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317A - Apparatus for holding cup of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olding cup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317A
KR20150005317A KR1020130079122A KR20130079122A KR20150005317A KR 20150005317 A KR20150005317 A KR 20150005317A KR 1020130079122 A KR1020130079122 A KR 1020130079122A KR 20130079122 A KR20130079122 A KR 20130079122A KR 20150005317 A KR20150005317 A KR 20150005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up holder
discharge duct
air discharg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1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30079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5317A/en
Publication of KR20150005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3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can cool or heat a cup stored in a cup holder without an additional cold and heat energy generating means by contacting a cup holder part with a heat transmitting part connected to a heat exchange unit inside the vehicle. The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up holder part storing a cup; and a heat transferring part of which one side is contacted to the cup holder part,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 unit of the vehicle.

Description

차량용 컵 홀더 장치{APPARATUS FOR HOLDING CUP OF VEHICLE}[0001] APPARATUS FOR HOLDING CUP OF VEHICLE [00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는 차량의 주행 중 충격 또는 흔들림 등에 의해 탑승자가 들고 있는 컵의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컵 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컵 홀더는 단지 컵을 보관하는 역할만 할 뿐이어서 음료의 온도가 주변의 온도에 의해 변하게 되며, 그로 인해 탑승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섭취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cup holder to prevent the drink of the cup held by the occupant from spilling out due to impact or vibration during running of the vehicle. However, the conventional cup holder merely serves to store the cup,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is changed by the surrounding temperature, and the occupant can not take the beverage of the desired temperature.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07423(1998.04.30)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8-0007423 (Apr. 30, 1998)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별도의 냉온 발생 수단 없이 컵 홀더에 수납된 컵을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cool or heat a cup stored in a cup holder without a separate cold / hot generating mean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컵 홀더에 수납된 컵으로의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improve heat transfer efficiency to a cup accommodated in a cup hol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는, 컵을 수납하는 컵 홀더부; 및 일측이 상기 컵 홀더부에 접촉되고, 타측이 차량의 열 교환 유니트에 연결되는 열 전달부를 포함한다.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p holder portion for storing a cup; And a heat transfer part in which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cup holder part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a heat exchange unit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컵 홀더부를 일측이 차량 내 열 교환 유니트와 연결된 열 전달부와 접촉시킴으로써, 별도의 냉온 발생 수단 없이 열 교환 유니트에서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컵 홀더부에 수납된 컵으로 전달하여 컵을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열 전달부가 컵 홀더부에 수납된 컵과 직접 접촉하도록 하면, 컵으로의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컵 홀더부 자체를 열 교환 유니트의 공기 배출 덕트 내에 형성함으로써, 컵 홀더부를 열 교환 유니트에서 배출하는 냉기 또는 온기에 직접 노출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컵 홀더부에 수납된 컵을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holder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eat transfer portion connected to the in-vehicle heat exchange unit so that the cool air or warm ai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 unit is supplied to the cup So that the cup can be cooled or heated. At this time, if the heat transfer portion i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cup stored in the cup holder portion, heat transfer efficiency to the cup can be improved. Further, by forming the cup holder itself in the air discharge duct of the heat exchange unit, the cup holder can be exposed directly to the cold or warm air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 unit, thereby cooling or heating the cup stored in the cup holder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컵 홀더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embodiment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iciently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컵 홀더 장치(100)는 컵 홀더부(102) 및 열 전달부(104)를 포함한다. 여기서, 컵 홀더부(102)는 예를 들어, 차량의 센터페시아, 콘솔 박스, 센터 콘솔, 대시 보드, 글로브 박스, 앞 도어, 뒷 도어, 암레스트 등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1 to 3, a vehicle cup holder device 100 includes a cup holder part 102 and a heat transfer part 104. Here, the cup holder 102 may be installed in, for example, a center fascia of a vehicle, a console box, a center console, a dashboard, a glove box, a front door, a rear door, But may be installed at various other positions.

컵 홀더부(102)는 컵 수납부(111), 하우징부(113), 컵 고정부(115), 열선(117), 및 미끄럼 방지부(119)를 포함한다. The cup holder portion 102 includes a cup housing portion 111, a housing portion 113, a cup fixing portion 115, a heat wire 117, and a non-slip portion 119.

