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362A - 가스 배출이 용이한 용접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Google Patents

가스 배출이 용이한 용접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362A
KR20150005362A KR1020130079233A KR20130079233A KR20150005362A KR 20150005362 A KR20150005362 A KR 20150005362A KR 1020130079233 A KR1020130079233 A KR 1020130079233A KR 20130079233 A KR20130079233 A KR 20130079233A KR 20150005362 A KR20150005362 A KR 20150005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ed
welding
members
structure according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정상윤
김정모
김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079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5362A/ko
Publication of KR2015000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배출이 용이한 용접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융점이 서로 다른 둘 이상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피용접 부재들이 상호 용접된 용접 부위를 포함하는 용접 구조물로서, 상기 용접 부위에는 용접 과정에서 피용접 부재들 중의 하나 이상에서 발생한 가스가 용접 부위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벤트(vent)가 형성되어 있는 용접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 배출이 용이한 용접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elded Construction For Easy Gas Emission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스 배출이 용이한 용접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융점이 서로 다른 둘 이상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피용접 부재들이 상호 용접된 용접 부위를 포함하는 용접 구조물로서, 상기 용접 부위에는 용접 과정에서 피용접 부재들 중의 하나 이상에서 발생한 가스가 용접 부위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벤트(vent)가 형성되어 있는 용접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차전지는 그것이 사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또는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모듈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과 같은 소형 디바이스는 전지셀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한 반면에,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DVD(portable DVD),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중형 또는 대형 디바이스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전지모듈의 사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전지모듈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전기적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단위전지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버스 바, 와이어, 금속 플레이트 등의 접속부재를 사용하여 용접하는 경우, 서로 다른 금속 소재들로 이루어진 피용접 부재들 간에는 그것들의 융점(Melting Point; M.P)의 차이로 인해 더 낮은 융점을 갖는 금속소재가 먼저 융점에 도달하게 되고, 융점이 더 낮은 금속 소재로부터 가스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용접 부위가 터지거나 부풀어올라 용접 불량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는 구리(Cu)소재의 버스 바와 알루미늄(Al)소재의 양극 단자가 레이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종래의 용접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리소재의 버스 바(100)와 알루미늄 소재의 양극단자들(110)의 레이저 용접은, 알루미늄 소재의 양극단자들(110)을 구리 소재의 버스 바(100)상에 적층한 상태로 제 1 용접 지그(130)에 올리고 용접 부위의 양측 단부를 가압하는 제 2 용접 지그(140)로 고정한 후 레이저(150)를 조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용접 지그(140)은 한 쌍의 제 2 용접 지그들(141,142)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용접 시 발생한 알루미늄 가스(120)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구리소재의 버스 바(100)와 알루미늄 소재의 양극단자들(110) 사이의 공간에 포획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가스로 인해 종국에는 용접 부위가 부풀어 오르거나 터지는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서로 다른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피용접 부재들의 용접 시 융점이 낮은 금속 소재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용접 구조물을 설계하는 경우, 용접 부위의 부풀어 오름 또는 터짐 현상을 방지하여 공정성 및 전지모듈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구조물은, 융점이 서로 다른 둘 이상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피용접 부재들이 상호 용접된 용접 부위를 포함하는 용접 구조물로서, 상기 용접 부위에는 용접 과정에서 피용접 부재들 중의 하나 이상에서 발생한 가스가 용접 부위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벤트(vent)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는, 피용접 부재들 중 융점이 낮은 금속소재의 피용접 부재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의미한다.
상기 용접은 상기 피용접 부재들을 적층한 적층체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 1 용접 지그와, 상기 제 1 용접 지그에 대해 피용접 부재들의 적층체의 양측 단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제 2 용접 지그들을 포함하는 용접 장치를 이용하여 피용접 부재들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용접 지그들 사이에서 피용접 부재들의 적층체에 용접을 위한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로 인해 피용접 부재들에 미치는 열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피용접 부재들의 변형이나, 열 손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 속도가 빠르고 용접 불량이 적으며 정밀 용접이 가능한 레이저 용접법에 따라 피용접 부재들을 용접하고 있으나, 피용접 부재들의 용접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저항 용접, 아크 용접, 초음파 용접, E-Beam 용접 및 하이브리드 용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접법에 따라 적절히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용접 부재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Al, Cu, Ni, Fe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서로 다른 금속 소재를 포함하는 전극단자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극단자는 전지셀의 전극리드로서, Al을 포함하는 전극리드일 수 있다.
