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468A - Wheel holding unit and stroller - Google Patents

Wheel holding unit and s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468A
KR20150005468A KR20140083183A KR20140083183A KR20150005468A KR 20150005468 A KR20150005468 A KR 20150005468A KR 20140083183 A KR20140083183 A KR 20140083183A KR 20140083183 A KR20140083183 A KR 20140083183A KR 20150005468 A KR20150005468 A KR 20150005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carriage
wheel
handle
bos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31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6595B1 (en
Inventor
슈이치로 우사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5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4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5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 B60B33/02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remotely, e.g. by cable or elec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62B9/203Handle bars; Handles movable from front end to rear end position

Abstract

A wheel holding unit (100) includes: a rotating body (110) which holds a wheel (101), a fixed body (105) which supports the rotating body (110) to be rotatable, and a lock member (130) which regulate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5). The fixed body (105) has an accommodating portion (106) which extends in one direction, and is open on one side in one direction. The lock member (130) can slide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6). One side end of the lock member (130) in one direction protrudes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to regulat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A compression spring (103) is disposed on one side in one direction from the lock member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lock member includes a spring base surface (131a) which accommodates the compression spring and has a spring side extending portion (135) which protrudes to the other side in one direction from the spring base surface, and is positioned on a side of the compression spring.

Description

차륜 유지 유닛 및 유모차{WHEEL HOLDING UNIT AND STROLLER}WHEEL HOLDING UNIT AND STROLLER [0002]

본 발명은,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회전체와, 차륜의 회전 축선과 비평행인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를 갖는 차륜 유지 유닛 및 이 차륜 유지 유닛을 가진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holding unit having a wheel holding body for rotatably holding wheels, a wheel holding unit for holding the wheel rotatably about an axis which is not parallel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wheel, .

종래, 유모차의 전륜(前輪)을 유지하는 차륜 유지 유닛으로서,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회전체와, 차륜의 회전 축선과 비평행인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를 갖는 소위 캐스터가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차륜 유지 유닛에는, US5,215,320B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체의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로크 부재가, 전형적으로는 고정체의 수용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의 슬라이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체의 수용부와 로크 부재 사이에는 비교적 큰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wheel holding unit for holding a front wheel of a baby carriage has a wheel holding unit for holding a wheel rotatably, a holding body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wheel about an axis which is not parallel to the wheel axis, So-called casters have been widely used. As described in US5,215, 320B, such a wheel holding unit is provided with a lock member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with respect to the holding body, typically in a receiving portion of the holding body, so as to be slidable. In order to ensure the sliding of the lock member, a relatively large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accommodation portion of the fixture and the lock member.

또한 최근에는, 핸들이, 수직축보다도 후방으로 경사지는 제 1 위치(배면 밀기 위치)와, 측면 보기에 있어서 수직축보다도 전방으로 경사지는 제 2 위치(대면 밀기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유모차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유모차의 조작성을 고려하면, 전각 및 후각 모두에 소위 캐스터로서의 차륜 유지 유닛이 이용되며, 또한 진행 방향의 전방측의 다리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에 있어서의 회전체의 고정체에 대한 회전이 가능해지고, 진행 방향의 후방측의 다리에 부착된 회전체의 고정체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recent years, a stroller capable of swinging between a first position (backward pushing position) in which the handle is inclined rearward than the vertical axis (back pushing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facing pushing position) inclining forward from the vertical axis in the side view It is known. Considering the operability of this kind of baby carriage, a wheel holding unit as a so-called caster is used for both front and rear hatches, and rotation about the fixed body of the rotating body in the wheel holding unit attached to the leg on the front side in the traveling direc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rotation of the rotor attached to the leg on the rear side in the traveling direction to the fixed body is regulated.

그러나, 고정체의 수용부와 로크 부재 사이의 간극이 크면, 로크 부재의 동작에 래틀(rattle)이 발생하여, 로크 부재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없어진다. 또한, 핸들의 위치에 따라서 로크 부재를 동작시키는 유모차에서는, 로크 부재의 동작을 빈번하게 행하기 때문에, 특히 핸들의 위치에 따라서 로크 부재를 자동적으로 동작시키는 유모차에서는, 비수동으로의 로크 부재의 원활한 동작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정체의 수용부와 로크 부재 사이의 간극을 비교적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 문제는 보다 현저해진다.However, if the gap between the accommodation portion of the fixture and the lock member is large, a rattle occurs in the operation of the lock member, and the lock member can not be stably operated. Further, in the baby carriage that operates the lock memb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andle, the operation of the lock member is frequently performed. Therefore, in the baby carriage that automatically operates the lock memb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andle, In order to secure the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set a relatively large clearance between the accommodation portion of the fixture and the lock member, and this problem becomes more significant.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로크 부재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회전체가 고정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체가 고정체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상태의 전환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차륜 유지 유닛 및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k member capable of stably operating the lock member, whereby the state in which the rotator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tationary membe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heel holding unit and a baby carriage that can be more surely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유지 유닛은, In the wheel hol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차륜과, Wheel,

전(前)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와, A rotating body for rotatably supporting a front wheel,

상기 차륜의 회전 축선과 비평행인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또한 일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회전체에 대면하는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된 고정체와, A fixed body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ng body about an axis which is not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wheel and which is extended in one direction and which is opened to one side in the one direction facing the rotating body,

상기 고정체의 상기 수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로크 부재로서,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그 일측단이 수용부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회전체와 걸어 맞춰져 상기 회전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한 로크 부재와, And a lock member slidably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fixture, wherein one end of the lock member protrudes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in the one direction and is engaged with the rotator to regulate rotation of the rotator with respect to the fixture A lock member capable of sliding between a lock position and an unlock position for enabling rotation of the rotator with respect to the stationary member,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해서 압압하는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고, And a compression spring which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presses the lock member from the other side in the one direction toward one side,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을 받치는 스프링 받침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받침면보다도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압축 스프링의 측방에 위치하는 스프링측 연장부를 갖는, 유모차용의 차륜 유지 유닛.Wherein the lock member includes a spring-receiving surface for supporting one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in one direction, and a spring-side extension portion projecting to the other side in the one direction from the spring- A wheel holding unit for a baby carriage.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유지 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측 연장부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를 가지며, 적어도 세 방향으로부터 상기 압축 스프링을 둘러싸도록 해도 된다.In the wheel hol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ing-side extended portion may have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and a connecting wall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and may surround the compression spring from at least three directions .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유지 유닛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스프링 받침면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스프링측 돌출부와 접속된 기부와, 상기 기부와 접속되며 상기 기부보다도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연장된 차륜측 연장부를 갖고, 차륜측 연장부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를 갖도록 해도 된다.In the wheel hol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member includes: a base portion forming the spring receiving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spring side projection; and a base portion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and extending to one side in the one direction Side extension portion, and the wheel-side extension portion may have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and a connecting wall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유지 유닛에 있어서, 상기 차륜측 연장부는,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에, 끝이 가늘어진 선단 테이퍼부를 갖도록 해도 된다.In the wheel hol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side extension portion may have a tapered distal end tapered portion at one side end in the one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유지 유닛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상기 로크 위치에 있는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차륜측 연장부를 수용하는 걸어 맞춤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는,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에, 끝이 가늘어진 바닥 테이퍼부를 갖도록 해도 된다.In the wheel hol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body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concav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wheel-side extending portion of the lock member in the lock position, and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the one- And one end may have a tapered bottom tapered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각 및 후각을 갖는 유모차 본체와, A baby carriage body having a full angle and a sense of smell,

상기 유모차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과, A handle pivotably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body,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유지 유닛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고정체가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을 구비하고, The wheel holding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further comprising a wheel holding unit to which the fixed body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full-

상기 핸들의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한 요동에 따라서,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위치로 혹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And a switching mechanism for moving the locking member from the unlocking position to the locking position or from the locking position to the unlocking position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relative to the baby carriage body.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핸들의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한 요동에 따라 동작하는 전환 부재와, 상기 전환 부재와 상기 로크 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환 부재의 동작을 상기 로크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mechanism may include a switching member that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and a switch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witching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을 관통해서 연장되는 와이어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재의 한쪽의 단부가, 상기 스프링 받침면을 형성하는 상기 로크 부재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on spring is a compression coil spring, and the transmission means includes a wire member extending through the compression coil spring, and one end of the wire member is connected to the spring support surface May be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of the lock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로크 부재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체가 고정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체가 고정체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상태의 전환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operate the lock member. This makes it possible to reliably switch betwee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body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and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body is not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시트의 등받이부가 세워지고 또한 핸들이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시트의 등받이부가 뉘어지고 또한 핸들이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시트 지지 유닛의 등받이부 지지 요소가 세워지고 또한 핸들이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시트가 분리된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시트 지지 유닛의 등받이부 지지 요소가 뉘어지고 또한 핸들이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시트가 분리된 도 2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유모차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유모차의 측면도.
도 7은 시트가 분리된 도 1의 유모차를 절첩(折疊)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시트 지지 유닛을 중심으로 한 유모차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상태에서의 유모차의 측단면도.
도 9는 시트 지지 유닛을 중심으로 한 유모차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시트 지지 유닛의 등받이부 지지 요소가 뉘어진 상태에서의 유모차의 측단면도.
도 10은 시트 지지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시트 지지 유닛 및 본체 프레임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시트 지지 유닛 및 본체 프레임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시트 지지 유닛 및 본체 프레임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핸들과 유모차 본체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15는 핸들과 유모차 본체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핸들 및 유모차 본체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핸들 및 유모차 본체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부터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전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핸들 및 유모차 본체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부터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전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핸들 및 유모차 본체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부터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전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핸들 및 유모차 본체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부터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전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핸들 및 유모차 본체의 접속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부터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전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한쪽의 차륜을 분리한 상태에서 차륜 유지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차륜을 분리한 상태에서 차륜 유지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4는 차륜 유지 유닛의 제 2 탄성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는 도 23의 ⅩⅩⅢ-ⅩⅩⅢ에 따른 차륜 유지 유닛의 단면도로서, 로크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도 25와 마찬가지의 단면도로서, 로크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로크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시트를 펼친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9는 도 8의 시트 지지 유닛에 지지된 상태에서의 시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0은 도 9의 시트 지지 유닛에 지지된 상태에서의 시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1은 바구니에 조립된 바닥 패널 및 후측 패널을 전방 위쪽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32는 바구니에 조립된 바닥 패널 및 후측 패널을 후방 아래쪽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carriage in a state in which a back portion of a seat is erected and a handle is disposed in a first posi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oller of Fig. 1 with the backrest portion of the seat laid down and the handle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oller of Fig. 1, in which the seat is separated with the backrest support element of the seat support unit raised and the handle in the first posi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oller of Fig. 2 with the seat sepa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support element of the seat support unit is divided and the handle is arranged in the second position; Fig.
Fig. 5 is a side view of the stroller of Fig. 3; Fig.
Fig. 6 is a side view of the stroller of Fig. 4; Fig.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oller of Fig. 1 in which the seat is separated in a folded state. Fig.
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baby carriage in the state of Fig. 3, showing a part of the baby carriage centered on the seat supporting unit; Fig.
Fig.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by carriage in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support element of the seat support unit is laid out, showing a part of the baby carriage about the seat support unit;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eet supporting unit;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portion of the seat supporting unit and the main body frame from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portion of the seat supporting unit and the main frame from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ng portion of the seat supporting unit and the main frame in a cross sec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1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handle and the baby carriage body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15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baby carriage body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baby carriage body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Fig.
Fig. 1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baby carriage body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chanism. Fig.
18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baby carriage body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chanism.
Fig. 19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baby carriage body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chanism. Fig.
Fig. 20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baby carriage body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chanism. Fig.
Fig. 2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baby carriage body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chanism.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heel holding unit in a state in which one of the wheels is separated;
23 is a side view showing the wheel holding unit with the wheels separated;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of the wheel holding unit;
2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heel holding unit according to XXIII-XXIII in Fig. 23,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lock member.
26 is a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25,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lock member.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 member;
28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eet in an unfolded state;
Fig. 29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eet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by the sheet supporting unit of Fig. 8; Fig.
Fig. 30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eet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by the sheet supporting unit of Fig. 9; Fig.
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 panel and a rear panel assembled in a basket from a front upper side;
3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panel and the rear panel assembled in the basket from the rear lower sid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to 32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유모차의 개략》"Outline of stroller"

도 1∼도 32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시된 유모차(10)는, 본체 프레임(15) 및 본체 프레임(15)에 지지된 시트 지지 유닛(40)을 갖는 유모차 본체(11)와, 시트 지지 유닛(40)에 장착된 시트(150)와, 유모차 본체(11)에 접속된 핸들(70)과, 본체 프레임(15)의 전각(前脚)(20) 및 후각(後脚)(21)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과, 유모차 본체(11)에 지지된 바구니(90)를 갖고 있다. 시트(150)는 쿠션성을 가진 기지(旣知)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트 지지 유닛(4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시트(150) 상에 유유아가 앉거나 눕게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덮개 등의 다른 부재가 유모차(10)에 더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1 to 32 show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in this embodiment. The illustrated baby carriage 10 includes a baby carriage body 11 having a body frame 15 and a seat support unit 40 supported by the body frame 15 and a seat 150 mounted on the seat support unit 40, A steering wheel 70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a wheel holding unit 100 attached to the fore and aft legs 20 and 21 of the main body frame 15, And a basket 90 supported by the main body 11. The seat 150 can be a known cushioning member, and is preferably detachable from the seat support unit 40. The baby sit on the seat 150 or lie down. Further, although not shown, other members such as a lid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troller 10.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각(20), 후각(21) 및 핸들(70)이 서로 접근하도록 해서 절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모차 본체(11)의 대부분의 구성 요소는 절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서로 피벗 부착되어 있다. 또한, 시트(150)는 유연성을 가진 직물재 등을 이용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baby carriage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folded so that the front angle 20, the rear angle 21 and the handle 70 approach each other as shown in Fig. Most of the components of the baby carriage body 11 are pivotally attached to each other to enable folding. Further, the seat 150 is formed using a flexible fabric or the like, and is deformable in accordance with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70)은 유모차 본체(11)에 접속되며 또한 유모차 본체(11)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핸들(70)은, 도 1, 도 3 및 도 5에 나타난 제 1 위치(배면 밀기 위치, 후방 위치)와, 도 2, 도 4 및 도 6에 나타난 제 2 위치(대면 밀기 위치, 전방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보호자)가 유유아의 배면측으로부터 핸들(70)을 파지하고 유모차(10)를 조종하여 유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해서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 및 조작자가 유유아에 대면하는 전각측의 위치로부터 핸들(70)을 파지하고 유모차를 조종하여 유모차(10)의 후각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해서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의 양쪽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70 is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and is swingable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The handle 70 has a first position (back pushing position, rear position) shown in Figs. 1, 3 and 5 and a second position (facing pushing position, forward position) shown in Figs. 2, As shown in Fig. This means that the operator (guardian) grasps the handle 70 from the back side of the infant and controls the baby carriage 10 so that the infant is directed forward in the advancing direction, so that the baby carriage 10 travels, And the baby carriage 10 can be driven so that the rear side of the baby carriage 10 is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by carriage 10 by gripping the handle 70 from the position on the front side facing the baby carriage 10 and controlling the baby carriage.

전각(20) 및 후각(21) 중 적어도 한쪽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은, 차륜(101)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회전체(110)와, 차륜(101)의 회전 축선(Ar)과 비평행인 축선(「캐스터 축선(Ac)」이라고도 부름)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체(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105)를 가진 소위 캐스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모차(10)에는, 핸들(70)의 위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차륜 유지 유닛(100)의 회전체(110)를 고정체(1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 기구(88)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각(20) 및 후각(21)의 모두에 캐스터로서 구성된 차륜 유지 유닛(100)이 설치되며, 전환 기구(88)는, 핸들(70)의 위치에 따라서, 진행 방향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다리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에 있어서의,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캐스터 축선(Ac)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진행 방향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다리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에 있어서의,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캐스터 축선(Ac)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규제한다.The wheel holding unit 100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angle 20 and the rear angle 21 includes a rotating body 110 for rotatably holding the wheel 101, Called caster having a fixed body 105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ng body 110 about an axis (also referred to as a " caster axis Ac " The baby carriage 10 can be automatic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handle 70 so that the rotating body 110 of the wheel holding unit 10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5 A switching mechanism 88 is provided. Particular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heel holding unit 100 constructed as a caster is provided in both the front full angle 20 and the rear vertical angle 21, and the switching mechanism 88 is configured such that,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handle 70, It is possible to rotate about the caster axis Ac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5 of the rotating body 110 in the wheel holding unit 100 attached to the leg located on the front side, The rotation about the caster axis Ac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5 of the rotating body 110 in the wheel holding unit 100 attached to the leg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rotating body 110 is regulated.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10)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전」, 「후」, 「상」 및, 「하」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및 「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후 방향」이란, 도 1∼도 4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좌하(左下)와 우상(右上)을 잇는 방향, 및 도 5 및 도 6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우를 잇는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승차한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도 4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하측 및 도 5 및 도 6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이 「전측」으로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동시에 유모차(10)가 놓인 면(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유모차(10)가 놓여 있는 면이 수평면인 경우 「상하 방향」이란 연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횡 방향」 및 「폭 방향」이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어디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한, 「우」 및 「좌」에 대해서도, 각각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횡 방향 또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우」 및 「좌」인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s "before", "after", "upper" and "lower" of the baby carriage 10 and its constituent elements are used to indicate that the baby carriage 10 Quot ;, " after ", " image ", and " bottom " Means the direction connecting the lower left (lower left) and the upper right (upper right) of the paper surface in Figs. 1 to 4 and the direction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of the paper in Figs. 5 and 6 . Unless otherwise instructed, the term " front " is the side toward the infant infant on which the carriage is headed. The left lower side of the sheet of Fig. 1 to Fig. 4 and the left side of the sheet of Fig. 5 and Fig. On the other hand, the " vertical direction "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urface (ground surface) on which the baby carriage 10 is placed. Therefore, when the side on which the baby carriage 10 is placed is a horizontal plane, the " vertical direction "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re directions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Right " and " left "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based on the infant feeding the baby carriage 10, respectively.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체로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해 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aby carriage 10 is gener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extending as a w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inafter, each constituent element of the baby carriage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유모차 본체 및 핸들》"Stroller body and handle"

유모차 본체(11)는, 전각(20) 및 후각(21)을 갖는 본체 프레임(15)과, 축 부재(13)를 통하여 본체 프레임(15)에 접속된 시트 지지 유닛(40)을 갖고 있다. 시트 지지 유닛(40)은 축 부재(13)를 통하여 본체 프레임(15)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0)의 절첩 동작 및 전개 동작에 수반하여 시트 지지 유닛(40)의 본체 프레임(15)에 대한 상대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트 지지 유닛(40)의 본체 프레임(15)에 대한 회동 중심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에 일치해 있으며,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유모차(10)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70)은 축 부재(13)를 통하여 유모차 본체(11)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 대한 회동 중심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에 일치해 있고, 따라서 유모차(10)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되어 있다. 우선, 유모차 본체(11)의 시트 지지 유닛(40)에 대하여 설명하고, 다음으로 유모차 본체(11)의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후, 핸들(70)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baby carriage body 11 has a main body frame 15 having an front angle 20 and a rear angle 21 and a seat support unit 40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5 through a shaft member 13. [ The seat support unit 40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body frame 15 through the shaft member 13. [ Thus, the seat supporting unit 40 can be operated relative to the main body frame 15 in accordance with the folding operation and the expan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 The pivotal center of the seat support unit 4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rame 15 coincides with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and 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by carriage 10 in the illustrated example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le 70 is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via the shaft member 13 so as to be swingable. The turning center of the handle 70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coincides with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and is therefore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by carriage 10. [ First, the seat support unit 40 of the baby carriage body 11 will be described. Next, the body frame 15 of the baby carriage body 11 will be described. Then, the handle 70 will be described.

〈시트 지지 유닛(40)〉<Seat Support Unit 40>

도 2, 도 3, 도 8∼10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 유닛(40)은,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엉덩이부에 하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되는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와,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등에 후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되는 등받이부 지지 요소(60)를 포함하고 있다. 등받이부 지지 요소(60)는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대하여 요동 가능(경도(傾倒)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0)의 리클라이닝(reclining)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리클라이닝 각도는,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배면을 통과해서 본체 프레임(15)에 부착된 리클라이닝 조절 벨트(도시하지 않음)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2, 3, and 8 to 10, the seat supporting unit 40 includes a sitting face support element 50 that faces downward from the hip portion of the infant who rides on the baby carriage 10, And a backrest supporting element 60 facing back from the back of the baby carriage riding on the baby carriage 10. The backrest supporting element 60 is capable of swinging (tilting) with respect to the sitting face support element 50. [ As a result, the reclin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becomes possible. The reclining angle of the backrest support element 60 may also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eclining adjustment belt (not shown) attached to the body frame 15 through the back of the backrest support element 60 can do.

앉음면부 지지 요소(50)는, 그 후방 부분에 폭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후방 접속부(54)를 갖고 있다. 한편, 등받이부 지지 요소(60)는, 그 하방 부분에 폭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하방 접속부(62)를 갖고 있다. 좌측의 후방 접속부(54)는 좌측의 하방 접속부(62)와 걸어 맞춰져 있고, 우측의 후방 접속부(54)는 우측의 하방 접속부(62)와 걸어 맞춰져 있다. 후방 접속부(54) 및 하방 접속부(62)의 걸어 맞춤에 의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는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한 쌍의 후방 접속부(54)는 한 쌍의 하방 접속부(62)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해 있지만, 이 예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한 쌍의 하방 접속부(62)가 한 쌍의 후방 접속부(54)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The sitting surface support element 50 has a pair of rear connection portions 54 disposed at the rear portion thereof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backrest supporting element 60 has a pair of downward connecting portions 62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left rear connecting portion 54 is engaged with the left lower connecting portion 62 and the right rear connecting portion 54 is engaged with the right lower connecting portion 62. The rear support portion 60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seat support portion support element 50 by the engagement of the rear connection portion 54 and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62. [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pair of rear connecting portions 54 are located o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ir of lower connecting portions 6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For example, a pair of the lower connecting portions 62 Or may be located inside the pair of rear connecting portions 54 in the width direction.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접속부(54) 및 하방 접속부(62)에는, 각각 축 부재(13)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50a), 관통 구멍(60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도 1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축 부재(13)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 배치되어 있다. 각 축 부재(13)는, 대응하는 측이 되는 후방 접속부(54) 및 하방 접속부(62)의 관통 구멍(50a), 관통 구멍(60a)을 관통해서 연장되어 있다.13, a through hole 50a and a through hole 60a through which the shaft member 13 passes are formed in the rear connecting portion 54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62, respectively. As can be understood from Figs. 10 to 12, the pair of shaft members 13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Each of the shaft members 13 extends through the through hole 50a and the through hole 60a of the rear connecting portion 54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62 which are the corresponding sides.