컵 수납부(111)는 내부에 컵을 수납하는 공간을 구비한다. 여기서, 컵 수납부(111)는 컵만을 수납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음료캔 또는 물병 등을 수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컵 수납부(111)는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컵 수납부(111-1)와 제2 컵 수납부(111-2)는 대향하면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컵 수납부(111-1)와 제2 컵 수납부(111-2)의 마주 대하는 부분은 그 측면이 각각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컵 수납부(111-1)와 제2 컵 수납부(111-2)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는 삽입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121)에는 열 전달부(104)가 삽입된다. 컵 수납부(111)의 상단에는 차량 내부 구조물에 안착되는 안착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The cup accommodating portion 111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up therein. Her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up accommodating portion 111 does not only contain the cup, but can also store beverage cans or water bottles.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may include a first cup receiving portion 111-1 and a second cup receiving portion 111-2. Here, the first cup receiving portion 111-1 and the second cup receiving portion 111-2 may be opposed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pposite portions of the first cup receiving portion 111-1 and the second cup receiving portion 111-2 may be formed by opening their side surfaces, respectively. The insertion hole 121 may b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cup receiving portion 111-1 and the second cup receiving portion 11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heat transfer portion 10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1. The seating part 123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up housing part 111 to be seated in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여기서는, 컵 수납부(111)가 2개의 컵 수납부(즉,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수납부(111)는 1개의 컵 수납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컵 수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up accommodating portion 111 includes two cup accommodating portions (i.e., the first cup accommodating portion 111-1 and the second cup accommodating portion 111-2). However,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may be formed of one cup receiving portion or may include three or more cup receiving portions.

하우징부(113)는 컵 수납부(111)를 수납한다. 하우징부(113)는 컵 수납부(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부(113)에도 삽입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부(113)에서 제1 컵 수납부(111-1)와 제2 컵 수납부(111-2)가 상호 연결되는 부위와 대응되는 부분에 삽입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컵 수납부(111)와 하우징부(113) 사이에는 단열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part 113 accommodates the cup housing part 111. The housing part 113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p housing part 111. At this time, an insertion hole 121 may also be formed in the housing part 113. That is, the insertion hole 121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housing part 113 corresponding to a portion where the first cup storage part 111-1 and the second cup storage part 11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a heat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may be formed between the cup housing part 111 and the housing part 113.

컵 고정부(115)는 컵 수납부(111)의 내부에서 컵 수납부(111)의 일측에 형성된다. 컵 고정부(115)는 컵이 컵 수납부(111)에 수납될 때, 하부 방향으로 젖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컵 고정부(115)는 컵 수납부(111) 내에서 컵을 압박하여 컵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cup fixing portion 11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up accommodating portion 111 inside the cup accommodating portion 111. The cup fixing portion 115 can be formed to be turned downward when the cup is housed in the cup accommodating portion 111. [ In this case, the cup fixing part 115 serves to press the cup in the cup receiving part 111 to fix the cup.

열선(117)은 컵 수납부(11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열선(117)은 컵 수납부(111)와 하우징부(113)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열선(117)은 컵 수납부(111)에 컵이 수납되었을 때 동작할 수 있다. 열선(117)은 컵 수납부(111)에 열을 전달하여 컵 수납부(111)에 수납된 컵을 따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 열선(117-1)이 제1 컵 수납부(111-1)의 외면에 형성되고, 제2 열선(117-2)이 제2 컵 수납부(111-2)의 외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열선(117-1) 및 제2 열선(117-2)은 별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열선(117)이 컵 수납부(111)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선(117)은 열 전달부(104)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열선(117)은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온기가 배출될 때 함께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는, 열선(117)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열 발생 수단(예를 들어,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hot wire 117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housing part 111. [ At this time, the hot wire 117 is formed between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and the housing portion 113. The hot wire 117 can be operated when the cup is housed in the cup housing part 111. The hot wire 117 transfers heat to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to warm the cup stored in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 At this time, the first heat line 117-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up housing part 111-1 and the second heat line 117-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up housing part 111-2 . The first heating line 117-1 and the second heating line 117-2 may be formed separately, but they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the heat ray 117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housing part 11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heat ray 117 may be formed on the heat transfer part 104. The heat line 117 may operate together when heat is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operate independently of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Here, the heat ray 117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heat generating means (for example, a heater or the like) may be used.

