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407U - Worm for fishing - Google Patents

Worm for fis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407U
KR20150004407U KR2020140004151U KR20140004151U KR20150004407U KR 20150004407 U KR20150004407 U KR 20150004407U KR 2020140004151 U KR2020140004151 U KR 2020140004151U KR 20140004151 U KR20140004151 U KR 20140004151U KR 20150004407 U KR20150004407 U KR 201500044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worm
fishing
fishing needl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15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0160Y1 (en
Inventor
박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조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조무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조무역
Priority to KR20201400041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160Y1/en
Publication of KR201500044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40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16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11Artificial bait for fishing flexible or with flexible appendages, e.g., w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2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means for concealing or protecting hooks, e.g. to prevent entanglement with weeds
    • A01K85/022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means for concealing or protecting hooks, e.g. to prevent entanglement with weeds with guards
    • A01K85/024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means for concealing or protecting hooks, e.g. to prevent entanglement with weeds with guards projecting out from the lure bod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 바늘을 세팅하는 것이 편리함과 동시에 자연스러운 액션을 연출할 수 있는 워엄을 제공하고 한다. 본 고안의 워엄은, 작은 어류의 형상을 가지는 머리부분(12) 및 꼬리부분(14), 그리고 상기 머리부분과 꼬리부분을 연결하는 바디부분(1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바디부분의 중간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부(18)가 전후방향으로 일부 성형되고, 상기 관통부(18)의 상부 양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등지느러미(20)가 성형된다. 머리부분(12)의 일부를 관통한 낚시 바늘이 바디부분(16)에서는 상기 관통부(18)의 내측에 단순히 삽입되고, 낚시바늘의 단부는 상기 등지느러미(20)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가려진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ient way of setting a fishing needle and providing a natural action. The wor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ead portion 12 and a tail portion 14 having a shape of a small fish, and a body portion 16 connecting the head portion and the tail portion. A pair of dorsal fines 2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hole 18 so as to extend upward. A fishing needle penetrating a part of the head part 12 is simply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part 18 in the body part 16 and the end of the fishing needle is at least partially covered by the dorsal fin 20 .

Description

낚시용 워엄{Worm for fishing}Worm for fishing

본 고안은 낚시용 워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늘이 관통한 상태의 바디 전체가 자연스럽게 펼쳐질 수 있음과 동시에 바늘이 바디 외부로 노출되어 바늘과 따로 이격됨을 방지하면서 바디 내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낚시용 워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worm,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shing worm which is capable of unfolding the entire body through which the needle penetrates, and at the same time, allowing the needle to be kept inside the body while preventing the needl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The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worm constituted.

낚시용 워엄은 생미끼를 사용하지 않는 루어낚시에 사용되는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워엄은 캐스팅된 후 낚시인의 조작에 의하여 수중에 자연스러운 살아 있는 미끼 형태의 액션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Fishing worms are a kind of lure fishing that does not use raw bait.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desirable that such a worm is able to perform a natural living bait-type action underwater by the operation of a fisherman after it is cast.

이와 같은 루어에 대해서는 많은 형태의 것이 제안되어 있으나, 그 사용에 있어서는 먼저 바늘이 워엄 본체를 관통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사용자가 바늘의 예리한 단부를 이용하여, 워엄 본체를 관통한 상태에서, 별도의 싱커의 중량을 같이 이용하여 캐스팅한 후, 릴링에 의하여 낚시줄을 감아들이면서, 워엄이 소정의 액션을 가지도록 사용된다. Many types of lures have been proposed, but in use, it is common that the needles are first used through the worm body. That is, the user uses the sharp end of the needle, casts the weight of the sinker using the weight of the other sinker while passing through the worm body, turns the fishing line by reeling, Lt; / RTI >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009931에서는 밑 걸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워엄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도 바늘이 워엄 본체를 관통한 상태로 전체를 세팅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바늘의 단부가 워엄의 본체를 관통하도록 세팅할 때, 바늘이 워엄 바디의 관통하는 위치에 따라서, 워엄 전체가 균형있는 상태로 펴져서 자연스러운 액션이 가능하기도 하지만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보자가 바늘이 관통하는 바디의 위치를 잘못 선정하게 되면, 워엄 전체가 부자연스럽게 휘어지는 등 전체적인 워엄의 형상이 변형될 뿐만 아니라, 이렇게 변형된 상태에서는 수중에서의 액션도 자연스럽게 못하기 때문에, 물고기의 입질을 유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09931 proposes a worm that minimizes the underlapping. In this conventional technique, the entire body is set with the needle passing through the worm body. However, when the end of the needle is set to penetrate the main body of the worm as described above, the whole worm is spread in a balanced stat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netration of the worm body so that the natural action is possible. For example, if a novice user erroneously selects the position of the body through which the needle penetrates, not only does the entire worm bend unnaturally, but also the overall worm shape is deformed. , It is difficult to induce the fish to bite.

