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508U - Art dish - Google Patents

Art di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508U
KR20150004508U KR2020140004309U KR20140004309U KR20150004508U KR 20150004508 U KR20150004508 U KR 20150004508U KR 2020140004309 U KR2020140004309 U KR 2020140004309U KR 20140004309 U KR20140004309 U KR 20140004309U KR 20150004508 U KR20150004508 U KR 201500045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h
craft
base plate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30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일중
Original Assignee
김일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중 filed Critical 김일중
Priority to KR2020140004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508U/en
Publication of KR201500045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508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5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15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metall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wooden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예 접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공예 접시는 합성수지, 철판 또는 종이 재질에 의하여 중앙부위가 함몰하는 접시 형상을 이루는 기저판과;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기저판 외부 면에 형성되는 접착층과; 직물 또는 한복지에 의하여 상기 접착층의 외부 면에 형성되는 원단층; 및 투명 실리콘 또는 투명 합성수지 재질에 의하여 상기 원단층의 외부 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단층과 상기 코팅층 사이에는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층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코팅층에 의하여 물기가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물에 의하여 설겆이를 할 수 있고, 상기 문양층에 의하여 미감이 증대되어 공예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ft dish, wherein the craft dish is made of synthetic resin, iron plate, or paper, and is shaped like a dish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recessed;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late by an adhesive; An artificial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by a fabric or a lacquer; And a coating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nolayer by transparent silicone or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pattern layer formed with a pattern is formed between the monolayer layer and the coating layer.
With this structure, 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bsorbed by the coating layer, so that it can be washed with water, and the feeling of beauty can be increased by the pattern layer, so that it can be used as a craft product.

Description

공예 접시{ART DISH}Crafts {ART DISH}

본 고안은 접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시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내구성이 구비되어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히 공예품으로 장식을 할 수도 있는 공예 접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ft dish which can prevent the dish from breaking and which can be repeatedly used with durability and which can be decorated with crafts.

일반적으로 접시는 반찬이나 과일, 과자 등을 담는 얇고 납작한 그릇으로 주로 국물이 없는 음식을 담을 때 사용한다. 흙, 유리, 플라스틱, 나무 등으로 만든다. 큰접시·중간접시·작은접시·수프접시·디저트 접시 등이 있다.Typically, a dish is a thin flat dish containing side dishes, fruit, and confectionery, and is used mainly to hold food without soup. It is made of soil, glass, plastic, wood and so on. There are large dish, middle dish, small dish, soup dish, dessert dish.

이와 같은 접시는 도자기나 유리로 제조되어서 무겁고 부피가 커서 이동 및 보관이 불편하며, 서로 부딪치면 소음이 심하거나 놓치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dish is made of ceramics or glass and is heavy and bulky, which is inconvenient for movement and storage, and when it is hit against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is excessive or it is damaged if it is missed.

또한 스치로폼을 이용한 일회용 그릇은 가볍고 보관 및 이동과 사용이 편리한 이점은 있으나 일회용이므로 쓰레기 발생의 원인이 되며 공해로 인해 그 심각성이 날로 더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disposable bowl using the Styrofoam has the advantage of being lightweight, easy to store and move and easy to use, but disposable, which causes the generation of garbage, and the seriousness is added due to pollution.

문헌1: 실용신안공보 실1994-0005837(1994.01.03)Document 1: Utility Model Information Office 1994-0005837 (1994.01.03) 문헌2: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27371(2001.04.03)Document 2: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27371 (Apr. 3, 2001) 문헌3: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9-0011824(2009.11.19)Document 3: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20-2009-0011824 (2009.11.19)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무겁거나 쉽게 깨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일회성이 아니고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미감을 증대시켜 장식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공예 접시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heavy or easy breakage, to be used not permanently but permanently, To provide a craftsman dish.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공예 접시는, 합성수지, 철판 또는 종이 재질에 의하여 중앙부위가 함몰하는 접시 형상을 이루는 기저판과;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기저판 외부 면에 형성되는 접착층과; 직물 또는 한복지에 의하여 상기 접착층의 외부 면에 형성되는 원단층; 및 투명 실리콘 또는 투명 합성수지 재질에 의하여 상기 원단층의 외부 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can be achieved by a base plate having a dish shape in which a center portion is recessed by a synthetic resin, an iron plate, or a paper material;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late by an adhesive; An artificial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by a fabric or a lacquer; And a coating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nolayer by transparent silicone or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그리고 상기 원단층과 상기 코팅층 사이에는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층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attern layer formed with a pattern therebetween is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monolayer layer and the coating layer.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기저판의 가장자리에는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의 외면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쿠션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m formed to be horizontally protruded is formed on an edge of the base plate, and a cushion made of a rubber material is additionally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im.

또한, 상기 코팅층의 외부에는 캐릭터가 추가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haracter is further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oating layer.