미끄럼 방지부(119)는 컵 수납부(111)의 하단에 형성된다. 미끄럼 방지부(119)는 컵 수납부(11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119)는 컵 수납부(111) 내에서 컵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미끄럼 방지부(119)는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미끄럼 방지부(119)는 컵이 컵 수납부(111)와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미끄럼 방지부(119)가 컵 수납부(111)와 별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끄럼 방지부(119)는 컵 수납부(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non-slip part 119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up housing part 111. [ The non-slip part 119 can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up housing part 111. [ The non-slip portion 119 serves to prevent the cup from slipping in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 The non-slip portion 119 may be made of, for example, rubber or a silicone material. In this case, the non-slip portion 119 can prevent noise generated when the cup collides with the cup housing portion 111. The non-slip portion 119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up housing portion 11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non-slip portion 119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up housing portion 111. [

열 전달부(104)의 일측은 컵 홀더부(102)에 연결되고, 열 전달부(104)의 타측은 차량 공조 장치의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열 전달부(104)는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와 컵 홀더부(102) 간에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열 전달부(104)로는 예를 들어, 히트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 전달부(104)는 그 이외의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One side of the heat transfer part 104 is connected to the cup holder part 102 and the other side of the heat transfer part 104 can be connected to a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t this time, the heat transfer part 104 serves to transfer heat between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and the cup holder part 102. As the heat transfer part 104, for example, a heat pipe can be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eat transfer part 104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열 전달부(104)의 일측은 삽입홀(121)에 삽입되어 컵 홀더(102)에 연결될 수 있다. 열 전달부(104)가 삽입홀(121)에 삽입되는 경우, 열 전달부(104)는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의 개방된 부분에서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에 각각 수납된 컵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열 전달부(104)를 통해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배출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컵에 직접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컵 홀더부(102)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열 전달부(104)를 통해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배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컵에 직접 전달되므로, 컵 홀더부(102)는 열 전도성이 낮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해도 무관하다. 이 경우, 컵 홀더부(102)를 경량화 할 수 있고, 컵 홀더부(102)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삽입홀(121)은 컵 홀더부(102)의 일측부터 컵 홀더부(102)의 타측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삽입홀(121)은 컵 홀더부(102)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One side of the heat transfer part 104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1 and connected to the cup holder 102. When the heat transferring portion 10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1, the heat transferring portion 104 is located at the open portion of the first cup receiving portion 111-1 and the second cup receiving portion 111-2 And direct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cups accommodated in the first cup receiving portion 111-1 and the second cup receiving portion 111-2. In this case, the cool air or warm air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cup through the heat transfer unit 104. At this time, the cup holder 102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at is, since the cool air or warm air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ing unit (not shown) through the heat transfer unit 104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cup, the cup holder unit 102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In this case, the cup holder 102 can be made lighter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up holder 102 can be reduced. The insertion hole 121 is formed to penetrate from one side of the cup holder 102 to the other side of the cup holder 102. However, the insertion hole 121 is not limited to the cup holder 102 As shown in Fig.

한편,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는 차량의 외부 공기 또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열 교환하여 냉각 또는 가열하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차량 실내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는 유입된 공기를 냉매에 의해 열 교환하여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는 유입된 공기를 엔진 냉각수의 냉각열에 의해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exchanging unit (not shown) introduces outside air of the vehicle or room air of the vehicle, exchanges heat with the heat to cool or heat the room, and discharges the cooled or heated air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may include an evaporator for exchanging heat with the refrigerant to cool the introduced air.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heater for heating the introduced air by the cooling heat of the engine cooling water.