그리고 현재 판매되고 있는 워엄은 바늘의 워엄의 바디를 관통할 때 관통을 시작하는 위치(워엄의 배 부분)의 일부분에 슬릿이 성형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부분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워엄이 전체적으로 자연스럽게 펼쳐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낚시바늘을 바디에 관통시키는데에는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도 낚시 바늘 자체가 바디를 실질적으로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워엄의 바디의 일부를 구속하는 것으로 되어, 워엄 전체의 유연한 액션에 장애가 될 수 있다.The worm now being sold has a slit formed in a portion of the position (the wrist portion of the worm) that begins to penetrate when penetrating the body of the needle worm. However, even if a slit is formed in such a portion, much experience is required to penetrate the fishing needle into the body so that the worm has a naturally spread shape as a whole, and in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So that it can restrain a part of the body of the worm, and it can obstruct the flexible action of the whole worm.

본 고안은 바늘이 바디를 관통하여 세팅될 때, 워엄이 항상 전체적으로 펼쳐진 자연스러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낚시용 워엄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shing worm which is formed so that when the needle is set through the body, the worm can always maintain its natural state as a whol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늘이 세팅된 상태에서, 캐스팅 된 후 수중에서 자연스러운 물고기의 액션을 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낚시용 워엄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shing worm configured to be able to reproduce the action of a natural fish in the water after being cast, with the needle set.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를 관통한 바늘이 임의적으로 외부로 노출 또는 과다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대상어의 유인에 적합한 낚시용 워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shing worm suitable for attracting a target fish by preventing a needle penetrating the body from being exposed or overexpos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워엄은, 작은 어류의 형상을 가지는 머리부분 및 꼬리부분, 그리고 상기 머리부분과 꼬리부분을 연결하는 바디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부분의 중간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부가 전후방향으로 일부 성형되고, 상기 관통부의 상부 양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등지느러미가 성형되어; 상기 머리부분 일부를 관통한 낚시 바늘이 바디부분에서는 상기 관통부의 내측에 삽입되고, 낚시바늘의 단부는 상기 등지느러미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가려지는 것을 주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ead portion and a tail portion having a shape of a small fish, and a body portion connecting the head portion and the tail portion; A pair of back fins extending upward are formed at both sides of an upper portion of the penetration portion; It is a main technical idea that a fishing needle penetrating a part of the hea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portion at the body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fishing needle is at least partially covered with the dorsal fin.

그리고 본 고안의 관통부는, 낚시 바늘이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이 낚시 바늘의 삽입이 완료된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portion where the fishing needle starts to be inserted is relatively lo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s compared with the portion where the fishing needle is inserted.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워엄은 초보자라고 하더라도, 보다 쉽게 낚시바늘을 워엄에 꿰어 세팅하는 것이 가능한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편의성은 실질적으로 낚시 바늘을 머리부분의 일부를 관통시켜 꿴 상태에서, 바디부분에서는 관통부의 내부로 단순하게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워엄을 세팅할 수 있다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shing w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have a convenience of use in which it is possible to easily set the fishing needle to the worm even if it is a beginner. This convenience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worm can be set by a simple operation of simply inserting the fishing needle through a part of the head part and simply inserting it into the penetrating part in the body part.

