용되도록 허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IP-CAN 세션이 수립될 수 있고, 세션 키는 사용자의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설치된다. 세션 동안에, 가입자는 다른 공급자의 네트워크로 로밍(roam)할 수 있다. 가입자 동의서(subscriber agreement)는 로밍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사용량이 상이한 레이트로 과금된다는 것을 명시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단위의 로밍 데이터는 홈 네트워크 상의 2 개의 단위의 데이터의 가치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로밍 사용량이 단지 특정 흐름과 연관되면, PCRN(136)은 로밍과 연관된 흐름의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동적으로 키를 설치할 수 있다. 동일한 키가 흐름 및 세션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되면, 세션 키가 삭제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이어서 2의 정격 계수(rating factor)가 그 흐름에서 보고되는 사용량에 적용되고, 이어서 미터링 한계와의 비교를 위해 누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세션 키 및 흐름 키 양자는 동시에 설치되고 시행될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세션 키는 IP-CAN 세션과 연관된 가입자의 총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흐름 키는 특정 흐름과 연관된 가입자의 사용량을 측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흐름은 영화 서비스로부터의 비디오 스트림일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비디오 스트리밍 데이터는, 합의에 의해, 미터링 한계에 대해 과금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흐름 키에 의해 측정된 임의의 데이터 사용량은 IP-CAN 세션의 전체 사용량으로부터 감산되어, 미터링 한계에 대해 가입자의 사용량에 도달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는, 미터링 한계와 연관될 수 있는 다수의 흐름 키 및 세션 키를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및/또는 전체 세션 미터링으로부터 상이하게 미터링될 필요가 있는 다수의 데이터 흐름들이 존재할 수 있다. 각각의 키와 연관된 데이터 사용량은, 데이터 사용량이 미터링 한계와 비교되는 가입자의 총 사용량에 부가되기 전에 적용되는 정격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세션에서 데이터 흐름과 연관된 사용량을 본질적으로 포함하는, 세션 키에 의해 측정된 사용량은 흐름 키에 의해 측정되는 사용량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수의 흐름 키가 사용되는 다른 이유는, 상이한 흐름이 각각의 흐름에 대한 상이한 규칙을 요구하는 상이한 서비스 품질 요건을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각각의 흐름은 연관된 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10 GB의 수립된 미터링 한계(ML)를 가질 수 있다. IP-CAN 세션이 수립될 때, 제 1 세션 키(SK1)는 IP-CAN 세션의 총 흐름(TF)을 측정하기 위해 정의되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입자는, 가입자의 전체 사용량에 대해 상이하게 카운팅하는 3 개의 상이한 데이터 흐름(DF1, DF2 및 DF3)을 갖는다. 세션 키(SF1) 및 데이터 흐름(DF1, DF2 및 DF3)과 연관된 흐름 키 모두는 미터링 한계(ML)와 연관되고 이에 대해 카운팅될 수 있다. DF1은 미터링 한계(ML)에 대해 데이터 사용량이 카운팅되지 않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일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 DF1은 가입자의 총 데이터 사용량(TDU)으로부터 단지 감산될 수 있고, 또는 0의 정격 계수(RF1)가 사용될 수 있다. DF2는 다른 데이터 사용량에 비해 비싼 데이터 서비스일 수 있어서, DF2는 1.5의 정격 계수(RF2)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DF3은 다른 데이터 사용량에 비해 덜 비싼 데이터 서비스일 수 있어서, DF3은 0.5의 정격 계수(RF3)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총 데이터 사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항 (DF1 + DF2 + DF3)은, 총 흐름(TF)으로부터 감산될 필요가 있는 흐름(DF1, DF2 및 DF3)에서의 총 사용량을 나타낸다. 항 (*RF1 + DF2*RF2 + DF3*RF3)은, 총 데이터 사용량(TDU)에 도달하도록 다시 합산될 필요가 있는 흐름(DF1, DF2 및 DF3)에 대한 총 가중된 사용량을 나타낸다.