또한, 하방 접속부(62)에는,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설치되며 또한 축선 방향(da)으로 돌출하는 보스(제 1 보스)(62a)가 설치되어 있다. 보스(62a)는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둘레 전체 상에 또는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면(외표면)을 갖고 있다. 한편, 후방 접속부(54)에는 보스(62a)의 보스면(62a1)을 받치는 보스 받침(54a)이 형성되어 있다. 보스 받침(54a)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둘레 전체 상에 또는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 받침(54a1)을 갖고 있다. 후방 접속부(54) 및 하방 접속부(62)가 상대 회동할 때, 보스(62a)의 보스면(62a1)과 보스 받침(54a)의 보스 받침면(54a1)은 상대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보스(62a)와 보스 받침(54a)이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는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해진다. 특히, 보스(62a)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대한 요동 축선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과 일치한다. 또한, 후방 접속부(54) 및 하방 접속부(62)의 한쪽에 설치된 각 보스(62a)가, 후방 접속부(54) 및 하방 접속부(62)의 다른 쪽에 설치된 대응하는 측의 보스 받침(54a)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축 부재(13)에 관통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도, 앉음면부 지지 요소(50) 및 등받이부 지지 요소(60)가 상대 요동 가능한 상태에서 서로 접속되게 된다. 또한, 도시된 예와는 달리 후방 접속부(54)에 보스가 설치되고 하방 접속부(62)에 보스 받침이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A boss (first boss) 62a is provided on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62 on a circumference centered on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and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da have. The boss 62a has a boss surface (outer surface) located on or in part on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ce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n the other hand, a boss support 54a for supporting the boss face 62a1 of the boss 62a is formed in the rear connection portion 54. [ The boss pedestal 54a has a boss pedestal 54a1 positioned on or in part on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ce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 The boss face 62a1 of the boss 62a and the boss face 54a1 of the boss pedestal 54a slide relative to each other when the rear connecting portion 54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62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By engaging the boss 62a with the boss pedestal 54a in this way, the backrest supporting element 60 can be swung relative to the sitting face supporting element 50. [ In particular, since the boss 62a extend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the swing axis of the backrest support element 60 relative to the seating surface support element 50, And coincides with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Each of the bosses 62a provided on one of the rear connecting portion 54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62 enters the corresponding boss pedestal 54a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connecting portion 54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62 The seat surface supporting element 50 and the backrest supporting element 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seat surface supporting element 60 and the seat back supporting element 60 are relatively pivotable even in a state before passing through the shaft member 13, for example. Also, unlike the illustrated example, the boss may be provided in the rear connection portion 54 and the boss support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62. [

도 13에 나타난 예에서는,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하방 접속부(62)에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보스(62a)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62a)는 축 부재(13)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60a)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폭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보스(62a)는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을 고리 형상으로 주회(周回)하고 있다. 한편,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의 후방 접속부(54)에 보스(62a)를 받치는 보스 받침(54a)이 형성되어 있다. 보스 받침(54a)은 후방 접속부(54)에 형성된 축 부재(13)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50a)의 내주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는, 후방 접속부(54)의 관통 구멍(50a)은 하방 접속부(62)의 보스(62a)를 개재하고 축 부재(13)를 수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 따르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형성된 관통 구멍(60a)의 축선 방향(da)을 따른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지지 유닛(40)의 축 부재(13)에 대한 흔들림을 억제해서, 축 부재(13)를 통한 시트 지지 유닛(40)과 본체 프레임(15)의 상대 요동을 원활화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 a boss 62a protrud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is formed in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62 of the backrest supporting element 60. As shown in Fig. The boss 62a forms a part of the through hole 60a through which the shaft member 13 penetrates. The boss 62a protrud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circles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in an annular shape. On the other hand, a boss support 54a for supporting the boss 62a is formed on the rear connecting portion 54 of the seat surface supporting element 50. The boss pedestal 54a is form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50a through which the shaft member 13 formed in the rear connecting portion 54 passes. The through hole 50a of the rear connecting portion 54 accommodates the shaft member 13 with the boss 62a of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62 interposed therebetwee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ength of the through hole 60a formed in the backrest support element 60 along the axial direction da can be made long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relative swinging of the seat supporting unit 40 relative to the shaft member 13, thereby facilitating the relative swinging motion of the seat supporting unit 40 and the main body frame 15 through the shaft member 13. [

이하, 도시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 및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대하여 더 상세히 기술한다. 앉음면부 지지 요소(50)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과,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이 이루는 U자의 단부(端部)(51a)에 각각 부착된 프레임 선단 부재(53)와,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에 팽팽하게 설치된 베이스 시트(55)를 갖고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55)는 도 10에만 나타내고 있다.Hereinafter, the seat surface supporting element 50 and the backrest supporting element 6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seat surface supporting member 50 includes a sitting face supporting frame 51 formed in a U shape and a frame front end member 51a attached to an end 51a of a U- 53 and a base sheet 55 which is tightly provided on the sitting face support frame 51. [ The base sheet 55 is shown only in Fig.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은,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52a)와,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52a)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결 프레임부(52b)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52a)는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부(52b)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52a)의 전측 단부를 잇도록 연장되어 있다.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은, 단일의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 파이프를 구부리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일체물의 부품(부재)으로 할 수 있다. 프레임 선단 부재(53)는 폭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 내에서 연장되는 부품(부재)으로서, 예를 들면 수지를 이용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 선단 부재(53)가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와의 접합부로 되는 후방 접속부(54)를 형성하고 있다.The sitting surface supporting frame 51 has a pair of side frame portions 52a and a connecting frame portion 52b extending between the pair of side frame portions 52a. The pair of side frame portions 52a are symmetrically formed and extend substanti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52b extends to connect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pair of side frame portions 52a. The sitting face support frame 51 can be an integral part (member) formed by bending a single piece of a metal pipe made of, for example, aluminum. The frame distal end member 53 is a component (member) extending in a plane orthogonal to the width direction and can be formed using, for example, resi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rame front end member 53 forms a rear connecting portion 54 to be a joining portion with the backrest supporting element 60.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에 팽팽한 상태로 지지된 베이스 시트(55)는, 예를 들면 직물재나 매쉬재로 형성된 시트 형상의 부재이다. 도시된 베이스 시트(55)는,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의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52a) 및 연결 프레임부(52b)에 의해 평면 보기에 있어서 세 방향으로부터 둘러싸이는 영역 내에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하는 메인 시트부(56)와, 메인 시트부(56)에 접속 또는 부착된 통 형상부(57) 및 벨트부(58)를 갖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부(57)는 메인 시트부(56)의 전단연(前端緣)에 접속되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벨트부(58)는 그 양단에 있어서 메인 시트부(56)와 접속되어 있고, 메인 시트부(56)와의 사이에 지지 관통 구멍(55a)을 형성하고 있다. 메인 시트부(56)의 후단연(後端緣)은, 다음에 설명하는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하방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의 연결 프레임부(52b)가 통 형상부(57) 내를 통과하며 또한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52a)가 지지 관통 구멍(55a)을 통과하도록 해서, 베이스 시트(55)가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에 장착되며, 베이스 시트(55)가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양방향으로 팽팽한 상태로 유지된다.The base sheet 55, which is held in a tensioned state on the sitting face support frame 51, is a sheet-like member formed of, for example, a fabric material or a mesh material. The base sheet 55 shown in the figure is at least partially positioned in a region surrounded by three sides in the plan view by the pair of side frame portions 52a and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52b of the seating face supporting frame 51 And a cylindrical portion 57 and a belt portion 58 which are connected to or attached to the main seat portion 56. The main portion 56 is provided with a main portion 56, As shown in Fig. 10, the cylindrical portion 57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front end edge of the main seat portion 56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belt portion 58 is connected to the main sheet portion 56 at both ends thereof and forms a support through hole 55a between the main portion 56 and the belt portion 58. [ The trailing edge of the main seat portion 56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support element 6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52b of the seating surface supporting frame 51 passes through the tubular portion 57 and the pair of side frame portions 52a pass through the supporting through hole 55a, 55 are mounted on the seating surface support frame 51, and the base sheet 55 is held in a state of being tightened in both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widthwise directions.

등받이부 지지 요소(60)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부(61)를 갖고 있다.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와의 접속부로 되는 한 쌍의 하방 접속부(62)가 메인 플레이트부(6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메인 플레이트부(61)에는 통기용의 구멍이나 통기량을 조정하기 위한 핀(fin)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backrest support element 60 has a main plate portion 61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a pair of lower connecting portions 6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main plate portion 61 as connecting portions to the seating surface supporting element 50.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main plate portion 61 may be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or a fin for adjusting the ventilation amount.

도 2, 도 3 및 도 8∼10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 유닛(40)은,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접속되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한 상방(上方) 지지 요소(41)와, 상방 지지 요소(41) 및 본체 프레임(15)에 각각 접속된 측방 지지 요소(45)를 갖고 있다. 측방 지지 요소(45)는 상방 지지 요소(41)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0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방 지지 요소(41)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2개의 하방 연결부(41b)를 통하여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방 지지 요소(41)의 양 측방에 위치하는 측방 연결부(41a)가, 대응하는 측에 위치하는 측방 지지 요소(45)의 후상방(後上方) 연결부(45b)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한편, 측방 지지 요소(45)는 그 전하방(前下方) 연결부(45a)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15)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방 지지 요소(45)의 전하방 연결부(45a)는 본체 프레임(15)의 후술하는 제 2 링크 요소(24)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2, 3 and 8 to 10, the seat support unit 40 is connected to the backrest support element 60 and is pivotable about the backrest support element 60, A support element 41 and a side support element 45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element 41 and the body frame 15, respectively. The side support element 45 is pivotable relative to the upper support element 41 and the main frame 15.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support element 41 is connected to the back support part 60 via two downward connection parts 41b which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lateral connecting portions 41a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pporting element 41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upper connecting portions 45b of the side supporting elements 45 located on the corresponding side have. On the other hand, the side support element 45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frame 15 at its charge front (downward) connection portion 45a. In this embodiment, the charge-receiving portion 45a of the side support element 45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second link element 24 (described later) of the main frame 15.

단, 도시된 예에 한하지 않으며, 일례로서, 측방 지지 요소(45)의 전하방 연결부(45a)가, 제 2 링크 요소(24)가 아닌 본체 프레임(15)의 다른 부위, 앉음면부 지지 요소(50), 등받이부 지지 요소(60) 등에 피벗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For example, the charge-receiving portion 45a of the side support element 45 may be connected to another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15 other than the second link element 24, (50), the backrest support element (60), and the like.

도 2∼6,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대한 요동에 수반하여, 측방 지지 요소(45)는 전하방 연결부(45a)를 중심으로 해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측방 지지 요소(45)는, 시트(150)가 리클라이닝되어 있을 때에도 그렇지 않을 때에도, 시트(150) 상의 유유아의 측방에 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측방 지지 요소(45)는 링크로서 기능하며,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대한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요동에 따라서,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대하여 상방 지지 요소(41)를 요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서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가 젖혀진 상태에 있어서 상방 지지 요소(41)가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대하여 세워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지지 유닛(40) 상에서 누운 상태의 유유아를, 한 쌍의 측방 지지 요소(45)에 의하여 측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과 함께, 상방 지지 요소(41)에 의하여 후방으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가 세워진 상태에 있어서, 상방 지지 요소(41)가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와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시트 지지 유닛(40) 상에 앉은 상태의 유유아를, 한 쌍의 측방 지지 요소(45)에 의하여 측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과 함께, 상방 지지 요소(41)가 헤드 레스트로서 기능한다.As shown in Figures 2-6, 8 and 9, following the rocking of the backrest support element 60 relative to the seating surface support element 50, the lateral support element 45 is connected to the charge chamber connection 45a, As shown in Fig. Thereby, the side support element 45 is positioned beside the infant on the seat 150, even when the seat 150 is reclined or not. Preferably the side support element 45 serves as a link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element 60 with respect to the back support element 60 in accordance with the oscillation of the back support element 60 relative to the seat side support element 50 41). In the baby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3 and 5, when the back support element 60 is folded back, the upper support element 41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ack support element 60 It is supposed to be built. Thus, the infant under the lying state on the sheet supporting unit 40 can be protected from the side by the pair of side support elements 45 and also by the upper support element 41 from the rear side.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4 and 6, the upper support element 41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ack support element 60 in a state where the back support element 60 is raised. Thus, the infant under sitting on the seat supporting unit 40 can be protected laterally from the side by the pair of side supporting elements 45, and the upper supporting element 41 functions as the headrest.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의 프레임 선단 부재(53)의 사이에 연결 프레임 요소(6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시트(55)와 연결 프레임 요소(68) 사이에서 긴장(緊張)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연장되도록 하고, 이 긴장 부재에 의하여 베이스 시트(55)를 팽팽한 상태로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연결 프레임 요소(68)에 의하면, 시트 지지 유닛(40)의 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재의 내측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 요소(68)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의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a connecting frame element 68 is provided between the frame front end members 53 of the sitting face support element 50. [0064] As shown in Fig. A tension member (not shown) is extended between the base sheet 55 and the connecting frame element 68 so that the base sheet 55 is held in a more stable state by the tension member You can. Further, with the connecting frame element 68,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embers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at supporting unit 40 from falling to the inside. The connecting frame element 68 may be formed of a metal pipe made of, for example, aluminum.

〈본체 프레임〉<Body frame>

다음으로, 전술한 시트 지지 유닛(40)을 지지하는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Next, the main body frame 15 for supporting the above-described seat support unit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7 및 도 11∼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5)은, 좌우의 전각(20) 및 좌우의 후각(21)과, 대응하는 측의 전각(20) 및 후각(21)과 접속된 제 1 링크 요소(22)와, 대응하는 측의 제 1 링크 요소(22)와 접속된 제 2 링크 요소(24)와, 대응하는 측의 전각(20)에 접속된 좌우의 전각 지지 요소(32)와, 대응하는 측의 후각(21)에 접속된 제 3 링크 요소(28)를 갖고 있다. 전각(20) 및 후각(21)은 각각 그 상방 부분에 있어서 제 1 링크 요소(22)와 접속되며 또한 제 1 링크 요소(2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링크 요소(22)는 그 후방 부분에 있어서 제 2 링크 요소(24)와 접속되며 또한 제 2 링크 요소(24)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제 1 링크 요소(22)는 암 레스트로서 기능한다. 제 2 링크 요소(24)는 그 하방 부분에 있어서 제 3 링크 요소(28)와 접속되며 또한 제 3 링크 요소(28)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to 7 and Figs. 11 to 14, the main body frame 15 includes left and right front angles 20 and left and right rear angles 21, and corresponding front side angles 20, A second link element (24) connected to the first link element (22) on the corresponding side and a second link element (24)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front side angle element (32) and a third link element (28)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angle of hue (21). The front angle 20 and the smell angle 21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element 22 and swing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element 22 in the upper part thereof. The first link element 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element 24 at its rear portion and is also rotatable relative to the second link element 24. [ The first link element 22 functions as an armrest. The second link element 24 is connected to the third link element 28 at its lower part and is also rotatable relative to the third link element 28.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지지 유닛(40)을 관통하는 축 부재(13)에 의하여, 제 2 링크 요소(24) 및 제 3 링크 요소(28)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축 부재(13)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제 2 링크 요소(24) 및 제 3 링크 요소(28)는 시트 지지 유닛(40)과도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 프레임(15)의 제 2 링크 요소(24), 제 3 링크 요소(28), 시트 지지 유닛(40)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 및 등받이부 지지 요소(60)는,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link element 24 and the third link element 28 are relatively rotatably connected by the shaft member 13 passing through the seat support unit 40. [ Since the shaft member 13 is used, the second link element 24 and the third link element 28 are also rotatable relative to the seat support unit 40. [ The second link element 24 of the body frame 15, the third link element 28, the seat surface supporting element 50 and the backrest supporting element 60 of the seat supporting unit 40, Relative to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axis of the shaft member 13. [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링크 요소(24)는, 그 상방 부분에 있어서 제 1 링크 요소(22)에 접속된 제 2 링크 본체(25)와, 제 2 링크 본체(25)의 하방 단부에 부착된 제 2 링크 선단 부재(26)를 갖고 있다. 축 부재(13)는, 제 2 링크 본체(25) 중 제 2 링크 선단 부재(26)가 덮고 있는 하방 부분을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링크 본체(25) 및 제 2 링크 선단 부재(26)는 축 부재(13)가 통과해서 연장되는 관통 구멍(25a, 26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3 링크 요소(28)는 그 하방 부분에 있어서 후각(21)에 접속되며 또한 후각(21)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3 링크 요소(28)는, 그 하방 부분에 있어서 후각(21)에 접속된 제 3 링크 본체(29)와, 제 3 링크 본체(29)의 상방 단부에 부착된 제 3 링크 선단 부재(30)를 갖고 있다. 축 부재(13)는 제 3 링크 요소(28) 중 제 3 링크 선단 부재(30)가 덮고 있는 상방 부분을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제 3 링크 본체(29) 및 제 3 링크 선단 부재(30)는 축 부재(13)가 통과해서 연장되는 관통 구멍(29a, 3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link element 24 has a second link body 25 connected to the first link element 22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econd link body 25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body 25 And a second link distal end member (26). The shaft member 13 penetrates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link body 25 covered by the second link distal end member 26. The second link body 25 and the second link distal end member 26 are formed with through holes 25a and 26a through which the shaft member 13 passes. On the other hand, the third link element 28 is connected to the rear horn 21 at the lower part thereof and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rear horn 21. The third link element 28 includes a third link body 29 connected to the olfactory angle 21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a third link distal end member 30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third link body 29 ). The shaft member 13 penetrates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link element 28, which is covered by the third link tip member 30. [ The third link main body 29 and the third link distal end member 30 are formed with through holes 29a and 30a through which the shaft member 13 passes.

그리고, 축 부재(13)를 통하여 시트 지지 유닛(40)과 접속된 본체 프레임(15)에,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설치되며 또한 축선 방향(da)으로 돌출하는 제 2 보스(30b)가 설치되어 있다. 보스(30b)는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둘레 전체 상에 또는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면(외표면)을 갖고 있다. 시트 지지 유닛(40)에, 제 2 보스(30b)의 보스면(30b1)을 받치는 제 2 보스 받침(62b)이 형성되어 있다. 보스 받침(62b)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둘레 전체 상에 또는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 받침(62b1)을 갖고 있다. 본체 프레임(15) 및 시트 지지 유닛(40)이 상대 회동할 때, 제 2 보스(30b)의 보스면(30b1)과 제 2 보스 받침(62b)의 보스 받침(62b1)은 상대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제 2 보스(30b)와 제 2 보스 받침(62b)이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축 부재(13)에 의존하지 않고도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해서 시트 지지 유닛(40) 및 본체 프레임(15)이 상대 회동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축 부재(13)에 가해지는 부하를 보스(30b) 및 보스 받침(62b)의 걸어 맞춤 개소에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유모차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보스(30b)가 보스 받침(62b)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축 부재(13)에 관통되기 전의 조립 시에 시트 지지 유닛(40) 및 본체 프레임(15)을 높은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와는 달리 시트 지지 유닛(40)에 보스가 설치되고 본체 프레임(15)에 보스 받침이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The main body frame 15 connected to the seat support unit 40 through the shaft member 13 is provided on a circumference centered on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and in the axial direction da And a second boss 30b protruding from the second boss 30b. The boss 30b has a boss surface (outer surface) located on or in part on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ce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A second boss support 62b for supporting the boss surface 30b1 of the second boss 30b is formed in the seat support unit 40. [ The boss pedestal 62b has a boss pedestal 62b1 located on or in part on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ce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 The boss face 30b1 of the second boss 30b and the boss pedestal 62b1 of the second boss pedal 62b slide relative to each other when the main body frame 15 and the seat supporting unit 40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The second boss 30b and the second boss pedal 62b engag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eat boss 30b and the second boss pedal 62b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ith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as the center, So that the main body frame 40 and the main body frame 15 are relatively rotatable. As a result, the load applied to the shaft member 13 can be dispersed to the engagement portion between the boss 30b and the boss support 62b,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aby carriage. When the boss 30b is inserted into the boss pedestal 62b, the seat support unit 40 and the main body frame 15 are positioned at a high precision position, for example, at the time of assembly before being passed through the shaft member 13. [ You can decide. Also, unlike the illustrated example, the boss may be provided on the seat support unit 40 and the boss support may be provided on the body frame 15. [

도 13에 나타난 예에서는, 축 부재(13)는, 제 2 링크 요소(24), 제 3 링크 요소(28) 및 시트 지지 유닛(40)을 폭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이 순서로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제 3 링크 요소(28)의 제 3 링크 선단 부재(30)에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보스(30b)가 형성되어 있다. 폭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보스(30b)는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을 고리 형상으로 주회하고 있다. 시트 지지 유닛(40)의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하방 접속부(62)에, 보스(30b)를 받치는 보스 받침(62b)이 형성되어 있다. 보스 받침(62b)은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개구된 오목부의 내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13, the shaft member 13 penetrates the second link element 24, the third link element 28, and the sheet supporting unit 40 in this order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third link end member 30 of the third link element 28 is formed with a boss 30b project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e boss 30b protrud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circles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in an annular shape. A boss support 62b for supporting the boss 30b is formed at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62 of the backrest supporting element 60 of the seat supporting unit 40. [ The boss support 62b is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opened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전각 지지 요소(32)는, 그 하방 부분이 전각(20)에 접속되며 또한 전각(20)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각 지지 요소(32)는 그 상방 부분에 있어서 시트 지지 유닛(40)과 고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서는, 전각 지지 요소(32)는 시트 지지 유닛(40)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고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전각 지지 요소(32)는, 앉음면부 지지 요소(50)를 이루는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의 대응하는 측의 측면 프레임부(52a)와 고착되어 있다. 도 10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각 지지 요소(32)의 상단부에는,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의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을 상방으로부터 받치는 지지 오목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이 이 지지 오목부(32a)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핀 등을 이용하여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과 전각 지지 요소(32)가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앉음면부 지지 요소(50)는 전각 지지 요소(32)에 의하여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The entire supporting element 32 has its lower portion connected to the full angle 20 and is capable of rotating relative to the full angle 20. Further, the full-width support element 32 is fixed to the seat support unit 40 at an upper portion thereof. In the baby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re-and-aft supporting element 32 is fixed to the seating surface supporting element 50 of the seat supporting unit 40. [ More specifically, each full-width support element 32 is fixed to the side frame portion 52a on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seating face support frame 51 constituting the seating face support element 50. 10, a support concave portion 32a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ull-width support element 32 to support the seating face support frame 51 of the seating face support element 50 from above. The seat face supporting frame 51 and the fore-and-aft support element 32 are fixed to each other by using, for example, pins in a state in which the seat face supporting frame 51 is disposed inside the supporting recess 32a. Therefore, the sitting face support element 50 is supported from below by the full-width support element 32. [

전각 지지 요소(32)는 가늘고 긴 시트 받침 부재(33)를 지지하고 있다. 시트 받침 부재(33)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전각 지지 요소(32)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트 받침 부재(33)가 전각 지지 요소(32)에 대하여 슬라이딩해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에 의해, 시트(150)의 전방 부분을 하방으로부터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시트 지지 유닛(40)의 등받이부 지지 요소(60)가 젖혀져서 유유아가 시트(150) 상에 누워 있는 경우에, 시트 받침 부재(33)에 의하여 시트(150)의 전방 부분을 들어올려서, 유유아의 다리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full support element 32 supports the elongated sheet support member 33. The seat supporting member 33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fore-and-aft supporting element 32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 150 can be lifted from below by the front seat supporting member 33 sliding on the front supporting member 32 and extending forward. For example, when the back support member 60 of the seat support unit 40 is bent so that the baby is lying on the seat 150,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 150 is folded by the seat back support member 33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legs of the baby child.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5)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 요소로서, 한 쌍의 전각(20)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풋 레스트(17)와, 한 쌍의 후각(21)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후방 연결재(18)와, 한 쌍의 제 1 링크 요소(22)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드 부재(19)를 갖고 있다.1, the main body frame 15 is a componen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includes a footrest 17 extending between a pair of frontal angles 20, And a guard member 19 extending between the pair of first link elements 22, as shown in Fig.