그리고 실제로 낚시 바늘이 바디부분을 관통한 상태에서, 낚시 바늘의 예리한 단부가 바디부분을 구속하지 않는 상태가 됨을 알 수 있고,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바디 자체가 전체적으로 자연스럽게 펼쳐진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대상어의 유인을 위한 최선의 액션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in a state where the fishing needle passes through the body portion, the sharp end of the fishing needle becomes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ortion is not constrained. In this way, the body itself can maintain a naturally spread shape as a whole,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that the best action for attraction of the user can be generated.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워엄은, 바늘의 단부가 바디의 몸체의 일부 중에서 관통부를 단순히 통과하고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본 고안의 상태는 종래와 같이 정해진 위치에서 바늘이 몸체를 구속하는 상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관통부를 통하여 바디 내에서 지지되고 있어어, 낚시인의 유인 동작에 따라서 자연스러운 액션을 연출하는데 더욱 유리한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The w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a state in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needle is simply passing through the penetration portion of a part of the body of the body and th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te in which the needle restrains the bod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t can be see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more advantageous in directing a natural action according to the attracting action of the angler, because it is supported in the body through the penetrating part having a certain interval.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워엄의 평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워엄의 측면 예시도.
1 is a plan view of a w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w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를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워엄(10)은, 멸치 등과 같은 작은 물고기 형성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면 작은 어류의 눈 형상을 포함하는 머리부분(12)과, 물고기의 유영시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꼬리부분(14), 그리고 상기 머리부분(12)과 꼬리부분(14)을 연결하는 바디부분(16)을 포함하고 있다. 1 and 2, the wor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mall fish formation such as anchovy. For example, the worm 10 has a head portion 12 A tail portion 14 for generating a propulsive force when the fish is swimming and a body portion 16 connecting the head portion 12 and the tail portion 14 to each other.

이와 같은 워엄(10)은 전체적으로 소형 물고기 형상을 가지고 있고, 낚시인에 의하여 캐스팅 된 후, 수중에서 낚시인의 여러 가지 유인 동작에 의하여 실제 물고기와 유사한 액션을 취하도록 설계되어 있음은 일반적인 워엄과 동일하다. 또한 이와 같이 실제 물고기와 유사한 액션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워엄(10)은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유연성 및 탄력성을 가지는 재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등으로 성형되는 것도 일반적인 워엄과 동일하기 때문에 재질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Such a worm 10 is generally the same as a general worm in that it has a small fish shape and is designed to take an action similar to that of an actual fish by various attracting operations of a fisherman after being cast by a fisherman. Further, in order to generate an action similar to a real fish, the worm 10 is formed of a flexible or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or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Description will also be omitted.

이러한 워엄(10)의 머리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작은 어류의 머리부분과 유사하게 성형하는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눈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형상도 어류과 가능하면 유사하게 제조된다. 그리고 꼬리부분(14)도 동일하게 소형 어류과 가능하면 유사하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꼬리부분(14)에는 꼬리 지느러미가 포함된다. Since the head portion of such a worm 10 is generally shaped similarly to the head portion of a small fish as described above, the overall shape including the eye is also made as similar as possible to the fish. It is also preferred that the tail portion 14 is likewise molded similarly to the small fish, for example, the tail portion 14 includes the caudal fin.

그리고 바디부분(16)의 전체적인 형상도 위와 동일하게 소형 어류의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는데, 예를 들면 등지느러미(20)가 바디부분(16)의 상측부분에 성형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바디부분(16)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관통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부(18)는 실질적으로 낚시바늘(30)이 관통할 수 있는 가로 방향의 폭을 가지는 슬릿 형태라고 할 수 있고, 전후의 길이 방향으로는 낚시바늘(30)이 수납될 수 있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The dorsal fin 2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6, for example. The dorsal fin 2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16 is formed with a penetration portion 18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penetration portion 18 may be a slit shape having a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through which the fishing needle 30 can penetrate. The penetration portion 18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which the fishing needle 30 can be recei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t; / RTI >

상술한 등지느러미(20)는 상기 관통부(18)의 상단을 좌우 방향에서 감쌀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부(18)의 상단 좌우부분에는, 바디부분(16)에서 상방으로 연장 성형된 등지느러미(20)가 각각 성형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한 쌍의 등지느러미(20)는 바디부분(16)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임은 물론이고, 실제 소형 어류의 등지느러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The dorsal fin 20 is formed in a pair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penetrating portion 18 can be wrapp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at is, the dorsal fin 20 extending upward from the body portion 16 is formed at the upper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penetration portion 18, respectively. Such a pair of dorsal fin 20 is mold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16 and is shap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dorsal fin of an actual small fish.