도 2는 사용량 대 미터링 한계를 측정하기 위해 세션 키 및 흐름 키의 동적 사용을 예시한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2에 예시된 방법(200)은 PCRN(13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예시된 방법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인스트럭션에 의해 하드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방법(200)은 (205)에서 시작된다. 다음에, IP-CAN 세션과 같은 사용자 세션이 개시될 수 있다(210). 일단 IP-CAN 세션이 개시되면, 가입자에 대한 미터링 한계가 검색될 수 있다(215). 흐름 키를 가질 데이터 흐름의 유형 및, 필요하다면, 연관된 정격 계수와 같이, 미터링 한계에 관련된 다른 정보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다음에, 방법(200)은 설치할 키를 동적으로 결정한다(220). 이러한 실시예에서, 세션 키 및 흐름 키 중 단지 하나가 주어진 시간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될 키는 시행중인 현재 PCC 규칙 및 세션 키 또는 흐름 키의 사용을 요구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동작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선택될 것이다. 이어서, 선택된 키가 설치될 수 있다(225). 선택된 키는 세션 키 또는 흐름 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음에, 방법(200)은 설치된 키와 연관된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한다(230). 이어서, 정격 계수가 사용량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다(235). 이어서, 정격 사용량 데이터는 누적되어, 누적된 미터링된 사용량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240).
방법(200)은 다음에 현재 키를 변경하기로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시스템의 동작 파라미터 또는 특성에서의 일부 변화로 인해 요구될 수 있다. 어떠한 동적 변화도 요청되지 않는다면, 방법은 (260)에서 종료될 수 있다. 동적 변화가 요청되면, 방법(200)은 현재 키를 삭제(uninstall)할 수 있다(250). 다음에, 새로운 키가 설치될 수 있다(255). 이어서, 방법은 (260)에서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키가 세션 키이면, 설치할 새로운 키는 흐름 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현재 키가 흐름 키이면, 설치할 새로운 키는 세션 키일 수 있다.
도 3은 사용량 대 미터링 한계를 측정하기 위해 세션 키 및 다수의 흐름 키의 동시 사용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3에 예시된 방법(300)은 PCRN(13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예시된 방법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하드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방법(300)은 (305)에서 시작된다. 다음에, IP-CAN 세션과 같은 사용자 세션이 개시될 수 있다(310). 일단 IP-CAN 세션이 개시되면, 가입자에 대한 미터링 한계가 검색될 수 있다(315). 흐름 키를 가질 데이터 흐름의 유형 및, 필요하다면, 연관된 정격 계수와 같이, 미터링 한계에 관련된 다른 정보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다음에, 방법(300)은 설치할 키를 동적으로 결정한다(320). 이러한 실시예에서, 세션 키 및 미터링 한계와 연관된 임의의 수의 흐름 키가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될 키는 시행중인 현재 PCC 규칙 및 임의의 다른 동작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선택될 것이다. 이어서, 선택된 키가 설치될 수 있다(325).
다음에, 방법(300)은 설치된 키와 연관된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한다(330). 이어서, 정격 계수가 사용량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다(335). 이어서, 정격 사용량 데이터는 누적되어, 누적된 미터링된 사용량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340).