〈핸들(70)〉<Handle 70>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 본체(11)에 대하여, U자 형상의 핸들(70)이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핸들(70)은 U자의 양단부가 대응하는 측의 제 3 링크 요소(28)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1)를 관통하는 축 부재(13)에 의하여, 핸들(70)과 유모차 본체(11)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특히 축 부재(13)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핸들(70), 본체 프레임(15)의 제 2 링크 요소(24), 제 3 링크 요소(28), 시트 지지 유닛(40)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 및 등받이부 지지 요소(60)는,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U-shaped handle 70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70 is rotatably (swingably) connected to the third link element 28 on the corresponding side at both ends of the U-shape. 13, the handle 70 and the baby carriage body 11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haft member 13 passing through the baby carriage body 11. As shown in Fig. The second link element 24 of the body frame 15, the third link element 28 and the seating surface supporting elements (not shown) of the seat supporting unit 40 50 and the backrest supporting element 60 are relatively rotatable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extending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70)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핸들 본체(71)와, 핸들 본체(71)의 U자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핸들 선단 부재(74)와, 핸들 선단 부재(74)에 폭 방향으로부터 인접해서 설치된 제 1 전환 부재(75)를 갖고 있다. 핸들 본체(71)는, 하방단(下方端)에 핸들 선단 부재(74)가 각각 부착된 한 쌍의 핸들 메인부(72a)와, 핸들 메인부(72a)의 상방단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핸들 연결부(72b)를 갖고 있다. 축 부재(13)는, 핸들 본체(71) 중 핸들 선단 부재(74)가 덮고 있는 하방 부분과, 핸들 선단 부재(74)와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 1 전환 부재(75)를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핸들 본체(71)의 핸들 메인부(72a), 핸들 선단 부재(74) 및 제 1 전환 부재(75)는, 축 부재(13)가 통과해서 연장되는 관통 구멍(71a, 74a, 7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handle 70 includes a handle body 71 formed in a U-shape, a handle tip member 74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U-shape of the handle body 71, And a first switching member 75 provided adjacent from the width direction. The handle main body 71 includes a pair of handle main portions 72a each having a handle end member 74 attach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handle portion 72b extending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handle main portions 72a And has a connecting portion 72b. The shaft member 13 penetrates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main body 71 covered with the handle distal end member 74 and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handle distal end member 74 in the width direction . The handle main portion 72a of the handle main body 71, the handle distal end member 74 and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are provided with the through holes 71a, 74a and 75a extending through the shaft member 13, Respectively.

그리고, 축 부재(13)를 통하여 핸들(70)과 접속된 유모차 본체(11)에,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설치되며 또한 축선 방향(da)으로 돌출하는 제 3 보스(26b)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보스(26b)는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둘레 전체 상에 또는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면(외표면)을 갖고 있다. 핸들(70)에, 제 3 보스(26b)의 보스면(26b1)을 받치는 제 3 보스 받침(75b)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보스 받침(75b)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둘레 전체 상에 또는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 받침면(76b1)을 갖고 있다. 핸들(70)이 유모차 본체(11)에 대하여 요동할 때, 제 3 보스(26b)의 보스면(26b1)과 제 3 보스 받침(75b)의 보스 받침면(76b1)은 상대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제 3 보스(26b)와 제 3 보스 받침(75b)이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축 부재(13)에 의존하지 않고도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해서 핸들(70)이 유모차 본체(11)에 대하여 요동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축 부재(13)에 가해지는 부하를 보스(26b) 및 보스 받침(75b)의 걸어 맞춤 개소에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유모차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보스(26b)가 보스 받침(75b)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축 부재(13)에 관통되기 전의 조립 시에, 핸들(70) 및 유모차 본체(11)를 높은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와는 달리 핸들(70)에 보스가 설치되고 유모차 본체(11)에 보스 받침이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The baby carriage body 11 connected to the handle 70 through the shaft member 13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baby carriage body 11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and in the axial direction da And a third boss 26b protruding therefrom is provided. The third boss 26b has a boss surface (outer surface) located on or in part on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ce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The handle 70 is provided with a third boss support 75b for supporting the boss surface 26b1 of the third boss 26b. The third boss support 75b has a boss support surface 76b1 positioned on or in part on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ce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 The boss face 26b1 of the third boss 26b and the boss receiving face 76b1 of the third boss pedal 75b slide relative to each other when the handle 70 swings relative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 The third boss 26b and the third boss pedal 75b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handle 70 is rotated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without depending on the shaft member 13. [ Can swing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Fig. As a result, the load applied to the shaft member 13 can be dispersed to the engagement portion between the boss 26b and the boss support 75b,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aby carriage. When the boss 26b is inserted into the boss support 75b, for example, the handle 70 and the baby carriage body 11 are positioned with high accuracy at the time of assembling before passing through the shaft member 13 . Also, unlike the illustrated example, the handle 70 may be provided with a boss, and the baby carriage body 11 may be provided with a boss pedestal.

도 13∼도 15에 나타난 예에서는, 축 부재(13)는, 핸들(70), 제 2 링크 요소(24), 제 3 링크 요소(28) 및 시트 지지 유닛(40)을 폭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이 순서로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제 2 링크 요소(24)의 제 2 링크 선단 부재(26)에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보스(26b)가 형성되어 있다. 폭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보스(26b)는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의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면(26b1)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핸들(70)의 제 1 전환 부재(75)에, 보스(26b)의 보스면(26b1)을 받치는 보스 받침(75b)이 형성되어 있다. 보스 받침(75b)은 폭 방향 안쪽을 향해서 개구된 오목부 또는 개구의 내면에 의하여 형성된 보스 받침면(76b1)을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보스 받침(75b)의 보스 받침면(76b1)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의 일부분 상에 위치해 있다. 원주 방향을 따른 보스 받침면(76b1)의 길이는 원주 방향을 따른 보스면(26b1)의 길이보다도 길다. 이 때문에, 핸들(70)이 유모차 본체(11)에 대하여 요동할 때 보스(26b)는 보스 받침(75b)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13 to 15, the shaft member 13 includes a handle 70, a second link element 24, a third link element 28, and a sheet supporting unit 40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In this order. The second link end member 26 of the second link element 24 is formed with a boss 26b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e boss 26b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includes a boss face 26b1 positioned on a part of the circumference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 On the other hand, a boss support 75b for supporting the boss face 26b1 of the boss 26b is formed in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of the handle 70. The boss support 75b includes a boss support surface 76b1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or the opening which is opened toward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boss bearing surface 76b1 of the illustrated boss bearing 75b is located on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The length of the boss receiving surface 76b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oss surface 26b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handle 70 swings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the boss 26b can move within the boss pedestal 75b.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스(26b)는,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의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면(26b1)과 함께, 당해 원주를 따라서 보스면(26b1)의 양측에 위치하며 또한 보스면(26b1)과 비평행인 한 쌍의 단면(26b2, 26b3)을 더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보스(26b)의 각 단면(26b2, 26b3)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보스 받침(76b)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의 일부분 상에 위치하는 보스 받침면(76b1)과 함께, 당해 원주를 따라서 보스 받침면(76b1)의 양측에 위치하며 또한 보스 받침면(76b1)과 비평행인 한 쌍의 단면(76b2, 76b3)을 더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보스 받침(76b)의 각 단면(26b2, 26b3)은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핸들(70)이 제 1 위치(후방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보스(26b)의 한쪽의 단면(26b2)이 보스 받침(75b)의 한쪽의 단면(76b2)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 1 위치에 배치된 핸들(70)이 후방으로 더 요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한편, 핸들(70)이 제 2 위치(전방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보스(26b)의 다른 쪽의 단면(26b3)이 보스 받침(75b)의 다른 쪽의 단면(76b3)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 2 위치에 배치된 핸들(70)이 전방으로 더 요동하는 것을 규제한다.14 and 15, the boss 26b, together with the boss surface 26b1 located on a part of the circumference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And a pair of end faces 26b2 and 26b3 which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oss face 26b1 along the boss face 26b1 and which are not parallel to the boss face 26b1. In the illustrated example, each end face 26b2, 26b3 of the boss 26b is formed parallel to the radial direction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Likewise, the boss support 76b includes a boss support surface 76b1 along the circumference with a boss support surface 76b1 positioned on a part of the circumference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And a pair of cross sections 76b2 and 76b3 which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oss receiving surface 76b1 and are not parallel to the boss receiving surface 76b1. In the illustrated example, each end face 26b2, 26b3 of the boss support 76b is formed parallel to the radial direction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One end face 26b2 of the boss 26b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one end face 76b2 of the boss support 75b when the handle 70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rear position) Thereby restricting the handle 70 disposed at the 1 position from further rocking backward.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7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forward position), the other end face 26b3 of the boss 26b is positioned at a position facing the other end face 76b3 of the boss support 75b Thereby restricting the handle 70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from further rocking forward.

핸들(70)은, 핸들 본체(71)의 핸들 메인부(72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핸들(7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요동 규제 부재(73)를 갖고 있다. 요동 규제 부재(73)는 유모차 본체(11)에 설치된 핸들 고정 핀(37)(도 5 및 도 6 참조)과 걸어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핸들 고정 핀(37)과 요동 규제 부재(73)가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핸들(70)이 제 2 위치(대면 밀기 위치) 또는 제 1 위치(배면 밀기 위치)에 걸리게 된다.The handle 70 has a swing regulating member 73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7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main portion 72a of the handle body 71. [ The swing restricting member 73 is engageable with the handle fixing pin 37 (see Figs. 5 and 6) provided on the baby carriage body 11. [ The handle 70 is engaged with the second position (face-to-face pushing position) or the first position (back pushing position) by engagement of the handle fixing pin 37 and the swing regulating member 73. [

《유모차의 전체적인 동작 및 작용》&Quot; Overall motion and function of the stroller &quot;

다음으로, 유모차 본체(11) 및 핸들(70)에 기인하는 유모차(10)의 전체적인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10)는, 도 1∼6에 나타난 전개 상태로부터 도 7에 나타난 절첩 상태로 절첩할 수 있다. 절첩 동작 중, 유모차(10)를 이루는 각 구성 요소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서로 회동(피벗 운동, 요동)한다.Next, the overall opera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baby carriage 10 caused by the baby carriage body 11 and the handle 70 will be described. First, the baby carriage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folded into the folded state shown in Fig. 7 from the expanded state shown in Figs. During the folding operatio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baby carriage 10 pivot (pivot, swing) about the axi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구체적으로는, 제 1 위치에 배치된 핸들(70)을 일단 후상방으로 끌어 올리고, 그 후 하방으로 밀어 내리는 것에 의하여, 제 3 링크 요소(28)를 후각(21)에 대하여 도 5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수반하여, 제 1 링크 요소(22) 및 시트 지지 유닛(40)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가 제 2 링크 요소(24)에 대하여 도 5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조작에 의해, 핸들(70)과 전각(20)이,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접근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과 함께, 핸들(70)의 배치 위치가 내려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유모차(10)를 절첩할 수 있어, 유모차(10)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10)를 절첩 상태로부터 전개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절첩 조작과 반대의 수순을 따르면 된다. 따라서, 이 유모차(10)에 있어서, 시트 지지 유닛(40)의 일부분(구체적으로는, 앉음면부 지지 프레임(51)의 측면 프레임부(52a) 중 단부(51a)로부터 전각 지지 요소(32)와의 고착 위치까지의 부분) 및 전각 지지 요소(32)가, 유모차(10)의 절첩 조작 시 및 유모차(10)의 전개 조작 시에 하나의 링크로서 기능한다.Specifically, the handle 70, which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is pulled upward one time and then down, and then the third link element 28 is rotated clockwise in FIG. 5 with respect to the horn 21 And rotates in the rotating direction. With this operation, the first link element 22 and the seating surface supporting element 50 of the seat supporting unit 40 are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5 with respect to the second link element 24. By this operation, the handle 70 and the front angle 20 approach each other in the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10 and are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and the position of the handle 70 is lowered. As described above, the baby carriage 10 can be folded, and the size of the baby carriage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reduced.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unfold the stroller 10 from the folded state, the procedure opposite to the fold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Therefore, in this baby carriage 10, a portion of the seat supporting unit 40 (specifically, the end portion 51a of the side frame portion 52a of the sitting face supporting frame 51) And the frontal supporting element 32 function as one link at the time of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and at the time of deployment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

또한, 유모차(10)에는, 전개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의 유모차(10)의 동작을 규제하는 상태 유지 기구(35)가 설치되어 있다. 상태 유지 기구(35)는, 제 2 링크 요소(24)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제 2 링크 요소(24)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작 규제 부재(35c)를 포함하고 있다. 동작 규제 부재(35c)는, 제 3 링크 요소(28)의 제 3 링크 선단 부재(30)를 향해서 압압되어, 제 3 링크 선단 부재(30)에 형성된 걸어 맞춤 오목부(28a)와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제 2 링크 요소(24)와 제 3 링크 요소(28)의 상대 요동을 규제하며, 이것에 의해, 유모차(10)의 전개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의 동작을 규제한다. 또한, 상태 유지 기구(35)는, 동작 규제 부재(35c)와 걸어 맞춤 가능한 조작 부재(35b)와, 조작 부재(35b)를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 장치(35a)를 더 포함하고 있다. 조작 부재(35b)는 핸들(70)의 핸들 메인부(72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핸들 메인부(72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원격 조작 장치(35a)는 핸들(70)의 핸들 연결부(72b)에 설치되며, 조작 부재(35b)의 핸들 메인부(72a)에 대한 슬라이딩을 원격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원격 조작 장치(35a)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조작 부재(35b)를 통하여 동작 규제 부재(35c)를 조작하여, 동작 규제 부재(35c)와 제 3 링크 선단 부재(30)의 걸어 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원격 조작 장치(35a)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절첩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Further, the stroller 10 is provided with a state maintaining mechanism 35 for regulating the operation of the stroller 10 from the deployed state to the folded state. The state retaining mechanism 35 includes an operation regulating member 35c which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link element 2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element 24. The operation regulating member 35c is urged toward the third link end member 30 of the third link element 28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recess 28a formed in the third link distal end member 30 Thereby regulat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second link element 24 and the third link element 28, thereby regulating the operation from the deployed state of the baby carriage 10 to the folded state. The state maintaining mechanism 35 further includes an operating member 35b engageable with the operation regulating member 35c and a remote operating device 35a for remotely operating the operating member 35b. The operating member 35b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main portion 72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main portion 72a of the handle 70. [ The remote control device 35a is provided in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72b of the handle 70 and is capable of remotely operating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handle main portion 72a of the operating member 35b. The operation regulating member 35c can be operated through the operating member 35b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operation regulating member 35c and the third link distal end member 30 by us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35a have. That is,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35a,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in the deployed state can be enabled.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서는,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으로 연장되는 보스(62a)가 설치됨과 함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보스(62a)를 받치는 보스 받침(54a)이 형성되어, 보스(62a) 및 보스 받침(54a)을 통한 걸어 맞춤에 의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가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접속되며, 또한 시트 지지 유닛(40)의 본체 프레임(15)에 대한 회동 중심을 중심으로 해서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보스(62a)와 보스 받침(54a)의 걸어 맞춤을 이용해서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해, 시트 지지 유닛(40)의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와 앉음면부 지지 요소(50)를 용이하고 정밀하게 소정의 상대 위치에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보스(62a)와 보스 받침(54a)의 걸어 맞춤에 의하여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와 앉음면부 지지 요소(50)를 상대 요동 가능하게 미리 소정의 위치 관계에서 접속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축 부재(13)를 이용한 시트 지지 유닛(40)의 본체 프레임(15)에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의 요동이 축 부재(13)에 대하여 안정된다. 이 때문에, 리클라이닝 동작 및 절첩 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축 부재(13)에 가해지는 부하를 보스(62a) 및 보스 받침(54a)의 걸어 맞춤 개소에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유모차(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작용 효과는 축 부재(13)가 보다 많은 부재를 관통할 경우에 현저해진다. 또한,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보스가 설치되고,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보스 받침이 설치되도록 해도 되며, 이 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the baby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boss 62a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is provided to the backrest supporting element 60 The seating surface support element 50 is formed with a boss support 54a for supporting the boss 62a so that the back support member 60 is supported by the boss 62a and the boss support 54a, And is pivotable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support element 50 abou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at support unit 40 relative to the main frame 15. That is, by positioning by u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boss 62a and the boss pedestal 54a, the backrest supporting element 60 and the sitting face supporting element 50 of the seat supporting unit 40 can be easily and precisely positioned And can be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relative position. The backrest supporting element 60 and the sitting face supporting element 50 can be hel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al relationship in advance so as to be relatively pivotable by the engagement of the boss 62a and the boss pedestal 54a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the seat support unit 40 to the main body frame 15 using the shaft member 13. [ Further, the swinging motion of the backrest support element 60 is stabilized with respect to the shaft member 13. Therefore, the reclining operation and the fol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stably. In addition, since the load applied to the shaft member 13 can be dispersed to the engagement portion between the boss 62a and the boss pedestal 54a, the durability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improved. Particularly, such an operation effect becomes remarkable when the shaft member 13 penetrates more members. Further, a boss may be provided on the seat surface supporting element 50, and a boss support may be provided on the backrest supporting element 60. In this example,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유모차(10)의 제조에 있어서, 시트 지지 유닛(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미리 제작하고, 다음으로, 제작된 시트 지지 유닛(40)을 본체 프레임(15)에 장착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에 따르면, 각 구성 요소를 차례로 부착해 가며 유모차를 제조하는 방법과 비교해서, 유모차(10)의 생산을 용이화, 안정화, 고효율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본 발명은 유모차(10)의 제조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manufacturing the baby carriage 10, a part or all of the sheet supporting unit 40 may be manufactured in advance, and then the manufactured sheet supporting unit 40 may be mounted on the main frame 15. According to this manufacturing method, the production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facilitated, stabilized, and highly efficient as compared with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by carriage by sequentially attach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by carriage 10. [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서는, 본체 프레임(15)에,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으로 연장되는 제 2 보스(30b)가 설치되며, 시트 지지 유닛(40)에, 제 2 보스(30b)를 받치는 제 2 보스 받침(62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스(30b)와 보스 받침(62b)의 걸어 맞춤을 이용해서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해, 본체 프레임(15)과 시트 지지 유닛(40)을 용이하고 정밀하게 소정의 상대 위치에서 접속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축 부재(13)를 이용한 시트 지지 유닛(40)의 본체 프레임(15)에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트 지지 유닛(40)과 본체 프레임(15)의 상대 회동이 안정되므로, 절첩 동작을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축 부재(13)에 가해지는 부하를 보스(30b) 및 보스 받침(62b)의 걸어 맞춤 개소에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유모차(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지지 유닛(40)에 보스가 설치되고, 본체 프레임(15)에 보스 받침이 설치되도록 해도 되며, 이 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the baby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econd boss 30b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frame 15, A second boss support 62b that supports the second boss 30b is formed in the seat support unit 40. [ The main body frame 15 and the seat support unit 40 can be easily and precisely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relative position by positioning u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boss 30b and the boss support 62b,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assemble the seat support unit 40 to the main body frame 15 using the shaft member 13. [ Further, since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seat support unit 40 and the main body frame 15 is stable, the fol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tably and smoothly. In addition, since the load applied to the shaft member 13 can be dispersed to the engagement portion between the boss 30b and the boss support 62b, the durability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improved. Further, the boss may be provided on the seat support unit 40, and the boss support may be provided on the body frame 15. In this example,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에서는, 유모차 본체(11)에,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으로 연장되는 제 3 보스가 설치되고, 핸들(70)에, 제 3 보스(26b)를 받치는 제 3 보스 받침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스(26b)와 보스 받침(75b)의 걸어 맞춤을 이용해서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해, 유모차 본체(11)와 핸들(70)을 용이하고 정밀도 좋게 소정의 상대 위치에서 접속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축 부재(13)를 이용한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핸들(70)과 유모차 본체(11)의 상대 회동이 안정되므로, 절첩 동작을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축 부재(13)에 가해지는 부하를 보스(26b) 및 보스 받침(75b)의 걸어 맞춤 개소에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유모차(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70)에 보스가 설치되고, 유모차 본체(11)에 보스 받침이 설치되도록 해도 되며, 이 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the baby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by carriage body 11 is provided with a third boss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 A third boss support for supporting the third boss 26b is formed. Therefore, by positioning by u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boss 26b and the boss support 75b, the baby carriage body 11 and the handle 70 can be easily and precisely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relative pos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the handle 70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using the shaft member 13. Further, since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handle 70 and the baby carriage body 11 is stable, the fol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tably and smoothly. In addition, since the load applied to the shaft member 13 can be dispersed to the engagement portion between the boss 26b and the boss support 75b, the durability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improved. Further, the handle 70 may be provided with a boss, and the boss support may be provid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In this example,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차륜 유지 유닛(100)》The &quot; wheel holding unit 100 &quot;