그리고 상기 캐릭터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부로 돌출되어서 상기 캐릭터를 감싸는 안착돌기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at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along an edge of the character to surround the character is further formed.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코팅층에 의하여 물기가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물에 의하여 설겆이를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쿠션부에 의하여 담기는 물건이 가열되어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캐릭터와 상기 문양층에 의하여 공예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bsorbed by the coating layer, so that water can be smeared, and even when the object is heated by the cushion portion,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In particular,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e used as a craft product by the character and the pattern layer is also genera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예 접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공예 접시의 시제품 사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예 접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예 접시의 시제품 사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ft dis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1; FIG.
3 is a prototypical photograph of a craft dish according to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ft di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4;
Figure 6 is a prototypical photograph of a craft di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의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part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예 접시(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ft dish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공예 접시는 기저판(20), 접착층(30), 원단층(40) 및 코팅층(5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craft d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 comprises a base plate 20, an adhesive layer 30, an antifouling layer 40 and a coating layer 50.

상기 기저판(20)은 합성수지, 철판 또는 종이 재질에 의하여 중앙부위가 함몰하는 형상으로 접시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만약 상기 기저판(20)을 합성수지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경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게 되고, 종이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면에 코팅처리가 되어 물기에 강하면서 접시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plate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recessed by a synthetic resin, an iron plate, or a paper material. If the base plate 20 is formed of synthetic resin, a hard synthetic resin is used. In the case of using a paper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plate 20 is coated on both sides so that the plate shape is maintained while being strong against water.

그리고 상기 기저판(20)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상기 원단층(40)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원단층(40)은 우리나라 전통 문양이 형성된 한복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단층(40)과 상기 기저판(20) 사이에는 접착제에 의하여 형성되는 접착층(30)이 형성되어 있다,The monolayer 40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monolayer 40 is made of a hanbok fabric having a Korean traditional pattern. An adhesive layer (30) formed by an adhesive is formed between the distal layer (40) and the base plate (20)

상기 접착층(30)에 의하여 상기 기저판(20)과 단단하게 고정된 상기 원단층(40) 상부면에는 투명 실리콘 또는 투명 합성수지 재질에 의하여 상기 코팅층(50)이 형성되어 있다.The coating layer 5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al layer 40, which is firmly fixed to the base plate 20 by the adhesive layer 30, using transparent silicone or transparent synthetic resin.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공예접시(10)는 상기 기저판(20)에 의하여 접시 형상이 유지되고, 상기 코팅층(50)에 의하여 상기 원단층(40)이나 상기 기저판(20)에 물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설겆이를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raft dish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dish shape by the base plate 20 and prevents water from penetrating the artificial layer 40 or the base plate 20 by the coating layer 50 So that you can do the cooking.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단층(40)과 상기 코팅층(50) 사이에는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층(60)이 형성되는데, 상기 문양층(60)은 상기 한복지에 형성된 문양이 외부에 투영되어 형성할 수도 있고, 특정한 문양을 추가로 삽입하여서 형성할 수도 있다.1, a pattern layer 60 is formed between the monolayer layer 40 and the coating layer 50. The pattern layer 6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layer 40, Or may be formed by further inserting a specific pattern.

도 3에는 본원 출원인이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공예 접시(10)의 사진이다. 도면에 도시된 상기 문양층(60)은 한복지에 형성된 한국의 전통 문양으로 이루어진다.3 is a photograph of a crafts dish 10 manufactured by the applic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layer 60 shown in the figure is made of a Korean traditional pattern formed on a Korean paper.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도 4는 공예 접시(1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raft dish 10,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예 접시(10)는 상기 기저판(20)의 가장자리에는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테두리가 형성되는 형상이고, 상기 테두리의 외면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쿠션부(80)가 추가로 형성되는 구성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raft plat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formed in a shape of a horizontally protruding edge at the edge of the base plate 20, and a cushion portion 80 are additionally formed.

따라서 상기 쿠션부(80)에 의하여 사용중이거나 설겆이를 하는 동안에 떨어트려도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쿠션부(80)에 의하여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되고, 또한 상기 쿠션부(80)에도 문양을 형성하여서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when the cushion part 80 is in use or dropped during the sashing operation, the cushion part 80 made of a rubber material can absorb an external impact, and the cushion part 80 is also formed with a pattern So that the aesthetics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쿠션부(80)는 열전도가 낮게 되므로, 공예 접시(10)가 담긴 물건에 따라 가열되어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Since the cushion part 80 has a low thermal conductivity, the cushion part 80 is heated according to the object in which the craft dish 10 is plac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cushion part 80.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에 도시된 사진과 같이 또 다른 실시예의 공예 접시(10)는 상기 코팅층(50)의 외부에 캐릭터(70)가 추가로 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7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부로 돌출되어서 안착돌기(9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돌기(90)에 의하여 상기 캐릭터(7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photograph of FIG. 6, the craft plate 10 of another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a character 70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oating layer 50. Further, a seating protrusion 90 is further formed to protrude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character 70. Therefore, the user can firmly support the character 70 by the seating protrusion 90.