다음에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낚시용 워엄을 사용하기 위하여 바늘과 결합되는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도시의 편의 상, 도 1에는 낚시용 바늘(30)의 고리부분(32) 및 단부(36)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2에는 낚시용 바늘(30) 전체가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Next, a state in which the needle is engaged to use the fishing wor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1, only the hook portion 32 and the end portion 36 of the fishing needle 30 are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and FIG. 2 shows the fishing needle 30 as a whole. It will be possible.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용 바늘은, 예리한 단부(36)가 머리부분(12)의 일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다시 바디부분(16)의 외측을 나온 상태에서 상기 관통부(18)에 삽입된 상태로 세팅된다. 이렇게 세팅된 상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바늘의 바늘귀에 해당하는 낚시바늘 고리(21)가 머리부분(1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낚시줄과 연결될 수 있도록 위치함과 동시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바늘(30)의 예리한 단부(36)는 상기 바디부분(16)의 관통부(18)에 단순하게 삽입만 되어 있는 상태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shing needle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18 in a state in which the sharp end portion 36 passes through a part of the head portion 12 and is again out of the body portion 16 Lt; / RTI > 1, the fishing needle loop 21 corresponding to the eye of the fishing needle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head portion 12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an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2, the sharp end 36 of the fishing needle 30 is merely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18 of the body portion 16.

즉, 낚시바늘(30)이 워엄(10)에 세팅되면, 실질적으로 낚시바늘(30)의 예리한 단부(36)는 머리부분(12)의 일부만을 관통할 뿐이고, 바디부분(16)에서는 어떠한 부분에 꿰어들어가는 등의 관통 상태가 아니라, 상하를 관통하도록 비어 있는 관통부(18)에 단순히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That is, when the fishing needle 30 is set on the worm 10, substantially the sharp end 36 of the fishing needle 30 only penetrates a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2, and in the body portion 16, But is simply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18 which is opened so as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따라서 실질적으로 낚시바늘(30)의 단부(36)는, 머리부분(12)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바디부분(16)에서는 상술한 관통부(18)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뿐이고, 바디부분(16)에서 관통부(18) 근처의 어디에서도 바디부분(16)을 내부로 꿰어들어가는 등의 실질적 관통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The end 36 of the fishing needle 30 substantially remains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18 in the body portion 16 except for a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2, No substantial penetration such as penetration of the body portion 16 into the inside of the penetration portion 18 anywhere in the portion 16 is caused.

여기서 상기 관통부(18)는 워엄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성형되는데, 여기서 전후 방향으로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험이 전혀 없더라도, 낚시바늘(30)이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관통부(18)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아주 편리하게 워엄을 바늘에 세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Here, the penetration portion 18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orm,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refore, even if the user has no experience, it is possible to set the worm on the needle very conveniently by inserting the fishing needle 30 into the penetration portion 18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그리고 상기 관통부(18) 내부로 삽입된 바늘은 배부분에서 등부분으로 삽입되고,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바늘(30)의 단부(36)는 관통부(18)의 상부를 약간 관통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관통공(18)의 상부에 대응하는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등지느러미(20)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부(18)의 내부로 삽입된 낚시 바늘(30)의 단부(36)는 상기 한 쌍의 등지느러미(20)에 의하여 외부에서 가려질 수 있게 된다. The needle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portion 18 is inserted into the back portion of the abdomen portion and the end portion 36 of the needle 30 slightly passes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penetration portion 18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is completed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dorsal fines 20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hole 18 so as to extend upward. The end 36 of the fishing needle 30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portion 18 can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by the pair of dorsal fin 2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부(18)는 바늘이 배부분에서 등부분을 향하여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18)는 사용자의 바늘 세팅을 보다 쉽고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배부분의 관통부(18a)가 등 부분의 관통부(18b) 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낚시바늘(30)이 그 내부로 삽입되는 관통부(18)는, 바늘의 삽입이 시작되는 부분[배부분(18a)]이, 바늘의 삽입이 완료되는 부분[등부분(18b)]에 비하여 전후 방향으로 더욱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낚시 바늘이 등 부분 부터 삽입되는 워엄이라면, 상기 관통부(18)는 등부분이 배부분에 비하여 길게 성형되어야 바람직한 것임은 당연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enetration portion 18 is inserted with the needle from the abdomen portion toward the back por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enetrating portion 18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penetrating portion 18b of the back portion in order to make the setting of the user's needle more convenient and convenient. That is, the penetrating portion 18 into which the fishing needle 30 is inserted is a portion where the insertion of the needle is started (the abdominal portion 18a) It is preferable to form it long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Unlik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f the fishing needle is inserted from the back portion, it is natural that the penetration portion 18 should be formed so that the back port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fold portion.