다음으로, 주로 도 22∼도 27을 참조하면서, 차륜 유지 유닛(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각(20) 및 후각(21)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은, 모두, 차륜(101)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회전체(110)와, 캐스터 축선(Ac)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체(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105)를 갖는 소위 캐스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모차(10)에는, 핸들(70)의 위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차륜 유지 유닛(100)의 회전체(110)를 고정체(1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 기구(88)가 설치되어 있다. 전환 기구(88)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에서는 차륜 유지 유닛(100)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Next, the wheel hold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mainly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27. Fig. As described above, the wheel holding unit 100 attached to the front angle 20 and the rear angle 21 all include a rotating body 110 that rotatably holds the wheel 101, Called caster having a fixed body 105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ng body 110 as a center. The baby carriage 10 can be automatic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handle 70 so that the rotating body 110 of the wheel holding unit 10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5 A switching mechanism 88 is provided. The switching mechanism 88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wheel hold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한 쌍의 전각(20)에는 동일한 또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 차륜 유지 유닛(100)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후각(21)에는 동일한 또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 차륜 유지 유닛(100)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전각(20) 및 후각(21)에는, 다리에의 부착 부분의 구성이 다를 뿐이며 그 밖의 것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된 차륜 유지 유닛(100)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캐스터로서 구성된 차륜 유지 유닛(100)의 일례를 설명한다.The pair of full angles 20 may be attached with a wheel holding unit 100 that is made up of the same or a left-right symmetry. Further, the pair of the horns 21 may be affixed with the wheel holding unit 100 constructed in the same or bilaterally symmetrical manner. Further, the wheel holding unit 100, which is differe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attaching portion to the legs and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ther portions, can be attached to the front angle 20 and the rear angle 21. [ Therefore, here, an example of the wheel holding unit 100 configured as a caster will be described.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륜 유지 유닛(100)은, 차축(113)을 통하여 차륜(101)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회전체(110)와, 회전체(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105)를 갖고 있다. 고정체(105)는 대응하는 전각(20) 또는 후각(21)에 고착된다. 차륜(101)의 회전 축선(Ar)은 차축(113)의 축선 방향에 일치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체(105)가 지지축 부재(108)를 지지하고 있고, 회전체(110)가 고정체(105)로부터 아래로 늘여진 지지축 부재(108)에 지지되어, 지지축 부재(108)의 축선 방향을 중심으로 해서 고정체(1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22 and 23, the wheel holding unit 100 includes a rotating body 110 that rotatably holds the wheel 101 via the axle 113, a rotating body 110 that rotatably holds the rotating body 110, (Not shown). The fixture 105 is secured to the corresponding full angle 20 or olfactory angle 21. The rotation axis Ar of the wheel 101 coincides with the axial direction of the axle 113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member 105 supports the supporting shaft member 108, and the rotating body 1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shaft member 108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xing member 105, And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5 about the axial direction of the member 108. [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110)는, 차륜(10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차륜 홀더(120)와, 차륜 홀더(120)를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블록(115)과, 지지 블록(115) 및 차륜 홀더(120)의 사이에 배치된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를 갖고 있다. 차륜 홀더(120)는 차축(113)을 유지하고 있으며, 당해 차축(113)의 양측에 차륜(101)이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 23에서는 차륜의 도시가 생략되며, 도 22에서는 편측의 차륜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축 부재(111)를 통하여 차륜 홀더(120)가 지지 블록(115)에 부착되며, 요동축 부재(111)의 축선 방향을 중심(sc2)으로 해서 지지 블록(11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 회전체(110)는 차륜 홀더(12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제동 부재(129)를 더 갖고 있다. 제동 부재(129)는 회전 축선(Ar)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동 돌출부(129a)를 갖고 있다. 제동 부재(129)가 차륜 홀더(120)에 대하여 요동하는 것에 의해, 제동 돌출부(129a)가 차륜(101)과 걸어 맞춰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 축선(Ar)을 중심으로 한 차륜(101)의 회전이 규제된다.22 and 23, the rotating body 110 includes a wheel holder 120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wheel 101, a support block 115 for movably supporting the wheel holder 120, And a first elastic structure 125 and a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block 115 and the wheel holder 120. [ The wheel holder 120 holds the axle 113 and the wheels 101 are held on both sides of the axle 113. [ In Fig. 23, the illustration of the wheel is omitted. In Fig. 22, the illustration of the wheel on one side is omitted. In this embodiment, the wheel holder 120 is attached to the support block 115 via the pivot shaft member 111, and the center of the pivot shaft member 111 is set at the center sc2 of the support block 115 As shown in Fig. 22 and 23, the rotating body 110 further includes a braking member 129 which is attached to the wheel holder 120 so as to be swingable. The braking member 129 has a braking projection 129a projec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Ar. The braking member 129 is swung with respect to the wheel holder 120 so that the braking projection 129a is engaged with the wheel 101. In this state, the wheel 101, Is regulated.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는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동작에 의해 변형된다. 환언하면,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변형되는 것에 의해,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동작을 흡수하여 서스펜션 기능을 발휘한다. 여기에서 탄성 구조체란, 외력을 받으면 변형되고 또한 당해 외력을 제거하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려는 성질을 가진 구조체를 의미하고 있으며, 따라서, 고무나 수지 등의 단순한 탄성 재료의 덩어리뿐만 아니라, 스프링이나 후술하는 기체를 밀봉한 주머니와 같이 구조적으로 전술한 성질을 발현하는 것도 탄성 구조체에 포함된다. 2개의 탄성 구조체(125, 127)를 포함하는 차륜 유지 유닛(100)에서는, 우수한 서스펜션 기능을 발현하는 관점에서, 이하의 조건 a 및 조건 b 중 적어도 한쪽을 만족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조건 a 및 조건 b는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의 사이에서 재료, 구조, 배치, 변형 가능량 등이 다르도록,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and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are de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block 115 of the wheel holder 120. In other words,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and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are deformed to absorb the motion of the wheel holder 12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lock 115, thereby exhibiting a suspension function. Here, the elastic structure means a structure which is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has a property of restoring the original shape at least partially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refore, not only a lump of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resin, The elastomeric structure also includes a spring or a bag which is sealed with a gas to be described later and which exhibits structurally the above-mentioned properties. It is preferable that the wheel holding unit 100 including the two elastic structures 125 and 127 satisfi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 and b from the viewpoint of developing a superior suspension function. The following conditions a and condition b are satisfied between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and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so that the material, structure, arrangement, deformable amount and the like are different between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and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The structure 127 can be realized.

조건 a :Condition a: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동작이 개시되면, 우선 제 1 탄성 구조체(125)만이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서 가압되어 변형되고,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동작이 더 진행되면, 제 1 탄성 구조체(125)에 부가해서 제 2 탄성 구조체(127)도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서 가압되어 변형된다.Only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is pressed and deformed between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so that the wheel holder 1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heel holder 120 is rotated.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in addition to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is also pressed and deformed between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As a result,

조건 b :Condition b: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 제 1 탄성 구조체(125)만이 배치되어 있다는 가정에서 제 1 탄성 구조체(125)를 변형시켜서 차륜 홀더(120)를 지지 블록(115)에 대하여 소정량만큼 동작시키는데 필요해지는 힘의 크기는,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 제 2 탄성 구조체(127)만이 배치되어 있다는 가정에서 제 2 탄성 구조체(127)를 변형시켜서 차륜 홀더(120)를 지지 블록(115)에 대하여 소정량만큼 동작시키는데 필요해지는 힘의 크기와 다르다.Assuming that only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is deformed to move the wheel holder 120 relative to the support block 115 The magnitude of the force required to operate the fixed amount is such that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is deformed by assuming that only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120 to the support block 115 by a predetermined amount.

조건 a에서는,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이 상대 동작했을 경우, 상대 동작의 초기 단계에서는 제 1 탄성 구조체(125)만이 변형되어 제 1 탄성 구조체(125)만이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저항한다. 한편,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이 진행되면,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변형을 개시하여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저항한다. 예를 들면,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의 초기 단계에서는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 중 적어도 한쪽에 비접촉이고,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이 진행되면,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양쪽에 접촉하게 해도 된다.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저항할 때, 제 1 탄성 구조체(125)도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동작에 수반하여 변형을 계속하여,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제 1 탄성 구조체(125)와 함께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저항하도록 해도 되고, 혹은 제 1 탄성 구조체(125)는 더 이상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저항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Only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is deformed in the initial stage of the relative movement so that only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is deformed in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as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proceeds,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starts to deform, and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moves to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is not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in the initial stage of the relative operation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both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when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support block 115 and the support structure 120 proceeds. When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resists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is also subjected to the motion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may be deformed to resist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together with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or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May no longer be resistant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조건 b에서는,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이 소정량만큼 상대 동작할 때에 있어서의 제 1 탄성 구조체(125)의 상대 동작에 저항하는 항력과,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이 동일량만큼 상대 동작할 때에 있어서의 제 2 탄성 구조체(127)의 상대 동작에 저항하는 항력이 다르게 설정된다.In the condition b, the drag force resist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when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relatively operate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 drag force against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115 are opposed to each other by the same amount, the drag force resist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is set differently.

다음으로, 도시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탄성 구조체(125, 127)의 구성, 및 탄성 구조체(125, 127)의 지지에 관련된 회전체(1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탄성 구조체(125)는 고무 등의 탄성체(126) 그 자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탄성체(126)는 오목부로서 형성된 받침부(126a)를 갖고 있다. 차륜 홀더(120)는 받침부(126a)에 끼워진 지지 돌기(121a)를 갖고 있다. 지지 돌기(121a)와 받침부(126a)의 걸어 맞춤에 의해 탄성체(126)로 이루어지는 제 1 탄성 구조체(125)가 차륜 홀더(120)에 유지되어 있다. 탄성체(126)는 대략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 방향이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차륜 홀더(120)가 지지 블록(115)에 대하여 요동되었을 경우, 탄성체(126)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압축되게 된다. 이 때문에,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요동에 대한 제 1 탄성 구조체(125)의 항력은,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요동의 진행에 상관없이 대략 일정하다.Next, the structure of the elastic structures 125 and 127 and the structure of the rotating body 110 relating to the support of the elastic structures 125 and 127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126 such as rubber itself. The illustrated elastic body 126 has a receiving portion 126a formed as a concave portion. The wheel holder 120 has a support protrusion 121a fitted to the support portion 126a.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composed of the elastic body 126 is held by the wheel holder 120 by the engagement of the support protrusion 121a and the receiving portion 126a. The elastic body 126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s disposed such that its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s between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When the wheel holder 120 is rock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lock 115, the elastic body 126 is compressed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the drag force of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relative to the relative swinging motion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can be detected roughly regardless of the progress of relative rocking motion between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It is constant.

다음으로, 제 2 탄성 구조체(127)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를 지지하는 회전체(1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110)의 지지 블록(11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지지판부(116)를 갖고 있다. 한편, 회전체(110)의 차륜 홀더(120)는, 지지 블록(115)에 피벗 부착된 홀더 베이스(121)와, 홀더 베이스(121)의 후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방 연장부(122)를 갖고 있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연장부(122)는 지지 블록(115)의 지지판부(116)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차륜(101)을 유지하기 위한 차축(113)은 차륜 홀더(120) 중의 홀더 베이스(121)와 상방 연장부(122)의 접속 개소 근방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제동 부재(129)는 상방 연장부(122)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Next, the structure of the rotating body 110 supporting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and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22 and 23, the support block 115 of the rotating body 110 has a plate-like support plate portion 116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wheel holder 120 of the rotating body 110 includes a holder base 121 pivotally attached to the support block 115 and an upwardly extending portion 122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of the holder base 121 I have. 23, the upwardly extending portion 122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support plate portion 116 of the support block 115. As shown in Fig. The axle 113 for holding the wheel 101 is held in the vicinity of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holder base 121 and the upwardly extending portion 122 in the wheel holder 120. [ The above-described braking member 129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upwardly extending portion 12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탄성 구조체(127)는 기체를 밀봉한 주머니로서 형성되어 있다. 주머니를 이루는 재료는 신장성을 가진 고무나 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2 탄성 구조체(127)는 기체를 밀봉한 수지제의 주머니(128)로서 형성되어 있다. 수지제 주머니(128)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되어 있다. 수지제 주머니(128)는 도시하지 않는 고정구를 통하여 지지 블록(115)의 지지판부(116)에 지지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제 주머니(128)는 대략 입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128a)와, 단차부(128b)와, 고정구 받침(128c)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is formed as a bag in which the gas is sealed.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bag can be composed of rubber or resin having extensibility.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is formed as a bag 128 made of resin sealing the base. The resin bag 128 is made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The resin bag 128 is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portion 116 of the support block 115 through a fixture (not shown). 24, the resin bag 128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ubic shape, and a recess 128a, a stepped portion 128b, and a fixture receiver 128c are formed.

오목부(128a)는 차륜 홀더(120)의 상방 연장부(122)에 대면하는 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28a)는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요동 축선(sc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방 연장부(122)에는 오목부(128a)에 대면하는 위치에 볼록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23)는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요동 축선(sc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차륜 홀더(120)가 지지 블록(115)에 동작했을 때에 오목부(128a)에 맞닿게 된다.The concave portion 128a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upwardly extending portion 122 of the wheel holder 120. [ The concave portion 128a extends linearl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wing axis sc2 of the wheel holder 12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lock 115. [ The upwardly extending portion 122 is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123 at a position facing the concave portion 128a. The convex portion 123 extends linearl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wing axis line sc2 of the wheel block 12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lock 115 and the wheel block 120 operates on the support block 115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cave portion 128a.

단차부(128b)는 지지판부(116)에 대면하는 측의 면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단차부(128b)는 요동 축선(sc2)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부(116)에는 단차부(128b)에 대면하는 위치에 단부(段部)(117)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고정구 받침(128c)은 수지제 주머니(128)를 지지판부(116)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도시하지 않는 )가 내장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고정구 받침(128c) 내의 공간은 나사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의 머리부를 받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The stepped portion 128b is provided below the surface facing the support plate portion 116. [ The stepped portion 128b extends linear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wing axis sc2. An end portion (step portion) 117 is formed in the support plate portion 116 at a position facing the step portion 128b. On the other hand, the fixture pedestal 128c forms a space in which a fixture (not shown) for fixing the resin pockets 128 to the support plate portion 116 is embedded. The space in the fixture holder 128c is formed with a step for supporting the head of the fixture made of screws or the like.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륜 유지 유닛(1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wheel holding unit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륜 유지 유닛(100)은, 상대 동작 가능한 지지 블록(115)과 차륜 홀더(120) 사이에,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상대 동작에 의해 변형되는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전술한 조건 a, 즉,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동작이 개시되면, 우선 제 1 탄성 구조체(125)만이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서 가압되어 변형되고,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동작이 더 진행되면, 제 1 탄성 구조체(125)에 부가해서 제 2 탄성 구조체(127)도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서 가압되어 변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서는, 유모차(10)에의 적재 하중이 작은 경우, 예를 들면 유모차에 승차한 유유아의 월령이 낮으며 또한 바구니(90)에 화물이 들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탄성 구조체(125)에 의해서 주행 시에 있어서의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우수한 서스펜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10)에의 적재 하중이 큰 경우, 예를 들면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월령이 높으며 또한 바구니(90)에 무거운 화물이 들어있는 경우에는, 제 1 탄성 구조체(125)와는 별도인 제 2 탄성 구조체(127)에 의해서, 혹은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의 양쪽에 의해서,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주행 시에 있어서의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우수한 서스펜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유모차(10)에의 적재 하중의 대소에 상관없이 유모차(10)에 우수한 승차감을 부여할 수 있다.The wheel hold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block 115 and the wheel holder 120 that are relatively operable by a relative movement of the wheel holder 120 to the support block 115 A first elastic structure 125 and a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which are deformed are provided. When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and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start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dition a, that is, the support block 115 of the wheel holder 120,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Of the wheel holder 120 is pressed and deformed between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and the operation of the wheel holder 12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lock 115 proceeds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elastic structure 127 is also pressed between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so as to be deformed. In such a baby carriage 10, for example, when the load on the baby carriage 10 is small, for example, when the age of infants riding in the baby carriage is low and no cargo is contained in the basket 9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bsorb vibrations and shocks during running by using the suspension mechanism 125, thereby exerting a superior suspension fun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baby carriage 10 is large, for example, when the age of the infant riding in the baby carriage 10 is high and heavy cargo is contained in the basket 90, The load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which is separate or both of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and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and the vibration and impact It absorbs effectively and can exert excellent suspension func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give an excellent ride feeling to the baby carriage 10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the load applied to the baby carriage 10.

또한,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전술한 조건 b, 즉,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 제 1 탄성 구조체(125)만이 배치되어 있다는 가정에서 제 1 탄성 구조체(125)를 변형시켜서 차륜 홀더(120)를 지지 블록(115)에 대하여 소정량만큼 동작시키는데 필요해지는 힘의 크기가,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 사이에 제 2 탄성 구조체(127)만이 배치되어 있다는 가정에서 제 2 탄성 구조체(127)를 변형시켜서 차륜 홀더(120)를 지지 블록(115)에 대하여 동일량만큼 동작시키는데 필요해지는 힘의 크기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대한 제 1 탄성 구조체(125)의 항력과,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대한 제 2 탄성 구조체(127)의 항력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서는,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 사이에서 재료, 구조, 배치, 변형 가능량 등이 다르도록,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를 적절히 설계하는 것에 의해, 높은 설계 자유도로 원하는 서스펜션 기능을 차륜 유지 유닛(100)에 부여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and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are arranged such that only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under the above- The amount of force required to deform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in the home so that the wheel holder 120 is operated by a predetermined amount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lock 115 can be adjusted between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be deformed and different from the magnitude of the force required to operate the wheel holder 120 by the same amount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lock 115 on the assumption that only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is disposed Do. In other words, the drag force of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and the dra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5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127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uch a baby carriage 10,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and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are formed so that the material, the structure, the arrangement, the deformable amount, and the like are different between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and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The desired suspension function can be imparted to the wheel holding unit 100 with high design freedom.

또한,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전술한 조건 a 및 조건 b의 양쪽을 만족시키도록 해도 된다. 일례로서,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대한 제 1 탄성 구조체(125)의 항력이,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대한 제 2 탄성 구조체(127)의 항력보다도 작게 되어 있으면, 유모차(10)에의 적재 하중이 작은 경우에 제 1 탄성 구조체(125)에 의하여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제 1 탄성 구조체(125)에 의하여 주행 시에 있어서의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유모차(10)에의 적재 하중이 큰 경우에는 제 1 탄성 구조체(125)에 의하여, 혹은 제 1 탄성 구조체(125) 및 제 2 탄성 구조체(127)에 의하여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주행 시에 있어서의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에의 적재 하중의 대소의 영향을 극히 효과적으로 배제하여 유모차(10)에 우수한 승차감을 부여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structural body 125 and the second elastic structural body 127 may satisfy both conditions a and condition b described above.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structure 125 relative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5 for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 The load is stably supported by the first elastic structural body 125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baby carriage 10 is small and the load is stably supported by the first elastic structural body 125 when traveling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bsorb vibrations and shocks.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baby carriage 10 is large, the load is more stably supported by the first elastic structural body 125 or by the first elastic structural body 125 and the second elastic structural body 127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bsorb vibrations and shocks during travel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tremely exert the effect of the load on the baby carriage 10 extremely effectively, thereby giving the baby carriage 10 an excellent ride feeling.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기체를 밀봉한 주머니(128)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2 탄성 구조체(127)는, 주머니(128)의 형상이나 기체의 충전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제 2 탄성 구조체(127)의 항력, 특히 변형의 진행에 수반한 항력의 변화를 적정화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높은 설계 자유도로 원하는 서스펜션 기능을 차륜 유지 유닛에 부여할 수 있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is configured as a bag 128 sealed with a gas.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shape of the bag 128 and the filling amount of the gas,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appropriately changes the dra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due to the progress of the deformation It is possible. Thus, a desired suspension function can be imparted to the wheel holding unit with high design freedom.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탄성 구조체(127)를 이루는 주머니(128)에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12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한쪽이,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요동 축선(sc2)에 대하여 오목부(128a)가 직교해서 연장되도록 주머니(128)를 지지하고,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다른 쪽이,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 시에 오목부(128a) 내에 위치하게 되는 볼록부(123)를 갖고 있다.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기체를 밀봉한 주머니(128)이므로 다양한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지만, 오목부(128a)와 볼록부(123)의 걸어 맞춤에 의해,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다른 쪽과 변형 가능한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소정의 위치 관계로 유지되어, 주머니(128)가 예정된 변형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기대한 서스펜션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동작 개시 전에,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다른 쪽과, 변형 가능한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비접촉으로 되어 있고, 또한 차륜 홀더 및 지지 블록의 다른 쪽과, 변형 가능한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해도, 오목부(128a)와 볼록부(123)의 걸어 맞춤에 의해,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다른 쪽과, 변형 가능한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어 기대한 서스펜션 효과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ecess 128a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is formed in the bag 128 constituting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One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lock 115 of the wheel holder 120 by the pockets 128 so that the recess 128a is orthogonally extended with respect to the swing axis sc2 And the other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supports the convex portion 123 that is located in the concave portion 128a during the relative operation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can be deformed in various directions since it is the bag 128 sealed with the gas. However, due to the engagement between the recess 128a and the projection 123,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and the deformabl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are maintain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al relation, so that the bag 128 performs predetermined deformation. Thus, the anticipated suspension effect can be secured. The other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and the deformabl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fore the operation of the wheel holder 120 is star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lock 115, Even if the other of the wheel holder and the support block and the deformabl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engagement of the concave portion 128a and the convex portion 123 causes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other of the support block 115 and the deformabl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are held at predetermined positions, so that the expected suspension effect can be stably secured.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단차부(128b)와 단부(117)의 걸어 맞춤에 의해, 지지 블록(115)의 지지판부(116) 상에 있어서의 주머니(128)의 어긋남이 규제되며, 또한 의도하지 않는 방향으로의 수지제 주머니(128)의 변형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주머니(128)로 이루어지는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기대된 서스펜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탄성 구조체(127)를 이루는 주머니(128)에 단차(턱)부를 갖는 고정구 받침(128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구 받침(128c)에 의하여, 주머니(128)가 변형되기 어려운 방향을 갖게 되고, 이것에 의해,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 시에 주머니(128)의 변형이 대체로 일정해져 기대한 소정의 서스펜션 기능이 발현되게 된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misalignment of the bag 128 on the support plate portion 116 of the support block 115 is restricted by the engagement of the stepped portion 128b and the end portion 117, The deformation of the resin bag 128 in an unintended direction is suppressed. As a result,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composed of the bag 128 can exhibit the anticipated suspension effect.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xture holder 128c having a step (jaw) portion is formed in the bag 128 constituting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This fixture support 128c has a direction in which the bag 128 hardly deforms so that deformation of the bag 128 during the relative operation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And a predetermined suspension function expected to be developed.

또한,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기체를 밀봉한 주머니(128)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차륜 홀더(120)가 지지 블록(115)에 대하여 동작했을 때에, 차륜 홀더(120) 및 지지 블록(115)의 한쪽은, 주머니(128)에 형성된 모서리부에 있어서 당해 주머니(128)에의 접촉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체를 밀봉한 주머니(128)로 이루어지는 제 2 탄성 구조체(127)는, 주머니(128)의 모서리부가 변형에 대하여 우수한 내성을 나타내는 한편, 모서리부가 일단 변형을 개시한 후에는, 차륜 홀더(120)의 지지 블록(115)에 대한 동작을 민감하게 흡수하도록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예상되는 유모차(10)에의 적재 하중을 제 2 탄성 구조체(127)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적재 하중을 지지한 제 2 탄성 구조체(127)가 충격이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서스펜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wheel holder 120 is opera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lock 115,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not shown) 115 preferably start to contact the bag 128 at an edge portion formed in the bag 128. In this case,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composed of the bag 128 sealed with the gas exhibits excellent resistance to the deformation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bag 128.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block 115 can be flexibly deformed so as to sensitively absorb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block 115 of the apparatu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expected load on the baby carriage 10 with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and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supporting the load load can effectively absorb shock and vibration So that the suspens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또한, 탄성 구조체(125, 127)는, 기체를 밀봉한 주머니(128)인 경우에 한하지 않으며,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대한 탄성 구조체(125, 127)의 항력이, 탄성 구조체(125, 127)의 변형이 개시된 후에 일정하지 않고 변동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예에 있어서도, 차륜 홀더(120)와 지지 블록(115)의 상대 동작에 대한 탄성 구조체(125, 127)의 항력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유모차(10)에의 적재 하중의 대소에 상관없이 유모차(10)에 우수한 승차감을 부여할 수 있다.The elastic structures 125 and 127 are not limited to the bag 128 in which the gas is sealed and the elastic structures 125 and 127 of the elastic structures 125 and 127 for the relative motion between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The drag force may vary not constantly after the elastic structures 125 and 127 start to deform. In this example as well, by suitably setting the drag force of the elastic structures 125 and 127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motion of the wheel holder 120 and the support block 115, the load applied to the baby carriage 10 An excellent ride feeling can be given to the baby carriage 10.