예를 들어, 더운 날씨에 에어컨을 동작시키면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는 차량의 외부 공기 또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증발기를 통해 열 교환하여 냉각하며, 열 교환된 냉기를 차량 실내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의 냉기가 열 전달부(104)를 통해 컵 수납부(111)에 수납된 컵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컵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추운 날씨에 히터를 동작시키면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는 차량의 외부 공기 또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히터를 통해 열 교환하여 가열하며, 열 교환된 온기를 차량 실내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의 온기가 열 전달부(104)를 통해 컵 수납부(111)에 수납된 컵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컵을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열 전달부(104)의 타측은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의 공기 배출 덕트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열 전달부(104)의 타측은 증발기 또는 히터에 의해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를 차량 실내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 덕트 내에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in hot weather, a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introduces outside air of the vehicle or indoor air of the vehicle, exchanges the incoming air through an evaporator to cool the heat exchanger, And discharged to the vehicle interior. At this time, since the cool air of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cup stored in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through the heat transfer portion 104, the cup can be cooled quickly. When the heater is operated in the cold weather,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introduces the outside air of the vehicle or the room air of the vehicle, heats the incoming air by heat exchange through the heater, . At this time, since the warmth of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cup stored in the cup housing part 111 through the heat transfer part 104, the cup can be heated quickly. 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heat transfer part 104 may be formed in the air discharge duct of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That is, the other side of the heat transfer part 104 may be formed in an air discharge duct that discharges cool air or heat, which has been heat-exchanged by an evaporator or a heater,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컵 홀더부(102)를 일측이 차량 내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와 연결된 열 전달부(104)와 접촉시킴으로써, 별도의 냉온 발생 수단 없이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컵 홀더부(102)에 수납된 컵으로 전달하여 컵을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열 전달부(104)가 컵 홀더부(102)에 수납된 컵과 직접 접촉하도록 하면, 컵으로의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holder portion 10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eat transfer portion 104 connected to the in-vehicle heat exchanging unit (not shown) so that the heat exchanging unit To the cup accommodated in the cup holder 102, so that the cup can be cooled or heated. At this time, when the heat transfer part 104 i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cup stored in the cup holder part 102,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to the cup can be improved.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와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of a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only the difference from the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will be describ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컵 수납부(111)는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를 포함한다. 제1 컵 수납부(111-1)와 제2 컵 수납부(111-2)는 대향하면서 상호 연결된다. 이때, 제1 컵 수납부(111-1)와 제2 컵 수납부(111-2)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는 삽입홀(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홀(121)에는 열 전달부(104)가 삽입되어 컵 홀더부(102)와 연결되게 된다.4 and 5,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includes a first cup receiving portion 111-1 and a second cup receiving portion 111-2. The first cup receiving portion 111-1 and the second cup receiving portion 111-2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an insertion hole 121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cup receiving portion 111-1 and the second cup receiving portion 11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heat transfer part 10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1 and connected to the cup holder part 102.

여기서, 제1 컵 수납부(111-1)와 제2 컵 수납부(111-2)의 마주 대하는 부분은 그 측면이 제1 실시예와는 달리 개방되어 형성되지 않는다. 즉, 제1 컵 수납부(111-1)와 제2 컵 수납부(111-2)는 각각 그 측면이 일부 개방됨이 없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이 경우, 열 전달부(104)는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에 수납된 컵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며,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을 통해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가 열 전달부(104)와 각각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제1 컵 수납부(111-1) 및 제2 컵 수납부(111-2)는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예를 들어, 금속 재질 등)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열 전달부(104)가 삽입홀(121)에 삽입되어 컵 홀더부(102)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 전달부(104)는 컵 홀더부(102)의 외면에 접촉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달부(104)는 컵 홀더부(102)의 측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될 수 있다.
Here,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opposite portions of the first cup receiving portion 111-1 and the second cup receiving portion 111-2 are not opened. That is, each of the first cup receiving portion 111-1 and the second cup receiving portion 111-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out a side portion thereof being partially opened. In this case, the heat transfer part 104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cups stored in the first cup storage part 111-1 and the second cup storage part 111-2, and the first cup storage part 111- 1 and the second cup receiving portion 111-2.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cup receiving portion 111-1 and the second cup receiving portion 111-2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 transmitting portion 104, the first cup receiving portion 111-1 and the second cup receiving portion 111-2, The cup housing part 111-2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e.g.,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The heat transfer part 10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1 and connected to the cup holder part 10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eat transfer part 104 may be connected to the cup holder part 102 And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For example, the heat transfer portion 104 may contact at least one of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holder portion 102.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컵 홀더 장치(100)는 컵 홀더부(102) 및 열 전달부(104)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용 컵 홀더 장치(100)는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의 공기 배출 덕트(150) 내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vehicle cup holder device 100 includes a cup holder portion 102 and a heat transfer portion 104. Fig. Here, the vehicle cup holder device 100 may be formed in the air discharge duct 150 of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공기 배출 덕트(150) 내에는 분리 플레이트(151)가 형성된다. 분리 플레이트(151)로 인해 공기 배출 덕트(150)는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 및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로 구분되게 된다. 이때, 차량용 컵 홀더 장치(100)는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100)가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 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컵 홀더 장치(100)는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A separation plate 151 is formed in the air discharge duct 150. The air discharge duct 150 is divided into the first air discharge duct 150-1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duct 150-2 by the separation plate 151. [ At this time, the vehicle cup holder device 100 may be formed in the first air discharge duct 150-1. Although the cup holder device 100 for a vehicle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the first air discharge duct 150-1,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up holder device 100 for a vehicle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air discharge duct 150-2 .