또한, 나머지 피용접 부재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Al, Cu, Ni, Fe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서로 다른 금속 소재를 포함하는 접속부재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속부재는 Cu 또는 Ni을 포함하는 금속 플레이트, 버스 바 및 와이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Al과 Cu로 이루어진 금속 클래드(clad)일 수 있다.
상기한 벤트는 피용접 부재들의 계면(interface)에 형성된 갭(gap)을 의미한다. 상기한 캡을 형성하는 방법 또는 구조는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하기와 같은 단차구조의 접속부재를 이용하거나, 전극단자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들 간의 압력 차를 이용하거나, 또는, 접속부재와 전극 단자 사이의 계면 중 일부에 별도의 구조물을 삽입함으로써 갭을 형성하고 있다. 이후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별도의 구조물을 인서트 지그로 명명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용접 지그 상에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리드와의 계면방향으로 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구리 소재의 접속부재와 상기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 리드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상기 적층체의 양측 단부를 한 쌍의 제 2 용접 지그들로 고정하고 상기 제 2 용접 지그들 사이에서 상기 적층체의 용접을 위한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용접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한 구리 소재의 접속부재는, 상기 용접부위를 중심으로 일단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리드와의 적층계면, 즉, 일단부 적층계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적층체의 적층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단차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로 인해,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리드와 구리 소재의 접속부재 사이의 적층 계면에는, 융점이 낮은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리드로부터 발생한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벤트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의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든 제한되지 않고, 사각형, 원형, 삼각형 등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벤트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한 용접 구조물은 구리 소재의 접속부재와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리드의 용접부위를 중심으로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리드가 연장되어 있는 일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적층체의 적층방향으로 테이퍼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용접 지그 상에 구리 소재의 접속부재와 상기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 리드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상기 적층체의 양측 단부를 서로 다른 압력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제 2 용접 지그들로 고정하고 상기 제 2 용접 지그들 사이에서 상기 적층체의 용접을 위한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용접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용접부위를 중심으로 일단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리드를 가압하는 제 2 용접 지그의 압력을 타단부 측의 전극리드를 가압하는 제 2 용접 지그의 압력보다 낮게 함으로써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리드는 구리 소재의 접속부재와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리드의 용접부위를 중심으로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리드가 연장되어 있는 일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적층체의 적층방향으로 테이퍼진 구조로 변형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구조물은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리드와 구리 소재의 접속부재 사이의 적층 계면에, 융점이 낮은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리드로부터 발생한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벤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서트 지그를 피용접 부재들의 사이에 개재하여 피용접 부재들 사이에 인서트 지그의 두께만큼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피용접 부재들이 완전히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완전히 밀착되지 않은 부분은 용접시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용접시 문제가 되는 내부 공극을 감소시키며, 용접 표면으로의 가스 방출을 줄여 용접 외관을 좋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용접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지셀 및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용접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지셀은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판상형 이차전지 셀일 수 있으며, 상기 판상형 이차전지 셀은 전지모듈의 구성을 위해 세로 방향으로 적층되었을 때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얇은 두께와 상대적으로 넓은 폭 및 길이를 가진 이차전지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밀봉되어 있는 전지셀을 들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고 일측 단부에 한 쌍의 전극단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셀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판상형 전지셀은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전극조립체가 수납되고, 이러한 전극조립체의 양극과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단자가 전지셀 외부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지모듈은, 상기 판상형 전지셀들이 직렬 또는 병렬로 상호 전기적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은 전극단자와 접속부재를 용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전지셀들의 외면을 감싸는 고강도 셀 커버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들과 접속부재의 용접은,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판상형 