또한, 탄성 구조체(125, 12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 시각적으로 서스펜션 기능을 연상시킬 수 있어 유유아의 보호자에게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기체를 밀봉한 주머니(128)로 이루어지는 제 2 탄성 구조체(127)는 서스펜션 기능을 강하게 연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주머니(128)가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경우에는 서스펜션 기능을 보다 강하게 연상시킬 수 있다.Further, when at least one of the elastic structures 125 and 127 is exposed, the suspension function can be visually reminded, thereby providing a sense of security to the caregiver of the infant. In particular, the second elastic structure 127 formed of the bag 128 sealed with the gas can strongly associate the suspension function, and in particular, when the bag 128 is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the suspension function can be reminiscent of hav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륜 유지 유닛(100)이 캐스터로서 구성되고, 회전체(110)가 고정체(1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회전체(110)와 고정체(105)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즉 차륜(101)이 선회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차륜 유지 유닛에 대해도, 제 1 전환 부재(75) 및 제 2 전환 부재(80)를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제 1 전환 부재(75) 및 제 2 전환 부재(80)에 기인한 전술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륜 유지 유닛(100)이 제 1 전환 부재(75) 및 제 2 전환 부재(80)의 양쪽을 갖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차륜 유지 유닛(100)이 제 2 전환 부재(80)만을 갖고 있어도 되며, 이 예에 있어서도 제 2 전환 부재(80)만에 기인하는 전술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heel holding unit 100 is configured as a caster, and the rotating body 11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5, but this is not the only case. The wheel holding unit in which the rotating body 110 and the fixing body 105 ar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that is, the wheel 101 is not pivotable, 80 can be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and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and the above-described action and effect resulting from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and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can be obtain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heel holding unit 100 has both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and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but this is not the only case. The wheel holding unit 100 may have only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In this example as well, the above-described action and effect resulting from only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can be obtained.

《전환 기구》"Switching mechanism"

다음으로, 전환 기구(88)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switching mechanism 88 will be described.

〈전환 기구의 전체 구성〉<Overall Configuration of Switching Mechanism>

전환 기구(88)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70)의 위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차륜 유지 유닛(100)의 회전체(110)가 고정체(1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기구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각(20) 및 후각(21) 모두에 캐스터로서 구성된 차륜 유지 유닛(100)이 설치되며, 전환 기구(88)는, 핸들(70)의 위치에 따라서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다리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의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캐스터 축선(Ac)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다리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의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캐스터 축선(Ac)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규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환 기구(88)는, 핸들(70)이 도 1, 도 3, 도 5에 나타난 제 1 위치(배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전각(20)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에 있어서의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후각(21)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에 있어서의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을 규제한다. 한편, 전환 기구(88)는, 핸들(70)이 도 2, 도 4, 도 6에 나타난 제 2 위치(대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전각(20)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에 있어서의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을 규제함과 함께, 후각(21)에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100)에 있어서의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The switching mechanism 88 automatically switches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ng body 110 of the wheel holding unit 100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fixed body 105 and in a state where the rotating body 110 is not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5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handle 70 It is a mechanism to be converted. 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the wheel holding unit 100 constructed as a caster is provided in both the front full angle 20 and the rear vertical angle 21, and the switching mechanism 88 is provided with the wheel holding unit 100, It is possible to rotate about the caster axis Ac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5 of the rotating body 110 of the wheel holding unit 100 attached to the leg located on the front side, The rotation about the caster axis Ac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5 of the rotating body 110 of the wheel holding unit 100 attached to the leg located on the rear side is regulated. More specifically, the switching mechanism 88 moves the wheel 70 attached to the full angle 20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7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back pushing position) shown in Figs. 1, 3,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10 of the wheel holding unit 100 attached to the rear horn 21 is enabled to rotate the rotating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5 of the unit 100, Thereby restricting rotation about the fixing body 105. [ On the other hand, the switching mechanism 88 is configured such that the wheel holding unit 100 (refer to Fig. 2) attached to the front angle 20, with the handle 70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Of the rotating body 110 of the wheel holding unit 100 attached to the olfactory angle 21 while restricting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holding body 105 in the rotating body 110 ). &Lt; / RTI &gt;

전환 기구(88)는, 핸들(70)에 설치되며 또한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동작 가능한 제 1 전환 부재(75)와, 후각(21)에 지지되며 또한 제 1 전환 부재(75)의 동작에 수반하여 동작 가능한 제 2 전환 부재(80)와, 차륜 유지 유닛(100)에 설치된 로크 부재(130)와, 제 2 전환 부재(80)의 동작을 로크 부재(130)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87)을 갖고 있다.The switching mechanism 88 includes a first switching member 75 provided on the handle 70 and operable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vement of the handle 70, A lock member 130 provided in the wheel holding unit 100 and a second switching member 80 which is operabl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to transmit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to the lock member 130 (87).

이 중 제 1 전환 부재(75)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70)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전환 부재(75)는, 핸들(70)이 도 1, 도 3, 도 5에 나타난 제 1 위치와 도 2, 도 4, 도 6에 나타난 제 2 위치의 사이를 요동할 때, 핸들(70)의 요동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동작, 즉 회전 운동 또는 주회 운동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70)의 요동 축선(da)은 핸들(70)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부재(13)의 축선 방향(da)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환 부재(75)도 축 부재(13)에 관통되어 있으므로, 제 1 전환 부재(75)는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핸들(70)의 요동 축선(da)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게 된다. 제 2 전환 부재(80)는 제 1 전환 부재(75)보다도 상방으로 되는 후각(21) 상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전환 부재(80)는 후각(21) 상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constitutes a part of the handle 70 as described above. 1, 3, and 5 and the second position shown in Figs. 2, 4, and 6,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handle 70 is swu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shown in Figs. That is, rotates or revolves around the swing axis of the handle 7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wing axis da of the handle 70 coincides with the axial direction da of the shaft member 13 that supports the handle 70 in a rockable manner. 11 to 14,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is also passed through the shaft member 13, so that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is moved along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70 And is pivoted about the swing axis da of the handle 70 as the center.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is disposed at a position on the horn 21 which is higher than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is slidable on the smell 21.

제 1 전환 부재(75)는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동작할 때에 제 2 전환 부재(80)에 맞닿는 캠 맞닿음면(76)을 갖고 있다. 한편, 제 2 전환 부재(80)는 캠 맞닿음면(76)을 받치는 캠 받침편(81)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력뿐만 아니라, 압압 부재(85)가 예를 들면 후각(21) 내에 내장되어 있고(도 19 참조), 후술하는 중계 부재(83)를 통하여 제 2 전환 부재(80)를 후각(21)을 따라서 하방으로 압압하고 있다. 압압 부재(85)로부터의 압압에 의하여 제 2 전환 부재(80)의 캠 받침편(81)과 제 1 전환 부재(75)의 캠 맞닿음면(76)이 맞닿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캠 맞닿음면(76) 중 캠 받침편(81)에 맞닿는 위치가 변환되는 것에 의해, 압압 부재(85)의 압압력에 저항해서 제 2 전환 부재(80)가 후각(21) 상을 슬라이딩한다.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has a cam abutment surface 76 abutting against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when the handle 70 is pivote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has a cam receiving piece 81 for supporting the cam contacting surface 76. In this embodiment, not only the gravity but also the pushing member 85 is embedded in the smell 21 (see Fig. 19), and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is smoothened through the relay member 83 (21). The cam receiving piece 81 of the second switchable member 80 and the cam abutment surface 76 of the first switchable member 75 can be held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pressure from the pushing member 85. [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position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butting against the cam receiving piece 81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70, resistance against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member 85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slides on the smell 21.

도 17∼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70)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함에 따라, 캠 맞닿음면(76) 중 캠 받침편(81)에 맞닿게 되는 부위는,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요동 축선(da)으로부터 이간해 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핸들(70)을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요동시켰을 경우, 제 2 전환 부재(80)는 후각(21) 상을 상방을 향해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반대로, 핸들(70)을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요동시켰을 경우, 제 2 전환 부재(80)는 후각(21) 상을 하방을 향해서 슬라이딩하게 된다.17 to 19,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handle 70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a portion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butting against the cam receiving piece 81 Is spaced apart from the swing axis da in the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10. Therefore, when the handle 70 is pivo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slides upward on the smell 21. Conversely, when the handle 70 is swung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switch member 80 slides downward on the horn 21.

또한, 제 1 전환 부재(75)의 캠 맞닿음면(76) 및 제 2 전환 부재(80)의 캠 받침편(81)은, 주로 제 1 전환 부재(75)를 소형화하기 위한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제 1 전환 부재(75)의 캠 맞닿음면(76) 및 제 2 전환 부재(80)의 캠 받침편(81)에 대해서도 추후에 상세히 기술한다.The cam abutment surface 76 of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and the cam receiving piece 81 of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are designed mainly for downsizing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 The cam abutment surface 76 of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and the cam abutment piece 81 of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제 2 전환 부재(80)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동작하는 로크 부재(130)는 차륜 유지 유닛(100)에 설치되어 있다. 차륜 유지 유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륜(101)과, 차륜(10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110)와, 전각(20) 및 후각(21) 중 적어도 한쪽에 부착되며 또한 캐스터 축선(Ac)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체(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105)를 갖고 있다. 또한,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130)는,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도 26의 로크 위치와,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도 25의 로크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전환 기구(88)는,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 대한 요동에 따라서, 로크 부재(130)를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혹은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The lock member 130, which operates in association with the sliding of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is provided in the wheel holding unit 100. The wheel holding unit 100 includes a wheel 101, a rotating body 110 that rotatably supports the wheel 101, and a wheel 110 which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angle 20 and the back angle 21 And has a fixing body 105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ng body 110 about the caster axis Ac. 26 and 26, the lock member 130 is provided at a lock position shown in Fig. 26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5, And the unlocking position of Fig. 25 which enables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stationary member 105. Fig. Therefore, the switching mechanism 88 of the present embodiment switches the lock member 130 from the unlocked position to the locked position or from the locked position to the unlocked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vement of the handle 70 relative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

또한, 로크 부재(130)는 그 동작을 안정시키기 위한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130), 및 로크 부재(130)를 유지하는 차륜 유지 유닛(100)의 구조에 대해서도 추후에 상세히 기술한다.Further, the lock member 130 is designed to stabilize its operation. The structure of the lock member 130 and the wheel holding unit 100 for holding the lock member 13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다음으로 전달 수단(87)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달 수단(87)은 제 2 전환 부재(80)와 차륜 유지 유닛(100) 사이에 설치되며, 제 2 전환 부재(80)의 슬라이딩 동작을 차륜 유지 유닛(100)의 로크 부재(130)에 전달하고, 이것에 의해, 로크 부재(130)를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각(21) 내에 중계 부재(8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중계 부재(83)는 제 2 전환 부재(80)와 접속되어 있으며, 제 2 전환 부재(80)의 후각(21)에 대한 슬라이딩과 동기해서 후각(21) 내에서 상하 이동한다. 전달 수단(87)은, 일단이 중계 부재(83)에 부착되며 또한 타단이 로크 부재(130)에 부착된 와이어재(87b)와, 와이어재(87b)가 그 내부를 관통해서 연장되어 있는 통형상 부재(87a)를 갖고 있다. 통형상 부재(87a)의 일단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각(21) 내의 중계 부재(83)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 유지부(84)에 유지되고, 통형상 부재(87a)의 타단은,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륜 유지 유닛(100)의 로크 부재(130)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 유지부(107)에 유지되어 있다. 그 결과, 제 2 전환 부재(80)가 후각(21)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 와이어재(87b)가 통형상 부재(87a) 내를 이동하여, 와이어재(87b)의 타단에 접속된 로크 부재(130)가 와이어재(87b)의 동작에 수반하여 이동한다.Next, the transfer means 87 will be described. The transmitting means 87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and the wheel holding unit 100 and transmits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to the locking member 130 of the wheel holding unit 100 , Thereby operating the lock member 130 between the lock position and the lock release position. In this embodiment, the relay member 83 is provided in the smell 21. The relay member 83 is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able member 80 and moves up and down in the smell 21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liding of the second switchable member 80 with respect to the smell 21. The transmitting means 87 includes a wire member 87b having one end attached to the relay member 83 and the other end attached to the lock member 130 and a wire member 87b extending through the wire member 87b And has a shape member 87a. One end of the tubular member 87a is held by a holding portion 84 provided at a position near the relay member 83 in the horn 21 as shown in Fig. The other end is held in a holding portion 107 provided at a position near the lock member 130 of the wheel holding unit 100, as shown in Figs. As a result, when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slides relative to the rear horn 21, the wire member 87b moves in the tubular member 87a and the lock member 87b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87b 130 move along with the operation of the wire material 87b.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각(20) 및 후각(21) 모두에 캐스터로서 기능하는 차륜 유지 유닛(100)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계 부재(83)와 전각용의 차륜 유지 유닛(100) 사이에 하나의 전달 수단(87)이 설치되고, 중계 부재(83)와 후각용의 차륜 유지 유닛(100) 사이에 다른 하나의 전달 수단(8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체로 폭 방향의 중심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중심으로 해서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환 기구(88)를 이루는 제 1 전환 부재(75), 제 2 전환 부재(80) 및 중계 부재(83), 전각용의 전달 수단(87), 전각용의 차륜 유지 유닛(100), 후각용의 전달 수단(87), 및 후각용의 차륜 유지 유닛(100)도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wheel holding unit 100 functioning as a caster is attached to both the front angle 20 and the rear angle 21. 5, one transfer means 87 is provided between the relay member 83 and the wheel-holding unit 100 for the fore-and-aft direction, and the relay member 83 and the smoothing wheel-holding unit 100 are provided with another transmitting means 87. [ As described above, the baby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a surface extending gener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and the relay member 83, the transmitting means 87 for the front angle, and the wheel holding unit 100 for the front wheel, which constitute the switching mechanism 88, The olfactory transmitting means 87, and the olfactory wheel holding unit 100 are also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제 1 전환 부재의 캠 맞닿음면 및 제 2 전환 부재의 캠 받침편〉&Lt; the cam abutment surface of the first switching member and the cam supporting piece of the second switching member &

여기에서, 주로 도 16∼도 21을 참조하면서, 제 1 전환 부재(75)의 캠 맞닿음면(76) 및 제 2 전환 부재(80)의 캠 받침편(81)에 대하여 더 상세히 기술한다.Hereinafter, the cam abutment surface 76 of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and the cam abutment piece 81 of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21. Fig.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캠 맞닿음면(76) 중 캠 받침편(81)에 맞닿는 위치가 변환되는 것에 의해, 압압 부재(85)에 의하여 제 1 전환 부재(75)를 향해서 압압된 제 2 전환 부재(80)가 후각(21) 상을 슬라이딩한다. 도 17∼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70)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함에 따라서, 캠 맞닿음면(76) 중 캠 받침편(81)에 맞닿게 되는 부위는,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요동 축선(da)으로부터 이간해 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핸들(70)을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요동시켰을 경우, 제 2 전환 부재(80)는 후각(21) 상을 상방을 향해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반대로, 핸들(70)을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요동시켰을 경우, 제 2 전환 부재(80)는 후각(21) 상을 하방을 향해서 슬라이딩하게 된다.The position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butting against the cam receiving piece 81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70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slides on the smell 21.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as shown in Fig. 17 to 19, in this embodiment, as the handle 70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a portion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butting against the cam receiving piece 81 Is spaced apart from the swing axis da in the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10. Therefore, when the handle 70 is pivo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slides upward on the smell 21. Conversely, when the handle 70 is swung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switch member 80 slides downward on the horn 21.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 받침편(81) 중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도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변환된다. 도 17∼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70)이 유모차 본체(11)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요동할 때, 캠 받침편(81) 중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는, 캠 맞닿음면(76)의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변환된다. 즉, 캠 받침편(81) 중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는, 핸들(70)과 함께 동작하는 캠 맞닿음면(76)과 동일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70)이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제 1 전환 부재(75)의 캠 맞닿음면(76)이, 핸들(70)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요동하는 동안에 접촉하게 되는 제 2 전환 부재(80)의 캠 받침편(81)의 부위 중 일부분에만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70)이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캠 맞닿음면(76)이, 핸들(70)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요동하는 동안에 접촉하게 되는 캠 받침편(81)의 부위 중 일부분에만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cam receiving piece 81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am contacting surface 76 is also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70. [ 17 to 21, when the handle 70 swing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the position of the cam receiving piece 81,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am abutment surface 76,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in the movement path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That is, the position of the cam receiving piece 81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am abutting surface 76 moves in the same constant direction as the cam abutting surface 76 that cooperates with the handle 70. 17, the cam abutment surface 76 of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abuts on the handle 70 in the state in which the handle 7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as shown in Fig. 17,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a part of the cam receiving piece 81 of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hile swing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buts against the portion of the cam abutment piece 81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hile the handle 70 swing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t can be arranged at a position facing only a part thereof.

즉, 캠 받침편(81) 중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가 변환되지 않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 1 전환 부재(75)가 도 2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부분을 더 갖도록 해서, 제 1 전환 부재(75)의 캠 맞닿음면(76)을 더 길게 제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잡화되기 쉬운 전환 기구(88)의 제 1 전환 부재(75)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유모차(10)의 소형화 경량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핸들(70)의 요동 축선(da)의 근방은,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나 시트 지지 유닛(40) 및 시트(150)의 리클라이닝 동작 등에 관련된 구성이 배치되어 스페이스적인 여유가 작다. 실제로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전환 부재(75)의 바로 후방에는 상태 유지 기구(35)의 조작 부재(35b)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 조작 부재(35b)와의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도 2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연장 부분을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캠 맞닿음면(76) 및 캠 받침편(81)의 구성은, 유모차(10)의 소형 경량화뿐만 아니라 유모차(10)의 전체적인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position of the cam receiving piece 8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am abutment surface 76 is not changed, for example,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moves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two-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am abutment surface 76 of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long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of the switching mechanism 88, which is likely to be complicated, can be reduced in size and weight, and consequently, the small size and light weight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realized. Particularly, the vicinity of the swing axis da of the handle 70 is arranged in a structure related to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the reclining operation of the seat support unit 40 and the seat 150, and the space margin is small. Actually, as shown in Fig. 12, an operation member 35b of the state maintaining mechanism 35 is provided just behind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 In the illustrated example, since interference with the operating member 35b occurs,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provide an extended portion indicated by a chain double-dashed line in Fig. That is, the configuration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nd the cam receiving piece 81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not only the size and weight of the baby carriage 10 but also the overall design freedom of the baby carriage 10.

이와 같은 구성의 구체예로서, 제 2 전환 부재(80)의 캠 받침편(81)은 캠 맞닿음면(76)과 마찬가지로 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곡면, 평면, 굽힘면 등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와 같이, 제 2 전환 부재(80)의 캠 받침편(81)이 제 1 전환 부재(75)의 캠 맞닿음면(76)을 향해서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캠 받침 돌출부(82a, 82b)를 갖도록 해도 된다. 이 캠 받침 돌출부(82a, 82b)가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한 캠 맞닿음면(76)의 이동 경로를 따라서 이간한 위치에 배치되어, 핸들(70)의 요동 위치에 따라서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는 캠 받침 돌출부(82a, 82b)가 변환될 수 있다. 캠 받침 돌출부(82a, 82b)를 갖는 캠 받침편(81)의 설계 및 제작은, 캠 받침편(81)의 전체가 아닌 캠 받침 돌출부(82a, 82b)의 위치에만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캠 받침편(81)의 제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As a concrete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the cam receiving piece 81 of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may be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cam abutment surface 76, more specifically, a curved surface, a flat surface, a bent surface, or the like . As shown in the figure, the cam receiving piece 81 of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cam receiving projections 82a, 82b projecting toward the cam abutment surface 76 of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 And 82b. The cam protrusion projections 82a and 82b are disposed at positions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following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70, The cam receiving protrusions 82a and 82b contacting the surface 76 can be converted.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the cam receiving member 81 having the cam receiving projections 82a and 82b requires high precision only in the position of the cam receiving projections 82a and 82b rather than the entirety of the cam receiving member 81. [ Therefore, the cam receiving piece 81 can be easily manufactured.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캠 받침 돌출부(82a, 82b)는 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단일한 캠 받침편(81)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캠 받침 돌출부(82a, 82b)가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am-receiving projections 82a and 82b are formed by a single linearly extending cam-receiving unit 81, but even if the cam-receiving projections 82a and 82b are separately provided do.

또한, 핸들(70)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캠 맞닿음면(76)이, 당해 캠 맞닿음면(76)의 이동 경로를 따라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캠 받침 돌출부(82a, 82b)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전환 부재(80)가 압압 부재(85)에 의하여 제 1 전환 부재(75)를 향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캠 받침편(81) 중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게 되는 캠 받침 돌출부(82a, 82b)는, 핸들(70)과 함께 동작하는 캠 맞닿음면(76)의 일정한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변환된다. 따라서, 캠 맞닿음면(76)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캠 받침 돌출부(82a, 82b)에 동시에 접촉하는 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는 캠 받침 돌출부(82a, 82b)가 변환되어갈 때에, 압압 부재(85)에 의하여 제 1 전환 부재(75)와 제 2 전환 부재(80)가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핸들(70)이 요동 가능 범위 내에서 한쪽의 방향으로 요동하는 경우 및 다른 쪽의 방향으로 요동하는 경우 중 어느 경우에도, 즉, 핸들(70)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하는 경우 및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를 향하는 경우 중 어느 경우에도, 캠 받침 돌출부(82a, 82b)의 캠 맞닿음면(76)에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나, 캠 받침 돌출부(82a, 82b)가 캠 맞닿음면(76)의 단부(76a, 76b)에 접촉하며 타고 넘는 것에 의한 충격을 발생시키지 않고, 핸들(70)의 원활한 요동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When the handle 70 is disposed at any position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buts against two adjacent cam followers 76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simultaneous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am-receiving projections 82a and 82b.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is pressed toward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by the pressing member 85. [ The cam abutment projections 82a and 82b which come into contact with the cam abutment surface 76 of the cam abutment piece 81 mov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nd is converted along with the movement. Therefore, by setting the timing at which the cam abutment surface 76 simultaneously contacts the two cam follower projections 82a and 82b adjacent to each other, the cam abutment projections 82a and 82b, which come into contact with the cam abutment surface 76,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and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can b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by the pushing member 85. [ When the handle 70 swings in one direction or swings in the other direction within the swingable range, that is, when the handle 70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cam abutment projecting portions 82a and 82b are in contact with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nd the cam abutment projections 82a and 82b are in contact with the cam abutment surface 76. [ It is possible to secure a smooth swing motion of the handle 70 without causing an impact due to contact with the end portions 76a and 76b of the contact surface 76 and riding over.