분리 플레이트(151)의 전단에는 개폐 조절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 조절부(154)는 입력되는 개폐 제어신호에 따라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 및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 중 적어도 하나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An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154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eparation plate 151.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154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inlet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ir discharge duct 150-1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duct 150-2 according to the input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ignal.

도 6의 (a)를 참조하면, 개폐 조절부(154)는 개폐 제어신호에 따라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의 입구를 닫을 수 있다. 이 경우,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는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를 통해서만 배출되게 된다. 예를 들어, 컵 홀더부(102)에 컵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개폐 조절부(154)를 통해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의 입구를 닫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154 may close the inlet of the first air exhaust duct 150-1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cold air or the heat exchanged in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is discharged only through the second air discharge duct 150-2. For example, when the cup is not stored in the cup holder 102, the inlet of the first air discharge duct 150-1 can be clos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154. [

도 6의 (b)를 참조하면, 개폐 조절부(154)는 개폐 제어신호에 따라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 및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의 입구를 각각 열 수 있다. 이 경우,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는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 및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를 통해 각각 배출되게 된다. 예를 들어, 컵 홀더부(102)에 컵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 개폐 조절부(154)를 통해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 및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의 입구를 각각 열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the open / close control unit 154 can open the openings of the first air discharge duct 150-1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duct 150-2,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signal . In this case, the cold air or warmth heat-exchanged in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discharge duct 150-1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duct 150-2, respectively. For example, when the cup is housed in the cup holder portion 102, the openings of the first air outlet duct 150-1 and the second air outlet duct 15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opening / Respectively.

도 6의 (c)를 참조하면, 개폐 조절부(154)는 개폐 제어신호에 따라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의 입구를 닫을 수 있다. 이 경우,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는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를 통해서만 배출되게 된다. 예를 들어, 컵 홀더부(102)에 컵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 개폐 조절부(154)를 통해 제2 공기 배출 덕트(150-2)의 입구를 닫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c),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154 may close the inlet of the second air exhaust duct 150-2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cold air or the heat exchanged in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is discharged only through the first air discharge duct 150-1. For example, when the cup is housed in the cup holder part 102, the inlet of the second air exhaust duct 150-2 can be clos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154. [