방법(300)은 다음에 임의의 현재 키를 변경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시스템의 동작 파라미터 또는 특성에서의 일부 변화로 인해 요구될 수 있다. 어떠한 변화도 요청되지 않는다면, 방법은 (365)에서 종료될 수 있다. 변화가 요청되면, 방법(300)은 설치할 새로운 키를 결정할 수 있다(350). 또한, 방법(300)은 현재 키들 중 어느 것을 삭제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355). 다음에, 방법(300)은 삭제할 키를 삭제할 수 있다(360). 다음에, 방법(300)은 새로운 키를 설치하기 위한 단계(325)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음은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는 머신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 상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으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이는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수 있다. 머신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는 퍼스널 또는 랩탑 컴퓨터, 서버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머신에 의해 판독 가능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형(tangible)의 비 일시적인 머신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매체, 광 스토리지 매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및 유사한 스토리지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임의의 블록도가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 도면을 나타내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플로우 차트, 흐름도, 상태 전이도, 의사 코드 등이 실질적으로 머신 판독 가능한 매체에 표현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그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그와 같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가 그것의 특정 예시적인 양태를 특히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고 그 세부사항은 다양한 분명한 점에서 수정 가능한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자명한 바와 같이,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서 유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시물, 설명 및 도면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이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Claims (19)

  1. 정책 및 과금 규칙 노드(policy and charging rules node: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와 연관된 미터링 한계(metering limit)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미터링 한계와 연관된 세션 키(session key)를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미터링 한계와 연관된 흐름 키(flow key)를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세션 키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동적으로 선택된 세션 키를 상기 사용자의 세션에 적용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node)에 명령하는 단계와,
    상기 흐름 키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세션 키를 삭제(uninstall)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와,
    상기 동적으로 선택된 흐름 키를 상기 사용자의 흐름에 적용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된 키와 연관된 사용량 데이터(usage data)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량 데이터를 누적하여 미터링된 사용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사용량 데이터에 정격 계수(rating factor)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키 및 상기 흐름 키에 대한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정격 계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키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관련된 시스템 동작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6. 정책 및 과금 규칙 노드(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와 연관된 미터링 한계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미터링 한계와 연관된 세션 키를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미터링 한계와 연관된 흐름 키를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흐름 키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동적으로 선택된 흐름 키를 상기 사용자의 흐름에 적용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와,
    상기 세션 키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흐름 키를 삭제하고 상기 동적으로 선택된 세션 키를 상기 사용자의 세션에 적용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된 키와 연관된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량 데이터를 누적하여 미터링된 사용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사용량 데이터에 정격 계수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키 및 상기 흐름 키에 대한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정격 계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키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는 정책 및 과금 제어(PCC) 규칙에 기초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키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관련된 시스템 동작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2. 정책 및 과금 규칙 노드(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와 연관된 미터링 한계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미터링 한계와 연관된 세션 키를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미터링 한계와 연관된 흐름 키를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세션 키를 상기 사용자의 세션에 그리고 상기 흐름 키를 상기 사용자의 흐름에 동시에 적용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흐름 키를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미터링 한계와 연관된 복수의 흐름 키를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는, 상기 세션 키를 상기 사용자의 세션에 그리고 상기 복수의 흐름 키를 상기 사용자의 복수의 흐름에 동시에 적용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된 키와 연관된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량 데이터를 누적하여 미터링된 사용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사용량 데이터에 정격 계수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키 및 상기 흐름 키에 대한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정격 계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설치된 키를 변경하기 위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삭제할 현재 키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현재 키를 삭제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와,