특히 도시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전환 부재(80)의 캠 받침편(81)은, 2개의 캠 받침 돌출부(82a, 82b)로서, 핸들(70)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해서 이동할 때의 캠 맞닿음면(76)의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 17에 나타난 핸들(70)이 제 1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에 있어서, 캠 맞닿음면(76)은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 및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 중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에만 대면하며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에 접촉한다. 또한, 도 21에 나타난 핸들(70)이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캠 맞닿음면(76)은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 및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 중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에만 대면하며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에 접촉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캠 받침편(81)의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는 위치가 캠 맞닿음면(76)의 이동에 추종해서 변환되므로, 캠 맞닿음면(76)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복잡화되기 쉬운 전환 기구(88)의 제 1 전환 부재(75)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유모차(10)의 소형화 경량을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캠 맞닿음면(76) 및 캠 받침편(81)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10)의 전체적인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am receiving piece 81 of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has two cam receiving projections 82a and 82b, in which the handle 70 extends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And has a first cam receiving projection 82a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and a second cam receiving projecting 82b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movement path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when moving. 17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cam abutment surface 76 is engaged with the first cam of the first cam-receiving projecting portion 82a and the second cam-receiving projecting portion 82b,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am-receiving projecting portion 82a while facing only the cam-receiving projecting portion 82a. 21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buts against the second cam of the first cam-receiving projecting portion 82a and the second cam-holding projecting portion 82b, And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cam-receiving projections 82b, facing only the projecting projections 82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sition of contact with the cam abutment surface 76 of the cam receiving piece 81 is changed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the position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length. That is,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of the switching mechanism 88, which is liable to be complicated, can be reduced in size and weight, and consequently, the small size and light weight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realized.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nd the cam receiving piece 81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overall design freedom of the baby carriage 10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핸들(70)이 도 17의 제 1 위치와 도 21의 제 2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도 18에 나타난 제 1 중간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캠 맞닿음면(76)은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 및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의 양쪽에 대면하며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에만 접촉해 있다. 한편, 핸들이 도 18의 제 1 중간 위치와 도 21의 제 2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도 20에 나타난 제 2 중간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캠 맞닿음면(76)은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 및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의 양쪽에 대면하며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에만 접촉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캠 맞닿음면(76)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캠 받침 돌출부(82a, 82b)에 동시에 접촉하는 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핸들(70)이 도 18의 제 1 중간 위치와 도 20의 제 2 중간 위치 사이의 도 19에 나타난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캠 맞닿음면(76)이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 및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의 양쪽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캠 맞닿음면(76)과 접촉하는 캠 받침 돌출부(82a, 82b)가 변환되어 갈 때에, 캠 받침 돌출부(82a, 82b)의 캠 맞닿음면(76)에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나, 캠 받침 돌출부(82a, 82b)가 캠 맞닿음면(76)의 단부(76a, 76b)에 접촉하며 타고 넘는 것에 의한 충격을 발생시키지 않아, 핸들(70)의 원활한 요동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handle 70 is disposed at the first intermediate position shown in Fig. 18,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in Fig. 17 and the second position in Fig. 21, the cam abutment surface 76, Is in contact with both the first cam receiving projections 82a and the second cam receiving projections 82b and is in contact with only the first cam receiving projections 82a.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is disposed at the second intermediate position shown in Fig. 20 where the handle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intermediate position in Fig. 18 and the second position in Fig. 21,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buts against the first cam- And the second cam-receiving projections 82b and contact only the second cam-receiving projections 82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et the timing at which the cam abutment surface 76 contacts the two cam follower projections 82a and 82b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at is, when the handle 70 is disposed at the position shown in Fig. 19 between the first intermediate position in Fig. 18 and the second intermediate position in Fig. 20,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buts against the first cam abutment projection 82a, And the second cam receiving projections 82b.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m-receiving projections 82a and 82b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cam-contacting face 76 are changed, the cam-contacting projections 82a and 82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am- 76b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nd the shock caused by the cam abutment projections 82a, 82b abutting against the end portions 76a, 76b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It is possible to secure a smooth swing motion of the motor.

또한, 이상과 같은 캠 맞닿음면(76) 및 캠 받침편(81)을 실현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 대한 요동 축선(da)을 따라서 관찰했을 경우,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 대한 요동 축선(da)으로부터 캠 맞닿음면(76)의 각 위치까지의 직선 거리(La)는, 핸들(70)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요동할 때의 이동 방향 전방측이 되는 캠 맞닿음면(76) 상의 일단(76a)으로부터 이동 방향 후방측이 되는 캠 맞닿음면 상의 타단(76b)을 향해서 점차 길어져 가며, 또한 핸들(70)이 도 21에 나타난 제 2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 대한 요동 축선(da)으로부터 제 2 캠 받침 돌출부(82b)까지의 직선 거리(Lb)는,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 대한 요동 축선(da)으로부터 제 1 캠 받침 돌출부(82a)까지의 직선 거리(Lc)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In order to realize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nd the cam receiving piece 81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70 is observed along the swing axis da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The straight line distance La from the swing axis da of the handle 70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to each position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is set such that the handle 70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oward the other end 76b on the cam abutment surface that is the rear side in the moving direction from the one end 76a on the cam abutting surface 76 which is the front side in the moving direction when the camshaft 76 is pivoted to the position, The linear distance Lb from the swing axis da to the second cam receiving projection 82b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of the handle 70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linear distance Lb Is shorter than the linear distance Lc from the swing axis da to the first cam receiving projection 82a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of the baby carriage 70 .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 대한 요동 축선(da)을 따라서 관찰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핸들(70)의 유모차 본체(11)에 대한 요동 축선(da)으로부터 캠 맞닿음면(76)의 각 위치까지의 직선 거리(La)는, 핸들(70)이 요동 가능한 범위 내에 있어서의 한쪽 편으로부터 다른 쪽 편으로 요동할 때의 이동 방향 전방측이 되는 캠 맞닿음면(76) 상의 일단(76a)으로부터 이동 방향 후방측이 되는 캠 맞닿음면 상의 타단(76b)을 향해서 점차 길어져 가며,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70)의 요동 축선(da)과 평행한 방향을 따른 캠 맞닿음면(76)의 폭(w)은, 캠 맞닿음면(76) 상의 일단(76a)으로부터 이동 방향 후방측이 되는 캠 맞닿음면(76) 상의 타단(76b)을 향해서 점차 넓어져 간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따르면, 캠 맞닿음면(76)의 폭(w)은, 측면 보기에 있어서의 핸들(70)의 요동 축선(da)으로부터의 직선 거리(La)가 길어지는 캠 맞닿음면(76) 상의 위치에 있어서 넓어져 있다. 핸들(70)의 요동 축선(da)으로부터 캠 맞닿음면(76) 상의 소정의 위치까지의 직선 거리(La)가 길어지면, 캠 맞닿음면(76)의 당해 위치가 캠 받침편(81)에 맞닿았을 때에, 캠 받침편(81)을 캠 맞닿음면(76)을 향해서 압압하는 압압 부재(85)로부터의 압압력은 보다 커진다. 그리고, 핸들(70)의 요동 축선(da)으로부터의 직선 거리(La)가 길어지는 위치에서의 캠 맞닿음면(76)의 폭(w)이 넓게 되어 있으므로, 압압 부재(85)로부터의 보다 큰 압압력을 캠 맞닿음면(76) 중 보다 폭이 넓은 부위에 의해 받을 수 있다. 즉, 캠 맞닿음면(76)의 크기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고, 제 1 전환 부재(75) 및 유모차(10)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제 1 전환 부재(75) 및 제 2 전환 부재(80)의 상대 동작을 보다 원활화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wing axis da of the handle 70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when the handle 70 is observed along the swing axis da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The straight distance La from the cam surface 76 to each position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is set such that the cam 70 which is the front side in the moving direction when the handle 70 is pivot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gradually becomes longer toward the other end 76b on the cam contact surface from the one end 76a on the contact surface 76 toward the rear side i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swing axis da of the handle 70 is gradually increased, The width w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long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cam abutment surface 76 is set such that the other end 76b on the cam abutment surface 76,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width w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is set so that the straight distance La from the swing axis da of the handle 70 in the side view becomes longer, (See Fig. The position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becomes longer than the position of the cam abutment surface 81 when the linear distance La from the swing axis da of the handle 70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am abutment surface 76 becomes long, The pressing force from the pressing member 85 that presses the cam receiving piece 81 toward the cam abutting surface 76 becomes larger. Since the width w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at the position where the linear distance La from the swing axis da of the handle 70 is long is wide, A large pressing force can be received by the wider portion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 That is,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and the baby carriage 10 can be reduced in size and weight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cam abutment surface 76 more than necessary. In addition,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switching member 75 and the second switching member 80 can be further facilitated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70.

〈로크 부재 및, 차륜 유지 유닛〉<Locking member and wheel holding unit>

다음으로, 주로 도 25∼도 27을 참조하면서, 로크 부재(130) 및 차륜 유지 유닛(100) 중 로크 부재(130)와 관련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25 to 27,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ortion of the lock member 130 and the wheel holding unit 100 that is related to the lock member 130. Fig.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130)는,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도 26의 로크 위치와,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도 25의 로크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체(105)는, 일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회전체(110)에 대면하는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에 개구된 수용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부(10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한편, 회전체(110)의 지지 블록(115)에는, 고정체(105)의 수용부(106)와 일방향으로 대면할 수 있는 위치에, 걸어 맞춤 오목부(114)가 형성되어 있다.26 that regulate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5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10 about the fixed body 105 as described above, The unlocking position shown in Fig. 25 and 26, the fixed body 105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106 which extends in one direction and is opened at one side in the one direction facing the rotating body 11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portion 106 extends vertically and opens downward in the up-and-down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block 115 of the rotating body 110 is formed with the engagement concave portion 114 at a position facing the receiving portion 106 of the fixing body 105 in one direction.

로크 부재(130)는 그 길이 방향이 일방향을 따르도록 해서 수용부(106) 내에 배치되며, 또한 수용부(106)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크 부재(130)가 수용부(106) 내에서 일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이동한 위치가 도 25에 나타난 로크 해제 위치이며, 로크 부재(130)는 로크 해제 위치에 있어서 그 전장(全長)에 걸쳐서 고정체(105)의 수용부(106)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로크 부재(130)가 로크 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로크 부재(130)는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체(110)의 회전을 규제하지 않는다. 한편, 로크 부재(130)가 수용부(106) 내에서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이동한 위치가 도 26에 나타난 로크 위치이며, 로크 부재(130)는 로크 위치에 있어서 그 일측단이 수용부(106) 밖으로 뻗어나온다. 이때 로크 부재(130)의 일측단은 회전체(110)의 걸어 맞춤 오목부(114) 내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로크 부재(130)가 로크 위치에 있을 경우, 로크 부재(130)는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체(110)의 회전을 규제한다.The lock member 130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6 so that its longitudinal direction is along one direction, and is also slidable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6. The position at which the lock member 130 has moved to the other side in one direction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6 is the unlocking position shown in Fig. 25, and the lock member 130 is in the unlocking position, And is lo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06 of the fixing body 105. Therefore, when the lock member 130 is in the unlock position, the lock member 130 does not regulate the rotation of the rotator 110 relative to the fixture 105. [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where the lock member 130 has moved to one side in one direction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6 is the lock position shown in Fig. 26, and the lock member 130 has, at the lock position, 106). At this time, one end of the lock member 13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recess 114 of the rotating body 110. Thus, when the lock member 130 is in the locked position, the lock member 130 regulate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10 relative to the fixed body 105. [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체(105)의 수용부(106) 내에 있어서의 로크 부재(130)의 일측이 되는 위치에 압축 스프링(103)이 배치되어 있다. 이 압축 스프링(103)은 수용부(106)의 일측 단면과 로크 부재(130) 사이에서 압축되고, 이것에 의해, 로크 부재(130)를 일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압압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130)에는 전달 수단(87)의 와이어재(87b)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와이어재(87b)가 이동해서, 로크 부재(130)가 압축 스프링(103)의 압압력에 저항하여 끌어올려지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130)가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핸들(70)의 요동에 수반하여 와이어재(87b)가 이동해서, 압축 스프링(103)의 압압력에 의하여 로크 부재(130)가 밀려내려가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130)가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한다.25 and 26, a compression spring 103 is disposed at a position on one side of the lock member 130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6 of the fixture 105. As shown in Fig. The compression spring 103 is compressed between one end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06 and the lock member 130 to thereby push the lock member 130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 on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wire member 87b of the transmitting means 87 is connected to the lock member 130. [ The wire member 87b moves along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70 and the lock member 130 is pulled up against the press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103, Position to the unlock position. On the other hand, as the wire member 87b moves along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70 and the lock member 130 is pushed down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103, the lock member 130 is moved to the unlocking position To the lock position.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로크 부재(130)는, 압축 스프링(103)의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을 받치는 스프링 받침면(131a)을 포함하고 있고, 부가해서, 로크 부재(130)는, 스프링 받침면(131a)보다도 일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압축 스프링(103)의 측방에 위치하는 스프링측 연장부(135)를 갖고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130)가 수용부(106) 내에서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슬라이딩해서 로크 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스프링측 연장부(135)의 길이는, 스프링 받침면(131a)과 수용부(106)의 일측 단면 사이에서 압축된 압축 스프링(103)의 길이보다도 약간 짧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로크 부재(130)는, 압축 스프링(103)이 배치되는 영역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수용부(106)의 일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고 그 전장을 길게 할 수 있다. 즉, 차륜 유지 유닛(100)을 대형화 및 중량화시키지 않고 로크 부재(130)를 길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130)를 길게 하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130)의 확실한 슬라이딩을 확보하기 위한 간극을 로크 부재(130)와 수용부(106) 사이에 설치했다고 해도, 수용부(106) 내에서의 로크 부재(130)의 래틀(rattle)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로크 부재(130)의 원활한 슬라이딩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체(110)가 고정체(1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체(110)가 고정체(10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상태의 전환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Incidentally, the lock member 130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pring receiving surface 131a that supports one side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103 in one direction. In addition, the lock member 130, Side extension portion 135 extending to the other side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pring-receiving surface 131a and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compression spring 103. [ 25, when the lock member 130 slides in one direction in one direction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6 to be in the unlocked position, the length of the spring side extension portion 135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spring support surface 131a and the one end 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06. As shown in Fig. By using the area in which the compression spring 103 is disposed, the lock member 130 can be made longer without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receiving portion 106 in one direction. That is, the lock member 130 can be elongated without increasing the size and weight of the wheel holding unit 100. Even if a gap for ensuring reliable sliding of the lock member 130 is provided between the lock member 130 and the accommodation portion 106 by lengthening the lock member 130, The ratchet movement of the lock member 130 can be realized by effectively suppressing the rattle of the lock member 130 in the lock member 130. [ This makes it possible to reliably switch between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ng body 11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5 and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ng body 110 is not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5.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측 연장부(135)는, 한 쌍의 측벽부(136)와, 한 쌍의 측벽부(136)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벽부(137)를 갖고 있다. 압축 스프링(103) 중 적어도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부분은 스프링측 연장부(135)에 의하여 세 방향으로부터 둘러싸인다. 따라서, 로크 부재(130)의 수용부(106) 내에서의 슬라이딩에 수반해서 압축 스프링(103)의 압축 및 팽창이 스프링측 연장부(135)에 의하여 유도된다. 이것에 의해, 로크 부재(130)의 수용부(106) 내에서의 슬라이딩 동작이 더 안정된다. 예를 들면, 로크 부재(130)가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할 경우, 압축 스프링(103)은 압축력을 받게 되지만, 이때에 압축 스프링(103)이 굴곡되어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로크 부재(130)의 수용부(106) 내에서의 슬라이딩 동작이 더 안정된다.27, the spring side extension portion 135 includes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136 and a connecting wall portion 137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136, . One side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compression springs (103) is surrounded by the spring side extension portion (135) from three directions. The compression and expans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103 is guided by the spring side extension portion 135 in association with the sliding of the lock member 130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106. [ As a result,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lock member 130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6 becomes more stable. For example, when the lock member 130 moves from the locked position to the unlocked position, the compression spring 103 is subjected to a compressive force, but at this time, the compression spring 103 is bent and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it. As a result,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lock member 130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6 becomes more stabl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5∼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130)는, 스프링 받침면(131a)을 형성하며 또한 스프링측 연장부(135)와 접속된 기부(基部)(131)와, 기부(131)와 접속되며 기부(131)보다도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연장된 차륜측 연장부(141)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전달 수단(87)의 와이어재(87b)의 단부는, 기부(131)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차륜측 연장부(141)는, 한 쌍의 측벽부(142)와, 한 쌍의 측벽부(14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143)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로크 부재(130)는 그 전장을 확보하는 것에 의해 수용부(106) 내에 있어서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실현하면서 경량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25 to 27, the lock member 130 forms a spring receiving surface 131a and has a base portion 131 connected to the spring side extension portion 135. In this embodiment, And a wheel side extension portion 141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131 and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131 in one direction. The end of the wire member 87b of the transmission means 87 is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131. [ The wheel side extension portion 141 has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142 and a connecting wall portion 143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142. By securing the entire length of the lock member 130, it is possible to achieve smooth sliding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6 while reducing weight.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25∼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륜측 연장부(141)는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에 끝이 가늘어진 선단 테이퍼부(141a)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로크 부재(130)에 의하면, 로크 부재(130)의 일측단이, 고정체(105)의 수용부(106)로부터 뻗어나와, 회전체(110)의 걸어 맞춤 오목부(114) 내에 원활하게 들어갈 수 있다. 즉, 로크 부재(130)의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의 슬라이딩을 보다 원활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5 to 27, the wheel side extension portion 141 has a tip end tapered portion 141a which is tapered at one end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lock member 130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lock member 130 is extend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106 of the fixed body 105 and smoothly inserted into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114 of the rotating body 110 You can enter. That is, it becomes possible to more smoothly slide the lock member 130 from the unlock position to the lock position.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25∼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130)의 차륜측 연장부(141)에 있어서의 선단 테이퍼부(141a)에 부가하여, 걸어 맞춤 오목부(114)가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에 끝이 가늘어진 바닥 테이퍼부(114a)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차륜 유지 유닛(100)에 의하면, 로크 부재(130)의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의 슬라이딩을 원활화시키면서, 또한 로크 부재(130)가 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의 로크 부재(130)와 걸어 맞춤 오목부(114) 사이의 간극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부터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는 상태로 원활하게 이행할 수 있음과 함께, 그 후에 회전체(110)의 고정체(105)에 대한 래틀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0)의 안정된 주행을 실현할 수 있다.25 to 27, in addition to the tip end tapered portion 141a of the wheel side extension portion 141 of the lock member 130,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114 Has a bottom tapered portion 114a which is tapered at one end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such a wheel holding unit 100, it is possible to smoothly slide the lock member 130 from the unlocked position to the lock position, and to engage with the lock member 130 when the lock member 130 is in the lock position The gap between the fitting recesses 114 can be reduced. This makes it possible to smoothly shift from the state wher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10 to the fixed body 105 is possible to the state wher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5 is regulat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 rattle against the fixing body 105 of the rotating body 110. Thus, stable running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realiz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25∼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103)이 압축 코일 스프링이며, 또한 스프링 받침면(131a)을 형성하는 로크 부재(130)의 기부(131)에 한쪽의 단부가 부착된 와이어재(87b)가, 압축 코일 스프링(103)을 관통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륜 유지 유닛(100)에 의하면, 로크 부재(130)의 수용부(106) 내에서의 슬라이딩에 수반한 압축 코일 스프링(103)의 압축 및 팽창은, 와이어재(87b) 및 스프링측 연장부(135)에 의하여 유도된다. 따라서, 로크 부재(130)의 수용부 내에서의 슬라이딩 동작이 더 안정된다.25 to 27, the compression spring 103 is a compression coil spring, and the base 131 of the lock member 130, which forms the spring support surface 131a, A wire member 87b with one end is extended through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03. According to the wheel holding unit 100 as described above, the compression and expansion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03 caused by the sliding of the lock member 130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6 is performed by the wire member 87b and the spring side extension (135). Therefore, the sliding operation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lock member 130 becomes more stabl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부재(130)가 전달 수단을 통해서 핸들(70)의 동작에 수반하여 자동적으로 동작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로크 부재(130) 및 로크 부재(130)에 관련되는 차륜 유지 유닛(100)의 구성은 수동으로 동작하는 차륜 유지 유닛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로크 부재(130) 및 로크 부재(130)에 관련되는 차륜 유지 유닛(100)의 구성에 기인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 member 130 is automatically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handle 70 through the transmission mean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lock member 130 and the lock member The wheel hold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 wheel holding unit that is manually operated. In this example, the wheel holding unit 100 related to the lock member 130 and the lock member 130 It is possible to exert an operational effect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unit 100. [

《시트(150)》&Quot; Sheet (150) &quot;

다음으로, 주로 도 1, 도 2 및 도 28∼도 30을 참조해서, 시트 지지 유닛(40) 상에 지지되는 시트(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트(15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해서 대체로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Next, referring to mainly Figs. 1, 2 and 28 to 30, the sheet 150 supported on the sheet supporting unit 40 will be described. As best shown in Fig. 28, the seat 150 is gener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extending as a w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 도 2 및 도 28∼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150)는, 앉음면부(156)와, 앉음면부(156)와 접속되며 앉음면부(156)의 후방에 위치하는 등받이부(157)와, 앉음면부(156)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된 좌우의 측면부(160)와, 등받이부(157)로부터 연장된 좌우의 상방 측면부(167)를 갖고 있다. 앉음면부(156)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엉덩이부를 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등받이부(157)는 유유아의 등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측면부(제 1 측면부)(160) 및 상방 측면부(제 2 측면부)(167)는 유유아의 측방에 위치하는 측벽부를 구성한다. 또한, 시트(150)는 등받이부(157)의 앉음면부(156)로부터 이간한 상방으로 되는 위치에 접속된 상방부(上方部)(169)를 더 갖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부(169)는 좌우의 상방 측면부(167)를 연결하고 있으며 헤드 레스트로서 기능한다.1, 2, and 28 to 30, the seat 150 includes a sitting face portion 156 and a backrest portion (not shown) which is connected to the sitting face portion 156 and is located behind the sitting face portion 156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160 extending in both lateral directions from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and left and right upper side portions 167 extending from the backrest portion 157. [ The sitting face portion 156 mainly supports the hip portion of the infant riding on the baby carriage 10. [ On the other hand, the backrest portion 157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back of the infant. The side surface portion (first side surface portion) 160 and the upper side surface portion (second side surface portion) 167 constitute a side wall port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infant. The seat 150 further has an upper portion 169 connected to a position at which the seat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seat surface portion 156 of the backrest portion 157. As shown in Fig. 4, the upper portion 169 connects the left and right upper side portions 167 and functions as a headrest.

전술한 바와 같이, 앉음면부(156)는 주로, 시트 지지 유닛(40)의 앉음면부 지지 요소(50)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앉음면부(156)는 그 후연부(後緣部)에 있어서 등받이부(157)와 접속되어 있으며, 한 쌍의 측연부(側緣部)에 있어서 각각 대응하는 측의 측면부(160)와 접속되어 있다. 등받이부(157)는 주로 시트 지지 유닛(40)의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157)는, 평면 보기에 있어서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한쪽의 단변(短邊)을 곡선 형상이 되도록 모따기해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등받이부(157)는 이 곡선 형상으로 정형된 연부(緣部)가 앉음면부(156)로부터 후방 또는 상방으로 이간하도록 해서, 배치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is mainly supported by the sitting surface portion supporting element 50 of the seat supporting unit 40. 28, the sitting face portion 156 is connected to the backrest portion 157 at a rear edge portion thereof. The seat face portion 156 has a pair of side edge portions, And is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160. The backrest portion 157 is mainly supported by the backrest support element 60 of the seat support unit 40. As shown in Fig. 28, the backrest portion 157 is formed by chamfering one short side of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in a plan view so as to have a curved shape. The backrest portion 157 is disposed such that the curved edge portion is spaced rearward or upward from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

등받이부(157)는 그 하연부(下緣部)에 있어서 앉음면부(156)의 후연부와 접속되어 있다. 등받이부(157)와 앉음면부(156)는 예를 들면 꿰매 붙이는 것에 의하여 서로 접속되며, 이 경우, 등받이부(157)와 앉음면부(156)의 접속 개소는 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봉제 라인에 의하여 구획 형성된다. 유모차 본체(11)의 리클라이닝 동작이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시트(150)의 앉음면부(156) 및 등받이부(157)는 서로 접근하게 된다. 이때, 앉음면부(156) 및 등받이부(157)는 봉제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선 형상의 접속 개소를 요동 축선으로 해서 상대적으로 요동할 수 있다.The backrest portion 157 is connected to the rear edge portion of the seat surface portion 156 at the lower edge portion thereof. The backrest portion 157 and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or example, stitching. In this case,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backrest portion 157 and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is formed by a sewing line extending in a linear shape Respectively. The seat surface portion 156 and the backrest portion 157 of the seat 150 come close to each other with the reclining operation or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11. [ At this time,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and the backrest portion 157 can swing relative to each other with the linear connection portion formed of the sewing lines as the swing axis.