다음에는 낚시바늘(30)이 세팅된 상태의 워엄(10)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낚시바늘(30)은, 워엄(10)의 머리부분(12)의 일부만 관통하고 있고, 바디부분(16)에서는 상술한 관통부(18)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낚시인이 바늘을 워엄에 세팅하는 것 자체가 편리함은 상술한 바와 같고, 그 외에도 워엄(10)은 전체적으로 머리부분(12)의 일부에서만 바늘이 꿰어진 상태이고 바디부분(16)에서는 바늘(30)과 꿰어진 부분, 즉 바늘(30)에 의하여 구속되는 부분이 전혀 없음을 알 수 있다. Next, the worm 10 with the fishing needle 30 set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fishing needle 30 penetrates only a part of the head part 12 of the worm 10 and remains in the inserted state in the above-mentioned penetrating part 18 in the body part 16 have. In addition, the worm 10 is entirely in a state in which a needle is sewn in only part of the head part 12, and in the body part 16,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part bounded by the needle 30, that is, the needle 30.

따라서 바늘(30)이 세팅된 상태에서의 워엄(10)은 머리부분(12)에서만 바늘과 구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바디부분(16) 및 꼬리부분(14)은 전체적으로 자연스럽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바디부분(16)에서 바늘과 구속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낚시인에 의하여 캐스팅 된 후, 수중을 유영할 때, 가장 자연스러운 액션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since the worm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needle 30 is set is in the state of being restrained with the needle only at the head portion 12, the body portion 16 and the tail portion 14 can be maintained in a fully extended state as a whole do. Since there is no part to be restrained by the needle in the body part 16, it is possible to produce the most natural action when the fish is cast after being cast by the fisherman.

즉, 종래의 워엄은, 바늘이 머리부분 및 바디부분을 두 군에서 워엄에 꿰어지기 때문에, 바늘과 꿰어져 있는 머리부분 및 바디부분 사이의 워엄은 액션의 연출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오직 머리부분(12)에서만 바늘(30)에 꿰어진 구속상태를 가지고 있고, 바디부분(16) 및 꼬리부분(14)에서는 자유 상태이기 때문에, 보다 자연스럽고 실제 물고기와 같은 액션의 연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worm, since the needle is put on the worm in both the head and the body part, the wobbling between the needle and the head part and the body part put on the needle made the action almost impossible to produce.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strained state in which only the head portion 12 is stitched on the needle 30 and is free in the body portion 16 and the tail portion 14, a more natural and realistic action It is possible to direct.

그리고 바늘이 워엄에 세팅된 상태에서, 바늘(30)의 단부(36)는 한 쌍의 등지느러미(20)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낚시 바늘(30)은 관통부(18)의 내부에 위치하는데, 관통부(18)의 내측면 및 한 쌍의 등지느러미(20)의 내측과의 마찰력이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완전히 자유스런 상태로 움직이거나 바디 부분에서 임의로 이탈하지는 않게 될 것이다. In the state where the needle is set on the worm, the end portion 36 of the needle 30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dorsal fins 20, so that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prevent exposure to the outside. In this state, the fishing needle 30 is located inside the penetrating portion 18, and since there is some friction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penetrating portion 18 and the inner side of the pair of dorsal fin 20, It will not move completely free or will not leave the body part arbitraril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워엄은 바디부분의 중간에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부(18)을 형성하여, 바늘의 단부(36)가 바디부분에서는 상기 관통부의 내부에 단순하게 삽입된 상태로 세팅할 수 있는 것을 주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shing 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enetration portion 18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the middle of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end portion 36 of the needle is simply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portion in the body por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main technical idea is that it can be set in the state of being in the state of being.