전지들의 전극단자들이 그와 연결하려는 다른 전지의 전극단자의 방향으로 서로 수직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절곡된 부위에 접속부재를 개재시켜 절곡 부위와 접속부재를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용접 방법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모듈을 중대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하고, 상기 중대형 디바이스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및 전력 저장장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지모듈 및 전지팩의 구조 및 그것들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구조물은, 용접 과정에서 피용접 부재들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한 가스를 용접 부위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벤트(vent)를 형성함으로써, 용접 부위의 부풀어 오름 또는 터짐 현상을 방지하여 공정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용접 구조물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용접 결과물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단차 구조가 형성된 접속 부재를 이용하여 벤트를 형성한 용접 구조물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 2 용접용 지그들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벤트를 형성한 용접 구조물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인서트 지그를 이용하여 벤트를 형성한 용접 구조물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결과물의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지만,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는 용접과 관련된 부분만을 도시하였으며, 그 외의 전지 및 전지모듈을 이루는 구성들은 생략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단차 구조가 형성된 접속 부재를 이용하여 벤트를 형성한 용접 구조물의 수직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 2 용접용 지그들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벤트를 형성한 용접 구조물의 수직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인서트 지그를 이용하여 벤트를 형성한 용접 구조물의 수직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5는 알루미늄 소재의 양극리드들과 구리 소재의 버스 바를 용접하는 경우, 구리 소재의 버스 바와 알루미늄 소재의 양극리드들의 적층 계면 사이에 용접 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트를 형성하는 구조 및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 내지 5의 알루미늄 소재의 양극리드는 두 개의 리드가 겹쳐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응되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벤트(250)는 상기 용접부위를 중심으로 일단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양극리드(210)와 버스 바(200)의 일단부 적층계면에 형성된다.
버스 바(200)는 일단부 측에, 버스 바(200)와 양극리드(210)의 적층체의 적층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단차구조(201)를 포함하고 있고, 단차구조(201)로 인해 양극리드(210)가 용접부위를 중심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테이퍼진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벤트(250)가 형성된다.
용접은 제 1 용접 지그(230)상에 단차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버스 바(200)와 양극리드(210)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적층체의 양측 단부를 제 2 용접 지그(240)로 고정한 후, 제 2 용접 지그(240)사이에서 레이저(260)을 조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버스 바(200)과 양극리드(210)의 적층체는, 하단에서 적층체를 지지하고 있는 제 1 용접 지그(230)와 상부에서 가압하고 있는 제 2 용접 지그(240)에 의해 고정된다. 이 때, 제 2 용접 지그(240)은, 용접부위를 제외한 적층체의 양측 단부를 가압하기 위해 한 쌍의 제 2 용접 지그들(241,242)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응하는 도 4를 참조하면, 벤트(350)는 용접부위를 중심으로 일단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양극리드(310)와 버스 바(300)의 일단부 적층계면에 형성된다.
벤트(350)은 상부에서 버스 바(300)와 양극리드(310)의 적층체의 양측 단부를 가압하는 제 2 용접 지그(340)의 압력구배에 변화를 줌으로써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2 용접 지그(340)은 한 쌍의 제 2 용접 지그들(341,342)로 이루어져 있다. 벤트(340)를 형성시킬 일단부를 가압하는 제 2 용접지그(341)의 압력을 타단부를 가압하는 제 2 용접 지그(342)의 압력보다 낮게 함으로써 벤트(35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압력차에 의해, 양극리드(310)는 용접부위를 중심으로 양극리드(310)가 연장되어 있는 일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적층체의 적층방향으로 테이퍼진 구조로 변형된다. 용접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응하는 도 5에 따르면, 벤트(450)은 버스 바(400)상에 양극리드(410)를 적층할 때, 별개의 인서트 지그(450)를 적층계면의 일단부에 삽입함으로써 형성된다. 인서트 지그(450)의 두께는 벤트(460)의 최대 폭 또는 높이에 대응한다. 용접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벤트를 형성한 용접 구조는, 복잡하지 않은 공정으로 가능하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접 결과물의 사진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용접한 경우에 피용접 부재의 표면에 용접 시 발생한 가스로 인한 부풀어오름 또는 터짐 현상으로 인한 상처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0)

  1. 융점이 서로 다른 둘 이상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피용접 부재들이 상호 용접된 용접 부위를 포함하는 용접 구조물로서,