등받이부(157)의 직선 형상의 한 쌍의 측연부에는 각 상방 측면부(167)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부(157)의 곡선 형상의 상연부(上緣部)에는 헤드 레스트로서 기능하는 상방부(169)가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상방 측면부(167)는 시트 지지 유닛(40)의 측방 지지 요소(45)에 지지되고, 상방부(169)는 시트 지지 유닛(40)의 상방 지지 요소(41)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28에 나타난 예에서는, 한 쌍의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는 동일한 재료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한 쌍의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는 예를 들면 꿰매 붙이는 것에 의하여 등받이부(157)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와 등받이부(157)의 접속 개소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봉제 라인에 의하여 구획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방 지지 요소(41)는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방 지지 요소(41)의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대한 요동에 수반하여, 상방부(169)는 봉제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선 형상의 접속 개소를 요동 축선으로 해서 등받이부(157)에 대하여 요동하게 된다.Each of the upper side portions 167 is connected to a pair of linear side portions of the backrest portion 157. An upper portion 169 functioning as a headrest is connected to a curved upper edge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 157. [ A pair of upper side portions 167 are supported on the side support elements 45 of the seat support unit 40 and an upper portion 169 is supported by the upper support elements 41 of the seat support unit 40.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8, the pair of upper side portions 167 and the upper portion 169 are integrally made of the same material. In this example, the pair of upper side portions 167 and the upper side portion 169 are connected to the backrest portion 157 by, for example, stitching. In this case,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upper side portion 167 and the upper portion 169 and the back portion 157 are formed by the sewing lines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U-shap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upport element 41 is pivotable relative to the back support element 60. The upper portion 169 swings with respect to the backrest portion 157 as a swinging axis of the linear connection portion formed by the sewing line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upper support element 41 relative to the backrest support element 60 do.

한편, 도 1 및 도 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방 지지 요소(45)는 리클라이닝 동작에 상관없이 등받이부 지지 요소(60)에 의하여 구획 형성되는 면에 대해서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리클라이닝 동작에 상관없이 측방 지지 요소(45)에 지지되는 상방 측면부(167)는, 등받이부(157)에 기대는 유유아의 측방에 기립되어 있다. 상방 측면부(167)는 유유아의 머리부의 측방에 위치하게 되는 상방에 있어서 넓은 폭을 갖고 있다. 한편, 앉음면부(156)에 접근하는 하방에 있어서 좁은 폭을 갖고 있어, 도 29 및 도 30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앉음면부(156)와 등받이부(157)의 접근을 저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1 and 2, the side support element 45 is held upright against the surface defined by the back support element 60 irrespective of the recline operation. Thus, the upper side surface portion 167, which is supported by the side support element 45 regardless of the reclining operation, stands on the side of the infant child resting on the backrest portion 157. The upper side portion 167 has a wide width on the upper side which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head portion of the infant.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9 and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pproach of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and the backrest portion 157, .

앉음면부(156), 등받이부(157),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앉음면부(156), 등받이부(157),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는 쿠션성을 가진 직물재를 이용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쿠션성을 가진 스펀지 등의 재료를 2개의 천으로 사이에 끼워넣어서 이루어지는 직물재나, 쿠션성을 가진 천 그 자체로 이루어지는 직물재를 이용해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앉음면부(156), 등받이부(157),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에 이용되는 직물재가 보강판 등을 포함해서 보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시트(150)를 세정하는 것을 고려하면 시트(150)는 유모차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150)의 유모차 본체(11)에의 고정은 시트(150)의 각 위치에 부착된 버튼 등의 공지의 연결구를 이용해서 실현될 수 있다.The seat portion 156, the backrest portion 157, the upper side portion 167 and the upper portion 169 can directly contact the infant feeding the baby carriage 10. Therefore, the seat surface portion 156, the backrest portion 157, the upper side surface portion 167, and the upper portion 169 are made of a fabric material having cushioning property.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a sponge having cushioning property A cloth material formed by sandwiched between two cloths, or a cloth material made of a cloth having cushioning property may be used. The fabric used for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the backrest portion 157, the upper side surface portion 167, and the upper portion 169 may be reinforced including a reinforcing plate or the like. Further, in consideration of cleaning the seat 15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 150 can be detachably fix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The fixing of the seat 150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can be realized by using a known connecting port such as a button attached to each position of the seat 150. [

다음으로, 좌우의 측면부(160)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도 28∼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면부(160)는, 앉음면부(156)에 접속된 측면 본체부(161)와, 적어도 그 일부분이 대응하는 측의 상방 측면부(167)의 이면(裏面)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또한 측면 본체부(161)와 등받이부(157) 및 상방 측면부(167) 중 적어도 한쪽에 접속된 측면 연결부(165)를 갖고 있다. 외관면을 고려하면 리클라이닝 상태에 상관없이, 즉 도 2 및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157)가 앉음면부(156)에 대하여 가장 젖혀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측면 본체부(161)의 후방측의 연부가 상방 측면부(167)의 이면에 대면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 환언하면 측면 연결부(165)가 상방 측면부(167) 및/또는 등받이부(157)의 이면측에 위치해서, 유유아에 대면하는 측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에 대면하는 표면의 반대측의 면을 「이면」이라 부른다.Next,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1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28 to 30, each of the side portions 160 includes a side surface body portion 161 connected to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and a rear surface of the upper side surface portion 167 on at least a portion thereof And has a side connecting portion 165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side body portion 161 and the backrest portion 157 and the upper side surface portion 167. [ The rear portion 157 of the side surface main body portion 161 can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eat surface portion 156 even when the back surface portion 157 is in the most inclined state with respect to the sitting surface portion 156, The side connecting portion 165 is located on the back side of the upper side surface portion 167 and / or the backrest portion 157, and the side connecting portion 165 is located on the back side of the upper side surface portion 167, As shown in Fig. Her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facing the infant riding on the baby carriage 10 is referred to as &quot; back side &quot;.

도시된 예에서는, 좌측의 측면부(160)의 측면 연결부(165)는 등받이부(157)의 좌측의 측연부에 접속되고, 우측의 측면부(160)의 측면 연결부(165)는, 등받이부(157)의 우측의 측연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좌측의 측면부(160)의 측면 연결부(165)가 등받이부(157)와 좌측의 상방 측면부(167)의 접속 개소에 이면측으로부터 접속되고, 우측의 측면부(160)의 측면 연결부(165)가 등받이부(157)와 우측의 상방 측면부(167)의 접속 개소에 이면측으로부터 접속되어 있다. 각 측면부(160)의 측면 연결부(165)는 등받이부(157)의 대응하는 측의 측연부 및 대응하는 측의 상방 측면부(167)의 양쪽과 겹쳐서 봉착(縫着)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좌측의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는 앉음면부(156)의 좌측의 측연부에 접속되며, 또한 등받이부(157)의 하방 부분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연부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는 앉음면부(156)의 우측의 측연부에 접속되며, 또한 등받이부(157)의 하방 부분에 있어서의 우측의 측연부에 접속되어 있다. 각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는 앉음면부(156) 및 등받이부(157)의 대응하는 측의 측연부와 겹쳐서 봉착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ide connecting portion 165 of the left side portion 160 is connected to the left side edge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 157, and the side connecting portion 165 of the right side portion 160 is connected to the backrest portion 157 The right side edge portion of FIG. The side connection portion 165 of the left side portion 16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ack portion 157 and the left upper side portion 167 from the back side, The connecting portion 165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backrest portion 157 and the upper side portion 167 on the right side from the back side. The side connection portions 165 of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160 may be overlapped and sewed on both side edges of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backrest portion 157 and the upper side portion 167 of the corresponding sid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ide body portion 161 of the left side portion 160 is connected to the side edge portion on the left side of the seat surface portion 156, and the left side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edge. Likewise, the side body portion 161 of the right side portion 160 is connected to the side edge portion on the right side of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right side edge por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 157 . The side surface body portion 161 of each side surface portion 160 may be overlapped with the side edge portion on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and the backrest portion 157.

도시된 예에 있어서, 각 측면부(160)는, 그 측면 본체부(161) 및 측면 연결부(165)에 있어서, 앉음면부(156) 및 등받이부(157)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각 상방 측면부(167)와 등받이부(157)의 접속 개소의 하방단의 위치가, 측면부(160)의 등받이부(157)에의 접속연(接續緣) 중 측면 본체부(161)와 측면 연결부(165)의 경계로 되는 위치와 일치해 있다.Each of the side portions 160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and the backrest portion 157 in the side body portion 161 and the side connection portion 165. [ Particularly,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each upper side portion 167 and the backrest portion 157 is the same as the position of the lower sid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ide main body portion 161 and the side connection portion 165. [0086] As shown in Fig.

또한, 측면부(160)가, 폭 방향 안쪽으로 쓰러지는 것이나, 폭 방향 바깥쪽으로 변형되어 폭 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측면부(160)의 측면 연결부(165)가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보다도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측면부(160)의 측면 연결부(165)를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보다도 변형하기 쉬운 천을 이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측면 본체부(161)를 전술한 앉음면부(156), 등받이부(157),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와 마찬가지로 쿠션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하고, 측면 연결부(165)를 단순한 천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The side connection portion 165 of the side portion 160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portion 160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side portion 160 from collaps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or being deform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spreading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ore deformable than the main body portion 161. As an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connecting portion 165 of the side portion 160 is formed by using a cloth that is more deformable than the side body portion 161 of the side surface portion 160. Concretely, the side body portion 161 is made of a cushioning material similar to the above-mentioned sitting face portion 156, the backrest portion 157, the upper side portion 167 and the upper portion 169, and the side connecting portion 165 ) May be formed of a simple cloth.

측면 본체부(161)는 앉음면부(156)로부터 세워진 자세로 유지되며,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에 측방으로부터 대면한다. 이 점에서, 유유아에 접촉할 수 있는 측면 본체부(161)가 쿠션성을 가진 재료를 이용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측면 본체부(161)가, 쿠션성을 가진 스펀지 등의 재료를 2개의 천으로 사이에 끼워 넣어서 이루어지는 직물재 등, 자립성을 가진 직물재를 이용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body portion 161 is held in a standing posture from the sitting face portion 156 and confronts the infant baby riding on the baby carriage 10 from the side. In this regard,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surface body portion 161 that can contact the baby food is formed using a material having cushioning property.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surface body portion 161 is made of a self-supporting textile material such as a fabric material formed by sandwiching a material such as a sponge having cushioning property between two cloths.

또한, 도 28∼도 30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에는 제 1 접힘 주름(162a) 및 제 2 접힘 주름(16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8∼도 30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힘 주름(162a, 162b)은, 앉음면부(156)와 등받이부(157)의 요동 축선이 되는 앉음면부(156)와 등받이부(157)의 접속 개소의 측단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선의 경로를 대체로 따르도록 해서 연장되어 있다. 측면 본체부(161)는, 2개의 접힘 주름(162a, 162b)에 의하여, 앉음면부(156)와 접속된 제 1 부분(161a)과, 측면 연결부(165)와 접속된 제 3 부분(161c)과, 제 1 부분(161a)과 제 3 부분(161c) 사이에 배치된 제 2 부분(161b)으로 구획 형성된다.28 to 30, a first folding corrugation 162a and a second folding corrugation 162b are formed in the side body portion 161 of each side portion 160. As shown in FIG. The folding corrugations 162a and 162b are formed by the seating face portion 156 and the connection of the backrest portion 157 which is the swing axis of the backrest portion 157 and the backrest portion 157 Extending generally along the path of radiation centered on the side of the point. The side body portion 161 includes a first portion 161a connected to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by the two folding corrugations 162a and 162b and a third portion 161c connected to the side connection portion 165, And a second portion 161b disposed between the first portion 161a and the third portion 161c.

접힘 주름(162a, 162b)은 측면 본체부(161)의 다른 개소보다도 변형하기 쉽게 이루어진 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접힘 주름(162a, 162b)은 쿠션성을 가진 직물재에 형성된 봉제 라인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봉제 라인 이외의 형태로서, 선 형상으로 나열하여 형성된 관통 구멍이나 열 압축된 라인에 의하여 접힘 주름(162a, 162b)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folding corrugations 162a and 162b are regions extending in a linear shape that are more easily deformed than other portions of the side surface body portion 161. [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old lines 162a and 162b are formed as a sewing line formed on a fabric material having cushioning property. Further, as the form other than the sewing line, the folding lines 162a and 162b may be formed by through-holes or thermally compressed lines arranged in line.

도 28∼도 30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측면부(160)의 이면측에는 보강 부재(163a, 163b, 163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보강 부재(163a, 163b, 163c)는 측면 본체부(161)보다도 변형하기 어려운 재료,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수지에 의하여 형성된 판상의 부재이며, 각 측면 본체부(161)의 제 1∼제 3 부분(161a, 161b, 161c)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Reinforcing members 163a, 163b, and 163c are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each side portion 160, as best shown in Figs. The reinforcing members 163a, 163b and 163c are plate-like member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which is less deformable than the side surface body portion 161. The reinforcing members 163a, Three portions 161a, 161b, and 161c, respectively.

부가해서,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150)는,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의 등받이부(157)로부터 이간한 외연부(外緣部)로부터 연장된 커버(170)를 더 갖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170)는 등받이부(157), 상방 측면부(167) 및 상방부(169)의 이면의 일부를 덮어 감추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방 측면부(167)의 이면에 대면해서 배치된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 및 측면 연결부(165)의 일부분이, 커버(170)에 의하여 덮인다. 또한, 커버(170)의 도시는 도 29 및 도 30에서 생략되어 있다.28, the seat 150 includes a cover 170 extending from the outer edge portion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portion 167 and the backrest portion 157 of the upper portion 169, .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ver 170 covers a part of the back surface of the back portion 157, the upper side portion 167, and the upper portion 169 to cover.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body portion 161 and the side connection portion 165 of the side surface portion 160 disposed to face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side surface portion 167 is covered by the cover 170. [ Further, the illustration of the cover 170 is omitted in Figs. 29 and 30.

그런데,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150)의 측면부(160)에는 시트 지지 유닛(4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구(153)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구(153)는 측면 본체부(161) 중 제 3 부분(161c)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 있어서, 연결구(153)는 제 3 부분(161c)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앉음면부(156) 및 등받이부(157)로부터 이간하는 측이 되는 제 3 부분(161c)의 연부(상연부)의 근방이며 측면 연결부(165)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시트 지지 유닛(40) 중 리클라이닝 동작 시에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상대 요동하는 부재에, 이 연결구(153)와 걸어 맞춤 가능한 연결구(46)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150)와 시트 지지 유닛(40)은 연결구(153, 46)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구(153, 46)는 버튼, 버클, 후크와 루프, 면파스너로 구성될 수 있다.28, the side surface portion 160 of the seat 15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 153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at support unit 40. As shown in FIG. The connector 153 is provided in the third portion 161c of the side body portion 161. [ Particularly,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onnector 153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third portion 161c, and the edge portion of the third portion 161c, which is the side separating from the seat surface portion 156 and the back portion 157, (Upstanding portion) and near the side connecting portion 165. [0064] On the other hand, in the seat supporting unit 40, a connecting port 46, which can be engaged with the connecting hole 153, is provided on a member that rocks relative to the body frame 15 during a reclining operation. The seat 150 and the seat support unit 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connectors 153 and 46. [ The pair of connectors 153 and 46 may be composed of a button, a buckle, a hook and a loop, and a surface fastener.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는, 시트 지지 유닛(40)의 측방 지지 요소(45)에 연결구(46)가 부착되어 있다. 측방 지지 요소(45) 중 연결구(46)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는,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측방 지지 요소(45)의 본체 프레임(15)에의 요동 축선(sc1)이 되는 전하방 연결부(45a)로부터 어긋난 위치이며 요동 축선(sc1)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방 지지 요소(45) 중 연결구(46)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는,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측방 지지 요소(45)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상방으로 요동한 상태에서, 당해 측방 지지 요소(45)의 본체 프레임(15)에 대한 요동 축선(sc1)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측방 지지 요소(45)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후방으로 요동한 상태에서, 측방 지지 요소(45)의 본체 프레임(15)에 대한 요동 축선(sc1)보다도 후방에 위치해 있다. 또한, 측방 지지 요소(45) 중 연결구(46)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는,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측방 지지 요소(45)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상방으로 요동한 상태에 있어서, 측방 지지 요소(45)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후방으로 요동한 상태보다도, 전방이며 상방에 위치한다.As shown in Figs. 8, 9, 10 and 11,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connecting port 46 is attached to the side support element 45 of the sheet supporting unit 40. Fig. The portion of the side support element 45 where the connection port 46 is provided is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baby carriage 10 where the side surface support element 45 is located,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displac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45a and near the swing axis line sc1. 8 and 9, a portion of the side support element 45 on which the connector 46 is provided is a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10, The side support element 45 is located above the swing axis line sc1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rame 15 of the side support element 45 in a state of swinging upward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15, Is located behind the swing axis (sc1) of the side support element (45)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rame (15) in a state of swinging backward. The portion of the side support element 45 where the connection port 46 is provided is a state in which the side support element 45 is swung upwar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rame 15 in a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10 So that the side support element 45 is located forward and upward than the state in which the side support element 45 swings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rame 15. [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15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sheet 150 in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트(150)의 측면부(160)와 시트 지지 유닛(40)이 연결구(46, 153)를 통하여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 혹은,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1)의 리클라이닝 동작 등에 수반하여 폭 방향 안쪽으로 쓰러지는 것 혹은 폭 방향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면부(160)가 내측으로 쓰러져서 측면부(160)가 유모차 본체(11)로부터 이간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150)와 유모차 본체(11) 사이에 의복 등이 끼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내측으로 쓰러진 측면부(160)는, 유유아를 유모차(10)에 승차시킬 때에 유유아가 앉음면부(156)에 앉는 것을 저해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측면부(160)의 내측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유유아를 유모차(10)에 적절히 승차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측면부(160)의 내측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것은 외관상의 면에서도 바람직하다. 부가해서, 측면부(160)가 폭 방향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유모차 본체(11)의 절첩 동작 시 및 전개 동작 시에 측면부(160)가 유모차 본체(11)에 간섭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0)의 절첩 조작 및 전개 조작을 안정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portion 160 of the seat 150 and the seat supporting unit 40 are detachably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s 46 and 153. [ Therefore, as shown in Figs. 1 and 2, or 29 and 3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collaps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or widening in the width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clin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11 and the like.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ide portion 160 from falling from the inside of the baby carriage body 11 due to collap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garment or the like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seat 150 and the baby carriage body 11. In addition, the inwardly folded side portion 160 also prevents the infant child from sitting on the sitting face portion 156 when the infant is riding the baby carriage 10. Therefore, by preventing the side portion 160 from falling to the inside, it is possible to stably and easily raise the infant baby to the baby carriage 10 properly.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side portion 160 from falling to the inside. In addition, since the side portion 160 is effectively prevented from sprea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ide portion 160 from interfering with the baby carriage body 11 during the folding operation and the deployment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11 . As a result, the folding operation and the expan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stably performed.

또한 동시에, 연결구(46)는, 시트 지지 유닛(40) 중의 리클라이닝 동작 시에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상대 요동하는 부재, 구체적으로는 측방 지지 요소(45)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150)의 측면부(160) 중의, 연결구(46, 153)를 통하여 측방 지지 요소(45)와 접속되어 있는 부분 및 적어도 그 근방이 되는 부분이, 유모차(10)의 시트 지지 유닛(40)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수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구(46, 153)의 부착 위치를 적절히 설정해 두는 것에 의해, 리클라이닝 동작에 의해서 이동하는 등받이부(157)에 대하여, 측면부(160)를 항상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시트의 측면부의 폭 방향 안쪽으로의 쓰러짐이나 폭 방향 바깥쪽으로의 벌어짐을 충분히 억제하면서, 아울러 등받이부에 대하여 시트의 측면부가 적절히 위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t the same time, the connecting port 46 is provided on a member that relatively rocks relative to the main frame 15 during recline operation in the seat supporting unit 40, specifically, on the side supporting member 45. The portion of the side surface portion 160 of the seat 150 that is connected to the side support element 45 through the connection ports 46 and 153 and at least the portion adjacent to the side support element 45 are connected to the seat support unit of the baby carriage 10 40 can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eclining operation. Therefore,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attaching positions of the connectors 46 and 153, the side portion 160 can always be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ck portion 157 that is moved by the reclining opera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adequately position the side portion of the seat with respect to the backrest portion while sufficiently suppressing the fall of the side portion of the seat toward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pening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측방 지지 요소(45) 중 연결구(46)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는,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측방 지지 요소(45)의 본체 프레임(15)에의 요동 축선(sc1)이 되는 전하방 연결부(45a)로부터 어긋난 위치로서 요동 축선(sc1)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등받이부(157)에 대하여 측면부(160)를 적절히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등받이부(157)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수반하여 측면부(160)의 연결구(153)가 부착된 부위가 크게 이동해 버려, 측면부(160) 중 연결구(153)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 이외의 부분, 예를 들면, 측면부(160) 중 앉음면부(156)에 접속되어 있는 부분과 연결구(153)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 사이의 부분,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 본체부(161)의 제 2 부분(161b)이 폭 방향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쓰러져 버리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portion of the side support element 45 where the connector 46 is provided is a portion of the side support element 45 which is pivoted to the main body frame 15 in the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10 Is disposed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charge chamber connecting portion 45a serving as the axis line sc1 and near the swing axis line sc1. Accordingly, the side portion 160 can be appropriate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backrest portion 157, and the portion to which the connector 153 of the side portion 160 is attached is moved largely along with the reclining operation of the backrest portion 157, A portion between the portion of the side portion 160 oth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or 153 is provided such as the portion of the side portion 160 connected to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and the portion of the side surface portion 160 where the connector 153 is provided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portion 161b of the side surface body portion 161 can be more stably prevented from falling inward or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방 지지 요소(45) 중 연결구(46)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는,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측방 지지 요소(45)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상방으로 요동한 상태에서, 당해 측방 지지 요소(45)의 본체 프레임(15)에 대한 요동 축선(sc1)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측방 지지 요소(45)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후방으로 요동한 상태에서, 측방 지지 요소(45)의 본체 프레임(15)에 대한 요동 축선(sc1)보다도 후방에 위치해 있다. 또한, 측방 지지 요소(45) 중 연결구(46)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는, 유모차(10)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측방 지지 요소(45)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상방으로 요동한 상태에 있어서, 측방 지지 요소(45)가 본체 프레임(15)에 대하여 후방으로 요동한 상태보다도 전방이며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등받이부(157)가 앉음면부(156)에 대하여 세워지고 유유아가 시트(150) 상에 착좌(着座)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측면부(160)는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해서 상방으로 끌어올려진다. 이것에 의해, 측면부(160)에 의하여 유모차(10)에 착좌한 유유아를 측방으로부터 적절히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등받이부(157)가 앉음면부(156)에 대하여 젖혀지고 유유아가 시트(150) 상에 누워 있는 상태에 있어서, 측면부(160)는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측면부(160) 및 상방 측면부(167)에 의하여 유모차(10)에 누운 유유아를 측방으로부터 적절히 보호할 수 있다.8 and 9, in the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10, the portion of the side support element 45 where the connector 46 is provided is the side support element 45 Is positioned above the swing axis line sc1 of the side support element 45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rame 15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support elements 45 are pivo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rame 15, Is located behind the swing axis (sc1) of the side support element (45)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rame (15) in a state of swinging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rame (15). The portion of the side support element 45 where the connection port 46 is provided is a state in which the side support element 45 is swung upwar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rame 15 in a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10 So that the side support elements 45 are located forward and upward than the state in which the side support elements 45 swing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rame 15. [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portion 157 is raised with respect to the seat surface portion 156 and the baby seat is seated on the seat 150, the side portion 160 moves relatively forward and is pulled upward Loses. As a result, the infant child sitting on the baby carriage 10 can be appropriately protected from the side by the side face portion 160. 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portion 157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and the infant is lying on the seat 150, the side portion 160 moves relatively rearward. As a result, the infant baby lying on the baby carriage 10 can be adequately protected from the side by the side face portion 160 and the upper side face portion 167.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모차 본체(11)에 장착되는 시트(150)의 측벽으로 되는 부분이, 앉음면부(156)의 측으로부터 연장된 측면부(160)와, 등받이부(157)로부터 연장된 상방 측면부(167)로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 혹은,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1)의 리클라이닝 동작 등에 수반하여 등받이부(157)가 젖혀진 상태로부터 세워졌을 때에는, 측면부(160)와 상방 측면부(167)가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측면부(160)가 예를 들면 폭 방향 안쪽으로 쓰러지는 것, 혹은 폭 방향으로의 어떠한 변형을 초래해서 폭 방향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wall of the seat 150 mounted on the baby carriage body 11 includes the side portion 160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And the upper side portion 167 is divided into two upper side portions 167. Therefore, as shown in Figs. 1 and 2, or 29 and 30, when the backrest portion 157 is raised from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portion 157 is lifted with the reclin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11 or the like, The upper side portion 167 can relatively mo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ide surface portion 160 from collaps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or widening to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due to some deformation in the width direction, for example.