도 6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에서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가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면, 컵 홀더부(102)가 직접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에 접촉하게 되므로 컵 홀더부(102)에 수납된 컵을 신속하게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는 열 전달부(104)를 통해 컵 홀더부(102)로 전달되므로 열 전도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S. 6 (b) and 6 (c), when the cold air or the heat exchanged in the heat exchanging unit (not shown)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discharge duct 150-1, The cup holder 102 can be cooled or heated quickly because the cup holder 102 comes in contact with cold or warm air directly heat exchanged. At this time, since the heat exchanged cool air or warm air is transferred to the cup holder part 102 through the heat transfer part 104, the heat conduction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여기서, 컵 홀더부(102) 및 열 전달부(104)는 각각 열 접촉 면적이 넓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컵 홀더부(102) 및 열 전달부(104) 중 적어도 하나에 열 전도 블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컵 홀더부(102)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공기 배출 덕트(150-1) 내의 냉기 또는 온기가 관통홀(미도시)을 통해 컵 홀더부(102) 내로 유입되어 컵 홀더부(102)에 수납된 컵을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cup holder part 102 and the heat transfer part 104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wide thermal contact area. A heat conduction block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cup holder 102 and the heat transfer part 104. At least one through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cup holder 102. In this case, the cool air or warm air in the first air discharge duct 150-1 flows into the cup holder 102 through the through hole (not shown) to cool or heat the cup stored in the cup holder 102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컵 홀더부(102) 자체를 열 교환 유니트의 공기 배출 덕트(150) 내에 형성함으로써, 컵 홀더부(102)를 열 교환 유니트에서 배출하는 냉기 또는 온기에 직접 노출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컵 홀더부(102)에 수납된 컵을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개폐 조절부(154)를 통해 열 교환 유니트에서 배출하는 냉기 또는 온기에 컵 홀더부(102)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cup holder portion 102 itself in the air discharge duct 150 of the heat exchange unit, the cup holder portion 102 can be directly exposed to the cold or warm air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 unit So that the cup accommodated in the cup holder portion 102 can be cooled or heated. At this time, the cup holder part 102 can be selectively exposed to the cold or warm air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 unit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154.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용 컵 홀더 장치(100)는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의 공기 배출 덕트(150)와 컵 홀더부(102)를 연결하는 유입 덕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덕트(160)는 공기 배출 덕트(150) 내의 냉기 또는 온기를 컵 홀더부(102) 내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컵 홀더부(102)에는 유입 덕트(160)와 연통되는 연결홀(17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배출 덕트(150) 내의 냉기 또는 온기를 컵 홀더부(102)에 수납된 컵으로 직접 전달하여 컵을 냉각하거나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유입 덕트(160)가 공기 배출 덕트(150)와 제1 컵 수납부(111-1)를 연결하며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유입 덕트(160)가 제2 컵 수납부(11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입 덕트(160) 내에는 공기 배출 덕트(150) 내의 냉기 또는 온기를 컵 홀더부(102)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팬(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열 전달부(104)의 일측은 열 교환 유니트(미도시)의 공기 배출 덕트(15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7, the vehicle cup holder device 100 may include an inlet duct 160 connecting the air outlet duct 150 of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and the cup holder 102. The inflow duct 160 serves to introduce cool air or warm air in the air discharge duct 150 into the cup holder 102. At this time, a connection hole 171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duct 160 may be formed in the cup holder part 102. In this case, the cool air or warm air in the air exhaust duct 150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cup stored in the cup holder 102, so that the cup can be cooled or heated. Although the inflow duct 16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by connecting the air discharge duct 150 and the first cup receiving portion 111-1,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ther inflow duct 16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up receiving portion 111-1. (111-2). In addition, a suction fan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inflow duct 160 to introduce cool air or warm air in the air discharge duct 150 into the cup holder 102. One side of the heat transfer part 104 may be formed in the air discharge duct 150 of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용 컵 홀더 장치 102 : 컵 홀더부
104 : 열 전달부 111 : 컵 수납부
111-1 : 제1 컵 수납부 111-2 : 제2 컵 수납부
113 : 하우징부 115 : 컵 고정부
117 : 열선 119 : 미끄럼 방지부
121 : 삽입홀 123 : 안착부
150 : 공기 배출 덕트 150-1 : 제1 공기 배출 덕트
150-2 : 제2 공기 배출 덕트 151 : 분리 플레이트
154 : 개페 조절부 160 : 유입 덕트
171 : 연결홀
100: vehicle cup holder device 102: cup holder part
104: heat transfer part 111: cup storage part
111-1: first cup housing part 111-2: second cup housing part
113: housing part 115: cup fixing part
117: heat line 119: anti-slip part
121: insertion hole 123:
150: air discharge duct 150-1: first air discharge duct
150-2: second air discharge duct 151: separation plate
154: opening adjuster 160: inlet duct
171: Connection hole

Claims (13)