도 6의 사진에서 처럼 또 다른 실시예의 공예 접시(10)는 받침대에 의하여 거치되어서 감상할 수 있는 공예품으로 주로 사용하게 된다.As shown in the photograph of FIG. 6, the craft dish 10 of another embodiment is mainly used as a craft article which can be mounted on a pedestal and be appreciated.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공예 접시(10)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embodied i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상기 원단층(40)은 상기 기저판(20)의 양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기 원단층(40)은 상기 기저판(20)의 일면에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 코팅층(50)은 공예 접시(10)의 전체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distal layer 40 is illustrated as being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20, the distal layer 40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20. [ In this cas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ating layer 50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raft dish 10.

10: 공예 접시, 20: 기저판,
30: 접착층, 40: 원단층,
50: 코팅층, 60: 문양층,
70: 캐릭터, 80: 쿠션부,
90: 안착돌기
10: craft plate, 20: base plate,
30: adhesive layer, 40: circular single layer,
50: coating layer, 60: pattern layer,
70: character, 80: cushion part,
90:

Claims (5)

합성수지, 철판 또는 종이 재질에 의하여 중앙부위가 함몰하는 접시 형상을 이루는 기저판(20);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기저판(20)의 외부 면에 형성되는 접착층(30);
직물 또는 한복지에 의하여 상기 접착층(30)의 외부 면에 형성되는 원단층(40); 및
투명 실리콘 또는 투명 합성수지 재질에 의하여 상기 원단층(40)의 외부 면에 형성되는 코팅층(50)으로 이루어지는 공예 접시.
A base plate 20 having a plate shape in which a central portion is recessed by a synthetic resin, an iron plate, or a paper material;
An adhesive layer (30)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0) by an adhesive;
An artificial layer (4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30) by a fabric or a hosiery paper; And
And a coating layer (5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nolayer (40) by a transparent silicone or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층(40)과 상기 코팅층(50) 사이에는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층(60)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공예 접시.The craft dish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ttern layer (60) formed between the monolayer (40) and the coating layer (5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20)의 가장자리에는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의 외면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쿠션부(80)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예 접시.The artificial tooth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im formed to protrude horizontally is formed at an edge of the base plate (20), and a cushion portion (80) made of a rubber material is furthe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im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50)의 외부에는 캐릭터(70)가 추가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예 접시.The craft dish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character (70) is further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oating layer (5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7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부로 돌출되어서 상기 캐릭터(70)를 감싸는 안착돌기(90)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예 접시.








The craft dish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seating protrusion (90) protruding upward along an edge of the character (70) to surround the character (70).








KR2020140004309U 2014-06-09 2014-06-09 Art dish KR2015000450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309U KR20150004508U (en) 2014-06-09 2014-06-09 Art di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309U KR20150004508U (en) 2014-06-09 2014-06-09 Art dis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508U true KR20150004508U (en) 2015-12-18

Family

ID=5517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309U KR20150004508U (en) 2014-06-09 2014-06-09 Art di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508U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837A (en) 1992-07-22 1994-03-22 노만 에드워드 루이스 Method of Making Polycrystalline Silicon Carbide Fibers
KR200227371Y1 (en) 2000-05-25 2001-06-15 조준행 Edge picture molding apparatus of vessel
KR20090011824U (en) 2008-05-16 2009-11-19 유태일 Paper bow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837A (en) 1992-07-22 1994-03-22 노만 에드워드 루이스 Method of Making Polycrystalline Silicon Carbide Fibers
KR200227371Y1 (en) 2000-05-25 2001-06-15 조준행 Edge picture molding apparatus of vessel
KR20090011824U (en) 2008-05-16 2009-11-19 유태일 Paper bow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87776S1 (en) Water bottle straw lid
USD683544S1 (en) Bottle brush
USD601347S1 (en) Grill brush attachment having a rotating brush
USD864609S1 (en) Rug pad
USD579308S1 (en) Furniture handle
USD648134S1 (en) Toothbrush
USD626420S1 (en) Container sidewall
USD676712S1 (en) Bowl with utensil retention feature
USD656402S1 (en) Container
USD591018S1 (en) Foam cleaning implement
USD589765S1 (en) Football beverage container
USD597315S1 (en) Combined ice scraper and brush
USD662325S1 (en) Sheet with pattern
USD706399S1 (en) Faucets
USD631255S1 (en) Handle for vibrating paintbrush
USD619874S1 (en) Appliance knob
USD619873S1 (en) Appliance knob
USD584060S1 (en) Handle with base for cleaning implement
USD958610S1 (en) Retention spoon
USD973426S1 (en) Water bottle lid with straw
USD667995S1 (en) Base for use with a hair appliance
USD1014979S1 (en) Combined dispensing brush and holder for fabric care appliance
USD620778S1 (en) Appliance knob
US20140346067A1 (en) Toothbrush holder cover
USD643221S1 (en) Applicator with ergonomic handle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