    설치할 새로운 키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키를 설치하도록 정책 및 과금 시행 노드에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된 키를 변경하기 위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는 정책 및 과금 제어(PCC) 규칙에 기초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된 키를 변경하기 위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관련된 시스템 동작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PCR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KR1020147033352A 2012-05-29 2013-05-15 흐름당 및 세션당 미터링 한계 적용 KR101851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82,109 US20130326076A1 (en) 2012-05-29 2012-05-29 Per flow and per session metering limit application
US13/482,109 2012-05-29
PCT/CA2013/050373 WO2013177694A1 (en) 2012-05-29 2013-05-15 Per flow and per session metering limit appl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026A true KR20150006026A (ko) 2015-01-15
KR101851042B1 KR101851042B1 (ko) 2018-04-20

Family

ID=4967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352A KR101851042B1 (ko) 2012-05-29 2013-05-15 흐름당 및 세션당 미터링 한계 적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326076A1 (ko)
EP (1) EP2856785B1 (ko)
JP (1) JP5927341B2 (ko)
KR (1) KR101851042B1 (ko)
CN (1) CN104350773B (ko)
IN (1) IN2014DN09274A (ko)
WO (1) WO20131776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6888B1 (en) * 2012-09-28 2015-08-25 Emc Corporation Customer controlled data privacy protection in public cloud
US20140379912A1 (en) * 2013-06-24 2014-12-25 Alcatel-Lucent Canada, Inc. Radius session limit per service type
CN105814837B (zh) * 2014-11-19 2020-09-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定向统计流量的方法、设备及系统
WO2020008384A1 (en) * 2018-07-04 2020-01-09 Channel Technologies Fze Provision and recovery of network usage advanc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334297A1 (en) * 2002-09-20 2004-05-04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charging of data reaching a network element of a communication network during a data session
FI120480B (fi) * 2006-05-15 2009-10-30 Software Cellular Network Ltd Menetelmä ja järjestelmä käyttäjälaitteen konfiguroimiseksi
JP4867806B2 (ja) * 2007-06-15 2012-0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システム、サーバ、制御装置および通信装置
CN101567793A (zh) * 2008-04-25 2009-10-28 华为技术有限公司 Pcc规则更新的方法、装置及系统
US8577329B2 (en) * 2009-05-04 2013-11-05 Bridgewater Systems Corp. System and methods for carrier-centric mobile device data communications cost monitoring and control
WO2011057651A1 (en) * 2009-11-13 2011-05-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Ab (Publ) Improved reset functions
CN102075900B (zh) * 2009-11-23 2014-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用量监测控制的方法及系统
WO2011163141A1 (en) * 2010-06-21 2011-12-29 Rftelligent, Inc. Small-size printed circuit board-printed meander line inverted-f antenna for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s
EP2599293B1 (en) * 2010-07-26 2014-05-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es for policy decisions on usage monitoring
CN102421106B (zh) * 2010-09-27 2016-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用量监测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56785A4 (en) 2016-02-24
EP2856785B1 (en) 2019-04-03
EP2856785A1 (en) 2015-04-08
CN104350773A (zh) 2015-02-11
US20130326076A1 (en) 2013-12-05
WO2013177694A1 (en) 2013-12-05
CN104350773B (zh) 2018-04-03
JP5927341B2 (ja) 2016-06-01
JP2015524196A (ja) 2015-08-20
IN2014DN09274A (ko) 2015-07-10
KR101851042B1 (ko)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626B1 (ko) 애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신규 pcc/qos 규칙을 생성 및 제공하는 방법
KR101414921B1 (ko) 가입자에 관련된 변경에 대한 응답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연결 액세스 네트워크(ip-can) 가입자 세션의 관리
KR101421872B1 (ko)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pcc 규칙을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995305B2 (en) Sy session creation and recovering from inconsistent session state between PCRF and OCS
KR101655641B1 (ko) 크레딧 초과 pcc 규칙의 일시적 디스에이블
EP2764714B1 (en) Sy based integrated policy and charging control
US8644337B2 (en) Authorizing QoS per QCI
US9131071B2 (en) Binding of SD messages with radius messages
US20140066004A1 (en) Handling of ocs counter information
US20130086252A1 (en) Flexible rule based usage metering policies
KR101851042B1 (ko) 흐름당 및 세션당 미터링 한계 적용
US9615390B2 (en) PCRN session architecture for roaming
US20140051384A1 (en) Out of credit final-unit-action restrict_access handling
EP2950581B1 (en) Policy server, policy enforcement device, and various methods for dynamically excluding active service add-ons from bearer throttling for user terminals
US20130174212A1 (en) Indication of Authorized and Unauthorized PCC Rules
KR101574915B1 (ko) 로밍 합의/파트너 삭제에 의해 트리거되는 로밍 세션 종료
US20120233335A1 (en) Auxiliary host and ses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