    상기 용접 부위에는 용접 과정에서 피용접 부재들 중의 하나 이상에서 발생한 가스가 용접 부위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벤트(vent)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용접 부재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전극단자이고, 나머지 피용접 부재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접속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는 전지셀의 전극 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구조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금속 플레이트, 버스 바 및 와이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구조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 및 접속부재는 Al, Cu, Ni, Fe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서로 다른 금속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구조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는 Al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재는 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구조물.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는 Al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재는 N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구조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금속 클래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클래드는 Al과 Cu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구조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은 저항 용접, 레이저 용접, 아크 용접, 초음파 용접, E-Beam 용접 및 하이브리드 용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구조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는 피용접 부재들의 계면(interface)에 형성된 갭(ga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구조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용접 부재들 중의 하나는 대면하는 피용접 부재에 대해 갭을 형성하는 단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구조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용접 부재들 사이의 계면 중 일부에는 대면하는 피용접 부재들 사이에 갭을 형성하기 위한 인서트 지그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구조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용접 부재들의 적층체에 하단을 지지하는 제 1 용접 지그와, 상기 제 1 용접 지그에 대해 피용접 부재들의 적층체의 양측 단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제 2 용접 지그들을 포함하는 용접 장치에 피용접 부재들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용접 지그들 사이에서 피용접 부재들의 적층체에 용접을 위한 에너지를 인가하여 용접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구조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부위의 양측 단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제 2 용접 지그들의 압력의 크기를 달리하여 용접 부위에서 발생한 가스가 용접 부위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벤트(vent)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구조물.
  16. 제 1 항에 따른 용접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7. 제 1 항에 따른 용접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8. 제 17 항에 따른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9. 제 18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30079233A 2013-07-05 2013-07-05 가스 배출이 용이한 용접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50005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233A KR20150005362A (ko) 2013-07-05 2013-07-05 가스 배출이 용이한 용접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233A KR20150005362A (ko) 2013-07-05 2013-07-05 가스 배출이 용이한 용접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362A true KR20150005362A (ko) 2015-01-14

Family

ID=5247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233A KR20150005362A (ko) 2013-07-05 2013-07-05 가스 배출이 용이한 용접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53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0425B2 (ja) 電池モジュールの製作に適した電池
EP3579305B1 (en) Electrode having improved electrode tab welding characteristic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20080005623A (ko) 이차전지용 안전부재
JP2014521197A (ja) 連結信頼性の向上した電池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中大型電池パック
EP2940776A1 (en) Electrode assembly of stepped structure
KR101447064B1 (ko)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736548B1 (ko) 이차전지의 복수개의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용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차 전지, 이차전지의 복수개의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용접 불량 검사 방법
KR20180126534A (ko) 다중공동 배터리 모듈
EP3664181B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tructure configured to block laser beam for welding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220006115A1 (en) Battery, electric apparatus, and cell installation method
US20240170809A1 (en) Tab welding method, welding tool, battery cell, battery, and electric device
KR101522450B1 (ko) 용접강도가 향상된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30122998A (ko) 신규한 전극 탭-리드 결합부 구조를 가진 이차전지
CN110612629B (zh) 包括焊接杆的圆柱形二次电池
CN110892555B (zh) 电极组件及其制造方法和包括该电极组件的二次电池
JP2006172911A (ja) 電池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
CN103022553A (zh) 叠片式锂离子电池
CN114188673B (zh) 电芯及电子设备
EP2933865B1 (en) Laminate of electrode groups having stepped structure
KR102309416B1 (ko) 박판을 이용한 리드 단선을 개선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05362A (ko) 가스 배출이 용이한 용접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527256B1 (ko) 이차전지
KR101450951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전극리드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1452230B1 (ko) 버스 바의 용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접장치
CN112670677A (zh) 电动车辆的电池单元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