또한, 측면부(160)는, 상방 측면부(167)에 이면측으로부터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 측면 연결부(165)에 의하여 등받이부(157)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150)의 취급이 용이해진다.The side surface portion 160 is connected to the backrest portion 157 by a side connection portion 165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upper side surface portion 167 from the back side. Therefore, the handling of the sheet 150 is facilitat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면 연결부(165)는 측면 본체부(161)의 재료보다도 변형하기 쉬운 재료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트(150)에 의하면, 유모차 본체(11)의 리클라이닝 동작이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시트(150)의 등받이부(157)가 앉음면부(156)에 대한 경사 각도를 변화시킬 때에, 등받이부(157) 및 앉음면부(156)를 연결하는 측면부(160)는, 상방 측면부(167)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측면 연결부(165)에 있어서 변형하기 쉬워져, 측면 본체부(161)에서의 변형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앉음면부(156)와 등받이부(157)가 접근해서 상방 측면부(167)와 측면부(160)가 상대 이동할 때에,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가 폭 방향 안쪽으로 쓰러지는 것이나 폭 방향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connection portion 165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more easily deformed than the material of the side surface main portion 161. [ When the backrest portion 157 of the seat 150 changes the tilt angle with respect to the sitting surface portion 156 in accordance with the reclining operation or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11, The side surface portion 160 connecting the portion 157 and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is easily deformed at the side connection portion 165 positioned on the back side of the upper side surface portion 167, Deformation is suppressed. Thereby, when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and the backrest portion 157 approach and the upper side surface portion 167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160 move relative to each other, the side surface body portion 161 of the side surface portion 160 falls down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widening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면부(160)는, 앉음면부(156) 및 등받이부(157)의 접속 개소의 측방단(側方端)이 되는 위치를 통과해서 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접속 개소를 통하여, 앉음면부(156) 및 등받이부(157)와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허리 부분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있어서, 시트(150)에 구멍 또는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면에서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ide surface portion 160 has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linearly through a position that becomes the sid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and the backrest portion 157 The seat surface portion 156 and the backrest portion 15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hole or a gap from being formed in the seat 150 at a position near the waist portion of the infant riding on the baby carriage 10, which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afety.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면 연결부(165)와 등받이부(157)의 접속 개소, 및 측면 연결부(165)와 측면 본체부(161)의 경계가, 대체로 앉음면부(156)와 등받이부(157)의 요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선의 한 궤적을 따라서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유모차 본체(11)의 리클라이닝 동작이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시트(150)의 등받이부(157)가 앉음면부(156)에 대한 경사 각도를 변화시킬 때에, 등받이부(157) 및 앉음면부(156)를 연결하는 측면부(160)는, 상방 측면부(167)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측면 연결부(165)에 있어서 변형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가 폭 방향 안쪽으로 쓰러지는 것이나 폭 방향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side connection portion 165 and the backrest portion 157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side connection portion 165 and the side surface body portion 161 are substantially equal to each other between the seating surface portion 156 and the backrest portion 157. [ And extends along one locus of the radiation centering on the swing axis of the arm 157. When the backrest portion 157 of the seat 150 changes the tilt angle with respect to the sitting surface portion 156 in accordance with the reclining operation or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11, the backrest portion 157 and the sitting- The side surface portion 160 connecting the upper side surface portion 156 is easily deformed at the side surface connecting portion 165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upper side surface portion 167.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side surface body portion 161 of the side surface portion 160 from collaps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or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면부(160)의 측면 본체부(161)에 제 1 접힘 주름(162a) 및 제 2 접힘 주름(16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접힘 주름(162a, 162b)은, 대체로 앉음면부(156)와 등받이부(157)의 요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선 형상으로 연장되게 된다. 예를 들면 유모차(10)의 절첩 시와 같이, 등받이부(157)와 앉음면부(156)가 매우 접근하는 바와 같은 경우, 측면부(160)는, 측면 연결부(165)에 있어서 변형할 뿐만 아니라, 제 1 접힘 주름(162a) 및 제 2 접힘 주름(162b)에 있어서 절곡되어, 제 1 부분(161a), 제 2 부분(161b) 및 제 3 부분(161c)이 겹치도록 해서 측면 본체부(161)가 절첩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0)의 절첩 시에 있어서의, 측면부(160)의 폭 방향 안쪽으로의 쓰러짐 및 폭 방향 바깥쪽으로의 벌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folding corrugation 162a and the second folding corrugation 162b are formed in the side body portion 161 of the side portion 160. [ The folding corrugations 162a and 162b are extended in the form of a radiation about the swing axis of the sitting face portion 156 and the backrest portion 157. [ When the backrest part 157 and the seating surface part 156 approach very close to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baby carriage 10 is folded, the side part 160 not only deforms at the side connecting part 165, The first folding corrugation 162a and the second folding corrugation 162b are ben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161a and 161c overlap with each other to form the side surface body portion 161, Can be folded. Thereb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ideward portion 160 from fall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widen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hen folding the baby carriage 10.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면 본체부(161)의 제 1∼제 3 부분(161a, 161b, 161c)의 각각에 보강 부재(163a, 163b, 163c)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163a, 163b, 163c)에 의해서도, 등받이부(157)의 리클라이닝 시나 유모차(10)의 절첩 시에 있어서의, 측면부(160)의 폭 방향 안쪽으로의 쓰러짐 및 폭 방향 바깥쪽으로의 벌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 3 부분(161c)에 설치된 보강 부재(163c)는, 연결구(153)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측방 지지 요소(45)의 동작에 수반하여 측면부(160)가 동작했다고 해도, 측방 지지 요소(45)와 측면부(160)를 연결하는 연결구(46, 153)의 근방에 위치하는 보강 부재(163c)에 의하여, 측면부(160)의 폭 방향 안쪽으로의 쓰러짐 및 폭 방향 바깥쪽으로의 벌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inforcing members 163a, 163b, and 163c are provided on the first to third portions 161a, 161b, and 161c of the side surface body portion 161, respectively. The reinforcing members 163a, 163b and 163c can also prevent the side portion 160 from fall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widen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during reclining of the backrest portion 157 or folding the baby carriage 1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Particularly, the reinforcing member 163c provided on the third portion 161c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connector 153. [ Therefore, even if the side portion 160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ide support element 45, the reinforcing member (not shown)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connection ports 46, 153 connecting the side support element 45 and the side portion 160 163c can effectively prevent the side portion 160 from fall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바구니(90)》"Basket (90)"

다음으로, 주로 도 5, 도 7,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서, 바구니(90)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구니(90)는 유모차 본체(11)에 부착되며 시트 지지 유닛(40)의 하방으로 되는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구니(90)는, 저면(91)과, 전면(93)과, 후면(92)과, 전면(93)과 후면(92)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94)을 갖고 있다. 이 중 저면(91)은 바닥 패널(96)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후면(92)은, 바닥 패널(96)의 후방 부분, 도시된 예에서는 후방연(後方緣)에 접속된 후측 패널(97)을 포함하고 있다. 바닥 패널(96) 및 후측 패널(97)은, 각각 직물재로 피복되도록 해서 저면(91) 및 후면(92)에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후측 패널(97)은, 바닥 패널(96)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db)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93) 또는 측면(94)의 전방 부분과 측면(94)의 중간 부분이 유모차 본체(11)에 접속되어 있다. 그 결과, 바구니(90)의 후방 부분이 시트 지지 유닛(40)의 후방으로 노출되어 개구되어 있다.Next, the basket 90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7, 31 and 32. Fig. The basket 90 is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and is supported at a position below the seat support unit 40. 5, the basket 90 includes a bottom surface 91, a front surface 93, a rear surface 92, a pair of side surfaces 94 extending between the front surface 93 and the back surface 92 ). The bottom surface 91 includes a floor panel 96. The rear surface 92 also includes a rear panel 97 connected to a rear portion of the floor panel 96,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rear edge. The bottom panel 96 and the rear panel 97 may be covered by the fabric material and included in the bottom surface 91 and the rear surface 92, respectively. The rear panel 97 is capable of swinging about the axis db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oor panel 96.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93 or the side surface 94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side surface 94 are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1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rear portion of the basket 90 is exposed to the rear of the sheet supporting unit 40 and is opened.

도 31 및 도 32에는 바닥 패널(96) 및 후측 패널(97)이 도시되어 있다. 도 31에 나타난 구체예에서는, 바닥 패널(96)의 상면(바구니(90)의 내측이 되는 면)의 후방 부분과 접속재(98)가 폭 방향을 따른 솔기(seam)(98a)에 의해 서로 접속되며, 또한 후측 패널(97)의 전면(바구니(90)의 내측이 되는 면)의 하방 부분과 접속재(98)가 폭 방향을 따른 솔기(98a)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바닥 패널(96) 및 후측 패널(97)은, 예를 들면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진 자립 가능한 재료를 이용해서 형성되고, 접속재(98)는 예를 들면 천과 같은 유연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바닥 패널(96) 및 후측 패널(97)은 서로 접속되며 또한 서로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31 and 32 show a bottom panel 96 and a rear panel 97. [ 31, the rea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anel 96 (the inner side of the basket 90) and the connection members 9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am 98a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panel 97 (the inner side of the basket 90) and the connecting member 9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am 98a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bottom panel 96 and the rear panel 97 are formed using, for example, a self-supporting material having a certain degree of rigidity, and the connection member 98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such as cloth. Thereby, the bottom panel 96 and the rear panel 9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an swing with respect to each other.

또한, 바닥 패널(96) 및 후측 패널(97)에 부착되며 또한 바닥 패널(96) 및 후측 패널(97) 사이에서 연장되는 압압 부재(99)가 설치되어 있다. 압압 부재(99)는 바구니(90)의 후면(92)이 저면(91)으로부터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압압하고 있다. 도 32에 나타난 구체예에서는, 압압 부재(99)는 예를 들면 고무로 이루어지는 탄성재이며, 신장된 상태에서 한쪽의 단부가 바닥 패널(96)에 부착되며 또한 다른 쪽의 단부가 후측 패널(97)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압압력을 발생시키고 있다.A pressing member 99 attached to the bottom panel 96 and the rear panel 97 and extending between the bottom panel 96 and the rear panel 97 is also provided. The pushing member 99 pushes the rear face 92 of the basket 90 backward from the bottom face 91. 32, the pressing member 99 is an elastic material made of, for example, rubber, and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attached to the floor panel 96,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attached to the rear panel 97 So that the pushing force is generated.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구니(90)에서는, 압압 부재(99)에 의하여, 바구니(90)의 후면(92)이 저면(91)으로부터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압압되어 있다. 따라서, 바구니(90)의 후면(92)이 후방으로 전개되어 있으므로, 화물의 출입을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바구니(90)의 내부를 시인(視認)하기 쉽게 되어 있으므로, 바구니(90)로부터의 화물의 방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물의 방치가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화물의 방치에 기인해서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저해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asket 9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r surface 92 of the basket 90 is pushed backward from the bottom surface 91 by the pressing member 99. Therefore, since the rear surface 92 of the basket 90 is deployed rearwar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entry and exit of the cargo. In addition, since it is easy to visually check the inside of the basket 90, the storage of the cargo from the basket 9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urther, since the storage of the cargo is effectively prevent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from being hindered due to the storage of the cargo.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94)의 상연(上緣)은 측면 보강연(補强緣)(94a)으로서 형성되며, 전면(93)과 후면(92) 사이에서 긴장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바구니(90)의 측면(94)이 긴장되어 내측으로 쓰러지지 않으므로, 화물의 출입을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바구니(90)의 내부를 시인하기 쉽게 되어 있으므로, 바구니(90)로부터의 화물의 방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물의 방치가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화물의 방치에 기인해서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저해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5, the upper edge of the side surface 94 is formed as a side reinforcing ridge 94a, and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tense between the front surface 93 and the rear surface 92 . The lateral side 94 of the basket 90 is taut and does not collapse to the inside, thereby facilitating the entry and exit of the cargo. In addition, since the inside of the basket 90 is easy to see, the storage of the cargo from the basket 9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urther, since the storage of the cargo is effectively prevent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from being hindered due to the storage of the cargo.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모차 본체(11)가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유모차 본체(11)가 절첩되었을 때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바구니(90)의 후면(92)은, 압압 부재(99)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하여, 유모차 본체(11)의 전개 시에 있어서의 상연이 유모차 본체(11)의 전개 시에 있어서의 하연(下緣)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10)를 절첩했을 때, 바구니(90) 내에 수납되어 있던 화물은 후면(92)의 경사에 의하여 바구니(90) 내로부터 자동적으로 나오려고 한다. 이 점에서도, 바구니(90)로부터의 화물의 방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화물의 방치에 기인해서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저해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by carriage body 11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7 is a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body 11 when the baby carriage body 11 is folded back and the rear face 92 of the basket 90 is 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99, The upper edge at the time of deployment can be inclined so as to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lower edge at the time of deployment of the baby carriage body 11. [ When such a baby carriage 10 is folded, the cargo stored in the basket 90 tends to automatically come out of the basket 90 by the inclination of the rear surface 92. Also in this respec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torage of the cargo from the basket 90 and to effectively prevent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from being hindered due to the storage of the cargo.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유모차 본체(11)가 절첩되었을 때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바구니(90)의 저면(91)이, 유모차 본체(11)의 전개 시에 있어서의 후연(後緣)이 유모차 본체(11)의 전개 시에 있어서의 전연(前緣)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10)를 절첩했을 때, 바구니(90) 내에 수납되어 있던 화물은 저면(91)의 경사에 의하여 바구니(90) 내로부터 자동적으로 나오려고 한다. 이 점에서도, 바구니(90)로부터의 화물의 방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화물의 방치에 기인해서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저해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7 is a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body 11 shown in Fig. 7 when the baby carriage body 11 is folded. The bottom surface 91 of the basket 90 is a trailing edge The rear edge can be inclined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front edge of the baby carriage body 11 when the baby carriage body 11 is deployed. When such a baby carriage 10 is folded, the cargo stored in the basket 90 tends to automatically come out of the basket 90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surface 91. Also in this respec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torage of the cargo from the basket 90 and to effectively prevent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from being hindered due to the storage of the cargo.

Claims (8)

차륜과,
전(前)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와,
상기 차륜의 회전 축선과 비평행인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또한 일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회전체에 대면하는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에 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상기 수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로크 부재로서,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그 일측단이 수용부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회전체와 걸어 맞춰져 상기 회전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해서 압압하는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을 받치는 스프링 받침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받침면보다도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 스프링의 측방에 위치하는 스프링측 연장부를 갖는 유모차용의 차륜 유지 유닛.
Wheel,
A rotating body for rotatably supporting a front wheel,
A fixed body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ng body about an axis which is not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wheel and which is extended in one direction and which has an accommodating portion opened at one side in the one direction facing the rotating body;
And a lock member slidably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fixture, wherein one end of the lock member protrudes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in the one direction and engages with the rotator to regulate rotation of the rotator with respect to the fixture A lock member capable of sliding between a lock position and an unlock position for enabling rotation of the rotator with respect to the stationary member,
And a compression spring which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presses the lock member from the other side in the one direction toward one side,
Wherein the lock member includes a spring-receiving surface that supports one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in one direction, and a spring-side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spring-receiving surface to the other side in the one direction, A wheel holding unit for a baby carri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측 연장부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를 가지며, 적어도 세 방향으로부터 상기 압축 스프링을 둘러싸는 차륜 유지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ring side extension portion has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and a connecting wall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and surrounds the compression spring from at least three direc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스프링 받침면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스프링측 연장부와 접속된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와 접속되며 상기 기부보다도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연장된 차륜측 연장부를 갖고,
차륜측 연장부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를 갖는 차륜 유지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 member includes a base portion that forms the spring receiving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spring side extension portion and a wheel side extension portion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and extending to one side in the one direction than the base portion,
The wheel side extending portion has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and a connecting wall portion connecting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측 연장부는,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에, 끝이 가늘어진 선단 테이퍼부를 갖는 차륜 유지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heel side extension portion has a tapered distal end portion at one side end in the one dir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상기 로크 위치에 있는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차륜측 연장부를 수용하는 걸어 맞춤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는,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단에, 끝이 가늘어진 바닥 테이퍼부를 갖는 차륜 유지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otating body is provided with an engagement concav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wheel side extension portion of the lock member in the lock position,
Wherein the engaging recess has a bottom tapered portion at one end on one side in the one direction.
전각(前脚) 및 후각(後脚)을 갖는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과,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륜 유지 유닛으로서,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고정체가 부착된 차륜 유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의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한 요동에 따라서,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위치로 혹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환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유모차.
A stroller body having an front leg and a rear leg,
A handle coupled to the baby carriage body so as to be swingable,
The wheel holding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further comprising a wheel holding unit to which the fixed body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full-
And a switching mechanism is provided for moving the lock member from the unlocking position to the lock position or from the lock position to the unlocking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relative to the baby carriage bod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핸들의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한 요동에 따라 동작하는 전환 부재와, 상기 전환 부재와 상기 로크 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환 부재의 동작을 상기 로크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witching mechanism includes a switching member which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and a transmission means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switching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and transmits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mber to the locking member stroll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을 관통해서 연장되는 와이어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재의 한쪽의 단부가, 상기 스프링 받침면을 형성하는 상기 로크 부재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mpression spring is a compression coil spring,
Wherein the transmission means includes a wire material extending through the compression coil spring,
And one end portion of the wire member is attached to a base portion of the lock member forming the spring receiving surface.
KR1020140083183A 2013-07-04 2014-07-03 Wheel holding unit and stroller KR10224659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41051 2013-07-04
JP2013141051A JP6257938B2 (en) 2013-07-04 2013-07-04 baby carri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468A true KR20150005468A (en) 2015-01-14
KR102246595B1 KR102246595B1 (en) 2021-04-30

Family

ID=5225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183A KR102246595B1 (en) 2013-07-04 2014-07-03 Wheel holding unit and stroll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57938B2 (en)
KR (1) KR102246595B1 (en)
CN (1) CN104276197B (en)
TW (1) TWI611963B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062A (en) 2016-04-28 2019-02-26 닛뽕 케미파 가부시키가이샤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KR20200131230A (en) 2018-03-14 2020-11-23 닛뽕 케미파 가부시키가이샤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seawater (咳嗽)
KR20230041005A (en) 2020-08-03 2023-03-23 닛뽕 케미파 가부시키가이샤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or treating symptoms accompanying an allergic reaction
KR20230041650A (en) 2020-03-30 2023-03-24 유니베르시타' 디 피사 Medica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4796B2 (en) * 2015-03-31 2018-12-26 コンビ株式会社 Pram seats, prams and seat restraints
JP6639168B2 (en) * 2015-09-18 2020-02-05 コンビ株式会社 baby carriage
JP7009086B2 (en) * 2017-06-01 2022-01-25 ピジョン株式会社 stroll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5559U (en) * 1983-12-26 1985-07-18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Baby carriage push rod locking mechanism
US5125676A (en) * 1991-07-03 1992-06-30 Teng Jerry M S Controlling structure for a handle and castors of a stroller
JP2008254693A (en) * 2007-04-09 2008-10-23 Combi Corp Baby carria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3564Y1 (en) * 1969-02-27 1973-04-13
TWI409186B (en) * 2007-01-16 2013-09-21 Combi Corp Baby carriage
JP5101744B2 (en) * 2012-04-23 2012-12-19 コンビ株式会社 strol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5559U (en) * 1983-12-26 1985-07-18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Baby carriage push rod locking mechanism
US5125676A (en) * 1991-07-03 1992-06-30 Teng Jerry M S Controlling structure for a handle and castors of a stroller
JP2008254693A (en) * 2007-04-09 2008-10-23 Combi Corp Baby carriag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062A (en) 2016-04-28 2019-02-26 닛뽕 케미파 가부시키가이샤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KR20200131230A (en) 2018-03-14 2020-11-23 닛뽕 케미파 가부시키가이샤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seawater (咳嗽)
KR20230041650A (en) 2020-03-30 2023-03-24 유니베르시타' 디 피사 Medica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KR20230041005A (en) 2020-08-03 2023-03-23 닛뽕 케미파 가부시키가이샤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or treating symptoms accompanying an allergic rea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76197B (en) 2018-11-16
TWI611963B (en) 2018-01-21
CN104276197A (en) 2015-01-14
JP6257938B2 (en) 2018-01-10
TW201507905A (en) 2015-03-01
KR102246595B1 (en) 2021-04-30
JP2015013567A (en)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5468A (en) Wheel holding unit and stroller
KR20150005467A (en) Stroller
KR101790543B1 (en) Foldable baby carriage
KR102037861B1 (en) Baby stroller and seat unit
US20170251828A1 (en) Folding elevated sleeper
JP4299016B2 (en) Folding baby carriage
WO2018051807A1 (en) Stroller
KR20150005466A (en) Stroller
KR20150005469A (en) Wheel holding unit and stroller
WO2019054429A1 (en) Baby carriage
CN103419828B (en) Seat cushion and pram
JP6169426B2 (en) Baby carriage and seat support unit
CN113276926B (en) Baby carriage
TWI755566B (en) Stroller and holding member
JP6976603B2 (en) baby carriage
WO2022201332A1 (en) Baby carriage
JP6758905B2 (en) baby carri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