컵을 수납하는 컵 홀더부; 및
일측이 상기 컵 홀더부에 접촉되고, 타측이 차량의 열 교환 유니트에 연결되는 열 전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A cup holder part for storing the cup; And
And a heat transfer portion in which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cup holder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a heat exchange unit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부의 내측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열 전달부는, 상기 컵 홀더부의 개방된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컵과 접촉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ner part of the cup holder part is opened and formed,
Wherein the heat transfer portion is connected to an open portion of the cup holder portion and is in contact with the c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부는,
상호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1 컵 수납부 및 제2 컵 수납부; 및
상기 제1 컵 수납부 및 상기 제2 컵 수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열 전달부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p-
A first cup housing part and a second cup housing part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And an insertion hole formed between the first cup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cup accommodating portion and into which one side of the heat transfer portion is inser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컵 수납부 및 상기 제2 컵 수납부는, 상호 마주대하는 부분이 각각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열 전달부는, 상기 제1 컵 수납부 및 상기 제2 컵 수납부의 개방된 부분에서 상기 컵과 접촉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cup housing part and the second cup housing part are formed so that portions facing each other are opened,
Wherein the heat transfer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cup at an open portion of the first cup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cup receiv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컵 수납부 및 상기 제2 컵 수납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 전달부의 일측은, 상기 제1 컵 수납부 및 상기 제2 컵 수납부와 각각 접촉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cup housing part and the second cup housing part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one side of the heat transfer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up storage portion and the second cup storage portion,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부 및 상기 열 전달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열선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cup holder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heating wir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cup holder portion and the heat transf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부의 바닥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cup holder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non-skid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up hold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부는,
상기 컵을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컵 수납부;
상기 컵 수납부를 수납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컵 수납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p-
At least one cup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up;
A housing part for housing the cup housing part; And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formed between the cup housing part and the hous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컵 홀더 장치는,
일측이 상기 열 교환 유니트의 공기 배출 덕트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컵 홀더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배출 덕트 내의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컵 홀더부 내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 덕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cup holder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inlet duct connected at one end to the air discharge duct of the heat exchange unit and at the other end to the cup holder portion and for introducing cool air or warmth in the air discharge duct into the cup holder portion, Car cup holder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유입 덕트 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 덕트 내의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유입 덕트 내로 흡입하는 흡입팬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vehicle cup holder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uction fan formed in the inlet duct and adapted to draw cool air or warmth in the air outlet duct into the inlet 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부는,
상기 열 교환 유니트의 공기 배출 덕트 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배출 덕트 내의 냉기 또는 온기와 접촉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p-
Wherein the air outlet duct is formed in the air discharge duct of the heat exchange unit and is in contact with the cold air or warm air in the air discharge duc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공기 배출 덕트 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 덕트를 제1 공기 배출 덕트 및 제2 공기 배출 덕트로 구분하는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분리 플레이트의 전단에 형성되고, 개폐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공기 배출 덕트 및 상기 제2 공기 배출 덕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컵 홀더부는, 상기 제1 공기 배출 덕트 또는 상기 제2 공기 배출 덕트 내에 형성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vehicle cup holder device includes:
A separation plate formed in the air discharge duct and dividing the air discharge duct into a first air discharge duct and a second air discharge duct; And
And an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separation plate for opening / clo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ir discharge duct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duct in accordance with an opening / closing control signal,
Wherein the cup holder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air discharge duct or the second air discharge duc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 배출 덕트 내의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컵 홀더부 내로 유입되는, 차량용 컵 홀더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vehicle cup holder device includes: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up holder portion,
Wherein cool air or warm air in the air discharge duct flows into the cup holder por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KR1020130079122A 2013-07-05 2013-07-05 Apparatus for holding cup of vehicle KR201500053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122A KR20150005317A (en) 2013-07-05 2013-07-05 Apparatus for holding cup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122A KR20150005317A (en) 2013-07-05 2013-07-05 Apparatus for holding cup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317A true KR20150005317A (en) 2015-01-14

Family

ID=5247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122A KR20150005317A (en) 2013-07-05 2013-07-05 Apparatus for holding cup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531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5141B2 (en) 2020-07-29 2022-12-27 Nissan North America, Inc. Universal cup holder adapter for vehicles including temperature control fea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5141B2 (en) 2020-07-29 2022-12-27 Nissan North America, Inc. Universal cup holder adapter for vehicles including temperature control fea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708B1 (en)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KR101319434B1 (en) A cooling and heating cabinet device of rear seat for vehicle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US10076987B2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US10166905B2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US7073338B2 (en) Thermally controlled storage space system for an interior cabin of a vehicle
US20110121599A1 (en) Integrated Center of Dash Food and Beverage Warmer/Cooler
KR101344526B1 (en) A cooling and heating cabinet device for vehicles
KR20140141961A (en) Storage for vehicle
KR20120066212A (en) Cooling and heating box of vehicle
US20120193070A1 (en) Drinkware conditioner
KR101941056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US20220242294A1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for vehicle
KR20150005317A (en) Apparatus for holding cup of vehicle
KR20150005318A (en) Apparatus for holding cup of vehicle
KR101737906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KR101875592B1 (en)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JP4162778B2 (en) Instrument panel container holder
KR101529215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0559639B1 (en) Glove box for heating/cooling good for vehicle
KR20020049510A (en) A hot and cool box with air conditioning for vehicle
KR101889905B1 (en) Cup holding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and its manufactoring method
KR200363563Y1 (en) Holder for container of hot and cold beverage for automobile
KR101094844B1 (en) Air conditioning case for vehicle
US20060150654A1 (en) Cup holder
KR10195073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