그리고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basic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scope of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It is obvious.

10 ..... 워엄
12 ..... 머리부분
14 ..... 꼬리부분
16 ..... 바디부분
18 ..... 관통부
20 ..... 등지느러미
30 ..... 낚시 바늘
32 ..... 고리부분
36 ..... 낚시바늘의 단부
10 ..... Warm
12 ..... head part
14 ..... tail portion
16 ..... body part
18 ..... penetration
20 ..... dorsal fin
30 ..... fishing needle
32 ..... ring part
36 ..... End of fishing needle

Claims (2)

작은 어류의 형상을 가지는 머리부분(12) 및 꼬리부분(14), 그리고 상기 머리부분과 꼬리부분을 연결하는 바디부분(16)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부분의 중간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부(18)가 전후방향으로 일부 성형되고, 상기 관통부(18)의 상부 양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등지느러미(20)가 성형되어;
상기 머리부분 일부를 관통한 낚시 바늘이 바디부분에서는 상기 관통부(18)의 내측에 삽입되고, 낚시바늘의 단부는 상기 등지느러미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워엄.
A head portion (12) and a tail portion (14) having a shape of a small fish, and a body portion (16) connecting the head portion and the tail portion;
A pair of dorsal fines (2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hole (18) so as to extend upwardly, while a through-hole (18)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s partially formed in the middle of the body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a fishing needle penetrating a part of the head part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part (18) at the body part, and the end part of the fishing needle is at least partly covered by the dorsal f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낚시 바늘이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이 낚시 바늘의 삽입이 완료된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낚시용 워엄.


The fishing w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 portion where the fishing needle starts to be inserted is elong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relative to a portion where the fishing needle is inserted.


KR2020140004151U 2014-05-30 2014-05-30 Worm for fishing KR20048016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151U KR200480160Y1 (en) 2014-05-30 2014-05-30 Worm for fis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151U KR200480160Y1 (en) 2014-05-30 2014-05-30 Worm for fis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407U true KR20150004407U (en) 2015-12-09
KR200480160Y1 KR200480160Y1 (en) 2016-04-19

Family

ID=5502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151U KR200480160Y1 (en) 2014-05-30 2014-05-30 Worm for fis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160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872A (en) * 2019-07-29 2021-02-08 최훈 Bait for lure fishing
KR20210015406A (en) * 2019-08-02 2021-02-10 임정규 jam prevention for lure fish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7570B2 (en) 2005-01-21 2006-09-06 株式会社イマカツ Fish type l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872A (en) * 2019-07-29 2021-02-08 최훈 Bait for lure fishing
KR20210015406A (en) * 2019-08-02 2021-02-10 임정규 jam prevention for lure fis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160Y1 (en) 201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5031A (en) Trolling rig
US9253966B2 (en) Fishing lure
US994927A (en) Artificial bait.
RU2563686C2 (en) Fishing lure
US8230640B2 (en) Simulated mudpuppy fishing lure
KR20200001212U (en) The fishing tackle with a live bait for cephalopoda
US20140259869A1 (en) Fishing jig attachment systen
US2860443A (en) Animation attachment for minnow bait
US3165858A (en) Method of making a fishing lure
KR200480160Y1 (en) Worm for fishing
JP5030910B2 (en) Lure
KR101353056B1 (en) Free jig type lure fish hook
US20180125046A1 (en) Weedless fishing lure device
JP2019134684A (en) Lure
US2987844A (en) Fish lure
KR100760356B1 (en) Weed Guard Hook Lure
US1611635A (en) Artificial bait
US20180098529A1 (en) Support for natural bait with fixation system, protection and oscilatory motion during fishing
JP2008212129A (en) Lure for fishing cuttlefish
JP2015019600A (en) Lure for fishing
KR200493441Y1 (en) Lure for fishing
US3541719A (en) Live-fish bait attachment
US2619763A (en) Weedless fishing lure
JP2004337076A (en) Lure with hook holder
US3680246A (en) Fishing ri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